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317A -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317A
KR20210153317A KR1020200070216A KR20200070216A KR20210153317A KR 20210153317 A KR20210153317 A KR 20210153317A KR 1020200070216 A KR1020200070216 A KR 1020200070216A KR 20200070216 A KR20200070216 A KR 20200070216A KR 20210153317 A KR20210153317 A KR 20210153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rika
genus
food composition
functional food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364B1 (ko
Inventor
조동하
왕명현
칸다사미 사라바나구마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3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5Rhamnosus
    • A23Y2220/7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하여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며, 항산화효과와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갖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unctional food composition extracted from paprika}
본 발명은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하여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며, 항산화효과와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갖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로 오면서, 사람들은 건강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국부적인 질병에 대한 치료를 위해서는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고 합리적이나, 전반적인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식품 조성물을 이용해, 면역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항균, 항암 등의 유해 요소를 차단하는 것이 시급하다.
항산화는 산화를 억제한다는 의미로, 세포의 노화과정과 이를 예방하는 방법을 설명할 때 주로 등장하는 개념이다. 즉, 세포의 노화가 세포의 산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사람의 호흡을 통해 체내로 들어온 산소는 인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등 이로운 작용도 하지만, 이 과정에서 몸에 좋지 않은 여분의 산소인 활성산소(Free Radical)가 생성된다. 활성산소는 체내의 정상 세포를 공격하여 노화나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것이 세포의 산화(노화)를 막는 방법이며, 이러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이 항산화이다. 인체에는 활성산소를 해가 없는 물질로 바꿔주는 효소(항산화효소)도 있어 활성산소의 무제한 증가를 막아준다. 다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효소의 활성산소 제거 능력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식품을 통해 항산화 물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평소 신선한 채소와 과일 등을 자주 섭취해야 하는데, 특히 강한 색을 띤 과일과 채소(컬러푸드(Color Foods))에는 좋은 항산화제가 많이 함유돼 있다. 반면 옥수수유나 마가린, 튀긴 음식처럼 쉽게 산화돼 활성산소를 발생시키는 식품의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다.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 또한 중요하다. 식중독이란 식품의 섭취에 연관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독소에 의해 발생한 것이 의심되는 모든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식품위생법 제2조 제14호)을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식품 또는 물의 섭취에 의해 발생되었거나 발생된 것으로 생각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으로 규정하고 있다. 장염은 말은 소장이나 대장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하며 대부분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고 증상이 유사하기 때문에 식중독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집단식중독은 식품 섭취로 인하여 2인 이상의 사람에서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일으킨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식중독 원인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ca, Pseudomonas aeruginosa, 및 Escherichia coli 등이 있다.
항암은 암을 치료하는 것, 더 나아가 암세포를 제거하는 것을 뜻한다. 종양세포의 증식을 좀더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암의 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화합물. 고형종양에 대한 치료는 외과적으로 할 수 있지만, 백혈병과 림프종에 대해서는 항암물질에 의한 화학요법이 효과적이다. 종양세포와 정상세포는 유사한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선택독성을 나타내는 항암물질은 적다. 그러나, 화학요법은 부작용의 위험이 따르는 바, 천연물질을 이용한 식품이 주목받고 있다.
