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749A -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및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및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749A
KR20210153749A KR1020217040146A KR20217040146A KR20210153749A KR 20210153749 A KR20210153749 A KR 20210153749A KR 1020217040146 A KR1020217040146 A KR 1020217040146A KR 20217040146 A KR20217040146 A KR 20217040146A KR 20210153749 A KR20210153749 A KR 20210153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nnection part
connection
optical fibers
intermit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8811B1 (ko
Inventor
소이치로 카네코
코지 토미카와
켄 오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21015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Ribb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하는 광파이버의 외주부를 이격시켜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를 구성할 때에 광파이버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 해결 수단으로서는, 본 개시의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는, 폭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광파이버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파이버를 간헐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중심간 거리는, 상기 광파이버의 직경보다도 크다. 그리고, 1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1m당의 상기 연결부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가 0.00070 mm3/m·℃이하이다.

Description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및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및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내지 6에는, 병렬시킨 3심 이상의 광파이버를 간헐적으로 연결시킨 광파이버 테이프(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7에는, 광파이버의 피복 수지의 재료나 물성을 조정하여 굽힘 손실이 낮은 광파이버를 실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2193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841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02675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886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0013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089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9-510520호 공보
광케이블에 다수의 광파이버를 고밀도 실장하기 위해서는, 광파이버를 세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파이버 테이프의 주변 기기(예를 들어 융착기와 같은 가공기나, 페룰과 같은 광 커넥터)의 형편상, 광파이버 테이프에 있어서의 광파이버의 간격(광파이버의 중심간 거리)에는 제약이 있다. 이 때문에, 세경화시킨 광파이버를 사용하여 광파이버 테이프를 구성하는 경우, 인접하는 광파이버의 간격(광파이버의 중심간 거리)이 광파이버의 직경보다도 커져 인접하는 광파이버의 외주부가 이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파이버의 외주부를 이격시켜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를 구성하는 경우,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된 연결부가 열 수축하면, 광파이버를 사행시키게 하는 부하가 광파이버에 걸리고, 이 결과, 광파이버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2에는, 피복 부재를 형성하는 수지의 수축력이 마킹에 작용하여 광파이버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을 증가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단, 특허문헌 1, 2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광파이버의 외주부가 접하고 있기 때문에, 피복 부재를 형성하는 수지가 수축하여도, 광파이버를 사행시키게 하는 부하는 광파이버에는 걸리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인접하는 광파이버의 외주부를 이격시켜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를 구성할 때에 광파이버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폭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광파이버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파이버를 간헐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이며,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중심간 거리는, 상기 광파이버의 직경보다도 크고, 1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1m당의 상기 연결부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가, 0.00070mm3/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에 의해 밝힌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하는 광파이버의 외주부를 이격시켜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를 구성할 때에 광파이버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단심 파이버를 간헐적으로 연결시킨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다른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X-X 단면도이다.
도 4A는,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조하는 제조 시스템(100)의 설명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테이프화 장치(40)의 설명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연결부(5)의 수축 영향 개념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는 각종 파라미터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연결부 단면적 S의 설명도이다. 도 7B는, 다른 단면 형상의 경우에 있어서의 연결부 단면적 S의 설명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다른 제법에서 형성된 연결부(5)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연결부 단면적 S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연결부 수축률 A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연결율 R을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연결 피치 p·연결부 길이 a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중심간 거리 L(및 이격 거리 C)을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파이버 직경 D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파이버 직경 D가 180㎛인 상황 하에서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연결 파이버 심수 n이 2인 경우의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연결 파이버 심수 n이 2인 상황 하에서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후술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로부터,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폭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광파이버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파이버를 간헐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이며,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중심간 거리는, 상기 광파이버의 직경보다도 크고, 1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1m당의 상기 연결부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가, 0.00070mm3/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가 명확해진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광파이버의 외주부를 이격시켜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를 구성할 때에 광파이버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단심의 광파이버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간헐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 피치를 p(mm)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a(mm)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1℃당의 수축률을 A(/℃)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을 S(mm2)로 하고, 상기 광파이버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가 존재하는 비율 R을 R=(a/p)×2로 하고, 1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1m당의 상기 연결부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 Vf(mm3/m·℃)를 Vf=S×A×1000×R로 했을 때, Vf≤0.00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심의 광파이버를 간헐적으로 연결시킨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를 구성할 때에 광파이버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2개의 광파이버에 의해 구성된 파이버쌍이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간헐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 피치를 p(mm)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a(mm)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1℃당의 수축률을 A(/℃)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을 S(mm2)로 하고, 상기 광파이버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가 존재하는 비율 R을 R=a/p 로 하고, 1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1m당의 상기 연결부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 Vf(mm3/m·℃)를 Vf=S×A×1000×R 로 했을 때, Vf≤0.000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2줄의 광파이버(2)의 쌍을 간헐적으로 연결시킨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를 구성할 때에 광파이버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광파이버의 직경이, 2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1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1m당의 상기 연결부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를 0.00070mm3/m·℃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유효해진다.
===본 실시 형태===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도 1은, 단심 파이버를 간헐적으로 연결시킨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의 설명도이다.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는 복수의 광파이버(2)를 병렬시켜 간헐적으로 연결한 광파이버 테이프이다. 인접하는 2개의 광파이버(2)는 연결부(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광파이버(2)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5)는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의 복수의 연결부(5)는 길이 방향 및 테이프 폭 방향으로 2차원적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5)는 접착제(연결제)가 되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한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5)를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된 연결부(5)와 연결부(5)와의 사이에는, 비연결부(7)가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부(5)와 비연결부(7)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비연결부(7)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광파이버끼리는 구속되어 있지 않다. 연결부(5)가 형성된 위치의 테이프 폭 방향으로 비연결부(7)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광파이버 테이프(1)를 둥글게 해서 다발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다수의 광파이버(2)를 광케이블에 고밀도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는, 다른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의 설명도이다. 이 광파이버 테이프(1)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는 2줄의 광파이버(2)의 쌍(파이버쌍(3))을 복수(여기서는 6쌍) 구비하고 있고, 인접하는 파이버쌍(3)의 사이가 간헐적으로 연결부(5)로 연결되어 있다. 이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에 있어서도, 연결부(5)가 형성된 위치의 테이프 폭 방향으로는 비연결부(7)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광파이버 테이프(1)를 둥글게 해서 다발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파이버쌍(3)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5)는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연결부(5)와 연결부(5)와의 사이에는 비연결부(7)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에 있어서도, 연결부(5)와 비연결부(7)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1)는 도 1이나 도 2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결부(5)의 배치를 변경해도 좋고, 광파이버(2)의 수를 변경해도 좋다.
