KR20220002744U -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744U
KR20220002744U KR2020210001510U KR20210001510U KR20220002744U KR 20220002744 U KR20220002744 U KR 20220002744U KR 2020210001510 U KR2020210001510 U KR 2020210001510U KR 20210001510 U KR20210001510 U KR 20210001510U KR 20220002744 U KR20220002744 U KR 202200027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line
groove
line
sensing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392Y1 (ko
Inventor
정양구
Original Assignee
(주) 세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렉스 filed Critical (주) 세렉스
Priority to KR2020210001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9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7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08B13/12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27Stretcher-type wire fencing; Tensioning devices for wire f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관형태로 형성되고 높이차를 두고 다수의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양측에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앵커지주와, 높이차를 두고 상기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앵커지주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감지선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 중 일단에 요형(凹形)의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이 상기 연락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장력검출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 중 일단에 게이지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지수용홈에 연결되도록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을 기준으로 상기 게이지수용홈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외표면에는 디귿자 내표면형태의 감지선홈이 상방향에서 시작하여 절취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 중 나머지 일단에는 상기 감지선홈에 도달하도록 직선상의 감지선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감지선홈의 내표면 중 상기 고정블럭에 가까운 쪽의 수직면을 후방감지선홈수직면이라고 하고 상기 고정블럭에서 먼 쪽의 수직면을 전방감지선홈수직면이라고 하고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의 하단과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면을 감지선홈바닥면이라고 할 때 상기 감지선홈바닥면이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게이지수용홈이 상기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선이 상방향에서 진입하여 상기 감지선홈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감지선고정공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선홈을 통과하는 감지선을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감지선고정핀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 중 일단을 통해 상기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에서 상기 고정블럭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양단 중 나머지 일단을 통해 상기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에서 상기 가동블럭에 결합되는 탄성변형판과 상기 게이지수용홈에서 상기 탄성변형판의 일면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를 가지고 상기 감지선의 장력변화를 검출하는 장력검출부와, 상기 감지선을 상기 장력검출부에 대하여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긴장유지부를 갖는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동블럭은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과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 사이에서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 및 상기 감지선홈바닥면에 나란하게 설정된 선을 감지선정렬통과선이라고 할 때 상기 감지선정렬통과선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통과하는 감지선과의 간섭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선홈의 상기 감지선정렬통과선 방향의 양단 중 적어도 일방에 상하방향간섭회피경사면이 절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침입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Tension Sensing Type Detection System}
본 고안은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와의 격리가 필요한 구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감지선의 장력변화를 검출하여 침입자 또는 지장물의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부와의 격리가 필요한 구역에는 침입자와 지장물의 침입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감지시스템의 하나로 감지가 필요한 구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감지선의 장력변화를 검출하여 침입자 또는 지장물의 침입여부를 감지하는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장물이란 낙석 또는 붕괴토사 등 비의도적으로 인간의 활동을 방해하는 유형물을 의미한다.
도16은 종래의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고, 도17은 종래의 지주감지보조부의 상세도이고, 도18은 종래의 무지주감지보조부의 상세도이고, 도19, 도20 및 도21은 각각 종래의 장력검출지주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22은 도2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23 및 도24는 각각 종래의 장력검출부의 상세도이고, 도25는 도2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26은 종래 지주고정블럭과 변형판고정블럭 사이의 결합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27은 종래 장력검출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8은 종래 지주고정블럭의 사시도이고, 도29는 종래 변형판고정블럭의 사시도이고, 도30은 종래 감지선홈가동블럭의 사시도이고, 도31은 종래 보조가동블럭의 사시도이고, 도32 및 도33은 각각 종래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검출지주(111)와, 장력검출지주(111)의 양측에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앵커지주(112)와, 높이차를 두고 장력검출지주(111)와 앵커지주(11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감지선(113)과, 장력검출지주(111)와 각 앵커지주(112)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 지주감지보조부(120)와, 지주감지보조부(120)와 앵커지주(112) 사이 및 지주감지보조부(120)와 장력검출지주(111)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 무지주감지보조부(130)와, 장력검출지주(111)에 설치된 장력검출부(140)와, 감지선(113)을 장력검출부(140)에 대하여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긴장유지부와, 장력검출부(140)에서 검출한 감지선(113)의 장력변화에 기초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19)를 갖고 있다.
