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025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025A
KR20220136025A KR1020210086519A KR20210086519A KR20220136025A KR 20220136025 A KR20220136025 A KR 20220136025A KR 1020210086519 A KR1020210086519 A KR 1020210086519A KR 20210086519 A KR20210086519 A KR 20210086519A KR 20220136025 A KR20220136025 A KR 20220136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oking
holder
plate
interferenc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950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11606A1/ko
Publication of KR2022013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025A/ko
Priority to US18/470,819 priority patent/US2024001164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05B6/6429Aspects relating to mounting assemblies of wall-mounted microwave ov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해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영역을 포함하는 트레이, 캐비티의 측면에 형성되어 트레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안착부 및트레이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간섭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트레이를 갖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 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조리기기는 이러한 오븐과 전자레인지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실의 일 측에는 히터가 배치되고 타 측에는 마그네트론이 배치되어 조리물이 여러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히터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실 내에 장착되는 트레이는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되는 복수의 조리면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좌우 반대로 트레이를 조리실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조리면이 뒤바뀌게 되어 조리물이 원하는 온도로 조리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트레이를 뒤집어서 조리실 바닥에 놓는 경우 하부 마그네트론에서 발생하는 고주파가 트레이 상면과 충돌하여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트레이가 좌우 반대로 조리실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트레이가 조리실 바닥에 뒤집힌 상태로 놓이는 경우에도 안전 사고가 방지되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트레이에 스크류 결합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해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영역을 포함하는 트레이, 캐비티의 측면에 형성되어 트레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안착부 및트레이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간섭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안착부의 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조리면이 마련되어 조리가 수행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부에 장착되는 트레이홀더로서, 상기 트레이안착부와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트레이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홀더는 상기 트레이안착부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면으로서,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안착부는 상기 트레이홀더가 안착되는 홀더안착면을 포함한다.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트레이홀더의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트레이안착부의 홀더안착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 내부로 역방향 삽입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안착부와 간섭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부 및 상기 조리부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엣지부로서, 상기 트레이홀더가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엣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홀더는 상기 트레이홀더의 내측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홀더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이한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트레이안착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트레이안착부 및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트레이안착부로서, 상기 제1트레이안착부에 안착된 트레이의 상방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트레이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이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조리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부에 장착되는 트레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격부재는 상기 트레이홀더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한 상기 복수의 이격부재의 연장 높이는 8mm 이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이격부재는 상기 간섭부재보다 상기 트레이홀더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의 저면은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를 흡수하는 재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트레이안착부가 형성되는 조리실을 포함하는 캐비티 및 상기 트레이안착부에 하방이 지지되며, =후방이 상기 조리실을 향하도록 상기 조리실 내부에 삽입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조리가 수행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안착부에 안착되는 트레이홀더 및 상기 트레이의 전방이 상기 조리실을 향하도록 삽입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안착부와 간섭되어 상기 트레이의 삽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트레이홀더의 하부에 형성되는 간섭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홀더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이격부재로서, 상기 간섭부재보다 상기 트레이홀더의 내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홀더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실을 포함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제1측면에서 상기 조리실을 향해 돌출되는 제1트레이안착부, 상기 조리실의 제1측면과 반대되는 제2측면에서 상기 조리실을 향해 돌출되는 제2트레이안착부,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영역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트레이안착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트레이홀더, 상기 플레이트의 타 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트레이안착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트레이홀더 및 상기 제1트레이홀더가 상기 제2트레이안착부를 향해 상기 조리실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트레이안착부와 간섭되도록 상기 제1트레이홀더의 하부에 형성되는 간섭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트레이홀더는 상기 제1트레이홀더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간섭부재보다 상기 제1트레이홀더의 내측에 형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한다.
