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408A -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 Google Patents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408A
KR20210136408A KR1020200054596A KR20200054596A KR20210136408A KR 20210136408 A KR20210136408 A KR 20210136408A KR 1020200054596 A KR1020200054596 A KR 1020200054596A KR 20200054596 A KR20200054596 A KR 20200054596A KR 20210136408 A KR20210136408 A KR 20210136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cleaning composition
composition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주식회사 모나리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주식회사 모나리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Priority to KR1020200054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408A/ko
Publication of KR2021013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7Neutral esters, e.g. sorbitan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9Cleaning or scouring pads; W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11D3/36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기(-OH)가 1개인 1가 알코올 1 내지 30 중량부;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Olive Oil Glycereth-8 Esters)인 비이온 계면 활성제 0.1 내지 10 중량부; 보존제 및 보습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정제수 55 내지 98.8 중량부; 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Cleanser Composition and Wet Tissu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물 세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미세먼지 세정력을 탁월하게 발휘하는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Wet tissue)는 면, 부직포 등의 기재에 세정력을 부여하는 물질을 흡수시킨 일회성 세정 제품이다. 주로 손이나 얼굴 등을 간편하게 세정하는데 사용된다. 최근에는 간편함을 추구하는 문화와 위생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더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 대상에 따라, 유아 분변 배출시 사용을 위한 용도, 공공장소에서 청결 유지를 위한 용도, 청소 용도, 기기세정과 같은 산업용 제품의 세정 용도 등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제품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같이, 물티슈 소비가 급증하고 있고, 제품 공급이 어렵지 않아 수많은 중소업체들이 등장하면서 물티슈 시장은 매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물티슈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3186호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항균 물티슈'에 관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정제수, 보습제, 계면활성제, pH조절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및 항균제를 포함하며, 항균제는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소라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또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978348호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세정용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물티슈용 시트를 포함하고, 미분말 šœ가이트(shungite),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ja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포함하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이 0.1 내지 30μm이며,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및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식물 추출물은 상기 무기분말에 흡착된 것인 세정용 물티슈를 개시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물티슈가 갖는 기능적인 측면에 대해서만 집중할 뿐, 최근 가장 사회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란 수많은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대기 중 장기간 떠다니는 미세한 먼지로 입자 크기가 10μm이하인 것을 말한다. 미세먼지는 일반적인 오염 물질에 비해 입자 크기가 매우 작은 바,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적인 물티슈로는 세정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입자 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물티슈 조성물과 물티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3186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9783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자 크기가 10μm이하인 미세먼지 제거에 최적화됨과 동시에, 사용 이후에 끈적임이 발생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쾌적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 및 물티슈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기(-OH)가 1개인 1가 알코올 1 내지 30 중량부;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Olive Oil Glycereth-8 Esters)인 비이온 계면 활성제 0.1 내지 10 중량부; 보존제 및 보습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정제수 55 내지 98.8 중량부; 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존제는, 리놀레아미도프로필피지-디모늄클로라이드포스페이트 및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4급 암모늄염, 1,2-헥산디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및 소듐벤조에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 카프릴릴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소듐아니세이트, 시트릭애씨드, 폴리솔베이트20,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사이클로덱스트린,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라우릴베타인, 소듐클로라이드, 1,2-헥산다이올, 소듐바이카보네이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1가 알코올 3 내지 8 중량부, 상기 비이온 계면 활성제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7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가 알코올은,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25 또는 7.