항산화, 항균, 항암 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식품은 아직 그 연구 수준이 미미한 실정이며, 그 효과 역시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항산화, 항균, 항암 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1307호(2015.10.29. 공개), "항산화, 항암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으름잎식초의 제조방법, 제조된 으름잎식초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하여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며, 항산화효과와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갖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프리카를 분쇄하여 파프리카 분쇄물을 제조하는 분쇄 단계(S10); 상기 분쇄 단계(S1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제조하는 발효 단계(S20) 및, 상기 발효 단계(S2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추출용매를 이용해 추출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효 단계(S20)의 유산균은 카르노박테리움속, 엔테로코커스속, 락토바실러스속, 락토코커스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스트렙토코커스속, 테트라제노코커스속, 바고코커스속, 바이쎌라속 및 비피더스속 균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 단계(S20)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 단계(S20)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 단계(S30)에서는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메탄올을 이용해 20 ~ 30℃에서 12 ~ 4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 단계(S30)를 수행한 다음, 상기 추출 단계(S3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60 ~ 96시간 동안 동결건조하는 추가 가공 단계(S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프리카를 분쇄하고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추출용매로 추출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카르노박테리움속, 엔테로코커스속, 락토바실러스속, 락토코커스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스트렙토코커스속, 테트라제노코커스속, 바고코커스속, 바이쎌라속 및 비피더스속 균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프리카를 분쇄하고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메탄올을 이용해 20 ~ 30℃에서 12 ~ 48시간 동안 추출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60 ~ 96시간 동안 동결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항산화효과와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하여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며, 항산화효과와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총 페놀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DPPH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ABTS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박테리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실시예 1의 식품조성물에 의해 박테리아 Bacillus cereus의 세포벽이 파괴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8은 Bacillus cereus의 세포벽이 비교예 1의 식품조성물에 손상이 없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9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A459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NIH3T3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A459에 대한 활성 산소 종 유발을 나타낸 사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다.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파프리카를 분쇄하여 파프리카 분쇄물을 제조하는 분쇄 단계(S10);
상기 분쇄 단계(S1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제조하는 발효 단계(S20) 및,
상기 발효 단계(S2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추출용매를 이용해 추출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 단계(S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분쇄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분쇄 단계(S10)에서는 파프리카를 분쇄하여 파프리카 분쇄물을 제조한다.
상기 분쇄 단계(S10)에서의 파프리카는 파프리카 종(Capsicum annuum var . angulosum)의 열매를 지칭한다. 상기 파프리카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한해살이풀로 중앙아메리카 원산이다. 상기 파프리카는 영명으로는 'sweet pepper' 또는 'bell pepper'라고 한다. 상기 파프리카의 식물체는 2m 이상 자랄 수 있고 가지가 적게 갈라지며, 잎은 7∼12cm이다. 꽃자루는 길이 2.5cm이고 화관은 지름 2∼5cm, 길이 2cm 정도이다. 상기 파프리카의 열매는 짧은 타원형으로 꼭대기가 납작하고 크며, 바닥은 오목하고 세로로 골이 져 있다. 상기 파프리카는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샐러드용 등으로 많이 사용되어 일 년 내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파프리카의 재배에는 고온이 필요하므로 겨울철 재배는 남부 지방이나 가온 장치가 되어 있는 재배실에서 한다.
상기 분쇄 단계(S10)에서 사용되는 파프리카는 적색 또는 노란색인 것이 적절하며, 500g 내지 900g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분쇄 단계(S10)에서는 파프리카를 믹서기에 넣고 분쇄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발효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발효 단계(S20)에서는 상기 분쇄 단계(S1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제조한다.
상기 발효 단계(S2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산균의 종류로는 카르노박테리움속(Carnobacterium), 엔테로코커스속(Enterococcus),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류코노스톡속(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속(Pediococcus), 스트렙토코커스속(Streptococcus), 테트라제노코커스속(Tetragenococcus), 바고코커스속(Vagococcus), 바이쎌라속(Weissella) 및 비피더스속(Bifidobacterium) 균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락토바실러스속 균주는 안전성이 우수하여 여러 연구에 사용되고 있으며 정상적으로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장관에 일정한 균총을 생성하고 면역증진작용, 유해독소의 중화 및 합성차단, 영양분의 소화흡수의 증대 그리고 여러 유익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있어 사람은 물론 동물에게도 많이 투여되고 있다.
