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100A - 조리장치에서 하중 측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장치에서 하중 측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100A
KR20230089100A KR1020210177477A KR20210177477A KR20230089100A KR 20230089100 A KR20230089100 A KR 20230089100A KR 1020210177477 A KR1020210177477 A KR 1020210177477A KR 20210177477 A KR20210177477 A KR 20210177477A KR 20230089100 A KR20230089100 A KR 2023008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avity
tray
load cell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솔
김춘성
고병우
김해든
정진호
홍제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7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9100A/ko
Priority to PCT/KR2022/015260 priority patent/WO2023113177A1/ko
Publication of KR2023008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64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weight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조리장치에서 트레이에 올려진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측정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조리장치는 트레이의 밑면에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들 각각이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수납 트레이의 하부 측에서 상기 캐비티의 바닥을 향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모양의 가이드 로드를 형성하고, 하중 전달 부재에 형성된 제1 결합부에 상기 가이드 로드의 하단부를 끼워 고정하며, 상기 하중 전달 부재에 의해 전달된 하중에 의해 로드 셀에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조리장치에서 하중 측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MEASUREMENTING LOAD IN A COOK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본 개시(disclosure)는 조리장치에서 트레이(tray)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장치는 전기를 사용하여 고주파(또는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복사열 또는 대류 열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하여 음식 또는 조리물(이하 “조리물”로 통칭함)을 조리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조리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전자레인지가 있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발생하는 고주파 가열장치 이외에 복사열을 공급하는 그릴장치 또는 대류열을 공급하는 컨벡션 장치 등을 구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물을 가열하고 있다. 전자레인지는 다양한 가열원을 이용하여 조리물에 따라 조리법을 제공하는 기능을 마련하고 있다. 예컨대,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데우거나, 그릴장치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굽거나, 컨벡션 장치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익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주파, 복사열 또는 대류 열과 같이 다양한 가열원을 이용한 조리법을 제공하는 조리장치는 보다 정확하면서 상세한 조립법을 제공하기 위해, 조리물의 종류 또는 고체, 액체 또는 냉동과 같은 상태 외에 조리물의 크기 또는 부피 등을 예측할 수 있는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에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조리장치에서 트레이에 올려진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측정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개구를 포함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내부에 조리물이 윗면에 올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밑면에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들 각각이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수납 트레이와, 상기 수납 트레이의 하부 측에서 상기 캐비티의 바닥을 향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모양의 가이드 로드 (guide rod)가 형성된 가이드 롤러 부재와, 상기 가이드 로드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의 윗면에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 깊이를 갖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된 하중 전달 부재와, 윗면에 상기 하중 전달 부재의 밑면이 맞닿도록 놓여 지고, 상기 가이드 로드 및 상기 하중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조리물로 인한 하중에 상응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로드 셀 및 일측단에 상기 캐비티의 배면과의 물리적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마련된 적어도 두 개의 수직면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직면들의 다른 일측단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바닥을 형성하는 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수평면에 상기 하중 전달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판과 상기 로드 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 깊이를 갖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개구를 포함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내부에 조리물이 윗면에 올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아래에서 상기 트레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밑면에서 상기 캐비티의 바닥을 향하는 하부가 개방된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트레이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들과, 상기 트레이의 실질적인 중심에 위치하는 회전축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롤러들이 정해진 동심원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 롤러 가이드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의 윗면에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제2결합부가 상기 제1 결합부와 수직축 상에서 개방된 면이 대면하도록 배치된 가이드 사출물과, 상기 제1 결합부에 상단부가 끼워지고, 상기 제2 결합부에 하단부가 끼워지는 탄성 부재 및 윗면에 상기 가이드 사출물의 밑면이 맞닿도록 놓여 지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가이드 사출물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조리물로 인한 하중에 상응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로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장치에서 신뢰성 있는 조리물의 무게를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 측정을 위하여 마련된 센서가 조리 시의 열로 인하여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3 하중 측정 부재(200)에 대한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3 하중 측정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3 하중 측정 부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트레이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3 하중 측정 부재에 대한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3 하중 측정 부재(6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3 하중 측정 부재(6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가이드 롤러 부재의 설계 예시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캐비티의 단면도 (a) 및 트레이에 올려진 조리물로 인한 하중이 로드 셀로 전달되는 예시도 (b)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트레이 어셈블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C-C'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하중 전달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도 15은 도 6의 제3 하중 측정 부재에 대한 B-B'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3 하중 전달 부재에서 하중 전달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 설치된 냉각 유로의 구조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전면에서 냉각 유로가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배면에서 냉각 유로가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냉각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될 설명에서, 상세한 구성 및 구성 요소와 같은 특정 세부 사항은 단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 