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419A -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419A
KR20210095419A KR1020200009286A KR20200009286A KR20210095419A KR 20210095419 A KR20210095419 A KR 20210095419A KR 1020200009286 A KR1020200009286 A KR 1020200009286A KR 20200009286 A KR20200009286 A KR 20200009286A KR 20210095419 A KR20210095419 A KR 20210095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recipe
sub
display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상균
홍승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5419A/ko
Priority to PCT/KR2020/019118 priority patent/WO2021149932A1/en
Priority to US17/157,908 priority patent/US20210231311A1/en
Publication of KR20210095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조리실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조리 영역 및 제2 조리 영역을 포함하는 선반; 상기 제1 조리 영역 또는 상기 제2 조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리 영역 또는 상기 제2 조리 영역 중 조리가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 영역에 관련된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레시피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고,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최근에는 히터와 마그네트론을 모두 포함하는 조리 기기가 등장하고 있고,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기도 등장하고 있다.
개시된 발명은 동시에 조리될 조리물들과 각 조리물이 배치되는 조리 영역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조리실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조리 영역 및 제2 조리 영역을 포함하는 선반; 상기 제1 조리 영역 또는 상기 제2 조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리 영역 또는 상기 제2 조리 영역 중 조리가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 영역에 관련된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레시피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리 영역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관련된 제1 서브 레시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 가능한 제2 서브 레시피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되는 상기 제2 서브 레시피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열을 제공하는 제1 히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열을 제공하는 제2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리 영역과 상기 제2 조리 영역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모두 선택되는 경우, 제1 서브 레시피 및 제2 서브 레시피를 포함하는 메인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브 레시피 또는 상기 제2 서브 레시피 중 하나를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적용하고, 다른 하나를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레시피 및 상기 제2 서브 레시피 각각의 적용 위치에 관한 질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상기 선반 상에 배치되는 조리물을 식별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이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에 열이 제공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이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리물의 위치 변경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조리실 내부에 배치되는 선반의 제1 조리 영역 또는 제2 조리 영역 중 조리가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 영역에 관련된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상기 레시피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리 영역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관련된 제1 서브 레시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 가능한 제2 서브 레시피의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되는 상기 제2 서브 레시피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열을 제공하는 제1 히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열을 제공하는 제2 히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리 영역과 상기 제2 조리 영역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모두 선택되는 경우, 제1 서브 레시피 및 제2 서브 레시피를 포함하는 메인 레시피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브 레시피 또는 상기 제2 서브 레시피 중 하나를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적용하고, 다른 하나를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서브 레시피 및 상기 제2 서브 레시피 각각의 적용 위치에 관한 질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은, 센서에 의해, 상기 선반 상에 배치되는 조리물을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조리물이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에 열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조리물이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리물의 위치 변경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할 경우, 조리물이 배치되는 조리 영역과 조리 영역에 적용될 레시피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개시된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리물이 배치되는 조리 영역을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조리 영역에 적용될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열원과 선반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히터와 전선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은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회로(Circuit),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및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에는 조리 기기(1)의 작동과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21)는 도어(20)에 마련되지 않고 조리 기기(1)의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입력부(2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부(60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서 입력부(21)는 조그 다이얼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입력부(21)는 버튼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20)에는 투명 부재(22)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0)가 닫혀 있을 때 투명 부재(22)를 통해 조리실(1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에는 조리 기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3)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는 도어(20)에 마련되지 않고 조리 기기(1)의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3)는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 LED Panel),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OLED Panel), 또는 마이크로 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다양한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3)는 조리 기기(1)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23)는 아이콘(Icon)과 같은 UI 엘리먼트(User Interface Element)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고 조리물이 위치할 수 있는 조리실(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11)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과 하우징(1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12)은 조리 기기(1)의 전방 방향인 제1 방향(A)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방향(A)으로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통해 조리물을 조리실(1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리실(11)은 제1 방향(A)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직교되는 제2 방향(B)으로 장변(11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고 조리실(11) 하측에 배치되는 기계실(13)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3) 내부에는 조리 기기(1)를 작동시키는 각종 전장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실(11) 내부에 거치되고, 조리물이 배치되는 선반(3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실(11) 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선반(30)이 조리실(11)의 상면(11a)과 하면(11b)사이에 거치되도록 조리실(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c)는 선반(30)이 다양한 높이에 거치되도록 제3 방향(C)으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제3 방향(C)은 제1 방향(A) 또는 제2 방향(B)에 대해 상하 방향 직교되는 방향이다.
