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556Y1 -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556Y1
KR200475556Y1 KR2020140002201U KR20140002201U KR200475556Y1 KR 200475556 Y1 KR200475556 Y1 KR 200475556Y1 KR 2020140002201 U KR2020140002201 U KR 2020140002201U KR 20140002201 U KR20140002201 U KR 20140002201U KR 200475556 Y1 KR200475556 Y1 KR 200475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tension
auxiliary
sensing lin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양구
Original Assignee
(주) 세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렉스 filed Critical (주) 세렉스
Priority to KR2020140002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5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08B13/12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양측에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앵커지주와, 높이차를 두고 상기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앵커지주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감지선과, 상기 감지선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스파이럴 형태의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과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무지주감지보조로드와 상기 감지선에 외력이 인가될 때 상기 감지선이 절곡되도록 상기 감지선을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에 대하여 구속하는 감지선구속클립을 구비한 무지주감지보조부와, 상기 장력검출지주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선의 장력변화를 검출하는 장력검출부와, 상기 감지선을 상기 장력검출부에 대하여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긴장유지부를 갖는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구속클립은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의 외경보다 큰 길이구간을 가지고 일면이 오목하도록 형성된 클립바디부와 상기 클립바디부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클립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클립바디부의 오목면이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클립다리부가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의 양측에서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다리부를 통해 상기 감지선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감지선에 힘이 가해질 때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이 이동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Tension Sensing Type Guarding System}
본 고안은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와의 격리가 필요한 구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감지선의 장력변화를 검출하여 외부침입여부를 감시하는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부와의 격리가 필요한 구역에는 외부침입여부를 감시하기 위해 보안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들 보안시스템의 하나로 외부와의 격리가 필요한 구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감지선의 장력변화를 검출하여 외부침입여부를 감시하는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21은 종래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고, 도22 및 도23은 각각 종래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장력검출부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24는 종래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앵커지주 영역을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25는 종래 감지선구속클립의 상세도이고, 도26은 종래 감지선구속클립의 설치상태도이다.
종래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검출지주(111)와, 장력검출지주(111)의 양측에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앵커지주(112)와, 높이차를 두고 장력검출지주(111)와 앵커지주(11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감지선(113)과, 장력검출지주(111)와 각 앵커지주(112)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 지주감지보조부(120)와, 지주감지보조부(120)와 앵커지주(112) 사이 및 지주감지보조부(120)와 장력검출지주(111)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 무지주감지보조부(130)와, 장력검출지주(111)에 설치된 장력검출부(140)와, 감지선(113)을 장력검출부(140)에 대하여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긴장유지부와, 장력검출부(140)에서 검출한 감지선(113)의 장력변화에 기초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장력검출지주(111)와 앵커지주(112)는 각각 목장, 공항과 같은 지역을 포위하도록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각 감지선(113)은 일단이 앵커지주(112)의 각각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종단감지선(113b)과, 한 쌍의 종단감지선(113b) 사이에 배치된 메인감지선(113a)을 갖고 있다.
메인감지선(113a)은 후술하는 클램프디스크(141)에 구속되도록 설치된다.
각 지주감지보조부(120)는 감지보조지주(121)와, 감지보조지주(121)의 전방에서 감지선(113)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스파이럴(Spiral) 형태의 지주감지보조스프링(122)과, 지주감지보조스프링(122)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지주감지보조로드(123)를 갖고 있다.
감지보조지주(121)는 전면에 구속판(121a)이 높이 차를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각 구속판(121a)에는 구속공(121b)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지주감지보조로드(123)는 구속공(121b)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각 무지주감지보조부(130)는 감지선(113)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스파이럴 형태의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131)과,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131)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무지주감지보조로드(132)와, 감지선(113)에 외력이 인가될 때 감지선(113)이 절곡되도록 감지선(113)을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131)에 대하여 구속하는 감지선구속클립(180)을 갖고 있다.
