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775B1 -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775B1
KR100447775B1 KR10-2001-0007086A KR20010007086A KR100447775B1 KR 100447775 B1 KR100447775 B1 KR 100447775B1 KR 20010007086 A KR20010007086 A KR 20010007086A KR 100447775 B1 KR100447775 B1 KR 100447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teria
cancer
extract
methano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748A (ko
Inventor
이규석
안용준
우근민
Original Assignee
제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도 filed Critical 제주도
Priority to KR10-2001-000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77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2Juglandaceae (Walnu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서양금혼초(개민들레,Hypochoeris radicata), 섬오갈피(Acanthopanax koreanum), 굴피나무(Plathcarya strosilaceae), 곰의말채(Cornus macrophylla) 및 구실잣밤나무 (Catamopsis cupidatavar.sieboldi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어진 식물에서 유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 조성물은 항암효과, 항산화효과,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가져, 약제 또는 식품첨가제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EXTRACTS DERIVED FROM PLANTS CONTAINING PHYSIOLOGICAL ACTIVITY}
본 발명은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독성, 항산화활성 또는 장내 유해균에 대한 억제활성을 가지는 서양금혼초, 섬오갈피, 굴피나무, 곰의말채 또는 구실잣밤나무의 식물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환경적 요인인 발암원들(carcinogens)에 의한 정상세포들의 변형으로 발생되고, 몸 안의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암 세포는 일반적으로 성장인자의 신호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 세포증식이 조절되지 않고(Sporn MR and Roberts AB, Autocrine growth factors and cancer.Science.313: 745-747 (1985)), 주변세포에 대한 접촉저해가 없으며, 분화의 특징이 결여되어 있다. 그리고 안지오제닉 인자(angiogenic factor)를 분비하여 주위의 조직에 침투, 전이하는 특징을 갖는다.(Liotta LA, Steeg PS and Stetler-Stevenson WG, Cancer metastasis and angiogenesis: an imbal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regulation.Cell64: 327-336 (1991))
발암원에는 물리적 발암원(physical agents), 화학적 발암원(chemical carcinogen),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성 발암원(infectious agents)이 있다. 화학적 발암원에 의한 발암화(carcinogenesis)는 브렘블럼(bremblum, 1941)이 제창한 두 단계 발암이론(two-stage carcinogenesis theory) 즉, 시작단계와 발암촉진단계로 진행이 된다. 시작단계에서는 발암원들(initiators)이 외부에서 접촉 또는 흡수되어, 체내 정상 영양대사 경로가 아닌 생체보호기구인 이물질대사경로를 따라 대사되고, 상기 대사경로를 거치는 과정에서 전자친화력을 가진 반응성이 높은 발암원으로 변형되어 DNA와 공유결합하게 된다. 발암원이 결합된 유전자는 돌연변이가 발생되고, 그 결과 암세포로 발전된다. 발암촉진단계는 잠복상태에 머물러 전혀 성장하지 않거나 서서히 성장을 하는 초기 암세포가 종양으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그러므로 발암화는 화학적 발암원만에 의한 것이 아닌 다른 인자, 즉 프로모터(promoter)를 필요로 한다. 상기 프로모터는 그 자체로 발암원이 아니고, 초기화된 암세포의 분열을 촉진시키고, 정상세포의 특징인 분화를 방해하여 종양의 성장을 야기하게 하는 인자이다. 최근에는 발암화의 조절에 시초자(initiator)보다는 프로모터(promoter)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보고되면서 암의 예방을 위해서 프로모터를 검출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화학적 항암제들은 세포증식에 작용하여 효능을 발휘한다. 하지만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증식제어의 차이에 기인한 것은 전무한 상태이므로,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없어 정상세포에 오히려 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우수하고 독성이 적으며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이 절실하다.