선반(30)은 본체(31)와 조리물이 위치될 수 있는 조리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면(32)은 선반(30)이 거치될 시 조리실(11)의 상면(11a)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면(32)은 제2 방향(B)으로 장변을 가지고 제1 방향(A)으로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물이 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조리실(11)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열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열원(100)은 선반(30)에 위치하는 조리물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은 선반(30) 없이 조리실(11)의 하면(11b)에 위치될 수도 있다. 열원(100)은 하면(11b)에 위치한 조리물에도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열원(100)은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는 히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200)는 복수 개(210, 220, 230, 240)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 220, 230, 240)에 의해 발생된 열은 조리물에 전달된다. 히터(200)는 제1 열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열원(100)은 조리실(11)의 하면(11b)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30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300)은 제2 열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300)은 고주파를 생성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300)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는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 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키고, 수분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이 가열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300)은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300)은 기계실(13)에서 조리실(11)의 하면(11b)을 향해 고주파를 발진시키고, 고주파는 하면(11b)을 통과하여 선반(30)으로 조사될 수 있다.
종래 전자레인지 타입의 조리 기기는 하나의 마그네트론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였다. 그런데, 조리물의 수분 분포나 수분 함량에 따라 고주파가 조리물의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조리물이 효율적으로 조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조리물 전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히터가 조리 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조리물에 추가적인 열을 제공함으로써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히터(200)와 마그네트론(300)을 포함하여 조리물의 조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200)는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어 조리물의 상부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히터(200)는 조리물의 하부까지는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조리물의 하부에도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선반(30)에 발열부(33)를 마련할 수 있다. 발열부(33)는 선반(30)의 본체(31)에서 조리면(32)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선반(30)이 조리실(11)에 거치될 시 조리실(11)의 하면(11b)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마그네트론(300)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할 수 있다. 발열부(33)에서 발생된 열은 선반(30)의 본체(31)를 통해 조리면(3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발열부(33)에서 발생된 열이 조리면(32)으로 전도되면서 조리면(32) 상에 위치한 조리물의 하부에 열이 공급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고주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에 의해 발열이 가능한 재질이 세라믹 등과 혼합되어 발열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 과정 중간에 조리물을 뒤집지 않더라도 조리물의 상하 방향으로 열이 공급될 수 있어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제2 방향(B)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 방향(A)으로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조리실(1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실(11)은 제2 방향(B)으로 장변(11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조리실(11)에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넣고 조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조리 기기(1)는 복수의 히터(200: 210, 220, 230, 2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조리물에 각각 다른 열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히터(210, 220, 230, 240)가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될 경우, 복수의 조리물은 복수의 히터(210, 220, 230, 24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반(30)의 조리면(32)은 복수의 조리 영역들로 구획될 수 있고, 복수의 조리 영역들은 각각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물은 복수의 조리 영역들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조리물 각각에 다른 열 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다.
제3방향(C)으로 복수의 히터(210, 220, 230, 240)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복수의 조리 영역이 조리면(3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조리 영역은 각각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서로 다른 열이 직접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실에 넣어도 서로 다른 조리 온도에 따라 각각의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조리 영역에 각각의 조리물을 위치시킬 시 각각의 조리물은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조리 기기에서는, 제2 방향(B)으로 길이를 갖는 히터가 제1 방향(A)으로 이격 배치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온도를 제공받을 수 있는 복수의 조리 영역이 제1 방향(A)으로 구획되었다. 조리면(32)의 단변(32S) 방향인 제1 방향(A)으로 복수의 조리 영역이 구획될 시, 복수의 조리 영역들은 그 폭이 짧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제1 방향(A)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조리 영역 각각의 폭이 짧으므로, 실질적으로 구획되는 조리 영역 사이의 온도 차이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리 기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부피가 큰 조리물이 투입될 경우, 조리물이 조리면(32)의 일 영역을 벗어나게 되어 적절한 온도에서 조리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리 기기는 제1 방향(A)으로 복수의 조리 영역을 구획하므로, 복수의 조리물 중 조리실의 후면에 깊숙히 배치되는 조리물은 쉽게 관찰되지 못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제1 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200L)을 갖는 복수의 히터(200: 210, 220, 230, 240)를 포함한다. 각각의 히터(200: 210, 220, 230, 240)는 조리실(11)의 장변(11L)과 대응되는 제2 방향(B)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30)의 조리면(32) 상에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 받는 복수의 조리 영역(34, 35)이 제2 방향(B)을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히터(200: 210, 220, 230, 240)와 이에 따라 선반(30)에 구획되는 복수의 조리 영역(34, 35)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열원과 선반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히터와 전선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히터(200: 210, 220, 230, 240) 각각은 제1 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200L)을 가지고, 복수의 히터(200: 210, 220, 230, 240)는 조리실(11)의 장변(11L)과 대응하는 제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00: 210, 220, 230, 240) 간 이격 거리는 제1 이격 거리(d1) 및/또는 제2 이격 거리(d2)일 수 있다.