도 3은, 도 1의 X-X 단면도이다.
각각의 광파이버(2)는 광파이버부(2A)와, 피복층(2B)과, 착색층(2C)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파이버부(2A)는 코어 및 클래드로 구성되어 있다. 광파이버부(2A)의 직경(클래드 직경)은 예를 들어 약 125㎛이다. 피복층(2B)은 광파이버부(2A)를 피복하는 층이다. 피복층(2B)은 예를 들어 1차 피복층(프라이머리·코팅) 및 2차 피복층(세컨더리·코팅)으로 구성되어 있다. 착색층(2C)은 피복층(2B)의 표면에 형성된 층이다. 착색층(2C)은 피복층(2B)의 표면에 착색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피복층(2B)과 착색층(2C)과의 사이에 마킹이 형성되는 수도 있다. 착색층(2C)의 표면에는 연결제(자외선 경화 수지)가 도포·경화되어 있다. 단,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광파이버(2)의 직경"(또는 파이버 직경)이란, 착색층(2C)의 외경을 의미한다. 2개의 광파이버(2)의 사이에는, 연결제(자외선 경화 수지)가 도포·경화 됨으로써 연결부(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파이버(2)의 중심간 거리는, 광파이버(2)의 직경보다도 크다. 즉, 광파이버(2)의 중심간 거리를 L, 광파이버(2)의 직경을 D로 했을 때, L>D가 된다. 이와 같이, L>D의 경우, 연결부(5)에 의해 연결된 2개의 광파이버(2)의 외주면(착색층(2C)의 표면)이 이격하게 된다. 즉, 연결부(5)에 의해 연결된 2개의 광파이버(2)의 외주면 이격 거리를 C로 했을 때, C> 0이 된다. 또한, 이격한 2개의 광파이버(2)를 연결하는 연결부(5)의 형상이나 물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광파이버 테이프(1)의 제조 방법>
도 4A는,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조하는 제조 시스템(100)의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4심의 광파이버 테이프의 제조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조 시스템(100)은 파이버 공급부(10)와, 인쇄 장치(20)와, 착색 장치(30)와, 테이프화 장치(40)와, 드럼(50)을 갖는다.
파이버 공급부(10)는 광파이버(2)를 공급하는 장치(공급원)이다. 여기에서는, 파이버 공급부(10)는 단심의 광파이버(2)(광파이버부(2A) 및 피복층(2B)으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착색층(2C)을 형성하기 전의 광파이버)를 공급한다. 단, 파이버 공급부(10)가 2줄의 광파이버(2)의 쌍(파이버쌍(3))을 공급해도 된다. 파이버 공급부(10)는 인쇄 장치(20)에 광파이버(2)를 공급한다.
인쇄 장치(20)는 광파이버(2)에 마크를 인쇄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20)는 테이프 번호를 나타내는 마크를 각각의 광파이버(2)에 인쇄한다. 인쇄 장치(20)에 의해 마킹이 실시된 복수의 광파이버(2)는 착색 장치(30)에 공급되게 된다.
착색 장치(30)는 광파이버(2)의 착색층(2C)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착색 장치(30)는 각각의 광파이버(2)에 대하여 광파이버(2)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색에 의해 착색층(2C)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착색 장치(30)는 각각의 광파이버(2) 마다 착색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착색부는, 소정의 식별색의 착색제(자외선 경화 수지)를 광파이버(2)의 표면(피복층(2B)의 표면)에 도포한다. 또한, 착색 장치(30)는 자외선 조사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고, 자외선 조사부는, 광파이버(2)에 도포된 착색제(자외선 경화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착색제를 경화시킴으로써 착색층(2C)을 형성한다. 착색 장치(30)에 의해 착색된 광파이버(2)는 테이프화 장치(40)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착색이 완료된 광파이버(2)를 파이버 공급부로부터 테이프화 장치(40)에 공급해도 된다.
테이프화 장치(40)는 연결부(5)를 간헐적으로 형성하고,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조하는 장치이다. 테이프화 장치(40)에는, 폭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광파이버(2)가 공급된다. 도 4B 및 도 4C는, 테이프화 장치(40)의 설명도이다. 테이프화 장치(40)는 도포부(41)와, 제거부(42)와, 광원(43)을 갖는다.
도포부(41)는 연결제를 도포하는 장치이다. 연결제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 수지이며, 연결제가 경화함으로써 연결부(5)가 형성된다. 도포부(41)는 액상의 연결제를 충전시킨 코팅 다이스에 복수의 광파이버(2)를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에 걸쳐, 광파이버(2)의 외주나, 인접하는 광파이버(2)의 사이에, 액상의 연결제를 도포한다.
제거부(42)는 도포부(41)에 의해 도포된 연결제의 일부를 남기면서, 일부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제거부(42)는 오목부(421A)를 갖는 회전 날(421)을 가지고 있고(도 4B 참조), 광파이버(2)의 공급 속도에 맞춰서 회전 날(421)을 회전시킨다. 도포부(41)에 의해 도포된 연결제는, 회전 날(421)의 외연에 의해 막아짐으로써 제거되지만, 회전 날(421)의 오목부(421A)에서는 연결제가 잔류한다. 또한, 연결제가 잔류된 부위가 연결부(5)(도 1 참조)가 되고, 연결제가 제거된 부위가 비연결부(7)가 된다. 이 때문에, 회전 날(421)의 회전 속도나 오목부(421A)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연결부(5)의 길이나 배치를 조정할 수 있다.
