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777A -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777A
KR20210145777A KR1020217034319A KR20217034319A KR20210145777A KR 20210145777 A KR20210145777 A KR 20210145777A KR 1020217034319 A KR1020217034319 A KR 1020217034319A KR 20217034319 A KR20217034319 A KR 20217034319A KR 20210145777 A KR20210145777 A KR 20210145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r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od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키 다카하시
준야 히루타
사토시 아베
하야시 야부키
다카아키 다니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방법은, 소비자로부터의 주문을 접수하는 단계 S100과, 주문 정보를 기억 장치에 입력하는 단계 S101과, 주문에 기초하여 식품을 밀봉 가능한 용기에 공급하는 단계 S104와, 공급된 식품을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는 단계 S106과,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 S10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본원은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4 참조). 특허문헌 1은, 예컨대 레스토랑 등에서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레스토랑 내에, 점두 장치와, 점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원격 음료 디스펜서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점두 장치에서 주문을 받고, 원격 음료 디스펜서에서 주문된 음료가 분주(分注)된다.
특허문헌 2는, 예컨대 레스토랑 등에서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주문 입력 시스템에서 주문을 받고, 음료용 용기 인쇄기에서 주문 식별을 포함하는 표시가 용기에 인쇄된다. 그리고, 예컨대, 용기는 종업원으로부터 손님에게 전달되고, 음료 공급 스테이션에서, 용기의 표시가 판독되어 용기에 음료가 공급된다.
특허문헌 3은, 셀프 서비스 환경에서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는 음료 용기를 구입한다. 음료 용기에는 사전에 바코드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음료 디스펜서에서 음료 용기에 설치된 바코드를 스캔한다. 음료 디스펜서에서는, 바코드와 관련된 사용 기록(이전의 음료의 분배 상황)이 식별된다. 식별된 사용 기록에 기초하여 바코드가 유효한지 아닌지(예컨대,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 이미 정해진 용적의 음료가 분배되었는지 아닌지, 또는, 일정한 수의 재주입 상황이 발생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그리고, 바코드가 유효한 경우에는, 음료 디스펜서는 사용자로부터 음료의 선택을 수신한다.
특허문헌 4는, 제품 디스펜서로부터 혼합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소비자가, 예컨대, 어떤 제품에 관한 제1 제품 레시피와, 다른 제품에 관한 제2 제품 레시피를 선택하여, 혼합 레시피로 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품 디스펜서는 혼합 레시피를 분배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표 제2015-52766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07836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표 제2017-518550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공표 제2015-520079호 공보
식품의 소비자는, 예컨대, 구입한 식품을 점포에서 소비하지 않고 포장해서 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식품을 휴대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비자가 자신의 용기를 틀림없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소비자가 다른 소비자의 용기를 잘못 갖고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품을 휴대에 적합한 형태로 또한 소비자가 자신의 용기를 틀림없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개시의 일양태는,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소비자로부터의 주문을 접수하는 단계와, 주문 정보를 기억 장치에 입력하는 단계와, 주문에 기초하여 식품을 밀봉 가능한 용기에 공급하는 단계와, 공급된 식품을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는 단계와, 주문을 식별할 수 있는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로서, 주문 식별 정보는, 기억 장치에 기억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고, 출력 장치의 출력에 의해 용기에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의 일양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주문을 받은 후에, 식품이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가 밀봉된다. 따라서, 식품을 휴대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양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기억 장치에 기억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식별 정보가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출력에 의해 주문 식별 정보가 용기에 부착된다. 따라서, 예컨대 표시부(14)에 표시된 주문 식별 정보를 보고 종업원(E)이 손으로 써서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주문 식별 정보를 정확하게 용기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자신의 용기를 틀림없이 인식할 수 있다.
식품은 음료이어도 좋다. 또한, 음료에는, 가열 멸균된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식품을 용기에 공급하는 단계는, 가열 멸균된 추출물에, 추출물의 원료로부터 추출된 원료 유래의 향기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를 가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음료는, 가열 멸균에 의해 추출물로부터 상실되는 향기를 다시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캔음료와 비교하여 좋은 향기를 갖는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용기는 마개로 다시 막을 수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용기가 플라스틱 보틀이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종이컵으로 커피를 운반하는 경우에 비해 우수한 휴대성을 얻을 수 있다.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에는, 여러가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는, 주문 식별 정보가 표시된 라벨을 인쇄기에 의해 인쇄하는 것과, 라벨을 용기에 접착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대체적 또는 부가적으로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는, 인쇄기에 의해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직접적으로 인쇄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대체적 또는 부가적으로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는, 레이저 가공기에 의해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직접적으로 새기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주문 식별 정보는, 소비자를 식별하기 위한 문자와, 주문에 대하여 선택된 표시를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문자 및 표시(형상, 모양 혹은 색채 또는 이들의 조합 등)를 포함하는 2개의 요소에 의해 용기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자신의 용기를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소비자로부터의 주문을 접수하는 단계는, 점포 장치가, 점포 바깥에 있는 외부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주문을 접수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본 개시의 일양태에 관한 방법은, 주문 식별 정보를 외부 장치에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소비자는, 회신된 주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점포에서 자신의 용기를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양태에 관한 방법은, 라벨을 포함하는 화상을, 점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식품 준비의 완료 통지와 더불어 라벨을 포함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소비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자신의 라벨에 기초하여, 자신의 식품 준비가 완료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방법은, 라벨의 화상을 기억 장치에 보존하는 단계와, 기억 장치에 보존된 과거의 라벨을 포함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기억 장치에 보존된 과거의 주문의 라벨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므로, 소비자는, 자신의 라벨을 탐색하는 등, 식품을 구입한 후에 디스플레이를 보고 즐길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에 대하여 높은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양태에 관한 방법은, 용기를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소비자가 바로 식품을 수취할 수 없는 경우에 소비자에게 편리하다.
