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138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138A
KR20210093138A KR1020200058403A KR20200058403A KR20210093138A KR 20210093138 A KR20210093138 A KR 20210093138A KR 1020200058403 A KR1020200058403 A KR 1020200058403A KR 20200058403 A KR20200058403 A KR 20200058403A KR 20210093138 A KR20210093138 A KR 20210093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s
disposed
heater
heat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김경진
김언중
전인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1740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18784A4/en
Priority to CN202180009011.4A priority patent/CN114930986A/zh
Priority to US17/248,233 priority patent/US20210227647A1/en
Priority to PCT/KR2021/000621 priority patent/WO2021145733A1/en
Publication of KR2021009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91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the use of suscep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제 1방향으로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과, 선반으로 열을 제공하고,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고, 선반은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영역과 제 2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히터는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제 1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히터와, 제 3방향으로 제 2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히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히터는 제 1영역에 공급되는 열이 제 2영역에 공급되는 열보다 많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의 조리 공간이 구획되는 특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 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고,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조리기기를 통해 2개 이상의 다른 음식물을 조리할 시 각각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최적의 온도가 다를 수 있다. 이 때, 조리기기는 동일한 온도로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음식물이 동시에 조리기기를 통해 조리될 시 일부 음식물의 조리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동시에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식물이 조리기기에 의해 조리될 시 각각의 음식물이 서로 다른 최적의 온도로 조리가 진행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효율적인 조리 영역의 구획을 통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식물이 조리실 내부에서 용이하게 조리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과 상기 선반으로 열을 제공하고,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영역과 상기 제 2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히터와,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2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제 1영역에 공급되는 열이 상기 제 2영역에 공급되는 열보다 많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열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히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바디부와, 상기 장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각각의 전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연결부와 상기 전선은 제 3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선과 접촉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전선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플랜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 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3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3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제 1,2,3영역에 공급되는 열이 각각 다르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히터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2영역이 위치하는 제 1면과, 상기 발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2영역을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 1,2영역에 대략 동일한 열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히터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에 열을 공급하는 보조 히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히터는 상기 제 2히터와 같거나 상기 제 2히터보다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발열체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영역과, 상기 발열 영역과 상기 전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고 발열되지 않는 비발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발열 영역이 상기 조리실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상기 음식물에 열을 제공하고,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제 1히터는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제 2히터는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제 1위치에 반대되는 제 2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열이 공급되는 제 1영역과 상기 제 2히터에 의해 열이 공급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에 공급되는 열의 온도는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제 3히터는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제 1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 3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과 상기 선반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원은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의 일측에 열을 제공하는 복수의 히터와 상기 조리실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의 타측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복수의 히터가 서로 다른 온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조리 공간이 효율적으로 구획되도록 배치되어 조리실 내부에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식물이 각각 구획된 복수의 구획 공간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어 조리기기를 통해 동시에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음식물이 용이하게 조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을 삭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히터와 전선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자레인지를 일 예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오븐과 같은 다른 조리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조리 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고 조리물이 위치할 수 있는 조리실(11)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고 조리실(11)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과 하우징(10)은 하우징(1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과 내부 하우징(12)은 조리 기기(1)의 전방 방향인 제 1방향(A)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방향(A)으로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통해 조리물을 조리실(1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리실(11)은 제 1방향(A)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직교되는 제 2방향(B)으로 장변을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고 조리실(11) 하측에 배치되는 기계실(13)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3) 내부에는 조리 기기(1)를 구동시키는 각종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하우징(10) 및 내부 하우징(12)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사용자가 조리 기기(1)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는 도 1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 또는 화상을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마련되는 터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20)가 폐쇄될 시 사용자가 조리실(1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명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실(11) 내부에 거치되고, 사용자가 조리물을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반(3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실(11) 내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선반(30)이 조리실(11)의 상면(11a)과 하면(11b)사이에 거치되도록 조리실(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c)는 선반(30)이 다양한 높이에 거치되도록 제 1방향(A) 또는 제 2방향(B)에 대해 상하 방향 직교되는 제 3방향(C)으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선반(30)은 본체(31)와 조리물이 위치될 수 있는 조리면(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면(32)은 선반(30)이 거치될 시 조리실(11)의 상면(11a)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조리물이 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조리실(11) 내부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100)은 선반(30)에 위치하는 조리물에 열을 제공하여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은 선반(30) 없이 조리실(11)의 하면(11b)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에도 가열원(100)은 하면(11b)에 위치한 조리물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가열원(100)은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는 제 1가열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100)은 조리실(11)의 하면(11b)에 배치되는 제 2가열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열원(200)은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복사시켜 조리물에 직접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제 2가열원(300)은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31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는 조리물 내부로 주사되어 조리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물의 내부가 조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론(310)은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가열원(300)은 기계실(13)에서 조리실(11)의 하면(11b)을 향해 고주파를 발진시키고 고주파는 하면(11b)을 통과하여 선반(30)으로 조사될 수 있다.
