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602B1 -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602B1
KR100652602B1 KR1020050075836A KR20050075836A KR100652602B1 KR 100652602 B1 KR100652602 B1 KR 100652602B1 KR 1020050075836 A KR1020050075836 A KR 1020050075836A KR 20050075836 A KR20050075836 A KR 20050075836A KR 100652602 B1 KR100652602 B1 KR 10065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er
abnormal vibration
tub
sensin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602B1/ko
Priority to US11/464,327 priority patent/US787418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9/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using radiation-sensitive means, e.g. opt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진동감지장치는, 단면이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진동체 및 고정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리미터와; 일 단이 상기 리미터의 내부에 상기 리미터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수용되고 상기 진동체 및 고정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감지체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정 이상의 외력 작용 시 초기위치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외력의 해제 시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과, 상기 볼의 상기 초기 위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리미터 및 상기 감지체 중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에 일체로 연결되는 볼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설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아니하면서 복수 방향의 이상진동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ABNORMAL VIBRATION SENS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1의 세탁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세탁기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이상진동감지장치의 확대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요부확대도,
도 8은 도 3의 볼센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상진동감지장치의 리미터 및 감지체의 도 6에 대응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캐비닛 120 : 터브
130 : 드럼 151 : 리미터
152a : 통형상부 152b : 차단부
152c : 걸림부 161 : 감지체
163 : 판상부 165 : 로드부
171 : 볼센서 172 : 하우징
173 : 안내면 182 : 볼
192 : 감지부 195 : 복귀스프링
197 : 스프링지지부
본 발명은, 이상진동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아니하면서 복수 방향의 이상진동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1의 세탁기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 설치되는 드럼(3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비닛(10)의 일 측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11)의 일 측에는 개구(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2)가 구비되어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일 측이 개방된 통형상을 가지는 터브(20)가 지지스프링(21) 및 댐퍼(2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터브(20)의 하부영역에는 배수펌프(26)를 구비한 배수유로(25)가 형성되어 있다. 터브(20)의 배면에는 드럼(30)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구동모터(27)가 결합되어 있다.
드럼(30)은 일 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원주면에는 내외가 연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드럼(30)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상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트(33)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터브(20)의 후방영역에는 터브(20)의 이상(異常) 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상진동감지장치(50)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진동감지장치(50)는, 터브(20)의 배면에 터브(20)와 일체로 진동되게 배치되는 힛팅에지(HITTING EDGE)(51)와, 힛팅에지(51)와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배치되어 힛팅에지(51)와 일정 이상의 충격적 접촉에 의해 터브(20)의 이상 진동을 감지하는 볼센서(55)와, 볼센서(55)가 힛팅에지(51)로부터 이상진동의 감지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볼센서(55)를 지지하는 센서지지부(61)를 구비하고 있다.
힛팅에지(51)는 "L"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터브(20)가 캐비닛(10)의 우측방향으로 과도하게 진동하거나 캐비닛(10)의 후방영역으로 과도하게 진동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볼센서(55)에 대해 좌측 및 전방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볼센서(55)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56)과, 하우징(56)의 내부에 하우징(56)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초기 위치를 이탈하고 외력이 해제될 경우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되게 하우징(56)의 내부에 수용되는 볼(57)과, 볼(57)의 초기 위치 이탈 시 이를 감지하는 통상 발광부(59) 및 수광부(60)를 구비한 적외선센서 등의 형태로 구성되는 감지부(58)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지지부(61)는, 일 측이 볼센서(55)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아암(62)과, 일 측이 제1아암(62)과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아암(63)과, 캐비닛(10)에 고정되어 제2아암(63)의 타 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6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아암(62) 및 제2아암(63)의 각 연결부에는 볼센서(55)가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드럼(30)의 회전 구동 시 발생되는 진동 등에 기인하여 터브(20)가 캐비닛(10)의 우측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되거나 터브(20)가 캐비닛(10)의 후방으로 과도하게 이동된 경우, 힛팅에지(51)는 볼센서(55)의 하우징(56)과 충격적으로 접촉된다. 