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735A - 아이쇄클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쇄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735A
KR20220001735A KR1020200080038A KR20200080038A KR20220001735A KR 20220001735 A KR20220001735 A KR 20220001735A KR 1020200080038 A KR1020200080038 A KR 1020200080038A KR 20200080038 A KR20200080038 A KR 20200080038A KR 20220001735 A KR20220001735 A KR 20220001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shackle
rotation
rotation limiting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옥
임현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8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735A/ko
Publication of KR2022000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10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intermediate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아이쇄클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아이쇄클 장치는: 완철부에 결합되고, 회전제한부를 구비하는 쇄클본체부와, 쇄클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애자부와 연결되며, 회전제한부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연결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쇄클 장치{EYE SHACKLE DEVICE}
본 발명은 아이쇄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퍼선의 회전이 제한되는 아이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해서는 절연성능을 가진 폴리머(polymer) 현수애자 등을 이용하여 전선을 장악하고, 이러한 현수애자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완철을 전주에 설치한다. 완철과 현수애자와의 결합을 위하여 아이쇄클(eye shackle)을 사용한다. 그러나, 아이쇄클이 360도 회전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설치 후 강풍이 불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등이 장시간 누적되는 경우, 현수애자 일단의 클램프가 회전하게 되며, 이와 연결된 점퍼선의 회전을 유발하게 되어 점퍼선과 전주 및 점퍼선과 완철부의 접촉에 따른 지락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1775호(고안의 명칭: 현수 애자용 아이쇄클 구조, 등록일: 2003.01.0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점퍼선의 회전이 제한되는 아이쇄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아이쇄클 장치는: 완철부에 결합되고, 회전제한부를 구비하는 쇄클본체부; 및 상기 쇄클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애자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제한부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연결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부의 회전각도는 -30도(θ2) 이상에서 +30도(θ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쇄클본체부는, 상기 연결로드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로드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기 회전제한부를 구비하는 쇄클지지판; 상기 쇄클지지판의 양단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쇄클날개판; 한 쌍의 상기 쇄클날개판에서 각각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며, 상기 완철부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쇄클결합판; 및 한 쌍의 상기 쇄클결합판을 상기 완철부에 결합하는 쇄클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부는, 상기 회전제한부의 관통홀부를 관통하는 연결로드본체; 상기 연결로드본체와 연결되고, 크기가 상기 관통홀부의 크기보다 크며, 상기 회전제한부와 접촉되어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연결로드머리; 및 상기 연결로드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애자부와 결합되는 연결로드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머리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머리가 배치되는 회전제한홈부; 및 상기 회전제한홈부의 양측부에서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상기 연결로드머리의 회전을 제한하는 한 쌍의 회전제한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한홈부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제한턱부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는 쇄클본체부에 구비되는 회전제한부를 통해 쇄클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로드부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어, 전선과 연결된 점퍼선의 회전을 막아 점퍼선과 전주 및 점퍼선과 완철부의 접촉에 따른 지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의 쇄클본체부의 회전제한부를 통해 연결로드부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의 쇄클본체부의 회전제한부를 통해 연결로드부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1)는 쇄클본체부(100)와 연결로드부(200)를 포함한다. 쇄클본체부(100)는 완철부(20)에 결합되고, 회전제한부(111)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완철부(20)는 전주(10)에 전선(50)과 수직되게 설치된다. 쇄클본체부(100)는 완철부(20)에 접촉되어 체결된다. 즉, 아이쇄클 장치(1)는 완철부(20)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완철부(20)는 한 쌍으로 전주(10)의 양측부에 각각 나란하게 설치된다. 아이쇄클 장치(1)는 완철부(20)에 각각 설치되고, 애자부(30)와 각각 연결되고, 애자부(30)와 결합된 각각의 클램프부(40)에 의해 전선(50)이 인장 고정된다. 이때, 전선(50)은 점퍼선(6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로드부(200)는 쇄클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애자부(30)와 연결되며, 회전제한부(111)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연결로드부(200)의 회전각도는 -30도(θ2) 이상에서 +30도(θ1) 이하이다(도 6 참조). 구체적으로, 연결로드부(200)는 쇄클본체부(100)의 회전제한부(111)를 통해 -30도(θ2) 이상에서 +30도(θ1) 이하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이로 인해, 전선(50)과 연결된 점퍼선(60)의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점퍼선(60)과 전주(10) 및 점퍼선(60)과 완철부(20)의 접촉에 따른 지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연결로드부(200)가 -30도(θ2) 이상에서 +30도(θ1) 이하 범위를 벗어나도록 회전되는 경우, 즉, 연결로드부(200)가 -30도(θ2) 초과하여 회전되거나 +30도(θ1) 초과하여 회전되는 경우에는 전선(50)과 연결된 점퍼선(60)이 회전됨에 따라 점퍼선(60)과 전주(10) 및 점퍼선(60)과 완철부(20)의 접촉에 따른 지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쇄클본체부(100)는 쇄클지지판(110), 한 쌍의 쇄클날개판(120), 한 쌍의 쇄클결합판(130) 및 쇄클결합부(140)를 포함한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쇄클지지판(110)은 연결로드부(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로드부(20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111)를 구비한다. 연결로드부(200)는 쇄클지지판(110)에 구비되는 회전제한부(111)의 관통홀부(111b)에 관통하여 회전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쇄클날개판(120)은 쇄클지지판(110)의 양단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된다. 한 쌍의 쇄클날개판(120)은 쇄클지지판(110)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서로 간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연장형성된다.