최근에는 인간에 효능이 뛰어나면서도 독성이 낮은 천연물로부터 항암성분의 탐색과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예를 들어 NCI(National cancer institute)에서는 1982년까지 주로 식물체에 대하여 항암검색을 실시하여 약 35,000여종의 식물의 114,000개의 식물엑기스에 대하여 항암검색을 실시한 결과, 탁서스 브레비폴리아(Taxus brebifolia)로부터 탁솔(taxol)과 감프토테카 아커미나테(Camptotheca acuminata)로부터 캄프토테신(camptothecin)이 발견되었다.
또한 항암검색법이 계속 발전하여 인간의 종양세포주를 이용한 인 비트로(in vitro) 대량검색으로 전환되었으며(Cragg GM, Boyd, MR, Cardellina JH, Grever ⅡMR, Schepets SA, Snader KM and Suffness M, The role of plants in the NCI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program. In Human Medicinal Agents from Plants. A. D. Kinghorn and M. F. (1993)), 적도 중심의 열대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1991년까지 16,650종의 식물에서 33,300개 식물추출물을 제조하여 검색하고 있다. 인 비트로에서 다양한 세포주에 대한 활성을 검색한 후 활성을 보이는 시료는 곧 생체검색하여(Boyd MR, Status of implementation of the NCI Human tumor cell line in vitro primary drug screen.Proc. Am. Assoc. Cancer Res.30: 652 (1989)), 질환에 특이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현재 NCI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간 암세포주는 7개의 패널(panel), 60가지의 세포주로서 한 종류의 표준배지에서 배양이 가능하고 세포성장이나 약물민감성 측면에서 재현성이 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Monks AD, Scudiero A, Skehan P and Boyd MR, Implementation of a pilot-scale high flux anticancer drug screen utilizing disease oriented panels of human tumor cell lines in culture.Proc. Am. Assoc. Cancer Res30: 607 (1989))
모든 생물체들은 산소를 이용하여 생명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발생하는 과정에서 활성산소들의 상해에 대한 근본적인 자기 방어기구를 가지고 있다. 조직의 방어기구에서 해리되지 못한 활성산소는 노화 등의 생리적 변화나 암, 관절염, 당뇨 등의 광범위한 생체 현상에 관여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체의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lliwell B, Drug antioxidant effects. Drugs 42: 596-605 (1991)) 유해산소로 알려져 있는 활성산소는 가장 안정한 형태인 삼중합 산소가 환원되면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 O2-), 과산화수소(H2O2), 수산기 라디칼(OH-), 지질 과산화물(ROOH)이나, 여기에서 생기는 유리 라디칼(ROO·, RO·)등의 과산화지질로서, 이러한 활성산소의 과산화지질이 정상적으로 소거되지 않았을 때 유리 라디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생체내에 가해져 노화나 암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Pryored WA, Free radicals in biology. Vol Ⅵ 371. Academic Press (1984)) 또한 생체내에서는 다량의 산소가 여러 활성산소의 생성기회를 제공하여 단백질, 효소, DNA손상을 일으키고 세포의 생체막 구성성분인 다가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지질이나 산화분해물이 DNA나 RNA단백질막 조직에 작용하여 질환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김삼인, 농수산물에서 항산화활성 물질의 검색.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노화나 성인병 등의 질환은 활성산소의 존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있는 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효소계인 SOD, 카탈레이즈(catalase), 글루타티온 퍼록사이드 (glutathione peroxide) 등과 천연항산화제인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글루타티온(glutathione), 합성 항산화제인 BHA, BHT, 트록솔(Troxol)-C 등 많은 항산제가 알려져 있고, 그 외 많은 항산화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Kitahara K, Matsumoto Y, Ueda H A and Ueoka R, A remarkable antioxidation effect of natural phenol derivatives on the autooxidation of γ-irradiated methyl linoleate.Chem. Pharm. Bull40: 2208-2209 (1992) ; Hatano T,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Natural Medicines49:357-363 (1995))