장력검출지주(111)와 앵커지주(112)는 각각 목장, 공항과 같은 지역을 포위하도록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장력검출지주(111)는 관형태로 형성되고, 감지선(113)의 각 설치높이에 대응하도록 연락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력검출지주(111)는 중간영역에 전선노출공(111b)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감지선(113)은 일단이 앵커지주(112)의 각각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종단감지선(113b)과, 종단감지선(113b)의 타단과 장력검출지주(111) 사이에 하나씩 배치된 한 쌍의 메인감지선(113a)을 갖고 있다.
감지선(113)은 감지선홈(161a)에 안착되도록 가동블럭(160)에 고정된다. 감지선(113)의 고정은 감지선홈(161a)에 안착된 감지선(113)을 가압하도록 감지선홈가동블럭(161)에 형성된 볼트공(161b)에 무두볼트(163)를 체결한 다음, 무두볼트(163)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공(161b)에 렌치볼트(164)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두볼트(163)와 렌치볼트(164)를 사용하여 감지선(113)을 가동블럭(160)에 고정시킴으로써, 가동블럭(160)으로부터 감지선(113)을 분리시키는 시간이 증가하고, 감지선(113)의 분리 동작시 발생하는 가동블럭(160)의 흔들림 상태가 제어부(119)로 전달될 수 있다.
각 지주감지보조부(120)는 감지보조지주(121)와, 감지보조지주(121)의 전방에서 감지선(113)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스파이럴 형태의 지주감지보조스프링(122)과, 지주감지보조스프링(122)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지주감지보조로드(123)를 갖고 있다.
지주감지보조로드(123)는 상단과 하단이 감지보조지주(121)에 고정된다.
각 무지주감지보조부(130)는 감지선(113)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스파이럴 형태의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131)과,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131)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무지주감지보조로드(132)를 갖고 있다.
지주감지보조부(120)와 무지주감지보조부(130)는 각각 감지선(113) 사이의 상하 간격을 유지하고 감지선(113)의 처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감지보조지주(121)는 무지주감지보조부(130)의 흔들림을 감소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장력검출부(140)는 장력검출지주(111)에 설치된 스토퍼링(141)과, 장력검출지주(111)에 고정되는 고정블럭(150)과, 일단이 고정블럭(150)에 고정되는 직선상의 탄성변형판(142)과, 고정블럭(150)에 설치되는 탄성패드(143)와, 탄성변형판(142)에 결합되는 가동블럭(160)과, 탄성변형판(142)의 일면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144)를 갖고 있다.
스토퍼링(141)은 외표면이 연락공(111a)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스토퍼링홈(160c)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토퍼링(141)은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스토퍼링(141)은 가동블럭(160)의 기울어지는 정도를 제한하고, 연락공(111a)을 통해 탄성패드(143)와 가동블럭(160) 사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고정블럭(150)은 장력검출지주(111)에 고정되는 지주고정블럭(151)과, 지주고정블럭(151)에 고정되는 변형판고정블럭(152)을 갖고 있다.
지주고정블럭(151)은 일단에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151a)이 형성되어 있다.
지주고정블럭(151)은 타단에 지주고정돌부(151b)와 전선안내공(15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주고정블럭(151)은 지주고정돌부(151b)에 도달하도록 볼트(171)를 장력검출지주(111)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장력검출지주(111)에 고정된다. 지주고정블럭(151)의 고정은 장력검출지주(111)의 내부에서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151a)이 연락공(111a)에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
변형판고정블럭(152)은 둘레면에 변형판유동방지홈(152c)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판형태의 패드지지면부(152a)와, 변형판유동방지홈(152c)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변형판안착면(152d)을 갖도록 패드지지면부(152a)로부터 연장 형성된 체결벽부(152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변형판고정블럭(152)은 체결벽부(152b)에 도달하도록 볼트(171)를 지주고정돌부(151b)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지주고정블럭(151)에 고정된다. 변형판고정블럭(152)의 고정은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151a)에 배치되고, 패드지지면부(152a)가 가동블럭(160)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탄성변형판(142)은 대략 긴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탄성변형판(142)은 일단을 후술하는 패드장공(143a)과 변형판유동방지홈(152c)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변형판안착면(152d)에 도달하도록 지주고정블럭(151)에 볼트(171)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변형판고정블럭(152)에 고정된다.
