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161B1 -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161B1
KR100817161B1 KR1020010058212A KR20010058212A KR100817161B1 KR 100817161 B1 KR100817161 B1 KR 100817161B1 KR 1020010058212 A KR1020010058212 A KR 1020010058212A KR 20010058212 A KR20010058212 A KR 20010058212A KR 100817161 B1 KR100817161 B1 KR 100817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ixed
wire rope
operating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363A (ko
Inventor
최광석
최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5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1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 원료를 이송할 때 이용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와이어 로프 및 벨트 절단시에도 텐션 연결장치인 텐션조절용 대차를 급제동시켜 대차를 보호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텐션조절용 대차본체(10)의 좌우측 중심에 고정된 지지대(1c,1d)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굴곡형 작동대(1a,1b)로 이루어지는 작동부(1)와, 이의 일측 굴곡 유동홈(1h)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면서 컨베이어벨트(30)에 접촉하는 벨트 절손감지부(2)와, 상기 작동부(1)의 타측 굴곡 유동홈(1h)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와이어로프 절단감지부(3) 및 상기 작동부(1)의 굴곡형 작동대(1a,1b)에 접촉하면서 고정되는 제동 스트라이크(4a,4b,4c,4d)에 의해서 컨베이어벨트(30)를 제동시키는 제동부(4)로 구성되는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 및 와이어로프가 절단되는 순간 대차본체를 급제동시켜 대차본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변기기의 대형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10058212
컨베이어벨트, 벨트절손감지부, 와이어로프절단감지부, 제동부, 작동부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APPARATUS FOR URGENTLY BRAKING TENSION CAR OF BELT CONVEYOR}
도 1a는 종래의 대차 및 텐션웨이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대차 및 텐션웨이트의 벨트 및 와이어로프 절손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를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컨베이어벨트 절손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컨베이어벨트 절손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컨베이어벨트 절손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및 제동부 작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와이어로프 절단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와이어로프 절단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및 제동부 작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와이어로프 절단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대차본체 1c,1d:지지대 1a,1b:굴곡형 작동대 1:작동부
30:컨베이어벨트 2a:텐션롤러 2:벨트절손 감지부
80:와이어로프 3d,3e:감지롤러 3:와이어로프절단 감지부
4a-4,4b-4,4c-4,4d-4:뒤틀림방지 브라켓 4a-1,4b-1,4c-1,4d-1:스프링
4a,4b,4c,4d:제동 스트라이크 60:레일 지지빔 4:제동부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 원료를 이송할 때 이용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와이어 로프 및 벨트 절단시에도 텐션 연결장치인 텐션조절용 대차를 급제동시켜 대차를 보호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및 원료를 이송하는 원료이송설비인 컨베이어벨트 장치의 구성은 구동풀리, 테일풀리, 밴드풀리 및 벨트의 장력을 조절해 주는 대차풀리(20)와 텐션 웨이트(100)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30) 가동시 벨트의 장력을 대차부 대차풀리(20)에서 힘을 받아 대차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강한 힘에 의한 충격을 흡수시켜주며 대차연결 장치인 와이어로프(80)가 