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069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069A
KR20210093069A KR1020200006791A KR20200006791A KR20210093069A KR 20210093069 A KR20210093069 A KR 20210093069A KR 1020200006791 A KR1020200006791 A KR 1020200006791A KR 20200006791 A KR20200006791 A KR 20200006791A KR 20210093069 A KR20210093069 A KR 20210093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heat
disposed
he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김언중
김태훈
전인기
홍승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069A/ko
Priority to PCT/KR2021/000626 priority patent/WO2021145737A1/en
Priority to US17/150,946 priority patent/US20210227649A1/en
Publication of KR2021009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91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91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 H05B6/6494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for coo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80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제 1방향으로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용기를 가지는 선반과 선반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선반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용기는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용기과 제 2방향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 2용기와 제 1,2용기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발열부재는 제 1용기에 열을 제공하도록 제 1용기에 배치되는 제 1발열부재와, 제 2용기에 열을 제공하도록 제 2용기에 배치되는 제 2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제 1용기와 제 2용기는 홀더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의 조리 공간이 구획되는 특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고,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조리기기를 통해 2개 이상의 다른 음식물을 조리할 시 각각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최적의 온도가 다를 수 있다. 이 때, 조리기기는 동일한 온도로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음식물이 동시에 조리기기를 통해 조리될 시 일부 음식물의 조리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동시에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식물이 조리기기에 의해 조리될 시 각각의 음식물이 서로 다른 최적의 온도로 조리가 진행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효율적인 조리 영역의 구획을 통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식물이 조리실 내부에서 용이하게 조리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용기를 가지는 선반과 상기 선반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용기과 상기 제 2방향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 2용기와 상기 제 1,2용기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제 1용기에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용기에 배치되는 제 1발열부재와, 상기 제 2용기에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용기에 배치되는 제 2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는 상기 홀더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발열부재는 상기 제 2발열부재가 상기 제 2용기에 공급하는 열보다 많은 열을 상기 제 1용기에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선반의 홀더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제 1용기 또는 상기 제 2용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프레임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재는 페라이트(Ferrite)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발열부재의 페라이트(Ferrite) 소재의 함유량과 상기 제 2발열부재의 페라이트(Ferrite) 소재의 함유량이 서로 다르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발열부재의 페라이트 소재의 함유량은 상기 제 2발열부재의 페라이트 소재의 함유량보다 더 크다.
또한 상기 제 1발열부재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용기에서 음식물이 놓이는 제 1조리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발열부재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2용기에서 음식물이 놓이는 제 2조리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발열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는 각각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분리 및 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를 상기 제 3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2 용기의 테두리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제 1,2용기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상기 마그네트론과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조리면으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용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히터와,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2용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히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2히터는 상기 제 1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용기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 3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제 3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제 3발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발열부재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3용기에서 음식물이 놓이는 제 3조리면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3발열부재는 상기 제 1,2발열부재가 각각 상기 제 1,2용기에 공급하는 열의 온도와 다른 온도의 열을 상기 제 3용기에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용기를 가지는 선반과 상기 선반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용기과 상기 제 2방향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 2용기와 상기 제 1,2용기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제 1용기에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용기에 배치되는 제 1발열부재와, 상기 제 2용기에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용기에 배치되는 제 2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발열부재는 상기 제 2발열부재가 상기 제 2용기에 공급하는 열보다 많은 열을 상기 제 1용기에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는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발열부재는 페라이트(Ferrite)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발열부재의 페라이트(Ferrite) 소재의 함유량과 상기 제 2발열부재의 페라이트(Ferrite) 소재의 함유량이 서로 다르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상기 마그네트론과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면으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용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히터와, 상기 제 1히터에 대해 상기 제 2방향으로 이격을 가지고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2용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히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과 상기 선반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을 가지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안착되고 각각 음식물이 놓여지는 제 1용기와 제 2용기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어 각각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제 1발열부재와 제 2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는 각각 상기 제 2방향으로 나란하게 안착되고,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제 1,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선반에 조리물이 놓여지는 용기가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부가 각각 마련되어 각기 다른 온도로 발열되는 복수의 발열부에 의해 조리실 내부에서 서로 다른 온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조리 공간이 효율적으로 구획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2개 이상의 음식물이 각각 구획된 복수의 조리 공간에서 동시에 용이하게 조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복수의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와 다르게 배치된 복수의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와 다르게 배치된 복수의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복수의 용기 중 하나의 용기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복수의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자레인지를 일 예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오븐과 전자레인지가 복합적으로 조합된 같은 다른 조리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조리 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고 조리물이 위치할 수 있는 조리실(11)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11)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과 하우징(10)은 하우징(1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12)은 조리 기기(1)의 전방 방향인 제 1방향(A)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방향(A)으로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통해 조리물을 조리실(1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리실(11)은 제 1방향(A)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직교되는 제 2방향(B)으로 장변을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고 조리실(11) 하측에 배치되는 기계실(13)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3) 내부에는 조리 기기(1)를 구동시키는 각종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및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사용자가 조리 기기(1)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는 도 1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 또는 화상을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마련되는 터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20)가 폐쇄될 시 사용자가 조리실(1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명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실(11) 내부에 거치되고, 사용자가 조리물을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40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400)은 조리실(11) 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선반(400)이 조리실(11)의 상면(11a)과 하면(11b)사이에 거치되도록 조리실(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c)는 선반(400)이 다양한 높이에 거치되도록 제 1방향(A) 또는 제 2방향(B)에 대해 상하 방향 직교되는 제 3방향(C)으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선반(400)은 음식물이 놓여질 수 있는 용기(410,420)와 용기(410,420)를 지지하는 홀더(45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410,42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선반(400)은 조리실(11)과 대응되도록 제 2방향(B)으로 연장되는 장변(400L)과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단변(400S)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용기(410,420)는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용기(410)는 제 2방향(B)으로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용기(420)는 제 2방향(B)으로 제 1용기(410)에 대해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2방향(B)으로의 선반(400)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2방향(B)으로 중심선(G)의 일측에는 제 1용기(410)가, 반대측에는 제 2용기(420)가 배치될 수 있다.