탄성패드(143)는 중앙에 패드장공(143a)과 전선인출공(14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탄성패드(143)는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15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151a)에 설치된다.
그리고 탄성패드(143)는 패드지지면부(152a)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탄성패드(143)는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151a)의 바닥면을 향해 진입하는 것이 저지된다.
탄성패드(143)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탄성패드(143)는 가동블럭(160)의 기울어지는 동안 가동블럭(1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151a)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가동블럭(160)은 감지선홈가동블럭(161)과, 감지선홈가동블럭(16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가동블럭(162)을 갖고 있다.
감지선홈가동블럭(161)에는 게이지수용홈(160a)의 일부,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160b)의 일부, 스토퍼링홈(160c)의 일부, 감지선홈(161a), 볼트공(161b) 및 휨보조경사면(160d)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지수용홈(160a)의 일부는 감지선홈가동블럭(161)의 일단에서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160b)의 일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보조가동블럭(162)은 게이지수용홈(160a)의 나머지 부분,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160b)의 나머지 부분, 스토퍼링홈(160c)의 나머지 부분 및 휨보조경사면(160d)의 나머지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지수용홈(160a)의 나머지 부분은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160b)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볼트공(161b)은 감지선홈가동블럭(161)의 종단으로부터 감지선홈(161a)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조가동블럭(162)은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160b)의 내표면에 도달하도록 볼트(171)를 보조가동블럭(162)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감지선홈가동블럭(161)에 결합된다. 보조가동블럭(162)에 대한 볼트체결은 볼트(171)가 탄성변형판(142)의 자유단을 통과하도록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가동블럭(160)은 탄성변형판(142)의 자유단에 결합된다. 탄성변형판(142)의 자유단에 대한 가동블럭(160)의 결합은 게이지수용홈(160a)이 형성된 종단이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151a)의 내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탄성패드(143)에 접촉하고, 게이지수용홈(160a)이 연락공(111a)에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
가동블럭(160)의 종단에 휨보조경사면(160d)을 형성함으로써, 가동블럭(160)에 의해 탄성변형판(142)의 휨변형이 방해받는 정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휨보조경사면에 의해 가동블럭의 종단과 가동블럭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져 작은 힘에 의해 가동블럭이 기울어질 수 있음).
스트레인게이지(144)는 게이지수용홈(160a)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탄성변형판(142)의 일면에 부착된다.
스트레인게이지(144)에 연결된 전선(145)은 전선인출공(143b), 전선안내공(151c) 및 전선노출공(111b)을 통해 제어부(119)에 연결된다.
긴장유지부는 감지선(113)의 각각에 속하는 종단감지선(113b)의 타단과 메인감지선(113a)의 일단을 연결하는 종단텐셔너(191)를 갖고 있다.
각 종단텐셔너(191)는 텐셔너연결고리(196)를 통해 종단감지선(113b)에 연결되어 있다.
종단텐셔너(191)의 조임동작에 의해 감지선(113)은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텐서너는 2011년 특허출원 제 11946호(발명의 명칭 :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등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의 동작을 도32 및 도3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입동작(침입자 또는 지장물의 침입동작)에 의해 메인감지선(113a) 중 하나에 힘이 가해지면(도32 참조) 가동블럭(160)은 기울어진다(도33 참조). 가동블럭(160)이 기울어지는 동작은 변형판고정블럭(152)과 스토퍼링(141)에 의해 제한된다.
가동블럭(160)이 기울어질 때 탄성변형판(142)과 스트레인게이지(144)는 휘어진다. 탄성변형판(142)이 휘어질 때 탄성변형판(142)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스트레인게이지(144)가 휘어지면, 휨변형(감지선의 장력변화)에 상응하는 전기신호가 생성되어 전선(145)을 통해 제어부(119)로 전달된다.