본 개시의 일양태에 의하면, 식품을 휴대에 적합한 형태로 또한 소비자가 자신의 용기를 틀림없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점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관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외부 장치에 회신되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펜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식품 준비가 완료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기억 장치에 보존된 과거의 용기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는 점포 장치가 실시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시스템(100)에서는, 소비자(C)가 외부 장치(10)에 의해, 외부로부터(예컨대, 통근중, 통학중, 이동중, 외출중 또는 재택중에) 점포(50)에 대하여 식품을 사전에 주문할 수 있다. 점포(50)에서는, 주문에 기초하여 식품이 조제되고, 조제된 식품을 포함하는 용기(B)가 준비된다.
도 2는, 점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업원(E)이 주문에 기초하여 디스펜서(2)를 이용하여 식품을 조제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펜서(2)가 주문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식품을 조제해도 좋다. 또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종업원(E)이 주문에 기초하여 디스펜서(2)를 이용하지 않고 식품을 조제해도 좋다. 식품을 포함하는 용기(B)는, 예컨대, 소비자(C)가 용기(B)를 받으러 올 때까지 로커(40) 등의 보관 수단에 보관될 수 있다. 보관 수단은 로커(40)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구획된 또는 구획되지 않은 선반 또는 벨트 컨베이어 등이어도 좋다. 점포(50)에는, 외부 장치(10)를 이용하지 않고 점포(50)에서 식품을 직접 주문하기 위한 소비자용의 단말(5)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점포(50) 앞을 지나가는 소비자가 단말(5)을 이용하여 식품을 주문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종업원(E)은 소비자(C)로부터 주문을 종이로, 구두로 또는 전화 등으로 받아도 좋다. 이 경우, 도 3을 참조하여, 종업원(E)이 소비자(C)로부터의 주문을 점포 장치(1)(자세하게는 후술)에 입력해도 좋다. 도 2로 되돌아가, 점포(50)에는 여러가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디스플레이)(4)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관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시스템(100)은, 예컨대, 점포 장치(1)와, 디스펜서(2)와, 출력 장치(3)와, 디지털 사이니지(4)와, 단말(5)을 구비할 수 있고, 이들 구성 요소는 점포(50)에 배치될 수 있다. 점포 장치(1), 출력 장치(3), 디지털 사이니지(4) 및 단말(5)은, 예컨대, 무선 혹은 유선의 LAN(Local Area Network) 및/또는 블루투스(등록상표)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하다. 필요한 경우에는, 디스펜서(2)도, 점포 장치(1), 출력 장치(3), 디지털 사이니지(4) 및 단말(5)과 통신 가능하다. 시스템(100)은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해도 좋다.
점포 장치(1)는, 예컨대, 컴퓨터, 서버, 태블릿, 스마트폰 또는 다른 통신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점포 장치(1)는, 예컨대, 처리부(11)와, 기억부(기억 장치)(12)와, 입력부(13)와, 표시부(14)와, 통신부(15)를 가질 수 있고, 이들 구성 요소는 예컨대 버스 등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점포 장치(1)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가져도 좋다. 처리부(11)는,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일 수 있다. 대체적 또는 부가적으로, 처리부(11)로서, 독립된 집적 회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또는 펌웨어가 사용되어도 좋다. 기억부(12)는 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억부(12)는, 처리부(11)가 실행하는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기억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컨대, CD-ROM, DVD-ROM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가반형 기억 매체로부터 공지의 셋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기억부(12)에 인스톨되어도 좋다.
입력부(13)는, 예컨대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14)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 및 표시부(14)로서 터치 패널이 사용되어도 좋다. 통신부(15)는, 점포 장치(1)를 네트워크(3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를 가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점포 장치(1)에 종업원용의 단말(예컨대,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 등)이 더 접속되어도 좋다. 또, 도 3에서는, 점포 장치(1)는 점포(50)에 설치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점포 장치(1)는, 점포(50) 바깥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출력 장치(3), 디지털 사이니지(4) 및 단말(5) 등과 네트워크(30)를 통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점포 장치(1)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외부 장치(10)와 통신 가능하다. 네트워크(30)는, 예컨대, 인터넷, WiFi(등록상표), 블루투스(등록상표), 3G 및 4G 등의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해진 통신 규격에 기초하는 통신 방식, 혹은, 그 밖의 통신 방식,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유선 혹은 무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점포 장치(1)와 외부 장치(10)의 사이에는, 다른 장치(예컨대, 주문을 관리하기 위한 서버, 및/또는, 주문의 결제를 실행하기 위한 서버 등)를 통해도 좋다. 예컨대, 점포(50)가 체인점인 경우, 외부 장치(10)로부터의 주문은, 복수의 점포를 관리하는 서버에 송신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점포(50)에 주문이 송신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점포(50)로부터의 필요한 연락은 상기 서버에 송신되고, 서버로부터 외부 장치(10)에 연락이 회신되어도 좋다.
외부 장치(10)는, 소비자(C)에 의해 식품의 주문을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장치(10)는, 예컨대, 스마트폰 혹은 피처폰 등의 휴대전화, 태블릿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외부 장치(10)는, 예컨대, CPU, ROM, RAM,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장치, 및/또는, 터치 패널, 마우스, 키보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입력 장치 및/또는 표시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소비자(C)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외부 장치(10)로부터 식품의 주문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주문이 완료되었을 때, 외부 장치(10)를 통해 사전에 식품의 지불이 완료되어도 좋다. 이 경우, 소비자(C)는, 점포(50)에서 지불하지 않고 신속하게 식품을 수취할 수 있다.