보다 적절하게, 상기 발효 단계(S20)에서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ATCC 5310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Lactobacillus rhamnosus GG는 ATCC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는 크리스찬 한센 균주로, 산과 담즙산에 안전하고, 장내 접착력이 우수하며, Lactic acid(락트산)을 생산하는 균주이기도 하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는 어린이의 급성 설사의 위험을 줄여주는 균주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는 어린이 호흡기 가염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다. 그리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는 아토피성 습진의 증상을 경감시키고 장내 피를 완화 시키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TSA 배지, TSB 배지를 이용하여 두 번에 걸쳐 배양되고, 일정한 온도와 시간으로 배양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TSA 배지를 이용하여 35 ~ 39℃의 온도로 12 ~ 48시간 동안 1차 배양하고, TSB 배지를 이용하여 35 ~ 39℃의 온도로 15 ~ 18시간 동안 2차 배양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배양 온도와 배양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효과와, 항산화효과,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갖는데 가장 적절한 수치이다.
상기 발효 단계(S20)에서의 발효 기간은 15 ~ 35℃의 온도에서 12 ~ 48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다름으로, 추출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추출 단계(S30)에서는 상기 발효 단계(S2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추출용매를 이용해 추출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추출 단계(S30)에서의 추출용매로는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적절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 단계(S30)에서의 추출용매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이다.
상기 메탄올은 메탄올(methanol 또는 methyl alcohol) 또는 메틸 알코올이라고 부르며 나무로부터 많이 얻어진다고 하여 목정(wood spirit) 이라고도 한다. 1661년에 보일(Robert Boyle)에 의해 회양목의 증류 과정에서 최초로 분리되었다. MeOH로 쓰기도 하며, 알코올 중에서 가장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보다 가볍고, 무색의 가연성이 있는 극성을 띠는 액체이며, 맛과 냄새는 술의 주성분인 에탄올과 비슷하다. 부동액, 연료 등으로 쓰이며 다양한 화학 반응에서 용매 또는 주요한 출발 물질로 사용된다.
상기 추출 단계(S30)에서는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메탄올을 이용해 20 ~ 30℃에서 12 ~ 48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추출 단계(S30)에서 얻어진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추가적인 가공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 단계(S30)를 수행한 다음, 상기 추출 단계(S3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60 ~ 96시간 동안 동결건조하는 추가 가공 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가공 단계(S40)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보관상의 이점을 가지며,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과정을 통해 유효성분이 더욱 농축되어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함유량과, 항산화효과,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가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른, 본 발명의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파프리카를 분쇄하고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메탄올을 이용해 20 ~ 30℃에서 12 ~ 48시간 동안 추출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60 ~ 96시간 동안 동결건조한 것이다.
한편, 상기 유산균은 카르노박테리움속, 엔테로코커스속, 락토바실러스속, 락토코커스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스트렙토코커스속, 테트라제노코커스속, 바고코커스속, 바이쎌라속 및 비피더스속 균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일 수 있다. 가장 적절하게,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항산화효과와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갖는다.
이하,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갖는 효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과정을 거쳐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분쇄 단계(S10): 적색 또는 노란색의 파프리카 700g을 믹서기에 넣고 분쇄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발효 단계(S20): 상기 단계(S1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물에, TSA 배지를 이용하여 37℃의 온도로 16시간 동안 1차 배양하고, TSB 배지를 이용하여 37℃의 온도로 16시간 동안 2차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ATCC 53103) 균주를 이용해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발효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추출 단계(S30):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메탄올을 이용해 2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가 가공 단계(S40): 상기 단계(S3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비교예 1. 발효단계를 배제한 식품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과정을 거쳐 비교예 1의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되, 유산균을 이용해 발효하는 단계를 생략하였다.
분쇄 단계(S10): 적색 또는 노란색의 파프리카 700g을 믹서기에 넣고 분쇄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추출 단계(S30): 상기 단계(S1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물을 메탄올을 이용해 2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가 가공 단계(S40): 상기 단계(S3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비교예 2. 추가 가공 단계를 배제한 식품 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과정을 거쳐 비교예 2의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되, 추가 가공 단계를 배제하였다.