제어부(119)는 스트레인게이지(144)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선(113)의 장력변화에 기초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고, 침입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경고등, 촬상카메라 등의 보안장치를 제어하여 침입이 발생한 지역에 대하여 소정의 보안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메인감지선(113a)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변형판(142)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가동블럭(160)과 메인감지선(113a)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런데 종래의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에 따르면, 감지선(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도14의 63d 참조)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경우 가동블럭(160)과 감지선(113)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여 침입동작시 메인감지선(113a)에 가해진 힘이 가동블럭(160)에 잘 전달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침입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장력검출지주(111)가 경사지반에 설치되거나, 인접하는 장력검출지주(111)에 형성된 연락공(111a)의 높이가 다른 경우 등에는 감지선(1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도14의 63d 참조)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현상이 발생한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5412호(등록일자: 2019년 03월 28일, 발명의 명칭: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침입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관형태로 형성되고 높이차를 두고 다수의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양측에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앵커지주와, 높이차를 두고 상기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앵커지주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감지선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 중 일단에 요형(凹形)의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이 상기 연락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장력검출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 중 일단에 게이지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지수용홈에 연결되도록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을 기준으로 상기 게이지수용홈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외표면에는 디귿자 내표면형태의 감지선홈이 상방향에서 시작하여 절취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 중 나머지 일단에는 상기 감지선홈에 도달하도록 직선상의 감지선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감지선홈의 내표면 중 상기 고정블럭에 가까운 쪽의 수직면을 후방감지선홈수직면이라고 하고 상기 고정블럭에서 먼 쪽의 수직면을 전방감지선홈수직면이라고 하고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의 하단과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면을 감지선홈바닥면이라고 할 때 상기 감지선홈바닥면이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게이지수용홈이 상기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선이 상방향에서 진입하여 상기 감지선홈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감지선고정공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선홈을 통과하는 감지선을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감지선고정핀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 중 일단을 통해 상기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에서 상기 고정블럭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양단 중 나머지 일단을 통해 상기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에서 상기 가동블럭에 결합되는 탄성변형판과 상기 게이지수용홈에서 상기 탄성변형판의 일면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를 가지고 상기 감지선의 장력변화를 검출하는 장력검출부와, 상기 감지선을 상기 장력검출부에 대하여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긴장유지부를 갖는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동블럭은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과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 사이에서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 및 상기 감지선홈바닥면에 나란하게 설정된 선을 감지선정렬통과선이라고 할 때 상기 감지선정렬통과선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통과하는 감지선과의 간섭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선홈의 상기 감지선정렬통과선 방향의 양단 중 적어도 일방에 상하방향간섭회피경사면이 절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감지선정렬통과선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감지선이 감지선홈을 통과하는 경우에 침입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선홈의 상기 감지선정렬통과선 방향의 양단에는 상기 감지선정렬통과선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통과하는 감지선과의 간섭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 쪽에 절취 형성되는 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과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 쪽에 절취 형성되는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이 적어도 1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감지선정렬통과선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감지선이 감지선홈을 통과하는 경우에 감지선과 가동블럭 사이의 간섭영역을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은 2조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에는 각 조에 속하는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 사이를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감지선안착홈이 상기 감지선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홈깊이와 상기 감지선의 직경보다 큰 개방영역을 갖도록 절취 형성되고; 상기 감지선은 상기 감지선안착홈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감지선홈의 감지선정렬통과선 방향의 양단 중 적어도 일방에 상하방향간섭회피경사면을 절취 형성하여 감지선정렬통과선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통과하는 감지선과 가동블럭 사이의 간섭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지선정렬통과선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감지선이 감지선홈을 통과하는 경우에 침입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지주 영역의 상세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 도5 및 도6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부의 상세도,
도7은 도6의 B-B'선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블럭과 변형판고정블럭 사이의 결합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블럭의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판고정블럭의 사시도,
도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선홈가동블럭의 사시도,
도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가동블럭의 사시도,
도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선홈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14 및 도15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6은 종래의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17은 종래의 지주감지보조부의 상세도,
도18은 종래의 무지주감지보조부의 상세도,
도19, 도20 및 도21은 각각 종래의 장력검출지주 영역의 상세도,
도22은 도21의 A-A'선 단면도,
도23 및 도24는 각각 종래의 장력검출부의 상세도,
도25는 도24의 B-B'선 단면도,
도26은 종래 지주고정블럭과 변형판고정블럭 사이의 결합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
도27은 종래 장력검출부의 분해사시도,
도28은 종래 지주고정블럭의 사시도,
도29는 종래 변형판고정블럭의 사시도,
도30은 종래 감지선홈가동블럭의 사시도,
도31은 종래 보조가동블럭의 사시도,
도32 및 도33은 각각 종래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지주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4, 도5 및 도6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부의 상세도이고, 도7은 도6의 B-B'선 단면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블럭과 변형판고정블럭 사이의 결합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블럭의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판고정블럭의 사시도이고, 도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선홈가동블럭의 사시도이고, 도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가동블럭의 사시도이고, 도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선홈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검출지주(11)와, 장력검출지주(11)의 양측에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앵커지주(12)와, 높이차를 두고 장력검출지주(11)와 앵커지주(1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감지선(13)과, 장력검출지주(11)와 각 앵커지주(12)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 지주감지보조부(20)와, 지주감지보조부(20)와 앵커지주(12) 사이 및 지주감지보조부(20)와 장력검출지주(11)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 무지주감지보조부(30)와, 장력검출지주(11)에 설치된 장력검출부(40)와, 감지선(13)을 장력검출부(40)에 대하여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긴장유지부와, 장력검출부(40)에서 검출한 감지선(13)의 장력변화에 기초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갖고 있다.