「주문」은 여러가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이 커피 음료인 경우에는, 주문은, 커피 음료의 베이스 드링크의 타입(예컨대, 블랙 커피, 카페라떼, 카푸치노 또는 에스프레소 등), 커피 타입(로스티 또는 프루티 등), 농도(옅다, 레귤러 또는 진하다 등), 플레이버 타입(캬라멜, 쵸콜릿, 민트 또는 플레이버 없음 등), 온도(핫 또는 콜드 등), 커피 음료의 다른 특징, 밀크의 유무 혹은 종류, 설탕의 유무 혹은 양, 검 시럽의 유무, 다른 조미료 혹은 향료의 유무, 커피 음료 수령 희망 시각, 소비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또는, 외부 장치(1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점포(50)가 체인점인 경우에는, 주문은 점포명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주문은,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해도 좋다. 또한, 식품이 커피 음료 이외(예컨대, 차음료(예컨대, 홍차 또는 우롱차를 포함하는 음료) 또는 과즙 음료)인 경우에는, 주문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이 포함하는 정보는 점포 장치(1)의 기억부(12)에 기억된다.
도 4는, 외부 장치에 회신되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예컨대, 점포 장치(1)는, 식품의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료 통지(N)를 외부 장치(10)에 회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완료 통지(N)는, 예컨대, 종업원(E)이 점포 장치(1)에 식품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입력했을 때에 외부 장치(10)에 회신되어도 좋다.
「완료 통지(N)」는 여러가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완료 통지(N)는, 주문을 식별할 수 있는 주문 식별 정보(자세하게는 후술)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완료 통지(N)는, 용기(B)에 접착되는 라벨(L)(자세하게는 후술)의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화상은 용기(B)를 포함하고 있지만, 화상은 라벨(L)만을 포함해도 좋다. 용기(B)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용기(B)는, 예컨대, 주문한 식품의 타입(예컨대, 블랙 커피, 카페라떼, 카푸치노 또는 에스프레소 등)에 따른 색(예컨대, 검은색 또는 갈색)을 갖고 있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컨대, 완료 통지(N)는, 상기 주문이 포함하는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완료 통지(N)는, 예컨대, 주문에 대하여 설정된 주문번호, QR 코드(등록상표), 바코드, 및/또는, 용기(B)가 보관되어 있는 장소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로커(40)의 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완료 통지(N)가 포함하는 정보는, 점포 장치(1)의 기억부(12)에 기억되어도 좋다.
도 5는, 디스펜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디스펜서(2)는, 식품을 조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에서, 「식품」이란, 모든 음식물(의약품, 의료 기기 등의 품질, 유효성 및 안전성의 확보 등에 관한 법률에 규정하는 의약품, 의약부외품 및 재생 의료 등 제품을 제외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은,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 기능 식품 또는 일반 식품일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은, 용기(B)에 수용 가능하고, 또한, 점포(50)에서 종업원(E)에 의해 복수의 재료로 조제 가능한 음료 또는 음식물일 수 있다. 예컨대, 음료는 여러가지 음료일 수 있다. 예컨대, 음료는, 끓인 물 또는 물에 의해 추출 원료(예컨대, 분쇄된 배전 커피 원두 또는 차잎)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커피 음료 또는 차음료(예컨대, 홍차 또는 우롱차를 포함하는 음료)). 음료는, 커피 음료 및 차음료 이외(예컨대, 과즙 음료)이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식품은, 다른 음료 또는 음식물이어도 좋다(예컨대, 알코올 음료, 스프 또는 과자 등).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품은 커피 음료이다.
디스펜서(2)는, 커피 추출물을 수용하기 위한 탱크(도시하지 않음), 및, 탱크에 수용된 커피 추출물을 토출하기 위한 노즐(21)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펜서(2)는, 향료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 및, 향료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을 더 구비해도 좋다. 대체적으로, 디스펜서(2)는, 향료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를 구비해도 좋고, 노즐(21)이, 디스펜서(2)의 내부에서 혼합된 커피 추출물 및 향료를 토출해도 좋다. 또한 대체적으로, 향료는, 디스펜서(2)와는 별개의 용기(D)에 수용되어도 좋다. 종업원(E)은, 용기(B)를 디스펜서(2)에 셋팅하고, 예컨대 디스펜서(2)에 설치된 레버(22)를 조작함으로써, 용기(B)에 커피 추출물 및/또는 향료를 주입할 수 있다. 디스펜서(2)에는, 커피 추출물의 농도 및/또는 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23)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디스펜서(2)는, 커피 추출물의 다른 특징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스위치를 가져도 좋다.
커피 추출물은, 예컨대, 점포 바깥의 장치에서, 또는, 점포 내에 배치된 장치에서 미리 준비될 수 있다. 커피 원두의 재배 수종은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아라비카종, 로부스타종 또는 리베리카종이어도 좋다. 커피 원두의 품종은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모카, 브라질, 콜롬비아, 과테말라, 블루마운틴, 코나, 만델린 또는 킬리만자로이어도 좋다. 커피 원두는 1종이어도 좋고, 또는, 복수종이 블렌드되어도 좋다. 커피 원두의 배전 방법에 관해, 배전 온도 및 배전 환경에 특정한 제한은 없고, 일반적인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배전 커피 원두로부터의 추출 방법에 관해 특정한 제한은 없고, 예컨대, 커피 추출물은, 조립, 중립 또는 세립 등으로 분쇄된 배전 커피 원두로부터 물 또는 온수(0∼100℃)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예컨대, 연속 다관식, 드립식, 사이폰식, 보일링식 또는 제트식이어도 좋다. 예컨대, 연속 다관식 추출 방법에서는, 커피의 추출 원료(예컨대, 조립, 중립 또는 세립 등으로 분쇄된 배전 커피 원두)를 수용하는 복수의 추출 칼럼이 직렬로 접속된다. 추출 용매(예컨대, 물 또는 끓인 물)를 복수의 추출 칼럼에 순서대로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커피 추출물이 제조된다. 이러한 커피 추출물은, 예컨대, 캔커피(또는 레디·투·드링크 커피라고도 칭해질 수 있음)용의 연속 다관 추출용의 설비에 의해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피 추출물은, 미리 가열 멸균되어 있어도 좋다. 단, 캔커피는, 일반적으로, 연속 다관식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된 커피 추출물을 향료와 섞고 혼합물을 가열 멸균함으로써 제조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열 멸균된 커피 추출물은, 향료가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가열 멸균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가열 멸균은 여러가지 방법일 수 있다. 예컨대, 가열 멸균은, 고온에서 단시간 가열 멸균한 후, 무균 조건하에 가열 멸균 처리된 보존 용기에 충전하는 방법(UHT 가열 멸균법) 등을 들 수 있다. UHT 가열 멸균법의 경우, 통상 120∼150℃에서 1∼120초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130∼145℃에서 30∼120초간 정도의 조건일 수 있다.