제1 히터(210)와 제3 히터(230)는 제1 조리 영역(34) 상에서 제1 이격 거리(d1)를 갖도록 배치되고, 제2 히터(220)와 제4 히터(240)는 제2 조리 영역(35) 상에서 제1 이격 거리(d1)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히터(210)와 제2히터(220)는 제2 이격 거리(d2)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이격 거리(d2)는 제1이격 거리(d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 사이의 온도 차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히터(200)가 제1 히터(210), 제2 히터(220), 제3 히터(230) 및 제4 히터(2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200)는 제1 히터(210)와 제2 히터(220)로 구성될 수도 있고, 4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히터(200: 210, 220, 230, 240)는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갖는 바, 이하 제4 히터(24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 히터(240)는 장축(200L)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바디부(241)와 바디부(241)의 양단에 배치되는 양단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양단부(242)는 외부 전원이 제4 히터(240)에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양단부(242)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바디부(241)가 발열될 수 있고, 열이 선반(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양단부(242)는 제1방향(A)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히터(210)는 제2 방향(B)에서 조리 기기(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2 히터(220)는 제2 방향(B)에서 제1 히터(210)의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면(32)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1 히터(210)는 일 측, 제2 히터(220)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히터(230)는 제1 히터(2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히터(240)는 제2히터(2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히터(210)와 제3 히터(23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히터(220)와 제4 히터(24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3 히터(210, 230)와 제2, 4 히터(220, 240)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중심선(G)을 기준으로 일 측의 발열 온도와 반대 측의 발열 온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 기기(1)는, 제1 히터(210)의 발열 온도를 제2 히터(220)의 발열 온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히터(210)와 제2 히터(220)는 설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히터(210), 제2 히터(220), 제3 히터(230) 및 제4 히터(240)는 독립적으로 및/또는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히터(200: 210, 220, 230, 240) 각각의 발열 온도는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지만, 각 히터의 구동 방식이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 조리 시간 동안, 조리 기기(1)는, 제1, 3 히터(210, 230)를 지속적으로 구동시키고, 제2, 4 히터(220, 240)를 온오프(on/off) 반복하면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3 히터(210, 230)에 의해 제공되는 열 에너지는 제2, 4 히터(220, 240)에 의해 제공되는 열 에너지보다 클 수 있다.
도 4에서, 선반(30)은 조리면(32)상에 형성되는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선(G)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제1조리 영역(34)이 형성되고 반대측 에는 제2 조리 영역(35)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영역은 두 개로 한정되지 않고, 세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히터(200)는 선반(30)의 제1 조리 영역(34) 또는 제2 조리 영역(35)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히터(210) 및 제3 히터(230)는 제3방향(C)으로 제1 조리 영역(3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히터(220) 및 제4 히터(240)는 제3 방향(C)으로 제2 조리 영역(35)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3 히터(210, 230)와 제2, 4 히터(220, 240)에서 발열되는 열이 다를 경우,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에 전달되는 열 에너지도 달라질 수 있다. 즉, 제1 조리 영역(34)에는 상면(11a)에서부터 제1 히터(210)와 제3 히터(230)에 의해 발열되는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제2 조리 영역(35)에는 상면(11a)에서부터 제2 히터(220)와 제4 히터(240)에 의해 발열되는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1 조리 영역(34)과 제 2 조리 영역(35)에는 발열부(33)에서부터 전도되는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하면(11b)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30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에 의해 가열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본체(32)를 통해 제1 조리 영역(34)과 제 2 조리 영역(35)으로 동일하게 전도될 수 있다.