한 쌍의 쇄클결합판(130)은 한 쌍의 쇄클날개판(120)에서 각각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며, 완철부(20)에 각각 접촉된다. 쇄클결합판(130)은 쇄클날개판(120)에서 각각 완철부(20) 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어 완철부(20)의 상하측부에(도 2, 3 기준) 각각 접촉된다. 쇄클결합판(130)에는 후술된 쇄클결합부(140)가 결합되는 결합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쇄클결합부(140)는 한 쌍의 쇄클결합판(130)을 완철부(20)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쇄클결합부(140)는 쇄클볼트(141)와 쇄클너트(142)를 포함한다. 쇄클볼트(141)는 쇄클결합판(130)의 결합홀부 및 완철부(20)의 체결홀부(미도시)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쇄클너트(142)는 쇄클볼트(141)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쇄클결합판(130)을 완철부(2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로드부(200)는 연결로드본체(210), 연결로드머리(220) 및 연결로드고리(230)를 포함한다. 연결로드본체(210)는 봉 형상으로 회전제한부(111)의 관통홀부(111b)를 관통하며, 연결로드본체(210)의 크기는 관통홀부(111b)의 크기보다 작다.
연결로드머리(220)는 연결로드본체(210)와 연결되고, 크기가 관통홀부(111b)의 크기보다 크다. 이로 인해, 쇄클지지판(110)로부터 연결로드부(20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로드머리(220)는 회전제한부(111)와 접촉되어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즉, 연결로드부(200)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로써, 연결로드부(200)가 -30도(θ2) 초과하여 회전되거나 +30도(θ1) 초과하여 회전되어 전선(50)과 연결된 점퍼선(60)이 회전됨에 따라 점퍼선(60)과 전주(10) 및 점퍼선(60)과 완철부(20)의 접촉에 따른 지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연결로드머리(220)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연결로드머리(220)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제한부(111)의 접촉시 연결로드머리(220)의 변형 및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연결로드고리(230)는 연결로드본체(210)와 연결되고, 애자부(3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애자부(30)는 애자본체부(31), 애자날개부(32), 제1애자금구(33) 및 제2애자금구(34)를 포함한다. 애자날개부(32)는 절연재질을 포함하며, 애자본체부(31)를 따라 이격되게 구비된다.
제1애자금구(33)는 애자본체부(31)와 연결되며, 연결로드고리(230)와 결합된다. 제1애자금구(33)는 U자형 금구(33a)와 애자핀부(33b)를 포함한다. U자형 금구(33a)는 애자본체부(31)와 연결된다. 애자핀부(33b)는 U자형 금구(33a)와 연결로드고리(230)를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애자핀부(33b)는 U자형 금구(33a)와 연결로드고리(230)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로 인해, U자형 금구(33a)와 연결로드고리(230)를 결합할 수 있다.
제2애자금구(34)는 애자본체부(31)와 연결되며, 클램프부(40)와 결합된다. 제2애자금구(34)는 제2애자금구본체(34a)와 제2애자금구고리(34b)를 포함한다. 제2애자금구본체(34a)는 봉 형상으로 애자본체부(31)와 연결된다. 제2애자금구고리(34b)는 제2애자금구본체(34a)와 연결되며, 클램프부(40)와 결합된다. 이때, 클램프부(40)는 일단부가 제2애자금구(34)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전선(50)과 결합된다.
회전제한부(111)는 회전제한홈부(111a)와 한 쌍의 회전제한턱부(111c)를 포함한다. 회전제한홈부(111a)는 연결로드부(200)가 관통되는 관통홀부(111b)가 형성되고, 연결로드머리(220)가 배치된다. 연결로드머리(220)는 회전제한홈부(111a) 상에 배치되며, 회전가능하다.
