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133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133A
KR20210141133A KR1020200058376A KR20200058376A KR20210141133A KR 20210141133 A KR20210141133 A KR 20210141133A KR 1020200058376 A KR1020200058376 A KR 1020200058376A KR 20200058376 A KR20200058376 A KR 20200058376A KR 20210141133 A KR20210141133 A KR 20210141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helf
area
food
hea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김언중
전인기
김경진
류지헌
임태섭
홍승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1133A/ko
Priority to CN202180035448.5A priority patent/CN115669221A/zh
Priority to PCT/KR2021/005974 priority patent/WO2021230665A1/ko
Priority to EP21803028.6A priority patent/EP4132223A4/en
Publication of KR2021014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133A/ko
Priority to US18/054,839 priority patent/US2023008744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7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4Aspects relating to lighting devices in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91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 H05B6/6494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for coo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4Mode transformers or mode stirr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80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는 제 1가열원과 조리실의 하측에 배치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 2가열원과 전후 방향으로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조리실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선반을 포함하고, 조리실은 선반의 상측에 형성되고, 제 1가열원 및 제 2가열원에 의해 조리되는 제 1조리물이 조리되는 제 1조리 영역과, 선반의 하측에 형성되고, 제 2가열원에 의해 조리되는 제 2조리물이 조리되는 제 2조리 영역을 포함하고, 선반은 제 1가열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제 1조리물이 놓여지는 조리면과, 제 2가열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제 2가열에서 발진되는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어 조리면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제 2가열원보다 제 1가열원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의 조리 공간이 구획되는 특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고,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조리기기를 통해 2개 이상의 다른 음식물을 조리할 시 각각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최적의 온도가 다를 수 있다. 이 때, 조리기기는 동일한 온도로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음식물이 동시에 조리기기를 통해 조리될 시 일부 음식물의 조리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동시에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식물이 조리기기에 의해 조리될 시 각각의 음식물이 서로 다른 최적의 온도로 조리가 진행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효율적인 조리 영역의 구획을 통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식물이 조리실 내부에서 용이하게 조리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는 제 1가열원과 상기 조리실의 하측에 배치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 2가열원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리실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실은, 상기 선반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가열원 및 상기 제 2가열원에 의해 조리되는 제 1조리물이 조리되는 제 1조리 영역과, 상기 선반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가열원에 의해 조리되는 제 2조리물이 조리되는 제 2조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가열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조리물이 놓여지는 조리면과, 상기 제 2가열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열에서 발진되는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어 상기 조리면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가열원보다 상기 제 1가열원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히터의 하단과 상기 조리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대략 최대 100mm이하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제 1히터는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제 2히터는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위치의 반대 위치인 제 2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리면은 상기 제 1히터와 상기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 1조리면과, 상기 제 2히터와 상기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 2조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조리면과 상기 제 2조리면에 공급되는 열의 온도는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조리면은 제 1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제 2조리면은 제 1조리물과 다른 적정 조리온도를 가지고 상기 제 1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제 3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조리면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좌우 방향으로의 장변을 가지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장변의 길이는 상기 단변의 길이의 대략 1,5배 내지 2배 사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선반의 면적은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조리실의 면적의 대략 0.9배에서 1배 사이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조리면은 상기 선반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조리면의 면적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가열부의 면적과 대응되게 마련된다.
또한 제 1색의 광을 상기 제 1조리면에 조사하는 제 1조명과, 상기 제 1색과 다른 제 2색의 광을 상기 제 2조리면에 조사하는 제 2조명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히터는 발열될 시 제 1색이 표시되록 마련되는 제 1컬러 필터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히터는 발열될 시 상기 제 1색과 다른 제 2색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제 2컬러 필터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조리면은 상기 제 1조리물이 담긴 제 1용기가 안착되는 제 1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조리면은 상기 제 3조리물이 담긴 제 2용기가 안착되는 제 2안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안착부와 상기 제 2안착부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홀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조리물이 담기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3조리물이 담기는 제 2수용부를 포함하는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 1수용부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 1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수용부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 2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가열원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스터러(Stirr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터러는 150m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원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1히터와 제 2히터를 포함하는 제 1가열원과 상기 조리실의 하측에 배치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 2가열원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리실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실은, 상기 선반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1조리 영역과, 상기 선반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조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조리 영역은 상기 제 1히터와 상기 제 2히터에 의해 각각 다른 열을 전달받는 제 1영역과 제 2영역이 좌우 방향으로 구획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열원보다 상기 제 1가열원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가열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조리물이 놓여지는 조리면과, 상기 제 2가열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열에서 발진되는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어 상기 조리면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리면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좌우 방향으로의 장변을 가지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장변의 길이는 상기 단변의 길이의 대략 1,5배 내지 2배 사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선반의 면적은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조리실의 면적의 대략 0.9배에서 1배 사이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제 1방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는 선반과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에 열을 제공하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방향 및 상기 제 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장변과 상기 단변의 길이 비는 1.5~2:1 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복수의 히터가 서로 다른 온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조리 공간이 효율적으로 구획되도록 배치되어 조리실 내부에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식물이 각각 구획된 복수의 구획 공간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어 조리기기를 통해 동시에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식물이 용이하게 조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조리실 내부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선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선반과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선반과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선반과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자레인지를 일 예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오븐과 같은 다른 조리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조리 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고 조리물이 위치할 수 있는 조리실(11)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11)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과 하우징(10)은 하우징(1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12)은 조리 기기(1)의 전방 방향인 제 1방향(A)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방향(A)으로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통해 조리물을 조리실(1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리실(11)은 제 1방향(A)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직교되는 제 2방향(B)으로 장변을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고 조리실(11) 하측에 배치되는 기계실(13)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3) 내부에는 조리 기기(1)를 구동시키는 각종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및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사용자가 조리 기기(1)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는 도 1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 또는 화상을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마련되는 터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20)가 폐쇄될 시 사용자가 조리실(1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명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실(11) 내부에 거치되고, 사용자가 조리물을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3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실(11) 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선반(30)이 조리실(11)의 상면(11a)과 하면(11b)사이에 거치되도록 조리실(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c)는 선반(30)이 다양한 높이에 거치되도록 제 1방향(A) 또는 제 2방향(B)에 대해 상하 방향 직교되는 제 3방향(C)으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선반(30)은 본체(31)와 조리물이 위치될 수 있는 조리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면(32)은 선반(30)이 거치될 시 조리실(11)의 상면(11a)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물이 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조리실(11)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100)은 선반(30)에 위치하는 조리물에 열을 제공하여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은 선반(30) 없이 조리실(11)의 하면(11b)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에도 가열원(100)은 하면(11b)에 위치한 조리물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가열원(100)은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는 제 1가열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100)은 조리실(11)의 하면(11b)에 배치되는 제 2가열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열원(200)은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복사시켜 조리물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제 2가열원(300)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31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조리물 내부로 주사되어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의 내부가 조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310)은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가열원(300)은 기계실(13)에서 조리실(11)의 하면(11b)을 향해 고주파를 발진시키고 고주파는 하면(11b)을 통과하여 선반(30)으로 조사될 수 있다.