분쇄 단계(S10): 적색 또는 노란색의 파프리카 700g을 믹서기에 넣고 분쇄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발효 단계(S20): 상기 단계(S1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물에, TSA 배지를 이용하여 37℃의 온도로 16시간 동안 1차 배양하고, TSB 배지를 이용하여 37℃의 온도로 16시간 동안 2차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ATCC 53103) 균주를 이용해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발효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추출 단계(S30):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메탄올을 이용해 2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추출용매로 정제수를 사용한 식품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과정을 거쳐 비교예 3의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되, 추출 단계에서의 추출용매로 정제수를 이용하였다.
분쇄 단계(S10): 적색 또는 노란색의 파프리카 700g을 믹서기에 넣고 분쇄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발효 단계(S20): 상기 단계(S1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물에, TSA 배지를 이용하여 37℃의 온도로 16시간 동안 1차 배양하고, TSB 배지를 이용하여 37℃의 온도로 16시간 동안 2차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ATCC 53103) 균주를 이용해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발효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추출 단계(S30):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정제수를 이용해 2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가 가공 단계(S40): 상기 단계(S3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비교예 4.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한 식품조성물의 제조
하기 제조과정을 거쳐 비교예 3의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되, 추출 단계에서의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이용하였다.
분쇄 단계(S10): 적색 또는 노란색의 파프리카 700g을 믹서기에 넣고 분쇄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발효 단계(S20): 상기 단계(S1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물에, TSA 배지를 이용하여 37℃의 온도로 16시간 동안 1차 배양하고, TSB 배지를 이용하여 37℃의 온도로 16시간 동안 2차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ATCC 53103) 균주를 이용해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발효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추출 단계(S30):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에탄올을 이용해 2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함으로써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가 가공 단계(S40): 상기 단계(S3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실험예 1. 총 페놀 함량( TPC )의 측정
총 페놀 함량(TPC)은 Folin-reagent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갈산을 표준물질로 하여 25mL의 갈색 플라스크에 0.5mL를 넣고 증류수를 이용해 혼합하여 부피를 10mL로 구성하고, 0.5mL의 Folin 시약을 잘 혼합하였다. 또한, 1.5mL의 20% NA2CO3 용액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30℃에서 30분 동안 배양하고 이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한편, 샘플의 분석을 위해, 25mL의 갈색 플라스크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조성물 0.5mL와 증류수 9.5mL를 혼합한 다음, 0.5mL의 Folin 시약을 잘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1.5mL의 20% NA2CO3 용액을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30℃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샘플에 대하여, UV-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반응 혼합물의 흡광도를 760nm에서 측정하였다. 샘플의 TPC는 표준 곡선으로부터 유도된 회귀 방정식(regression equation derived from the standard curve)으로 계산되어 대조군에 대한 퍼센테이지로 나타내었다.
총 페놀 량(% of control)
대조군 100%
실시예1 96.25%
비교예1 74.38%
비교예2 73.24%
비교예3 82.58%
비교예4 88.92%
그 결과,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의 페놀 함량이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의 모든 제조과정을 거쳤을 때 나타난 결과이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식품 조성물이 페놀을 가장 우수하게 농축하여 함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TFC )의 측정
샘플 중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TFC)은 염화알루미늄(AlCl3) 비색 분석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100mL의 플라스크에 무수 에탄올 중에 0.01g의 루틴을 용해하여 0.1mg.mL-1의 최종 농도를 갖도록 표준 루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50mL 플라스크에 4mL의 루틴과 1.0mL의 AlCl용액 및 1.0mL의 KCOOH용액을 첨가하고 잘 혼합하고 이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한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조성물 0.7g을 60%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수직 응축 회수 튜브(vertical condensation return tube)에 연결하고 70℃의 수조에서 60분 동안 환류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샘플을 제조한 다음, 여액을 수집하고 100mL로 희석하였다. 측정을 위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샘플 용액 4mL를 50mL 부피 플라스크에 넣고, 1.0mL의 AlCl용액 및 1.0mL의 KCOOH용액을 첨가하고 잘 혼합하였다.