향료는, 추출물 본래의 향기를 개선 및/또는 강화하기 위한 제1 향료와, 추출물 본래의 향기와는 상이한 플레이버를 가하기 위한 제2 향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제1 및 제2 향료는 구별되고, 또한, 따로따로 보존될 수 있다. 제1 향료는, 추출물의 원료(예컨대, 분쇄된 배전 커피 원두, 또는, 차잎)로부터 추출된 원료 유래의 향기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다. 제1 향료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해도 좋다. 예컨대, 음료가 커피 음료인 경우, 제1 향료는, 배전 커피 원두로부터 추출된 배전 커피 원두 유래의 향기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예컨대, 로스티 타입 및 프루티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전 커피 원두는, 예컨대, 아라비카종, 로부스타종 및/또는 리베리카종을 포함할 수 있고, 원하는 향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향료는, 예컨대, 캬라멜, 쵸콜릿, 민트 등이 있다.
용기(B)는 밀봉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밀봉 가능」이란, 예컨대, 용기(B)를 거꾸로 뒤집었을 때 또는 용기(B)를 흔들었을 때, 용기(B)로부터 식품이 새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용기(B)는 마개로 다시 막을 수 있다. 예컨대, 용기(B)는 플라스틱 보틀일 수 있다. 플라스틱 보틀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B)는, 예컨대, 식품을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된 입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캡을 가질 수 있다. 용기(B)는, 플라스틱 이외의 다른 재료(예컨대, 금속, 유리 및/또는 종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용기(B)는, 종이제의 본체와, 종이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캡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용기(B)는, 유리제의 본체와,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캡을 갖고 있어도 좋다.
출력 장치(3)는, 기억부(12)에 기억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식별 정보를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 장치(3)는 인쇄기이며, 주문 식별 정보가 표시된 라벨(L)을 인쇄할 수 있다. 라벨(L)은, 주문 식별 정보 이외의 정보도 포함해도 좋다. 출력 장치(3)는, 잉크젯 인쇄기 또는 레이저 인쇄기 등 라벨(L)을 인쇄할 수 있는 여러가지 인쇄기일 수 있다. 출력 장치(3)는, 예컨대, 디스펜서(2)에 내장되어도 좋고, 또는, 디스펜서(2)와 별개로 설치되어도 좋다.
「주문 식별 정보」는, 기억부(12)에 기억된 개개의 주문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여러가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주문 식별 정보는, 소비자를 식별하기 위한 문자(예컨대, 이름 또는 닉네임 등)(LT)와, 주문에 대하여 선택된 표시(M)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문자(LT)는, 소비자(C)가 외부 장치(10)로부터 주문을 송신할 때에, 외부 장치(10)를 통해 소비자(C)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표시(M)는, 형상, 모양 혹은 색채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시스템(100)에서 미리 복수의 패턴이 준비되어 있어도 좋다. 표시(M)는, 소비자(C)가 외부 장치(10)로부터 주문을 송신할 때에, 외부 장치(10)를 통해 소비자(C)에 의해 선택되어도 좋고, 또는, 시스템(100) 내의 구성 요소(예컨대, 점포 장치(1))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되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주문 식별 정보는, 상기와 같은 기억부(12)에 기억된 주문이 포함하는 정보 및 완료 통지(N)가 포함하는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식별 정보는, 예컨대, 식품이 조제된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주문 식별 정보는 다른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커피 음료는 점포에서 조제되기 때문에, 예컨대 캔커피와는 대조적으로, 라벨(L)은 원재료명 및 유통기한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이 때문에, 라벨(L)은 심플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라벨(L)은, 예컨대 「빠른 시간 내에 드십시오」 등의 표시를 포함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 장치(3)는 용기(B)에 접착되는 라벨(L)을 인쇄할 수 있는 인쇄기이다. 그러나, 출력 장치(3)는,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B)에 부착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출력 장치(3)는,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B)에 직접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인쇄기이어도 좋다. 이 경우, 출력 장치(3)는, 잉크젯 인쇄기 또는 레이저 인쇄기 등, 기억부(12)에 기억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용기(B)에 직접적으로 인쇄 가능한 여러가지 인쇄기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출력 장치(3)는,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B)에 직접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레이저 가공기이어도 좋다. 이 경우, 출력 장치(3)는, 기억부(12)에 기억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B)에 직접적으로 새길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디지털 사이니지(4)는, 예컨대, 주문을 접수한 것, 및/또는, 식품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4)는 그 밖의 정보를 표시해도 좋다.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는 화상은, 동영상이어도 좋고 및/또는 정지 화상이어도 좋다.