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녹차추출물, 장미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다마스크장미꽃오일, 호호바씨오일, 병풀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존제, 보습제 및 첨가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세정제 조성물; 및 상기 세정제 조성물이 함침된 시트형 기재로서, 레이온(rayon), 폴리에스터, 펄프(pulp),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코튼(cotto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시트형 기재; 를 포함하는, 물티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트형 기재는, 코튼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형 기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되, 0.2mm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를 포함함으로써, 인체의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정한 중량비로 포함됨에 따라, 세정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1가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사용 이후에 끈적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와 잘 섞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내지 5는 테스트 대상자(총 20명)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인 시험 제품을 전박 부위에 1회 사용한 결과를 사진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비교예(①)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③) 및 실시예2(②)의 세정횟수에 따른, 1차테스트 결과를 사진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비교예(①)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③) 및 실시예2(②)의 세정횟수에 따른, 2차테스트 결과를 사진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시트형 기재의 재질을 달리하여 세정을 수행한 결과를 사진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의 (a)는 세정 전이고, (b)는 1차 세정을 수행한 상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Olive Oil Glycereth-8 Esters)'는 올리브 오일 및 글리세레스-8을 트랜스에스터화하여 얻은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없이 사용된 %의 단위는 '중량 %'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기(-OH)가 1개인 1가 알코올 1 내지 30 중량부,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Olive Oil Glycereth-8 Esters)인 비이온 계면 활성제 0.1 내지 10 중량부, 보존제 및 보습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정제수 55 내지 98.8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1가 알코올을 포함한다. 다가 알코올은 끈적이는 단점이 있는 바, 사용 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물 세정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이 아닌, 1가 알코올을 포함함으로써, 빠른 휘발성을 갖는 바,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물 세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끈적임 없는 간편함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를 포함한다. 현재 시중에 많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그 특성상 거품이 많이 발생되며, 사용 직후에 끈적임 또는 잔여감이 남아 물로 2차 세정을 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 불쾌한 사용감을 주는 것이다. 또한, 세정력이 높은 계면활성제는 피부자극을 주는 물질이 대부분인 바, 본 발명은 피부자극을 최소화하고, 세정력 및 쾌적한 사용감을 동시에 제공하는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를 포함한다.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는 피부 자극성이 매우 낮고, 물과 1가 알코올에 매우 잘 녹으며, 이들과 섞였을 경우, 끈적임이 완화됨과 동시에, 세정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보존제는, 리놀레아미도프로필피지-디모늄클로라이드포스페이트 및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4급 암모늄염, 1,2-헥산디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및 소듐벤조에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며, 보습제는, 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 카프릴릴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소듐아니세이트, 시트릭애씨드, 폴리솔베이트20,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사이클로덱스트린,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라우릴베타인, 소듐클로라이드, 1,2-헥산다이올, 소듐바이카보네이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이 때, 보존제는 리놀레아미도프로필피지-디모늄클로라이드포스페이트 및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인 4급 암모늄염에 한정되지 않고, 4급 암모늄염이면, 어떠한 물질이라도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녹차추출물, 장미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다마스크장미꽃오일, 호호바씨오일, 병풀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보존제, 보습제 및 첨가제의 합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이다. 다시 말해, 보존제, 보습제 및 첨가제의 합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가 됨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보존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습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세정제 조성물 실시예
하기의 표 1의 조성으로 1가 알코올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물티슈 1장을 절반으로 접어 시험 부위를 5회 닦은 후, 다시 한번 접어 깨끗한 면으로 10회 닦은 상태에서 피부 Intensity값을 분석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먼지는 보통 10μm 입자를 의미하는 바, 실험을 위해 미세먼지 모사체를 사용하였으며, 미세먼지 모사체는 카본블랙(carbon black)으로 평균 입자 크기가 7.63μm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의 미세먼지 모사체 세정력 측정을 위해 우선 전박 부위에 실시예 사용 부위와 미사용(물 세정) 부위를 구획하고 사진 촬영을 하였다. 그 후 미세먼지 모사체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실시예 사용 전, 후 고해상도 디지털카메라(DSLR)로 전박 부위를 촬영하였다.