인간 및 가축의 장(腸) 내에는 100조 100여종에 이르는 세균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은 항상 일정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대단히 복잡한 종의 다양성을 가지는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 인간 및 동물의 건강은 장내균총을 구성하는 세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 장내세균은 음식물이나 약물에서 유래하는 여러 가지 물질이나 내인성 물질의 대사에 관여하고 있으며, 인간 및 가축의 영양, 생리기능, 감염, 면역, 발암, 노화, 약효 등에 중요한 역할을 발휘하고 있다.(Mitsuoka T, Intestinal Flora and Carcinogenesi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Tokyo (1981); Hentges, 1983) 예를 들면 건강인과 비건강인, 유아와 성인의 장내세균의 다양성에 있어서의 차이를 보면, 정상인의 세균총은 대사, 감염이나 노화, 면역력 증강에 대한 숙주의 저항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산균으로 주로 구성되고 있는 반면, 암환자 세균총의 경우 유산균의 수는 현저히 줄어들고 대부분이 클로스트리디아(clostridia)와 유박테리아(eubacteria)이다. 그리고 성인은 유아보다 클로스트리디아가 우점종인 반면, 비피도박테리아 (bifidobacteria)의 수는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Finegold SM, Flora DJ, Attebery HR and Sutter VL, Fecal bacteriology of colonic polyp patients and control patients.Cancer Res.35: 3407-3417 (1975)) 따라서, 장내세균의 균형에 이상이 생기면 다양한 종류의 비정상적인 생리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같이 장내균총은 숙주의 건강에 유리하게 또는 불리하게도 작용하는데, 장내균총의 구성에 있어서 유산균과 같은 장내 유용균의 비율을 높이거나 반대로 유해균의 비율을 인위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 인간이나 가축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장내 유산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장내 유산균 함유제제나 유제품 등이 매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유용균을 경구적으로 섭취해도 일반적으로 이들 균은 잘 정착하지 않으며, 섭취를 중지하면 장내균총은 원래의 상태로 되는 일이 많다. 따라서, 유용균이 장내에서의 정착 및 증식촉진에 유용하면서 인간 및 가축에 안정성이 극히 높은 천연물 유래물질의 탐색 및 개발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숙주의 연령에 따른 장내균총의 변화를 보면 신생아 시기에는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가 우점종을 차지하고, 이유기에 들어서면 비피도박테리아의 수가 110 g정도 감소하는 반면,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 유박테리아(eubacter ia), 클로스트리디아(clostridia)의 수가 현저히 증가하여 그람음성 간균의 혐기성균이 우세한 성인의 균총과 거의 닮아간다. 노인이 되면 비피도박테리아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클로스트리디아의 수가 급격히 증가한다.(Mitsuoka T and Emeritus P, The human gastrointestinal tract, pp. 69-114. In Brian JB Wood (ed). The Lactic Acid Bacteria in Health and Disease, vol.1 Elsevier Science Press, London (1992)) 이러한 장내균총의 변이는 일차적으로 숙주의 노화로 인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으나, 이러한 변화는 이차적으로 숙주의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또한 동물이 섭취하는 식이에 따라 장내균총의 우점종이 변화한다.(Endo K, Kumemura M, Kakamura K, Fujisawa T, Suzuki K, Benno Y and Mitsuoka T, Effect of high cholesterol diet and polydextrose supplementation on the microflora, bacterial enzyme activity, putrefactive products, volatile fatty acid profile, weight and pH of the feces in health volunteers.Bifidobacteria Microflora10: 53-64 (1991)) 그리고 설폰아미드(Sulfonamide)등의 살균제나 페니실린 등의 항생물질의 연용에 의해서 장내균총의 균형이 깨어지거나(Finegold SM, Sutter VL and Mathisen GE, Normal indigenous intestinal flora. pp. 3-30. Human Intestinal Microflora in Health and Disease, ed by Hentges DJ. Academic Press, New York (1983)), 스테로이드 호르몬, 면역억제제 등에 의해서 생체의 방어가 저하되거나, 또한 노화 등에 수반하여 장내균총을 구성하는 세균 중 어떤 것이 감염을 일으켜 장관의 운동성과 분비에 변화를 주어, 건강시에는 증식할 수 없는 장기에 이들 균들이 침입하여 패혈증, 심내막염, 뇌종양, 간종양, 폐종양, 방광염, 질염 등을 일으켜 잠재되어 있던 병원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인간의 장내균 중 대표적 균으로서 가스괴저균(Clostridium perfringens)은 가장 흔히 발견되고 가장 독성이 강한 균으로 알려져 있다.