도 7은, 식품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디지털 사이니지(4)는, 예컨대, 주문 식별 정보가 부착된 용기(B)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예컨대, 디지털 사이니지(4)는, 종업원(E)이 식품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점포 장치(1)에 입력했을 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준비의 완료와 더불어 라벨(L)이 접착된 용기(B)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4)는, 점포 장치(1)가 주문을 받았을 때에, 주문을 수신한 것와 더불어 용기(B)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또, 라벨(L)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는 화상은, 용기(B)를 포함해도 좋고, 또는, 용기(B)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은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용기(B)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용기(B)는, 예컨대, 주문한 식품의 타입에 따른 색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8은, 기억 장치에 보존된 과거의 용기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시스템(100)에서는, 시스템(100) 내의 기억 장치(예컨대, 점포 장치(1)의 기억부(12))가, 점포 장치(1)가 주문을 받았을 때에, 주문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예컨대, 라벨(L)의 화상)를 보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억 장치는, 과거에 받은 복수의 주문에 관한 정보를 보존할 수 있다. 기억 장치에 보존된 과거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사이니지(4)는, 예컨대, 주문 식별 정보가 부착된 과거의 용기(B)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예컨대, 디지털 사이니지(4)는, 대기시(예컨대, 식품 준비의 완료 및 주문의 수신을 표시하지 않았을 때)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억 장치에 보존된 라벨(L)이 접착된 과거의 복수의 용기(B)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따라서, 과거에 점포(50)에서 식품을 구입한 경험을 갖는 소비자(C)는,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된 복수의 용기(B) 중에서 자신의 용기(B)를 탐색하는 등, 식품을 구입한 후에 디지털 사이니지(4)를 보고 즐길 수 있다. 또, 도 8에서는, 과거의 복수의 용기(B)가 표시되어 있지만, 과거의 단일 용기(B)만이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어도 좋다.
과거의 복수의 용기(B)가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는 경우, 용기(B)는, 예컨대, 기억 장치에 보존된 소정의 기간후에,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는 복수의 용기(B)의 리스트에 삽입되어도 좋다. 또한, 용기(B)는, 예컨대, 기억 장치에 보존된 소정의 기간후에,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는 복수의 용기(B)의 리스트로부터 삭제되어도 좋다.
또, 라벨(L)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는 화상은, 용기(B)를 포함해도 좋고, 또는, 용기(B)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은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용기(B)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용기(B)는, 예컨대, 주문한 식품의 타입에 따른 색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용기(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어도 좋고, 또는, 소정의 간격(예컨대, 수백밀리초 또는 수초 등)으로 순서대로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어도 좋다.
도 3을 참조하여, 단말(5)은,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 또는, 다른 통신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단말(5)은, 예컨대, CPU, ROM, RAM,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장치, 및/또는, 터치 패널, 마우스, 키보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입력 장치 및/또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소비자(C)는, 단말(5)을 이용하여 식품을 주문할 수 있다. 단말(5)로부터의 주문은, 상기 외부 장치(10)로부터의 주문이 포함하는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해도 좋다. 예컨대, 시스템(100)은, 식품을 소비자(C)에게 인도할 때에, 주문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예컨대, 리더 등)을 포함해도 좋다. 리더는, 외부 장치(10)에 회신된 완료 통지(N)에 포함되는 정보(예컨대, QR 코드(등록상표)(Q) 또는 바코드)를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리더는, 예컨대, QR 코드(등록상표) 리더 또는 바코드 리더일 수 있다. 리더(또는 시스템(100)의 다른 구성 요소)는, 리더에 의해 판독된 정보가 유효한지 아닌지를 판정해도 좋다. 예컨대, 종업원(E)은, 리더에 의해 판독된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판독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용기(B)를 소비자(C)에게 건네주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은, 점포 장치(1)가 소비자(C)로부터의 주문을 접수하는 것부터 시작된다(단계 S100). 주문은, 외부 장치(10) 또는 단말(5)로부터 입력되어도 좋다. 대체적으로, 종업원(E)은, 소비자(C)로부터 주문을 종이로, 구두로 또는 전화 등으로 받아도 좋고, 소비자(C)로부터의 주문을 입력부(13)에 의해 점포 장치(1)에 입력해도 좋다. 계속해서, 점포 장치(1)는, 접수한 주문을 기억부(12)에 입력한다(단계 S101).
계속해서, 점포 장치(1)는, 접수한 주문을 종업원(E)에 대하여 통지한다(단계 S102). 통지는 여러가지 양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점포 장치(1)는, 신규 주문을 접수한 것을 표시부(14)에 나타내도 좋다. 또한, 점포 장치(1)는, 신규 주문을 접수한 것을 음성으로 나타내도 좋다. 또한, 점포 장치(1)는, 통지로서, 또는, 통지에 더하여, 주문이 포함하는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부(14)에 나타내도 좋다. 예컨대, 복수의 주문이 접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포 장치(1)는, 수령 희망 시각이 이른 주문으로부터 느린 주문의 순서로, 주문을 표시부(14)에 나타내도 좋다. 예컨대, 커피 음료의 타입에 따라서 조제 시간이 상이한 경우에는, 조제 시간이 표시의 순서에 고려되어도 좋다. 예컨대, 긴 조제 시간을 갖는 커피 음료의 주문은, 짧은 조제 시간을 갖는 커피 음료의 주문보다 우선되어도 좋다. 표시의 순서는 적절하게 변경되어도 좋다.
계속해서, 종업원(E)은, 커피 음료를 조제하여 커피 음료를 용기(B)에 공급한다(단계 S104). 예컨대, 종업원(E)은, 표시부(14)에 표시된 주문에 기초하여 커피 음료를 조제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점포 장치(1)는, 표시부(14)에 표시된 주문 중에서, 준비하는 주문을 자동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또는, 종업원(E)이 입력부(13)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출력 장치(3)에 라벨(L)을 인쇄하도록 지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종업원(E)은, 인쇄된 라벨(L)에 기초하여 커피 음료를 조제해도 좋다. 복수의 주문이 접수되어 있는 경우에는, 종업원(E)은, 점포 장치(1)에 표시된 순서에 따라서 커피 음료를 조제해도 좋고, 또는, 특정한 상황에는 순서는 변경되어도 좋다(예컨대, 어떤 주문의 소비자가 용기(B)의 준비가 완료되기 전에 일찍 점포에 도착한 경우 등).
예컨대, 종업원(E)은, 디스펜서(2)로부터 커피 추출물을 용기(B)에 주입하고, 커피 추출물의 주입후에(또는 전에), 디스펜서(2)로부터(또는 디스펜서(2)와는 별개의 용기(D)로부터) 제1 향료를 용기(B)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종업원(E)은, 예컨대 표시부(14)에 표시된 주문에 기초하여, 제2 향료, 밀크, 설탕, 검 시럽 및/또는 다른 조미료 등을 용기(B)에 더 주입해도 좋다. 커피 추출물이 일반적으로 마시는 커피 음료보다 높은 농도를 갖고 있는 경우, 종업원(E)은, 희석액(예컨대, 물, 온수 및/또는 유(乳)(예컨대, 우유 또는 밀크 등의 밀크 성분을 포함하는 것) 등)에 의해 커피 추출물을 희석해도 좋다.