한 쌍의 회전제한턱부(111c)는 회전제한홈부(111a)의 양측부에서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연결로드머리(220)의 회전을 제한한다. 회전제한턱부(111c)는 회전제한홈부(111a)의 좌우측에서(도 5, 도 6 기준) 회전제한홈부(111a)의 중앙부 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로드머리(220)가 -30도(θ2) 이상에서 +30도(θ1) 이하의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제한홈부(111a)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회전제한턱부(111c)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진다. 이때, 회전제한홈부(111a)와 회전제한턱부(111c)가 이루는 형상은 땅콩형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로드머리(220)는 회전제한부(111) 상에서 회전되어 회전제한부(111)의 접촉시 연결로드머리(220)와 더불어, 회전제한부(111)의 변형 및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쇄클 장치(1)는 쇄클본체부(100)에 구비되는 회전제한부(111)를 통해 쇄클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로드부(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어, 전선(50)과 연결된 점퍼선(60)의 회전을 막아 점퍼선(60)과 전주(10) 및 점퍼선(60)과 완철부(20)의 접촉에 따른 지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아이쇄클 장치 10 : 전주
20 : 완철부 21 : 체결홀부
30 : 애자부 31 : 애자본체부
32 : 애자날개부 33 : 제1애자금구
33a : U자형 금구 33b : 애자핀부
34 : 제2애자금구 34a : 제2애자금구본체
34b : 제2애자금구고리 40 : 클램프부
50 : 전선 60 : 점퍼선
100 : 쇄클본체부 110 : 쇄클지지판
111 : 회전제한부 111a : 회전제한홈부
111b : 관통홀부 111c : 회전제한턱부
120 : 쇄클날개판 130 : 쇄클결합판
140 : 쇄클결합부 141 : 쇄클볼트
142 : 쇄클너트 200 : 연결로드부
210 : 연결로드본체 220 : 연결로드머리
230 : 연결로드고리

Claims (7)

  1. 완철부에 결합되고, 회전제한부를 구비하는 쇄클본체부; 및
    상기 쇄클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애자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제한부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연결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부의 회전각도는 -30도(θ2) 이상에서 +30도(θ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쇄클본체부는,
    상기 연결로드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로드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기 회전제한부를 구비하는 쇄클지지판;
    상기 쇄클지지판의 양단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쇄클날개판;
    한 쌍의 상기 쇄클날개판에서 각각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며, 상기 완철부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쇄클결합판; 및
    한 쌍의 상기 쇄클결합판을 상기 완철부에 결합하는 쇄클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부는,
    상기 회전제한부의 관통홀부를 관통하는 연결로드본체;
    상기 연결로드본체와 연결되고, 크기가 상기 관통홀부의 크기보다 크며, 상기 회전제한부와 접촉되어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연결로드머리; 및
    상기 연결로드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애자부와 결합되는 연결로드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머리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로드머리가 배치되는 회전제한홈부; 및
    상기 회전제한홈부의 양측부에서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고, 상기 연결로드머리의 회전을 제한하는 한 쌍의 회전제한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홈부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제한턱부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쇄클 장치.
KR1020200080038A 2020-06-30 2020-06-30 아이쇄클 장치 KR20220001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38A KR20220001735A (ko) 2020-06-30 2020-06-30 아이쇄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038A KR20220001735A (ko) 2020-06-30 2020-06-30 아이쇄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35A true KR20220001735A (ko) 2022-01-06

Family

ID=7934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038A KR20220001735A (ko) 2020-06-30 2020-06-30 아이쇄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7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034B1 (ko) * 2022-01-28 2022-10-26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애자장착 고정기구
KR102459033B1 (ko) * 2022-01-28 2022-10-26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KR102492923B1 (ko) * 2022-01-28 2023-01-30 김복희 보수작업이 편리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034B1 (ko) * 2022-01-28 2022-10-26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가공배전선의 안정적 지지를 위한 애자장착 고정기구
KR102459033B1 (ko) * 2022-01-28 2022-10-26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KR102492923B1 (ko) * 2022-01-28 2023-01-30 김복희 보수작업이 편리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1735A (ko) 아이쇄클 장치
KR102078904B1 (ko) 강성 충돌이 없는 송전선로 스페이서 클램프 연결 구조
AU2006302745B2 (en) Cable connector device for a battery
CN1855641B (zh) 紧固件插座
US20220140465A1 (en) Antenna mounting assembly of base station antenna
US8793933B2 (en) Spring break protection mechanism for a sectional door system
JP2002184387A (ja) 上締バッテリターミナル
JP2002056838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の接続構造
CZ289094B6 (cs) Upínací zařízení, zejména pro kabely
JP2506241B2 (ja) 懸垂型避雷碍子及び碍子交換用把持具
KR100682597B1 (ko) 완철용 접지 클램프
JP2006333697A (ja) V吊懸垂装置
GB2393043A (en) Quick release battery connector
CN210780001U (zh) 电缆支架组件
JP3228275B2 (ja) 捩れ防止ダンパー用電線クランプ
CN110355442B (zh) 一种六面体激光锡焊焊接治具
CN210088177U (zh) 一种管路护臂卡扣
KR20200046207A (ko) 현수애자 지지장치
CN112282480A (zh) 输电塔
JPH07123552A (ja) 接地器具
JP4834588B2 (ja) 接地クリップ金具
JP2527600Y2 (ja) ボルトレス電線把持具
CN214036386U (zh) 抱箍
CN220217323U (zh) 一种光电管焊接固定工装
CN220753778U (zh) 适配型线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