종래의 전자레인지 타입의 조리 기기는 단일개의 마그네트론을 통해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마련되었다. 이 때, 조리물의 수분 분포나 함량에 따라 고주파가 조리물의 전 부분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조리물이 효율적으로 조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전자레인지에 조리물 전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히터가 장착되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특히 조리물의 외부에서 더 큰 온도를 통해 조리되어야 하는 조리물의 경우 추가적인 히터의 열을 통해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 또한 제 1가열원(200)과 제 2가열원(300)을 포함하여 조리물의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가열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는 바 조리물의 상측에는 복사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나, 조리물의 하측에는 열이 전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조리물의 하측에 추가적인 열이 전달되도록 사용자는 구동 중인 조리 기기(1)를 중단하고 선반(30)를 조리실(11)에서 인출하여 조리물을 뒤집은 후 다시 조리실(11)에 삽입한 후 조리 기기(1)를 재구동시켜아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조리 중에 조리물의 하측에도 열이 전달되도록 선반(30)에 배치되는 발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33)는 선반(30)의 본체(31)에 있어서 조리면(32)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선반(30)이 조리실(11)에 거치될 시 조리실(11)의 하면(11b)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흡수하여 발열될 수 있다. 발열부(33)와 마주하는 마그네트론(310)에서 조사되는 고주파가 발열부(33)에 흡수되고 발열부(33)는 흡수된 고주파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열부(33)에서 발생된 열은 선반(30)의 본체(31)를 통해 조리면(3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발열부(33)에서 발생된 열이 조리면(32)으로 전도되면서 조리면(32)에 위치한 조리물의 하측에 열이 공급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고주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에 의해 발열이 가능한 재질이 세라믹 등과 혼합되어 발열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조리물을 뒤집지 않더라도 조리물의 상하 방향으로 열이 공급될 수 있어 조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제 2방향(B)으로 장변(11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조리실(11)을 가지는 조리 기기(1)의 경우, 일반적으로 조리실(11)의 장변(11L)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복수의 히터가 각각 제 2방향(B)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지는 바, 복수의 히터는 조리실(11) 내부에서 제 1방향(A)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되었다.
이는 제 2방향(B)으로 장변(11L)을 가지는 조리실(11) 내부에 복수의 히터의 설치성을 높이기 위함이었다. 복수의 히터가 발열하기 위해서는 전원이 공급되야 하는데 복수의 히터에 전원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복수의 히터의 각각의 양단에 전선이 연결되어야 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11)이 제 2방향(B)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 1방향(A)으로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히터가 배치될 시 공간적으로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히터와 전선들이 연결되는 공간이 협소하여 복수의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연결하기 어려워 복수의 히터의 설치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설명한다.
조리 기기에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을 조리실에 동시에 넣고 조리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조리 기기는 복수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히터 중 어느 하나의 히터와 다른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다르도록 설정되어 복수의 조리물에 각각 다른 온도를 전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조리실(11)의 상면(11a)에 배치되고 각각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할 시, 조리실(11) 내부에서는 제 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과 대응되는 열의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선반(30)의 조리면(32) 상에는 서로 제공되는 온도가 다르게 형성되는 영역들이 구획될 수 있다.
