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635A -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635A
KR20210152635A KR1020200069187A KR20200069187A KR20210152635A KR 20210152635 A KR20210152635 A KR 20210152635A KR 1020200069187 A KR1020200069187 A KR 1020200069187A KR 20200069187 A KR20200069187 A KR 20200069187A KR 20210152635 A KR20210152635 A KR 2021015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mounting hole
charging port
inner panel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세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635A/ko
Priority to US17/034,699 priority patent/US11254228B2/en
Publication of KR2021015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6Connections by glue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 후크 체결방식으로 심플하면서도 미려함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은 전기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인너 패널에 고정되어 마운팅홀을 형성하는 충전하우징과, 상기 충전하우징과 인너 패널로 인해 형성되는 마운팅홀이 유지되도록 상기 충전하우징이 고정된 인너 패널과 맞대어지면서 결합되는 사이드 아우터를 포함하는 패널 결합체와; 상기 마운팅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다수의 후크가 구비되어 상기 마운팅홀을 커버하면서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패널 결합체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Cover module for charging port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 후크 체결방식으로 심플하면서도 미려함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배터리와 모터를 탑재하여 전기의 힘으로 주행하는 차량으로서,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포트가 구비된다.
충전포트는 충전 하우징에 결합되어 차량의 인너 패널에 결합된다.
이때 충전 하우징과 인너 패널은 별도의 볼트와 같은 별도의 기계적인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볼트의 체결에 의한 결합방식은 디자인 제약이 없은 전기차에는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였지만, 최근의 전기차는 고급스러움과 미려함을 추구하게 되었고, 볼트의 체결에 의한 결합방식으로는 원하는 수준의 고급스러움과 미려함을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차체에 충전포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볼트의 체결에 의한 결합방식을 배제하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6283호 (2020.01.20)
본 발명은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 후크 체결방식으로 커버 본체를 차체를 구성하는 패널에 결합하여 심플하면서도 미려함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은 전기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인너 패널에 고정되어 마운팅홀을 형성하는 충전하우징과, 상기 충전하우징과 인너 패널로 인해 형성되는 마운팅홀이 유지되도록 상기 충전하우징이 고정된 인너 패널과 맞대어지면서 결합되는 사이드 아우터를 포함하는 패널 결합체와; 상기 마운팅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다수의 후크가 구비되어 상기 마운팅홀을 커버하면서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패널 결합체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결합체의 마운팅홀 주변은 상기 충전하우징과 사이드 아우터가 서로 중첩되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다수의 후크가 상기 보강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패널 결합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는 상기 패널 결합체에 형성된 마운팅홀의 중심에서 외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에는 상기 충전하우징과 사이드 아우터가 스팟 용접된 용접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본체의 표면을 덮는 스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킨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패널 결합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너 패널은 전기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쿼터 인너 패널, 필러 인너 패널 및 이들로부터 연장되는 익스텐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구를 커버하는 커버 본체를 후크 방식에 의해 차체를 구성하는 패널에 결합시킴으로써 외관의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본체의 후크가 체결되는 부위에 충전하우징과 사이드 아우터가 서로 중첩되는 보강부를 형성하여 커버 본체의 결합시 차체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부품 상호 간을 단차 없이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인너 패널과 결합시킨 하우징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킨을 결합시킴으로써, 충전구 주변 부위에서 스킨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의 인너 패널과 충전하우징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의 사이드 아우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의 패널 결합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의 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의 요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의 인너 패널과 충전하우징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의 사이드 아우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의 패널 결합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의 요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은 마운팅홀(21)이 형성된 패널 결합체(10, 20, 30)와, 상기 패널 결합체(10, 20, 30)에 후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커버 본체(40)를 포함한다.