상기 하우징(2) 내부에 마련되어 조리할 조리대상(이하 “조리물”이라 칭함)을 수용하는 캐비티(4), 상기 하우징(2)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장치(1)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조작 버튼들을 포함하는 전면 패널(6), 상기 캐비티(4)의 바닥에 배치되어 올려진 조리물을 회전하거나, 또는 그로 인해 발생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트레이 어셈블리(tray assembly)(10) 또는 상기 하우징(2)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4)를 개폐하는 도어 어셈블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장치(1)는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와 같은 고주파, 복사열 또는 열풍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장치(1)는 전자레인지 모드, 오븐 모드 또는 에어플라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리장치(1)의 캐비티(4)의 내부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마이크로파를 방사하는 마이크로파 발생기,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히터 또는 열풍을 발생하는 컨벡션 히터와 같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4)의 내부 후면에는 상기 캐비티(4)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4)는 단열재(미도시)에 의해 감싸져 외부와의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에서 트레이 어셈블리(예: 도 1의 트레이 어셈블리(1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리장치(1)의 하우징(2) 내부에 배치된 트레이 어셈블리(10)는 트레이, 복수의 롤러들, 회전 부재 또는 하중 측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회전을 돕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예를 들어, 정해진 동심원을 따라 상기 복수의 롤러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롤러들을 링 형태로 연결하는 가이드 롤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부재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에서 상기 트레이에 놓인 조리물로 인한 하중(W 1 , W 2 , W 3 )(211, 213, 215)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에 놓인 조리물로 인한 하중(W 1 , W 2 , W 3 )(211, 213, 215)을 수직 방향으로 전달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W 1 , W 2 , W 3 )(211, 213, 215)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트레이에 놓인 조리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예를 들어, 압력의 세기를 감지한 센싱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롤러들과 상기 트레이의 회전을 돕는 회전 부재는 트레이와 캐비티(예: 도 1의 캐비티(4))의 바닥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부재는 상기 캐비티(4)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캐비티(4)의 바닥면 밑에 배치된 하중 측정 부재는 상기 캐비티(4) 바닥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롤러들이 수납된 회전 부재의 하단부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에 놓인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로드 셀(미도시)로 전달하는 하중 측정 부재는 상기 트레이에 구름 접촉된 롤러들 각각에 대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롤러 각각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하중 측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중 측정 부재는 상기 제1 롤러를 통해 전달되는 제1 하중(W 1 )(211)을 로드 셀로 전할 수 있고, 상기 제2 하중 측정 부재는 상기 제2 롤러를 통해 전달되는 제2 하중(W 2 )(213)을 로드 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하중 측정 부재(200)는 제3 롤러를 통해 전달되는 제3 하중(W 3 )(215)을 로드 셀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3 하중 측정 부재(200)에 대한 A-A'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하중 측정 부재(200)는 하중((W 3 )(215)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가이드 롤러 부재(340), 하중 전달 부재(350), 로드 셀(360) 또는 브라켓(370)이 물리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340)는 수납 트레이(341) 또는 가이드 로드(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트레이(341)는 제3 롤러(33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롤러(330)을 감싸는 하우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납 트레이(341)는 상기 제3 롤러(3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롤러(330)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342)는 상기 수납 트레이(341)의 하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모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342)의 하단부는 하중 전달 부재(35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셀(360)은 상기 하중 전달 부재(350)의 하부면에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70)은 상기 하중 전달 부재(350)의 일부 또는 전부와 상기 로드 셀(360)을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320)에 놓인 조리물(310)로 인한 제3 롤러(330)에 가해지는 하중(W 3 )(215)은 제3 하중 측정 부재(2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하중(W 3 )(215)은, 예를 들어, 제3 롤러(330)가 수납 트레이(341)에 보관된 가이드 롤러 부재(340) 및 하중 전달 부재(350)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340) 및 상기 하중 전달 부재(350)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W 3 )(215)은 로드 셀(360)에 제공되어 조리물(31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롤러(330)와 트레이(320)의 회전을 돕는 가이드 롤러 부재(340)에 포함된 회전 부재는 캐비티(예: 도 1의 캐비티(4))의 내부, 즉 캐비티의 바닥면 위쪽에 배치될 수 있고, 하중 전달 부재(350)와 로드 셀(360)는 캐비티의 외부, 즉 캐비티의 바닥면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340)에 포함된 가이드 로드(342)는 캐비티의 바닥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342) 내측에는 중공 구조로 인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3 하중 측정 부재(2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3 하중 측정 부재(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3 하중 측정 부재(200)는 수직 축에서 롤러(330), 가이드 롤러 부재(340), 하중 전달 부재(350) 및 로드 셀(360)이 아래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롤러(330)의 상부는 트레이(예: 도 3의 트레이(320))의 하부면에 구름 접촉하고, 상기 롤러(330)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340)에 마련된 롤러 수납 하우징인 수납 트레이(341)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 부재(340)는 트레이의 밑면에 구름 접촉하는 롤러(330)가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수납 트레이(341)와, 상기 수납 트레이(341)의 하부 측에서 캐비티(예: 도 1의 캐비티(4))의 바닥을 향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로드(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342)는,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사각형과 같이 특정 형태를 갖는 막대 모양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 전달 부재(350)는 판(예: 원판)의 윗면에 상부가 개방된 일정 깊이를 갖는 제1 결합부(3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351)에는 가이드 롤러 부재(340)를 구성하는 가이드 로드(342)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351)의 내측 모양은, 예를 들어, 가이드 로드(342)의 모양을 고려하여 정하여 질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로드(342)가 원 기둥의 모양을 가질 경우, 제1 결합부(351)의 내측 모양 또한 원형을 가짐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351)는 하중 전달 부재(350)의 밑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 원통 구조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원통 구조물은 하부가 상기 하중 전달 부재(350)의 밑면에 의해 막혀질 수 있고, 가이드 로드(342)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351)은 가이드 로드(342)의 하단부의 모양에 따라, 원통 구조물이 아닌 다른 형상의 구조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로드(342)의 하단부의 모양이 사각형인 경우, 제1 결합부(351)은 사각 형상의 구조물이 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351)는 복수 개의 칸막이들이 