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848A -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848A
KR20210142848A KR1020200059538A KR20200059538A KR20210142848A KR 20210142848 A KR20210142848 A KR 20210142848A KR 1020200059538 A KR1020200059538 A KR 1020200059538A KR 20200059538 A KR20200059538 A KR 20200059538A KR 20210142848 A KR20210142848 A KR 20210142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ogie
tension
weigh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802B1 (ko
Inventor
정영훈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8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부재를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풀리부와, 텐션풀리부에 연결되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와, 대차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재와 웨이트부재가 설치되는 타워프레임을 포함하는 웨이트부와, 대차부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고, 웨이트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파손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TENSION WEIGHT APPARATUS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부재의 절단으로 인한 풀리부재의 파손과 웨이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 개의 풀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부재에 의해 이송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웨이트부재에 의해 벨트부재의 텐션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6563호(2013. 05. 08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벨트부재의 절단으로 인한 풀리부재의 파손과 웨이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를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풀리부와, 텐션풀리부에 연결되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와, 대차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재와 웨이트부재가 설치되는 타워프레임을 포함하는 웨이트부와, 대차부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고, 웨이트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파손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손 방지부는, 대차부에 설치되는 제1 로드 브라켓과, 대차부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1 로드 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 로드와, 대차부와 타워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로드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제1 로드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제1 로드 브라켓과 제1 지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대차부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손 방지부는, 대차부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2 로드 브라켓과, 대차부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2 로드 브라켓에 설치되고, 단부에 제3 로드 브라켓이 구비되는 제2 로드와, 대차부와 상기 타워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로드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과, 제2 로드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프레임과 제3 로드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대차부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손 방지부는, 대차부와 제2 지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로드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과, 제3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접촉시 회동되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회동 감지 로드를 구비하는 감지 센서와, 제2 로드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어, 제2 로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회동 감지 로드에 접촉되는 접촉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손 방지부는, 텐션풀리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동장치와, 감지 센서의 회동 감지 로드에 접촉 로드가 접촉하는 경우,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워프레임에는 제1 로드가 진입 가능하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가이드 홀을 따라 타워프레임으로 진입되는 제1 로드는 웨이트부재의 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웨이트부재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가 절단될 경우 파손 방지부의 작용으로 대차부의 충돌이 방지되어 풀리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웨이트부재가 걸림되어 추락으로 인한 웨이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밸트부재가 절단된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파손 방지부에 의해 대차부의 충돌이 방지되고, 웨이트부재의 추락이 방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밸트부재가 절단된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파손 방지부에 의해 대차부의 충돌이 방지되고, 낙하 방지부에 의해 웨이트부재의 추락이 방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를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풀리부(100)와, 텐션풀리부(100)에 연결되며 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200)와, 대차부(200)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재(310)와 웨이트부재(310)가 설치되는 타워프레임(320)을 포함하는 웨이트부(300)와, 대차부(200)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고, 웨이트부재(310)의 낙하를 방지하는 파손 방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이송물은 벨트컨베이어(20)의 벨트부재(21)를 따라 이송된다. 벨트부재(21)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며, 벨트부재(21)의 하측에는 복수의 지지롤러가 설치되어 벨트부재(21)를 지지한다
또한 벨트부재(21)의 양측에는 풀리부재가 설치되어 벨트부재(21)의 이동방향 전환을 가이드하며, 이러한 풀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벨트부재(21)에 장력을 형성하는 텐션풀리부(100)로 설치된다. 벨트컨베이어(20)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벨트부재(21)의 일측에만 텐션풀리부(100)가 설치되어 벨트부재(21)의 일측을 지지한다. 텐션풀리부(100)는 벨트부재(21)를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텐션풀리부(100)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벨트부재(21)의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대차부(200)는 텐션풀리부(100)에 연결되며 레일부(10)를 따라 텐션풀리부(100)와 함께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부(200)는, 대차몸체(210)와 바퀴부재(220)를 포함한다.
대차몸체(210)는 텐션풀리부(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텐션풀리부(10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바퀴부재(220)는 대차몸체(2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한다.