상기 과정을 거쳐 얻어진 시료들을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필터막(0.22㎛)을 통해 여과하고, 여과액을 분관 광도계를 사용하여 510nm에서 측정하였다. 샘플의 총 플라보노이드는 표준 루틴 곡선에서 얻은 회귀 방정식(regression equation derived from the standard curve)에 따라 계산되어 대조군에 대한 퍼센테이지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량(% of control)
대조군 100%
실시예1 91.41%
비교예1 76.86%
비교예2 78.32%
비교예3 84.24%
비교예4 86.42%
그 결과,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의 모든 제조과정을 거쳤을 때 나타난 결과이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식품 조성물이 플라보노이드를 가장 우수하게 농축하여 함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항산화 효과 확인 ( DPPH 소거능 )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 조성물을 96 웰 플레이트에서 0.01 mM 메탄올 용액으로 제조된 DPPH 100 mL에 용해시키고 25℃에서 30분 동안 어두운 환경에서 배양하고, 이어서 흡광도를 UV-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515nm에서 측정하였다. 한편,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블랭크(blank) 샘플의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 DPPH 소거능(%) = 100 - (B/A) × 100
A: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웰의 흡광도
B: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조성물을 처리한 실험군 웰의 흡광도
DPPH 소거능(%)
실시예1 93.2
비교예1 74.5
비교예2 76.4
비교예3 86.8
비교예4 87.2
그 결과,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의 DPPH 소거능이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의 모든 제조과정을 거쳤을 때 나타난 결과이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DPPH 소거능을 가지며, 다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비교군에 비해 개선된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항산화 효과 확인 ( ABTS 소거능 )
ABTS 소거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우선, ABTS+ 표준용액은 0.2mL의 7.4mM ABTS를 2.6mM의 K2S2O8 인산 완충 용액에 용해시킨 후 어두운 환경의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함으로써 제조되었다.
0.8mL의 ABTS+ 표준용액과 0.2mL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 조성물을 Quartz Cuvette에 첨가하고, 10초 동안 진탕 시키고, 6분 동안 인큐베이션(incubation)한 후, UV-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블랭크(blank) 샘플의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 ABTS 소거능(%) = 100 - (B/A) × 100
A: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웰의 흡광도
B: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조성물을 처리한 실험군 웰의 흡광도
ABTS 소거능(%)
실시예1 91.3
비교예1 68.2
비교예2 70.2
비교예3 83.9
비교예4 84.5
그 결과,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의 ABTS 소거능이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의 모든 제조과정을 거쳤을 때 나타난 결과이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ABTS 소거능을 가지며, 다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비교군에 비해 개선된 항산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항균 효과 확인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조성물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그람양성균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실험에 앞서, Staphylococcus aureus(ATCC13150), Bacillus cereus(KNIH28), Salmonella enterica(ATCC14028), Pseudomonas aeruginosa(ATCC27853), 및 Escherichia coli(ATCC27853)로 구성된 박테리아 현탁액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균 균주는 서울 한국 미생물 센터에서 얻었다.
디스크 확산 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25℃에서 5mL의 멸균된 MHB(muller-hinton broth)에 박테리아 현탁액을 접종하여 병원균을 37℃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조성물 50㎕를 박테리아가 배양 중인 MHB에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눈금자를 사용하여 억제 구역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박테리아 억제 구역(mm)
실시예1 15.44
비교예1 6.67
비교예2 7.23
비교예3 11.92
비교예4 12.36
그 결과,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의 억제 구역이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넓게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의 모든 제조과정을 거쳤을 때 나타난 결과이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ca, Pseudomonas aeruginosa, 및 Escherichia coli로 구성된 박테리아 현탁액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가지며, 이를 통해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의한 박테리아의 세포벽 손상을 도 7 내지 도8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실시예 1의 식품조성물에 의해 박테리아 Bacillus cereus의 세포벽이 파괴된 모습을 나타내며, 이와 동시에 도 8은 Bacillus cereus의 세포벽이 비교예 1의 식품조성물에 손상이 없는 모습을 나타낸다.