조리면(32) 상에서 제 3방향(C)으로 각각의 히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복수의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은 각각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서로 다른 열이 직접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을 동시에 조리실에 넣어도, 각각의 조리물을 온도 차이로 구획되는 조리면(32)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배치할 시, 서로 다른 조리 온도에 따라 각각의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의 조리물을 위치시킬 시 각각의 조리물은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복수의 히터가 제 1방향(A)으로 이격 배치되는 바 서로 다른 온도를 제공 받을 수 있는 복수의 영역은 제 1방향(A)으로 구획될 수 있다.
조리실(11)은 제 2방향(B)으로 연장되는 장변(11L)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선반(30) 또한 제 2방향(B)으로 장변을 가지고 제 1방향(A)으로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조리면(3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조리면(32)의 단변 방향인 제 1방향(A)으로 복수의 영역이 구획될 시, 제 1방향(A)으로의 복수의 영역들의 연장 길이는 짧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일부 부피가 큰 조리물을 조리할 시 온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영역에서 조리물이 복수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조리물의 일부가 적절한 온도에서 조리가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명부재(22)를 통해 각각의 조리물을 조리 기기(1)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데 복수의 조리물의 중 어느 하나의 조리물은 제 1방향(A)으로 깊숙이 배치됨에 따라 조리물이 조리되는 것을 관찰하는 데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200L)을 각각 포함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히터(210.220,230,240)는 조리실(11)의 장변(11L)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제 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30)의 조리면(32) 상에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제공 받는 복수의 영역이 제 2방향(B)을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와 이에 따라 선반(30)에 구획되는 복수의 영역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을 삭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히터와 전선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200L)을 각각 포함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히터(210.220,230,240)는 조리실(11)의 장변(11L)과 대응되는 제 2방향(B)으로 이격(d1,d2)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1히터(210)와 제 2히터(220)와 제 3히터(230) 및 제 4히터(240)로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히터(210)와 제 2히터(220)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4개의 히터(210.220,230,240)보다 더 많은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바 복수의 히터 자체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 4히터(24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장축(200L)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바디부(241)와 바디부(241)의 양단에 배치되는 양단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양단부(242)는 외부의 전원이 히터(240)에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양단부(242)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바디부(241)는 발열될 수 있으며 발열에 의한 열이 선반(3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 1히터(210)는 제 2방향(B)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제 2히터(220)는 제 2방향(B)으로 제 1히터(210)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방향(B)을 기준으로 조리면(32)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1히터(210)는 일측, 제 2히터(220)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히터(230)는 제 1히터(210)와 인접한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4히터(240)는 제 2히터(220)와 인접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히터(210)와 제 3히터(23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또한 제 2히터(220)와 제 4히터(24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20,240)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심선(G)을 기준으로 중심선(G)의 일측에서 전달되는 온도와 반대측에서 전달되는 온도는 각각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에서 발열되는 열의 온도 자체는 모두 동일하도록 세팅하고 조리 기기(1)가 구동되는 동안 조리 기기(1)는 제 1,3히터(210,230)는 지속적으로 구동되고 제 2,4히터(220,240)는 on/off 를 반복하면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는 제 1,3히터(210,230)는 on/off 를 반복하면서 구동되고 제 2,4히터(220,240)는 지속적으로 구동되도록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열되는 열의 총 온도와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열되는 열의 총 온도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열되는 온도와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열되는 온도 자체가 다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면(32)상에 형성되는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은 제 2방향(B)을 기준으로 구획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중심선(G)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1영역(34)이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제 2영역(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영역(34)은 제 3방향(C)으로 제 1,3히터(210,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영역(35)은 제 3방향(C)으로 제 2,4히터(220,2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40)에서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각각 다르므로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는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영역(34)에는 상면(11a)에서부터 제 1,3히터(210,2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될 수 있고, 제 2영역(35)에는 상면(11a)에서부터 제 2,4히터(220,2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제 1,2영역(34,35)에는 발열부(33)에서부터 전도되는 열이 전달될 수 있다. 발열부(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11b)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에 의해 가열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본체(32)를 통해 제 1,2영역으로 동일하게 전도될 수 있다.
