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400B1 -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3400B1 KR101763400B1 KR1020170047952A KR20170047952A KR101763400B1 KR 101763400 B1 KR101763400 B1 KR 101763400B1 KR 1020170047952 A KR1020170047952 A KR 1020170047952A KR 20170047952 A KR20170047952 A KR 20170047952A KR 101763400 B1 KR101763400 B1 KR 1017634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car
- elevator
- hinge
- branch portion
- preven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4—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연결된 제 1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경로상의 내측벽에 이격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시 엘리베이터 카를 제동하기 위해 연결된 제 2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구동하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시 이를 감지하여 자유 낙하를 제동할 수 있는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모터 구동에 따른 로프 견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모터의 고장이나 로프의 파손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에 노출될 위험이 있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는 케이지(10)의 저면 중 하부프레임(11)을 회피한 위치에 추락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한 완충 수단(20)이 직접 설치되되, 이 완충 수단은 브라켓(30)을 매개로 하여 케이지에 대해 위치가변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30)은 케이지(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암 브라켓(310)과, 완충 수단(20)에 고정 또는 형성되는 숫브라켓(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 브라켓(310)은 상부 양측에 케이지(10)의 바닥면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편(311)이 구비되고, 이 결합편으로부터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하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슬롯(312)이 구비되며, 또한 슬롯의 주변에는 수 개의 체결공(3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숫 브라켓(320)은 상기 슬롯(312)의 폭(b) 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슬롯의 윗부분에 걸려 안착되며 상기 체결공(313)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는 상대 체결공(322)을 갖는 걸림부(321)가 구비되고, 또 상기 걸림부와 완충 수단(20)을 연결하면서 상기 슬롯(312)의 폭(b) 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슬롯내에 인입되는 연결부(32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암 브라켓(310)에 숫 브라켓(320)을 결합함에 따라 케이지(10)의 저면에 완충 수단(20)을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암 브라켓(310)의 체결공(313)에 대한 숫 브라켓(320)의 상대 체결공(322)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케이지에 대하여 숫 브라켓(320)과 이에 연결된 완충 수단(2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지(10)의 바닥면과 암 브라켓(310) 사이에는 완충 수단(20)에 의해 방어되지 못한 잉여의 충격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판형 완충재, 예컨데 고무패드(40) 등이 개입된다. 이 고무패드는 케이지의 추락사고시 완충 수단(20)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되지만 완충 수단으로부터 전도되는 2차 충격력이 숫 브라켓(320)과 암 브라켓(320)을 통해 케이지(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한 완충 수단의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완충 수단의 과도한 하중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성 문제와 운행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을 방지하기 보다 추락 충격을 완화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으로 인한 자유 낙하시 이를 감지하여 자유 낙하를 곧바로 제동할 수 있는 구조의 추락 방지 장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자유 낙하시 이를 감지하여 자유 낙하를 즉시 제동할 수 있는 구조의 제동장치를 갖도록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를 제공하고, 또한 혹시 추락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충격이 완충되는 완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연결된 제 1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경로상의 내측벽에 이격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일단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감속기를 통과하여 릴에 감겨지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기 감지부는 힌지형 가지부; 상기 힌지형 가지부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경로상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힌지형 가지부의 외측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롤러는 엘리베이터 카와 접촉시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힌지형 가지부의 회전 범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작동시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제 1 구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시 상기 제 1 구간을 벗어나 회전하는 제 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형 가지부가 제 2 구간에 위치한 경우에, 힌지형 가지부와 접촉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제 2 와이어를 권취하는 감속기를 작동시키는 접점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시 속도를 감소시키는 충격 완충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충격 완충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수형 완충부; 및 상기 수형 완충부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승강로 바닥의 피트에 장착되어 있는 암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암형 완충부에는 수형 완충부가 삽입시에 절개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절개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자유 낙하시 이를 감지하여 자유 낙하를 곧바로 제동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격 완충 장치는 작은 하중으로 효율적 이용이 가능한 구조로서 엘리베이터 카의 자유 낙하에 따른 추락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로서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감속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충격 완충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충격 완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감속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충격 완충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충격 완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감속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110), 구동부(120), 감지부(130) 및 감속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부(120)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연결된 제 1 와이어(111)를 권취하도록 구동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110)가 상단에는 제 2 와이어(112)가 연결되는데, 제 2 와이어(112)의 타단은 감속기(140)을 거쳐서 릴(Reel, 미도시)에 감겨져서 엘리베이터 카(110)가 하강되면서 풀리고 상승되면서 감아지도록 구성된다. 감속기(140)은 통상 작동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고, 접점스위치(150)의 신호에 의해서 작동된다.