종래의 전자레인지 타입의 조리 기기는 단일개의 마그네트론을 통해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마련되었다. 이 때, 조리물의 수분 분포나 함량에 따라 고주파가 조리물의 전 부분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조리물이 효율적으로 조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전자레인지에 조리물 전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히터가 장착되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특히 조리물의 외부에서 더 큰 온도를 통해 조리되어야 하는 조리물의 경우 추가적인 히터의 열을 통해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 또한 제 1가열원(200)과 제 2가열원(300)을 포함하여 조리물의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가열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는 바 조리물의 상측에는 복사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조리물의 하측에는 열이 전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조리물의 하측에 추가적인 열이 전달되도록 사용자는 구동 중인 조리 기기(1)를 중단하고 선반(30)를 조리실(11)에서 인출하여 조리물을 뒤집은 후 다시 조리실(11)에 삽입한 후 조리 기기(1)를 재구동시켜아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조리 중에 조리물의 하측에도 열이 전달되도록 선반(30)에 배치되는 발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33)는 선반(30)의 본체(31)에 있어서 조리면(32)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선반(30)이 조리실(11)에 거치될 시 조리실(11)의 하면(11b)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될 수 있다. 발열부(33)와 마주하는 마그네트론(310)에서 조사되는 고주파가 발열부(33)에 흡수되고 발열부(33)는 흡수된 고주파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열부(33)에서 발생된 열은 선반(30)의 본체(31)를 통해 조리면(3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발열부(33)에서 발생된 열이 조리면(32)으로 전도되면서 조리면(32)에 위치한 조리물의 하측에 열이 공급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고주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에 의해 발열이 가능한 재질이 세라믹 등과 혼합되어 발열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조리물을 뒤집지 않더라도 조리물의 상하 방향으로 열이 공급될 수 있어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실(11) 내부 영역을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30)은 상하 방향으로 조리실(11) 내부를 선반(3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1조리 영역(11d)과 선반(3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조리 영역(11e)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 1조리 영역(11d)은 제 1가열원(200)과 제 2가열원(30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조리 영역(11d)에 배치되는 조리물은 복수의 히터(210,220,230,240) 및 발열부(33)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조리가 될 수 있다.
제 2조리 영역(11e)은 제 2가열원(30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조리 영역(11e)에 배치되는 조리물은 제 2가열원(30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될 수 있다.
선반(30)에 의해 조리실(11) 내부가 구획되어, 조리실(11) 내부에 서로 다른 조리 방법을 가지는 조리물이 배치되어 동시에 조리실(11)에서 조리가 가능하다.
즉, 제 1조리 영역(11d)에 외부의 열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과 제 2조리 영역(11e)에 고주파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이 배치되어도 제 1,2가열원(200,300)이 동시에 작동되어 각각의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조리 방법으로 조리되는 조리물이 한번에 동일한 조리실(11)에서 조리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선반(30)의 제 3방향(C)으로의 면적은 조리실(11)의 제 3방향(C)으로의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 영역(11d)에서 제 1가열원(200)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 2조리 영역(11e)으로 전달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조리 영역(11e)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제 1영역(11d)으로 이동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조리 영역(11d)과 제 2조리 영역(11e)에서는 독립적인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제 2방향(B)으로 장변(11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조리실(11)을 가지는 조리 기기(1)의 경우, 일반적으로 조리실(11)의 장변(11L)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고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할 시, 조리실(11) 내부에서는 제 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과 대응되는 열의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선반(30)의 조리면(32) 상에는 서로 제공되는 온도가 다르게 형성되는 영역들이 구획될 수 있다.