트레이가 조리실 내부로 좌우 방향 바뀌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조리물의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트레이가 조리실 바닥에 뒤집혀 놓인 상태에서 마그네트론이 작동 되더라도 이격 부재에 의해 고주파가 방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사고 및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트레이 홀더와 플레이트를 별도 체결부재 없이 홈돌기 구조로 결합시켜 고주파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트레이홀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트레이의 A부분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트레이가 트레이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트레이가 바닥면에 뒤집혀서 놓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플레이트와 트레이홀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고 조리물이 위치할 수 있는 조리실(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30)을 형성하는 캐비티(2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20)와 하우징(1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과 캐비티(20)는 조리기기(1)의 전방 방향인 제1방향(A)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방향(A)으로 형성되는 캐비티(20)의 개구(21)를 통해 조리물을 조리실(3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리실(30)은 제1방향(A)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직교되는 제2방향(B)으로 장변(30L)을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하우징(10) 및 캐비티(20)의 개구(2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40)는 사용자가 조리기기(1)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입력부(5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 또는 화상을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마련되는 터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40)는 도어(40)가 폐쇄될 때 사용자가 조리실(3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명 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실(30)의 내부에 거치되고, 사용자가 조리물을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트레이(20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조리실(30) 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조리실(3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30)은 트레이(200)가 조리실(30)의 상면(33)과 하면 사이에 거치되도록 조리실(3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22, 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실(30)은 복수의 트레이 지지부(24, 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트레이 안착부(22, 23)와 복수의 트레이 지지부(24, 25)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은 트레이(200)가 조리실(30) 내부에 거치될 시 조리실(30)의 상면(33)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물이 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조리실(30)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복수의 가열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원(100)은 트레이(200)에 위치하는 조리물에 열을 제공하여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은 트레이(200) 없이 조리실(30)의 바닥면(34)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에도 복수의 가열원(100)은 바닥면(34)에 위치한 조리물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원(100)은 조리실(30)의 상면(33)에 배치되는 제1가열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열원(100)은 조리실(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가열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열원(110)은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복사시켜 조리물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캐비티(2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해 캐비티(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열원(120)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121)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121)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조리물 내부로 주사되어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의 내부가 조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121)은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열원(120)은 기계실(13)에서 조리실(30)의 바닥면(34)을 향해 고주파를 발진시키고 고주파는 이를 통과하여 트레이(200)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제1가열원(110)과 제2가열원(120)을 포함하여 조리물의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열원(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30)의 상면(33)에 배치되는 바 조리물의 상측에는 복사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조리물의 하측에는 열이 전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조리물의 하측에 추가적인 열이 전달되도록 사용자는 구동 중인 조리기기(1)의 작동을 중단하고, 선반을 조리실(30)에서 인출하여 조리물을 뒤집은 후 다시 조리실(30)에 삽입한 후 조리기기(1)를 재구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조리 중에 조리물의 하측에도 열이 전달되도록 트레이(200)에 마련되는 발열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213)는 트레이(200)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213)는 트레이(200)가 조리실(30)에 거치될 시 조리실(30)의 바닥면(34)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213)는 마그네트론(121)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될 수 있다. 발열부(213)와 마주하는 마그네트론(121)에서 조사되는 고주파가 발열부(213)에 흡수되고, 발열부(213)는 흡수된 고주파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열부(213)에서 발생된 열은 트레이(200)의 조리부(212)를 통해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발열부(213)에서 발생된 열이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으로 전도되면서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에 위치한 조리물의 하측에 열이 공급될 수 있다.
발열부(213)는 고주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에 의해 발열이 가능한 재질이 세라믹 등과 혼합되어 발열부(2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조리물을 뒤집지 않더라도 조리물의 상하방향으로 열이 공급될 수 있어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조리실(30)의 내부 영역을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상하 방향으로 조리실(30)의 내부를 트레이(20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제3조리영역(30c)과 트레이(20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4조리영역(30d)으로 구획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 3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은 제1가열원(110)과 제2가열원(12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조리영역(30a)에 배치되는 조리물은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 및 발열부(213)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조리가 될 수 있다.
제4조리영역(30d)은 제2가열원(12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조리영역(30d)에 배치되는 조리물은 제2가열원(12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될 수 있다.