감지선구속클립(180)은 바닥면부와 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측벽부를 갖는 클립바디부(181)와, 클립바디부(181)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유(U)자형 클립볼트(182)와, 클립볼트(182)의 종단에 각각 하나씩 결합된 클립너트(183)를 갖고 있다.
클립바디부(181)의 바닥면부에는 한 쌍의 볼트공(181b)이 형성되어 있다.
클립바디부(181)의 측벽부에는 스프링홈(181a)이 상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다.
클립볼트(182)는 한 쌍의 볼트공(181b)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감지선구속클립(180)을 감지선(113)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2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클립너트(183)는 클립볼트(182)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클립볼트(182)는 클립바디부(181)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131)이 스프링홈(181a)에 진입하도록 클립바디부(181)를 설치한다.
다음에 감지선(113)과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131)이 클립바디부(181)의 바닥면을 향해 가압되도록 클립볼트(182)의 양단을 볼트공(181b)에 삽입시킨다.
마지막으로 클립볼트(182)에 클립너트(183)를 체결한다.
장력검출부(140)는 장력검출지주(111)의 중간영역에 설치된 장력변화감지부(150)와, 장력변화감지부(150)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장력검출지주(111)에 설치된 복수의 클램프디스크(141)와, 감지선(113)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액추에이터와이어(142) 및 비활성와이어(143)를 갖고 있다.
장력변화감지부(150)는 대략 H자 형태를 이루는 감지부바디부(151)와, 감지부바디부(151)에 설치된 토크감지부(152) 및 한 쌍의 와이어클램프(153)을 갖고 있다.
토크감지부(152)는 액추에이터와이어(142)가 장력검출지주(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발생하는 감지부하우징(151)에 발생하는 토크를 검출하여 감지선(113)의 장력변화를 감지한다.
각 클램프디스크(141)는 한 쌍의 디스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리벳팅시키는 방법으로 구현되어 있다.
액추에이터와이어(142)는 감지선(113)과 함께 클램프디스크(141)에 구속되어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와이어(142)는 와이어클램프(153)에 구속되어 있고, 양단은 장력검출지주(111)에 고정되어 있다.
비활성와이어(143)는 클램프디스크(141)에 구속되어 있지 않고, 와이어클램프(153)에만 구속되어 있으며, 양단은 장력검출지주(111)에 고정되어 있다.
긴장유지부는 메인감지선(113a)과 한 쌍의 종단감지선(113b)에 대하여 하나만 마련된다.
긴장유지부는 감지선(113)의 각각에 속하는 각 종단감지선(113b)의 타단에 연결된 텐션스프링(193)과, 각 텐션스프링(193)의 타단과 메인감지선(113a)의 양단을 연결하는 중간텐셔너(192)를 갖고 있다.
텐션스프링(193)과 중간텐셔너(192)의 연결 및 텐션스프링(193)과 종단감지선(113b)의 연결은 각각 스프링연결고리(194)를 통해 이루어지고, 스프링연결고리(194)에는 스프링보호선(195)이 결합되어 있다.
중간텐셔너(192)의 조임동작에 의해 감지선(113)은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텐서너는 2011년 특허출원 제 11946호(발명의 명칭 :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등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동작을 도2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메인감지선(113a) 중 어느 일방에 가해진 힘은 중간텐셔너(192)을 통해 힘이 가해진 메인감지선(113a)에 연결된 클램프디스크(141)에 전달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힘이 가해진 메인감지선(113a)에 연결된 클램프디스크(141)를 외력인가디스크(141')라고 한다.
외력인가디스크(141')에 힘이 전달되면 외력인가디스크(141')는 침입위치 즉 감지선(113)에 힘이 가해진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외력인가블럭(160')이 이동하면 액추에이터와이어(14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비활성와이어(143)는 외력인가블럭(160')의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한다.
액추에이터와이어(14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비활성와이어(143)가 제 위치를 유지함에 따라 감지부바디부(151)에 토크가 발생한다.