장력검출지주(11), 한 쌍의 앵커지주(12), 지주감지보조부(20), 무지주감지보조부(30), 긴장유지부 및 제어부 각각은 도16 내지 도33에 도시된 종래의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감지선(13)은 일단이 앵커지주(12)의 각각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종단감지선(13b)과, 종단감지선(13b)의 타단과 장력검출지주(11) 사이에 하나씩 배치된 한 쌍의 메인감지선(13a)을 갖고 있다.
감지선(13)은 후술하는 감지선안착홈(63g)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장력검출부(40)는 장력검출지주(11)에 설치된 스토퍼링(41)과, 장력검출지주(11)에 고정되는 고정블럭(50)과, 일단이 고정블럭(50)에 고정되는 직선상의 탄성변형판(42)과, 탄성변형판(42)에 결합되는 가동블럭(60)과, 가동블럭(60)에 설치된 감지선고정핀(49)과, 탄성변형판(42)의 일면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44)를 갖고 있다.
스토퍼링(41)은 원형관형태의 스토퍼링바디부(41a)와, 스토퍼링바디부(41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스토퍼링플랜지(41b)를 갖고 있다.
스토퍼링(41)은 스토퍼링바디부(41a)가 연락공(11a)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스토퍼링플랜지(41b)가 장력검출지주(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토퍼링(41)은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고정블럭(50)은 장력검출지주(11)에 고정되는 지주고정블럭(51)과, 지주고정블럭(51)에 고정되는 반원단면의 기둥형태의 변형판고정블럭(52)을 갖고 있다.
지주고정블럭(51)은 일단에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지주고정블럭(51)은 타단에 지주고정돌부(51b)와 전선안내공(5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주고정블럭(51)은 지주고정돌부(51b)에 도달하도록 볼트(71)를 장력검출지주(11)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장력검출지주(11)에 고정된다. 지주고정블럭(51)의 고정은 장력검출지주(11)의 내부에서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51a)이 연락공(11a)에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
변형판고정블럭(52)에는 변형판유동방지홈(52c)이 전 길이구간에 걸쳐 절취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변형판고정블럭(52)은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51a)에 진입한 상태에서 지주고정블럭(51)과 변형판고정블럭(52)에 체결되는 볼트(71)를 통해 지주고정블럭(51)에 고정된다.
가동블럭(60)은 감지선홈가동블럭(61)과, 감지선홈가동블럭(6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가동블럭(66)을 갖고 있다.
감지선홈가동블럭(61)에는 게이지수용홈(60a)의 일부,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60b)의 일부, 디귿자 내표면형태의 감지선홈(63), 직선상의 감지선고정공(61b), 휨보조경사면(60d)의 일부 및 지지환턱(60c)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지수용홈(60a)의 일부는 감지선홈가동블럭(61)의 일단에 형성된다.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60b)의 일부는 게이지수용홈(60a)의 일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감지선홈(63)은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60b)을 기준으로 게이지수용홈(60a)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외표면에 상방향에서 시작하여 절취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선홈(63)의 내표면 중 고정블럭(50)에 가까운 쪽의 수직면을 후방감지선홈수직면(63a)이라고 하고, 고정블럭(50)에서 먼 쪽의 수직면을 전방감지선홈수직면(63b)이라고 하고, 후방감지선홈수직면(63a)의 하단과 전방감지선홈수직면(63b)의 하단을 연결하는 면을 감지선홈바닥면(63c)이라고 하고, 전방감지선홈수직면(63b)과 후방감지선홈수직면(63a) 사이에서 전방감지선홈수직면(63b), 후방감지선홈수직면(63a) 및 감지선홈바닥면(63c)에 나란하게 설정된 선을 감지선정렬통과선(63d)이라고 한다.