제1, 3 히터(210, 230)와 제2, 4히터(220, 240)에서 발열되는 열이 각각 다르고,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에 전달되는 열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조리 온도가 서로 다른 조리물들이 각각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에 배치되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1)의 전방인 제1 방향(A)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조리물들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투명 부재(22)를 통해 조리물들의 조리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면(32)의 단변(32S)은 장변(32L)과 직교하고, 제1 방향(A)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00: 210, 220, 230, 240)가 제2 방향(B)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영역 조리(35)은 제2 방향(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조리면(32)의 장변(32L)이 제2 방향(B)으로 연장되므로,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은 일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방향(B)을 따르는 제1 조리 영역(34)의 길이를 제1 길이(34a), 제2 조리 영역(35)의 길이를 제2 길이(35a)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길이(34a)와 제2 길이(35a)는, 조리물이 제1 조리 영역(34) 또는 제2 조리 영역(35) 내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확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의 면적은 각각 34a*32S, 35a*32S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길이(34a) 또는 제2 길이(35a)는 조리면(32)의 단변(32S)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고, 조리물이 용이하게 제1 조리 영역(34) 또는 제2 조리 영역(3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길이(34a) 또는 제2 길이(35a)는 조리면(32)의 단변(32S)과 다른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마련될 경우에도,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 각각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 간 비율은 미리 정해진 비율 범위 내에서 마련된다. 따라서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은 조리물을 수용함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의 조리 기기보다 더 큰 수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조리실(11)의 면적에 대응하여 제2방향(B)으로 장변(10L)을 가지고 제1방향(A)으로 단변(10S)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히터(200: 210, 220, 230, 240)는 제1 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200L)을 가지고 제2 방향(B)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히터(240)의 바디부(241)는 내부 하우징(12) 내측에 배치되어 조리실(11) 내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히터(240)의 양단부(242)는 내부 하우징(12)을 관통하여 조리실(11) 외측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15)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00) 각각은, 히터(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50)와, 복수의 히터(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양단부(242)와 결합되는 전선(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260)은 내부 하우징(12)과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15)에서 양단부(242)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히터(24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4 히터(240)의 양단부(242)는 제1방향(A)을 향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전선(260)과 양단부(242)는 하우징(10)의 장변(10L)과 조리실(11)의 장변(11L) 사이에 형성되는 제1이격 공간(15a) 내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전선(260)이 제1방향(A) 또는 제2방향(B)으로 양단부(242)에 삽입될 경우, 전선(260)이 과도하게 절곡될 수 있고, 안정적인 결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히터(240)의 양단부(242)는 전선(260)과 제3방향(C)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이격 공간(15a)이 협소하더라도 전선(260)과 제4 히터(240)는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3방향(C)으로 전선(260)과 양단부(242)가 결합됨에 따라, 전선(260)의 절곡에 의한 제1방향(A) 또는 제2방향(B)을 향하는 응력이 최소화되고, 전선(260)과 양단부(242)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종래 조리 기기의 경우, 히터가 제2방향(B)을 향해 배치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즉, 종래 조리 기기의 히터는, 하우징(10)의 단변(10S)과 조리실(11)의 단변(11S) 사이에 형성되는 제2이격 공간(15b)에서 전선과 결합되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들(200)과 연결되는 전선(260)은, 히터들(200) 각각의 양단부(242)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양단부(242)는 접촉부(261)와 제3방향(C)으로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플랜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양단부(242)는 플랜지(243)와 접촉부(261)가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부(261)가 플랜지(243)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244)는 나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244)는 접촉부(261)가 플랜지(243)에 제3방향(C)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제3방향(C)으로 플랜지(243)와 결합되면서 플랜지(243)와 접촉부(261)의 접촉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히터들(200)과 전선(260)이 조립되는 방향이 제3방향(C)과 대응되게 형성됨으로 인해, 제1이격 공간(15a)이 협소하더라도 히터들(200)와 전선(260)이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입력부(21), 디스플레이(23), 열원(100), 통신부(400), 센서(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입력부(21), 열원(100), 통신부(400) 및 센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입력부(21)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21)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기기(1)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1)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영역을 선택하는 명령, 레시피를 선택하는 명령, 열원의 출력을 조절하는 명령 또는 조리 시간을 조절하는 명령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입력부(21)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조리 기기(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서버(미도시) 또는 메모리(620)로부터 획득한 레시피에 따라 조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원(100)은 히터(200)과 마그네트론(300)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200)는 복수 개(210, 220, 230, 240)로 마련될 수 있다. 