선반(400)의 장변(400L)이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선반(400L)의 장변 방향의 일측에는 제 1용기(410)가, 타측에는 제 2용기(4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용기(410)는 조리물이 위치되는 제 1조리면(4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용기(420)는 조리물이 위치되는 제 2조리면(421)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400)는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를 지지하는 홀더(45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450)는 선반(400)의 테두리를 형상할 수 있다. 홀더(450)는 선반(400)의 장변(400L)에 대응되는 장변(450L)을 포함하고 선반(400)의 단변(400S)에 대응되는 단변(450S)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450)는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가 홀더(450)의 장변(450L)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은 각각 선반(400)이 거치될 시 조리실(11)의 상면(11a)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물이 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조리실(11)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100)은 선반(400)에 위치하는 조리물에 열을 제공하여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은 선반(400) 없이 조리실(11)의 하면(11b)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에도 가열원(100)은 하면(11b)에 위치한 조리물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가열원(100)은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는 제 1가열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100)은 조리실(11)의 하면(11b)에 배치되는 제 2가열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열원(200)은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복사시켜 조리물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제 2가열원(300)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31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조리물 내부로 주사되어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의 내부가 조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310)은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310)은 기계실(13)에서 조리실(11)의 하면(11b)을 향해 고주파를 발진시키고 고주파는 하면(11b)을 통과하여 선반(400)으로 조사될 수 있다.
종래의 전자레인지 타입의 조리 기기는 단일개의 마그네트론을 통해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마련되었다. 이 때, 조리물의 수분 분포나 함량에 따라 고주파가 조리물의 전 부분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조리물이 효율적으로 조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전자레인지에 조리물 전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히터 및 선반에 마련되는 발열부가 장착되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특히 조리물의 외부에서 더 큰 온도를 통해 조리가 되어야 하는 조리물의 경우 추가적인 히터의 열 및 발열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통해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 또한 제 1가열원(200)과 제 2가열원(300)을 포함하여 조리물의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가열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을 통해 조리물의 상측에 복사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을 통해 조리물의 조리물의 하측에 열이 전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조리물의 하측에 추가적인 열이 전달되도록 사용자는 구동 중인 조리 기기(1)를 중단하고 선반(400)를 조리실(11)에서 인출하여 조리물을 뒤집은 후 다시 조리실(11)에 삽입한 후 조리 기기(1)를 재구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조리 중에 조리물의 하측에도 열이 전달되도록 선반(400)에 배치되는 발열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재(460)는 선반(400)의 용기(410,420)에 있어서 각각의 조리면(411,421)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재(460)는 선반(400)이 조리실(11)에 거치될 시 조리실(11)의 하면(11b)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재(46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발열부재(460)는 복수의 용기(410,4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재(460)는 제 1용기(410)와 결합되는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용기(420)에 결합되는 제 2발열부재(4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발열부재(461)는 제 3방향(C)으로 제 1조리면(4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발열부재(461)는 제 1용기(410)의 제 1조리면(411)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발열부재(462)는 제 3방향(C)으로 제 2조리면(4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2발열부재(462)는 제 2용기(420)의 제 2조리면(421)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재(460)는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될 수 있다. 발열부재(460)와 마주하는 마그네트론(310)에서 조사되는 고주파가 발열부재(460)에 흡수되고 발열부재(460)는 흡수된 고주파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열부재(460)에서 발생된 열은 선반(400)의 용기(410,420)를 통해 조리면(411,42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발열부재(460)에서 발생된 열이 각각의 조리면(411,421)으로 전도되면서 각각의 조리면(411,421)에 위치한 조리물의 하측에 열이 공급될 수 있다.
발열부재(460)는 고주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에 의해 발열이 가능한 재질이 세라믹 등과 혼합되어 발열부재(4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물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열이 공급될 수 있어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조리물을 뒤집지 않고도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조리 기기에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을 조리실에 동시에 넣고 조리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조리 기기는 복수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히터 중 어느 하나의 히터와 다른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다르도록 설정되어 복수의 조리물에 각각 다른 온도를 전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고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이 제공될 시, 조리실(11) 내부에서는 제 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과 대응되는 열의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자세하게는 선반(400)의 각각의 조리면(411,421) 상에는 서로 제공되는 온도가 달리 형성되는 영역들이 구획될 수 있다.
