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027B1 -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027B1
KR102460027B1 KR1020200153530A KR20200153530A KR102460027B1 KR 102460027 B1 KR102460027 B1 KR 102460027B1 KR 1020200153530 A KR1020200153530 A KR 1020200153530A KR 20200153530 A KR20200153530 A KR 20200153530A KR 102460027 B1 KR102460027 B1 KR 10246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tating
belt conveyor
ten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145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0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에 연결되고,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와, 벨트컨베이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 및 대차부와 웨이트부를 연결시키는 와이어부가 구비되는 텐션조정부와, 대차부에 연결되고, 와이어부의 절단 시 대차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및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와이어부의 절단 시 웨이트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TENSION WEIGHT APPARATUS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력에 의해 벨트부재의 텐션을 조정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 개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부재에 의해 이송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웨이트부에 의해 벨트부재의 텐션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6563호(2013. 05. 08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텐션와이어의 절단으로 인한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에 연결되고,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 상기 벨트컨베이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 및 상기 대차부와 상기 웨이트부를 연결시키는 와이어부가 구비되는 텐션조정부; 상기 대차부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부의 절단 시 상기 대차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부의 절단 시 상기 웨이트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제1스토퍼부재; 및 상기 대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스토퍼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대차부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1스토퍼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부의 절단 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부의 타측을 상기 웨이트부의 하측에 배치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와이어부에 구름 접촉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의 일측을 관통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일측을 상기 이탈방지부로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경로에 대응되는 곡률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텐션조정부에 의해 벨트부재의 텐션을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벨트부재를 안정적으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와이어부의 절단 시 스토퍼부가 대차부의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대차부 및 벨트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추락방지부에 의해 웨이트부가 지면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구성을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구성을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이송물은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부재(11)를 따라 이송된다. 벨트부재(11)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며, 벨트부재(11)의 하측에는 복수의 지지롤러가 설치되어 벨트부재(11)를 지지한다. 벨트부재(11)의 양측에는 벨트부재(11)의 이동방향 전환을 가이드하고, 벨트부재(11)에 장력을 제공하는 원통 형상의 텐션풀리부(12)가 설치된다.
벨트컨베이어(10)의 하측에는 벨트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2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대차부(100), 텐션조정부(200), 스토퍼부(300), 추락방지부(400)를 포함한다.
대차부(100)는 벨트컨베이어(10)의 텐션풀리부(12)에 연결되고, 레일부(20)를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부(100)는 대차몸체(110)와 이동부재(120)를 포함한다.
대차몸체(110)는 텐션풀리부(12)의 하측에 배치되고, 텐션풀리부(12)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동부재(120)는 대차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레일부(20)를 따라 이동되며 대차몸체(110)를 이동시킨다.
텐션조정부(200)는 대차부(100)에 장력을 가하여 벨트부재(11)의 텐션을 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텐션조정부(200)는 대차부(100)에 벨트부재(11)에 의한 장력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장력을 가해주고, 이러한 장력 방향으로 대차부(100)를 이동시킴으로써 벨트부재(11)의 텐션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조정부(200)는 프레임부(210), 웨이트부(220), 와이어부(230), 방향전환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 및 상기 대차부와 상기 웨이트부를 연결시키는 와이어부가 구비되는 텐션조정부;
프레임부(210)는 벨트컨베이어(1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후술하는 웨이트부(220), 와이어부(230), 방향전환부재(24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10)는 제1프레임(211), 제2프레임(212)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211)는 대차부(100)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프레임(211)은 후술하는 웨이트부(220)가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게 형성된다. 제1프레임(211)의 적어도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 벨트컨베이어와 마주보는 면은 개구되어 내부와 연통된다.
제2프레임(212)은 제1프레임(211)으로부터 대차부(100)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프레임(212)은 단부가 대차부(100)의 일면과 마주보게 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제2프레임(2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1)에 고정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지면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웨이트부(220)는 프레임부(2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부(220)는 벨트부재(11)에 충분한 텐션을 제공할 수 있는 무게를 갖는 무게추로 예시될 수 있다. 웨이트부(220)는 제1프레임(2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구비되어 제1프레임(211)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웨이트부(22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프레임(211)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와이어부(230)는 와이어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웨이트부(220)와 대차부(100)를 연결시킨다. 와이어부(230)는 웨이트부(2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자 하는 힘을 장력의 형태로 변환하여 대차부(100)로 전달한다.
방향전환부재(240)는 와이어부(230)에 연결되고, 와이어부(230)에 의한 장력의 전달방향을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재(240)는 제1프레임(211), 제2프레임(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롤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방향전환부재(240)는 외주면이 와이어부(230)와 접촉되며, 와이어부(23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방향전환부재(240)의 구체적인 배치는 와이어부(230)에 의한 장력의 전달방향을 레일부(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전환 시킬 수 있는 배치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스토퍼부(300)는 대차부(100)에 연결되고, 와이어부(230)의 절단 시 대차부(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부(300)는 와이어부(230)의 절단 시 벨트부재(11)의 장력으로 인한 대차부(100)의 이동을 정지시켜 대차부(100)가 프레임부(21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거나, 레일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부(300)는 밸트부재(11)의 텐션이 완전히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300)는 제1스토퍼부재(310), 제2스토퍼부재(320), 완충부재(330)를 포함한다.
