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052B1 -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052B1
KR102100052B1 KR1020180112800A KR20180112800A KR102100052B1 KR 102100052 B1 KR102100052 B1 KR 102100052B1 KR 1020180112800 A KR1020180112800 A KR 1020180112800A KR 20180112800 A KR20180112800 A KR 20180112800A KR 102100052 B1 KR102100052 B1 KR 10210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ension
bogie
stopper portion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480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0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를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풀리부와, 텐션풀리부에 연결되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와, 대차부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와, 일측은 벨트부재에 걸쳐지며 타측은 대차부를 관통하며 연장되는 스토퍼부 및 스토퍼부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스토퍼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를 복수로 구비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TENSION WEIGHT APPARATUS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트부의 추락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 개의 풀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부재에 의해 이송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웨이트부에 의해 벨트부재의 텐션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6563호(2013. 05. 08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부재의 절단으로 인한 웨이트부의 추락으로 벨트컨베이어가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를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풀리부와, 텐션풀리부에 연결되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와, 대차부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와, 일측은 벨트부재에 걸쳐지며 타측은 대차부를 관통하며 연장되는 스토퍼부 및 스토퍼부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스토퍼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를 복수로 구비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차부는, 텐션풀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차몸체와, 대차몸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바퀴부재 및 대차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스토퍼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토퍼부는, 벨트부재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벨트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감지롤러와, 감지롤러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벨트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부재를 관통하는 연장부재 및 연장부재에서 돌출되며 연장부재의 낙하에 의해 걸림홈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토퍼부는, 일측은 가이드부재에 지지되며 타측은 걸림돌기에 지지되고, 연장부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속부는, 레일부를 따라 레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판 형상의 구속몸체를 포함하며, 걸림홈부는 구속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하며 구속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는, 벨트부재가 절단될 경우 스토퍼부가 하강하여 구속부에 걸려서 대차부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대차부에 연결된 웨이트부의 추락으로 인한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가 구속부에 걸려서 대차부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부가 레일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부에 스토퍼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가 구속부에 걸려서 대차부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부가 레일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부에 스토퍼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는, 벨트부재(12)를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풀리부(20)와, 텐션풀리부(20)에 연결되며 레일부(70)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30)와, 대차부(30)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40)와, 일측은 벨트부재(12)에 걸쳐지며 타측은 대차부(30)를 관통하며 연장되는 스토퍼부(50) 및 스토퍼부(50)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스토퍼부(50)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64)를 복수로 구비하는 구속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이송물은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부재(12)를 따라 이송된다. 벨트부재(12)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며, 벨트부재(12)의 하측에는 복수의 지지롤러가 설치되어 벨트부재(12)를 지지한다
또한 벨트부재(12)의 양측에는 풀리부재가 설치되어 벨트부재(12)의 이동방향 전환을 가이드하며, 이러한 풀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벨트부재(12)에 장력을 형성하는 텐션풀리부(20)로 설치된다. 벨트컨베이어(10)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벨트부재(12)의 일측에만 텐션풀리부(20)가 설치되어 벨트부재(12)의 일측을 지지한다. 텐션풀리부(20)는 벨트부재(12)를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텐션풀리부(20)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며 벨트부재(12)의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대차부(30)는 텐션풀리부(20)에 연결되며 레일부(70)를 따라 텐션풀리부(20)와 함께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부(30)는, 대차몸체(32)와 바퀴부재(34)와 가이드부재(36)를 포함한다.
대차몸체(32)는 텐션풀리부(20)의 하측에 위치하며, 텐션풀리부(2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바퀴부재(34)는 대차몸체(3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70)를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부재(36)는 대차몸체(3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스토퍼부(5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구멍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36)는 대차몸체(32)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이며, 가이드부재(36)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스토퍼부(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웨이트부(40)는 대차부(30)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부(40)는 타워부(44)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웨이트부(40)는 무게추와 같이 벨트부재(12)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정된 무게를 갖는 추이다.
타워부(4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타워이며, 타워부(44)의 내측에 웨이트부(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부(44)는 철골 구조물이며, 레일부(70)의 일단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타워부(44)의 상측과 측면에는 웨이트부(40)와 연결된 연결부재(42)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롤러(46)가 복수로 설치된다. 연결부재(42)는 웨이트부(40)와 대차부(30)를 연결하는 와이어 형상이며, 방향전환롤러(46)를 거치면서 이동방향이 전환된다.
스토퍼부(50)의 일측은 벨트부재(12)의 상측에 걸쳐지며 타측은 대차부(30)를 관통하며 하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50)는 감지롤러(52)와 지지부재(54)와 연장부재(56)와 걸림돌기(58)와 탄성부재(59)를 포함한다.
감지롤러(52)는 벨트부재(12)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벨트부재(12)의 상측에 위치하며 벨트부재(12)에 걸쳐진다.
지지부재(54)는 감지롤러(52)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벨트부재(12)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54)는 상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이며, 가이드부재(36)의 상측에 위치한다.
연장부재(56)는 지지부재(54)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부재(36)를 관통하며, 연장부재(56)의 하측에는 걸림돌기(58)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재(56)는 봉 형상이며, 복수로 구비되어 지지부재(54)의 하측에 연결된다. 연장부재(56)는 가이드부재(36)에 구비된 구멍을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돌기(58)는 연장부재(56)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연장부재(56)의 낙하에 의해 걸림홈부(64)에 걸리는 돌기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58)의 종단면은 삼각형이므로 삼각형의 홈부를 형성하는 구속부(60)의 걸림홈부(64)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대차부(30)의 추가 이동을 구속한다.
탄성부재(59)의 일측은 가이드부재(36)에 지지되며 타측은 걸림돌기(58)에 지지되고, 연장부재(56)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59)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연장부재(56)와 연결된 걸림돌기(58)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구속부(60)는 스토퍼부(50)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스토퍼부(50)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64)를 복수로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60)는 구속몸체(62)와 걸림홈부(64)를 포함한다.
구속몸체(62)는 레일부(70)를 따라 레일부(7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판 형상이며, 걸림홈부(64)는 구속몸체(62)의 폭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하며 구속몸체(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부(40)의 자중에 의해 연결부재(42)가 당겨지며, 연결부재(42)와 연결된 대차부(30)는 텐션풀리부(20)를 당기므로 벨트부재(12)에 설정된 장력을 제공한다.
이때 스토퍼부(50)의 걸림돌기(58)는 구속부(60)의 걸림홈부(64)의 상측에 위치하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대차부(30)와 텐션풀리부(20)는 레일부(7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감지롤러(52)가 벨트부재(12)의 상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되므로 걸림돌기(58)의 하강이 구속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재(12)가 끊어진 경우, 스토퍼부(50)의 자중과 탄성부재(59)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58)가 하측으로 신속하게 이동된다. 따라서 걸림돌기(58)가 구속부(60)의 걸림홈부(64)에 걸리므로 스토퍼부(50)와 대차부(30) 및 텐션풀리부(20)의 이동이 구속되며, 웨이트부(40)의 낙하도 방지되어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1)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부재(12)가 절단될 경우 스토퍼부(50)가 하강하여 구속부(60)에 걸려서 대차부(30)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대차부(30)에 연결된 웨이트부(40)의 추락으로 인한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10: 벨트컨베이어 12: 벨트부재
20: 텐션풀리부 30: 대차부
32: 대차몸체 34: 바퀴부재
36: 가이드부재 40: 웨이트부
42: 연결부재 44: 타워부
46: 방향전환롤러 50: 스토퍼부
52: 감지롤러 54: 지지부재
56: 연장부재 58: 걸림돌기
59: 탄성부재 60: 구속부
62: 구속몸체 64: 걸림홈부
70: 레일부