광원(43)은 자외선 경화 수지로 구성된 연결제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광원(43)은 가경화용 광원(43A)과, 본경화용 광원(43B)을 갖는다. 가경화용 광원(43A)은 본경화용 광원(43B)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제는, 가경화용 광원(43A)으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면 가경화된다. 가경화된 연결제는, 완전히는 경화되어 있지 않지만, 표면에서는 경화가 진행한 상태가 된다. 본경화용 광원(43B)은 가경화용 광원(43A)보다도 강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연결제를 본경화시킨다. 본경화된 자외선 경화 수지는, 내부까지 경화된 상태가 된다(단, 본경화된 연결제(연결부(5))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있고,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둥글게 하여 통 형상으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부(41) 및 제거부(42)에서 나온 직후의 광파이버(2)는 서로 간격이 비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경화용 광원(43A)이 연결제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연결제를 가경화시킨다. 테이프화 장치(40)는 연결제의 가경화 후에, 광파이버(2)의 간격을 서서히 좁히고, 복수의 광파이버(2)를 병렬로 배열하여 테이프상으로 집선한다. 또한, 연결제가 가경화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연결제가 제거된 부분(비연결부(7))끼리가 접촉해도, 연결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경화 전이기 때문에, 연결제로 연결된 영역에 있어서도 광파이버(2)의 간격을 좁히는 것(집선)이 가능하다. 본경화용 광원(43B)이 자외선을 조사하여 연결제가 본경화하면, 도 1에 나타내는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가 제조된다.
드럼(50)은 광파이버 테이프(1)를 권취하는 부재이다(도 4A 참조). 테이프화 장치(40)에 의해 제조된 광파이버 테이프(1)는 드럼(50)에 권취되게 된다.
<전송 손실의 문제에 대해서 >
도 5A 및 도 5B는, 연결부(5)의 수축 영향의 개념도이다. 도 5A는, 연결부(5)의 수축 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B는, 연결부(5)의 수축 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A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광파이버(2)를 연결하는 연결부(5)가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5)가 형성된 부위에서는, 광파이버(2)를 코팅하는 수지(연결제)는 광파이버(2)에 대하여 균일하게는 코팅되어 있지 않다. 또한, 연결부(5)가 2차원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파이버(2)에서 보면, 길이 방향을 따라서 테이프 폭 방향의 교대로(도면 중의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연결부(5)가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5)에 의해 연결된 2개의 광파이버(2)의 외주면(착색층(2C)의 표면)이 이격하고 있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2)의 외주부를 이격시켜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길이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된 연결부(5)가 열 수축하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2)를 사행시키는 것과 같은 부하(측압)가 광파이버(2)에 걸리고, 이 결과, 광파이버(2)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이 증가한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광파이버(2)의 외주부가 접하고 있을 경우(도 3의 이격 거리 C가 제로인 경우; 광파이버(2)의 중심간 거리 L이 광파이버(2)의 직경 D에 상당할 경우)에는, 연결부(5)가 수축해도,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광파이버(2)의 사행은 일어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도 5B에 나타내는 부하(광파이버(2)를 사행시키는 것과 같은 부하)에 의해 광파이버(2)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이 증가한다는 문제는, 인접하는 2개의 광파이버(2)의 외주부가 이격하고 있는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에 특유의 문제가 된다.
덧붙여, 광케이블에 다수의 광파이버(2)를 고밀도 실장하기 위해서는, 광파이버(2)의 직경 D(도 3참조)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융착기를 이용하거나,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다심 페룰을 이용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광파이버(2)의 중심간 거리 L(도 3 참조)은 현 상황과 같은 정도로 맞추게 된다. 이 결과, 광파이버(2)의 세경화를 도모하면, 광파이버(2)의 중심간 거리 L이 광파이버(2)의 직경 D보다도 커지고(L>C), 2개의 광파이버(2)의 외주면 이격 거리 C가 커지고(C>0), 이 결과, 이격한 2개의 광파이버(2)를 연결하는 연결부(5)의 수지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된다. 그리고, 연결부(5)의 수지량이 증가하면, 연결부(5)의 수축에 의해 광파이버(2)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고, 마이크로 벤드 손실이 증가하기 쉬워진다.
또한, 광파이버(2)를 세경화할 때에는, 광파이버(2)의 피복층(2B)이 박육화되게 된다. 이 때문에, 광파이버(2)를 세경화하면, 광파이버(2)의 광파이버부(2A) (도 3 참조)가 부하의 영향을 받기 쉬워진다. 즉, 광파이버(2)를 세경화하면, 연결부(5)의 수지량의 증가에 수반해서 광파이버(2)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할뿐만 아니라, 피복층(2B)의 박육화에 따라 부하에 대한 영향(마이크로 벤드 손실)이 증가한다. 즉, 광파이버(2)의 세경화를 도모하면, 도 5B에 나타내는 부하에 의한 광파이버(2)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은 상승적으로 증가할 우려가 있다.