쉬브(90)를 통하여 텐션웨이트(100) 고정부에 연결되어 텐션웨이트(100)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있으나, 모든 힘을 전달받고 있는 연결장치인 와이어로프(80) 절단(B)시나 벨트 컨베이어(30)가 절손(A)되었을 때, 막중한 무게의 웨이트(100)가 하부로(다) 추락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대차부(10)가 구동부측이나 텐션부측으로 빠르게 움직여 풀리 및 주변기기들을 파손시키는 대형 설비사고로 인한 이송라인을 장기간 정지시켜야 하므로 조업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 텐션조절용 대차 본체에 고정되어 컨베이어 벨트 절손시 이를 감지하는 수단과, 와이어로프 절단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컨베이어벨트 및 와이어로프 절손시 상기 텐션조절용 대차를 급제동하기 위한 제동수단을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텐션조절용 대차 본체의 좌우측 중심에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면서 양단부에 유동홈이 형성된 굴곡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굴곡형 작동대와, 상기 굴곡형 작동대의 외부 양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4개의 유동롤러로 이루어지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일측 굴곡부 유동홈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면서 컨베이어 벨트에 접촉하는 텐션롤러로 이루어지는 벨트절손 감지롤러부와;
상기 작동부의 타측 굴곡부 유동홈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대에 하향고정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유동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와이어로프에 접촉하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감지롤러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로프 절단 감지부와;
상기 작동부의 유동롤러에 접촉하면서 상기 텐션조절용 대차 본체의 내면에 고정된 뒤틀림 방지 프라켓 사이에 압축 스프링을 삽입하여 중심축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4개의 제동 스트라이크와, 상기 제동 스트라이크 하단부에 고정되는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레일 지지빔의 내측 공간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다수개의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제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를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는 크게 컨베이어벨트(30) 절손 및 와이어로프(80) 절단 시 작동하는 작동부(1)와, 상기 작동부(1)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30) 상부에 설치되어 접촉하는 텐션롤러(2a)로 이루어지는 벨트 절손감지부(2)와, 와이어로프(80) 상부에 접촉, 설치된 감지롤러(3d,3e)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로프 절단감지부(3) 및 상기 작동부(1)의 굴곡형 작동대(1a,1b)의 좌우측 2개소와 밀착되어 컨베이어벨트(30) 절손시에는 와이어로프(80)측의 제동 스트라이크(4c,4d)가, 와이어로프(80) 절단시에는 벨트측의 제동 스트라이크(4a,4b)와, 상기 제동 스트라이크(4a,4b) 하부의 체결바(4a-3,4b-3)가 체결할 수 있도록 대차 레일 지지빔(60)의 내측 공간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다수개의 스토퍼(5a)로 이루어지는 제동부(4)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1)는 컨베이어벨트(30)가 절손되거나 와이어로프(80) 절단되었을 때, 작동하는 시소원리를 이용한 굴곡형 작동대(1a,1b)는 양측으로 소정각도의 각이 주어지고, 상기 벨트 절손감지부(2) 및 와이어로프 절단감지부(3)를 고정하여 유동시키는 유동홈(1h)이 갖추어진 것으로 굴곡형 작동대(1a,1b)를 중심으로 컨베이어벨트(30)에서부터 와이어로프(80)까지 양측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으며, 컨베이어벨트(30) 및 와이어로프(80)의 절단감지를 위한 굴곡형 작동대(1a,1b)를 설치하고, 상기 시소형식의 굴곡형 작동대(1a,1b) 중간지점에 지지대(1c,1d)를 설치하고 굴곡형 작동대(1a,1b)가 상, 하로 잘 유동될 수 있도록 중심 지지대(1c,1d)에 유동 중심축(1e,1f)을 작동대(1a,1b)와 결합하였으며, 상기 지지대(1c,1d)는 대차본체(10) 상부 평면부에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굴곡형 작동대(1a,1b)의 좌우측 외부에는 상기 제동부(4)의 제동 스트라이크(4a,4b,4c,4d)와의 밀착상태에서도 원활하게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유동롤러(1g)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벨트 