이 때, 하우징(56)의 내부의 볼(57)이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될 정도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감지부(58)에 볼(57)의 초기 위치 이탈이 감지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터브(20)의 이상진동을 감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는, 힛팅에지(51)를 "L"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힛팅에지(51)의 우측 후방에 볼센서(55)를 배치하도록 되어 있어, 터브(20)가 캐비닛(10)의 좌측방향 및 전방으로 각각 과도하게 이동되거나 상하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브(20)가 캐비닛(10)의 좌측, 전방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터브(20)의 다른 영역에 힛팅에지(51)를 형성하고 힛팅에지(51)의 일 측에 볼센서(55)를 각각 배치하여야 하므로 이상진동감지장치(50)의 설치 개수가 증가하게 되어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조립 시간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상승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아니하면서 복수 방향의 이상진동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단면이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진동체 및 고정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리미터와; 일 단이 상기 리미터의 내부에 상기 리미터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수용되고 상기 진동체 및 고정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감지체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정 이상의 외력 작용 시 초기위치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외력의 해제 시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과, 상기 볼의 상기 초기 위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리미터 및 상기 감지체 중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에 일체로 연결되는 볼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미터에는 상기 리미터와 상기 감지체가 서로 접근되는 경우 상기 감지체와 접촉될 수 있게 일 측이 차단되도록 차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미터에는 상기 리비터와 상기 감지체가 이격되는 경우 상기 감지체와 접촉될 수 있도록 이동방향에 가로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감지체는, 상기 리미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판상부와, 일 단은 상기 판상부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리미터의 외측으로 연장된 로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미터 및 상기 감지체는 해당 감지방향을 따른 감지거리에 대응되게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 측은 상기 볼센서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어 상기 볼센서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볼센서를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터브와; 일 측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이상 진동을 감지하는 상기 이상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이상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터브의 전방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상진동감지장치는 일 측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볼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볼센서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볼센서를 탄성지지하 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세탁기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이상진동감지장치의 확대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8은 도 3의 볼센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상진동감지장치의 리미터 및 감지체의 도 6에 대응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120)와, 터브(120)와 캐비닛(110) 사이에 개재되어 터브(120)의 복수 방향의 정상적인 진동 범위를 초과하는 이상진동을 감지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150)를 구비하고 있다.
캐비닛(110)의 일 측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111)에는 도어(112)가 구비되어 있다.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는 터브(120)가 지지스프링(121) 및 댐퍼(12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터브(120)의 하부영역에는 배수펌프(126)를 구비한 배수유로(125)가 연결되어 있다. 터브(120)의 내부에는 드럼(130)이 회전가능하게 수용 설치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드럼(130)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구동모터(127)가 결합되어 있다. 드럼(130)은 일 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원주면에는 복수의 관통공(131)이 형성 되어 있다. 드럼(130)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상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트(13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터브(120)의 전방 하부영역에는 터브(120)의 이상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이상진동감지장치(150)가 구비되어 있다. 본 이상진동감지장치(15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단면이 고리형상을 가지고 터브(120)에 일체로 결합되는 리미터(151)와, 일 측이 리미터(151)의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감지체(161)와, 감지체(161)와 일체로 결합되어 리미터(151)와 감지체(161)가 일정 이상의 충격적 접촉 시 터브(120)의 이상 진동을 감지하는 볼센서(1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미터(151)는, 통 형상을 가지는 통형상부(152a)와, 통형상부(152a)의 일 측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차단부(152b)와, 차단부(152b)의 대향 측에 형성되는 걸림부(152c)를 구비하고 있다. 통형상부(152a)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리미터(151)를 터브(120) 등의 진동체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플랜지부(152d)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부(152d)에는 터브(120) 등의 진동체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공(153)이 형성되어 있다.