가이드 로드(342)의 하단부의 외면(外面)을 따라 감싸도록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칸막이들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들은, 예를 들어, 동일한 폭 및/또는 높이를 가지며, 균등한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폭 및/또는 높이가 상이하거나, 및/또는 불균등한 이격 거리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부(351)의 내부 공간은 가이드 로드(342)에서 삽입될 부분의 표면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결합부(351)의 하부에서 상부까지의 길이, 즉 상기 제1 결합부(351)의 깊이는 가이드 로드(342)에서 삽입될 부분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351)의 수평 면적은 가이드 로드(342)에서 삽입될 부분의 단면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결합부(351)가 원통 구조물인 경우, 상기 제1 결합부(351)에 삽입될 가이드 로드(342)의 높이 및 상기 가이드 로드(342) 단면의 지름 또는 반지름을 고려하여 상기 제1 결합부(351)의 높이와 지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 부재(340)를 구성하는 수납 트레이(341)는 캐비티(4)의 바닥면 위쪽, 즉 캐비티(4)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하중 전달 부재(350) 및 로드 셀(360)은 캐비티(4)의 바닥면 아래쪽, 즉 캐비티(4)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340)에서 수납 트레이(34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가이드 로드(342)는 캐비티(4)의 바닥을 관통하여 하중 전달 부재(350)에 마련된 제1 결합부(351)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370)은 적어도 두 개의 수직면들(373, 375)과 하나의 수평면(377)을 포함하는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370)을 구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직면들(373, 375) 각각의 일측단에는 캐비티(4)의 밑면과의 물리적 체결을 위한 체결부(379)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79)는, 예를 들어, 캐비티(4)의 밑면과의 물리적 결합을 위하여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나사를 삽입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홀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70)을 구성하는 수평면(377)은 적어도 두 개의 수직면들(373, 375)의 다른 일측단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상기 브라켓(37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70)을 구성하는 수평면(377)은, 예를 들어, 하중 전달 부재(350)를 구성하는 판과 로드 셀(3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 깊이를 갖는 제2 결합부(37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부(371)는 브라켓(370)에 마련된 수평면(377)에서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 원통 구조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원통 구조물은 하부가 상기 브라켓(370)의 수평면에 의해 막혀질 수 있고, 하중 전달 부재(350)을 구성하는 하부 판 및/또는 로드 셀(3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371)은 하중 전달 부재(350)을 구성하는 하부 판의 모양 및/또는 로드 셀(360)의 모양에 따라, 원통 구조물이 아닌 다른 형상의 구조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중 전달 부재(350)을 구성하는 하부 판의 모양 및/또는 로드 셀(360)의 모양이 사각형인 경우, 제2 결합부(371)은 사각 형상의 구조물이 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부(371)는 복수 개의 칸막이들이 하중 전달 부재(350)을 구성하는 하부 판 및/또는 로드 셀(360)의 외면(外面)을 따라 감싸도록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칸막이들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들은, 예를 들어, 동일한 폭 및/또는 높이를 가지며, 균등한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폭 및/또는 높이가 상이하거나, 및/또는 불균등한 이격 거리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부(371)의 내부 공간은 하중 전달 부재(350)에서 삽입될 부분의 표면적과 로드 셀(360)의 표면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결합부(371)의 하부에서 상부까지의 길이, 즉 상기 제2 결합부(371)의 깊이는 하중 전달 부재(350)에서 삽입될 부분의 높이 및 로드 셀(360)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부(371)의 수평 면적은 하중 전달 부재(350)에서 삽입될 부분의 단면적 및/또는 로드 셀(360)의 단면적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결합부(371)가 원통 구조물인 경우, 상기 제2 결합부(371)에 삽입될 하중 전달 부재(350)의 일부 및 로드 셀(360)의 전체 높이 및 상기 하중 전달 부재(350)의 일부 및/또는 로드 셀(360) 단면의 지름 또는 반지름을 고려하여 상기 제2 결합부(371)의 높이와 지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 부재(340)에 포함된 가이드 로드(342)의 하단부와 하중 전달 부재(350)에 마련된 제1 결합부(351)의 바닥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로드(342)의 하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부재의 다른 일측은 상기 제1 결합부(35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 부재(340)에 포함된 가이드 로드(342)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속이 비어 있는 홀이 존재하는 중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342)의 내부에 존재하는 홀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342)에서 개방된 하부면에 탄성 부재의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하단부는 하중 전달 부재(350)에 마련된 제1 결합부(351)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에서는, 트레이(320)의 밑면에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들(330)을 누여진 원 기둥과 유사한 바퀴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트레이(320)의 밑면에서 구름 접촉이 가능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롤러들(330)은 바퀴 형상이 아닌 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들(330)이 바퀴 형상이 아닌 볼 형상을 가질 경우, 트레이(320)와의 접촉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20)와의 접촉면을 최소화할 경우, 회전으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단지, 복수의 롤러들(330)을 볼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 가이드 롤러 부재(340)에서 볼 형상의 롤러가 독립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 트레이의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예컨대, 볼 형상의 롤러가 수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 부재(340)에 포함된 수납 트레이를 상부가 개방된 반원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에서 트레이 어셈블리(예: 도 1의 트레이 어셈블리(1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트레이 어셈블리(10)의 구조와 달리 복수의 롤러들이 트레이와 캐비티(예: 도 1의 캐비티(4))의 바닥 사이에 배치된 트레이 어셈블리(10)의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즉, 트레이 어셈블리(1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복수의 롤러들의 상단부 만이 캐비티(4) 내부, 즉 캐비티(4)의 바닥면 위쪽에 노출되고,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캐비티(4)의 바닥면 아래쪽에 감춰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에 놓인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로드 셀(미도시)로 전달하는 하중 측정 부재는 상기 트레이에 구름 접촉된 롤러들 각각에 대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롤러 각각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하중 측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중 측정 부재는 상기 제1 롤러를 통해 전달되는 제1 하중(W 1 )(611)을 로드 셀로 전할 수 있고, 상기 제2 하중 측정 부재는 상기 제2 롤러를 통해 전달되는 제2 하중(W 2 )(613)을 로드 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하중 측정 부재(600)는 제3 롤러를 통해 전달되는 제3 하중(W 3 )(615)을 로드 셀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3 하중 측정 부재(600)에 대한 B-B'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하중 측정 부재(600)는 하중((W 3 )(615)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가이드 롤러 부재(740), 하중 전달 부재(750), 로드 셀(760) 또는 브라켓(770)이 물리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740)는 수납 트레이(741) 또는 가이드 로드(7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트레이(741)는 제3 롤러(72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롤러(330)을 