이 때, 감속기(140)는 고정판(141) 및 가동판(1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동링크(미도시)는 가동판(142)과 연결되어 있어 가동판(5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 2 와이어(112)는 고정판(141) 및 가동판(142) 사이를 통과하여 릴에 감겨져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급하강하는 경우에 가동판(142)이 고정판(141)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 2 와이어(112)의 제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감지부(130)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이동 경로상의 내측벽에 복수개가 이격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110)의 승하강 작동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130)는, 힌지형 가지부(131), 탄성 스프링(133) 및 롤러(1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힌지형 가지부(131)는 바 형상으로서 일단이 엘리베이터 카(110)의 이동 경로상의 내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는 엘리베이터 카(110)가 승하강하면서 엘리베이터 카(110)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롤러(135)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스프링(133)은 상기 힌지형 가지부(131)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엘리베이터 카(110)의 이동 경로상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35)는 힌지형 가지부(131)의 외측 단부에 부착되어 엘리베이터 카(110)가 승하강하면서 엘리베이터 카(110)의 외부면과 접촉하는 경우에 힌지형 가지부(131)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롤러(135)는 엘리베이터 카(110)와 접촉시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135)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롤러(135)는 롤러축(136), 롤러 본체(137) 및 외피부(138)로 구성되어 있다. 즉, 힌지형 가지부(131)의 외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135)는 롤러 본체(137)의 외부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외피부(138)로 감싸져 있고, 롤러축(13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힌지형 가지부(131)가 제 2 구간(θ2)에 위치한 경우에, 힌지형 가지부(131)와 접촉하여 엘리베이터 카(110)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제 2 와이어(112)를 권취하는 감속기(140)를 작동시키는 접점 스위치(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힌지형 가지부(131)는, 통상 수평 상태로 위치하게 설계된다. 힌지형 가지부(131)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상향 및 하향 정상 작동시 엘리베이터 카(110)의 측단부와 롤러(135)와 접촉에 의해서 소정 각도 위치(제 1 구간(θ1)) 에서 롤러(135)가 엘리베이터 카(110)의 외면을 접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만일 엘리베이터 카(110)가 추락시 빠른 추락속도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카(110)의 하단이 힌지형 가지부(131)의 일단에 형성된 롤러(135)를 충격하게 되어 순간적으로 힌지형 가지부(131)의 일단에 장착된 롤러(135)는 충격에 의해서 통상 작동시의 힌지형 가지부의 회전범위 인 제 1 구간(θ1)을 벗어나서 제 2 구간(θ2)까지 회전 이동하게 되고 결국 접점스위치(150)을 충격하게 되어 접점스위치(150)이 작동되게 된다. 이 경우 접점스위치(150)의 작동에 의해서 감속기(140)가 작동되면서 엘리베이터 카(110)과 연결되어 있는 제 2 와이어(112)의 풀림을 완만하게 하게 작동하게 만드는 구조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충격 완충 장치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5의 충격 완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110)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카(110)의 추락시 속도를 감소시키는 충격 완충 장치(160)가 한 개 또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개 장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편의상 1개의 충격완충장치(16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충격 완충 장치(160)는 금속재로서 형성되되, 수형 완충부(161) 및 암형 완충부(16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형 완충부(161)는 중앙 부위가 돌출되면서 위로 갈수록 퍼지는 형상의 원추형, 원뿔형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암형 완충부(162)는 상기 수형 완충부(161)의 돌출된 중앙 부위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중공 형상으로 승강로 바닥의 피트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암형 완충부(162)에는 수형 완충부(161)가 삽입시에 수평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절개부들(16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부(164)는 상하방향으로 일부 길이만큼 절개될 수도 있고, 단순히 실린더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일정 깊이의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110), 구동부(120), 감지부(130) 및 감속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중 감지부들(130)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층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다.
우선, 엘리베이터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하강할 때 엘리베이터 카(110)의 외부는 힌지형 가지부(131)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135)와 접촉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카(110)와 롤러(135)가 접촉하면, 힌지형 가지부(131)가 하측 방향으로 제 1 각도(θ1) 범위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승강할 때 엘리베이터 카(110)의 외부는 힌지형 가지부(131)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135)와 접촉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상측 방향으로 제 1 각도(θ1) 범위에서 회전하게 된다. 힌지형 가지부(131)가 제 1 각도(θ1) 범위에서 회전하는 경우에는 탄성 스프링(133) 및 자중의 균형에 의해서 초기 수평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달리, 엘리베이터가 비정상 작동, 즉 엘리베이터 카(110)가 추락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110)가 하강할 때 엘리베이터 카(110)는 힌지형 가지부(131)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135)에 속도에 의해서 강한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힌지형 가지부(131)에 강한 충격이 전해져 힌지형 가지부(131)가 제 1 각도(θ1) 범위를 넘어서 제 2 각도(θ2) 범위까지 회전하게 된다. 강한 충격을 받은 힌지형 가지부(131)는 탄성 스프링(133)에 의해 승강로 내측벽으로 잡아 당겨지게 되고, 힌지형 가지부(131)는 접점 스위치(150)를 작동시킨다.