조리면(32) 상에서 제 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복수의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은 각각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서로 다른 열이 직접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실에 넣어도, 각각의 조리물을 온도 차이로 구획되는 조리면(32)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배치할 시, 서로 다른 조리 온도에 따라 각각의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의 조리물을 위치시킬 시 각각의 조리물은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복수의 히터가 제 1방향(A)으로 이격 배치되는 바 서로 다른 온도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복수의 영역은 제 1방향(A)으로 구획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제 2방향(B)으로 연장되는 장변(11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선반(30) 또한 제 2방향(B)으로 장변을 가지고 제 1방향(A)으로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조리면(3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조리면(32)의 단변 방향인 제 1방향(A)으로 복수의 영역이 구획될 시, 제 1방향(A)으로의 복수의 영역들의 연장 길이는 짧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일부 부피가 큰 조리물을 조리할 시 온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영역에서 조리물이 복수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조리물의 일부가 적절한 온도에서 조리가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명부재(22)를 통해 각각의 조리물을 조리 기기(1)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데 복수의 조리물의 중 어느 하나의 조리물은 제 1방향(A)으로 깊숙이 배치됨에 따라 조리물이 조리되는 것을 관찰하는 데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200L)을 각각 포함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히터(210.220,230,240)는 조리실(11)의 장변(11L)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제 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30)의 조리면(32) 상에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 받는 복수의 영역이 제 2방향(B)을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와 이에 따라 선반(30)에 구획되는 복수의 영역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200L)을 각각 포함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히터(210.220,230,240)는 조리실(11)의 장변(11L)과 대응되는 제 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1히터(210)와 제 2히터(220)와 제 3히터(230) 및 제 4히터(240)로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히터(210)와 제 2히터(220)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4개의 히터(210.220,230,240)보다 더 많은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히터(210)는 제 2방향(B)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제 2히터(220)는 제 2방향(B)으로 제 1히터(210)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방향(B)을 기준으로 조리면(32)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1히터(210)는 일측, 제 2히터(220)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히터(230)는 제 1히터(210)와 인접한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4히터(240)는 제 2히터(220)와 인접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히터(210)와 제 3히터(23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또한 제 2히터(220)와 제 4히터(24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20,240)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심선(G)을 기준으로 중심선(G)의 일측에서 전달되는 온도와 반대측에서 전달되는 온도는 각각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 자체는 모두 동일하도록 세팅하고 조리 기기(1)가 구동되는 동안 조리 기기(1)는 제 1,3히터(210,230)는 지속적으로 구동되고 제 2,4히터(220,240)는 on/off 를 반복하면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는 제 1,3히터(210,230)는 on/off 를 반복하면서 구동되고 제 2,4히터(220,240)는 지속적으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열되는 열의 총 온도와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열되는 열의 총 온도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열되는 온도와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열되는 온도 자체가 다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면(32)상에 형성되는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은 제 2방향(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중심선(G)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1조리면(34)이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제 2조리면(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조리면(34)은 제 3방향(C)으로 제 1,3히터(210,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조리면(35)은 제 3방향(C)으로 제 2,4히터(220,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40)에서 전달되는 열이 각각 다르므로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다르다. 따라서,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에 각각 조리 온도가 다른 조리물을 위치시키고 동시에 하나의 조리실(11)에서 조리가 가능하다.
또한 조리 기기(1)의 전방인 제 1방향(A)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조리물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어, 사용자는 조리 기기(1)가 조리 중에 실시간으로 서로 다른 조리물의 조리과정을 투명부재(22)를 통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조리면(32)의 단변(32S)은 장변(32L)과 직교되고 제 1방향(A)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가 종래와 같이 조리면(32)의 장변(32L)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질 경우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1방향(A)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에 의해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이 구획되는 방향이 제 1방향(A)으로 마련될 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은 일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지 못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가 제 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은 제 2방향(B)으로 구획되고, 조리면(32)의 장변(32L)이 제 2방향(B)으로 연장되는 바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은 일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2방향(B)으로의 제 1조리면(34)의 길이를 제 1길이(34a), 제 2조리면(35)의 길이를 제 2길이(35a)라고 가정할 때, 제 1길이(34a)와 제 2길이(35a)는 대략 조리물 전체가 제 1조리면(34) 또는 제 2조리면(35) 내부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제 1길이(34a)와 제 2길이(35a)는 조리면(32)의 단면(32S)을 이등분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의 형상을 대략 정사각형에 가까운 사각형 형상으로 조리면(32)을 구획할 수 있다. 즉, 조리면(32)이 효율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조리물을 위치시킬 수 있는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의 면적은 각각 34a*32S, 35a*32S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길이(34a) 또는 제 2길이(35a)는 대략 조리면(32)의 단변(32S)과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의 단면적의 형상은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조리물이 용이하게 제 1조리면(34) 또는 제 2조리면(35)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길이(34a) 또는 제 2길이(35a)는 대략 조리면(32)의 단변(32S)은 각각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의 단면적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1길이(34a) 또는 제 2길이(35a)에 대한 조리면(32)의 단변(32S)의 비율(34a/32S,35a/32S)은 제 1,2조리면(34,35)이 제 1방향(A)으로 구획되었을 때의 길이에 대한 조리면(32) 장변(32L)의 비율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실(11)에서 조리될 시 조리실(11)의 내부 공간이 효율적으로 구획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조리실 내부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앞서 서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반(30)은 조리실(11)을 제 1조리 영역(11d)과 제 2조리 영역(11e)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 1조리 영역(11d)은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방출하는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20,240)에 의해 좌우 방향인 제 2방향(B)으로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조리 영역(11d)은 제 3방향(C)으로 제 1,3히터(210,230)와 대응되는 영역을 제 1영역(11d-1)과 제 3방향(C)으로 제 2,4히터(230,240)와 대응되는 영역을 제 2영역(11d-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영역(11d-1)과 제 3방향(C)으로 제 1조리면(34)과 대응되게 마련되고, 제 2영역(11d-2)은 제 2조리면(35)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조리면(32)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2방향(B)으로의 일측에는 제 1,3히터(210,230)와 이에 대응되는 제 1조리면(34) 및 제 1,3히터(210,230)와 제 1조리면(34)에 의해 일정한 온도를 가지는 제 1영역(11d-1)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면(32)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2방향(B)으로의 타측에는 제 2,4히터(220,240)와 이에 대응되는 제 2조리면(35) 및 제 2,4히터(220,240)와 제 2조리면(35)에 의해 제 1영역(11d-1)과 다른 일정한 온도를 가지는 제 2영역(11d-2)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조리물이 제 1조리 영역(11d)의 제 1영역(11d-1)와 제 1조리 영역(11d)의 제 2영역(11d-2) 및 제 2조리 영역(11e)에서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제 1조리 영역(11d)의 제 1영역(11d-1)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 1조리물이라고하고 제 2조리 영역(11e)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 2조리물이라고 하고, 제 1조리 영역(11d)의 제 2영역(11d-2)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 3조리물이라고 할 때, 제 1,2,3조리물은 각각 다른 외부 온도와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제 1조리물의 경우 제 1,3히터(210,230)에서 공급되는 열 및 발열부(33)에서 공급되는 외부 열에 의해 조리가 가능하다.