절손감지부(2) 및 와이어로프 절단감지부(3)는 컨베이어벨트(30) 절손되거나 와이어로프(80)가 절단되었을 때 감지하는 수단으로써 한쪽 방향의 컨베이어벨트(30)측 끝지점에는 벨트(30) 상부에 텐션 감지롤러(2a)를 굴곡형 작동대(1a,1b)의 끝부분 유동홈(1h) 안쪽에 설치하여 컨베이어벨트(30) 위에 얹혀져 컨베이어벨트(30)와 같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벨트텐션이 없어지면 벨트 위에 놓여져 있는 텐션 감지롤러(2a)가 유동홈(1h) 바깥쪽으로 타고 내려와 무게중심이 끝지점으로 쏠리면서 벨트(30)측 굴곡형 작동대(1a,1b) 하부로 처지게되어 벨트절손을 감지하여 제동부(4)가 작동되게 하고, 반대측 와이어로프 절단감지부(3)측에도 와이어로프(80)가 움직일 때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감지롤러(3d,3e)가 와이어로프(80)위에 얹혀져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감지롤러(3d,3e)는 롤러 고정브라켓(3b,3c)에 고정핀(3f,3g)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정브라켓(3b,3c)을 연결대(3a)에 고정한 다음 연결대(3a)를 상기 굴곡형 작동대(1a,1b) 우측 부분의 유동홈(1h) 안쪽에 결합시켜 와이어로프(80)가 절단되면 유동홈(1h)바깥쪽으로 연결대(3a)의 무게중심이 쏠리면서 하부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동부(4)는 대차본체(10) 안쪽으로 고정되면서 상기 굴곡형 작동대(1a,1b)의 외측 유동롤러(1g)에 접촉하는 사각기둥의 제동 스프라켓(4a,4b,4c,4d)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끝단에는 좌우측 컨베이어벨트(30) 및 와이어로프(80) 절단감지시 움직이도록 굴곡형 작동대(1a,1b)에 맞닿게 설치된다.
상기 제동 스트라이크(4a,4b,4c,4d)가 빠르게 작동될 수 있고, 항상 살며시 밀고있는 힘을 줄 수 있는 압축 스프링(4a-1,4b-1,4c-1,4d-1)을 대차본체(10)의 상부에 견고하게 설치하고 압축 스프링(4a-1,4b-1,4c-1,4d-1) 하단에는 제동 스트라이크(4a,4b,4c,4d)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유동 중심축(4a-2,4b-2,4c-2,4d-2)을 대차본체(10)와 맞닿게 설치함과 동시에 제동 스트라이크(4a,4b,4c,4d)가 힘을 받아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뒤틀림 방지 브라켓(4a-4,4b-4,4c-4,4d-4)을 대차본체(10)의 작동범위 내에 좌우 양측으로 설치하며, 제동 스트라이크(4a,4b,4c,4d)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바(4a-3,4b-3,4c-3,4d-3)에는 각을 주어 대차레일(50)의 지지빔(60) 안쪽으로 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빔(60) 안쪽에는 사각형 형상의 스토퍼(5a)로써, 20T이상의 두꺼운 철판으로 100㎜ 간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작동 체결바(4a-3,4b-3,4c-3,4d-3)가 스토퍼(5a)와 스토퍼(5a)사이 홈에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컨베이어벨트 절손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컨베이어벨트 절손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컨베이어벨트 절손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및 제동부 작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와이어로프 절단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와이어로프 절단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및 제동부 작용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가 와이어로프 절단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30)가 절손되거나 와이어로프(80)가 절단되었을 때 대차본체(10)가 한쪽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주변기기를 파손시켜 대형 설비사고를 방지하고, 대차본체(10)를 보호하는 장치로써,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를 구성하는 작동부(1)의 굴곡형 작동대(1a,1b) 양끝 부분이 1도 가량의 각도로 유동홈(1h)이 갖추어진 안쪽 부분에 벨트 절손감지부(2) 및 와이어로프 절단감지부(3)를 같은 무게로 수평 유지하도록 설치하여 컨베이어벨트(30) 절손시는 텐션 감지롤러(2a) 하부에 있던 컨베이어벨트(30)의 장력이 없으므로 텐션 감지롤러(2a)가 굴곡형 작동대(1a,1b) 유동홈(1h)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무게중심이 텐션 감지롤러(2a)측이 와이어로프 절단감지부(3)보다 무거워서 작동부(1)의 지지대(1c,1d)를 중심으로 텐션 감지롤러(2a)측이 하부로 내려오고 와이어로프 절단감지부(3)측이 상부로 올라가는 작용을 하며, 와이어로프(80) 절단시에는 와이어로프 감지를 