감지선홈(63)의 감지선정렬통과선(63d) 방향의 양단에는 각각 상하방향간섭회피경사면(63e)이 절취 형성된다.
그리고 감지선홈(63)의 감지선정렬통과선(63d) 방향의 양단에는 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과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으로 구성되는 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이 2조 형성된다.
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은 전방감지선홈수직면(63b) 쪽에 절취 형성된 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을 말하고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은 후방감지선홈수직면(63a) 쪽에 절취 형성된 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을 말한다.
또한 후방감지선홈수직면(63a)에는 각 조에 속하는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 사이를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감지선안착홈(63g)이 절취 형성된다.
감지선안착홈(63g)의 형성은 감지선(13)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홈깊이와 감지선(13)의 직경보다 큰 개방영역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감지선안착홈(63g)의 홈깊이를 감지선(13)의 직경보다 작게함으로써 감지선고정핀(49)이 감지선(13)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감지선안착홈(63g)의 개방영역을 감지선(13)의 직경보다 크게함으로써, 감지선(13)이 감지선안착홈(63g)에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감지선고정공(61b)은 감지선홈가동블럭(61)의 종단으로부터 감지선홈(63)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휨보조경사면(60d)의 일부는 감지선홈가동블럭(61)의 고정블럭(50) 측 종단에 형성된다.
지지환턱(60c)의 일부는 반원형태로 형성된다.
보조가동블럭(66)은 게이지수용홈(60a)의 나머지 부분,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60b)의 나머지 부분, 휨보조경사면(60d)의 나머지 부분 및 지지환턱(60c)의 나머지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가동블럭(66)은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60b)의 바닥면에 도달하도록 볼트(71)를 보조가동블럭(66)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감지선홈가동블럭(61)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동블럭(60)은 감지선홈바닥면(63c)이 장력검출지주(11)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게이지수용홈(60a)이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51a)에 연결되고, 감지선(13)이 상방향에서 진입하여 감지선홈(63)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가동블럭(60)은 보조가동블럭(66)과 감지선홈가동블럭(61)에 체결되는 볼트(71)에 의해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60b)에 진입한 탄성변형판(42)의 일단에 결합된다.
가동블럭(60)의 설치는 지지환턱(60c)이 스토퍼링플랜지(41b)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감지선고정핀(49)은 감지선고정공(61a)에 무두볼트(49a)와 렌치볼트(49b)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구현되어 있다. 렌치볼트(49b)는 무두볼트(49a)의 풀림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무두볼트(49a)와 렌치볼트(49b)는 감지선홈(63)을 통과하는 감지선(13)을 후방감지선홈수직면(63a)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탄성변형판(42)은 대략 긴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탄성변형판(42)은 일단이 변형판유동방지홈(52c)에 안착된 상태에서 변형판고정블럭(52)과 탄성변형판(42)에 체결되는 볼트(71)에 의해 변형판고정블럭(52)에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판(42)의 나머지 일단은 보조가동블럭(66)과 감지선홈가동블럭(61)에 체결되는 볼트(71)에 의해 가동블럭(60)에 결합된다.
스트레인게이지(44)는 게이지수용홈(60a)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탄성변형판(42)의 일면에 부착된다.
스트레인게이지(44)에는 전선(45)이 연결된다.
스트레인게이지(44)가 설치된 후 게이지수용홈(60a)의 내부에는 절연재질로 채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에 따른 감지선(13)의 설치상태를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방향은 장력검출지주(11)의 높이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전방감지선홈수직면(63b)와 후방감지선홈수직면(63a)을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감지선(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경우 도14(a) 또는 도14(c)와 같이 감지선(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지 않는 경우(도14(b) 참조)보다 상하방향간섭회피경사면(63e) 중 일방에 접근하도록 감지선(13)을 설치한다. 도14(a)는 감지선(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룰 때의 감지선(13)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고, 도14(c)는 감지선(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룰 때의 감지선(13)의 설치상태를 나타낸다.