제1스토퍼부재(310)는 프레임부(210)에 고정되고, 대차부(100)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기준점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부재(310)는 제2프레임(212)의 단부에 고정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스토퍼부재(310)의 폭은 제2프레임(212)의 단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스토퍼부재(310)는 나사 결합, 용접 등에 의해 제2프레임(212)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스토퍼부재(320)는 대차부(100)에 고정되고, 제1스토퍼부재(310)와 간섭되어 대차부(100)가 프레임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토퍼부재(320)는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스토퍼부재(320)는 개구된 측이 제1프레임(211)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내부에 제1스토퍼부재(310)가 배치된다. 제2스토퍼부재(320)의 양단부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1스토퍼부재(310)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 경우, 소정 거리는 제2스토퍼부재(320)의 양단부가 제1스토퍼부재(310)의 후면과 이격된 거리로, 와이어부(230)의 절단 시 대차부(100)가 프레임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최대 거리에 해당한다. 제2스토퍼부재(320)는 폐쇄된 측이 제1프레임(211)과 마주보는 대차부(100)의 일면에 용접,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고정된다.
완충부재(330)는 제1스토퍼부재(310)와 제2스토퍼부재(3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스토퍼부재(310)와 제2스토퍼부재(320)의 간섭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30)는 탄성의 재질을 포함하는 패드의 형태로 형성된다. 완충부재(330)는 제2스토퍼부재(320)의 양단부가 제1스토퍼부재(310)의 후면과 마주보는 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완충부재(330)가 부착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스토퍼부재(31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제1스토퍼부재(310), 제2스토퍼부재(320) 모두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추락방지부(400)는 프레임부(210)에 설치되고, 와이어부(230)의 절단 시 웨이트부(220)의 추락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락방지부(400)는 와이어부(230)가 절단됨에 따라 웨이트부(220)가 자중에 의해 프레임부(210)의 하방으로 추락하는 경우, 웨이트부(220)의 추락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웨이트부(220)가 지면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추락방지부(400)는 웨이트부(220) 의 추락에 의한 심각한 장비손상 또는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부(400)는 회전부(410), 지지부(420), 작동부(430)를 포함한다.
회전부(410)는 프레임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410)는 회전부몸체(411), 회전부재(412)를 포함한다.
회전부몸체(411)는 프레임부(210)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부(210)상에 후술하는 회전부재(412)가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몸체(411)는 제2프레임(212)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부재(412)는 회전부몸체(411)에 연결되고, 회전부몸체(411)를 축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412)는 한 쌍의 회전부몸체(411)의 사이에 배치되고, 핀 등에 의해 회전부몸체(41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부재(412)는 회전부몸체(411)를 기준으로 양측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다. 회전부재(412)의 상측면에는 웨이트부(220)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의 충격흡수부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420)는 회전부(410)에 연결되고, 와이어부(230)에 접촉되어 회전부(410)를 지지한다. 즉, 지지부(420)는 와이어부(230)의 정상 작동 시 회전부(410)를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20)는 회전부재(412)의 타측 단부(도 5 기준 좌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의 형태로 형성되고, 와이어부(230)에 구름 접촉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420)는 와이어부(23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작동부(430)는 회전부(410)의 일측에 연결되고, 와이어부(230)의 절단 시 회전부(410)를 회전시켜 회전부(410)의 타측을 웨이트부(220)의 하측에 배치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430)는 가이드부(431), 이탈방지부(432), 가압부(433)를 포함한다.
가이드부(431)는 프레임부(210)로부터 연장되고, 회전부(410)의 일측을 관통하여 회전부(410)의 회전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31)는 제2프레임(212)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431)는 회전부재(412)가 가이드부(4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회전부재(412)의 일측(도 5 기준 우측)을 수직하게 관통한다. 가이드부(431)는 회전부(410)의 회전 작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부(410),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412)의 회전 경로에 대응되는 곡률로 연장된다.
이탈방지부(432)는 가이드부(431)에 연결되고, 회전부(410)가 가이드부(4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432)는 가이드부(431)의 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탈방지부(432)는 가이드부(43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구비되어 회전부재(412)의 타측이 완전히 회전된 경우, 하면이 회전부재(412)의 일측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432)는 와이어부(230)의 절단 시 회전부(410)가 웨이트부(220)를 지지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가압부(433)는 회전부(410)의 일측에 연결되고, 회전부(410)의 일측을 이탈방지부(432)로 향해 가압한다. 즉, 가압부(433)는 와이어부(230)의 절단 시 회전부(4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가압부(433)는 와이어부(230)의 절단 시 회전부(410)를 보다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회전부(410)가 완전히 회전되기 전에 웨이트부(220)가 지면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433)는 가이드부(43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양측이 각각 제2프레임(212)과 회전부재(412)의 일측(도 5 기준 우측) 하면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웨이트부(220)의 자중에 의해 와이어부(230)가 당겨지며, 와이어부(230)와 연결된 대차부(100)는 텐션풀리부(12)를 당겨 벨트부재(11)에 텐션을 제공한다.