히터(200)는 제1 열원으로 정의될 수 있고, 마그네트론(300)은 제2 열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통신부(400)는 서버(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00)는 제어부(600)의 제어 하에 서버(미도시)로부터 레시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00)는 네트워크 또는 통신 채널을 통해 조리 기기(1)를 외부 디바이스, 서버 등과 연결한다. 통신부(400)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4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홈 RF(Home Radio Frequency), UWB(Ultra-wide band), 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500)는 전류 센서(510), 전압 센서(520) 및 온도 센서(5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센서(510)는 열원(100)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전류 센서(510)는 전원 공급부(250)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한 전류 값을 프로세서(6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압 센서(520)는 열원(100)에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압 센서(520)는 전원 공급부(250)에 인가되는 전압을 확인 및/또는 측정할 수 있고, 측정한 전압 값을 프로세서(6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서 전류 센서(510)와 전압 센서(520)가 별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류 센서(510)와 전압 센서(52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온도 센서(530)는 조리실(11) 내부의 온도를 확인 및/또는 측정할 수 있고, 측정한 온도 값을 프로세서(6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서(500)는 조리물 위치 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물 위치 센서(540)는 선반(30) 상에 배치되는 조리물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물 위치 센서(540)는 선반(30) 상에 배치되는 조리물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조리물 위치 센서(540)는 조리물의 위치 데이터를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조리물의 위치 데이터는 조리물의 3차원적 위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물 위치 센서(540)는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센서 및/또는 레이더와 같은 비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물 위치 센서(540)는 조리물에 광을 조사하는 광학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센서는 조리물을 촬영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레이더와 같은 비이미지 센서는 조리물에 전파를 송신하고 조리물로부터 반사되는 전파를 수신하며, 송신 전파와 수신 전파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프로세서(610)와 메모리(6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하드 웨어로서,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조리 기기(1)의 작동을 위해 메모리(6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및/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리 기기(1)의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콘덴서, 코일, 저항 소자 등을 포함하는 제어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와 메모리(620)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복수의 프로세서와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조리 기기(1)의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의해 생성되는 임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조리실(11)의 상부에 배치되는 히터들(200: 210, 220, 230, 240) 각각의 동작 설정을 선택적으로 및/또는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0)는, 히터들(210, 220, 230, 240)과 조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주파를 제공하는 마그네트론(300) 각각의 동작 설정을 선택적으로 및/또는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하 조리 기기(1)의 작동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반(30)의 제1 조리 영역(34) 또는 제2 조리 영역(35) 중 조리가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결정된 조리 영역에 관련된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레시피의 선택에 대응하여 히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조리 영역에 관련된 레시피는, 조리 영역에서 조리될 수 있는 조리물의 명칭 및/또는 조리물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시피는 조리물에 적용되는 조리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조리 온도, 작동할 열원 및/또는 열원의 동작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는 메인 레시피와 서브 레시피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레시피는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 각각에 적용되는 레시피로 정의된다. 메인 레시피는 복수의 조리 영역(34, 35)에서 동시에 조리를 수행하기 위한 레시피로서, 제1 서브 레시피와 제2 서브 레시피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영역이 세 개 이상 존재할 경우, 메인 레시피는 세 개 이상의 서브 레시피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조리 기기는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하고자 할 때, 미리 정해진 조리물들의 구성으로만 조리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리 기기는 조리실 내에서 복수의 조리물이 조리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반드시 조리 기기가 안내하는 위치에 조리물을 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물이 배치되는 조리 영역과 조리 영역에 적용될 레시피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 의하면,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조리물이 배치되는 조리 영역을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조리 영역에 적용될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21)는 조리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1)는 제1 조리 영역(34)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제2 조리 영역(35)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조리 영역(34)의 선택과 제2 조리 영역(35)의 선택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을 조리가 수행될 조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1 조리 영역(34)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조리 영역(34)에 관련된 서브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00)는 제1 조리 영역(34)에서 조리 가능한 조리물의 명칭들이 목록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특정 조리물의 명칭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600)는 선택된 조리물에 적용되는 조리 파라미터들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600)는, 제1 조리 영역(34)이 선택되고, 