감지부바디부(151)에서 발생한 토크는 토크감지부(152)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된다.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토크감지부(152)에서 검출한 토크 크기에 기초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고, 침입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경고등, 촬상카메라 등의 보안장치를 제어하여 침입이 발생한 지역에 대하여 소정의 보안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메인감지선(113a)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외력인가디스크(141')와 메인감지선(113a)은 텐션스프링(19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외부로부터 메인감지선(113a)에 힘이 가해질 때 감지선구속클립(180)은 메인감지선(113a)과 함께 감지선(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감지선구속클립(180)이 이동하는 동안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131)도 함께 이동한다(도27 참조).
이와 같이 메인감지선(113a)에 힘이 가해지는 초기단계에서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131)이 이동하기 때문에 장력검출부(140)에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전달되게 된다.
감지선구속클립(180)의 이동이 중지될 때 메인감지선(113a)은 감지선구속클립(180)에 의해 절곡되고, 이에 따라 장력검출부(140)에 보다 큰 힘이 전달되게 된다(감지선구속클립이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은 2001년 특허출원 제700441호(발명의 명칭 : 트립와이어 및 커먼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침입감지 울타리)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메인감지선(113a)에 힘이 가해질 때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131)이 이동하기 때문에 장력검출부(140)에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전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장력검출부(140)에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전달되면 침입사실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감지선에 힘이 가해질 때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이 이동하지 않도록 한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양측에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앵커지주와, 높이차를 두고 상기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앵커지주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감지선과, 상기 감지선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스파이럴 형태의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과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무지주감지보조로드와 상기 감지선에 외력이 인가될 때 상기 감지선이 절곡되도록 상기 감지선을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에 대하여 구속하는 감지선구속클립을 구비한 무지주감지보조부와, 상기 장력검출지주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선의 장력변화를 검출하는 장력검출부와, 상기 감지선을 상기 장력검출부에 대하여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긴장유지부를 갖는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구속클립은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의 외경보다 큰 길이구간을 가지고 일면이 오목하도록 형성된 클립바디부와 상기 클립바디부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클립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클립바디부의 오목면이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클립다리부가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의 양측에서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다리부를 통해 상기 감지선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의 외경보다 큰 길이구간을 가지고 일면이 오목하도록 형성된 클립바디부와 클립바디부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클립다리부를 갖도록 감지선구속클립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감지선에 힘이 가해질 때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이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장력검출부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침입사실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요부구성도,
도3, 도4, 도5 및 도6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지주 영역의 상세도,
도7, 도8 및 도9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블럭의 상세도,
도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감지보조부의 상세도,
도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감지보조부의 상세도,
도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의 상세도,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선구속클립의 상세도,
도1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선구속클립의 설치상태도,
도16, 도17, 도18, 도19 및 도20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1은 종래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22 및 도23은 각각 종래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장력검출부 영역의 상세도,
도24는 종래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앵커지주 영역을 도시한 상세도,
도25는 종래 감지선구속클립의 상세도,
도26은 종래 감지선구속클립의 설치상태도,
도27은 종래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요부구성도이고, 도3, 도4, 도5 및 도6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지주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7, 도8 및 도9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블럭의 상세도이고, 도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감지보조부의 상세도이고, 도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감지보조부의 상세도이고, 도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부의 상세도이고,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선구속클립의 상세도이고, 도1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선구속클립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검출지주(11)와, 장력검출지주(11)의 양측에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앵커지주(12)와, 높이차를 두고 장력검출지주(11)와 앵커지주(12)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감지선(13)과, 장력검출지주(11)와 각 앵커지주(12)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 지주감지보조부(20)와, 지주감지보조부(20)와 앵커지주(12) 사이 및 지주감지보조부(20)와 장력검출지주(11) 사이에 하나씩 설치된 무지주감지보조부(30)와, 장력검출지주(11)에 설치된 장력검출부(40)와, 감지선(13)을 장력검출부(40)에 대하여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긴장유지부와, 장력검출부(40)에서 검출한 감지선(13)의 장력변화에 기초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9)를 갖고 있다.