광파이버(2)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도 5B에 나타내는 부하(광파이버(2)를 사행시키는 것과 같은 부하)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파이버(2)에 가해지는 부하(도 5B에 나타내는 부하)는 연결부(5)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작아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광파이버(2)에 가해지는 부하(도 5B에 나타내는 부하)는 연결부(5)가 길이 방향으로 존재하는 비율이 작아질수록 작아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광파이버(2)에 가해지는 부하(도 5B에 나타내는 부하)는 연결부(5)의 열수축률이 작을수록 작아진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연결부(5)의 단면적(연결부 단면적 S), 연결부(5)가 길이 방향으로 존재하는 비율(연결율 R) 및 연결부(5)의 수축률(연결부 수축률 A)에 대하여 상관을 갖는 파라미터로서 "1개의 광파이버(2)의 단위 길이(1m)당에 있어서의 연결부(5)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에 착안하였다. 그리고, 본원 발명자는, "1개의 광파이버(2)의 단위 길이당에 있어서의 연결부(5)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를 소정값 이하로 함으로써, 광파이버(2)의 마이크로 벤드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광파이버(2)의 단위 길이(1m)당에 있어서의 연결부(5)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를 0.00070mm3/m·℃ 이하로 함으로써, 광파이버(2)의 마이크로벤드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경화된 광파이버(2)를 사용하여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구성할 때에 "1개의 광파이버(2)의 단위 길이(1m)당에 있어서의 연결부(5)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를 0.00070mm3/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세경화된 광파이버(2)는 직경 D가 220 이하인 것을 상정하고 있다(통상의 광파이버 직경은 250 ㎛임).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경 D가 220㎛ 이하의 광파이버(2)를 사용하여, 광파이버(2)의 중심간 거리 L을 광파이버(2)의 직경 D보다도 크게 한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구성할 때에 "1개의 광파이버(2)의 단위 길이(1m)당에 있어서의 연결부(5)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를 0.00070mm3/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종 파라미터에 대해서 >
도 6은,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는 각종 파라미터의 설명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연결 대상으로 되는 광파이버(2)의 심수를 "연결 파이버 심수 n"라고 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대상으로 되는 광파이버(2)가 단심의 경우에는 n=1로 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대상이 되는 광파이버(2)가 2심(파이버쌍(3))인 경우에는 n=2로 한다. 즉, 12개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의 구조는, 연결 파이버 심수 n을 사용하여 n심×12/n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연결 파이버 심수 n은, 도 1에 나타내는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의 경우에는 n=1이 되고, 도 2에 나타내는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의 경우에는 n=2가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연결부(5)의 연결 피치(또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연결부(5)의 중심간 거리)를 p로 하고, 연결부(5)의 길이를 a로 한다. 또한, 비연결부(7)의 길이 b는, b=p-a가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2)의 직경(파이버 직경)을 D로 하고, 광파이버(2)의 중심간 거리를 L로 하고, 광파이버(2)의 이격 거리를 C로 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피치 p, 연결부(5) 길이 a, 파이버 직경 D, 중심간 거리 L 및 이격 거리 C의 각각의 수치는, 측정값(실측값)이다.
또한, 연결부(5)의 영률을 E로 한다. 또한, 연결부(5)의 1℃당의 수축률을 A로 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5) 영률 E의 수치는, 연결제의 공칭값인 것에 대하여, 연결부 수축률 A의 수치는 측정값(실측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 수축률 A는, 연결제를 경화시킨 시료(샘플 길이 5mm)를 열 기계 분석 장치(히타치 하이테크 사이언스사제 열 기계 분석 장치 TMA7100)에 세트하고, 10mN의 일정 하중(인장 하중)을 걸면서 1분당 5℃의 레이트로 20℃에서 마이너스 40℃까지 온도를 변화시키고, 이 때의 시료 길이 변화를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샘플 길이 5mm의 60℃의 온도 변화 시의 연결부(5)의 변위량)에 기초하여 연결부(5)에 1℃당의 변화율(열수축률)로 하여 산출한 값이다.
또한, 연결부(5)의 단면적을 S로 한다. 도 7A는, 연결부 단면적 S의 설명도이다. 연결부(5)를 구성하는 연결제(수지)는 광파이버(2)의 전체 둘레에 도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연결부(5)에 의해 연결된 2개의 광파이버(2)의 각각의 중심 O1, O2를 지나고, 또한 테이프 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2개의 광파이버(2)가 배열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 도면 중의 두께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선 L1, L2 사이의 연결제(수지)를 연결부(5)로 하고, 가상선 L1, L2와, 광파이버(2)의 외주면(착색층(2C)의 표면)과, 연결제의 외면으로 둘러싸인 영역(도면 중의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을 연결부 단면적 S로 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 단면적 S는, 측정값(실측값)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 단면적 S는, 연결부(5)에 있어서 2개의 광파이버(2) 및 연결부(5)를 절단하고, 마이크로스코프로 단면을 촬영하고, 면적 산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촬영 화상상의 연결부 단면적 S를 측정한 수치이다.
또한, 도 7A에 나타내는 연결부(5)의 단면 형상은, 중앙부에 오목형의 잘록부가 있고, 연결부(5)의 표면이 우그러져 있다. 단, 연결부(5)의 단면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5)의 표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연결부(5)에 의해 연결된 2개의 광파이버(2)의 각각의 중심 O1, O2를 지나고, 또한 테이프 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2개의 광파이버(2)가 배열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 도면 중의 두께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선 L1, L2 사이의 연결제(수지)를 연결부(5)로 하고, 가상선 L1, L2와, 광파이버(2)의 외주면(착색층(2C)의 표면)과, 연결제의 외면으로 둘러싸인 영역(도면 중의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을 연결부 단면적 S로 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2)의 외주나, 인접하는 광파이버(2)의 사이에, 액상의 연결제를 도포한 후, 오목부(421)를 갖는 회전 날(421)에 의해, 광파이버(2)의 사이에 도포된 연결제의 일부를 남기면서, 일부를 제거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A나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2)의 전체 둘레에는, 연결부(5)를 구성하는 수지(연결제)가 형성되어 있다. 단, 연결부(5)의 형상이나 제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에 의해 광파이버(2)의 사이에 연결제를 도포함으로써,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2) 외주의 일부만큼 연결제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5)의 표면이 우그러져 있어도 좋고,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5)의 표면이 평평하여도 좋고,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5)의 표면이 볼록형으로 부풀어 있어도 좋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도, 연결부(5)에 의해 연결된 2개의 광파이버(2)의 각각의 중심 O1, O2를 지나고, 또한 테이프 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2개의 광파이버(2)가 배열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 도면 중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2개의 가상선 L1, L2 사이의 연결제(수지)를 연결부(5)로 하고, 가상선 L1, L2와, 광파이버(2)의 외주면(착색층(2C)의 표면)과, 연결제의 외면으로 둘러싸인 영역(도면 중의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을 연결부 단면적 S로 한다. 또한, 연결부(5)의 다른 제법으로서, 연결제를 일단 경화시키고 나서 연결부의 일부를 절단시켜도 좋다.
광파이버(2)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5)가 존재하는 비율을 연결율 R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율 R은, R=(a/p)×(2/n)로 하여 산출한 값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의 경우, 광파이버(2)의 테이프 폭 방향의 양측에 연결부(5)가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율 R은, (a/p)의 2배가 된다.
또한, 연결부 1개당의 수축량을 체적 수축량 Vc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 1개당의 체적 수축량 Vc는, Vc=S×a×A로 하여 산출한 값이다.