즉, 엘리베이터 카(110)가 추락하는 경우 힌지형 가지부(131)에 의해 접점 스위치(150)가 작동하게 되고, 힌지형 가지부(131)가 접점스위치(150)을 누름으로써 감속기(140)가 구동되어 제 2 와이어(112)를 천천히 풀리도록 함으로서 엘리베이터 카(11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감속기(140)가 제 2 와이어(112)를 천천히 풀리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카(110)의 추락을 방지하는 작동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카(110)가 승강로 바닥까지 추락하는 경우에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충격 완충 장치(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충격 완충 장치(160)는, 수형 완충부(161) 및 암형 완충부(162)로 구성되어 있고, 수형 완충부(161)는 엘리베이터 카(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암형 완충부(162)는 상기 수형 완충부(161)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중공 형상으로 승강로 바닥의 피트에 장착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카(110)가 추락하는 경우에 수형 완충부(161)와 암형 완충부(162)의 중앙 부위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암형 완충부(162)에는 수형 완충부(161)와 결합시에 수평방향으로 절개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절개부들(164)이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110)의 자유 낙하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의 자유 낙하시 이를 감지하여 자유 낙하를 곧바로 제동할 수 있고, 또한 충격 완충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 충격을 감쇠시켜 전체적인 엘리베이터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엘리베이터 카 111: 제 1 와이어
112: 제 2 와이어 120: 구동부
130: 감지부 131: 힌지형 가지부
133: 탄성 스프링 135: 롤러
136: 롤러축 137: 롤러 본체
138: 외피부 140: 감속기
141: 감속기 시브 142: 보조 시브
150: 접점 스위치 160: 충격 완충 장치
161: 수형 완충부 162: 암형 완충부
112: 제 2 와이어 120: 구동부
130: 감지부 131: 힌지형 가지부
133: 탄성 스프링 135: 롤러
136: 롤러축 137: 롤러 본체
138: 외피부 140: 감속기
141: 감속기 시브 142: 보조 시브
150: 접점 스위치 160: 충격 완충 장치
161: 수형 완충부 162: 암형 완충부
Claims (8)
- 엘리베이터 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연결된 제 1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경로상의 내측벽에 이격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승하강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일단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감속기를 통과하여 릴에 감겨지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힌지형 가지부;
상기 힌지형 가지부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경로상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힌지형 가지부의 외측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엘리베이터 카와 접촉시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형 가지부의 회전 범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 작동시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는 제 1 구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시 상기 제 1 구간을 벗어나 회전하는 제 2 구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형 가지부가 제 2 구간에 위치한 경우에, 힌지형 가지부와 접촉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제 2 와이어를 권취하는 감속기를 작동시키는 접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시 속도를 감소시키는 충격 완충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수형 완충부; 및
상기 수형 완충부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승강로 바닥의 피트에 장착되어 있는 암형 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완충부에는 수형 완충부가 삽입시에 절개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절개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7952A KR101763400B1 (ko) | 2017-04-13 | 2017-04-13 |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7952A KR101763400B1 (ko) | 2017-04-13 | 2017-04-13 |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3400B1 true KR101763400B1 (ko) | 2017-07-31 |
Family
ID=5941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7952A KR101763400B1 (ko) | 2017-04-13 | 2017-04-13 |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340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7125A (ja) * | 2006-11-17 | 2008-06-05 | Yokohama Rubber Co Ltd:The | エレベータ用の緩衝装置 |
KR101455060B1 (ko) * | 2014-05-07 | 2014-10-28 | (주)성풍건설 |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
-
2017
- 2017-04-13 KR KR1020170047952A patent/KR1017634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27125A (ja) * | 2006-11-17 | 2008-06-05 | Yokohama Rubber Co Ltd:The | エレベータ用の緩衝装置 |
KR101455060B1 (ko) * | 2014-05-07 | 2014-10-28 | (주)성풍건설 |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6403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1617572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EP2855325B1 (en) | Car mounted overspeed governor actuation device | |
JP6012596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152964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WO2011142763A1 (en) | Elevator system with rope sway mitigation | |
KR102076322B1 (ko) |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멈춤 장치 | |
JP5959668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WO2015122054A1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KR101763400B1 (ko) |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
CN112061927B (zh) | 一种层门安全钳 | |
JP2006526555A (ja) |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のタイダウン式補償 | |
JP2009509893A (ja) | 昇降路内に複数のかごを有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用の破断可能な緩衝器 | |
CN101200258A (zh) | 电梯限速器张紧装置 | |
CN212425046U (zh) | 一种层门安全钳 | |
JP4406273B2 (ja) | エレベータの作業保護装置 | |
JP2006315796A (ja) |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装置 | |
WO2016047314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147858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670773B2 (ja) | エレベータ用ガバナロープの振れ抑制ガイド装置 | |
JP2003252546A (ja) | エレベータ用緩衝器 | |
KR101008008B1 (ko) | 고가 사다리 소방차용 승강기와 레일의 결합구조 | |
JP4302062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CN219362907U (zh) | 一种观光电梯安全防护装置 | |
JP3979056B2 (ja) | エレベータの転落防止用エプロ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