선반(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용기(410.420)는 각각 조리면(411,421)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조리면(411,421)에는 서로 다른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선반(400)의 장변(400L)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가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각각의 용기(410,420)에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로부터 서로 다른 온도가 제공될 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 중 일부 히터는 제 3방향(C)으로 제 1용기(410)의 제 1조리면(4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히터(210,220,230,240) 중 다른 히터는 제 3방향(C)으로 제 2용기(420)의 제 1조리면(4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은 각각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서로 다른 열이 직접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실(11)에 넣어도 복수의 조리물이 각각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에 각각 배치될 시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가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에 각각 배치된 음식물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의 조리물을 위치시킬 시 각각의 조리물은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제 2방향(B)으로 연장되는 장변(11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선반(40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방향(B)으로 장변(400L)을 가지고 제 1방향(A)으로 단변(400S)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선반(400)에서 조리물이 놓여지고 조리가 이뤄지는 영역을 조리 영역이라고 할 때,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은 조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은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조리면(411,421)에 공급되는 열의 온도가 차이가 남에 따라 각각의 조리면(411,421)은 각각 조리 온도가 다른 조리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조리 영역은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에 의해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시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은 선반(400)의 장변(400L)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선반(400)의 조리 영역은 선반(400)의 장변(400L) 방향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선반(400)의 단변(400S) 방향인 제 1방향(A)으로 조리 영역이 구획될 시, 제 1방향(A)으로의 구획된 조리 영역의 연장 길이는 짧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일부 부피가 큰 조리물을 조리할 시 온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영역에서 조리물이 복수의 영역에 걸쳐 예를들어 복수의 용기에 걸쳐 배치되어 조리물의 일부가 배치되어 적절한 온도에서 조리가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명부재(22)를 통해 각각의 조리물을 조리 기기(1)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데 하나의 조리물은 제 1방향(A)으로 깊숙이 배치됨에 따라 조리물이 조리되는 단계를 관찰할 수 없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조리 영역이 선반(400)의 장변(400L) 방향으로 구획되도록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이 선반(400)의 장변(400L)을 따라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조리 기기(1)의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은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200L)을 각각 포함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히터(210.220,230,240)는 선반(400)의 장변(400L)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제 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선반(400)의 장변(400L) 방향으로 구획된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제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발열부재(460)는 선반(400)의 장변(400L) 방향으로 구획된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제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발열부재(461)은 제 1용기(410)에 결합되고 제 2발열부재(462)는 제 2용기(420)에 결합되는데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는 선반(400)의 장변(400L)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 또한 선반(400)의 장변(400L)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히터(210)는 제 2방향(B)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제 2히터(220)는 제 2방향(B)으로 제 1히터(210)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방향(B)을 기준으로 선반(400)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1히터(210)는 일측, 제 2히터(220)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히터(230)는 제 1히터(210)와 인접한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4히터(240)는 제 2히터(220)와 인접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히터(210)와 제 3히터(23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또한 제 2히터(220)와 제 4히터(24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20,240)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즉, 중심선(G)을 기준으로 중심선(G)의 일측에서 발열되는 온도와 반대측에서 발열되는 온도는 각각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열되는 온도가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열되는 온도보다 더 높게 세팅된다고 가정될 시, 조리 기기(1)는 제 1,3히터(210,230) 자체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가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보다 더 크도록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 자체는 모두 동일하도록 세팅하고 조리 기기(1)가 구동되는 동안 조리 기기(1)는 제 1,3히터(210,230)는 지속적으로 구동되고 제 2,4히터(220,240)는 on/off 를 반복하면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열되는 열의 총 온도는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열되는 열의 총 온도보다 높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선(G)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1용기(410)가 배치되고 반대측에는 제 2용기(4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용기(410)의 제 1조리면(411)은 제 3방향(C)으로 제 1,3히터(210,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용기(420)의 제 2조리면(421)은 제 3방향(C)으로 제 2,4히터(220,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40)에서 발열되는 열이 각각 다르므로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는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조리면(411)은 상면(11a)에서부터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열되는 열이 전달될 수 있고, 제 2조리면(421)은 상면(11a)에서부터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열되는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열되는 열이 각각 다르므로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제 1용기(410)의 제 1조리면(411)과 제 2용기(420)의 제 2조리면(421)에 각각 조리 온도가 다른 조리물을 위치시키고 동시에 조리실(11)에서 조리가 가능하다.
또한 조리 기기(1)의 전방인 제 1방향(A)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조리물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어, 사용자는 조리 기기(1)가 조리 중에 실시간으로 서로 다른 조리물의 조리과정을 투명부재(22)를 통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제 1,2용기(410,420)은 각각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에서부터 전도되는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발열부재(4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11b)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에 의해 가열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제 1,2용기(410,420)를 통해 제 1,2조리면(411,421)으로 전도될 수 있다.
제 1,2조리면(411,421)의 상측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공급되는데, 제 1,2조리면(411,421)의 하측에는 발열부재(460)에 의해 동일한 열이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2조리면(411,421)에는 서로 다른 적정 조리 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는데 제 1,2조리면(411,421)의 하측에서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이 공급될 시 제 1,2조리면(411,421)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적정 조리 온도와 다른 온도의 열이 공급되어 조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즉, 제 1,2조리면(411,421)의 하측에서 동일한 온도의 열이 제공될 시 조리 중에 사용자는 제 1,2조리면(411,421)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놓인 조리물을 뒤집거나, 사용자가 뒤집지 않을 시 조리물에 적정 온도가 공급되지 않아 조리물의 완성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발열부재(460)는 제 1,2조리면(411,421)에 각각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방출하는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는 동일량의 고주파를 흡수할 때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발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발열부재(461)는 제 3방향(C)으로 제 1조리면(4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발열부재(462)는 제 3방향(C)으로 제 2조리면(4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발열부재(461)는 발열되어 제 1조리면(411)에 소정의 온도의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발열부재(462)는 발열되어 제 2조리면(421)에 제 1발열부재(461)에서 발열되는 온도와 다른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조리면(411,421)의 하측은 대략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온도의 열과 동일한 온도의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2조리면(411,421)의 하면으로도 서로 다른 열이 전달되고, 각각의 조리면(411,421)에 놓인 조리물은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부재(460)는 페라이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발열부재(461)의 페라이트 소재의 함유량과 제 2발열부재(462)의 페라이트 소재의 함유량은 각각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발열부재(460)는 전체적으로 페라이트 소재를 함유하도록 마련되는데, 제 1발열부재(461)의 페라이트 소재의 함유량과 제 2발열부재(462)의 페라이트 소재의 함유량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시 제 1발열부재(461)의 페라이트 소재의 함유량은 제 2발열부재(462)의 페라이트 소재의 함유량보다 더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페라이트 소재는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될 수 있는데 페라이트 소재가 더 많이 함유된 제 1발열부재(461)는 제 2발열부재(462)보다 더 큰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발열부재(461)는 제 2발열부재(462)보다 더 높은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조리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 기기(1)를 통해 조리될 수 있다. 적정 조리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조리물을 제 1조리면(411)에 위치시키고 적정 조리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조리물을 제 2조리면(421)에 위치시켜 동시에 조리하여도 각각의 조리물이 각각의 적정 조리온도에서 조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페라이트 소재 외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다른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의 다른 소재는 동일한 고주파가 흡수될 시 페라이트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와 다른 온도로 발열될 수 있는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는 각각 다른 소재가 페라이트 소재와 혼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에 동일한 고주파가 흡수되어도 각각의 다른 소재에 의해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온도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발열부재(461)는 제 1히터(210)와 제 3방향(C)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발열부재(462)는 제 2히터(220)와 제 3방향(C)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조리면(411)의 상측은 제1,3히터(210,230)에 의해 열이 공급되고, 제 1조리면(411)의 하측은 제 1발열부재(461)에 의해 열이 공급될 수 있다.