(Smith LDS, Virulence factors ofClostridium perfringens.Rev. Infect. Dis.1: 254-267 (1979)) 가스괴저균은 숙주의 세포막을 파괴하고 장벽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장염이나 설사 등을 일으킨다. 또한 노년기에 이 균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사람의 노화와 특히 노인성치매증에도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Mitsuoka T,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intestinal flora.Bifidobacteria and Microflora1: 3-24 (1982))
따라서 본 발명은 항암활성, 항산화활성 및 장내세균 저해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양금혼초(개민들레,Hypochoeris radicata), 섬오갈피(Acanthopanax koreanum), 굴피나무(Plathcarya strosilaceae) , 곰의말채(Cornus macrophylla) 및 구실잣밤나무(Catamopsis cupidatavar.siebol di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어진 식물에서 유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서양금혼초(Hypochoeris radicata), 섬오갈피(Acanthopanax koreanum), 굴피나무(Plathcarya strosilaceae), 곰의말채(Cornus macrophylla), 구실잣밤나무(Catamopsis cupidatavar.sieboldii) 등의 식물에 대한 생리활성능을 측정하였다.
서양금혼초는 제초제 저항성, 제초제 사용에 따른 생태적 오염문제, 강한 번식력 등을 갖는 문제로 인해 방제하기가 매우 어려운 식물체이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 조성물은 상기 식물을 통상적인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저가의 알콜들, 예를 들면, 부탄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 또는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이다.
상기 서양금혼초는 꽃, 줄기, 엽, 뿌리등의 부위별로 메탄올 추출하여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서양금혼초 유래 추출물은 인간고형암주에 대하여 항암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가지고, 특히 줄기 또는 엽에서 추출한 메탄올 추출물이 강한 항암활성을 가진다. 상기 항암활성은 고형암주에 작용하며, 특히 폐암, 난소암, 피부암, 중추신경계암, 또는 결장암에 대하여 효과를 가진다.
상기 섬오갈피, 굴피나무, 곰의말채, 또는 구실잣밤나무에서 추출한 추출물, 특히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굴피나무 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생리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항암활성, 항산화활성,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가져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약제로는 항암제, 항산화제 또는 장내정화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품으로 건강식품 보조제, 음료첨가제, 식품첨가제로 사용하여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산소의 산화력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질병, 특히 성인병, 노화에 관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물들의 메탄올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용도나 방법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담체를 더욱 포함할 경우 식물 추출물은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서양금혼초의 엽, 줄기, 꽃, 및 뿌리, 그리고 섬오갈피, 굴피나무, 곰의말채, 구실잣밤나무의 건강한 엽을 수득하여 실내에서 통풍 건조한 후, 각각을 마쇄기로 갈아서 분말로 만들고, 분말 시료 50 g씩을 500 ml 플라스크(Erlenmeyer flask)에 넣고 식물체 100 g당 메탄올 300 ml을 부어 실온, 암실하에 방치하였다. 3일 후 감압여과하여 진공회전농축기로 40 ℃에서 감압농축하여 메탄올 조추출물을확보하였다.