트레이(200)에 의해 조리실(30) 내부가 구획되어, 조리실(30) 내부에 서로 다른 조리 방법을 가지는 조리물이 배치되어 동시에 조리실(30)에서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즉,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제3조리영역(30c)에 외부의 열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과 제4조리영역(30d)에 고주파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이 배치되어도 제1가열원(110)과 제2가열원(120)이 동시에 작동되어 각각의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조리 방법으로 조리되는 조리물이 한번에 동일한 조리실(30)에서 조리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트레이(200)의 면적은 조리실(30)의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에서 제1가열원(110)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4조리영역(30d)으로 전달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4조리영역(30d)에서 발진된 고주파가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으로 이동되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과 제4조리영역(30d)에서는 독립적인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가 조리실(30)의 상면(33)에 배치될 시, 조리실(30) 내부에서는 제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과 대응되는 열의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트레이(200)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상에는 서로 제공되는 온도가 다르게 형성되는 영역들이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상에서 제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조리영역(30a, 30b, 30c)은 각각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직접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실(30)에 넣어도, 각각의 조리물을 온도 차이로 구획되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의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에 각각 배치할 시, 서로 다른 조리 온도에 따라 각각의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의 조리물을 위치시킬 시 각각의 조리물은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조리실(30)은 제2방향(B)으로 연장되는 장변(30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트레이(200) 또한 제2방향(B)으로 장변(30L)을 가지고 제1방향(A)으로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조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제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110L)을 각각 포함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히터는 조리실(30)의 장변(30L)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제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200)의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 상에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받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이 제2방향(B)을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와 이에 따라 트레이(200)에 구획되는 복수의 조리영역(30a, 30b, 30c)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제1히터(111), 제2히터(112), 제3히터(113) 및 제4히터(114)로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히터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히터(111)와 제2히터(112)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4개의 히터보다 더 많은 개수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히터(111)는 제2방향(B)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제2히터(112)는 제2방향(B)으로 제1히터(111)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방향(B)을 기준으로 조리면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1히터(111)는 일측, 제2히터(112)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히터(113)는 제1히터(111)와 인접한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히터(114)는 제2히터(112)와 인접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히터(111)와 제3히터(113)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또한, 제2히터(112)와 제4히터(114)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제1히터(111) 및 제3히터(113)와 제2히터(112) 및 제4히터(114)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심선(G)을 기준으로 중심선(G)의 일측에서 전달되는 온도와 반대측에서 전달되는 온도는 각각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 자체는 모두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리기기(1)가 구동되는 동안 조리기기(1)는 제1히터(111)와 제3히터(113)는 지속적으로 구동하고 제2히터(112)와 제4히터(114)는 on/off를 반복하면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는 제1히터(111)와 제3히터(113)는 on/off를 반복하면서 구동되고 제2히터(112)와 제4히터(114)는 지속적으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히터(111)와 제3히터(113)에서 발열되는 열의 총 온도와 제2히터(112)와 제4히터(114)에서 발열되는 열의 총 온도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히터(111)와 제3히터(113)에서 발열되는 온도와 제2히터(112)와 제4히터(114)에서 발열되는 온도 자체가 다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는 제2방향(B)을 따라 이격 배치됨에 따라 제1조리면(2121), 제2조리면(2122) 및 제3조리면(2123)은 제2방향(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은 제1히터(111) 및 제3히터(113)와 제2히터(112) 및 제4히터(114)에 의해 좌우 방향인 제2방향(B)으로 서로 다른 조리 온도를 가지는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조리영역(30a)은 제1히터(111) 및 제3히터(113)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조리영역(30b)과 제3조리영역(30c)은 제2히터(112) 및 제4히터(114)와 대응되는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조리영역(30a)은 트레이(200)의 제1조리면(2121)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고 제2조리영역(30b)은 트레이(200)의 제2조리면(2122)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3조리영역(30c)은 트레이(200)의 제3조리면(2123)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조리물이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제3조리영역(30c)에서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은 제4조리영역(30d)에서도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제1조리영역(30a)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1조리물이라고 하고 제2조리영역(30b)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2조리물이라고 하고, 제3조리영역(30c)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3조리물이라고 하고, 제4조리영역(30d)에서 조리되는 조리물을 제4조리물이라고 할 때, 제1, 2, 3, 4 조리물은 각각 다른 외부온도와 고주파에 의해 조리가 진행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조리방법 또는 서로 다른 조리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동시에 단일 개의 조리실(30) 내부에서 조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많은 개수의 다른 조리방법 또는 서로 다른 조리온도를 가지는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상하 방향인 제3방향(C)을 따라 제2가열원(120)보다 제1가열원(11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조리부(212)에서부터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까지의 거리(h1)는 조리부(212)에서부터 조리실(30)의 바닥면(34)까지의 거리(h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조리영역(30a),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획하기 위함이다.