제 1,3히터(210,230)와 제 2,4히터(240)에서 전달되는 열이 각각 다르므로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다르다. 따라서,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에 각각 조리 온도가 다른 조리물을 위치시키고 동시에 하나의 조리실(11)에서 조리가 가능하다.
또한 조리 기기(1)의 전방인 제 1방향(A)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조리물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어, 사용자는 조리 기기(1)가 조리 중에 실시간으로 서로 다른 조리물의 조리과정을 투명부재(22)를 통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조리면(32)의 단변(32S)은 장변(32L)과 직교되고 제 1방향(A)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가 종래와 같이 조리면(32)의 장변(32L)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가질 경우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1방향(A)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에 의해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이 구획되는 방향이 제 1방향(A)으로 마련될 시, 1영역(34)과 제 2영역(35)은 일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지 못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복수의 히터(210,220,230,240)가 제 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은 제 2방향(B)으로 구획되고, 조리면(32)의 장변(32L)이 제 2방향(B)으로 연장되는 바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은 일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2방향(B)으로의 제 1영역(34)의 길이를 제 1길이(34a), 제 2영역(35)의 길이를 제 2길이(35a)라고 가정할 때, 제 1길이(34a)와 제 2길이(35a)는 대략 조리물 전체가 제 1영역(34) 또는 제 2영역(35) 내부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제 1길이(34a)와 제 2길이(35a)는 조리면(32)의 단면(32S)을 이등분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의 형상을 대략 정사각형에 가까운 사각형 형상으로 조리면(32)을 구획할 수 있다. 즉, 조리면(32)이 효율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조리물을 위치시킬 수 있는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의 면적은 각각 34a*32S, 35a*32S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길이(34a) 또는 제 2길이(35a)는 대략 조리면(32)의 단변(32S)과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의 단면적의 형상은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조리물이 용이하게 제 1영역(34) 또는 제 2영역(35)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길이(34a) 또는 제 2길이(35a)는 대략 조리면(32)의 단변(32S)은 각각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1영역(34)과 제 2영역(35)의 단면적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1길이(34a) 또는 제 2길이(35a)에 대한 조리면(32)의 단변(32S)의 비율(34a/32S,35a/32S)은 제 1,2영역(34,35)이 제 1방향(A)으로 구획되었을 때의 길이에 대한 조리면(32) 장변(32L)의 비율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각각 제 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3히터(210,230)는 제 1영역(34) 상에서 제 1이격(d1)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4히터(220,240)도 제 2영역(35) 상에서 제 1이격(d1)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다른 영역(34,35)에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히터(210)와 제 2히터(220)는 제 2이격(d2)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 2이격(d2) 거리는 제 1이격(d1)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이격(d2)거리는 제 1이격(d1)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11)은 제 2방향(B)으로 장변(11L)을 가지고 제 1방향(A)으로 단변(11S)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3방향(C)으로도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 2방향(B)으로 장변(10L)을 가지고 제 1방향(A)으로 단변(10S)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장축(200L)을 가지고 제 2방향(B)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240)의 양단부(242)는 각각 제 1방향(A)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히터(240)의 바디부(241)는 내부 하우징(12) 내측에 배치되어 조리실(11) 내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히터(240)의 양단부(242)는 내부 하우징(12)을 관통하여 조리실(11) 외측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15)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열원(200)은 히터(2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50)와 전원 공급부(250)와 히터(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양단부(242)와 결합되는 전선(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260)은 내부 하우징(12)과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15)에서 양단부(242)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240)의 양단부(242)는 제 1방향(A)으로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전선(260)과 양단부(242)는 이격 공간(15)에 있어서 하우징(10)의 단변(10S)과 조리실(11)의 단변(11S)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이격 공간(15a) 내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제 1이격 공간(15a)의 제 1방향(A)으로의 거리는 하우징(10)의 단변(10S)과 조리실(11)의 단변(11S) 사이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어 매우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240)와 전선(260)을 조립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경우, 히터(240)의 양단부(242)은 제 2방향(B)을 향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장변(10L)과 조리실(11)의 