[실험예 1] 인간고형암주에 대한 세포독성
A549(폐암), SK-OV-3(난소암), HCT-15 (결장암), XF-498(중추신경계암), SK-MEL-2(피부암)의 5종 암세포를 한국화학연구소에서 분양받았다. 배지는 RPMI(Rosewell Park Memorial Institute) 배지 1640에 10 % 송아지 혈청(fetal bovine serum)를 첨가하고, 페니실린(10,000 units/ml)-스트렙토마이신(10 mg/ml) 혼합용액(SIGMA, P-0781)을 배지에 100배 희석하여 혼합하였다. 10X 트립신-EDTA용액(Sigma, T-9395, St. Louis, Mo, USA)을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10배 희석한 후 사용직전까지 냉동보관하여 사용하였으며, SRB(sulforhodamine B)염색용액(0.4 %)은 1 % 빙초산에 0.4 %로 녹여 사용하였다. TCA(trichloroacetic acid) 고정액은 100 % (6.1 N)용액(Sigma, St. Louis, Mo, USA)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50 %와 80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5가지의 세포주들은 10 %의 송아지혈청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37 ℃, 5 % CO2 존재하에서 1주일에 1∼2회 계대배양하고, 세포수득시 0.25 % 트립신-3 mM EDTA용액을 PBS로 10배 희석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항암활성검정
SRB 분석법에 따라 검정하였으며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 내지 20 × 104개의 세포밀도로 접종한 후 37 ℃, 5 % CO2 존재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한 후 서로 다른 농도로 준비한 시료가 포함된 배지를 200 ㎕씩 각 웰에 가하여 48시간 반응시키고, 이 시점에 시료를 가하지 않은 Tz(Timezero) 플레이트를 지정해 두었다. 배양이 종료된 후 50 ㎕의 차가운 50 % TCA를 위에서부터 천천히 가해주고, TCA가 바닥에 가라앉도록 잠시 기다린 후 조심스럽게 냉장고로 옮겨 1시간동안 충분히 고정시키고 고정이 끝난 후에는 증류수로 5회 이상 세척하여 잘 건조시키고 나서 각 웰에 1 % 빙초산에 녹인 0.4 % SRB 용액 100 ml을 가하여 상온에 30분 이상 염색하였다. 염색이 끝난 후 1 % 빙초산으로 5회 세척하여 잘 건조시키고, 150 ㎕의 10 mM 비완충 트리스용액으로 SRB 염료를 잘 녹여내어 96 웰 플레이트용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Titertek Multiskan MCC, Flow Lab.)로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서양금혼초 메탄올 조추출물은 소량의 DMSO에 용해시킨 후 실험용 배지로 원하는 농도만큼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최종 DMSO의 농도가 0.5 %이하가 되도록 하였는데 본 농도에서는 5종의 검정용 세포주에 대해 어떤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았다.
대조군 흡광도(C), 시료처리군 흡광도(T), Tz(time zero)에서의 흡광도를 통해서 성장 자극(growth stimulation), 총 성장 저해(net growth inhibition) 및 총 치사(net killing) 등의 세포적 반응을 하기 식 1에 따라 산출하였다.
[계산식 1]
각 시료의 ED50값의 계산은 세포성장율과 시료농도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표 1에 서양금혼초의 부위별 메탄올추출물에 대한 항암활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서양금혼초의 엽 추출물과 줄기 추출물이 강한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시료 반수유효약량 (μg/mL)
A549 SK-OV-3 SK-MEL-2 XF498 HCT15
서양금혼초(Hypochoeris radicata) 143.50 196.70 110.10 158.60 114.20
줄기 89.01 93.70 26.50 34.50 29.20
82.10 41.20 30.50 32.00 46.30
뿌리 273.60 - 188.40 348.78 183.50
항산화활성 검정
서양금혼초 ,섬오갈피, 굴피나무, 곰의말채, 구실잣밤나무의 식물체 메탄올 조추출물 10 mg을 취해 메탄올 10 ml로 정용한 후, 각각의 농도를 100 ㎕/ml 메탄올, 50 ㎕/ml 메탄올, 25 ㎕/ml 메탄올, 12.5 ㎕/ml 메탄올로 희석한 용액 2 ml와 1.5×10-4 M/ml 메탄올 농도의 DPPH(Sigma, St. Louis, Mo, USA )용액 0.5 ml씩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20 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합성항산화제인 BHA(tert-butyl-4-hydroxyanisole)를 사용하였다. 항산화활성의 결과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50 % 흡광도의 감소를 나타내는 검체의 농도(EC50)로 표시하여 제시하였고, 각 시료는 3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식물체의 메탄올 조추출물을 기존에 잘 알려져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를 대조군으로하여 DPPH 라디칼(radical) 소거법에 의해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시 료 반수유효약량 (ug/mL)