제 2조리물의 경우 제 2가열원(300)에 의한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가능하다.
제 3조리물의 경우 제 2,4히터(220,240)에서 공급되는 열 및 발열부(33)에서 공급되는 외부 열에 의해 조리가 가능하다.
즉, 3개의 서로 다른 조리 방법 또는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동시에 단일개의 조리실(11) 내부에서 조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보다 많은 개수의 다른 조리 방법 또는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예로 제 1,3히터(210,230)가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이 발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히터(210), 제 3히터(230) 및 제2,4히터(220,240)는 서로 다른 온도를 제공하도록 마련되고 조리실(11)의 제 1영역(11d)은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유지하는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2,4히터(220,240)가 각각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발생되도록 마련될 시 조리실(11)의 제 1영역(11d)은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의 각각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히터가 4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조리실(11)의 제 1영역(11d) 내부에서 각각 상이한 온도를 가지는 영역이 추가적으로 더 증가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실(11)의 제 1조리 영역(11d)이 제 1영역(11d-1)과 제 2영역(11d-2)으로 구획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선반(30)은 상하 방향인 제 3방향(C) 제 2가열부(300)보다 제 1가열부(20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조리면(32)에서부터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까지의 거리(h1)는 조리면(32)에서부터 조리실(11)의 하면(11b) 사이의 거리(h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1조리 영역(11d)에서 제 1영역(11d-1)과 제 2영역(11d-2)을 효율적으로 구획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영역(11d-1)과 제 2영역(11d-2)은 각각의 영역에서 유지되는 온도 차이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영역은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20,240)에서 공급 받는 열의 온도 차이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와 조리면(32) 사이의 거리(h1)가 멀게 형성될 시 조리면(32) 상에 배치되는 조리물과 복수의 히터(210,220,230,240) 사이의 거리가 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다른 온도의 열이 각각 다른 영역(11d-1,11d-2)에 전달되어 설정된 조리 온도와 다른 조리온도가 각각의 조리물에 전달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와 조리물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에 의해 전달 받는 열의 온도와 다른 온도가 조리물에 전달되어 적정 조리 온도와 다른 온도에서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와 조리면(32) 사이의 거리(h1)는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발생되는 온도의 열이 다른 조리물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거리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2영역(11d-2)에 전달되지 않고 반대로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1영역(11d-1)에 전달되지 않도록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와 조리면(32) 사이의 거리(h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주로 제 3방향(C)으로 전달되고 제 2방향(B)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리면(32)에서부터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까지의 거리(h1)는 조리면(32)에서부터 조리실(11)의 하면(11b) 사이의 거리(h2)보다 짧게 형성하여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와 조리면(32) 사이의 거리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위해 조리면(32)에서부터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까지의 거리(h1)는 100mm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치로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까지의 거리(h1)가 형성될 시,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면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히터(210)와 제 2히터(220)사이에서 온도의 간섭 없이 각각의 영역(11d-1,11d-2)에 서로 다른 온도를 공급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1영역(11d-1)에 전달되고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2영역(11d-2)에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열 반사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열 반사부재(16)는 제 3방향(C)으로 복수의 히터(210,220,230,240)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 반사부재(16)는 제 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열 반사부재(16)는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방사되는 열이 제 3방향(C)으로 반사되어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3방향(C)으로 이동되도록 각각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발생되는 열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1영역(11d-1)에 집중되고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 2영역(11d-2)에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2히터(210,220)에서 발생되는 열이 각각 제 3방향(C)으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제 1영역(11d-1)과 제 2영역(11d-2)이 용이하게 구획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의 조리면(32)과 발열부(33)는 제 3방향(C)으로 대략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면(32)과 발열부(33)는 제 3방향(C)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면(32)의 장변(32L)과 발열부(33)의 장변(33L)은 대략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고 대응되는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면(32)의 단변(32S)과 발열부(33)의 단변(33S)은 대략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고 대응되는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면(32)의 전체적인 면적에 발열부(33)에 의해 열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어 조리면(32) 상의 조리물에 균일하게 열이 공급될 수 있다.
조리물을 기준으로 제 3방향(C)으로 상측에서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에 의해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고 하측에서는 발열부(33)에 의해 열이 균일하게 공급되어 조리물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열을 공급 받으면서 조리될 수 있다.