장력검출지주(11)와 앵커지주(12)는 각각 목장, 공항과 같은 지역을 포위하도록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각 감지선(13)은 일단이 앵커지주(12)의 각각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종단감지선(13b)과, 종단감지선(13b)의 타단과 장력검출지주(11) 사이에 하나씩 배치된 한 쌍의 메인감지선(13a)을 갖고 있다.
각 감지선(13)은 다른 감지선과 루프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각 지주감지보조부(20)는 감지보조지주(21)와, 감지보조지주(21)의 전방에서 감지선(13)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스파이럴 형태의 지주감지보조스프링(22)과, 지주감지보조스프링(22)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지주감지보조로드(23)를 갖고 있다.
감지보조지주(21)는 전면에 구속판(21a)이 높이 차를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각 구속판(21a)에는 구속공(21b)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지주감지보조로드(23)는 구속공(21b)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각 무지주감지보조부(30)는 감지선(13)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스파이럴 형태의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과,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무지주감지보조로드(32)와, 감지선(13)에 외력이 인가될 때 감지선(13)이 절곡되도록 감지선(13)을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에 대하여 구속하는 감지선구속클립(80)을 갖고 있다.
감지선구속클립(80)은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의 외경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는 클립바디부(81)와, 클립바디부(81)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클립다리부(82)를 갖고 있다.
클립바디부(81)는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에 대향하는 면이 오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클립다리부(82)에는 스프링압착홈(8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감지선구속클립(80)을 감지선(13)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립바디부(81)의 곡면이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으로부터 이격되고 한 쌍의 클립다리부(82)가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의 양측에서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감지선구속클립(80)을 설치한다. 여기서 감지선구속클립(80)의 설치는 스프링압착홈(82a)에 감지선(13)이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압착공구를 사용하여 클립다리부(82)를 압착시킨다.
장력검출부(40)는 장력검출지주(11)의 중간영역에 설치된 장력변화감지부(50)와, 장력변화감지부(50)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장력검출지주(11)에 설치된 복수의 변환블럭(60)과, 장력변화감지부(50)에 결합된 변환스프링(40)과, 변환블럭(60)에 결합된 블럭연결고리(42)를 갖고 있다.
장력변화감지부(50)는 감지부하우징(51)과, 감지부하우징(51)에 설치된 감지레버(52) 및 로드셀(53)을 갖고 있다.
감지레버(52)는 회동핀(54)을 통해 감지부하우징(51)에 결합된다.
로드셀(53)은 감지레버(52)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비례적으로 변하는 탄성변형체(53a)와, 탄성변형체(53a)의 변형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주는 스트레인게이지(53b)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로드셀(53)에 대한 기술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장력변화감지부(50)는 장력검출지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환스프링(40)에 힘이 가해질 때 감지레버(52)가 회동하면서 탄성변형체(53a)에 힘을 가하도록 동작한다.
각 변환블럭(60)은 교차되도록 결합된 블럭수직부(61) 및 블럭수평부(62)를 갖고 있다.
블럭수직부(61)는 블럭수직판부(61a)와, 블럭수직판부(61a)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수직언덕부(61c)를 갖고 있다.
블럭수직판부(61a)는 양단에 수직판결합공(61b)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수직언덕부(61c)에는 언덕부결합공(61d)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언덕부결합공(61d)은 블럭수직판부(61a)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블럭수평부(62)는 봉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럭수평부(62)는 양단에 수평부결합공(62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블럭수평부(62)는 언덕부결합공(61d)을 통해 블럭수직부(61)에 나사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변환블럭(60)은 각각 장력검출지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력변화감지부(50)에 정렬되고, 상호간은 이격되도록 장력변화감지부(50)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변환스프링(40)은 감지레버(52)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변환스프링(41)과, 감지레버(52)의 하측에 배치된 하부변환스프링(41)을 갖고 있다.