도14(a) 또는 도14(c)와 같이 감지선(13)이 상하방향간섭회피경사면(63e) 중 일방에 접근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경우 감지선(13)과 가동블럭(60) 사이의 간섭영역이 감소한다.
한편 감지선(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경우 감지선(13)은 도15(a) 또는 도15(c)와 같이 감지선(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지 않는 경우(도15(b) 참조)보다 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 중 일방과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 중 일방에 접근하도록 설치된다. 도15(a)는 감지선(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좌방향으로 경사를 이룰 때의 감지선(13)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고, 도15(c)는 감지선(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룰 때의 감지선(13)의 설치상태를 나타낸다.
도15(a) 또는 도15(c)와 같이 감지선(13)이 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 중 일방과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 중 일방에 접근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경우 감지선(13)과 가동블럭(60) 사이의 간섭영역이 감소한다.
인접하는 양쪽의 장력검출지주(11)가 직선상으로 배치되지 않거나 장력검출지주(11)의 전면에 대한 감지선홈(63)의 이격거리가 장력검출지주(11) 상호간에 다른 다른 경우 등에는 감지선(13)이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현상이 발생한다.
다음에 감지선고정핀(49)을 체결하여 감지선(13)을 고정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은 도16 내지 도33에 도시된 종래의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과 동일한 방법으로 침입동작(침입자 또는 지장물의 침입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선홈(63)의 감지선정렬통과선(63d) 방향의 양단 중 적어도 일방에 상하방향간섭회피경사면(63e)을 절취 형성하여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통과하는 감지선(13)과 가동블럭(60) 사이의 간섭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감지선(13)이 감지선홈(63)을 통과하는 경우에 침입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감지선홈(63)의 감지선정렬통과선(63d) 방향의 양단의 전방감지선홈수직면 쪽에 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을 절취 형성하고 후방감지선홈수직면(63a) 쪽에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을 절취형성하여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통과하는 감지선(13)과 가동블럭(60) 사이의 간섭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감지선(13)이 감지선홈(63)을 통과하는 경우에 침입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을 2조 형성하고, 후방감지선홈수직면(63a)에 각 조에 속하는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63"f) 사이를 직선상으로 연결는 감지선안착홈(63g)을 절취 형성하는 한편 감지선안착홈(63g)에 진입하도록 감지선(13)을 설치함으로써, 감지선정렬통과선(63d)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감지선(13)이 감지선홈(63)을 통과하는 경우에 감지선(13)과 가동블럭(60) 사이의 간섭영역을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11, 111 : 장력검출지주 12, 112 : 앵커지주
13, 113 : 감지선 20, 120 : 지주감지보조부
30, 130 : 무지주감지보조부 40, 140 : 장력검출부
41 : 스토퍼링 42 : 탄성변형판
44, 144 : 스트레인게이지
50 : 고정블럭 51 : 지주고정블럭
52 : 변형판고정블럭 60 : 가동블럭
61 : 감지선홈가동블럭 62 : 보조가동블럭

Claims (3)

  1. 관형태로 형성되고 높이차를 두고 다수의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양측에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앵커지주와, 높이차를 두고 상기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앵커지주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감지선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 중 일단에 요형(凹形)의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이 상기 연락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장력검출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블럭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단 중 일단에 게이지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지수용홈에 연결되도록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을 기준으로 상기 게이지수용홈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외표면에는 디귿자 내표면형태의 감지선홈이 상방향에서 시작하여 절취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 중 나머지 일단에는 상기 감지선홈에 도달하도록 직선상의 감지선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감지선홈의 내표면 중 상기 고정블럭에 가까운 쪽의 수직면을 후방감지선홈수직면이라고 하고 상기 고정블럭에서 먼 쪽의 수직면을 전방감지선홈수직면이라고 하고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의 하단과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면을 감지선홈바닥면이라고 할 때 상기 감지선홈바닥면이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게이지수용홈이 상기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선이 상방향에서 진입하여 상기 감지선홈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감지선고정공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선홈을 통과하는 감지선을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감지선고정핀과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 중 일단을 통해 상기 고정블럭변형판수용홈에서 상기 고정블럭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양단 중 나머지 일단을 통해 상기 가동블럭변형판수용홈에서 상기 가동블럭에 결합되는 탄성변형판과 상기 게이지수용홈에서 상기 탄성변형판의 일면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지를 가지고 상기 감지선의 장력변화를 검출하는 장력검출부와, 상기 감지선을 상기 장력검출부에 대하여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긴장유지부를 