제1 조리 영역(34)에 관련된 제1 서브 레시피가 선택되는 경우, 제2 조리 영역(35)에 적용 가능한 제2 서브 레시피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조리 영역(34)에 관련된 제1 서브 레시피로서 "소고기 스테이크"가 선택되는 경우, 제2 조리 영역(35)에 적용 가능한 제2 서브 레시피로서 "당근, 마늘, 콩"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당근, 마늘, 콩" 중 하나를 제2 서브 레시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제1 조리 영역(34)의 조리물과 함께 제2 조리 영역(35)에서 조리가 가능한 조리물을 표시해주므로, 사용자가 동시 조리 가능한 구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2 조리 영역(35)에 적용되는 제2 서브 레시피가 결정되는 경우, 제1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제1 조리 영역(34)에 열을 제공하는 제1 히터(210)를 제어하고, 제2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제2 조리 영역(35)에 열을 제공하는 제2 히터(2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방법이 서로 다른 조리물들이 서로 다른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조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레시피 각각은 조리물에 적용되는 조리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레시피는 소고기 스테이크에 적용되는 조리 파라미터로서 제1 히터(210)를 9분 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레시피는 당근에 적용되는 조리 파라미터로서 제2 히터(220)를 5분 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1)는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을 모두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1)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1 조리 영역(34)의 선택과 제2 조리 영역(35)의 선택을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예를 들면, 1초 또는 2초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조리 영역(24)의 선택과 제2 조리 영역(35)의 선택이 동시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이 모두 선택되는 경우, 제1 서브 레시피 및 제2 서브 레시피를 포함하는 메인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레시피는 제1 서브 레시피 및 제2 서브 레시피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는 복수의 메인 레시피를 표시할 수 있다. 각 메인 레시피는 둘 이상의 조리물 명칭 및/또는 총 조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레시피는 "소고기 스테이크 & 당근 / 총 조리 시간 9분"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메인 레시피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600)는 선택된 메인 레시피에 포함된 서브 레시피들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서브 레시피 또는 제2 서브 레시피 중 하나를 제1 조리 영역(34)에 적용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조리 영역(35)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조리 영역(34)에 제2 서브 레시피가 적용되고, 제2 조리 영역(35)에 제1 서브 레시피가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600)는 제1 서브 레시피 및 제2 서브 레시피 각각의 적용 위치에 관한 질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각 조리 영역에 적용될 서브 레시피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하는데 있어서, 조리 위치의 선택과 레시피의 선택에 자유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조리 영역(34)의 선택만 입력되고, 제2 조리 영역(35)의 선택은 입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제1 조리 영역(34)을 조리가 수행될 조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고, 모든 서브 레시피들이 제1 조리 영역(34)에 관련된 레시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제1 조리 영역(34)에 적용되는 레시피가 제1 서브 레시피로 결정되는 경우, 제1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제1 히터(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센서(500)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리물이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센서(50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리물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조리물이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 결정된 조리 영역에 열이 제공되도록 히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600)는 조리물이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히터(20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 실패를 방지할 수 있고, 조리 기기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조리물이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조리물의 위치 변경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조리물이 올바르게 배치되도록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될 수 있고, 조리 실패의 방지 및 조리 기기의 안전 확보가 가능하다.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은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도 8에서 설명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제어부(600)는 입력부(21)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반(30)의 제1 조리 영역(34) 또는 제2 조리 영역(35) 중 조리가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801). 제어부(600)는 결정된 조리 영역에 관련된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802). 또한,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레시피의 선택에 대응하여 히터(200)를 제어할 수 있다(803).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물이 배치되는 조리 영역과 조리 영역에 적용될 레시피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 의하면,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조리물이 배치되는 조리 영역을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조리 영역에 적용될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입력부(21)는 선반(30)의 제1 조리 영역(34) 또는 제2 조리 영역(35) 중 조리가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901). 예를 들면, 입력부(21)는 제1 조리 영역(34)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제2 조리 영역(35)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조리 영역(34)의 선택과 제2 조리 영역(35)의 선택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을 조리가 수행될 조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1 조리 영역(34)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조리 영역(34)에 관련된 서브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1 조리 영역(34)이 선택되고, 제1 조리 영역(34)에 관련된 제1 서브 레시피가 선택되는 경우, 제2 조리 영역(35)에 적용 가능한 제2 서브 레시피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902).