또한, 1개의 광파이버(2)의 단위 길이(1m)당의 연결부(5)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를 Vf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1개의 광파이버(2)의 단위 길이(1m)당의 연결부(5)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를 "합계 체적 수축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Vf=Vc×(1000/p)×(2/n)로 하여 산출 가능하다. 이 때문에,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Vf=S×A×1000×R로 하여도 산출 가능하다. 이 산출식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연결부 단면적 S, 연결율 R 및 연결부 수축률 A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값이다.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연결부 단면적 S가 작을수록 작은 값이 된다. 또한,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연결율 R이 작을수록 작은 값이 된다. 또한,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연결부 수축률 A가 작을수록 작은 값이 된다.
<제1 실시예 : 연결부 단면적 S를 변경>
도 9는, 연결부 단면적 S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도 1에 나타내는 12심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작하였다(n=1).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 피치 p를 50mm로 하고, 연결부 길이 a는 10mm으로 하였다. 또한,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파이버 직경 D는 205㎛이며, 중심간 거리 L은 280㎛이며, 이격 거리 C는 75㎛이다.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율 R 및 연결부 수축률 A는 공통이다. 한편, 연결부 단면적 S는, 0.018(비교예 1), 0.011(실시예 1A), 0.008(실시예 1B)로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이 결과,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0.00080mm3/m.℃(비교예 1), 0.00049mm3/m·℃(실시예 1A), 0.00036mm3/m·℃로 각각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부 단면적 S를 변경함으로써,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하고 있다.
실시예(및 비교예)의 평가를 위하여, 실시예(및 비교예)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포함하는 광케이블에 대하여 -40℃ 내지 85℃의 범위로 2사이클 분의 온도 변화를 부가하고, 그 동안에 있어서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의 광파이버(2)의 손실 변동량을 측정하였다. 여기에서는, 손실 변동량(최댓값)이 0.05dB/km 이하의 경우에는 "양호"라고 평가하고, 손실 변동량(최댓값)이 0.05dB/k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량"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Telcordia GR-20-CORE Issue4(2013년)에 있어서 광케이블에 대하여 -40℃ 내지 70℃의 범위에서의 사이클 시험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사이클 시험보다도 엄격한 부가 조건(-40℃ 내지 85℃의 범위에서 2 사이클 분의 온도 변화)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IEC60793(제5판, 2015년)에 있어서 "0.05dB/km 이하"라는 규격이 있고, 이 규격과 동등한 손실 변동량을 평가 기준으로 하고 있다.
비교예 1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8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불량"이 되었다. 한편, 실시예 1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5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실시예 1B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2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부 단면적 S가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합계 체적 수축량 Vf가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합계 체적 수축량 Vf가 0.0070mm3/m·℃ 이하인 경우에는, 평가 결과가 "양호(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로 되어 있다.
<제2 실시예 : 연결부 수축률 A를 변경>
도 10은, 연결부 수축률 A(또는 연결부 영률 E)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내는 12심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작하였다(n=1),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 피치 p를 50mm로 하고, 연결부 길이 a는 10mm로 하였다. 또한,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파이버 직경 D는 205㎛이며, 중심간 거리 L은 280㎛이며, 이격 거리 C는 75㎛이다.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부 단면적 S 및 연결율 R은 공통이다. 한편, 연결부 수축률 A는, 0.00015(비교예 2A), 0,00011(비교예 2B), 0,00009(실시예 2A), 0.0006(실시예 2B)로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이 결과,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0.00107mm3/m·℃(비교예 2A), 0.00080mm3/m·℃(비교예 2B), 0.00063mm3/m·℃(실시예 2A), 0.00045mm3/m·℃(실시예 2B)로 각각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부 수축률 A를 변경함으로써,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하고있다.
비교예 2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10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불량"이 되었다. 또한, 비교예 2B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8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불량"이 되었다. 한편, 실시예 2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3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또한, 실시예 2B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2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부 수축률 A가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합계 체적 수축량 Vf가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합계 체적 수축량이 0.0070mm3/m·℃ 이하인 경우에는, 평가 결과가 "양호(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로 되어 있다.
<제3 실시예 : 연결율 R을 변경>
도 11은, 연결율 R을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내는 12심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작하였다(n=1).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파이버 직경 D는 205㎛이며, 중심간 거리 L은 280㎛이며, 이격 거리 C는 75㎛이다.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부 단면적 S 및 연결부 수축률 A는 공통이다. 한편, 연결율 R은, 0.40(비교예 3), 0.34(실시예 3A), 0.27(실시예 3B)로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이 결과,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0.00080mm3/m·℃(비교예 3), 0.00069mm3/m·℃(실시예 3A), 0.00054mm3/m·℃(실시예 3B)로 각각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율 R을 변경함으로써,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하고 있다.
비교예 3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8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불량"이 되었다. 한편, 실시예 3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3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또한, 실시예 3B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1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율 R이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합계 체적 수축량 Vf가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합계 체적 수축량이 0.0070mm3/m·℃ 이하인 경우에는, 평가 결과가 "양호(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로 되어 있다.
<제4 실시예 : 연결 피치 p·연결부 길이 a를 변경>
도 12는, 연결 피치 p·연결부 길이 a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내는 12심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작하였다(n=1).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파이버 직경 D는 205㎛이며, 중심간 거리 L은 280㎛이며, 이격 거리 C는 75㎛이다.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서는, 연결 피치 p는, 30mm(비교예 4A, 실시예 4A), 50mm(비교예 4B, 실시예 4B), 70mm(비교예 4C, 실시예 4C)로 각각 다르다. 또한, 연결부 길이 a는, 6mm(비교예 4A, 실시예 4A), 10mm(비교예 4B, 실시예 4B), 14mm (비교예 4C, 실시예 4C)로 각각 다르다. 단,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율 R은 0.40으로 공통이다.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부 수축률 A 및 연결율 R은 공통이다. 한편, 연결부 단면적은, 0.018mm2(비교예 4A 내지 4C), 0.011mm2(실시예 4A 내지 4C)로 각각 다르다(단, 비교예 4A 내지 4C의 연결부 단면적 S는 공통되어 있고, 실시예 4A 내지 4C의 연결부 단면적 S는 공통되어 있음). 이 결과,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0.00080mm3/m·℃(비교예 4A 내지 4C), 0,00049mm3/m·℃(실시예 4A 내지 4C)로 되어 있어, 비교예와 실시예는 다르다(단, 비교예 4A 내지 4C의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공통되어 있고, 실시예 4A 내지 4C의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공통되어 있음).