감싸는 하우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납 트레이(341)는 상기 제3 롤러(3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롤러(330)의 하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342)는 상기 수납 트레이(341)의 하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모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742)의 하단부는 하중 전달 부재(75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셀(760)은 상기 하중 전달 부재(750)의 하부면에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70)은 상기 하중 전달 부재(750)의 일부 또는 전부와 상기 로드 셀(760)을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720)에 놓인 조리물(710)로 인한 제3 롤러(730)에 가해지는 하중(W 3 )(615)은 제3 하중 측정 부재(6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하중(W 3 )(615)은, 예를 들어, 제3 롤러(730)가 수납 트레이(741)에 보관된 가이드 롤러 부재(740) 및 하중 전달 부재(750)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740) 및 상기 하중 전달 부재(750)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W 3 )(615)은 로드 셀(760)에 제공되어 조리물(71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 부재(740)를 구성하는 수납 트레이(741)에 보관되고 있는 제3 롤러(730)의 하단부는 캐비티(4)(예: 도 1의 캐비티(4))의 외부, 즉 캐비티(4) 바닥면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수납 트레이(741)에 보관되지 않은 상기 제3 롤러(730)의 상단부는 캐비티(4)의 내부, 즉 캐비티(4) 바닥면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제3 하중 측정 부재(6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제3 하중 측정 부재(6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에서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달리 제3 롤러(730)(예: 도 7의 제3 롤러(730))의 상단부만이 트레이(예: 도 3의 트레이(320))와 캐비티(4)(예: 도 1의 캐비티(4))의 바닥 사이에 배치된 하중 측정 부재(600)의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즉, 제3 하중 측정 부재(6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제3 롤러(730)의 상단부 만이 캐비티(4) 내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캐비티(4)의 바닥면 아래쪽에 감춰질 수 있다. 상기 캐비티(4)의 바닥면 아래쪽에 감춰진 제3 하중 측정 부재(600)의 구성 요소에는, 제3 롤러(730)의 하단부, 가이드 롤러 부재(740), 하중 전달 부재(750), 로드 셀(760) 및 브라켓(760)이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제3 롤러(730)의 하단부는 가이드 롤러 부재(740)에 마련된 롤러 수납 하우징인 수납 트레이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전체 구성들 중 제3 롤러(730)과 가이드 롤러 부재(740)에서 상기 제3 롤러(730)을 수납하는 수납 트레이(74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즉, 가이드 롤러 부재(740)를 구성하는 가이드 로드(742), 제1 결합부(751)를 갖는 하중 전달 부재(750), 로드 셀(760), 제2 결합부(771)를 갖는 브라켓(770)은 도 3 내지 도 5에서의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내지 도 9에서, 가이드 롤러 부재(740)에 포함된 가이드 로드(742)의 하단부와 하중 전달 부재(750)에 마련된 제1 결합부(751)의 바닥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서는, 트레이(320)의 밑면에 구름 접촉하도록 마련된 바퀴 형상의 롤러(730)을 대신하여, 볼 형상의 롤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에서 가이드 롤러 부재(예: 도 3 내지 도 5의 가이드 롤러 부재(340))의 설계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 부재(340)에서 가이드 로드(342)는, 마이크로웨이브에 해당하는 전자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파의 파장 (λ)보다 작은 크기의 홀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조리장치(1)에서 전자레인지 모드 시에 사용되는 전자파의 파장은 대략 12센티미터(cm)(2450MHz)이므로, 가이드 로드(342)에서 내부 홀의 크기는 8 내지 9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이 경우, 캐비티(Cavity)(예: 도 1의 캐비티(4))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상기 캐비티(4)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는 가이드 롤러 부재(340)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에서 캐비티(예: 도 1의 캐비티(4))의 단면도 (a) 및 트레이(1120)에 올려진 조리물(예: 도 3의 조리물(310) 또는 도 7의 조리물(710))로 인한 하중이 로드 셀(1160)(예: 도 3 내지 도 5의 로드 셀(360) 또는 도 7 내지 도 9의 로드 셀(760))로 전달되는 예시도 (b)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a)에서는 조리장치(1)의 트레이(1120)에 올려진 조리물(310, 710)로 인한 하중을 수직 방향인 로드 셀(1160)로 전달하는 하중 전달 어셈블리(1100)의 배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b)에서 조리장치(1)의 트레이(1120)에 올려진 조리물(310, 710)로 인한 하중 ①은 롤러(1130)(예: 도 3 내지 도 5의 롤러(360) 또는 도 7 내지 도 9의 롤러(730))를 통해 수직 방향인 가이드 롤러 부재(예: 도 3 내지 도 5의 가이드 롤러 부재(340))의 가이드 로드(1140)(예: 도 3 내지 도 5의 가이드 로드(342))로 전달될 수 있다 (②). 상기 가이드 로드(1140)로 전달된 하중 ②은 수직 방향인 하중 전달 부재(1150)로 가해지는 하중 ③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전달 부재(1150)로 가해지는 하중 ③은 수직 방향인 로드 셀(1160)로 전달될 수 있다 (④). 상기 로드 셀(1160)은 상기 하중 전달 부재(115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 ④에 의한 압력에 상응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조리물(310, 71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에서 트레이 어셈블리(1200)(예: 도 1의 트레이 어셈블리(1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어셈블리(1200)는 트레이(예: 도 3의 트레이(320) 또는 도 7의 트레이(720)), 복수의 롤러들,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회전을 돕는 회전 부재 또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에서 상기 트레이에 놓인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예를 들어, 정해진 동심원을 따라 상기 복수의 롤러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롤러들을 링 형태로 연결하는 가이드 롤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 측정 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에 놓인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수직 방향으로 전달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조리물의 무게를 측정할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C-C'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 트레이 어셈블리는 트레이(1310), 롤러(1320), 롤러 가이드(1330), 지지 플레이트(support plate)(1340), 탄성 부재(1350), 센서 하우징(1360), 가이드 사출물(1370), 로드 셀(1380) 또는 로드 셀 고정 부재(1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1320)는 트레이(1310)의 배면과 지지 플레이트(1340) 사이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롤러(1320)는 롤러 가이드(1330)에 의해 상기 트레이(1310)의 중심부에 배치된 회전축(도시하지 않음)과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정해진 동심원을 따라 회전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1310)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1340)의 하부면에는 탄성부재(135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 축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일정 깊이를 갖는 파이프 형태의 상부 탄성 부재 삽입부(1341)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사출물(1370)의 상부면에는 탄성부재(135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 축에서 위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일정 깊이를 갖는 파이프 형태의 하부 탄성 부재 삽입부(137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사출물(1370)의 상부면에는 상기 하부 탄성 부재 삽입부(1371)의 내측 바닥면에서 수직 축의 위쪽 방향으로 막대 형태로 연장된 돌출 결합부(예: 도 14의 돌출 결합부(137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350)의 하부는 수직 축의 아래쪽으로 가이드 사출물(1370)에 마련된 돌출 결합부(1373)에 끼워져 하부 탄성 부재 삽입부(137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350)의 상부는 수직 축의 위쪽으로 지지 플레이트(1340)에 마련된 상부 탄성 부재 삽입부(1341)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 부재(1350)는 