패널 결합체(10, 20, 30)는 커버 본체(40)가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전기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인너 패널(10)에 고정되어 마운팅홀(21)을 형성하는 충전하우징(20)과, 상기 충전하우징(20)과 인너 패널(10)로 인해 형성되는 마운팅홀(21)이 유지되도록 상기 충전하우징(20)이 고정된 인너 패널(10)과 맞대어지면서 결합되는 사이드 아우터(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인너 패널(10)은 전기차의 충전을 위하여 형성되는 충전구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너 패널(10)은 전기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쿼터 인너 패널, 필러 인너 패널 및 이들로부터 연장되는 익스텐션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익스텐션을 인너 패널의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한편, 인너 패널(10)과 충전하우징(2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팟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면서 마운팅홀(21)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아우터(30)에도 마운팅홀(21)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홀(31)을 형성하여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패널(10)과 충전하우징(20)을 사이드 아우터(30)에 접합시키는 경우에 마운팅홀(21)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래서 인너 패널(10) 및 충전하우징(20)과 사이드 아우터(30)로 이루어지는 패널 결합체(10, 20, 30)에는 마운팅홀(21)이 유지된다.
물론 이때 마운팅홀(21)과 관통홀(31)은 정확하게 그 형상이 일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운팅홀(21)과 관통홀(31)의 내주면이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결합체(10, 20, 30)의 마운팅홀(21) 주변은 충전하우징(20)과 사이드 아우터(30)가 서로 중첩되는 보강부(22)가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22)는 충전하우징(20)과 사이드 아우터(30)가 중첩되면서 2 개의 부품이 맞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강성이 보강된 보강부(22)가 형성된다.
한편, 커버 본체(40)는 패널 결합체(10, 20, 30)에 결합되면서 충전구를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커버 본체(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되어 다수의 후크(41)가 형성된다.
그래서 커버 본체(40)를 패널 결합체(10, 20, 30)에 결합시키는 경우에 다수의 후크(41)가 보강부(22)에 밀착되면서 커버 본체(40)와 패널 결합체(10, 20, 30)가 결합된다.
이때 후크(41)는 패널 결합체(10, 20, 30)에 형성된 마운팅홀(21)의 중심에서 외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클립 방식의 후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커버 본체(40)가 패널 결합체(10, 20, 30)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보장된다.
한편, 커버 본체(40)에 형성된 후크(41)는 패널 결합체(10, 20, 30)의 보강부(22)에 밀착됨에 따라 결합부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패널 결합체(10, 20, 30)가 후크(41)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결합체(10, 20, 30)를 구성하기 위하여 충전하우징(20)과 사이드 아우터(30)를 용접하는 경우에 보강부(22)가 형성되는 부위에 주로 스팟 용접을 실시하여 보강부(22)에 용접점(W)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 본체(40)의 표면을 덮는 스킨(50)이 더 구비된다. 그래서 스킨(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도 1과 같이 커버 모듈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킨(50)은 외관의 미려함을 해치지 않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결합체(10, 20, 30)와의 계면에 접착제(60)를 도포하고, 접착제(60)에 의해 패널 결합체(10, 20, 30)에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을 구성하는 단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인너 패널(10), 충전하우징(20) 및 사이드 아우터(30)를 결합하여 패널 결합체(10, 20, 30)를 준비한다.
패널 결합체(10, 20, 3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a와 같이 인너 패널(10)과 충전하우징(2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인너 패널(10)과 충전하우징(20)의 결합에 의해 마운팅홀(21)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마운팅홀(21)에 대응되는 관통홀(31)이 형성된 사이드 아우터(30)를 준비한다.
그리고, 마운팅홀(21)이 유지되도록 관통홀(31)과 마운팅홀(21)을 정렬시켜 충전하우징이 결합된 인너 패널(10)과 사이드 아우터(30)를 결합시킨다.
이때, 인너 패널(10)과 충전하우징(20) 및 사이드 아우터(30)는 스팟 용접에 의해 서로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장자리에 후크(41)가 형성된 커버 본체(40)를 준비한다.
그리고, 패널 결합체(10, 20, 30)의 마운팅홀(21)에 커버 본체(40)를 압입시켜 후크(41)가 패널 결합체(10, 20, 30)의 마운팅홀(21) 주변, 즉 보강부(22)에 밀착시킴으로써 커버 본체(40)를 패널 결합체(10, 20, 30)에 결합시킨다.