비교예 4A 내지 4C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5dB/km을 초과하고 있고, 평가 결과는 모두 "불량"이 되었다. 바꾸어 말하면, 합계 체적 수축량 Vf가 소정값(예를 들어 0.0070mm3/m·℃)을 초과하고 있을 경우, 연결 피치 p나 연결부 길이 a를 변경하여도, 손실 변동량이 소정값(0.05dB/km)을 초과해 버려, 평가 결과가 "불량"이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4A 내지 4C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가 되고, 평가 결과는 모두 "양호"가 되었다. 바꾸어 말하면, 합계 체적 수축량 Vf가 소정값 이하(예를 들어 0.0070mm3/m·℃ 이하)의 경우, 연결 피치 p나 연결부 길이 a를 변경하여도, 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가 되고, 평가 결과가 양호"가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4A와 실시예 4C(또는 비교예 4A와 비교예 4C)는, 연결 피치 p나 연결부 길이 a가 2배 이상이나 다름에도 불구하고, 손실 변동량의 차이는 얼마 안되었다. 이에 비해, 전술한 제3 실시예(도 11 참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3, 실시예 3A 및 실시예 3B는 연결율 R의 차이가 2배 미만임에도 불구하고, 연결율 R의 차이에 따라, 손실 변동량이 크게 달랐다. 이것으로부터, 손실 변동량은, 연결 피치 p나 연결부 길이 a에 의한 영향보다도, 연결율 R에 상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 때문에, 손실 변동량은, 합계 체적 수축량 Vf에 대해서도 상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제5 실시예 : 중심간 거리 L, 이격 거리 C를 변경>
도 13은, 중심간 거리 L(및 이격 거리 C)을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내는 12심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작하였다(n=1).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파이버 직경 D는 205㎛이며, 연결 피치 p는 50mm이며, 연결부 길이는 10mm이다.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서는, 중심간 거리 L은 300㎛(비교예 5A), 280㎛(비교예 5B), 260㎛(실시예 5A)로 각각 다르다. 중심간 거리 L이 각각 다른 것에 수반하고,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서는, 이격 거리 C는, 95㎛(비교예 5A), 75㎛(비교예 5B), 55㎛(실시예 5A)로 각각 다르다.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을 R 및 연결부 수축률 A는 공통이다. 한편, 연결부 단면적 S는, 중심간 거리 L(및 이격 거리 C)이 다른 관계상, 0.024(비교예 5A), 0.018(실시예 5B), 0.013(실시예 5A)로 각각 다르다. 이 결과,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0.00107mm3/m·℃(비교예 5A), 0.00080mm3/m·℃(비교예 5B), 0.00058mm3/m·℃(실시예 5A)로 각각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중심간 거리 L(및 이격 거리 C)을 변경함으로써, 연결부 단면적 S를 변경하고,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하고 있다.
비교예 5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13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불량"이 되었다. 또한, 비교예 5B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8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불량"이 되었다. 한편, 실시예 5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4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부 단면적 S가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합계 체적 수축량 Vf가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합계 체적 수축량이 0.0070mm3/m·℃ 이하인 경우에는, 평가 결과가 양호(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로 되어 있다.
<제6 실시예 : 파이버 직경 D를 변경>
도 14는, 파이버 직경 D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내는 12심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작하였다(n=1).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 피치 p는 50mm이며, 연결부 길이는 10mm이다.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서는, 파이버 직경 D는 180㎛(비교예 6A), 220㎛(실시예 6A), 250㎛(실시예 6B)로 각각 다르다. 또한, 파이버 직경 D가 각각 다른 것에 수반하여,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서는, 이격 거리 C는 100㎛(비교예 6A), 60㎛(실시예 6A), 40㎛(실시예 6B)로 각각 다르다. 또한, 비교예 6A 및 실시예 6A에서는 중심간 거리 L은 280㎛인데, 실시예 6B에서는 중심간 거리 L은 290㎛이다.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율 R 및 연결부 수축률 A는 거의 공통이다. 한편, 연결부 단면적 S는, 이격 거리 C가 다른 관계상, 0.025(비교예 6A), 0.014(실시예 6A), 0.015(실시예 6B)로 각각 다르다. 이 결과,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0.00112mm3/m·℃(비교예 6A), 0.00063mm3/m ℃(실시예 6A), 0,00070mm3/m·℃(실시예 6B)로 각각 다르다.
비교예 6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14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불량"이 되었다. 한편, 실시예 6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3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또한, 실시예 6B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2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합계 체적 수축량이 0.0070mm3/m·℃ 이하인 경우에는, 평가 결과가 양호(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로 되어 있다.
<제7 실시예 : 세경 파이버에 있어서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
도 15는, 파이버 직경 D가 180㎛의 상황 하에서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도 1에 나타내는 12심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작하였다(n=1).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 피치 p를 50mm로 하고, 연결부 길이 a는 10mm로 하였다. 또한,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파이버 직경 D는 180㎛이며, 중심간 거리 L은 280㎛이며, 이격 거리 C는 100㎛이다.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부 단면적 S 및 연결율 R은 공통이다. 한편, 연결부 수축률 A는, 0.00011(비교예 7A), 0.00009(비교예 7B), 0,00006(실시예 7A)로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이 결과,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0.00112mm3/m·℃(비교예 7A), 0.00087mm3/m·℃(비교예 7B), 0.00062mm3/m·℃(실시예 7A)로 각각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부 수축률 A를 변경함으로써,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하고 있다.
비교예 7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14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불량"이 되었다. 또한, 비교예 7B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9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불량"이 되었다. 한편, 실시예 7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4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파이버 직경 D가 180㎛인 경우에 있어서도 파이버 직경이 205㎛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결부 수축률 A가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파이버 직경 D가 180㎛인 경우에 있어서도 파이버 직경이 205㎛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합계 체적 수축량 Vf가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합계 체적 수축량이 0.0070mm3/m·℃ 이하인 경우에는, 평가 결과가 "양호(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로 되어 있다.