상부변환스프링(41)은 변환블럭(60) 중 장력변화감지부(50)의 상측에서 장력변화감지부(50)에 가장 가까이 배치된 변환블럭에 속하는 블럭수직부에 형성된 수직판결합공(61b)과 감지레버(52)에 양단이 결합되어 있다.
하부변환스프링(41)은 변환블럭(60) 중 장력변화감지부(50)의 하측에서 장력변화감지부(50)에 가장 가까이 배치된 변환블럭에 속하는 블럭수직부에 형성된 수직판결합공(61b)의 상단과 감지레버(52)에 양단이 결합되어 있다.
상부변환스프링(41)과 하부변환스프링(41)은 각각 감지레버(52)의 종단에 형성된 스프링고정판(45)에 결합되어 있다.
블럭연결고리(42)는 양단에 각각 곡선형태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블럭연결고리(42)는 변환블럭(60) 중 맨 아래에 배치된 변환블럭과 장력검출지주(11)의 하단을 연결하고, 변환블럭(60) 중 맨 위에 배치된 변환블럭과 장력검출지주(11)의 상단을 연결하고, 변환블럭(60) 중 맨 아래에 배치된 변환블럭과 맨 위에 배치된 변환블럭을 제외한 나머지 변환블럭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블럭수직부(61)에 결합된다.
여기서 블럭연결고리(42)와 블럭수직부(61)의 결합은 수직판결합공(61b)에 블럭연결고리(42)의 종단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블럭연결고리(42)와 장력검출지주(11)의 결합은 장력조절부(43)를 통해 이루어진다.
장력조절부(43)는 장력조절볼트(43a)와, 장력조절볼트(43a)에 결합된 한 쌍의 장력조절너트(43b)를 갖고 있다.
장력조절볼트(43a)에는 블럭연결고리(42)의 일단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장력조절부(43)는 블럭연결고리(42)가 긴장상태가 되도록 지지브라켓트(43c)를 사용하여 장력검출지주(11)에 설치된다. 블럭연결고리(42)가 긴장상태가 된다는 것은 모든 블럭연결고리(42)가 장력검출지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긴장유지부는 종단감지선(13b)과 메인감지선(13a)을 장력검출부(40)의 양측으로 나누어 각각 감지선분할그룹이라고 할 때 감지선분할그룹 각각에 대하여 하나씩 마련된다.
각 긴장유지부는 감지선(13)의 각각에 속하는 종단감지선(13b)의 타단과 메인감지선(13a)의 일단을 연결하는 종단텐셔너(91)와, 감지선(13)의 각각에 속하는 메인감지선(13a)에 대응하도록 일단이 장력검출부(40)에 결합된 텐션스프링(93)과, 텐션스프링(93)의 타단과 메인감지선(13a)의 타단을 연결하는 중간텐셔너(92)를 갖고 있다.
각 종단텐셔너(91)는 텐셔너연결고리(96)를 통해 종단감지선(13b)에 연결되어 있다.
각 텐션스프링(93)은 변환블럭(60)의 각각에 속하는 블럭수평부(62)의 양단 즉 수평부결합공(62a)에 하나씩 연결된다.
텐션스프링(93)과 블럭수직부(61)의 연결과 텐션스프링(93)과 중간텐셔너(92)의 연결은 각각 스프링연결고리(94)를 통해 이루어지고, 스프링연결고리(94) 에는 스프링보호선(95)이 결합되어 있다.
종단텐셔너(91)와 중간텐셔너(92)의 조임동작에 의해 감지선(13)은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텐서너는 2011년 특허출원 제 11946호(발명의 명칭 :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등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의 동작을 도16 내지 도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단감지선(13b)과 메인감지선(13a)을 장력검출부(40)의 양측으로 나누어 각각 감지선분할그룹이라고 할 때 오른쪽(도16 기준)의 감지선분할그룹에 속하는 메인감지선(13a)을 통해 침입이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한다.