조리기기(1)는 제1히터(111)와 제3히터(113)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1조리영역(30a)에 전달되고 제2히터(112)와 제4히터(114)에서 발생되는 열이 제2조리영역(30b) 및 제3조리영역(30c)에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반사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70)는 제3방향(C)으로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70)는 제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히터(111, 112, 113, 114) 각각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부에 집중될 수 있다.
제2가열원(120)은 마그네트론(121)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섞어 조리실(30)에 균일하게 방사되도록 마련되는 스터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러(122)는 절개부를 가지는 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회전을 통해 조리실(30)의 일측으로만 향하는 고주파를 다양한 방향으로 방사시켜 조리실(30) 내부에 전체적으로 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122)는 스터러(122)의 원주에서부터 제3방향(C)으로 스터러(122)가 설치되는 설치면(35) 사이의 거리(h3)가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리실(30)의 용량이 대략 20L ~ 30L로 마련될 시 설치면(35)에서부터 스터러(122)의 원주까지의 길이(h3)는 대략 30mm 내외로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122)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캐비티(20)의 하면에는 글라스부재(80)가 배치될 수 있다. 글라스부재(80)는 조리실(30)의 바닥면(34)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글라스부재(80)에 조리물이 안착되어 제4조리영역(30d)에서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레이 안착부(22, 23)는 제1트레이 안착부(22) 및 제2트레이 안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트레이 안착부(22)는 조리실(30)의 제1측면(31)에서 조리실(30)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트레이 안착부(23)는 조리실(30)의 제2측면(32)에서 조리실(30)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트레이 안착부(22)와 제2트레이 안착부(23)는 캐비티(2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티(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트레이 안착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트레이 지지부(24, 25)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지지부(24, 25)는 트레이 안착부(22, 23)에 안착된 트레이(200)의 상방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 지지부(24, 25)는 제1트레이 지지부(24) 및 제2트레이 지지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트레이 지지부24)는 제1트레이 안착부(2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트레이 지지부24)는 조리실(30)의 제1측면(31)에서 조리실(30)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트레이 지지부 (24)는 캐비티(2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캐비티(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트레이 지지부(25)는 제2트레이 안착부(23)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트레이 지지부 (25)는 조리실(30)의 제2측면(32)에서 조리실(30)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트레이 지지부 (25)는 캐비티(2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캐비티(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안착부(22, 23)와 트레이 지지부(24, 25)의 사이에 트레이(200)의 양 단이 지지되어 조리실(30) 내부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20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트레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200)는 조리가 수행되는 플레이트(210) 및 플레이트(210)의 측부를 지지하는 트레이 홀더(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엣지부(211) 및 조리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부(212)는 조리가 수행되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엣지부(211)는 조리부(212)의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조리부(212)는 엣지부(211)의 내측에서 일정 깊이만큼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부(212)에 조리물이 배치될 때 외부로 넘치거나 트레이(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210)의 조리부(212)에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은 제1조리면(2121), 제2조리면(2122) 및 제3조리면(2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리면(2121)은 상술한 제1조리영역(3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조리면(2122)은 제2조리영역(30b)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제3조리면(2123)은 제3조리영역(30c)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중심선(G, 도 3 참조)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제1조리면(2121)이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제2조리면(2122)과 제3조리면(2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조리면(2121)은 제3방향(C)으로 제1히터(111)와 제3히터(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조리면(2122)과 제3조리면(2123)은 제3방향(C)으로 제2히터(112)와 제4히터(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히터(111) 및 제3히터(113)와 제2히터(112) 및 제4히터(114)에서 전달되는 열이 각각 다르게 마련되므로 제1조리면(2121)과 제2조리면(2122) 및 제3조리면(2123)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리면(2121)과 제2조리면(2122) 및 제3조리면(2123)에 각각 조리 온도가 다르게 마련되는 조리물을 위치시키고 동시에 하나의 조리실(30)에서 조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의 전방인 제1방향(A)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조리물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어 사용자는 조리기기(1) 구동 중 실시간으로 서로 다른 조리물의 조리과정을 투명부재(41)를 통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즉, 단일의 트레이(200)에서 제1조리면(2121), 제2조리면(2122) 및 제3조리면(2123)의 조리 온도가 각각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발열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213)는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213)를 통해 하부의 마그네트론(121)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가 트레이(200)로 흡수되어 조리부(212)에 놓여진 조리물의 하측이 가열될 수 있다.