감지체(161)는, 통형상부(152a)의 내부에 배치되는 판상부(163)와, 일 단은 판상부(163)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 단은 리미터(15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볼센서(171)에 일체로 연결되는 로드부(16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리미터(151)는 내부에 판상부(163)가 수용될 수 있게 두 부분 이상 으로 분리 제작한 후 판상부(163)가 내부에 수용된 후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걸림부(152c) 또는 차단부(152b)에 판상부(163)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판상부(163)가 통형상부(152a)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로드부(165)가 판상부(163)과 서로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판상부(163)는 통형상부(152a)의 내벽과, 차단부(152b) 및 걸림부(152c)와 각각 감지하고자 하는 방향의 감지거리(G1~G6)만큼 이격되게 통형상부(152a)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캐비닛(110)의 전, 후, 좌, 우 방향을 따른 판상부(163)와 통형상부(152a)의 내벽의 갭(G1~G4)과, 캐비닛(110)의 상하방향을 따른 판상부(163)의 상면과 차단부(152b) 사이의 갭(G5) 및 판상부(163)의 저부면과 걸림부(152c) 사이의 갭(G6)이 서로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각 방향에 따른 감지거리에 대응되게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단면이 원형 고리형상을 가지는 리미터(211)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감지거리(G1~G4)를 가질 수 있도록 타원형상의 판상부(212)를 가지는 감지체를 구비하도록 이상진동감지장치(2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단면이 사각 고리형상을 가지는 리미터(221)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감지거리(G1~G4)를 가질 수 있도록 직사각형상의 판상부(222)를 가지는 감지체를 구비하도록 이상진동감지장치(2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단면이 원형 고리형상을 가지는 리미터(231)와, 원형의 판상부(232)를 가지도록 감지체를 구성하고, 일 측 방향의 리미터(231)와 판상부(232)의 갭(G2)이 다른 방향의 갭(G1,G3,G4)에 비해 작아지게 리미 터(231)의 중심(O1)으로부터 판상부(232)의 중심(O2)이 소정 거리(d)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이상진동감지장치(2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볼센서(17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72)과, 하우징(172)의 내부에 위치 이동가능하게 초기 위치에 수용되는 볼(182)과, 볼(182)의 초기 위치 이탈 시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19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72)의 내부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아니할 경우 볼(182)이 하우징(172)의 내부 중앙의 초기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중앙 측으로 하향 경사진 안내면(173)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면(173)의 중앙영역에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175)이 형성되어 있으며, 감지부(192)는 안내면(173)에 의해 중앙으로 안내되는 초기위치에 위치된 볼(182)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172)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발광부(193a) 및 수광부(193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볼센서(171)의 하측에는 볼센서(171) 및 감지체(161)가 외력의 작용 전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복귀스프링(195)이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172)의 저부에는 복귀스프링(195)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결합부(17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복귀스프링(195)의 하단에는 캐비닛(110)의 저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복귀스프링(195)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197)가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지지부(197)에는 캐비닛(110)의 저부면 등에 결합되는 스크류(199)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류공(198)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드럼(130)의 구동 시 발생되는 진동 등에 기인하여 터브(120)가 어느 일 측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면, 터브(120)에 일체로 결합된 리미터(151)가 감지체(161)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감지체(161)와 충격적으로 접촉된다. 이 때, 볼센서(171)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일정 이상인 경우, 하우징(172)의 내부의 볼(182)은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의해 발광부(193a)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부(193b)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터브(120)의 진동이 정상 상태를 초과하는 이상진동을 감지하게 된다. 한편, 터브(120)의 진동 폭이 줄거나 정지하게 될 경우 볼센서(171)는 복귀스프링(195)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설치 시와 동일한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내부의 볼(182)은 안내면(173)을 따라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발광부(193a)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리미터가 터브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감지체를 터브에 일체로 결합하고 리미터와 볼센서가 일 단이 캐비닛에 고정된 복귀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이상진동감지장치가 터브의 전방 하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터브의 좌,우측 또한 후방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터브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 볼센서는 캐비닛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하고 볼센서의 좌우방향을 따라 일 측에 리미터 또는 감지체를 결합하고 타 측에 복귀스프링이 결합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면이 고리형상을 가지는 리미터와, 일 측이 리미터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수용되는 감지체를 마련하여 진동 체 및 고정체에 각각 결합하고, 리미터 및 감지체 중 고정체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에 볼센서를 일체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체의 동일 평면 방향으로 발생되는 복수의 이상 진동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이상진동감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미터와 감지체가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상대 이동 시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차단부 및 걸림부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고정체를 기준으로 진동체의 전, 후, 좌, 우, 상 및 하 방향의 이상 진동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이상진동감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면이 고리형상을 가지는 리미터와, 일 측이 리미터의 내벽으롭터 이격되게 수용되는 감지체를 마련하여 터브 및 캐비닛에 각각 결합하고, 캐비닛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에 볼센서를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동일 평면 방향으로 발생되는 터브의 복수의 이상 진동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미터와 감지체가 서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상대 이동 시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차단부 및 걸림부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개소를 증가시키지 아니하고 터브의 전, 후, 좌, 우, 상 및 하 방향의 이상 진동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가 제공된다.