발열부(33)와 조리면(22)이 대략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발열부(33)에서 발열되는 열이 대부분 조리면(22)으로 전달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조리물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방향(C)으로 선반(30)의 면적은 조리실(11)의 면적의 대략 0.9배에서 1배 사이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11)의 장변(11L)과 선반(30)의 장변(30L)은 대략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고 대응되는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11)의 단변(11S)은 선반(30)의 단변(30S)보다 길거나 대략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고 대응되는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 영역(11d)에서 제 1가열원(200)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 2조리 영역(11e)으로 전달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조리 영역(11e)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제 1영역(11d)으로 이동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조리 영역(11d)과 제 2조리 영역(11e)에서는 독립적인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제 2가열원(300)은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섞어 조리실(11)에 균일하게 방사되도록 마련되는 스터러(Stirrer, 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참고)
스터러(320)는 절개부를 가지는 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도 4참고)
스터러(320)는 회전을 통해 조리실(11)의 일측으로만 향하는 고주파를 다양한 방향으로 방사시켜 조리실(11) 내부에 전체적으로 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기기(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11)의 제 2방향(B)으로의 단면적과 대략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지는 선반(30)이 조리실(11) 내부에 배치되어 일부 고주파의 조리실(11) 내부에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실(11)의 일측에 고주파가 집중되어 에너지가 조리실(11)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지 않아 제 2조리 영역(11e)에 배치되는 조리물이 고르게 익지 않거나 발열부(33)에 균일하게 도달되지 못해 발열부(33)의 일부가 가열되지 못하거나, 조리실(11)의 일부가 과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조리실(11) 내부 면적이 작을 경우 고주파가 조리실(11) 내부의 일부 영역에 집중될 시 조리기기(1)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터러(320)는 고주파를 고르게 섞어 고주파를 조리실(11) 내부에 균일하게 방사하도록 소정의 길이 이상의 직경 길이(d)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320)의 직경 길이(d)가 소정의 길이 이상으로 마련되면서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용이하게 섞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터러(320)의 직경은 조리실(11)의 용량이 대략 20L~30L로 마련될 시 150mm 이상의 직경 길이(d)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터러(320)는 원 형상으로 마련된다. 스터러(320)의 원주는 절개되지 않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320)는 스터러(320)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회전되면서 스터러(320)를 통과하는 고주파가 섞이게 되는데 스터러(320)의 원주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고주파를 더욱 균일하게 조리실(11) 내부로 방사할 수 있다.
또한 스터러(320)는 스터러(320)의 원주에서부터 제 3방향(C)으로 스터러(320)가 설치되는 설치면(11f) 사이의 거리(h3)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리실(11)의 용량이 대략 20L~30L로 마련될 시 설치면(11f)에서부터 스터러(320)의 원주까지의 길이(h3)는 대략 30mm 내외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2영역(11d-1,11d-2)을 구분하는 기술적 특징 외 특징은 상술한 조리기기(1)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제 1영역(11d-1)과 제 2영역(11d-2)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 1영역(11d-1)과 제 2영역(11d-2)에 서로 다른 색의 광(L1,L2)을 조사하는 광원(6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60)은 제 1영역(11d-1)에 광(L1)을 조사하는 제 1광원(61)과 제 2영역(11d-2)에 광(L2)을 조사하는 제 2광원(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2광원(61,62)은 제 1영역(11d-1)과 제 2영역(11d-2)에 각각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60)은 단일 조명을 통해 제 1영역(11d-1)과 제 2영역(11d-2)에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2광원(61,62)에 의해 다른 색의 광(L1, L2)에 의해 용이하게 제 1영역(11d-1)과 제 2영역(11d-2)을 인지하여 각각의 영역(11d-1,11d-2)에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을 각각 배치시킬 수 있다.
선반(3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 2방향(B)으로 대략 좌우대칭적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반(30)에 각각 다른 조리물을 선반(30)의 일측과 타측에 분리 배치시킬 때, 선반(30)이 조리실(11)에 삽입되고 조리될 시 제 2방향(B)으로의 일측이 제 1영역(11d-1)인지 제 2영역(11d-2)인지 혼돈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각각의 조리물을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에 각각 조리 온도가 다른 조리물을 배치시키고 선반(30)을 조리실(11)에 삽입하여 조리를 진행할 수 있는데, 이 때 사용자가 각각의 조리물을 반대 조리면(34,35)에 배치하거나 선반(30)을 뒤집어서 조리실(11)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광원(61,62)은 서로 다른 광(L1,L2)을 조사하여 특정한 색을 가지는 제 1광(L1)이 조사되는 영역이 제 1영역(11d-1)이며, 사용자가 제 1영역(11d-1)에 선반(30)의 제 1조리면(34)을 배치하도록 시각적으로 사용자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 1광(L1)과 다른 특정한 색을 가지는 제 2광(L2) 조사되는 영역이 제 2영역(11d-2)이며, 사용자가 제 2영역(11d-2)에 선반(30)의 제 2조리면(35)을 배치하도록 시각적으로 사용자를 가이드할 수 있다.
광원(60)은 도어(20)가 개방될 시나 조리 중에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반(30)을 조리실(11)에 삽입하거나 조리 중에 제 1,2영역(11d-1,11d-2)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광원(60)에 의해 사용자는 각각의 영역에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선반(30)을 조리실(11)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가 각각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다르게 제어되어 3개 이상의 다른 온도의 열을 전달 받는 제 1조리영역(11d)이 3개 이상으로 구획되거나,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가 5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제 1조리영역(11d)이 3개 이상으로 구획될 시 광원(60)은 각각 구획되는 영역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거나 대응되는 개수의 색을 통해 각각의 영역을 각각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도어(20)가 개방될 시 제 1방향(A)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10a)는 제 1방향(A)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개구를 통해 조리실(11)에 선반(30) 및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전면부(10a)에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제 1영역(11d-1)과 제 2영역(11d-2)를 구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표시(C1,C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표시(C1)는 제 1방향(A)으로 제 1,3히터(210,230) 및 제 1,3히터(210,230)에 의해 형성되는 제 1영역(11d-1)와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 2표시(C2)는 제 1방향(A)으로 제 2,4히터(220,240) 및 제 2,4히터(220,240)에 의해 형성되는 제 2영역(11d-2)와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2표시(C1,C2)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제 1방향(A)으로 제 1표시(C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조리면(34)이 배치되고 제 2표시(C2)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조리면(35)이 배치되도록 선반(30)을 조리실(11)에 삽입할 수 있다.