트레이 홀더(220, 230)는 제1 트레이홀더(220) 및 제2 트레이홀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홀더(220)는 플레이트(210)의 일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트레이홀더(230)는 플레이트(210)의 타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트레이홀더(220)와 제2 트레이홀더(230)는 상술한 제1트레이 안착부(22) 및 제2트레이 안착부(23)와 각각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트레이홀더(220)와 제2 트레이홀더(230)가 플레이트(210)의 양 측부를 지지하여 플레이트(210)가 조리실(30) 내부에 고정배치 될 수 있다.
제1 트레이홀더(220)는 전방에 형성되는 제1 간섭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간섭부재(221)는 제1 트레이홀더(22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간섭부재(221)는 제1트레이 안착부(22)와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간섭부재(221)는 제1트레이 안착부(22)의 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간섭부재(221)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트레이안착부(23)와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2 트레이홀더(230)는 전방에 형성되는 제2 간섭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레이홀더(230)와 제1 트레이홀더(220)는 서로 대칭의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제2 간섭부재(231)와 제1 간섭부재(221)는 중심선(G)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간섭부재(231)는 제2트레이 안착부(23)와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간섭부재(231)는 제2트레이 안착부(23)의 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간섭부재(231)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트레이안착부(22)와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트레이홀더(220)는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는 제1 트레이홀더(2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는 제1 트레이홀더(220)의 상면(3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트레이홀더(230)는 복수의 제2 이격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이격부재(232)는 제2 트레이홀더(2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이격부재(232)는 제2 트레이홀더(230)의 상면(33)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이격부재(222, 23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와 복수의 제2 이격부재(232)는 트레이(200)가 상하 방향 뒤집혀서 조리실(30) 내부 바닥면(34)에 놓였을 때, 바닥면(34)과 트레이(200)의 조리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6은 도 4의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트레이 홀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트레이홀더(220)와 제2 트레이홀더(230)는 플레이트(210)의 양 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210)의 엣지부(211) 외측을 커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210)의 엣지부(211)는 제1 트레이홀더(220) 및 제2 트레이홀더(230)와 결합되도록 걸림홈(2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레이홀더(220)는 내측 상면(3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홀더(220)와 제2 트레이홀더(23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바, 제2 트레이홀더(230) 역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2 트레이홀더(230)의 세부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걸림돌기(225)는 제1 트레이홀더(220)의 상면(3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크 형상의 돌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걸림홈(2111)과 걸림돌기(225)는 양 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트레이홀더(220)의 내측에는 수용공간(2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레이홀더(220)의 내측 수용공간(224)에는 플레이트(210)의 일 측 엣지부(21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트레이홀더(220)는 플레이트(210)의 일 측부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 트레이홀더(220)와 제2 트레이홀더(230)는 플레이트(210)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트레이홀더(220)와 제2 트레이홀더(230)는 수지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30)을 형성하는 캐비티(20)가 스틸 재질을 포함하고, 플레이트(210)의 조리면 역시 스틸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플레이트(210)가 조리실(30)과 접하도록 장착되는 경우 하부 마그네트론(121)이 작동할 시 고주파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10)의 양 측부에 제1 트레이홀더(220)와 제2 트레이홀더(230)를 장착하여 제1 트레이홀더(220)와 제2 트레이홀더(230)가 캐비티(20)와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주파로 인한 사고 또는 고장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트레이의 A부분을 확대하여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간섭부재(221)는 트레이(200)의 전방 하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제1 간섭부재(221)가 형성된 전방과 반대되는 후방이 조리실(30)을 향하도록 조리실(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트레이(200)의 정방향 삽입이라 명명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착오로 