지지 플레이트(1340)와 가이드 사출물(13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1340)를 통해 전달되는 트레이(1310)에 놓인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상기 가이드 사출물(137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 셀(1380)은 상부면에 대면하여 가이드 사출물(1370)의 하부면이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상기 로드 셀(1380)은 상기 가이드 사출물(137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에 상응한 압력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압력의 세기를 감지한 센싱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로드 셀(1380)은 하부면에 로드 셀 고정 부재(13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셀(1380)은 상기 로드 셀 고정 부재(1390)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사출물(1370) 및 로드 셀(1380)은 센서 하우징(1360)에 의해 패키징되어 보호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사출물(1370)에서 수직 축의 위쪽 방향으로 마련된 하부 탄성 부재 삽입부 및 돌출 결합부는 상기 센서 하우징(136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트레이 어셈블리의 구조는 지지 플레이트(1340)와 가이드 사출물(1370) 사이에 마련된 탄성 부재(135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을 탄성 부재(1350)로 사용할 경우, 판 스프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자유장을 확보할 수 있어, 조리장치(1)의 조립 공차로 인해 저하될 수 있는 하중 센싱 값의 신뢰도를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의 트레이 어셈블리(예: 도 1의 트레이 어셈블리(10))에서 하중 전달 어셈블리(예: 하중 전달 어셈블리(1100))의 구조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달 어셈블리는 로드 셀(1380)의 상부면에 가이드 사출물(1370)의 하부면이 맞닿아 놓이고, 상기 가이드 사출물(1370)에서 수직 축의 위쪽 방향으로 마련된 돌출 결합부(1373)에 코일 스프링(1350)의 하부에 마련된 통로가 끼워지며, 지지 플레이트(1340)에서 수직 축의 아래쪽 방향으로 마련된 상부 탄성 부재 삽입부(1341)에 상기 코일 스프링(1350)의 상부가 삽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340)와 상기 가이드 사출물(1370)에 의해 고정된 상기 코일 스프링(1340)은 유격 에 의한 자유장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5은 도 6의 제3 하중 측정 부재(예: 도 6의 하중 측정 부재(600))에 대한 B-B' 단면도의 다른 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하중 측정 부재(600)는 제3 롤러(1530)가 보관된 가이드 롤러 부재(1540), 일측단이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1540)와 결합된 하중 전달 부재(1550), 트레이(1520)의 실질적인 중심 부근 아래에서 상기 하중 전달 부재(1550)의 다른 일측단에 맞닿아 배치된 로드 셀(1560), 또는 상기 하중 전달 부재(1550)의 일부, 상기 로드 셀(1560) 및 상기 트레이(152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캐비티의 밑면에 나사와 같은 결합 부재로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롤러 부재(1540)는 제3 롤러(1520)가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수납 트레이(1541)와, 상기 수납 트레이(1541)의 하부 측에서 캐비티(예: 도 1의 캐비티(4))의 바닥을 향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로드(15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1543)는, 예를 들어, 막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1543)는 중심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속이 비어 있는 홀(1545)이 존재하는 중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중 전달 부재(1550)는 일측단에 가이드 롤러 부재(1540)에 포함된 가이드 로드(1543)의 하단부가 끼우질 수 있는 결합부(155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51)는 바닥면을 아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51)의 바닥면에 형성된 홀의 윗면은 상기 가이드 로드(1543)의 하단부가 끼워질 시, 상기 가이드 로드(1543)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만들어진 홀(1545)의 아랫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51)의 바닥에 형성된 홀의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삽입된 볼트(1570)는 상기 가이드 로드(1543)의 하단부에 마련된 홀(1545)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중 전달 부재(1550)는 볼트(1570)에 의해 가이드 롤러 부재(15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1520)에 놓인 조리물(1510)로 인하여 제3 롤러(1530)에서의 하중(W 3 )(615)은 제3 하중 측정 부재(6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하중(W 3 )(615)은, 예를 들어, 제3 롤러(1530)가 보관된 가이드 롤러 부재(1540)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1540)를 통해 전달된 하중은 하중 전달 부재(1550)를 통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로드 셀(156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1540)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된 후 상기 하중 전달 부재(1550)를 통해 실질적인 수평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W 3 )(615)은 로드 셀(1560)에 제공되어 조리물(151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의 발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에서는, 트레이(1520)의 밑면에 구름 접촉하도록 마련된 바퀴 형상의 롤러(1530)을 대신하여, 볼 형상의 롤러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의 설명에서 볼 형상의 롤러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도 15의 제3 하중 전달 부재(예: 도 6의 하중 측정 부재(600))에서 하중 전달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세 개의 하중 전달 부재(1611, 1613, 1615)는 대응하는 롤러를 수납하는 가이드 롤러 부재(예: 도 15의 가이드 롤러 부재(1540))와 결합되어 트레이에 올려진 조리물로 인한 하중(W 1 , W 2 , W 3 )(예: 도 2의 하중(W 1 , W 2 , W 3 )(211, 213, 215))을 전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들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된 하중 전달 부재들(1611, 1613, 1615)은, 예를 들어, 양측단 중 일측단이 트레이의 실질적인 중심 방향으로 모이고, 다른 일측단이 가이드 롤러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실질적인 중심 부근에 모인 상기 하중 전달 부재들(1611, 1613, 1615)의 일측 단부는 결합 부재(162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1620)는, 예를 들어, 로드 셀(예: 도 15의 로드 셀(1560))을 덮고 있는 브라켓(예: 도 15의 브라켓) 내부에 사출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1620)에 의해 고정된 상기 하중 전달 부재들(1611, 1613, 1615)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은, 상기 결합 부재(1620)에 위치하는 로드 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에 설치된 냉각 유로(1700)의 구조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로(1700)는 냉각 유로 상단부재(1710)와 냉각 유로 하단부재(1720)의 결합체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로(1700)는 조리장치(1)의 상측부에 마련된 냉각팬(예: 도 18의 냉각팬(1810))에 의해 만들어진 냉각 풍을 하나 또는 복수의 압력 센서들(예: 도 3 내지 도 5의 로드 셀(360), 도 7 내지 도 9의 로드 셀(760), 도 13 내지 도 14의 로드 셀(1380) 또는 도 15의 로드 셀(1560))이 배치된 상기 조리장치(1)의 하측부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로(1700)는, 예를 들어, 상단 캐비티 브라켓 및 조리장치(1)의 하단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에 나사(screw)와 같은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유로(1700)는 조립성 및/또는 조립 공차에 의해 복수의 조각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로(1700)는, 예를 들어, 일측(1711)이 냉각팬(1810)과 결합된 상단 유로(1710)의 다른 일측(1713)이 이에 대응하는 하단 유로(1720)의 일측(1723)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유로(1720)의 다른 일측(1721)은 하나 또는 복수의 압력 센서들이 배치된 조리장치(1)의 하단부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압력 센서들이 배치된 위치로 냉각 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의 전면에서 냉각 유로(예: 도 17의 냉각 유로(1700))가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냉각 유로(1700)의 상단부재(1710)는 일측(1711)이 냉각팬(1810)에 결합되어 조리장치(1)의 상측면에서 우측면을 거쳐 배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장치(1)의 상측면에서 냉각 유로(1700)의 상단부재(1710)는 하단 조립부(1820)를 