이렇게 커버 본체(40)가 패널 결합체(10, 20, 30)에 결합되면 접착제(60)를 이용하여 스킨(50)로 커버 본체(40)를 덮는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익스텐션 20: 충전하우징
21: 마운팅홀 22: 보강부
30: 사이드 아우터 31: 관통홀
40: 커버 본체 41: 후크
50: 스킨 60: 접착제

Claims (8)

  1. 전기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인너 패널에 고정되어 마운팅홀을 형성하는 충전하우징과, 상기 충전하우징과 인너 패널로 인해 형성되는 마운팅홀이 유지되도록 상기 충전하우징이 고정된 인너 패널과 맞대어지면서 결합되는 사이드 아우터를 포함하는 패널 결합체와;
    상기 마운팅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 자리를 따라 다수의 후크가 구비되어 상기 마운팅홀을 커버하면서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패널 결합체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 결합체의 마운팅홀 주변은 상기 충전하우징과 사이드 아우터가 서로 중첩되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는 상기 다수의 후크가 상기 보강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패널 결합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패널 결합체에 형성된 마운팅홀의 중심에서 외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에는 상기 충전하우징과 사이드 아우터가 스팟 용접된 용접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의 표면을 덮는 스킨을 더 포함하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킨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패널 결합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 패널은 전기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쿼터 인너 패널, 필러 인너 패널 및 이들로부터 연장되는 익스텐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KR1020200069187A 2020-06-08 2020-06-08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KR20210152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87A KR20210152635A (ko) 2020-06-08 2020-06-08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US17/034,699 US11254228B2 (en) 2020-06-08 2020-09-28 Cover module of charging port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87A KR20210152635A (ko) 2020-06-08 2020-06-08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635A true KR20210152635A (ko) 2021-12-16

Family

ID=7881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187A KR20210152635A (ko) 2020-06-08 2020-06-08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54228B2 (ko)
KR (1) KR202101526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283A (ko) 2018-07-10 2020-01-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충전 리셉터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3804B1 (fr) * 2001-04-19 2004-03-26 Plastic Omnium Cie Ensemble de deux pieces de carrosserie a reunir bord a bord et piece de carosserie appartenant a un tel ensemble
US6810978B2 (en) * 2002-07-09 2004-11-02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Assembly with locating-point inserts integrally molded or cast into locating structures
DE102012203878B3 (de) * 2012-03-13 2013-04-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auteilverbindung
JP6843181B2 (ja) * 2019-05-22 2021-03-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側部構造及び仕切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283A (ko) 2018-07-10 2020-01-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충전 리셉터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80004A1 (en) 2021-12-09
US11254228B2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3703A1 (en) Node For Connecting Vehicle Body Portions
JP2003200786A (ja) 車両用グローブボックス
KR20100025779A (ko) 차량의 루프 사이드부 구조
CN113260531A (zh) 车辆行李箱盖
KR20210152635A (ko) 전기차용 충전구의 커버 모듈
JP2001191955A (ja) 自動車のカウルサイド部への補強構造
JP4045773B2 (ja) リヤピラーの補強構造
KR20120126905A (ko) 차량의 센터 필라 어셈블리
JP2014201277A (ja) 電気自動車などに使用するバッテリー搭載構造
JP2017065376A (ja) 車載スピーカの取付構造
JP5521767B2 (ja) ドアトリム
JPH0439814Y2 (ko)
CN220314872U (zh) 外后视镜安装结构和自动驾驶车辆
JP6773185B2 (ja) 車両骨格構造
JPH11334650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CN219325874U (zh) 一种横梁总成及车辆
JP2018043546A (ja) ブラケット、車載電池パックユニット、および車両
KR20080053013A (ko) 파티션 패널
JPH11325170A (ja) マスダンパの取付構造
CN210707633U (zh) 加强件
JPH0530543Y2 (ko)
JP3005640B2 (ja) 自動車用ベルトモールにおけるブラケット構造
KR100764735B1 (ko) 밴의 사이드 윈도우 글라스 조립구조
JPH03575A (ja) カウルサイドパネルの取付構造
JPH09254812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