인해 제1 간섭부재(221)가 형성된 전방이 조리실(30)을 향하도록 트레이(200)가 조리실(30)에 삽입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트레이(200)의 역방향 삽입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 때, 트레이(20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제1 간섭부재(221)와 조리실(30) 내측으로 돌출된 제1트레이 안착부(22)가 서로 간섭되어 트레이(200)의 오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0)는 제1 간섭부재(221)와 상이하게 트레이(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는 제1 간섭부재(221)보다 트레이(20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는 제1 간섭부재(221)보다 제1 트레이홀더(2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제1 이격부재(222)는 제1트레이 안착부(22)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트레이 지지부(24)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200)의 정방향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트레이홀더(230)의 제2 간섭부재(231)와 복수의 제2 이격부재(232) 역시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어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트레이가 트레이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레이홀더(220)는 수용공간(224) 내부에 플레이트(210)의 엣지부(211)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트레이홀더(220)는 제1트레이 안착부(22)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면(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트레이 안착부(22)는 제1 트레이홀더(220)가 안착되는 홀더안착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223)과 홀더안착면(221)은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트레이 안착부(22)는 제1 트레이홀더(2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트레이홀더(230)와 제2트레이 안착부(23) 역시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어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간섭부재(221)는 제1 트레이홀더(220)의 지지면(223)으로부터 제1트레이 안착부(22)의 홀더안착면(221)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간섭부재(221)는 제1트레이 안착부(22)의 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200)의 전방이 조리실(30)을 향해 삽입되는 경우, 제1트레이 안착부(22)와 제1 간섭부재(221)는 서로 충돌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간섭부재(221)가 제1트레이 안착부(22)의 홀더안착면(221)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기에 제1 간섭부재(221)와 제1트레이 안착부(22)의 전방이 서로 간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트레이(200)는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되는 복수의 조리면(2121, 2122, 2123)을 포함하므로,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이 바뀌어 오삽입되는 경우 조리면의 위치가 변경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물의 조리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 오삽입이 방지될 필요성이 존재하고, 트레이(200)의 전방에 형성된 간섭부재(221, 231)에 의해 오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트레이가 바닥면에 뒤집혀서 놓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0)의 상하 방향이 뒤집혀 조리실(30)의 바닥면(34)에 놓이는 경우 복수의 이격부재에 의해 트레이(200)의 상면과 바닥면(34) 사이는 일정 거리(d)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경우, 하부에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121)이 존재한다. 트레이(200)의 하면은 이러한 고주파를 흡수하는 재질로 마련되나, 트레이(200)의 상면은 조리물이 놓이는 조리면을 포함하는 면으로써 일반적으로 스틸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마그네트론(121)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바닥면(34)과 트레이(200)의 상면 사이에서 스파크가 형성되어 안전사고 또는 기기의 고장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이격부재(222, 232)를 통해 트레이(200)가 뒤집혀 놓이는 경우에도 트레이(200)의 상면과 바닥면(34) 사이는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어 고주파가 트레이(200)의 내부에 갇히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격 거리(d)는 바람직하게는 8mm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210)의 상면(33)에 대한 복수의 이격부재(222, 232)의 연장 높이는 8mm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플레이트와 트레이 홀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10)의 엣지부(211)에 형성된 걸림홈(2111)에 제1 트레이홀더(220)의 걸림돌기(225)가 삽입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트레이홀더(230) 역시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트레이홀더(220)와 플레이트(210)는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걸림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는 마그네트론(121)이 배치됨에 따라 고주파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10)와 제1트레이홀더(220)가 걸림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고주파로 인한 여러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트레이(200)는 조리기기(1)와는 별도로 생산될 수 있는 독립적인 구성일 수 있다.