즉, 표시(C1,C2)는 사용자가 제 1영역(11d-1) 상에 제 1조리면(34)이 배치되고 제 2영역(11d-2) 상에 제 2조리면(35)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선반(30)을 조리실(11)에 삽입하도록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2영역(11d-1,11d-2)을 구분하는 기술적 특징 외 특징은 상술한 조리기기(1)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각각 발열될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특정 색이 표시되는 컬러 필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70)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의해 사용자가 새
제 1히터(210)는 제 1컬러 필터(71)를 포함하고 제 2히터(72)는 제 2컬러 필터(72)를 포함하고 제 3히터(230)는 제 3컬러 필터(73)를 포함하고 제 4히터(240)는 제 4컬러 필터(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제 1조리 영역(11d)이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20,240)에 의해 구획될 시 제 1,3컬러필터(71,73)는 각각 동일한 색의 광(L1)이 표시되도록 마련되고 제 2,4 컬러필터(72,74)는 각각 동일한 색의 광(L2)이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각각의 히터(210,220,230,240)가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을 발생시켜 제 1조리 영역(11d)이 3개 이상으로 구획될 시 각각의 컬러필터(71,72,73,74)는 각각 다른 색이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컬러필터(70)에서 표시되는 각각 다른 색의 광(L1,L2)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제 1방향(A)으로 특정 색이 표시되는 제 1광(L1)이 조사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조리면(34)이 배치되고 제 1광(L1)과 다른 특정 색이 표시되는 제 2광(L2)이 조사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조리면(35)이 배치되도록 선반(30)을 조리실(11)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컬러필터(70)는 사용자가 제 1영역(11d-1) 상에 제 1조리면(34)이 배치되고 제 2영역(11d-2) 상에 제 2조리면(35)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선반(30)을 조리실(11)에 삽입하도록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2영역(11d-1,11d-2)을 구분하는 기술적 특징 외 특징은 상술한 조리기기(1)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선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선반과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선반(30)은 제 1조리면(34)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 1표시영역(3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표시영역(34c)은 특정의 색이 표시되는 영역이다.선반(30)은 제 2조리면(35)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 2표시영역(35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표시영역(35c)은 제 1표시영역(34c)가 다른 특정 색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제 1,2표시영역(34c,35c)은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 1,2 표시영역(34c,35c)에 의해 시각적으로 제 1,2조리면(34,35)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제 1표시영역(34c)은 사용자가 제 1조리면(34)에 제 1영역(11d-1)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용이하게 배치하도록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 2표시영역(35c)은 사용자가 제 2조리면(35)에 제 2영역(11d-2)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용이하게 배치하도록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방향(A)으로 제 1표시영역(34c)이 제 1영역(11d-1) 상에 배치되고 제 2표시영역(35c)이 제 2영역(11d-2) 상에 배치되도록 선반(30)을 조리실(11)에 삽입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30)은 제 1영역(11d-1)에서 조리되어야 하는 제 1조리물이 담기도록 마련되는 제 1용기(S1)와 제 2영역(11d-2)에서 조리되어야하는 제 3조리물이 담기도록 마련되는 제 2용기(S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물이 액체 또는 복수의 입상으로 형성될 시 선반(30)에 담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이 조리되면서 고체가 액화되는 등 형상이 변하여 선반(30)에 담기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리물을 용이하게 조리하기 위해 선반(30) 추가적으로 조리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S1,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용기(S1)는 제 1용기(S1) 상에 형성되는 제 1표시영역(3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용기(S2)는 제 2용기(S2) 상에 형성되는 제 2표시영역(35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용기(S1)와 제 1조리면(34)에는 동일한 색이 표시되도록 제 1표시영역(34c)이 형성되고 제 2용기(S2)와 제 2조리면(35)에는 동일한 색이 표시되도록 제 2표시 영역(35c)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조리면(34) 상에는 각각 제 1용기(S1)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 1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안착부(미도시)는 제 1조리면(34) 상에 형성되는 홀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지지턱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 1용기(S1)가 제 1조리면(34)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조리면(35) 상에는 각각 제 2용기(S2)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 2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안착부(미도시)는 제 2조리면(35) 상에 형성되는 홀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지지턱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 2용기(S2)가 제 2조리면(35)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표시영역(34c)은 사용자가 제 1영역(11d-1)에서 조리되어야 하는 제 1조리물은 제 1용기(S1)에 담고 제 1용기(S1)를 제 1조리면(34) 상에 거치하여 제 1조리물이 제 1영역(11d-1) 상에서 조리되도록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 2표시영역(35c)은 사용자가 제 2영역(11d-2)에서 조리되어야 하는 제 3조리물은 제 2용기(S2)에 담고 제 2용기(S2)를 제 2조리면(35) 상에 거치하여 제 3조리물이 제 2영역(11d-2) 상에서 조리되도록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제 1조리영역(11d)이 3개 이상으로 구획될 시, 표시 영역은 3개 이상으로 구획되는 영역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영역 상에 조리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제 1조리영역(11d)이 3개 이상으로 구획될 시, 용기는 3개 이상으로 구획되는 영역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영역 상에 용기에 의해 조리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2영역(11d-1,11d-2)을 구분하는 기술적 특징 외 특징은 상술한 조리기기(1)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선반과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선반과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선반(30')은 제 1조리면(34)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 1표시영역(3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표시영역(34c)은 특정의 색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선반(30')은 제 2조리면(35)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 2표시영역(35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표시영역(35c)은 제 1표시영역(34c)가 다른 특정 색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선반(30')은 제 1영역(11d-1)에서 조리되어야 하는 제 1HMR(Home Meal Replacement, M1) 조리물이 안착되는 제 1안착부(34d)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30')은 제 2영역(11d-2)에서 조리되어야 하는 제 2HMR 조리물(M2)이 안착되는 제 2안착부(35d)를 포함할 수 있다.