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제1 조리 영역(34)의 조리물과 함께 제2 조리 영역(35)에서 조리가 가능한 조리물을 표시해주므로, 사용자가 동시 조리 가능한 구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2 조리 영역(35)에 적용되는 제2 서브 레시피가 결정되는 경우, 제1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제1 조리 영역(34)에 열을 제공하는 제1 히터(210)를 제어하고, 제2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제2 조리 영역(35)에 열을 제공하는 제2 히터(220)를 제어할 수 있다(903). 따라서 조리 방법이 서로 다른 조리물들이 서로 다른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조리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입력부(21)는 선반(30)의 제1 조리 영역(34) 또는 제2 조리 영역(35) 중 조리가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001). 예를 들면, 입력부(21)는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을 모두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1)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1 조리 영역(34)의 선택과 제2 조리 영역(35)의 선택을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예를 들면, 1초 또는 2초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조리 영역(24)의 선택과 제2 조리 영역(35)의 선택이 동시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1 조리 영역(34)과 제2 조리 영역(35)이 모두 선택되는 경우, 제1 서브 레시피 및 제2 서브 레시피를 포함하는 메인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1002). 제어부(600)는 제1 서브 레시피 및 제2 서브 레시피 각각의 적용 위치에 관한 질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1003).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서브 레시피 또는 제2 서브 레시피 중 하나를 제1 조리 영역(34)에 적용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조리 영역(35)에 적용할 수 있다(1004). 예를 들면, 제1 조리 영역(34)에 제2 서브 레시피가 적용되고, 제2 조리 영역(35)에 제1 서브 레시피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각 조리 영역에 적용될 서브 레시피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하는데 있어서, 조리 위치의 선택과 레시피의 선택에 자유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제어부(600)는 입력부(21)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선반(30)의 제1 조리 영역(34) 또는 제2 조리 영역(35) 중 조리가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1101). 제어부(600)는 결정된 조리 영역에 관련된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1102).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입력부(21)는 레시피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1103). 예를 들면, 제1 서브 레시피 또는 제2 서브 레시피 중 하나를 제1 조리 영역(34)에 적용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조리 영역(35)에 적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입력부(21)를 통해 제어부(60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센서(500)는 선반(30) 상에 배치되는 조리물을 식별할 수 있다(1104). 센서(500)는 식별한 조리물에 관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센서(500)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리물이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1105). 제어부(600)는 조리물이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 결정된 조리 영역에 열이 제공되도록 히터(200)를 제어할 수 있다(1106).
반대로, 제어부(600)는 조리물이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히터(20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조리물이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조리물의 위치 변경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3)를 제어할 수 있다(1107). 이를 통해,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조리물이 올바르게 배치되도록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될 수 있고, 조리 실패의 방지 및 조리 기기의 안전 확보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할 경우, 조리물이 배치되는 조리 영역과 조리 영역에 적용될 레시피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개시된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리물이 배치되는 조리 영역을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조리 영역에 적용될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조리 기기 10: 하우징
11: 조리실 12: 내부 하우징
13: 기계실 15: 이격 공간
20: 도어 21: 입력부
23: 디스플레이 30: 선반
31: 본체 32: 조리면
33: 발열부 34: 제1 조리 영역
35: 제2 조리 영역 100: 열원
200: 히터 300: 마그네트론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조리실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조리 영역 및 제2 조리 영역을 포함하는 선반;
    상기 제1 조리 영역 또는 상기 제2 조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리 영역 또는 상기 제2 조리 영역 중 조리가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 영역에 관련된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레시피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리 영역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관련된 제1 서브 레시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 가능한 제2 서브 레시피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되는 상기 제2 서브 레시피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열을 제공하는 제1 히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열을 제공하는 제2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리 영역과 상기 제2 조리 영역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모두 선택되는 경우, 제1 서브 레시피 및 제2 서브 레시피를 포함하는 메인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브 레시피 또는 상기 제2 서브 레시피 중 하나를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적용하고, 다른 하나를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하는 조리 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브 레시피 및 상기 제2 서브 레시피 각각의 적용 위치에 관한 질의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상에 배치되는 조리물을 식별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이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에 열이 제공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이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리물의 위치 변경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9.