트레이(200)는 본 발명의 조리기기(1)의 생산에 사용되는 물건일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0)는 본 발명의 조리기기(1)의 생산에만 사용되는 물건일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200)는 공용성과 전용성의 두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트레이(200)는 타 용도가 없는 본 발명의 조리기기(1)의 전용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200)를 이용하여 생산된 결과물은 오로지 본 발명의 조리기기(1)로만 귀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트레이(200)는 전용품으로써 간접침해의 대상물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조리기기
10; 하우징
20; 캐비티
30; 조리실
40; 도어
110; 제1가열원
120; 제2가열원
200; 트레이
210; 플레이트
220, 230; 제1트레이홀더, 제2트레이홀더
22, 23; 제1트레이안착부, 제2트레이안착부
24, 25; 제1트레이지지부, 제2트레이지지부
221, 231; 제1간섭부재, 제2간섭부재
222, 232; 제1이격부재, 제2이격부재
2111; 걸림홈
225; 걸림돌기
2121, 2122, 2123; 제1조리면, 제2조리면, 제3조리면
223; 지지면
221; 홀더안착면

Claims (20)

  1.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
    상기 조리물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영역을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캐비티로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안착부; 및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트레이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안착부의 전방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복수의 조리면이 마련되어 조리가 수행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부에 장착되는 트레이홀더로서, 상기 트레이안착부와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트레이홀더;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홀더는
    상기 트레이안착부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지지면으로서,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안착부는
    상기 트레이홀더가 안착되는 홀더안착면;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트레이홀더의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트레이안착부의 홀더안착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조리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 내부로 역방향 삽입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안착부와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부; 및
    상기 조리부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엣지부로서, 상기 트레이홀더가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엣지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홀더는
    상기 트레이홀더의 내측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홀더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이한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안착부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마련되는 트레이지지부로서, 상기 트레이안착부에 안착된 트레이의 상방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트레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복수의 조리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측부에 장착되는 트레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격부재는 상기 트레이홀더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조리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한 상기 복수의 이격부재의 연장 높이는 8mm 이상으로 마련되는 조리 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격부재는 상기 간섭부재보다 상기 트레이홀더의 내측에 형성되는 조리 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의 저면은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를 흡수하는 재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6. 트레이안착부가 형성되는 조리실을 포함하는 캐비티; 및
    상기 트레이안착부에 하방이 지지되며, 후방이 상기 조리실을 향하도록 상기 조리실 내부에 삽입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조리가 수행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안착부에 안착되는 트레이홀더; 및
    상기 트레이의 전방이 상기 조리실을 향하도록 삽입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안착부와 간섭되어 상기 트레이의 삽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트레이홀더의 하부에 형성되는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홀더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이격부재로서, 상기 간섭부재보다 상기 트레이홀더의 내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홀더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9. 조리실을 포함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제1측면에서 상기 조리실을 향해 돌출되는 제1트레이안착부;
    상기 조리실의 제1측면과 반대되는 제2측면에서 상기 조리실을 향해 돌출되는 제2트레이안착부;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는 복수의 조리영역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트레이안착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트레이홀더;
    상기 플레이트의 타 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트레이안착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트레이홀더; 및
    상기 제1트레이홀더가 상기 제2트레이안착부를 향해 상기 조리실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트레이안착부와 간섭되도록 상기 제1트레이홀더의 하부에 형성되는 간섭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레이홀더는
    상기 제1트레이홀더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간섭부재보다 상기 제1트레이홀더의 내측에 형성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1020210086519A 2021-03-31 2021-07-01 조리기기 KR20220136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95063 WO2022211606A1 (ko) 2021-03-31 2022-03-23 조리기기
US18/470,819 US20240011643A1 (en) 2021-03-31 2023-09-20 Cooking tray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342 2021-03-31
KR20210042342 2021-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025A true KR20220136025A (ko) 2022-10-07

Family

ID=8359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519A KR20220136025A (ko) 2021-03-31 2021-07-01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60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193B1 (ko) 조리기기
CA2987557C (en) Heat cooking device
KR20120054847A (ko) 복합형 전자레인지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US6953920B2 (en) Combination microwave oven and steamer
US20210227648A1 (en) Cooking appliance
KR20220136025A (ko) 조리기기
KR101864489B1 (ko) 조작유닛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US20240011643A1 (en) Cooking tray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same
EP4336103A1 (en) Cooking apparatus
CN115669221A (zh) 烹饪装置
KR20230046914A (ko) 조리기기
KR100739158B1 (ko) 플랫 테이블형 전자레인지의 균일 가열 장치
US20220322501A1 (en) Cooking apparatus
KR20210145910A (ko) 조리 기기
KR20220136028A (ko) 조리기기
EP4221463A1 (en) Cooking device
KR20100112338A (ko) 스팀조리기기
KR20220136024A (ko) 조리기기
KR100826702B1 (ko) 오븐
CN116490730A (zh) 烹饪设备
US20230324051A1 (en) Oven
KR20220001279A (ko) 조리기기
KR100277590B1 (ko) 전자렌지
CN116783428A (zh) 烹饪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