제 2조리면(421)의 상측은 제 2,4히터(220,240)에 의해 열이 공급되고, 제 2조리면(421)의 하측은 제 2발열부재(462)에 의해 열이 공급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T1)와 제 1발열부재(461)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1)는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411)에 위치된 조리물은 제 3방향(C)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온도(T1)가 제공될 수 있다.
제 2,4히터(220,24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T2)와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2)는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조리면(421)에 위치된 조리물은 제 3방향(C)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온도(T2)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T1)와 제 1발열부재(461)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1) 및 제 2,4히터(220,24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T2)와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2)는 각각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 조리 온도가 다를 수 있는데 제 1,3히터(210,23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T1)와 제 1발열부재(461)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1)가 제 1조리면(411)에 위치되는 조리물의 적정 조리 온도와 대응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 1,3히터(210,23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T1)와 제 1발열부재(461)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1)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2,4히터(230,24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T2)와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2)가 제 2조리면(421)에 위치되는 조리물의 적정 조리 온도와 대응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 2,4히터(220,24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T2)와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2)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열부재(460)는 서로 다른 온도(T1,T2)로 발열될 수 있는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를 포함하고, 각각의 발열부재(461,462)에 대응되는 제 1,2조리면(411,421)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조리면(411,421)에서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기기(1)를 통해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 또한 발열부재(460)와 같이 제 1,2조리면(411,421)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조리면(411)에 있어서 제 1가열원(200)과 발열부재(460)에 의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열의 온도가 대략 유사하고, 제 2조리면(421)에 있어서 제 1가열원(200)과 발열부재(460)에 의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열의 온도가 대략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조리면(411)은 상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온도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제 2조리면(421)은 상하 방향으로 제 1조리면(411)에 공급되는 온도와 다른 온도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조리면(411,421)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하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 및 각각의 조리면(411,421)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하는 제 1발열부제(461)와 제 2발열부재(462)를 포함하는 발열부재(460)에 의해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각각 제 1조리면(461)과 제 2조리면(462)에 놓여지고 서로 다른 온도를 제공 받아 안정적으로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르게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가 배치되는 방향이 제 1방향(A)일 시,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은 일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지 못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가 선반(400)의 단변(400S) 또는 홀더(450)의 단변(450S)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시 제 1방향(A)으로의 제 1,2조리면(411,421)의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가 제 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 1,2용기(410,420)가 제 2방향(B)으로 배치되며, 동시에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은 제 2방향(B)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선반(400)의 장변(400L) 또는 홀더(450L)의 장변(450L)이 제 2방향(B)으로 연장되는 바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은 일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2방향(B)으로의 제 1조리면(411)의 길이를 제 1길이(411a), 제 2조리면(421)의 길이를 제 2길이(421a)라고 가정할 때, 제 1길이(411a)와 제 2길이(421a)는 대략 조리물이 제 1조리면(411) 또는 제 2조리면(421) 내부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확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조리물을 위치시킬 수 있는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의 면적은 각각 411a*450S, 421a*450S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길이(411a) 또는 제 2길이(421a)는 대략 선반(40)의 단변(40S) 또는 홀더(450)의 단변(450S)과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의 단면적의 형상은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조리물이 용이하게 제 1조리면(411) 또는 제 2조리면(42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길이(411a) 또는 제 2길이(421a)는 대략 선반(40)의 단변(40S) 또는 홀더(450)의 단변(450S)과 각각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의 단면적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1길이(411a) 또는 제 2길이(421a)에 대한 선반(400)의 단변(400S)의 비율(411a/400S, 421a/400S)은 제 1,2조리면(411,421)이 제 1방향(A)으로 배치되었을 때의 길이에 대한 선반(400) 장변(400L)의 비율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이 선반(400)의 장변(40L)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조리면(411,421)의 면적이 효율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용기(410,420)가 제 2방향(B)으로 배치되고, 서로 다른 온도로 발열 가능한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가 각각 제 1,2용기(410,420)에 결합되어 제 2방향(B)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2용기(410,420)가 홀더(45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복수의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와 다르게 배치된 복수의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5와 다르게 배치된 복수의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복수의 용기 중 하나의 용기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반(400)은 서로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는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용기(410)에 공급되는 열의 온도와 제 2용기(420)에 공급되는 열의 온도가 각각 다르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단일개의 용기에서 다른 온도를 전달 받는 영역이 구획될 시 각각의 영역 사이에 온도 차이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영역에서의 온도가 전도되어 각각의 영역 사이에 온도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즉, 단일개의 용기 상에서 영역이 구획될 시 용기를 따라 전도되는 열에 의해 각각의 영역에서 공급받는 열의 온도와 다른 열의 온도가 유지되어 조리물에 정확한 조리 온도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선반은 서로 다른 온도를 공급받는 용기가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각각의 용기 간의 온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발열부재(460)도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는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발열부재(461,462)는 각각 다른 온도로 발열되도록 마련되는데 각각의 발열부재(461,462)다 단일 구성으로 형성되지 않고 별개의 구성으로 각각 형성되어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 사이의 온도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반(400)은 제 2방향(B)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를 지지하는 홀더(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는 홀더(45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선반(400)은 복수의 조리물을 각각 위치시킬 수 있도록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가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면서 별도의 구성이 홀더(45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는 홀더(450)에 대해 제 3방향(C)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450)는 한 쌍의 장변(450L)과 한 쌍의 단변(450S)을 가지는 프레임(451)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451)은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프레임(451)의 내측에는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공간(452)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공간(452)는 프레임(451)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는 프레임(451)의 안착 공간(452)에 제 3방향(C)으로 안착될 수 있다.