실험예 5. 항암 효과 확인 (세포 사멸 효과)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WST키트에 의해 측정되었다.
적절한 양의 배양 배지(RPMI)를 첨가한 다음, 트립신-EDTA를 사용하여 A459 세포(암세포)를 수집하였다. 그 다음, 100 μL의 세포 용액을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분배하였다. 그리고, 플레이트를 24시간 동안 37℃, 5% Co2 환경을 갖는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조성물 10㎕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10㎕의 EZ-Cytox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1분 동안 부드럽게 진탕하였다.
또한, NIH3T3 세포(정상세포)에 대해서도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졌다.
각각의 실험군에 대하여 플레이트 리더(plate teader)를 사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였다.
A459(암세포)의 세포 생존율(%)
실시예1 79.67
비교예1 95.38
비교예2 86.26
비교예3 84.45
비교예4 82.64
NIH3T3(정상세포)의 세포 생존율(%)
실시예1 99.87
비교예1 96.66
비교예2 96.72
비교예3 97.85
비교예4 98.52
그 결과,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조성물 모두 NIH3T3 세포에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A459세포에 대해서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은 A459세포에 대하여, 사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1 내지 4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비교예 1은 A459세포에 대한 사멸효과를 거의 나타내지 못한 것에 비해, 실시예 1은 일정 수준 이상의 A459세포에 대한 사멸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A459세포, 즉 암세포에 대하여 세포 사멸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항암 효과 확인 (활성 산소 종 생성 확인)
적절한 양의 배양 배지(RPMI)를 첨가한 다음, 트립신-EDTA를 사용하여 A459 세포(암세포)를 수집하였다. 그 다음, 100 μL의 세포 용액을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분배하였다. 그리고, 플레이트를 24시간 동안 37℃, 5% Co2 환경을 갖는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식품조성물을 t상이한 농도로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10㎕의 EZ-Cytox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1분 동안 부드럽게 진탕하였다.
각 웰의 A549 세포를 AO/EB 및 DCFH-DA로 염색한 후, 활성 산소 종(ROS)의 생성을 형광 현미경(Olympus, CKX53 culture scope, Japan)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 산소 종(ROS)의 생성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4는 활성 산소 종(ROS)의 생성이 미미하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활성 산소 종은 암세포에 산화 스트레스를 자극하여 암세포의 아폽포시스(apoptosis)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페놀 함유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페놀에 대한 보존 능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함유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보존 능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DPPH 소거능 및 ABTS 소거능을 가지며, 이를 통해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ca, Pseudomonas aeruginosa, 및 Escherichia coli로 구성된 박테리아 현탁액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가지며, 이를 통해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A459 세포(암세포)에 대해 세포 사멸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NIH3T3 세포(정상세포)에 대해서는 사멸효과를 나타내지 않아, 암에 대한 예방 내지는 항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며, 항산화효과와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갖는 신규한 조성물로서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발명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S10): 분쇄 단계
(S20): 발효 단계
(S30): 추출 단계
(S40): 추가 가공 단계

Claims (12)

  1. 파프리카를 분쇄하여 파프리카 분쇄물을 제조하는 분쇄 단계(S10);
    상기 분쇄 단계(S1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물을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제조하는 발효 단계(S20) 및,
    상기 발효 단계(S2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추출용매를 이용해 추출하여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단계(S20)의 유산균은 카르노박테리움속, 엔테로코커스속, 락토바실러스속, 락토코커스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스트렙토코커스속, 테트라제노코커스속, 바고코커스속, 바이쎌라속 및 비피더스속 균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단계(S20)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단계(S20)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S30)에서는 파프리카 분쇄 발효물을 메탄올을 이용해 20 ~ 30℃에서 12 ~ 4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S30)를 수행한 다음, 상기 추출 단계(S30)에서 제조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60 ~ 96시간 동안 동결건조하는 추가 가공 단계(S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7. 파프리카를 분쇄하고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추출용매로 추출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카르노박테리움속, 엔테로코커스속, 락토바실러스속, 락토코커스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스트렙토코커스속, 테트라제노코커스속, 바고코커스속, 바이쎌라속 및 비피더스속 균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파프리카를 분쇄하고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메탄올을 이용해 20 ~ 30℃에서 12 ~ 48시간 동안 추출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60 ~ 96시간 동안 동결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파프리카를 분쇄하고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추출용매로 추출한 파프리카 분쇄 발효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동결건조함으로써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항산화효과와 항균 효과 및 항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200070216A 2020-06-10 2020-06-10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52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16A KR102452364B1 (ko) 2020-06-10 2020-06-10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216A KR102452364B1 (ko) 2020-06-10 2020-06-10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317A true KR20210153317A (ko) 2021-12-17