침입에 의해 왼쪽의 감지선분할그룹에 속하는 메인감지선(13a)에 가해진 힘은 중간텐셔너(92), 텐션스프링(93) 및 스프링연결고리(94)를 통해 힘이 가해진 메인감지선(13a)에 연결된 변환블럭(60)에 전달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힘이 가해진 메인감지선(13a)에 연결된 변환블럭(60)을 외력인가블럭(60')이라고 한다.
외력인가블럭(60')에 힘이 전달되면 외력인가블럭(60')은 침입위치 즉 감지선(13)에 힘이 가해진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외력인가블럭(60')이 이동할 때 블럭연결고리(42)를 통해 변환스프링(40)에 인장력이 가해진다.
변환스프링(40)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변환스프링(40)은 신장되면서 감지레버(52)가 외력인가블럭(60')을 향해 이동한다(도17 참조). 도18은 장력변화감지부(50) 보다 상측에 배치된 감지선(13)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 감지레버(52)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감지레버(52)가 이동함에 따라 감지선(13)의 장력변화는 로드셀(53)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부(19)로 전달된다.
제어부(19)는 장력검출부(40)에서 검출한 감지선(13)의 장력변화에 기초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하고, 침입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경고등, 촬상카메라 등의 보안장치를 제어하여 침입이 발생한 지역에 대하여 소정의 보안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메인감지선(13a)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외력인가블럭(60')과 메인감지선(13a)은 변환스프링(40)과 텐션스프링(9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외부로부터 메인감지선(13a)에 힘이 가해질 때 감지선구속클립(80)은 감지선(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감지선(13a)과 함께 이동한다(도19 및 도20 참조). 여기서 감지선구속클립(80)의 이동은 클립다리부(82)가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에 접촉할 때 중지된다.
클립다리부(82)가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에 접촉할 때까지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메인감지선(13a)에 힘이 가해지는 초기단계에서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이 이동하지 않게 됨으로써, 장력검출부(40)에 보다 큰 힘이 전달되게 된다.
감지선구속클립(80)의 이동이 중지될 때 메인감지선(13a)은 감지선구속클립(80)에 의해 절곡되고, 이에 따라 장력검출부(40)에 보다 큰 힘이 전달되게 된다(감지선구속클립이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왼쪽의 감지선분할그룹에 속하는 메인감지선(13a)을 통해 침입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부(19)에서 침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의 외경보다 큰 길이구간을 가지고 일면이 오목하도록 형성된 클립바디부(81)와 클립바디부(81)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클립다리부(82)를 갖도록 감지선구속클립(80)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감지선(13)에 힘이 가해질 때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31)이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장력검출부(40)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전달된다.
장력검출부(40)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전달되면 침입사실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11, 111 : 장력검출지주 12, 112 : 앵커지주
13, 113 : 감지선 20, 120 : 지주감지보조부
30, 130 : 무지주감지보조부 40, 140 : 장력검출부
41 : 변환스프링 42 : 블럭연결고리
43, 143 : 장력조절부 50, 150 : 장력변환감지부
60 : 변환블럭 61 : 블럭수직부
62 : 블럭수평부 80, 180 : 감지선구속클립
91 : 종단텐셔너 92, 192 : 중간텐셔너
93, 193 : 텐션스프링 141 : 클램프디스크

Claims (1)

  1.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장력검출지주의 양측에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앵커지주와, 높이차를 두고 상기 장력검출지주와 상기 앵커지주를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감지선과, 상기 감지선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설치된 스파이럴 형태의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과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무지주감지보조로드와 상기 감지선에 외력이 인가될 때 상기 감지선이 절곡되도록 상기 감지선을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에 대하여 구속하는 감지선구속클립을 구비한 무지주감지보조부와, 상기 장력검출지주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선의 장력변화를 검출하는 장력검출부와, 상기 감지선을 상기 장력검출부에 대하여 긴장상태로 유지하는 긴장유지부를 갖는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구속클립은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의 외경보다 큰 길이구간을 가지고 일면이 오목하도록 형성된 클립바디부와 상기 클립바디부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클립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클립바디부의 