프레임(451)에 안착된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는 제 3방향(C)으로 프레임(451)에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451)의 내면에는 제 1용기(410)의 테두리(412)와 제 2용기(420)의 테두리(422)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홀(453)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홀(453)은 프레임(451)의 내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을 제 3방향(C)으로 안착 공간(452)에 안착시키고 제 1용기(410)의 테두리(412)와 제 2용기(420)의 테두리(422)를 각각 삽입홀(453)에 삽입하여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를 프레임(45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는 프레임(451)에 고정되고 선반(400)이 일체로 사용자에 의해 조리실(11)에 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는 삽입홀(453)에 삽입되지 않고 프레임(451)의 상부(454)에 놓여지는 형태로 프레임(45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밖에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가 프레임(451)에 지지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를 프레임(451)에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는 선반(400)에 놓여진 조리물이 조리된 후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의 세척을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용기(410)가 도면을 기준으로 조리실(11)의 좌측 제 2용기(420)가 조리실(11)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를 분리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용기(410)가 조리실(11)의 우측 제 2용기(420)가 조리실(11)의 좌측에 배치되록 사용자가 제 1,2용기(410,420)를 프레임(451)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레임(451)으로부터 제 1,2용기(410,420)의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리실(11)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를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좌우측은 제 2방향(B)에 대한 지칭으로 제 1방향(A)을 전방이라고 가정할 시 도면상으로 좌측이 조리실(11)의 좌측 또는 선반(400)의 좌측과 대응되고, 도면상의 우측이 조리실(11)의 우측 또는 선반(400)의 우측이 우측과 대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용기(410)에는 제 1발열부재(461)가 배치되고 제 2용기(420)에는 제 2발열부재(462)가 배치되는데,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는 각각 발열되는 온도가 정해져있다.
이에 따라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가 프레임(451)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조리실(11)의 좌측에는 항상 제 1용기(410)가 배치되고 조리실(11)의 우측에는 항상 제 2용기(420)가 배치된다.
이 때, 제 1발열부재(461)가 제 2발열부재(462)보다 고온의 온도로 발열되도록 마련되는데 이에 따라 선반(400)의 좌측에는 항상 우측보다 고온으로 조리되어야 하는 조리물이 배치되어야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반(400)은 제 1,2용기(410,420)가 용이하게 분리 되고 좌우 방향으로 제 1,2용기(410,420)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바 제 1용기(410)가 선반(40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반(400)의 우측에는 선반(400)의 좌측에 비해 조리온도가 높은 조리물이 배치되어도 효과적으로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반(400)의 제 1,2용기(410,420)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이 선택적으로 선반(400)의 좌우 방향에 놓여질 수 있다.