계속해서, 종업원(E)은, 공급된 커피 음료를 포함하는 용기(B)를 밀봉한다(단계 S106). 예컨대, 종업원(E)은 플라스틱 보틀의 본체를 캡으로 폐쇄한다.
계속해서,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B)에 부착한다(단계 S108).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력 장치(3)가, 기억부(12)에 기억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라벨(L)을 인쇄하고, 종업원(E)이 라벨(L)을 용기(B)에 접착한다. 계속해서, 종업원(E)은, 용기(B)를 보관 수단에 보관한다(단계 S110). 예컨대, 종업원(E)은, 라벨(L)에 인쇄된 번호의 로커(40)에 용기(B)를 넣을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용기(B)의 준비가 종료한다. 또, 로커(40)에 용기(B)를 넣기 전에 소비자(C)가 점포(50)에 있는 경우(예컨대, 소비자(C)가 단말(5)로부터 커피 음료를 주문한 경우, 종업원(E)이 소비자(C)로부터 받은 주문을 점포 장치(1)에 입력한 경우, 또는, 용기(B)가 로커(40)에 보관되기 전에 소비자(C)가 점포(50)에 도착한 경우)에는, 종업원(E)은, 단계 S110을 실시하지 않고, 용기(B)를 직접 소비자(C)에게 건네주어도 좋은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계속해서, 커피 음료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종업원(E)이 입력부(13)를 통해 점포 장치(1)에 입력했을 때에, 점포 장치(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을 디지털 사이니지(4)에 완료 통지로서 표시한다(단계 S112). 완료 통지가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었을 때에 소비자(C)가 점포(50)에 있는 경우(예컨대, 소비자(C)가 단말(5)로부터 커피 음료를 주문한 경우, 종업원(E)이 소비자(C)로부터 받은 주문을 점포 장치(1)에 입력한 경우, 또는, 용기(B)가 로커(40)에 보관되기 전에 소비자(C)가 점포(50)에 도착한 경우)에는, 소비자(C)는, 커피 음료의 준비가 완료된 것을 디지털 사이니지(4)의 표시에 기초하여 알 수 있다.
계속해서, 점포 장치(1)는, 라벨(L)을 포함하는 화상을 외부 장치(10)에 대하여 완료 통지(N)로서 회신한다(단계 S114). 또, 점포 장치(1)는, 단계 S104에서의 상기 출력 장치(3)에 대한 라벨(L) 인쇄의 지시의 송신과 더불어, 외부 장치(10)에 대하여 완료 통지(N)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계 S114는, 예컨대, 단계 S112보다 전에 실시되어도 좋고, 또는, 단계 S112와 동시에 실시되어도 좋다.
계속해서, 소비자(C)가 용기(B)를 수취한다(단계 S116). 예컨대, 소비자(C)는, 자신의 외부 장치(10)에 송신된 완료 통지(N)에 포함되는 주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보관 수단에 있는 복수의 용기(B) 중에서 자신의 용기(B)(대응하는 주문 식별 정보가 부착된 용기(B))를 찾아내어 픽업할 수 있다. 대체적 또는 부가적으로, 소비자(C)는, 점포(50)에 도착했을 때에 리더를 사용해도 좋다. 예컨대, 리더는, 외부 장치(10)에 표시된(또는 종이에 인쇄된) QR 코드(등록상표) 또는 바코드을 판독한다. 종업원(E)은, 리더에 의해 판독된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판독된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용기(B)를 소비자(C)에게 건네준다.
계속해서, 디지털 사이니지(4)는, 대기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을 표시한다(단계 S118). 소비자(C)가 아직 점포(50)에 있는 경우에, 또는, 소비자(C)가 점포(50)를 재차 방문한 경우에, 소비자(C)는, 복수의 용기(B) 중에서 과거에 자신이 주문한 용기(B)를 찾아내는 등, 디지털 사이니지(4)의 표시를 즐길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방법 중, 점포 장치(1)에 의해 실시되는 단계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점포 장치(1)가 실시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 점포 장치(1)가 실행하는 처리는, 예컨대,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부(11)가 동작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점포 장치(1)의 처리부(11)는, 소비자(C)로부터의 주문을, 통신부(15)를 통해 외부 장치(10)로부터 혹은 단말(5)로부터, 또는, 종업원(E)에 의해 입력부(13)로부터, 접수한다(단계 S200). 계속해서, 처리부(11)는 접수한 주문을 기억부(12)에 입력한다(단계 S201). 계속해서, 처리부(11)는 접수한 주문을 종업원(E)에 대하여 통지한다(단계 S202). 단계 S200, S201 및 단계 S202는, 각각 상기 단계 S100, S101 및 단계 S102와 동일할 수 있다.
계속해서, 처리부(11)는, 주문 식별 정보를 출력하도록 통신부(15)를 통해 출력 장치(3)에 지시를 송신한다(단계 S204). 본 실시형태에서는, 처리부(11)는, 주문 식별 정보(예컨대, 소비자를 식별하기 위한 문자(LT), 주문에 대하여 선택된 표시(M), 커피 음료의 베이스 드링크의 타입(예컨대, 블랙 커피, 카페라떼, 카푸치노 또는 에스프레소 등), 제1 향료를 특정하기 위한 커피 타입(로스티 또는 프루티 등), 농도(옅다, 레귤러 또는 진하다 등), 제2 향료를 특정하기 위한 플레이버 타입(캬라멜, 쵸콜릿, 민트 또는 플레이버 없음 등), 온도(핫 또는 콜드 등), 밀크의 유무 및 양, 설탕의 유무 및 양, 검 시럽의 유무 및 양, 커피 음료의 수령 희망 시각, 및, 외부 장치(1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라벨(L)을 인쇄하도록, 출력 장치(3)에 지시를 송신할 수 있다.