<제8 실시예 : 연결 파이버 심수 n을 변경)
도 16은, 연결 파이버 심수 n이 2인 경우의 실시예 설명도이다.
실시예 8A 내지 8C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12심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작하였다(n=2). 실시예 8A 내지 8C에서는, 파이버 직경 D는 205㎛이며, 중심간 거리 L은 270㎛이며, 이격 거리 C는 65㎛이다. 실시예 8A 내지 8C에서는, 연결 피치 p는, 50mm(실시예 8A), 70mm(실시예 8B), 150mm(실시예 8C)로 각각 다르다. 또한, 연결부 길이 a는, 10mm(실시예 8A), 14mm(실시예 8B), 30mm(실시예 8C)로 각각 다르다. 단, 실시예 8A 내지 8C의 연결율 R은 0.20으로 공통이다. 또한, 실시예 8A 내지 8C에서는, 연결부 단면적 S, 연결부 수축률 A 및 연결율 R은 공통이다. 이 결과, 실시예 8A 내지 8C에서는,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0.00041mm3/m·℃으로 공통이다. 그리고, 실시예 8A 내지 8C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가 되고, 평가 결과는 모두 "양호"가 되었다. 바꾸어 말하면, 합계 체적 수축량 Vf가 소정값 이하(예를 들어 0.0070mm3/m·℃ 이하)의 경우, 연결 피치 p나 연결부 길이 a를 변경하여도, 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가 되고, 평가 결과가 "양호"가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9 실시예 : n=2에 있어서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
도 17은, 연결 파이버 심수 n이 2인 상황 하에서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설명도이다.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12심의 간헐 연결형의 광파이버 테이프(1)를 제작하였다(n=2).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파이버 직경 D는 205㎛이며, 중심간 거리 L은 270㎛이며, 이격 거리 C는 65㎛이다.
어느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연결부 단면적 S 및 연결부 수축률 A는 공통이다. 한편, 연결율 R은, 0.40(비교예 9A), 0.20(실시예 9A), 0.07(실시예 9B)로 각각 다르게 하고 있다. 이 결과, 합계 체적 수축량 Vf는 0,00082mm3/m·℃(비교예 9A), 0.00041mm3/m·℃(실시예 9A), 0,00014mm3/m·℃(실시예 9B)로 각각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율 R을 변경함으로써, 합계 체적 수축량 Vf를 변경하고 있다.
비교예 9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6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불량"이 되었다. 한편, 실시예 19A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1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또한, 실시예 9B에서는, 손실 변동량이 0.01dB/km가 되고, 평가 결과는 "양호"가 되었다.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 파이버 심수 n이 2인 경우에 있어서도, 연결 파이버 심수 n이 1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결율 R이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평가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 파이버 심수 n이 2인 경우에 있어서도, 연결 파이버 심수 n이 1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합계 체적 수축량 Vf가 작아질수록, 손실 변동량(dB/km)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및 비교예)에 있어서도, 합계 체적 수축량이 0.0070mm3/m·℃ 이하인 경우에는, 평가 결과가 "양호(손실 변동량이 0.05dB/km 이하)"로 되어 있다.
그런데, 도 16에 나타내는 전술한 실시예 8A와 실시예 8C는, 연결 피치 p나 연결부 길이 a가 3배 정도 다름에도 불구하고, 연결율 R이나 합계 체적 수축률 Vf가 거의 공통이기 때문에, 손실 변동량의 차이는 얼마 안되었다. 이에 비해, 제9 실시예(비교예 9A, 실시예 9A, 9B)에서는, 연결율 R이나 합계 체적 수축률 Vf가 각각 다르고, 이 결과, 손실 변동량의 차이가 컸다. 이것으로부터, 손실 변동량은, 연결 피치 p나 연결부 길이 a에 의한 영향보다도, 지금까지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합계 체적 수축량 Vf에 대하여 상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타===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해서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 광파이버 테이프
2 광파이버
2A 광파이버부
2B 피복층
2C 착색층
3 파이버쌍
5 연결부
7 비연결부
10 파이버 공급부
20 인쇄 장치
30 착색 장치
40 테이프화 장치
41 도포부
42 제거부
421 회전 날
421A 오목부
43 광원
50 드럼
100 제조 시스템

Claims (5)

  1. 폭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광파이버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파이버를 간헐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구비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이며,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중심간 거리는, 상기 광파이버의 직경보다도 크고,
    1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1m당의 상기 연결부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가, 0.00070 mm3/m·℃ 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단심의 광파이버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간헐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 피치를 p(mm)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a(mm)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1℃당의 수축률을 A(/℃)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을 S(mm2)로 하고,
    상기 광파이버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가 존재하는 비율 R을
    R=(a/p)×2
    로 하고,
    1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1m당의 상기 연결부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 Vf(mm3/m·℃)를
    Vf=S×A×1000×R
    로 했을 때,
    Vf≤0.000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광파이버에 의해 구성된 파이버쌍이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간헐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 피치를 p(mm)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a(mm)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1℃당의 수축률을 A(/℃)로 하고,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을 S(mm2)로 하고,
    상기 광파이버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가 존재하는 비율 R을
    R=a/p
    로 하고,
    1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1m당의 상기 연결부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 Vf(mm3/m·℃)를
    Vf=S×A×1000×R
    로 했을 때,
    Vf≤0.000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의 직경이, 22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5. 복수의 광파이버를 공급하는 공정과,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파이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간헐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를 형성하는 공정
    을 행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의 제조 방법이며,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중심간 거리는, 상기 광파이버의 직경보다도 크고,
    1개의 상기 광파이버의 1m당의 상기 연결부의 체적 수축량의 합계가, 0.00070 mm3/m·℃ 이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0217040146A 2019-10-30 2019-10-30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및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408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42515 WO2021084640A1 (ja) 2019-10-30 2019-10-30 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及び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749A true KR20210153749A (ko) 2021-12-17
KR102408811B1 KR102408811B1 (ko) 2022-06-14

Family

ID=7571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146A KR102408811B1 (ko) 2019-10-30 2019-10-30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및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36922B2 (ko)
EP (1) EP4053610A4 (ko)
KR (1) KR102408811B1 (ko)
CN (1) CN114008503B (ko)
AU (1) AU2019472715B2 (ko)
CA (1) CA3150300C (ko)
WO (1) WO2021084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7026B2 (ja) * 2019-09-12 2022-10-1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整列方法、光ファイバ融着方法、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間欠連結型の光ファイバテープ
CN113359230B (zh) * 2021-05-18 2022-04-29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光纤带及光缆
US11947174B2 (en) * 2021-11-26 2024-04-02 Sterlite Technololgies Limited Rollable optical fibre ribbon with intermittent bonding