웨이트부(300)는 대차부(200)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재(310)와 웨이트부재(310)가 설치되는 타워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웨이트부재(310)는 대차부(200)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부재(310)는 타워프레임(32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웨이트부재(310)는 무게추와 같이 벨트부재(21)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정된 무게를 갖는 추이다.
타워프레임(3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물이며, 타워프레임(320)의 내측에 웨이트부재(3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프레임(320)은 철골 구조물이며, 레일부(10)의 일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타워프레임(320)의 상측과 측면에는 웨이트부재(310)와 연결된 연결부재(330)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롤러(340)가 복수로 설치된다. 연결부재(330)는 웨이트부재(310)와 대차부(200)를 연결하는 와이어 형상이며, 방향전환롤러(340)를 거치면서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파손 방지부(400)는 대차부(200)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고, 웨이트부재(310)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파손 방지부(400)는 대차부(200)의 상면부에 설치되는 제1 로드 브라켓(410)과, 대차부(200)의 전방[타워프레임(320)을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1 로드 브라켓(410)에 설치되는 제1 로드(420)와, 대차부(200)와 타워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로드(420)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430)과, 제1 로드(42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제1 로드 브라켓(410)과 제1 지지 프레임(430) 사이에 배치되어, 대차부(200)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는 제1 탄성부재(44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프레임(430)에는 대차부(200)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스토퍼(431)가 설치된다.
또한, 파손 방지부(400)는 대차부(200)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2 로드 브라켓(450)과, 대차부(20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2 로드 브라켓(450)에 설치되고, 단부에 제3 로드 브라켓(461)이 구비되는 제2 로드(460)와, 대차부(200)와 타워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로드(460)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470)과, 제2 로드(460)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프레임(470)과 제3 로드 브라켓(461) 사이에 배치되어 대차부(200)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는 제2 탄성부재(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손 방지부(400)는 대차부(200)와 제2 지지 프레임(470)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로드(460)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490)과, 제3 지지 프레임(490)에 설치되고, 접촉시 회동되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회동 감지 로드(493)를 구비하는 감지 센서(492)와, 제2 로드(460)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어, 제2 로드(46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회동 감지 로드(493)에 접촉되는 접촉 로드(4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손 방지부(400)는 텐션풀리부(10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동장치(495)와, 감지 센서(492)의 회동 감지 로드(493)에 접촉 로드(494)가 접촉하는 경우, 제동장치(495)를 작동시키는 제어부(4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타워프레임(320)에는 제1 로드(420)가 진입 가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 홀(321)이 제1 로드(420)의 진입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가이드 홀(321)을 따라 타워프레임(320)으로 진입되는 제1 로드(420)는 웨이트부재(310)의 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웨이트부재(31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평상시에는 웨이트부재(310)와 대차부(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0)의 장력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대차부(200)와 타워프레임(320) 사이의 거리는 일정 간격으로 유지된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벨트부재(21)가 파손되는 경우, 연결부재(330)의 장력 균형이 깨지면서 웨이트부재(310)는 하 방향[화살표(C) 방향]으로 더욱 이동하게 되고, 연결부재(330)는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대차부(200)는 타워프레임(320)이 위치된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대차부(200)의 이동과 더불어 제1 로드(420)와 제2 로드(460) 또한 대차부(200)와 더불어 이동하게 되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로드 브라켓(410)이 제1 탄성부재(440)를 가압하고, 제3 로드 브라켓(461)이 제2 탄성부재(480)를 가압하므로, 대차부(200)의 충돌은 탄성적으로 완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문제되었던 대차부(200)의 충돌로 인한 풀리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차부(200)는 제1 지지 프레임(430)에 설치된 탄성재질의 스토퍼(431)에 부딪히면서 충돌로 인한 충격이 추가적으로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대차부(200)에 설치된 제1 로드(420)가 타워프레임(32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홀(321)을 따라 타워프레임(320)의 내측으로 진입함으로써, 웨이트부재(310)의 하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웨이트부재(31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웨이트부재(3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부재가 절단될 경우 파손 방지부의 작용으로 대차부의 충돌이 방지되어 풀리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웨이트부재가 걸림되어 추락으로 인한 웨이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레일부 20: 벨트컨베이어
21: 벨트부재 100: 텐션풀리부
200: 대차부 210: 대차몸체
220: 바퀴부재 300: 웨이트부
310: 웨이트부재 320: 타워프레임
330: 연결부재 340: 방향전환롤러
400: 파손 방지부 410: 제1 로드 브라켓
420: 제1 로드 430: 제1 지지 프레임
440: 제1 탄성부재 450: 제2 로드 브라켓
460: 제2 로드 461: 제3 로드 브라켓
470: 제2 지지 프레임 480: 제2 탄성부재
490: 제3 지지 프레임 492: 감지 센서
493: 회동 감지 로드 494: 접촉 로드
495: 제동장치 496: 제어부

Claims (6)

  1. 벨트부재를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풀리부;
    상기 텐션풀리부에 연결되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
    상기 대차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재와, 상기 웨이트부재가 설치되는 타워프레임을 포함하는 웨이트부; 및