계속해서, 처리부(11)는, 커피 음료의 준비 완료의 입력을 종업원(E)으로부터 입력부(13)를 통해 접수하고,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벨(L)을 포함하는 화상을 완료 통지로서 표시하도록 통신부(15)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4)에 지시를 송신한다(단계 S206). 계속해서, 처리부(11)는, 라벨(L)을 포함하는 화상을 완료 통지(N)로서 통신부(15)를 통해 외부 장치(10)에 대하여 송신한다(단계 S208). 단계 S208은, 예컨대, 단계 S206보다 전에 실시되어도 좋고, 또는, 단계 S206와 동시에 실시되어도 좋다. 계속해서, 처리부(11)는, 대기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거의 복수의 용기(B)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통신부(15)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4)에 지시를 송신한다(단계 S210). 단계 S206, S208, S210은, 각각 상기 단계 S112, S114, S118과 동일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주문을 받은 후에, 식품이 용기(B)에 공급되어 용기(B)가 밀봉된다. 따라서, 식품을 휴대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기억부(12)에 기억된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식별 정보가 출력 장치(3)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출력에 의해 주문 식별 정보가 용기(B)에 부착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와 같은 정보를 손으로 써서 용기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주문 식별 정보를 정확하게 용기(B)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C)가 자신의 용기(B)를 틀림없이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식품은 음료이다. 또한, 음료에는 가열 멸균된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추출물은, 예컨대, 캔음료용으로 가열 멸균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에 의해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료는, 구체적으로는 커피 음료이며, 커피 음료에는 가열 멸균된 커피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고, 커피 추출물은 연속 다관 추출된 후에 가열 멸균된 추출물이다. 이러한 커피 추출물은, 예컨대, 캔커피용의 기존의 연속 다관 추출용의 설비에 의해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설비로 미리 준비된 가열 멸균된 커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커피 음료가 조제되기 때문에, 분쇄된 커피 원두로부터 점포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에 비하여, 커피 음료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식품을 용기에 공급하는 단계는, 가열 멸균된 커피 추출물에, 커피 추출물의 원료로부터 추출된 원료 유래의 향기 성분을 포함하는 제1 향료를 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커피 음료는, 가열 멸균에 의해 추출물로부터 상실되는 향기를 다시 함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커피 추출물에 향료가 가해진 후에 커피 추출물이 가열 멸균되는 경우(예컨대, 캔커피)와 비교하여, 향기가 상실되지 않는다. 따라서, 향이 짙은 품질이 좋은 커피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품질이 좋은 커피 음료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기(B)는 마개로 다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용기(B)가 플라스틱 보틀이다. 따라서, 예컨대 종이컵에 의해 커피를 운반하는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휴대성을 얻을 수 있다.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에는, 여러가지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B)에 부착하는 단계는, 주문 식별 정보가 표시된 라벨(L)을 인쇄기에 의해 인쇄하는 것과, 라벨(L)을 용기(B)에 접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체적 또는 부가적으로,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는, 인쇄기에 의해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B)에 직접적으로 인쇄하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대체적 또는 부가적으로,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B)에 부착하는 단계는, 레이저 가공기에 의해 주문 식별 정보를 용기(B)에 직접적으로 새기는 것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주문 식별 정보는, 소비자(C)를 식별하기 위한 문자(LT)와, 주문에 대하여 선택된 표시(M)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문자(LT) 및 표시(M)를 포함하는 2개의 요소에 의해, 주문 식별 정보가 부착된 용기(B)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C)는, 자신의 용기(B)를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에서는, 주문은, 점포(50) 바깥에 있는 외부 장치(10)로부터 기억부(12)에 송신되고, 방법은, 주문 식별 정보를 완료 통지(N)로서 외부 장치(10)에 회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C)는, 외부 장치(10)에 회신된 주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점포(50)에서 자신의 용기(B)를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은, 라벨(L)을 포함하는 화상을, 점포(50)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식품의 준비 완료 통지와 더불어 라벨(L)을 포함하는 화상을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함으로써, 소비자(C)는,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된 자신의 라벨(L)에 기초하여, 식품의 준비가 완료한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은, 라벨(L)의 화상을 기억 장치에 보존하는 단계와, 기억 장치에 보존된 과거의 라벨(L)을 포함하는 화상을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기억 장치에 보존된 과거의 주문의 라벨(L)이 디지털 사이니지(4)에 표시되기 때문에, 소비자(C)는, 자신의 라벨(L)을 탐색하는 등, 식품을 구입한 후에 디지털 사이니지(4)의 표시를 즐길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C)에 대하여 높은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법은, 용기(B)를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소비자(C)가 바로 식품을 수취할 수 없는 경우에 소비자에게 편리하다.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형태의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특징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삽입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특징과 교환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단계는, 반드시 상기 순서로 실행될 필요는 없고,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상이한 순서로 실행되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라벨(L)은 식품을 조제할 때에 인쇄된다. 그러나, 라벨(L)은, 예컨대, 용기(B)의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예컨대, 용기(B)의 밀봉이 완료했을 때)에 인쇄되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부 단계가 종업원(E)에 의해 실시된다. 그러나, 종업원(E)에 의해 실시되는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시스템(1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예컨대, 시스템(100)은, 용기(B)를 디스펜서(2)에 셋팅하기 위한 장치, 주문에 기초하여 디스펜서(2)로부터 가열 멸균된 커피 추출물 및 향료를 용기(B)에 자동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기구, 용기(B)의 캡을 폐쇄하기 위한 장치, 및, 밀봉된 용기(B)를 보관 수단에 넣기 위한 장치의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해도 좋다.