위한 연결대(3a)가 굴곡형 작동대(1a,1b) 유동홈(1h)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무게중심이 벨트 절손감지부(2)보다 와이어로프 절단감지부(3)가 무거워져, 상기 벨트 절손감지부(2) 측은 상부로 올라가고 와이어로프 절단감지부(3)는 하부로 내 려오는 작용을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가 절손되었을 때 제동부(4)의 와이어로프(80) 쪽에 설치된 2개의 제동 스트라이크(4c,4d)가 작동되며, 상기 시소형식의 굴곡형 작동대(1a,1b)의 끝지점으로 무게 중심이동으로 작동부(1)가 하부로 작동되면서 굴곡형 작동대(1a,1b) 좌우측 외부에 설치된 유동롤러(1g)의 회전과 컨베이어벨트 상부에 설치된 벨트 절손감지부(2)가 유동홈(1h)을 타고 무게중심이 바깥쪽으로 이동되면서 하부로 내려오고, 상기 굴곡형 작동대(1a,1b) 좌측에 설치된 컨베이어벨트(30) 쪽의 제동 스트라이크(4a,4b)가 밀착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고, 와이어로프(80)측에 설치된 제동 스트라이크(4c,4d)가 굴곡형 작동대(1a,1b)의 유동롤러(1g)가 회전되어 굴곡형 작동대(1a,1b)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동부(4)의 압축 스프링(4c-1,4d-1)의 살며시 미는 힘에 의해 와이어로프(80)쪽의 제동 스트라이크(4c,4d)가 작동되어 체결바(4c-3,4d-3)가 레일 지지빔(60) 안쪽에 설치된 스토퍼(5a)와 스토퍼(5a) 사이에 체결바(4c-3,4d-3)가 쉽게 체결되어 대차가 텐션웨이트 고정스탠드(110)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80)가 절단되었을 때는 벨트절손시 작동되는 체결장치의 반대쪽 제동부(4)의 제동 스트라이크(4a,4b)가 작동된다.
와이어로프(80) 절단시 시소형식의 굴곡형 작동대(1a,1b) 끝지점으로 무게중심 이동으로 작동부(1)가 하부로 작동되면서 굴곡형 작동대(1a,1b) 좌우 양측 외부에 설치된 유동롤러(1g)의 회전과, 와이어로프(80)쪽에 설치된 연결대(3a)가 유동 홈(1h)을 타고 무게중심이 바깥쪽으로 이동되면서 하부로 내려오고 굴곡형 작동대(1a,1b)우측에 설치된 와이어로프(80)쪽의 제동 스트라이크(4c,4d)는 밀착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컨베이어벨트(30)측에 설치된 제동 스트라이크(4a,4b)가 굴곡형 작동대(1a,1b)의 유동롤러(1g)가 회전으로 인하여 미끄러져 작동대(1a,1b)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동부(4)의 압축 스프링(4a-1,4b-1)이 살며시 미는 힘에 의해 컨베이어벨트(30)쪽의 제동 스트라이크(4a,4b)가 작동되어 체결바(4a-3,4b-3)가 레일 지지빔(60) 안쪽에 칸칸이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5a)와 스토퍼(5a) 사이에 체결바(4a-3,4b-3)가 쉽게 체결되어 대차가 구동부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는 컨베이어벨트(30) 및 와이어로프(80)가 절단되어 장력이 없어지면서 대차본체가 한쪽 방향으로 이탈되려는 순간 급제동시켜 대차본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기기의 대형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으로 작업능률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텐션조절용 대차본체(10)의 좌우측 중심에 고정된 지지대(1c,1d)와, 상기 지지대(1c,1d)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면서 양단부에 굴곡 유동홈(1h)을 구비하는 한 쌍의 굴곡형 작동대(1a,1b)로 이루어지는 작동부(1)와;
    상기 작동부(1)의 일측 굴곡 유동홈(1h)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면서 컨베이어벨트(30)에 접촉하는 텐션롤러(2a)로 이루어지는 벨트절손 감지부(2)와;
    상기 작동부(1)의 타측 굴곡 유동홈(1h)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대(3a)에 하향고정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3b,3c)과, 상기 고정브라켓(3b,3c)에 유동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와이어로프(80)에 접촉하는 한 쌍의 와이어로프 감지롤러(3d,3e)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로프절단 감지부(3)와;