Claims (9)

  1. 단면이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진동체 및 고정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리미터와; 일 단이 상기 리미터의 내부에 상기 리미터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수용되고 상기 진동체 및 고정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감지체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정 이상의 외력 작용 시 초기위치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외력의 해제 시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과, 상기 볼의 상기 초기 위치 이탈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리미터 및 상기 감지체 중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에 일체로 연결되는 볼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에는 상기 리미터와 상기 감지체가 서로 접근되는 경우 상기 감지체와 접촉될 수 있게 일 측이 차단되도록 차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에는 상기 리비터와 상기 감지체가 이격되는 경우 상기 감지체와 접촉될 수 있도록 이동방향에 가로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체는, 상기 리미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판상부와, 일 단은 상기 판상부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리미터의 외측으로 연장된 로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 및 상기 감지체는 해당 감지방향을 따른 감지거리에 대응되게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 측은 상기 볼센서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고정체에 연결되어 상기 볼센서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볼센서를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
  7.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터브와; 일 측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이상 진동을 감지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상진동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진동감지장치는 상기 터브의 전방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진동감지장치는 일 측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볼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볼센서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볼센서를 탄성지지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1020050075836A 2005-08-18 2005-08-18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065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836A KR100652602B1 (ko) 2005-08-18 2005-08-18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US11/464,327 US7874186B2 (en) 2005-08-18 2006-08-14 Abnormal vibration sens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836A KR100652602B1 (ko) 2005-08-18 2005-08-18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602B1 true KR100652602B1 (ko) 2006-12-01

Family

ID=3773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836A KR100652602B1 (ko) 2005-08-18 2005-08-18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74186B2 (ko)
KR (1) KR100652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341B1 (ko) * 2006-09-19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진동 감지 장치 및 방법
US8713976B2 (en) * 2006-12-29 2014-05-0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washing machine
US20130014545A1 (en) * 2011-02-23 2013-01-17 Panasonic Corporation Drum-type washing machine
CN103590217B (zh) * 2013-10-17 2015-09-16 江苏海狮机械集团有限公司 洗脱机水平方向360°范围内的震动检测装置
US9725842B2 (en) * 2015-01-13 2017-08-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and suspension assembly for same
US10760195B2 (en) 2016-11-21 2020-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032A (ko) * 1994-11-14 1996-06-17 배순훈 세탁기의 수평감지장치
US6087936A (en) 1998-12-29 2000-07-11 Woods; Randall Vibration sensor
KR20010076576A (ko) * 2000-01-26 2001-08-16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JP2002119744A (ja) 2000-10-19 2002-04-23 Heiwa Corp 機器の振動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791560L (en) * 1979-08-14 1981-02-14 Francis Joseph Anderson Vibration sensing device
JPH03219517A (ja) * 1990-01-25 199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地震検出装置
US5194707A (en) * 1991-10-04 1993-03-16 Wallach Manufacturing Ltd. Inertia switch
US5255916A (en) * 1992-12-09 1993-10-26 Williams Electronics Games, Inc. Optical ball sensor
KR100505226B1 (ko) * 2002-11-28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565530B1 (ko) * 2004-05-12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방법
JP2006061357A (ja) * 2004-08-26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4603324B2 (ja) * 2004-09-13 2010-1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0755835B1 (ko) * 2004-10-07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672318B1 (ko) * 2005-02-25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032A (ko) * 1994-11-14 1996-06-17 배순훈 세탁기의 수평감지장치
US6087936A (en) 1998-12-29 2000-07-11 Woods; Randall Vibration sensor
KR20010076576A (ko) * 2000-01-26 2001-08-16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JP2002119744A (ja) 2000-10-19 2002-04-23 Heiwa Corp 機器の振動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39359A1 (en) 2007-02-22
US7874186B2 (en)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602B1 (ko) 이상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EP2441872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856291B2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31706B1 (ko) 로봇청소기
US9528312B2 (en) Active object detection sensor
KR20160067606A (ko) 세탁기
JP2008143645A (ja) メインロープ異常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EP1992728A2 (en) Top-loading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KR102201404B1 (ko) 세탁기
CN107923099B (zh) 洗衣机
CN107923105B (zh) 洗衣机
KR101223445B1 (ko) 세탁기
US7290413B2 (en) Washing machine having transient vibration sensor assembly
CN107923100B (zh) 洗衣机
KR100282727B1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장치 케이싱 구조
KR101417782B1 (ko) 드럼세탁기
KR100492585B1 (ko) 일체형 캐비넷/터브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EP3342918A1 (en) Washing machine
JP7448700B2 (ja) 開閉装置
KR20140139841A (ko) 드럼 세탁기
KR101161374B1 (ko) 세탁기의 리드 마그네트 고정구조
KR101386505B1 (ko) 드럼세탁기
KR20180044417A (ko) 세탁기
JPH081746Y2 (ja) 全方向振動検知スイッチを有する洗濯機
KR20220089793A (ko) 산업용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