1 : 점포 장치
2 : 디스펜서
3 : 출력 장치
4 : 디지털 사이니지(디스플레이)
5 : 단말
10 : 외부 장치
11 : 처리부
12 : 기억부(기억 장치)
13 : 입력부
14 : 표시부
15 : 통신부
21 : 노즐
22 : 레버
23 : 스위치
30 : 네트워크
40 : 로커
50 : 점포
100 : 시스템
B : 용기
L : 라벨
LT : 문자
M : 표시

Claims (15)

  1.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소비자로부터의 주문을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의 정보를 기억 장치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에 기초하여 식품을 밀봉 가능한 용기에 공급하는 단계와,
    공급된 식품을 포함하는 용기를 밀봉하는 단계와,
    상기 주문을 식별할 수 있는 주문 식별 정보를 상기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문 식별 정보는,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상기 주문의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출력 장치의 상기 출력에 의해 상기 용기에 부착되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인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에는 가열 멸균된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을 상기 용기에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가열 멸균된 추출물에, 상기 추출물의 원료로부터 추출된 상기 원료 유래의 향기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를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마개로 다시 막을 수 있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플라스틱 보틀인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식별 정보를 상기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식별 정보가 표시된 라벨을 인쇄기에 의해 인쇄하는 것과, 상기 라벨을 상기 용기에 접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식별 정보를 상기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는, 인쇄기에 의해 상기 주문 식별 정보를 상기 용기에 직접적으로 인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식별 정보를 상기 용기에 부착하는 단계는, 레이저 가공기에 의해 상기 주문 식별 정보를 상기 용기에 직접적으로 새기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식별 정보는, 상기 소비자를 식별하기 위한 문자와, 상기 주문에 대하여 선택된 표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로부터의 상기 주문을 접수하는 단계는, 점포 장치가, 점포 바깥에 있는 외부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주문을 접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회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을 포함하는 화상을, 점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화상을 상기 기억 장치에 보존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 장치에 보존된 과거의 주문의 라벨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를 보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34319A 2019-03-29 2020-03-12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2101457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9203A JP7018908B2 (ja) 2019-03-29 2019-03-29 食品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JPJP-P-2019-069203 2019-03-29
PCT/JP2020/010936 WO2020203157A1 (ja) 2019-03-29 2020-03-12 食品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777A true KR20210145777A (ko) 2021-12-02

Family

ID=7266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319A KR20210145777A (ko) 2019-03-29 2020-03-12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18908B2 (ko)
KR (1) KR20210145777A (ko)
WO (1) WO2020203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5904B2 (ja) * 2019-10-21 2023-11-24 株式会社ゲシャリーコーヒー 店舗表示システム
WO2024079896A1 (ja) * 2022-10-14 2024-04-18 甲二郎 守山 味・香り付加用組成物の提供方法、当該方法に用い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7836A (ja) 2010-04-26 2015-06-11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注文を管理し、商品を容器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
JP2015520079A (ja) 2012-04-20 2015-07-16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製品ディスペンサから分配する混合製品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5527666A (ja) 2012-08-06 2015-09-17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遠隔店頭装置で選択された製品を分注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518550A (ja) 2014-03-31 2017-07-06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セルフサービス製品ディスペンサ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8502B2 (ja) * 2002-06-04 2005-10-19 旭テクネイオン株式会社 物品の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4185522A (ja) 2002-12-06 2004-07-02 Eiji Hayashi 店舗向け飲料サービングシステム
JP5320928B2 (ja) * 2008-09-22 2013-10-23 東洋製罐株式会社 飲料充填システム
JP2011170797A (ja) 2010-02-22 2011-09-01 Toshiba Tec Corp 注文支援システム、注文支援方法
US8757222B2 (en) 2010-04-26 2014-06-24 The Coca-Cola Company Vessel activated beverage dispenser
CN108140207A (zh) * 2015-09-18 2018-06-08 雅富株式会社 基于服务提供场所信息的服务提供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7836A (ja) 2010-04-26 2015-06-11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注文を管理し、商品を容器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
JP2015520079A (ja) 2012-04-20 2015-07-16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製品ディスペンサから分配する混合製品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5527666A (ja) 2012-08-06 2015-09-17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遠隔店頭装置で選択された製品を分注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518550A (ja) 2014-03-31 2017-07-06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The Coca‐Cola Company セルフサービス製品ディスペ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3157A1 (ja) 2020-10-08
JP2020166778A (ja) 2020-10-08
JP7018908B2 (ja)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440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rchasing, dispensing, or sampling of products
US1041762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rchasing, dispensing, or sampling of products
US1031900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rchasing, dispensing, or sampling of products
CN101828206B (zh) 用于操作交互式分配器的设备和方法
US20080201241A1 (en) Automated coffee system
EP2752373B1 (en) Post-mix beverage system
US20170099981A1 (en) Callisto integrated tablet computer in hot and cold dispensing machine
JP2011512126A (ja) 特注飲料製品の作製方法
WO201804904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ustom dispensing
KR20210145777A (ko)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EP3445704B1 (en) Beverage dispenser with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s and method for illuminating the active container
WO2013150091A1 (en) Beverage dispenser with identification code
WO2016011372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rchasing, dispensing, or sampling of products
WO2019146515A1 (ja) 飲料提供システム、飲料提供方法、飲料提供プログラム
JP7121151B2 (ja) 食品を提供するための店舗装置及びシステム
JPH10275275A (ja) 飲料の自動販売機
WO2024079896A1 (ja) 味・香り付加用組成物の提供方法、当該方法に用いる装置
JP2003022391A (ja) キャンペーンの参加システム及びキャンペーン用商品
CA3120038A1 (en) Micro factory system for on-demand dispensing of beverages
JP2001328669A (ja) インスタント飲料セット及びその販売システム
US20100269381A1 (en) Labeling For A User Selectable Flavored Drink
JP2002332074A (ja) 包装済みインスタント飲料セット及び販売システム
JP2003022475A (ja) 包装済みインスタント飲料及び/又は食品の販売店及び販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