이 때 제 3방향(C)으로 제 2용기(420)는 제 1,3히터(210,230)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 1용기(410)는 제 2,4히터(220,240)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과 반대로 제 1,2용기(410,420)가 좌우 방향으로 반대로 배치될 시 제 1,3히터(210,230)는 제 2용기(420)의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와 대응되는 열이 발생되고 제 2,4시터(220,240)는 제 1용기(410)의 제 1발열부재(461)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와 대응되는 열이 발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1)를 통해 제 2,4히터(220,24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와 제 1,3히터(210,23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1참고) 입력부(21)에서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부(미도시)는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와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2용기(410,420)가 프레임(451)에 좌우로 반대로 결합되어 조리실(11) 내부에 배치될 시 이를 인지하는 센서(미도시)가 조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미도시)에 전송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제 1,3히터(410,430)와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선반(400)은 추가적으로 제 3용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7의 경우 프레임(451)에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가 지지되는 실시예만 도시하였으나 도 8과 같이 프레임(451)에는 제 3용기(430)가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에 부착된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에 의해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에는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1,T2)만 각각 공급될 수 있다.(도 5참고) 또한 제 3방향(C)으로 제 1용기와 대응되는 제 1,3히터(210,230)과 제 2히터(220,240)에서도 각각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1,T2)와 대응되는 온도(T1,T2)가 각각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에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발열부재(461)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1)를 대략 200도라 가정하고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2)를 대략 120도라 가정할 시, 150도의 적정 조리온도를 조리물을 제 1조리면(411)이나 제 2조리면(421)에 놓고 조리 기기(1)를 구동하여도 조리물의 조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조리물의 적정 조리온도가 다양한 반면 제 1,2발열부재(461,4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T1,T2)는 일정하기 때문에 일부 조리물의 조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선반(400)은 다양한 조리물이 적절하게 조리되도록 프레임(451)에 지지될 수 있는 복수의 용기(410,420,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용기(430)의 제 3발열부재(미도시)는 제 1발열부재(461)와 제 2발열부재(4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와 다른 온도의 열이 발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발열부재(미도시)에서 발열되는 온도가 150도라 가정할 시, 조리하고자 하는 복수의 조리물의 적정 조리온도가 200도와 150도라면 사용자는 제 1용기(410)와 제 3용기(430)를 프레임(451)에 결합시키고 각각의 조리물을 제 1용기(410)와 제 3용기(430)에 놓고 조리 기기(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 3방향(C)으로 제 3용기(430)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 2,4히터(220,240)는 제 3용기(430)의 제 3발열부재(미도시)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와 대응되는 온도의 열을 제 3용기(430)에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21)를 통해 제 2,4히터(220,240)에서 공급되는 열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1참고) 입력부(21)에서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부(미도시)는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3용기(430)가 프레임(451)에 결합되어 조리실(11) 내부에 배치될 시 이를 인지하는 센서(미도시)가 조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값이 제어부(미도시)에 전송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조리물의 적정 조리 온도에 맞춰 사용자는 복수의 용기(410,420,430) 중 조리물의 적정 조리 온도와 대응되거나 가장 유사한 열을 발열하는 발열부재(460)와 결합되는 용기를 프레임(451)에 결합하고 조리 기기(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용기(410,420,4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4개 이상의 복수의 용기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용기에 결합되는 발열부재(460)는 모두 다른 열의 온도로 발열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는 조리물의 적정 조리 온도에 맞춰 용기를 선택하고 프레임(451)에 결합시켜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용기(410,420) 중 어느 하나의 용기(410)만 프레임(451)에 결합하여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451)에 결합되는 복수의 용기(410,420)에 의해 복수의 조리물이 선반(400)에 놓여지고 동시에 조리가 진행될 수 있는데, 단일개의 조리물의 조리가 진행될 시에는 복수의 용기(410,420)를 모두 프레임(451)에 결합하지 않고 복수의 용기(410,420) 중 어느 하나의 용기(410)만 프레임(451)에 결합시키고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리 기기(1)의 선반(500)과 제 1가열부(200)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복수의 용기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가열원(200)은 3개의 히터(250,260,270)를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히터(250,260,270)는 제 2방향(B)으로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3개의 히터(250,260,27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히터(250,260,270)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6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방향(B)에 대한 선반(500)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1히터(250)는 중심선(G)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히터(260)는 중심선(G)을 기준으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히터(270)는 중신선(G)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히터(250)와 제 2히터(260) 및 제 3히터(270)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즉, 중심선(G)을 기준으로 중심선(G)의 일측에서 발열되는 온도와 반대측에서 발열되는 온도 및 중심선(G) 상에서 발열되는 온도는 각각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500)은 프레임(551)에 동시에 지지될 수 있는 제 1용기(510)와 제 2용기(520) 및 제 3용기(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3용기(510,530,520)는 각각 제 2방향(B)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선반(500)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1용기(510)가 배치되고 중심선(G) 상에는 제 3영역(530)이 배치되고 중심선(G)의 반대측에는 제 2용기(5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용기(510)의 제 1조리면(511)은 제 3방향(C)으로 제 1히터(2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용기(520)의 제 2조리면(521)은 제 3방향(C)으로 제 2히터(2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용기(530)의 제 3조리면(531)은 제 3방향(C)으로 제 3히터(27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히터(250)와 제 2히터(260) 및 제 3히터(270)에서 발열되는 열이 각각 다르므로 제 1조리면(511)의 상측과 제 2조리면(521)의 상측 및 제 3조리면(531)의 상측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는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재(560)는 각각 제 1,2,3용기(510,530,52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재(560)는 제 1용기(510)와 결합되는 제 1발열부재(561)와 제 2용기(520)와 결합되는 제 2발열부재(562)와 제 3용기(530)와 결합되는 제 3발열부재(56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발열부재(561,562,563)은 제 3방향(C)으로 각각의 조리면(511,521,5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재(560)는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될 수 있다.
각각의 발열부재(561,562,563)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각각 다른 온도로 발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발열부재(561,562,563)은 각각 다른 페라이트 함유량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고주파가 발진되어도 각각의 발열부재재(561,562,563)은 각각 다른 온도로 발열될 수 있다.