서양금혼초 44.0
〈100
줄기 〈100
뿌리 45.0
굴피나무(Plathcarya strosilaceae) 8.9
곰의말채(Cornus macrophylla) 6.5
섬오갈피(Acanthopanax koreanum) 12.2
구실잣밤나무(Catamopsis cupidatavar.sieboldii) 8.3
BHA(대조구) 7.0
서양금혼초의 경우 꽃과 뿌리부위에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식물체의 경우 대조구로 이용한 BHA 보다 우수하거나 비슷한 강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2] 굴피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장내세균 저해활성
굴피나무 메탄올 조추출물의 장내세균에 대한 생육저해 활성의 생물검정법은 종이 디스크방법(paper disc method)으로 검정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장내세균은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박테리움 비피둠(B. bifid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엑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링엔스(Clostridium perfringens),E. coli로서 이들 균주는 -4 ℃에서 Eggerth-Gagnon Liver Extract-Field slant에 냉동 보관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Eggerth-Field agar(Eiken Chemical, Tokyo, Japan)에서 혐기성 배양기로 5 % H2 + 15 % CO2 + 80 % N2의 조건하에서 37 ℃, 48시간 배양시켜 사용하였다. EG배지에 48시간 혐기배양된 실험균을 페트리디쉬에 도말한 후, 굴피나무의 메탄올 추출물10 mg씩을 취해 미리 메탄올 100 ㎕에 용해시킨 후, 드러몬드 마이크로 카필러리(Drummond microcapillary)를 이용하여 종이 디스크(Adventec 8 mm-diameter, Tokyo Roshi, Japan)에 처리하였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종이 디스크를 균이 접종된 EG배지 표면에 올려놓아 혐기성 배양기(Hirayama, Japan)에서 80 % N2, 15 % CO2, 5 % H2의 혼합가스 하에서 37 ℃, 2일간 혐기배양하였다. 대조구는 메탄올만을 처리하였다.
시료에 대한 저해활성은 저지환(생육환)의 크기를 대조구와 비교하여 판정하였으며, 표 3에 나타내었다. 저해활성 판정기준은 종이 디스크주변의 저지환의 크기가 10 mm 미만이면 -, 10-15 mm이면 +, 16-20 mm이면 ++, 20 mm 이상이면 +++로 나타냈다.
굴피나무 메탄올 추출물은 유익균(B. adolescentisB. bifidum, L. acidophilus, L. casei)에 대해서는 전혀 생육저해 활성을 보이지 않았고, 유해균(C. perfringens)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강한 생육저해활성(저해환의 직경 20 mm 이상)을 보였다.
시 료 B. adolescentis B. bifidum L. acidophilus L. casei C. perfringens E. coli
굴피나무 - - - - +++ -
(강한생육저해 +++, 저지원 직경 >20 mm; 중간정도저해 ++, 저지원 직경 16-20 mm; 약한생육저해 +, 저지원 직경 10-15 mm; 무반응 -, 저지원 직경 <10 mm)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양금혼초의 줄기 메탄올 추출물 및엽 메탄올 추출물은 인간고형암주에 대해 우수한 항암활성을 가진다. 또한 섬오갈피, 굴피나무,곰의말채, 구실잣밤나무의 메탄올 추출물들은 강한 항산화활성을 가지고, 굴피나무 메탄올 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에 대해 강한 생육억제 활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추출물들은 암 및 노화에 대한 예방시약, 건강보조식품의 첨가소재, 또는 음료의 첨가소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서양금혼초(개민들레,Hypochoeris radicata), 섬오갈피(Acanthopanax korea num), 굴피나무(Plathcarya strosilaceae), 곰의말채(Cornus macrophylla) 및 구실잣밤나무(Catamopsis cupidatavar.sieboldi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어진 식물에서 유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양금혼초(개민들레,Hypochoeris radicata)에서 유래한 추출물이 항암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제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에서 유래한 추출물은 메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제용 조성물.