장변(11L)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이격 공간(15b)에서 양단부(242)와 전선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 2이격 공간(15b)의 제 2방향(B)으로의 거리는 하우징(10)의 장변(10L)과 조리실(11)의 장변(11L) 사이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260)과 양단부(242)는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260)이 제 2방향(B) 또는 제 1방향(A)으로 양단부(242)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전선(260)과 양단부(242)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경우 양단부(242)와 전선(260)이 제 1이격 공간(15a)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결합되어야 하는데, 전선(260)이 제 1방향(A) 또는 제 2방향(B)으로 양단부(242)에 삽입될 시 전선(260)이 과도하게 절곡됨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 등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240)의 양단부(242)가 전선(260)과 제 3방향(C)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이격 공간(15a)이 협소하게 마련되어도 전선(260)과 히터(24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 1이격 공간(15a)은 제 1방향(A)으로의 거리가 짧게 형성되는데 제 3방향(C)으로 전선(260)과 양단부(242)가 결합됨에 따라, 제 1방향(A) 또는 제 2방향(B)으로 전선(260)과 양단부(242)가 결합될 시 형성되는 절곡에 의한 응력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으로 전선(260)과 양단부(242)가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선(260)은 양단부(242)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양단부(242)는 접촉부(261)와 제 3방향(C)으로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플랜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양단부(242)는 플랜지(243)와 접촉부(261)가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부(261)가 플랜지(243)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244)는 나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244)는 접촉부(261)가 플랜지(243)에 제 3방향(C)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제 3방향(C)으로 플랜지(243)와 결합되면서 플랜지(243)와 접촉부(261)의 접촉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240)와 전선(260)이 조립될 시 히터(240)와 전선(260)이 조립되는 방향이 제 3방향(C)과 대응되게 형성됨에 따라, 히터(240)와 전선(260)이 조립되는 공간인 제 1이격 공간(15a)이 제 1방향(A) 또는 제 2방향(B)으로 협소하게 마련되어도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리 기기(1)의 제 1열원(400) 및 이에 대응되는 선반(30)의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열원(400)은 6개의 히터(410,420,430,440,450,460)를 포함할 수 있다. 6개의 히터(410,420,430,440,450,460)는 제 2방향(B)으로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6개의 히터(410,420,430,440,450,46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410,420,430)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방향(B)에 대한 선반(30)의 중심선(G)을 기준으로 제 1히터(410)는 중심선(G)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히터(420)는 중신선(G)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3히터(430)는 중심선(G)을 기준으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4히터(440)는 제 1히터(4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5히터(450)는 제 2히터(4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6히터(460)는 제 3히터(43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히터(410)와 제 4히터(44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또한 제 2히터(420)와 제 5히터(45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또한 제 3히터(430)와 제 6히터(460)는 서로 동일한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제 1,4히터(410,440)와 제 2,5히터(420,450) 및 제 3,6히터(430,460)는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중심선(G)을 기준으로 중심선(G)의 일측에서 전달되는 열의 온도와 반대측에서 전달되는 열의 온도 및 중심선(G) 상에서 전달되는 열의 온도는 각각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선반(30)은 조리면(32)상에 형성되는 제 1영역(36)과 제 2영역(37) 및 제3영역(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영역(36)과 제 2영역(37) 및 제 3영역(38)은 제 2방향(B)을 기준으로 구획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중심선(G)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1영역(36)이 형성되고 중심선(G) 상에는 제 2영역(37)이 형성되고 중심선(G)의 반대측에는 제 3영역(38)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영역(36)은 제 3방향(C)으로 제 1,4히터(410,4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영역(37)은 제 3방향(C)으로 제 2,5히터(420,4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영역(38)은 제 3방향(C)으로 제 3,6히터(430,4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4히터(410,440)와 제 2,5히터(420,450) 및 제 3,6히터(430,460)에서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각각 다르므로 제 1영역(36)과 제 2영역(37) 및 제 3영역(38)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는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조리실(11) 내부에서 3개의 조리 온도가 각각 다른 조리물이 동시에 조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리 기기(1')의 제 2열원(500) 및 선반(30')의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의 조리 기기(1)와 달리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예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오븐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단면도이다.