구성하는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해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2))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의 배면에서 냉각 유로(예: 도 17의 냉각 유로(1700))가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냉각 유로(1700)의 하단부재(1720)는 조리장치(1)의 우측면을 거쳐 배면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장치(1)의 배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910)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조리장치(1)의 배면에서 냉각 유로(1710)의 하단부재(17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910)에 덮인 후 하단 조립부(1920)를 구성하는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들(1921, 1923, 192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로(1700)의 하단부재(1720)의 끝단(1721)은 플레이트 내측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압력 센서들로 냉각 풍을 공급할 수 있는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조리장치(1))는 프로세서(2010), 센서부(2020), 메모리(2030), 냉각팬 구동 모터(2040),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2050)(예: 도 1의 전면 패널(6)) 또는 가열부(20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20)는 온도 센서(2021)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압력 센서들(2023)(예: 도 3 내지 도 5의 로드 셀(360), 도 7 내지 도 9의 로드 셀(760), 도 13 내지 도 14의 로드 셀(1380) 또는 도 15의 로드 셀(15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2050)는 입력부(2051) 또는 표시부(20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060)는 고주파 가열부(2061), 그릴 가열부(2063) 또는 컨벡션 가열부(206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10)는 조리장치(1)의 동작 모드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010)는,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 모드, 오븐 모드 또는 에어플라이 모드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겸용으로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전자레인지 모드는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이 고주파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익히거나, 가열하거나, 또는 데우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전자레인지 모드는 조리 과정에서 캐비티의 내부 온도를 직접적으로 상승시키지는 않으나, 조리물의 온도 상승 및/또는 증기 발생과 같이 간접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캐비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오븐 모드 또는 상기 에어플라이 모드는 히터에 의해 방사된 복사열 또는 열풍을 사용하여 조리물을 익히거나, 가열하거나, 또는 데우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오븐 모드 또는 상기 에어플라이 모드는 조리 과정에서 캐비티의 내부 온도를 직접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21)는 설정된 동작 모드 및/또는 캐비티(예: 도 1의 캐비티(4)) 내부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냉각팬 구동모터(2040)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 구동 모터(2040)는 냉각팬(예: 도 18의 냉각팬(1810))을 돌리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1810)은 캐비티 하부에 배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압력 센서들(2023)(예: 도 3, 도 4, 도 5의 로드 셀(360) 또는 도 7, 도 8, 도 9의 로드 셀(760) 또는 도 15의 로드 셀(1560))로 외부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캐비티의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해 압력 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010)는, 예를 들어, 오븐 모드 또는 에어플라이 모드에 의한 조리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조리가 완료되었더라도 캐비티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임계 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냉각팬(1810)이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010)는,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 모드로 동작 시에, 캐비티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임계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후 상기 임계 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냉각팬(1810)이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2010)는 직접적인 열이 가해지는 동작 모드(예: 오븐 모드 또는 에어플라이 모드)로 조리가 이루어지고 있거나, 조리가 완료되었더라도 캐비티의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냉각팬(1810)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직접적인 열이 가해지지 않는 동작 모드(예: 전자레인지 모드)로 동작 시에 캐비티의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게 올라갈 때에만 냉각팬(1810)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10)는 온도센서(2021)의 감지결과 및/또는 입력부(2051)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라 고주파 가열부(2061), 그릴 가열부(2063) 또는 컨벡션 가열부(2065)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리대상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010)는 전자레인지 모드에서 고주파 가열부(206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오븐 모드에서 그릴 가열부(206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에어플라이 모드에서 컨벡션 가열부(206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205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리개시, 조리시간, 조리취소 또는 일시중지와 같이 다양한 동작 명령에 상응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51)는, 예를 들어,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membrane) 스위치, 다이얼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051)는 고주파 가열, 그릴 가열 또는 컨벡션 가열과 같이 가열 방식에 따른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선택 버튼들, 조리 시간 내지 조리물의 중량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는 가감 다이얼, 조리장치(1)의 가동 중지 명령을 입력하는 취소 버튼 또는 조리장치(1)의 가동 명령을 입력하는 선택/동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053)는 사용자에게 조리장치(1)의 출력, 동작 모드, 내부 온도, 조리물의 무게 또는 조리시간과 같은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05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을 채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의 조리장치(1)는 UI(2050)에 포함된 입력부(2051)와 표시부(2053)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나, 입력부(2051)와 표시부(2053)가 일체로 마련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이 채용될 수도 있다.
고주파 가열부(2061)는 캐비티 우측의 전장실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가열부(2061)는 캐비티 내부로 방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미도시) 및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압 트랜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주파 가열부(2061)는 캐비티 내부의 우측 벽면을 통하여 2.45GHz 주파수의 고주파를 상기 캐비티 내부로 방사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에 위치하는 조리물이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가열부(2061)에 의하여 방사된 고주파는 캐비티에 위치한 조리물을 투과하여 상기 조리물의 내부까지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가열부(2061)는 최대 출력 파워의 고주파만을 출력하는 고정출력 고주파 가열부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출력 고주파 가열부는 고주파를 방사하는 시간과 고주파를 방사하지 않는 시간의 비율을 통하여 다양한 파워의 고주파를 방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출력이 900W인 경우, 고주파 가동부는 20초간 고주파 가열부를 가동하고 10초간 고주파 가열부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평균적으로 600W의 고주파를 방사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가열부(2061)는 구동회로로서 인버터(inverter)를 채용하여 직접 다양한 파워의 고주파를 방사하는 가변출력 고주파 가열부를 채택할 수도 있다.