    상기 작동부(1)의 굴곡형 작동대(1a,1b)에 접촉하면서 상기 텐션조절용 대차본체(10)의 내면에 고정된 뒤틀림 방지 브라켓(4a-4,4b-4,4c-4,4d-4) 사이에 압축 스프링(4a-1,4b-1,4c-1,4d-1)을 삽입하여 중심축(4a-2,4b-2,4c-2,4d-2)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4개의 제동 스트라이크(4a,4b,4c,4d)와, 상기 제동 스트라이크(4a,4b,4c,4d) 하단부에 고정되는 체결바(4a-3,4b-3,4c-3,4d-3)와, 상기 체결바(4a-3,4b-3,4c-3,4d-3)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레일 지지빔(60)의 내측 공간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다수개의 스토퍼(5a)로 이루어지는 제동부(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는 동 작동부(1)를 구성하는 굴곡형 작동대(1a,1b)의 외측 양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4개의 유동롤러(1g)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KR1020010058212A 2001-09-20 2001-09-20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KR100817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212A KR100817161B1 (ko) 2001-09-20 2001-09-20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212A KR100817161B1 (ko) 2001-09-20 2001-09-20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363A KR20030025363A (ko) 2003-03-29
KR100817161B1 true KR100817161B1 (ko) 2008-03-27

Family

ID=2772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212A KR100817161B1 (ko) 2001-09-20 2001-09-20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1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20B1 (ko) 2009-07-31 2011-06-3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완충 장치
KR20200033480A (ko) * 2018-09-20 2020-03-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04Y1 (ko) * 2012-12-15 2014-11-04 (주)로멕스테크놀로지 주름판재 코너연결부 자동용접장치
KR102460027B1 (ko) * 2020-11-17 2022-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214A (ja) * 1995-02-10 1996-08-27 Toyo Kanetsu Kk アキュムレーションコンベ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214A (ja) * 1995-02-10 1996-08-27 Toyo Kanetsu Kk アキュムレーションコンベ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20B1 (ko) 2009-07-31 2011-06-3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완충 장치
KR20200033480A (ko) * 2018-09-20 2020-03-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100052B1 (ko) 2018-09-20 2020-04-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363A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2479C (zh) 具有可降低的轿厢顶部的电梯轿厢
KR200461068Y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KR100817161B1 (ko)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US20080098924A1 (en) Safety Device for Train Platforms
US20060042883A1 (en) Elevator pit safety device
CN1235791C (zh) 用于电梯或悬荷的紧急制动和减震装置
JP6415731B2 (ja) エレベータの脱レール検出装置
CN212151238U (zh) 防坠机构及具有其的运动装置
CN101200258A (zh) 电梯限速器张紧装置
JP200711919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
JP4862296B2 (ja) 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KR101819300B1 (ko) 크레인용 제동장치
US3250348A (en) Overspeed brake for elevator cage
EP3080031B1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 of loading member in crane
CN108455430B (zh) 一种驱动链的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US4065122A (en) Emergency brake for movable conveyor
CN103101742B (zh) 一种无源多点机械式上运断带保护装置
CN218058037U (zh) 一种电梯缓降装置
KR101763400B1 (ko)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KR101635574B1 (ko) 처짐방지형 무대장치 장치봉 및 이를 사용하는 무대장치
US2629461A (en) Elevator safety device
JPH0137060Y2 (ko)
CN217902745U (zh) 一种电梯随行电缆涨紧导向装置
CN211470475U (zh) 一种升降机
KR100526775B1 (ko) 표면흡착이동로봇의 추락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