  4. 삭제
KR10-2001-0007086A 2001-02-13 2001-02-13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 KR100447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086A KR100447775B1 (ko) 2001-02-13 2001-02-13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086A KR100447775B1 (ko) 2001-02-13 2001-02-13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119A Division KR100453290B1 (ko) 2003-09-09 2003-09-09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748A KR20020066748A (ko) 2002-08-21
KR100447775B1 true KR100447775B1 (ko) 2004-09-08

Family

ID=2769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086A KR100447775B1 (ko) 2001-02-13 2001-02-13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461B1 (ko) 2005-10-05 2007-04-0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개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490B1 (ko) * 2003-09-15 2006-03-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 증세 호전용 건강식품
CN103417645B (zh) * 2012-05-18 2016-03-30 北京创立科创医药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老年体虚感冒的中药组合物
CN109953043B (zh) * 2019-04-28 2021-03-30 福建农林大学 一种基于格氏栲凋落物浸提液对伴生种杉木生长的抑制剂
CN109953042B (zh) * 2019-04-28 2021-03-30 福建农林大学 一种基于格氏栲凋落物浸提液对台湾相思生长的抑制剂
KR102453959B1 (ko) * 2021-10-26 2022-10-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구실잣밤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461B1 (ko) 2005-10-05 2007-04-0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개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748A (ko)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btamu et 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compounds from the flower extracts of Vernonia amygdalina
Kumar et al. In vitro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Parthenium hysterophorus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ts by LC-MS analysis
Drewes et al. Simple 1, 4-benzoquinone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from stems and leaves of Gunnera perpensa
KR100447775B1 (ko)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
Gündüz et al. Extraction and optimiz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butterbur plant (Petasites hybridus) by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utterbur extracts
Sivaraj et al. Antioxidant,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GC-MS Analysis of Fresh Rose Petals Aqueous Extract of Rosa damascena Mill L.
KR100453290B1 (ko) 생리 활성을 가지는 식물추출 조성물
Le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rhizome-derived ar-turmerone and curcumin
Mokale Kognou et 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the stem bark of Pteleopsis hylodendron (Combretaceae)
KR20200067075A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2464052B1 (ko) 진세노사이드 F2, Rg3, Rd2 및 컴파운드 케이, 클로로제닉산, 쿠마린산, 카테킨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새싹삼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Bae et 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picatechin isolated from leave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KR101744392B1 (ko) 발효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evi Catechins
Jamwal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bioactive potential of bacterial endophytes from Coleus
Padumanonda et al.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total condensed tannin cont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diarrheal bacteria of the bark and fruit of Terminalia nigrovenulosa Pierre ex Laness
De Nkainsa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in vitro antimicrobial screenings of the methanolic stem bark extract and constituents of Parkia bicolor A. Chev.(Leguminosae)
Akharaiyi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antioxidant and phytochemical analysis of methanol and aqueous leaf extract of Phyllathus Muellerianus (KUNTZ) Exell
Al-Ghamdi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tem extract of Coleus forskohlii L. collected from Al-Baha Area, Saudi Arabia
KR20150073438A (ko) 미생물을 이용한 단삼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452364B1 (ko) 파프리카로부터 추출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17604B1 (ko) 아왜나무에서 추출한 생리 활성 조성물
Kuta et al. Antibacterial activities of Vitelleria paradoxa on some enteric bacteria
Kim et al. Growth-inhibiting effects of Juniperus virginiana leaf-extracted components toward human intestinal bacteria
Omar et al. Biological and chemical evalua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Egyptian ornamental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