HMR 조리물(M1,M2)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간편 요리 식품, 즉석 식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안착부(34d,35d)는 각각 제 1,2조리면(34,35)을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2 안착부(34d,35d)는 각각 제 1,2HMR 조리물(M1,M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홀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HMR 조리물(M1)은 제 1안착부(34d)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HMR 조리물(M2)은 제 2안착부(35d)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2 안착부(34d,35d)는 다양한 형상의 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2 안착부(34d,35d)는 홀의 형상이 아닌 제 1,2조리면(34,35) 상의 일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2 안착부(34d,35d)가 각각 제 1,2조리면(34,35) 상의 일 영역으로 형성될 시 제 1,2 HMR 조리물(M1,M2)은 각각 제 1,2안착부(34d,35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HMR 조리물(M1,M2)은 각각 조리되는 조리 온도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어서, 각각 다른 조리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HMR 조리물(M1,M2)이 조리실(11)에서 동시에 조리될 시 어느 하나의 HMR 조리물(M1,M2)은 조리가 완료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HMR 조리물(M1,M2)이 적정 조리 온도에서 조리되어야 한다.
제 1 HMR 조리물(M1)이 제 1영역(11d-1)에서 제공되는 온도의 조리 온도로 조리될 시 제 1 HMR 조리물(M1)은 제 1HMR 조리물(M1)의 패키지 상에 형성되는 제 1표시 영역(34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HMR 조리물(M1)의 패키지 상에 형성된 제 1표시 영역(34c)을 확인하고 제 1 HMR 조리물(M1)을 제 1조리면(34) 상에 형성되는 제 1안착부(34d)에 안착시켜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HMR 조리물(M2)이 제 2영역(11d-2)에서 제공되는 온도의 조리 온도로 조리될 시 제 2 HMR 조리물(M2)은 제 2HMR 조리물(M2)의 패키지 상에 형성되는 제 2표시 영역(3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2 HMR 조리물(M2)의 패키지 상에 형성된 제 2표시 영역(35c)을 확인하고 제 2 HMR 조리물(M2)을 제 2조리면(35) 상에 형성되는 제 2안착부(35d)에 안착시켜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HMR 조리물(M1,M2) 상에 형성되는 표시 영역의 색상을 보고 이와 대응되는 색상을 가지는 표시 영역 상에 HMR 조리물(M1,M2)을 적정 조리 온도를 제공하는 영역에 배치시켜 조리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30")은 복수의 수용부(P1,P2)를 가지는 HMR 조리물(M3)이 안착되는 안착부(30d)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30")은 제 1조리면(34)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 1표시영역(3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표시영역(34c)은 특정의 색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선반(30")은 제 2조리면(35)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제 2표시영역(35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표시영역(35c)은 제 1표시영역(34c)가 다른 특정 색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안착부(30d)는 제 1조리면(34)과 제 2조리면(35)을 걸쳐 단일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도 12에 개시된 선반(30')의 경우 각각의 조리면(34,35) 상 배치되는 복수의 HMR 조리물(M1,M2)이 안착되도록 복수의 안착부(34d,35d)를 포함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30")은 단일개의 용량이 큰 HMR 조리물(M3)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30d)를 포함할 수 있다.
HMR 조리물(M3)에는 각각 조리 온도가 다른 조리물이 수용되는 제 1수용부(P1)와 제 2수용부(P2)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수용부(P1)에 수용된 조리물이 제 1영역(11d-1)에서 제공되는 온도의 조리 온도로 조리될 시 제 1 수용부(P1) 상에는 제 1표시 영역(34c)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수용부(P2)에 수용된 조리물이 제 2영역(11d-2)에서 제공되는 온도의 조리 온도로 조리될 시 제 2수용부(P2) 상에는 제 2표시 영역(35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2표시 영역(34c,35c)은 HMR 조리물(M3)의 패키지에 있어서 제 1,2수용부(P1,P2)와 대응되는 위치의 HMR 조리물(M3)의 패키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2 수용부(P1,P2) 상에 형성된 제 1,2표시 영역(34c,35c)을 확인하고 제 제 1수용부(P1)는 제 1조리면(34) 상에 배치되고 제 2수용부(P2)는 제 2조리면(35) 상에 배치되도록 HMR 조리물(M3)을 안착부(30d)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저장 용기(M3)에 수용된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복수의 조리물도 각각의 적합한 조리 온도를 공급 받아 동시에 조리실(11) 내부에서 조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조리 기기 10 : 하우징
11: 조리실 11d : 제 1조리영역
11e : 제 2조리영역 12: 내부 하우징
20: 도어 30: 선반
31 : 본체 32 : 조리면
33 : 발열부 34 : 제 1조리면
35 : 제 2조리면 100 : 가열원
200 : 제 1가열원 210,220,230,240 : 히터
300 : 제 2가열원 310 : 마그네트론
320 : 스터러

Claims (20)

  1.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는 제 1가열원;
    상기 조리실의 하측에 배치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 2가열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리실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실은,
    상기 선반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가열원 및 상기 제 2가열원에 의해 조리되는 제 1조리물이 조리되는 제 1조리 영역과,
    상기 선반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가열원에 의해 조리되는 제 2조리물이 조리되는 제 2조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가열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조리물이 놓여지는 조리면과, 상기 제 2가열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열에서 발진되는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어 상기 조리면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가열원보다 상기 제 1가열원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의 하단과 상기 조리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대략 최대 100mm이하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제 1히터는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제 2히터는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위치의 반대 위치인 제 2위치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면은 상기 제 1히터와 상기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 1조리면과, 상기 제 2히터와 상기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 2조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조리면과 상기 제 2조리면에 공급되는 열의 온도는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리면은 제 1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제 2영역은 제 1조리물과 다른 적정 조리온도를 가지고 상기 제 1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제 3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면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좌우 방향으로의 장변을 가지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의 길이는 상기 단변의 길이의 대략 1,5배 내지 2배 사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선반의 면적은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조리실의 면적의 대략 0.9배에서 1배 사이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면은 상기 