    상기 대차부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고, 상기 웨이트부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파손 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방지부는,
    상기 대차부에 설치되는 제1 로드 브라켓;
    상기 대차부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로드 브라켓에 설치되는 제1 로드;
    상기 대차부와 상기 타워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로드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로드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로드 브라켓과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차부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는 제1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방지부는,
    상기 대차부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2 로드 브라켓;
    상기 대차부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로드 브라켓에 설치되고, 단부에 제3 로드 브라켓이 구비되는 제2 로드;
    상기 대차부와 상기 타워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로드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 로드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3 로드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차부의 충돌을 탄성적으로 완화하는 제2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방지부는,
    상기 대차부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로드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바닥부에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접촉시 회동되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회동 감지 로드를 구비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제2 로드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로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회동 감지 로드에 접촉되는 접촉 로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 방지부는,
    상기 텐션풀리부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동장치; 및
    상기 감지 센서의 상기 회동 감지 로드에 상기 접촉 로드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프레임에는 상기 제1 로드가 진입 가능하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상기 타워프레임으로 진입되는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웨이트부재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0200059538A 2020-05-19 2020-05-19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383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38A KR102383802B1 (ko) 2020-05-19 2020-05-19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38A KR102383802B1 (ko) 2020-05-19 2020-05-19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848A true KR20210142848A (ko) 2021-11-26
KR102383802B1 KR102383802B1 (ko) 2022-04-05

Family

ID=7870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538A KR102383802B1 (ko) 2020-05-19 2020-05-19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6632A (zh) * 2022-02-24 2022-05-17 中冶东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皮带拉紧装置和应用其的带式输送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735A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완충 장치
KR20120001230A (ko) * 2010-06-29 2012-0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텐션대차용 파손방지장치
KR20160001526A (ko) * 2014-06-27 2016-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대차 풀리의 이탈 방지 장치
KR20200033480A (ko) * 2018-09-20 2020-03-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735A (ko)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완충 장치
KR20120001230A (ko) * 2010-06-29 2012-0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텐션대차용 파손방지장치
KR20160001526A (ko) * 2014-06-27 2016-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대차 풀리의 이탈 방지 장치
KR20200033480A (ko) * 2018-09-20 2020-03-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6632A (zh) * 2022-02-24 2022-05-17 中冶东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皮带拉紧装置和应用其的带式输送机
CN114506632B (zh) * 2022-02-24 2024-04-12 中冶东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皮带拉紧装置和应用其的带式输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802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298B1 (ko) 선회가능한 롤러를 갖춘 컨베이어
KR10238380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10005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135551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CA2615142C (en) Installation for conveying goods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JP2509720B2 (ja) 物品詰め込み装置
KR20130098806A (ko) 트리퍼 장치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KR10141184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KR201300465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8872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2213979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101277501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2133100B1 (ko)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KR10195058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KR1024600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394792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2003004859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교정장치
KR102299560B1 (ko) 벨트컨베이어용 화재 확산 방지 장치
KR101477095B1 (ko) 철편제거기용 테스트장치
CN215200235U (zh) 用于在机床内运输管或型材的运输装置和具有这种运输装置的机床
KR102336753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102190505B1 (ko) 시료 채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