조리 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11)의 상면(11a)에는 제 1가열원(200)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실(11)의 하면(11b)에는 제 2가열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가열원(500)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열되는 보조 히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히터(510)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복사시켜 선반(30')의 하면(33')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30')의 조리면(32')에 형성되는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의 하측으로는 하면(33')에서 전도되는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에 전도되는 열은 각각 대략 동일한 온도일 수 있다.
다만,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에 제 1가열원(200)을 통해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각각 다르게 마련되어 조리 온도가 다른 복수의 조리물은 각각 제 1영역(34')과 제 2영역(35')에 위치되어 동시에 서로 다른 온도로 조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리 기기(1)의 복수의 히터(210,220,230,240)의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바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수의 히터(210,220,230,240)는 제 4히터(24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240)의 바디부(241)는 바디부(241) 상에서 발열체(241b)가 배치되고 발열체(241b)에 의해 발열되는 영역인 발열 영역(241a)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240)의 바디부(241)는 발열체(241b)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으로 발열영역(241a)과 양단부(242) 사이에 배치되는 비발열 영역(241c)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열 영역(241c)은 발열 영역(241a)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241b)는 일 예로 코일 형태의 전열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
비발열 영역(241c)에는 콜드 핀(cold pin) 등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31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는 조리실(11)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고주파가 조리실(11)의 외부로 누설될 시 사용자의 안전성이 문제될 수 있다.특히, 본 발명은 히터(240)와 마그네트론(310)을 동시에 구동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데, 고주파가 히터(240)를 통해 조리실(11) 외측으로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고주파의 일부가 조리실(11)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히터(240)에 도달되고 히터(240)의 발열체(241b)를 통해 조리실(11)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즉, 히터(240)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 하우징(12)을 관통하여 조리실(11) 외측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15)에 노출되는데 히터(240)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고주파가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240)의 양단부(242)가 내부 하우징(12)을 관통하여 조리실(11) 외측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15)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고주파가 히터(240)의 바디부(241)를 통해 내부 하우징(12)의 관통된 부분을 통과하여 조리실(11)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히터(240)의 관통되는 관통벽(12a)에서부터 바디부(241a)의 일단(241d)이 소정의 거리 이상의 이격 거리(e1)를 가지도록 히터(240)가 하우징(12)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240)의 연장 방향인 제 1방향(A)으로 비발열 영역(241c)의 연장 길이(e2)는 바디부(241a)와 관통벽(12a) 사이의 이격 거리(e1)보다 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241)의 일단(241d)과 관통벽(12a) 사이의 이격 거리(e1)는 본 발명과 같이 관통벽(12a)이 제 3방향(C)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시, 바디부(241a)의 일단(241d)에서 가장 긴 부분을 기준을 산정될 수 있다.
즉 제 1방향(A)으로 바디부(241)의 일단(241d)에서부터 외부로 노출이 가장 많이 되는 지점(241e)까지의 거리가 가 바디부(241)의 일단(241d)과 관통벽(12a) 사이의 이격 거리(e1)로 정해질 수 있다.
비발열 영역(241c)이 소정의 연장 길이(e2)를 가짐에 따라 발열 영역(241a)은 제 1방향(A)으로 바디부(241a)의 일단으로부터 비발열 영역(241c)의 연장 길이(e2)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비발열 영역(241c)의 연장 길이(e2)는 바디부(241)의 일단(241d)과 관통벽(12a) 사이의 이격 거리(e1)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발열 영역(241c)은 관통벽(12a) 내측에 배치되어 내부 하우징(12)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주파가 발열 영역(241c)의 발열체(241b)를 통해 이동되어도 발열체(241b)의 일단이 조리실(11)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내부 하우징(12)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비발열 영역(241c)의 연장 길이(e2)가 바디부(241)의 일단(241d)과 관통벽(12a) 사이의 이격 거리(e1)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은 발열체(241b)가 내부 하우징(12)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위해 설정되는 거리 값이다.