US11953743B2 (en) * 2021-11-29 2024-04-09 Sterlite Technologies Limited Optical fibre ribbon with optimized number of bonds
CN114384657B (zh) * 2022-03-25 2022-08-02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阻水柔性光纤带以及全干式高密度光缆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5635A1 (en) * 2001-08-13 2003-02-20 Chastain Scott M. Air blown fiber (ABF) cable with low composi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JP2009510520A (ja) 2005-09-30 2009-03-12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曲げ損失光ファイバ
JP2010008923A (ja) 2008-06-30 2010-01-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3088617A (ja) 2011-10-18 2013-05-13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その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を収納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4157382A (ja) * 2014-06-06 2014-08-2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その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を収納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5219355A (ja) 2014-05-16 2015-12-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テープ心線、および光ケーブル
JP2016001338A (ja) 2015-08-28 2016-01-0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6060647A1 (en) * 2014-10-14 2016-04-21 Prysmian S.P.A. Central loose tube optical-fiber cable
JP2016184170A (ja) 2016-05-13 2016-10-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ケーブル
JP2017026754A (ja) 2015-07-21 2017-02-02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8117068A1 (ja) * 2016-12-20 2018-06-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間欠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及び光ファイバ間欠テープ心線
WO2018182670A1 (en) * 2017-03-31 2018-10-04 Afl Telecommunications Llc Single jacket reduced diameter ruggedized fiber optic distribution cables
JP6453970B1 (ja) * 2017-10-05 2019-01-16 株式会社フジクラ 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及び、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953A (ja) 1991-09-03 1993-03-1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伝送用ガラスフアイバ
JP2003232972A (ja) * 2002-02-07 2003-08-2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EP1507156A4 (en) * 2002-05-17 2005-09-0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BANDING FIBER OPTIC CORE, PRODUCTION METHOD THEREFOR, A BAND CORE LEADING CONNECTOR, A BAND CORE LEADING FIBER OPTIC ARRAY AND OPTICAL WIRING SYSTEM
JP4877067B2 (ja) 2007-05-22 2012-02-15 日立電線株式会社 光ファイバ、光ファイバの接続構造および光コネクタ
JP5235125B2 (ja) 2008-11-13 2013-07-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200093B2 (ja) * 2010-11-18 2013-05-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並びに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5944762B2 (ja) * 2012-07-03 2016-07-05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間欠型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6061871A (ja) 2014-09-17 2016-04-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6075746A (ja) * 2014-10-03 2016-05-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間欠型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6569429B2 (ja) * 2015-09-25 2019-09-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JP6106253B1 (ja) 2015-12-04 2017-03-2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テープ、光ファイバ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間欠固定型光ファイバテープの連結部の形成に用いられる紫外線硬化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5635A1 (en) * 2001-08-13 2003-02-20 Chastain Scott M. Air blown fiber (ABF) cable with low composi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JP2009510520A (ja) 2005-09-30 2009-03-12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曲げ損失光ファイバ
JP2010008923A (ja) 2008-06-30 2010-01-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3088617A (ja) 2011-10-18 2013-05-13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その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を収納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5219355A (ja) 2014-05-16 2015-12-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テープ心線、および光ケーブル
JP2014157382A (ja) * 2014-06-06 2014-08-2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その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を収納し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6060647A1 (en) * 2014-10-14 2016-04-21 Prysmian S.P.A. Central loose tube optical-fiber cable
JP2017026754A (ja) 2015-07-21 2017-02-02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6001338A (ja) 2015-08-28 2016-01-0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16184170A (ja) 2016-05-13 2016-10-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ケーブル
WO2018117068A1 (ja) * 2016-12-20 2018-06-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間欠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及び光ファイバ間欠テープ心線
WO2018182670A1 (en) * 2017-03-31 2018-10-04 Afl Telecommunications Llc Single jacket reduced diameter ruggedized fiber optic distribution cables
JP6453970B1 (ja) * 2017-10-05 2019-01-16 株式会社フジクラ 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及び、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4640A1 (ja) 2021-05-06
CN114008503B (zh) 2023-06-23
AU2019472715A1 (en) 2022-03-03
CA3150300A1 (en) 2021-05-06
EP4053610A1 (en) 2022-09-07
AU2019472715B2 (en) 2022-11-03
EP4053610A4 (en) 2023-07-12
CA3150300C (en) 2022-08-09
CN114008503A (zh) 2022-02-01
KR102408811B1 (ko) 2022-06-14
US11536922B2 (en) 2022-12-27
US20220269023A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811B1 (ko)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 및 간헐 연결형 광파이버 테이프의 제조 방법
WO2014181730A1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5502082A (ja) 光相互接続組立体及び方法
EP1556725A1 (en) Peelable buffer layer having a preferential tear por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255740B (zh) 一种多芯光纤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6808686B2 (ja) 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及び間欠連結型光ファイバテープの製造方法
US20170285258A1 (en) Optical Fiber, and Optical-Fiber Production Method
RU268889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изготовления оптоволоконной ленты
US20240134140A1 (en) Intermittently connected optical fiber ribbon
CN104081234A (zh) 多芯光纤带
TWI739195B (zh) 間斷連結型光纖膠帶,及間斷連結型光纖膠帶的製造方法
JP7297643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及び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装置
JP2016001338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9156217A1 (ja) マルチコアファイバおよびその製造装置
WO2023037963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敷設方法、及び、光伝送システム
JP2003344731A (ja) 偏波保持光ファイバ伝送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38736A (ja) 偏波保持光ファイバ及び偏波保持光ファイバの調軸方法
JP2022132153A (ja) ケーブルアセンブリ
JP2007011235A (ja) 被覆光ファイバ心線の製造方法及び被覆光ファイバ心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