Claims (5)

  1. 벨트부재를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풀리부;
    상기 텐션풀리부에 연결되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대차부;
    상기 대차부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웨이트부;
    일측은 상기 벨트부재에 걸쳐지며 타측은 상기 대차부를 관통하며 연장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스토퍼부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를 복수로 구비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부는,
    상기 텐션풀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차몸체;
    상기 대차몸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바퀴부재; 및
    상기 대차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토퍼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벨트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감지롤러;
    상기 감지롤러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벨트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관통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에서 돌출되며, 상기 연장부재의 낙하에 의해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는 걸림돌기; 및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걸림돌기에 지지되고, 상기 연장부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판 형상의 구속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구속몸체의 폭방향을 따라 홈을 형성하며, 상기 구속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0180112800A 2018-09-20 2018-09-20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10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800A KR102100052B1 (ko) 2018-09-20 2018-09-20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800A KR102100052B1 (ko) 2018-09-20 2018-09-20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480A KR20200033480A (ko) 2020-03-30
KR102100052B1 true KR102100052B1 (ko) 2020-04-10

Family

ID=7000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800A KR102100052B1 (ko) 2018-09-20 2018-09-20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802B1 (ko) * 2020-05-19 2022-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460027B1 (ko) * 2020-11-17 2022-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20230065805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포스코 텐션웨이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39Y1 (ko) 1999-12-08 2000-06-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어 텐션대차 이탈방지 장치
KR100817161B1 (ko) 2001-09-20 2008-03-27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KR101324543B1 (ko) 2012-05-24 2013-11-01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기의 주행 제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617A (ko) * 2000-12-27 2002-07-05 이구택 수송용 벨트의 대차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39Y1 (ko) 1999-12-08 2000-06-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컨베어 텐션대차 이탈방지 장치
KR100817161B1 (ko) 2001-09-20 2008-03-27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대차부 비상 제동장치
KR101324543B1 (ko) 2012-05-24 2013-11-01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기의 주행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480A (ko) 202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05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US9670003B2 (en) Snub idler for conveyor
WO2014156271A1 (ja) 搬送装置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388022B1 (ko) 트리퍼 장치
KR10238380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US2263506A (en) Spoil tipping conveyer
KR20130046564A (ko) 트리퍼
US8146510B2 (en) Workpiece support system
KR101498892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1344337B1 (ko) 철편 선별장치
KR101320664B1 (ko) 트리퍼
KR1013998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2110673B1 (ko) 벨트컨베이어
KR102057775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 장치
KR20140042085A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19780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101477095B1 (ko) 철편제거기용 테스트장치
KR101277501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978042B1 (ko) 벨트컨베이어
KR102299560B1 (ko) 벨트컨베이어용 화재 확산 방지 장치
KR20120121551A (ko) 벨트 컨베이어
KR101424467B1 (ko) 트리퍼용 벨트의 충격흡수장치
EP3212545B1 (en) Device for conveying products on carrier units.
KR20030048590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