제 1발열부재(561)는 제 3방향(C)으로 제 1조리면(5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발열부재(562)는 제 3방향(C)으로 제 2조리면(56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발열부재(563)는 제 3방향(C)으로 제 3조리면(56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561)의 하측과 제 2조리면(562)의 하측 및 제 3조리면(563)의 하측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는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히터(25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와 제 1발열부재(561)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는 대략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히터(26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와 제 2발열부재(5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는 대략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히터(27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와 제 3발열부재(563)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는 대략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511)의 상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온도가 제공될 수 있고, 제 2조리면(562)의 상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온도가 제공될 수 있고, 제 3조리면(563)의 상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2,3용기(510,530,520)는 프레임(55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2방향(B)으로 제 1,2,3용기(510,530,520)를 다양한 경우의 수로 배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이 제 1,2,3히터(250,270,26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도 제 3방향(C)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용기(510,520,53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조리실(11) 내부에서 3개의 조리 온도가 각각 다른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리 기기(1)의 선반(600)과 제 1가열부(200)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가열원(200)은 4개의 히터(210,220,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2방향(B)으로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히터(210,220,230,24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히터(210,220,230,240)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8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일 실시예의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와 달리 4개의 히터(210,220,230,240)는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제 2방향(B)에 대한 선반(500)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1히터(210)는 중심선(G)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히터(220)는 중심선(G)을 기준으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히터(230)는 중신선(G)을 기준으로 제 1히터(230)와 같이 중심선(G)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4히터(240)는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2히터(220)와 같이 중심선(G)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히터(210)와 제 2히터(220)와 제 3히터(230) 및 제 4히터(240)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열이 전달되는 제 3방향(C)으로 각각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선반(600)은 프레임(651)에 동시에 지지될 수 있는 제 1용기(610)와 제 2용기(620)와 제 3용기(630) 및 제 4용기(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3,4용기(610,620,630,640)는 각각 제 2방향(B)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선반(600)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1용기(610)와 제 3용기(630)가 배치되고 중심선(G)의 반대측에는 제 2용기(620)와 제 4용기(6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용기(610)의 제 1조리면(611)은 제 3방향(C)으로 제 1히터(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용기(620)의 제 2조리면(621)은 제 3방향(C)으로 제 2히터(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용기(630)의 제 3조리면(631)은 제 3방향(C)으로 제 3히터(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4용기(640)의 제 4조리면(641)은 제 3방향(C)으로 제 4히터(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히터(210)와 제 2히터(220)와 제 3히터(230) 및 제 4히터(240)에서 발열되는 열이 각각 다르므로 제 1조리면(611)의 상측과 제 2조리면(621)의 상측과 제 3조리면(631)의 상측 및 제 4조리면(641)의 상측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는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재(660)는 각각 제 1,2,3,4용기(610,620,630,64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재(660)는 제 1용기(610)와 결합되는 제 1발열부재(661)와 제 2용기(620)와 결합되는 제 2발열부재(662)와 제 3용기(630)와 결합되는 제 3발열부재(663) 및 제 4용기(640)와 결합되는 제 4발열부재(66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발열부재(661,662,663,664)는 제 3방향(C)으로 각각의 조리면(611,621,631,64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재(660)는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될 수 있다.
각각의 발열부재(661,662,663,664)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각각 다른 온도로 발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발열부재(661,662,663,664)는 각각 다른 페라이트 함유량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고주파가 발진되어도 각각의 발열부재(661,662,663,664)는 각각 다른 온도로 발열될 수 있다.
제 1발열부재(661)는 제 3방향(C)으로 제 1조리면(6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발열부재(662)는 제 3방향(C)으로 제 2조리면(66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발열부재(663)는 제 3방향(C)으로 제 3조리면(66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4발열부재(664)는 제 3방향(C)으로 제 4조리면(66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661)의 하측과 제 2조리면(662)의 하측 및 제 3조리면(663)의 하측 및 제 4조리면(664)의 하측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는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히터(21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와 제 1발열부재(661)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는 대략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히터(22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와 제 2발열부재(662)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는 대략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히터(23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와 제 3발열부재(663)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는 대략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4히터(2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와 제 4발열부재(664)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는 대략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611)의 상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온도가 제공될 수 있고, 제 2조리면(662)의 상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온도가 제공될 수 있고, 제 3조리면(663)의 상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온도가 제공될 수 있고, 제 4조리면(664)의 상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
제 1,2,3,4용기(610,620,630,640)는 프레임(65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2방향(B)으로 제 1,2,3,4용기(610,620,630,640)를 다양한 경우의 수로 배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이 제 1,2,3,4히터(210,220,230,24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도 제 3방향(C)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용기(610,620,630,64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조리실(11) 내부에서 4개의 조리 온도가 각각 다른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리 기기(1)의 제 1가열원(200')의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가열원(200)과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가열원(200')은 제 2방향(B)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복수의 히터(210', 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 220')가 제 2방향(B)을 따라 연장되는 바, 제 1용기(410)와 제 2용기(420)에는 동일한 온도의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용기(410)의 제 1조리면(411) 상측과 제 2용기(420)의 제 2조리면(412) 상측에는 각각 동일한 온도의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제 1조리면(411)의 하측에는 제 1발열부재(461)가 배치되고, 제 2조리면(421)의 하측에는 제 2발열부재(46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461)의 하측과 제 2조리면(462)의 하측에는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461)과 제 2조리면(462)의 상측에서 동일한 온도의 열이 전달되어도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의 하측에서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바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에는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리 기기(1)의 가열원(100')의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의 조리 기기(1)와 달리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를 일 예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조리 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11)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11)의 하면(11a)에는 가열원(100')이 배치될 수 있다.
가열원(100')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11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1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조리물 내부로 주사되어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의 내부가 조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110')은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110')은 기계실(13)에서 조리실(11)의 하면(11b)을 향해 고주파를 발진시키고 고주파는 하면(11b)을 통과하여 선반(400)으로 조사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11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는 발열부(430)로 흡수되거나 조리실(11) 또는 선반(400)에 반사되어 조리면(420)에 위치된 조리물에 직접 유입될 수 있다.