KR102452364B1 KR102452364B1 (ko) 2022-10-06

Family

ID=7903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216A KR102452364B1 (ko) 2020-06-10 2020-06-10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926A (ja) * 2004-09-09 2006-03-23 Toyo Shinyaku:Kk ピーマン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20150121307A (ko) 2014-04-18 2015-10-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항암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으름잎식초의 제조방법, 제조된 으름잎식초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939918B1 (ko) * 2017-09-08 2019-01-17 신홍식 파프리카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00060853A (ko) * 2018-11-23 2020-06-02 (주)엠앤씨생명과학 파프리카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926A (ja) * 2004-09-09 2006-03-23 Toyo Shinyaku:Kk ピーマン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20150121307A (ko) 2014-04-18 2015-10-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항암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으름잎식초의 제조방법, 제조된 으름잎식초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939918B1 (ko) * 2017-09-08 2019-01-17 신홍식 파프리카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00060853A (ko) * 2018-11-23 2020-06-02 (주)엠앤씨생명과학 파프리카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364B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wosu et al. The phytochemical, proximate, pharmacological, GC-MS analysis of Cyperus esculentus (Tiger nut): A fully validated approach in health, food and nutrition
Bhat et al.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some green leafy vegetables
Unban et al. Nutritional biotransformation in traditional fermented tea (Miang) from north Thailand and its impact 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Özdemir et al. Kombucha and health
Zaazaa et al. Determination of miner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ntent and investigation of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rocus sativus L. aqueous stigmas extracts
Akpomie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coconut water, oil and palm kernel oils extracted from coconut and palm kernel on some plasmid-mediated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associated with food spoilage
KR102452364B1 (ko)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0015B1 (ko) 유산균의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KR20200067075A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64052B1 (ko) 진세노사이드 F2, Rg3, Rd2 및 컴파운드 케이, 클로로제닉산, 쿠마린산, 카테킨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새싹삼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6985A (ko) 항산화 효능이 증진된 밀크티 요구르트의 제조 방법
Chaudhary et al. Probiotic potential of noni and mulberry juice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KR20050099380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발효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6551A (ko) 비자나무 및 비자열매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항균 조성물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47775B1 (ko)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
CN110547416B (zh) 包含黑萝卜乳酸菌发酵产物的肝功能改善用组合物及黑萝卜乳酸菌发酵产物的制造方法
KR101769038B1 (ko) 황금소나무 잎과 송라의 혼합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9516A (ko) 스피루리나 및 락토바실러스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Ibrahim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Balanites aegyptiaca and Phyllanthus reticulates Leaves
Mohsen et al. A Study of the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on antioxidant content of beetroot (Beta vulgaris)
Temitope et al. Efficacy of essential oils from Persea americana stem bark and seed extracts
Mayunzu et al.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of Mondia whytei roots
Nagarkar et al. Antimicrobial, Phytochemical and Dyeing Activities of Some Common Household Veget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