오목면이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클립다리부가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의 양측에서 상기 무지주감지보조스프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다리부를 통해 상기 감지선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KR2020140002201U 2014-03-20 2014-03-20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KR200475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01U KR200475556Y1 (ko) 2014-03-20 2014-03-20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01U KR200475556Y1 (ko) 2014-03-20 2014-03-20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556Y1 true KR200475556Y1 (ko) 2014-12-11

Family

ID=5353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201U KR200475556Y1 (ko) 2014-03-20 2014-03-20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5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131B1 (ko) * 2020-09-04 2021-02-26 (주)이알코리아 경고기능이 구비된 지지력 보강구조의 야생동물 유도펜스
KR20220002745U (ko) * 2021-05-12 2022-11-21 (주) 세렉스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KR20220002744U (ko) * 2021-05-12 2022-11-21 (주) 세렉스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53A (ko) * 2002-07-27 2004-02-05 김정주 조립식 펜스
KR200381050Y1 (ko) * 2005-01-05 2005-04-11 주식회사 주신기업 낙석방지용 와이어로우프 고정구
KR20100117161A (ko) * 2009-04-24 2010-11-03 (주)엘지하우시스 원통형 펜스의 시공시스템
KR20120114512A (ko) * 2011-04-07 2012-10-17 한승훈 철망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철망울타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53A (ko) * 2002-07-27 2004-02-05 김정주 조립식 펜스
KR200381050Y1 (ko) * 2005-01-05 2005-04-11 주식회사 주신기업 낙석방지용 와이어로우프 고정구
KR20100117161A (ko) * 2009-04-24 2010-11-03 (주)엘지하우시스 원통형 펜스의 시공시스템
KR20120114512A (ko) * 2011-04-07 2012-10-17 한승훈 철망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철망울타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131B1 (ko) * 2020-09-04 2021-02-26 (주)이알코리아 경고기능이 구비된 지지력 보강구조의 야생동물 유도펜스
KR20220002745U (ko) * 2021-05-12 2022-11-21 (주) 세렉스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KR20220002744U (ko) * 2021-05-12 2022-11-21 (주) 세렉스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KR200497393Y1 (ko) 2021-05-12 2023-10-27 (주)세렉스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KR200497392Y1 (ko) 2021-05-12 2023-10-27 (주)세렉스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596B1 (ko)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KR200475556Y1 (ko)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US11306860B2 (en) Pipeline deformation detection pig
US7073754B2 (en) Cable support systems
US20100156127A1 (en) Clamp for manipulating robot with enhanced gripping accuracy and manipulating robot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clamp
CN110370281B (zh) 检测施加给机器人的载荷的系统、机器人及机器人系统
KR200473668Y1 (ko) 장력검출용 변환블럭
WO2014186065A3 (en) System and method to measure force of location on an l-beam
US20150050078A1 (en) Non-explosive tension release actuator
KR101263769B1 (ko) 와이어 연결장치
CN205370617U (zh) 一新型让压报警锚杆
KR101965412B1 (ko) 장력검출식 감지시스템
KR200475557Y1 (ko) 장력검출식 보안시스템
CN102243212A (zh) 一种钢丝绳在线检测装置
WO2015187083A1 (en) Trailer fifth wheel coupling emergency release arrangement
US7698963B2 (en) Force-sensing device
CN202882009U (zh) 装载机及其油缸限位保护装置、油缸限位保护系统
KR101037373B1 (ko) 장력감지식 보안시스템
JP2012228022A (ja) 摩耗発見具
TWI682102B (zh) 錨定螺栓
KR101708825B1 (ko) 가변형 흙막이 벽체 지지모듈
KR102186064B1 (ko) 추락 감지 장치
CN107473108B (zh) 一种塔吊塔身竖向连接安全监测装置及其使用和预警方法
BE1019743A3 (nl) Verbeterd brandbestendig ophangsysteem.
JP2004244815A (ja) 変位制限機能付落橋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