선반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상기 조리면의 면적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가열부의 면적과 대응되게 마련되는 조리 기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제 1색의 광을 상기 제 1조리면에 조사하는 제 1조명과, 상기 제 1색과 다른 제 2색의 광을 상기 제 2조리면에 조사하는 제 2조명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히터는 발열될 시 제 1색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제 1컬러 필터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히터는 발열될 시 상기 제 1색과 다른 제 2색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제 2컬러 필터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리면은 상기 제 1조리물이 담긴 제 1용기가 안착되는 제 1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조리면은 상기 제 3조리물이 담긴 제 2용기가 안착되는 제 2안착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안착부와 상기 제 2안착부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홀 형상으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조리물이 담기는 제 1 수용부와 상기 제 3조리물이 담기는 제 2수용부를 포함하는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 1수용부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 1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수용부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 2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열원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를 상기 조리실 내부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스터러(Stirr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터러는 150m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원 형상으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16.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1히터와 제 2히터를 포함하는 제 1가열원;
    상기 조리실의 하측에 배치되고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는 제 2가열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리실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실은,
    상기 선반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1조리 영역과, 상기 선반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조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조리 영역은 상기 제 1히터와 상기 제 2히터에 의해 각각 다른 열을 전달받는 제 1영역과 제 2영역이 좌우 방향으로 구획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열원보다 상기 제 1가열원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가열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조리물이 놓여지는 조리면과, 상기 제 2가열원과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가열에서 발진되는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어 상기 조리면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면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좌우 방향으로의 장변을 가지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단변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장변의 길이는 상기 단변의 길이의 대략 1,5배 내지 2배 사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선반의 면적은 상기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조리실의 면적의 대략 0.9배에서 1배 사이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20. 제 1방향으로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는 선반;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에 열을 제공하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방향 및 상기 제 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장변과 상기 단변의 길이 비는 1.5~2:1 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KR1020200058376A 2020-05-15 2020-05-15 조리기기 KR20210141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76A KR20210141133A (ko) 2020-05-15 2020-05-15 조리기기
CN202180035448.5A CN115669221A (zh) 2020-05-15 2021-05-13 烹饪装置
PCT/KR2021/005974 WO2021230665A1 (ko) 2020-05-15 2021-05-13 조리기기
EP21803028.6A EP4132223A4 (en) 2020-05-15 2021-05-13 COOKING APPLIANCE
US18/054,839 US20230087445A1 (en) 2020-05-15 2022-11-11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76A KR20210141133A (ko) 2020-05-15 2020-05-15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133A true KR20210141133A (ko) 2021-11-23

Family

ID=7852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376A KR20210141133A (ko) 2020-05-15 2020-05-15 조리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87445A1 (ko)
EP (1) EP4132223A4 (ko)
KR (1) KR20210141133A (ko)
CN (1) CN115669221A (ko)
WO (1) WO20212306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244A1 (ko) * 2021-12-17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988A (ja) * 2004-09-29 2006-04-13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
JP5131969B2 (ja) * 2007-12-19 2013-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152971B2 (ja) * 2007-12-27 2013-02-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6468550B2 (ja) * 2015-02-02 2019-02-13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食品用トレイ
JP6746332B2 (ja) * 2015-06-30 2020-08-2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調理支援方法及び調理装置
JP6574983B2 (ja) * 2016-02-19 2019-09-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0292212B2 (en) * 2016-11-30 2019-05-14 Hall Labs Llc Double-cavity microwave ov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244A1 (ko) * 2021-12-17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2223A4 (en) 2023-09-06
CN115669221A (zh) 2023-01-31
US20230087445A1 (en) 2023-03-23
EP4132223A1 (en) 2023-02-08
WO2021230665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6912B2 (ja) 電子レンジ
JP5152971B2 (ja) 加熱調理器
CN109548214B (zh) 微波炉
KR20180017665A (ko) 조리기기
KR20210141133A (ko) 조리기기
KR20040024395A (ko) 전자렌지
KR20210093032A (ko) 조리기기
CN114930986A (zh) 烹饪器具
US20110132350A1 (en) Oven range
KR20210095419A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4052152A (ja) 加熱調理器
KR20140128650A (ko) 조리 기기
KR20210145910A (ko) 조리 기기
KR101101487B1 (ko) 스팀조리기기
KR20210093069A (ko) 조리기기
KR20230046914A (ko) 조리기기
KR101192337B1 (ko) 조리기기
EP4336103A1 (en) Cooking apparatus
US20240011643A1 (en) Cooking tray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JP2009156547A (ja) 加熱調理器
KR101742824B1 (ko) 가스오븐레인지
KR20210093138A (ko) 조리기기
EP4221463A1 (en) Cooking device
JP2023028543A (ja) 加熱調理器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