이 경우, 회전부(410)의 일측에는 가압부(433)에 의한 가압력이 가해지나, 지지부(420)가 와이어부(230)에 접촉됨에 따라 회전부(410)의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지지부(420)는 와이어부(230)에 구름 접촉되어 와이어부(230)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다.
이후, 와이어부(230)가 외력 또는 노후 등에 의해 절단된 경우, 대차부(100)는 와이어부(230)에 의한 장력, 즉 프레임부(210)를 향하는 방향의 장력이 해제됨에 따라 그와 반대되는 방향인 프레임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대차부(100)가 프레임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경우, 제1스토퍼부재(310)의 후면과, 제2스토퍼부재(320)의 단부면은 서로 접촉되어 대차부(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 경우, 제2스토퍼부재(320)의 단부면에 부탁된 완충부재(330)에 의해 제1스토퍼부재(310)와 제2스토퍼부재(320)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부(230)가 절단된 경우, 와이어부(230)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있던 지지부(420)는 와이어부(230)에 대한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412)의 일측은 가압부(433)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부(431)를 따라 이탈방지부(432)로 향해 이동되며 회전부재(412)의 타측을 시계반대방향(도 7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회전부재(412)의 타측이 시계반대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412)의 타측 상면은 웨이트부(220)의 하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후 웨이트부(220)는 회전부재(412)의 타측 상면에 안착되고, 지면으로의 추락이 방지된다. 이 경우, 회전부재(412)의 일측 상면은 이탈방지부(432)의 하면과 접촉되어 지지됨에 따라, 회전부재(412)의 타측은 웨이트부(220)를 지지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벨트컨베이어 11 : 벨트부재
12 : 텐션풀리부 20 : 레일부
100 : 대차부 110 : 대차몸체
120 : 이동부재 200 : 텐션조정부
210 : 프레임부 211 : 제1프레임
212 : 제2프레임 220 : 웨이트부
230 : 와이어부 240 : 방향전환부재
300 : 스토퍼부 310 : 제1스토퍼부재
320 : 제2스토퍼부재 330 : 완충부재
400 : 추락방지부 410 : 회전부
411 : 회전부몸체 412 : 회전부재
420 : 지지부 430 : 작동부
431 : 가이드부 432 : 이탈방지부
433 : 가압부

Claims (7)

  1. 벨트컨베이어의 텐션풀리부에 연결되고,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
    상기 벨트컨베이어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 및 상기 대차부와 상기 웨이트부를 연결시키는 와이어부가 구비되는 텐션조정부;
    상기 대차부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부의 절단 시 상기 대차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부의 절단 시 상기 웨이트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부의 절단 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부의 타측을 상기 웨이트부의 하측에 배치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제1스토퍼부재; 및
    상기 대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스토퍼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대차부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제1스토퍼부재와 상기 제2스토퍼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와이어부에 구름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의 일측을 관통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일측을 상기 이탈방지부로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경로에 대응되는 곡률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0200153530A 2020-11-17 2020-11-17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460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530A KR102460027B1 (ko) 2020-11-17 2020-11-17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530A KR102460027B1 (ko) 2020-11-17 2020-11-17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145A KR20220067145A (ko) 2022-05-24
KR102460027B1 true KR102460027B1 (ko) 2022-10-27

Family

ID=8180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530A KR102460027B1 (ko) 2020-11-17 2020-11-17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0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617A (ko) * 2000-12-27 2002-07-05 이구택 수송용 벨트의 대차 보호장치
KR100817161B1 (ko) * 2001-09-20 2008-03-27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KR100887145B1 (ko) * 2002-09-12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텐션 웨이트 제어장치
KR20160001526A (ko) * 2014-06-27 2016-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대차 풀리의 이탈 방지 장치
KR102100052B1 (ko) * 2018-09-20 2020-04-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145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1665A3 (en) Improved strapping machine
KR101424426B1 (ko) 벨트컨베이어용 완충장치
KR101298713B1 (ko)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롤러스탠드
KR10142445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1024600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10005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US5222587A (en) Device for moving part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along a line for processing them
KR20160001526A (ko) 대차 풀리의 이탈 방지 장치
KR101299048B1 (ko) 트리퍼
KR10238380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N103787047B (zh) 具有减速功能的断带保护装置
US3275126A (en) Safety device for suspended conveyor take-up mechanisms
KR20160135330A (ko) 평형 로프 텐셔닝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CN203728116U (zh) 具有减速功能的断带保护装置
KR10060829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수평대차 이탈 방지장치
KR101499314B1 (ko) 소재 적재 장치
KR20020052738A (ko) 롤러마모 방지용 스탠드장치
CN210854146U (zh) 一种基于triz防止皮带撕裂的保护装置
KR20130046566A (ko)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
KR100940893B1 (ko) 하역장비용 레일 클램프
CN218536697U (zh) 一种跑车防护装置
KR10216661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JP2021098599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KR102299560B1 (ko) 벨트컨베이어용 화재 확산 방지 장치
KR20200124830A (ko) 연속식 하역기의 주행 레일 이동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