따라서 비발열 영역(241c)의 연장 길이(e2)가 바디부(241)의 일단(241d)과 관통벽(12a) 사이의 이격 거리(e1)보다 길도록 히터(240)가 내부 하우징(12)에 설치될 시 히터(240)를 통해 고주파(12)가 조리실(11)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조리 기기 10 : 하우징
11: 조리실 12: 내부 하우징
13: 기계실 15: 이격 공간
20: 도어 30: 선반
31 : 본체 32 : 조리면
33 : 발열부 34 : 제 1영역
35 : 제 2영역 100 : 가열원
200 : 제 1가열원 210,220,230,240 : 히터
300 : 제 2가열원 310 : 마그네트론

Claims (20)

  1.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
    상기 선반으로 열을 제공하고,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제 1영역과, 상기 제 2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제 1,2방향과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1히터와,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2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제 1영역에 공급되는 열이 상기 제 2영역에 공급되는 열보다 많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조리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조리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바디부와 상기 장축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각각의 전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연결부와 상기 전선은 제 3방향으로 결합되는 조리 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선과 접촉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전선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플랜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 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3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3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제 1,2,3영역에 공급되는 열이 각각 다르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히터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고주파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2영역이 위치하는 제 1면과, 상기 발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면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2영역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 1,2영역에 대략 동일한 열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되는 조리 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히터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에 열을 공급하는 보조 히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히터는 상기 제 2히터와 같거나 상기 제 2히터보다 같거나 많은 열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발열체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영역과, 상기 발열 영역과 상기 전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고 발열되지 않는 비발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상기 발열 영역이 상기 조리실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조리 기기.
  16.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
    상기 음식물에 열을 제공하고,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제 1히터는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제 2히터는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제 1위치에 반대되는 제 2위치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제 1히터에 의해 열이 공급되는 제 1영역과 상기 제 2히터에 의해 열이 공급되는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영역에 공급되는 열의 온도는 각각 다르게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 중 제 3히터는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제 1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제 3위치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과,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20. 음식물이 조리되고, 제 1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실;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조리실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
    상기 선반에 열을 제공하는 가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원은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의 일측에 열을 제공하는 복수의 히터와, 상기 조리실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의 타측으로 공급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히터는 각각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조리 기기.
KR1020200058403A 2020-01-17 2020-05-15 조리기기 KR20210093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740938.2A EP4018784A4 (en) 2020-01-17 2021-01-15 COOKING APPLIANCE
CN202180009011.4A CN114930986A (zh) 2020-01-17 2021-01-15 烹饪器具
US17/248,233 US20210227647A1 (en) 2020-01-17 2021-01-15 Cooking appliance
PCT/KR2021/000621 WO2021145733A1 (en) 2020-01-17 2021-01-15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699 2020-01-17
KR20200006699 2020-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138A true KR20210093138A (ko) 2021-07-27

Family

ID=7712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403A KR20210093138A (ko) 2020-01-17 2020-05-15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31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590B1 (ko) 조리기기
US20090050619A1 (en) Electric oven with multiple broil heaters and method for preheating the electric oven
EP3634087A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120054847A (ko) 복합형 전자레인지
US11732902B2 (en) Cooking applian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US20210227647A1 (en) Cooking appliance
US20210227648A1 (en) Cooking appliance
KR20210093138A (ko) 조리기기
KR20210145910A (ko) 조리 기기
KR20210141133A (ko) 조리기기
KR20100064643A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EP4221463A1 (en) Cooking device
KR20210093069A (ko) 조리기기
JP2538583B2 (ja) 調理器
KR20080005014U (ko) 조리장치
JP2023028543A (ja) 加熱調理器
KR20190003425A (ko) 조리기기
KR20080037796A (ko) 조리기기
KR20230046914A (ko) 조리기기
KR101203577B1 (ko) 조리기기
KR20220136024A (ko) 조리기기
KR102037380B1 (ko) 조리 기기
KR20210095424A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71264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20210129991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