그릴 가열부(2063)는 캐비티 상측에 마련되며,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히터(미도시)와 방사된 복사열을 캐비티 내부로 집중시키는 반사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히터는 강한 복사열을 방출하는 할로겐 램프, 전기적 저항을 통하여 줄 열을 방출하는 열선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 가열부(2063)는 캐비티 상측 벽면 내측에 마련되며, 복사열을 방사하는 그릴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히터에 의하여 방사된 복사열은 캐비티에 마련된 조리물로 직접 복사되거나 캐비티의 상측 내벽에 반사된 후 조리물로 복사될 수 있다.
컨벡션 가열부(2065)는 캐비티의 좌측 벽면 외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풍을 생성하는 컨벡션 히터(미도시), 상기 컨벡션 히터 주위의 가열된 공기를 캐비티 내부로 공급하는 컨벡션 순환 팬(미도시), 상기 컨벡션 순환 팬(14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컨벡션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벡션 가열부(2065)는 캐비티의 후방 벽면 외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풍을 생성하는 컨벡션 히터(미도시), 상기 컨벡션 히터 주위의 가열된 공기를 캐비티 내부로 공급하는 컨벡션 순환 팬(미도시), 상기 컨벡션 순환 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컨벡션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021)는 캐비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프로세서(20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2021)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 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채용할 수 있다.
압력 센서(2023)는 트레이(예: 도 3의 트레이(320), 도 7의 트레이(720), 도 13의 트레이(1310) 또는 도 15의 트레이(1520))와 캐비티(예: 도 1의 캐비티(4))의 바닥면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023)가 배치된 구조는 도 3 내지 도 5, 도 7 내지 9, 도 13 내지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압력 센서(2023)는 트레이에 올려진 조리물로 인한 하중을 롤러(예: 도 3 내지 도 5의 롤러(360), 도 7 내지 도 9의 롤러(730), 도 13 내지 도 14의 롤러(1320) 또는 도 15의 롤러(1530)), 가이드 롤러 부재(예: 도 3 내지 도 5의 가이드 롤러 부재(340), 도 7 내지 도 9의 가이드 롤러 부재(740), 도 13 내지 도 14의 지지 플레이트(1340) 또는 도 15의 가이드 롤러 부재(1540)) 및 하중 전달 부재(예: 도 3 내지 도 5의 하중 전달 부재(350), 도 7 내지 도 9의 하중 전달 부재(750), 도 13 내지 도 14의 하중 전달 부재(1350) 또는 도 15의 하중 전달 부재(1550))를 통해 전달받을 있다. 상기 압력 센서(2023)는 전달되는 압력의 정도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023)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010)로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2030)는 조리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030)에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2010)가 캐비티의 내부 온도, 동작 모드 및/또는 구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고려하여 냉각팬 구동 모터(2040)를 제어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30)는 프로세서(2010)의 동작 데이터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동작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2010)에 제공할 수 있다.
냉각팬 구동 모터(2040)는 프로세서(2010)로부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 구동 모터(2040)는, 동작 시, 냉각팬(1810)을 회전시켜 조리장치(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예: 도 1의 조리장치(1))에서 냉각팬(예: 도 18의 냉각팬(1810))의 구동을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조리장치(1)는, 동작 2101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전면 패널에 포함된 버튼을 조작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는 조리장치(1)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조리장치(1)의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전자레인지 모드, 방사된 복사열을 이용하는 오븐 모드 또는 열풍을 이용하는 에어플라이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03 또는 동작 2105에서, 동작 모드가 전자레인지 모드인지를 판단하거나, 또는 오븐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가 전자레인지 모드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07 내지 동작 2111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가 오븐 모드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13 및 동작 211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가 전자레인지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07에서, 온도 센서(예: 도 20의 온도 센서(2021))에 의해 캐비티(예: 도 1의 캐비티(4))의 내부 온도(T in )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온도(T in )가 임계 온도(α)보다 높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한 온도(T in )가 상기 임계 온도(α)보다 높으면,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09에서, 냉각팬(예: 도 18의 냉각팬(1810))을 동작 시킴으로써,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 아래에 구비되어 하중을 측정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들(예: 도 20의 압력 센서(2023))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한 온도(T in )가 상기 임계 온도(α)보다 높지 않거나, 또는 냉각팬(1810)을 동작시킨 후,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11에서,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장치(1)는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동작 2107 및 동작 2109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가 오븐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13에서, 냉각팬(1810)을 동작 시킴으로써,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 아래에 구비되어 하중을 측정하는 센서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1810)을 동작시킨 후,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15에서, 조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리장치(1)는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동작 2113에서의 냉각팬(1810)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동작 2111 또는 동작 2115에서 조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17에서, 온도 센서에 의해 캐비티의 내부 온도(T in )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온도(T in )가 임계 온도(α)보다 높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한 온도(T in )가 상기 임계 온도(α)보다 높으면,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19에서, 냉각팬(1810)을 동작 시킴으로써, 조리물이 놓인 트레이 아래에 구비되어 하중을 측정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압력 센서들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한 온도(T in )가 상기 임계 온도(α)보다 높지 않으면, 상기 조리장치(1)는, 동작 2121에서, 냉각팬(1810)의 동작을 멈춘 후, 전자레인지 모드 또는 오븐 모드에 따른 조리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장치(1)는 직접적인 열이 가해지는 동작 모드(예: 오븐 모드)로 조리가 이루어지고 있거나, 조리가 완료되었더라도 캐비티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냉각팬(1810)이 동작하도록 하거나, 또는 직접적인 열이 가해지지 않는 동작 모드(예: 전자레인지 모드)로 동작 시에 캐비티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게 올라갈 때에만 냉각팬(1810)이 동작하도록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조리장치에 있어서,
    개구를 포함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조리물이 윗면에 올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밑면에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들 각각이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수납 트레이와, 상기 수납 트레이의 하부 측에서 상기 캐비티의 바닥을 향하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모양의 가이드 로드 (guide rod)가 형성된 가이드 롤러 부재;
    상기 가이드 로드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의 윗면에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 깊이를 갖는 제1 결합부가 형성된 하중 전달 부재;
    윗면에 상기 하중 전달 부재의 밑면이 맞닿도록 놓여 지고, 상기 가이드 로드 및 상기 하중 전달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조리물로 인한 하중에 상응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로드 셀; 및