제 1용기(410)의 제 1조리면(411)의 하측에는 제 1발열부재(461)가 배치되고, 제 2용기(420)의 제 2조리면(421)의 하측에는 제 2발열부재(46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411)의 하측과 제 2조리면(421)의 하측에는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에 직접 동일한 고주파가 유입되어도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의 하측에서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바 제 1조리면(411)과 제 2조리면(421)에는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조리 기기 10 : 하우징
11: 조리실 12: 내부 하우징
13: 기계실 15: 이격 공간
20: 도어 100 : 가열원
200 : 제 1가열원 210,220,230,240 : 히터
300 : 제 2가열원 310 : 마그네트론
400 : 선반 410 : 제 1용기
420 : 제 2용기 430 : 제 3용기
450 : 홀더 460 : 발열부재
461 : 제 1발열부재 462 : 제 2발열부재

Claims (20)

  1.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용기를 가지는 선반;
    상기 선반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용기과 상기 제 2방향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 2용기와 상기 제 1,2용기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제 1용기에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용기에 배치되는 제 1발열부재와, 상기 제 2용기에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용기에 배치되는 제 2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는 상기 홀더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리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열부재는 상기 제 2발열부재가 상기 제 2용기에 공급하는 열보다 많은 열을 상기 제 1용기에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홀더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제 1용기 또는 상기 제 2용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프레임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공간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는 페라이트(Ferrite)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발열부재의 페라이트(Ferrite) 소재의 함유량과 상기 제 2발열부재의 페라이트(Ferrite) 소재의 함유량이 서로 다르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열부재의 페라이트 소재의 함유량은 상기 제 2발열부재의 페라이트 소재의 함유량보다 더 큰 조리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열부재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용기에서 음식물이 놓이는 제 1조리면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발열부재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2용기에서 음식물이 놓이는 제 2조리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발열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조리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는 각각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분리 및 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리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를 상기 제 3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 1,2 용기의 테두리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제 1,2용기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상기 마그네트론과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2조리면으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용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히터와,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2용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히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히터는 상기 제 1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조리 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 3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제 3용기에 열을 제공하는 제 3발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발열부재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3용기에서 음식물이 놓이는 제 3조리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발열부재는 상기 제 1,2발열부재가 각각 상기 제 1,2용기에 공급하는 열의 온도와 다른 온도의 열을 상기 제 3용기에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6.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용기를 가지는 선반;
    상기 선반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용기과 상기 제 2방향으로 타측에 배치되는 제 2용기와 상기 제 1,2용기를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제 1용기에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1용기에 배치되는 제 1발열부재와, 상기 제 2용기에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용기에 배치되는 제 2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발열부재는 상기 제 2발열부재가 상기 제 2용기에 공급하는 열보다 많은 열을 상기 제 1용기에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는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리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는 페라이트(Ferrite)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발열부재의 페라이트(Ferrite) 소재의 함유량과 상기 제 2발열부재의 페라이트(Ferrite) 소재의 함유량이 서로 다르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상기 마그네트론과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면으로 열을 제공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용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히터와, 상기 제 1히터에 대해 상기 제 2방향으로 이격을 가지고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2용기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히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0.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
    상기 선반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을 가지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안착되고 각각 음식물이 놓여지는 제 1용기와 제 2용기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어 각각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제 1발열부재와 제 2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용기와 상기 제 2용기는 각각 상기 제 2방향으로 나란하게 안착되고, 상기 홀더에 대해 상기 제 1,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KR1020200006791A 2020-01-17 2020-01-17 조리기기 KR20210093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91A KR20210093069A (ko) 2020-01-17 2020-01-17 조리기기
PCT/KR2021/000626 WO2021145737A1 (en) 2020-01-17 2021-01-15 Cooking apparatus
US17/150,946 US20210227649A1 (en) 2020-01-17 2021-01-15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91A KR20210093069A (ko) 2020-01-17 2020-01-17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069A true KR20210093069A (ko) 2021-07-27

Family

ID=7685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791A KR20210093069A (ko) 2020-01-17 2020-01-17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27649A1 (ko)
KR (1) KR20210093069A (ko)
WO (1) WO20211457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8292B1 (en) * 2002-07-26 2003-08-19 Neal Patrick Barnes Microwave grilling appliance
KR100988570B1 (ko) * 2003-04-10 2010-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기
JP2005205196A (ja) * 2003-12-11 2005-08-04 Taiei Japan:Kk 調理用容器の底部に配設される金属板及び該金属板を備えた調理用容器
KR20060128372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JP5131969B2 (ja) * 2007-12-19 2013-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L2393339T3 (pl) * 2010-06-04 2017-03-31 Whirlpool Corporation Uniwersalne mikrofalowe urządzenie podgrzewające
JP6273493B2 (ja) * 2014-04-09 2018-0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調理容器を備えた加熱調理器
WO2016019218A1 (en) * 2014-08-01 2016-02-04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Microwave packaging
US20160309941A1 (en) * 2015-04-23 2016-10-27 Carrier Commericial Refrigeration, Inc. Cooking apparatus with modular cooking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5737A1 (en) 2021-07-22
US20210227649A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9930B2 (en) Combination convection/microwave oven
US10788218B2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101474495B1 (ko) 복합형 전자레인지
KR20210093032A (ko) 조리기기
JP2012122678A (ja) 加熱調理器
EP3424273B1 (en) Heat modulating food packaging material
KR20210093069A (ko) 조리기기
CN114930986A (zh) 烹饪器具
US20230086024A1 (en) Cooking appliance
EP4132223A1 (en) Cooking apparatus
KR20210095419A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95490A1 (en) Cooking apparatus
CN109417839A (zh) 具有改进的烘脆功能的多重馈送式微波炉
KR20230046914A (ko) 조리기기
KR20210093138A (ko) 조리기기
US20240011643A1 (en) Cooking tray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KR20220001279A (ko) 조리기기
EP4221463A1 (en) Cooking device
KR20220136028A (ko) 조리기기
KR20220136025A (ko) 조리기기
KR20210095424A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87417A1 (ja) 加熱調理器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220136024A (ko) 조리기기
JP2013165820A (ja) 加熱調理用網棚および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