갖는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동블럭은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과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 사이에서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 및 상기 감지선홈바닥면에 나란하게 설정된 선을 감지선정렬통과선이라고 할 때 상기 감지선정렬통과선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통과하는 감지선과의 간섭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선홈의 상기 감지선정렬통과선 방향의 양단 중 적어도 일방에 상하방향간섭회피경사면이 절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홈의 상기 감지선정렬통과선 방향의 양단에는 상기 감지선정렬통과선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통과하는 감지선과의 간섭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방감지선홈수직면 쪽에 절취 형성되는 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과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 쪽에 절취 형성되는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이 적어도 1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은 2조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감지선홈수직면에는 각 조에 속하는 후방좌우방향간섭회피경사면 사이를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감지선안착홈이 상기 감지선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홈깊이와 상기 감지선의 직경보다 큰 개방영역을 갖도록 절취 형성되고;
    상기 감지선은 상기 감지선안착홈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KR2020210001510U 2021-05-12 2021-05-12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KR200497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10U KR200497392Y1 (ko) 2021-05-12 2021-05-12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10U KR200497392Y1 (ko) 2021-05-12 2021-05-12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44U true KR20220002744U (ko) 2022-11-21
KR200497392Y1 KR200497392Y1 (ko) 2023-10-27

Family

ID=8423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510U KR200497392Y1 (ko) 2021-05-12 2021-05-12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3371A (zh) * 2023-08-03 2023-09-01 枣庄市东欣新能源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电缆安装用桥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68Y1 (ko) * 2014-03-20 2014-07-17 (주) 세렉스 장력검출용 변환블럭
KR101420596B1 (ko) * 2014-03-20 2014-07-21 (주) 세렉스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KR200475556Y1 (ko) * 2014-03-20 2014-12-11 (주) 세렉스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KR101965412B1 (ko) * 2018-02-12 2019-04-03 아이가드 주식회사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68Y1 (ko) * 2014-03-20 2014-07-17 (주) 세렉스 장력검출용 변환블럭
KR101420596B1 (ko) * 2014-03-20 2014-07-21 (주) 세렉스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KR200475556Y1 (ko) * 2014-03-20 2014-12-11 (주) 세렉스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KR101965412B1 (ko) * 2018-02-12 2019-04-03 아이가드 주식회사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3371A (zh) * 2023-08-03 2023-09-01 枣庄市东欣新能源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电缆安装用桥架
CN116683371B (zh) * 2023-08-03 2023-10-10 枣庄市东欣新能源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电缆安装用桥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392Y1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2744U (ko)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CN102137807B (zh) 电梯安全装置
EP1134354B1 (en) A safety barrier, such as for children or pets and an extension section thereto
JP4276197B2 (ja) 車両用衝突検出装置
KR20220002745U (ko)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KR102239510B1 (ko)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US7017520B2 (en) Pet separation device in vehicles
KR101965412B1 (ko)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KR101962657B1 (ko) 조립구조가 개선된 차선분리대
US20110203215A1 (en) Interlocking rail system
KR100652602B1 (ko)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537340B1 (ko) 데크로드의 상판구조 및 그 상판구조 시공방법
KR102133374B1 (ko) 시인성이 우수하고 반사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차선분리대
EP1726491B1 (en) Collision detec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989591B1 (ko) 소음이 없고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중하중용 스틸 그레이팅
KR102109903B1 (ko) 데크 난간 기둥
KR102299389B1 (ko) 무용접 펜스의 유격조절이 가능한 완충 체결장치
KR101825050B1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2337910B1 (ko) 케이블 변형 유발 장치
KR101961470B1 (ko) 방범 방충망 결합구조
KR102347886B1 (ko) 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1784504B1 (ko) 광망 상단 감지장치
KR102172709B1 (ko) 가설 흙막이 시공용 프리스트레스 가변형 엄지말뚝
JP4214523B2 (ja) 受動型赤外線感知器
KR20050030591A (ko) 적외선 검지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