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조리실 내부에 배치되는 선반의 제1 조리 영역 또는 제2 조리 영역 중 조리가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리 영역에 관련된 레시피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상기 레시피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리 영역이 선택되고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관련된 제1 서브 레시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 가능한 제2 서브 레시피의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되는 상기 제2 서브 레시피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열을 제공하는 제1 히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서브 레시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열을 제공하는 제2 히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리 영역과 상기 제2 조리 영역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모두 선택되는 경우, 제1 서브 레시피 및 제2 서브 레시피를 포함하는 메인 레시피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브 레시피 또는 상기 제2 서브 레시피 중 하나를 상기 제1 조리 영역에 적용하고, 다른 하나를 상기 제2 조리 영역에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서브 레시피 및 상기 제2 서브 레시피 각각의 적용 위치에 관한 질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상기 선반 상에 배치되는 조리물을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조리물이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에 열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조리물이 상기 결정된 조리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리물의 위치 변경을 안내하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200009286A 2020-01-23 2020-01-23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95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86A KR20210095419A (ko) 2020-01-23 2020-01-23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0/019118 WO2021149932A1 (en) 2020-01-23 2020-12-24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7/157,908 US20210231311A1 (en) 2020-01-23 2021-01-25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86A KR20210095419A (ko) 2020-01-23 2020-01-23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419A true KR20210095419A (ko) 2021-08-02

Family

ID=7696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286A KR20210095419A (ko) 2020-01-23 2020-01-23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31311A1 (ko)
KR (1) KR20210095419A (ko)
WO (1) WO20211499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725A1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양한 높이에서 트레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가전 장치 및 가전 장치의 영상 획득 방법
WO2023249334A1 (ko) * 2022-06-23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6453B1 (en) * 1999-09-13 2002-11-26 Maytag Corporation Menu driven control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CA2626420C (en) * 2005-10-17 2012-01-03 Merco/Savory Llc Food holding cabinet with removable tray covers
US20120136864A1 (en) * 2010-11-30 2012-05-31 Robert Thomas Ochtel Aggregation of Recipe Information, Meal Planning and Preparation
EP2822355B1 (en) * 2013-07-03 2016-12-14 ELECTROLUX PROFESSIONAL S.p.A. Cooking hob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064521B1 (en) * 2014-01-15 2018-09-04 Yantra, Llc Automated multi-dish cooking machine
US10760794B2 (en) * 2015-09-10 2020-09-01 Brava Home, Inc. In-oven camera
JP6677498B2 (ja) * 2015-12-10 2020-04-08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システム
KR20170109149A (ko) * 2016-03-18 2017-09-28 주식회사 보카프 복층구조를 갖는 슬림형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KR20170134063A (ko)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그루터기 복합가열식 즉석조리장치의 제어회로
KR102435186B1 (ko) * 2017-08-31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조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725A1 (ko) * 2021-11-18 2023-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양한 높이에서 트레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가전 장치 및 가전 장치의 영상 획득 방법
WO2023249334A1 (ko) * 2022-06-23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9932A1 (en) 2021-07-29
US20210231311A1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8969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72519B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oking apparatus
CN108474562B (zh) 烤箱内相机
EP4068907A1 (en) Cooking appliance,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system
US9332597B2 (en) Versatil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KR20210095419A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9144970A (ja) 加熱調理器
KR20210138485A (ko) 단말 장치, 조리 기기,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US10674571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RF stirring with solid state components
US20180352615A1 (en) Cooking apparatus
JP2009180392A (ja) オーブンレンジ
JP6641560B2 (ja) 加熱調理器
KR20210138478A (ko) 조리 기기,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조리 시스템
US10827569B2 (en) Crispness and browning in full flat microwave oven
KR20210095424A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361714A1 (en) Heating cooking apparatus and built-in heating cooking system
US20230139117A1 (en) Cooking apparatus
US20240155744A1 (en) Heating cooker, computer program, and heating cooking method
KR20240073662A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23101880A (ja) 加熱調理器
KR20230089100A (ko) 조리장치에서 하중 측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194535A (ja) 高周波加熱装置
JP2012172895A (ja) 加熱調理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