    일측단에 상기 캐비티의 밑면과의 물리적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마련된 적어도 두 개의 수직면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직면들의 다른 일측단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바닥을 형성하는 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수평면에 상기 하중 전달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판과 상기 로드 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 깊이를 갖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수납 트레이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중 전달 부재 및 상기 로드 셀은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 트레이로부터 연장된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하중 전달 부재에 마련된 상기 제1 결합부에 삽입되는,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는 중공 구조를 가지는, 조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가 관통할 상기 캐비티의 바닥에 마련된 홀(hole)의 크기는 전자레인지 모드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파장보다 작은, 조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 부재, 상기 하중 전달 부재 및 상기 로드 셀은 상기 캐비티의 바닥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 트레이에 장착된 롤러에서 상기 수납 트레이 밖으로 노출된 상단부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트레이의 밑면에 구름 접촉하는, 조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는 길이 방향으로 속이 비어 있는 홀이 존재하는 중공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로드의 상기 홀에 상단부가 끼워지고, 상기 제1 결합부에 하단부가 끼워지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조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는 길이 방향으로 속이 비어 있는 홀이 존재하는 중공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로드의 하단부가 끼워진 상기 제1 결합부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홀에 삽입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들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된 하중 전달 부재들의 양측단 중 일측단이 상기 트레이의 실질적인 중심 방향으로 모이고, 상기 하중 전달 부재들의 일측단이 모인 위치에 상기 로드 셀을 배치하는, 조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천정 바깥에 설치된 냉각팬; 및
    일측단이 상기 냉각팬과 결합하고, 다른 일측단이 상기 로드 셀이 위치하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 아래로 향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냉각팬에 의해 만들어진 냉각 풍을 상기 로드 셀로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냉각 유로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로는 냉각 유로 상단부재의 일측단이 냉각 유로 하단부재의 일측단에 끼워져 조립된 구조를 갖는, 조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들은 바퀴 형상을 가지는, 조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들은 볼 형상을 가지는, 조리 장치.
  14. 조리장치에 있어서,
    개구를 포함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부에 조리물이 윗면에 올려질 수 있도록 배치된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아래에서 상기 트레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밑면에서 상기 캐비티의 바닥을 향하는 하부가 개방된 제1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트레이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구름 접촉하는 복수의 롤러들;
    상기 트레이의 실질적인 중심에 위치하는 회전축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롤러들이 정해진 동심원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 롤러 가이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의 윗면에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제2결합부가 상기 제1 결합부와 수직축 상에서 개방된 면이 대면하도록 배치된 가이드 사출물;
    상기 제1 결합부에 상단부가 끼워지고, 상기 제2 결합부에 하단부가 끼워지는 탄성 부재; 및
    윗면에 상기 가이드 사출물의 밑면이 맞닿도록 놓여 지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가이드 사출물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조리물로 인한 하중에 상응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로드 셀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셀의 밑면과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로드 셀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셀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중심 부근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하부단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돌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결합부는 막대 형성 또는 버튼 형상을 가지는, 조리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사출물 및 상기 로드 셀을 패키징 하도록 구성된 센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에는 수직 축에서 위쪽 방향으로 상기 제2 결합부가 통과하도록 하는 홀이 마련되는, 조리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들은 바퀴 형상 또는 볼 형상을 가지는, 조리 장치.
KR1020210177477A 2021-12-13 2021-12-13 조리장치에서 하중 측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89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477A KR20230089100A (ko) 2021-12-13 2021-12-13 조리장치에서 하중 측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15260 WO2023113177A1 (ko) 2021-12-13 2022-10-11 조리장치에서 하중 측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477A KR20230089100A (ko) 2021-12-13 2021-12-13 조리장치에서 하중 측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100A true KR20230089100A (ko) 2023-06-20

Family

ID=8677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477A KR20230089100A (ko) 2021-12-13 2021-12-13 조리장치에서 하중 측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9100A (ko)
WO (1) WO20231131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3158A (ja) * 1992-01-29 1993-08-10 Sanyo Electric Co Ltd 調理器
JPH08153580A (ja) * 1994-11-29 1996-06-11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
JP6827180B2 (ja) * 2015-09-25 2021-0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6870081B2 (ja) * 2017-05-24 2021-05-1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炊飯器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JP2019216012A (ja) * 2018-06-13 2019-1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177A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8969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627745B2 (ja) 加熱調理器
US4441002A (en) Cook-by-weight microwave oven
JP5152971B2 (ja) 加熱調理器
CA2498675A1 (en) System for sensing the presence of a load in an oven cavity of a microwave cooking appliance
KR20170084515A (ko)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30107820A (ko) 적외선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 장치
EP4068907A1 (en) Cooking appliance,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system
US10893581B2 (en) Heating of objects by microwave energy
JP5244229B2 (ja) 加熱調理器
US20090321429A1 (en) Microwave oven
EP2704525B1 (en) Microwave oven
KR20230089100A (ko) 조리장치에서 하중 측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164291A1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KR20210095419A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6641560B2 (ja) 加熱調理器
JP6007053B2 (ja) 加熱調理器
KR20170057065A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3016049A (ja) 加熱調理器
EP3476183B1 (en) Multi-feed microwave oven with improved crisp function
US20210321497A1 (en) Oven including plural antenna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56571B1 (ko) 조리기기
US10827569B2 (en) Crispness and browning in full flat microwave oven
JP6693025B2 (ja) 加熱調理器
KR20130120840A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