촬영한 사진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인 이미지 프로 플러스(Image pro plus)로 실시예 사용 부위 및 미사용(물 세정) 부위의 피부 Intensity 값을 각각 분석하였다. 미세먼지 모사체를 도포하여 어두워진 피부가 제품 사용 후 밝아지는 것을 확인하고 물 세정 부위와 실시예 사용 부위 피부 Intensity 값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여 실시예의 미세먼지 모사체 세정력 효과를 평가하였다. 피부 Intensity 값과 피부 밝기 정도는 비례하므로, 피부 Intensity 값의 변화율이 클수록 미세먼지 모사체 세정력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피부의 밝기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바, 이미상에서의 밝기를 추출하여 이를 피부 밝기와 동일시하여 결과값을 얻은 것이다.
또한, 실시예 사용/미사용 부위 피부 측정 변화 값의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SPSS 23.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유의확률은 95% 신뢰구간에서 p<0.05일 때,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하의 표 및 설명에서, '시험제품'은 상기의 '실시예1'을 의미한다.
시험제품 사용 부위와 시험제품 미사용 부위 간 비교는 아래와 같이 수행하였다.
- 정규성 검정 만족: Independent T-test (모수적 방법)
- 정규성 검정 불만족: Mann-Whitney U test (비모수적 방법)
Figure pat00001
[표 1]
Figure pat00002
[표 2]
Figure pat00003
[표 3]
상기 표 2 및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을 이용하여 테스트 대상자들의 대상부위를 세정할 경우, 피부 intensity값이 크게 상승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인 시험 제품을 사용한 경우에는 피부 intensity값이 25.826에서 156.802로 크게 상승한데 반해, 대상부위를 물 세정한 경우에는 피부 intensity값이 28.731에서 72.892로 상대적으로 소폭 상승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igure pat00004
[표 4]
시험제품 사용 후 미세먼지 모사체 세정력 측정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의 세정율은 98.548%, 시험제품 미사용(물 세정) 부위의 세정율은 46.809%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표 4는 테스트 대상자별로 조사된 것이며, 테스트 대상자는 만 19 내지 60세의 성인 여성 20명이고, 총 20명의 테스트 대상자가 실시예1인 시험 제품을 전박 부위에 1회 사용한 결과이다. 상기 표 4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1회 사용으로, 미세먼지 모사체 세정력 효과가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5는 테스트 대상자(총 20명)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인 시험 제품을 전박 부위에 1회 사용한 결과를 사진으로 도시하고 있는 바, 도 1 내지 5에 의해 확인된다.
Figure pat00005
[표 5]
상기 표 5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에스터가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모두 0.75이고, 실시예1은 1가 알코올의 중량부가 7.5이며, 실시예2는 1가 알코올의 중량부가 3.25이다.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에스터가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5인 것은 세정력이 낮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표 5에 별도로 기재하지는 않았다.
상기 테스트 대상자들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1은 실시예2에 비해, 사용 직후 끈적임이 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른 직후에는 실시예1 및 실시예2는 모두 잔여감이 없는데 반해, 비교예는 사용 직후에도 매우 끈적이며, 마른 직후에도 매우 끈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비교예(①)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③) 및 실시예2(②)의 세정횟수에 따른, 1차테스트 결과를 사진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비교예(①)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③) 및 실시예2(②)의 세정횟수에 따른, 2차테스트 결과를 사진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1)은 세정 전, (a2)는 1차 세정 후, (a3)는 2차 세정후, (a4)는 3차 세정 후의 사진이며, 도 7 역시 (b1)은 세정 전, (b2) 내지 (b5)는 세정 횟수에 따라 구분하였다.
도 6 및 7과 하기의 표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및 실시예2가 비교예에 비해 세정 효과가 뛰어남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1 및 실시예2 중에서는 실시예1이 더 세정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7의 (b3)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은, 2회의 세정에 의해, 미세먼지 모사체가 거의 제거됨이 시각적으로 확인된다.
Figure pat00006
[표 6]
세정제 조성물이 함침된 물티슈
본 발명은 전술한 세정제 조성물 및 세정물 조성물이 함침된 시트형 기재를 포함하는 물티슈를 제공한다.
여기서, 시트형 기재는 세정제 조성물이 충분히 함침되도록 형성되고, 레이온(rayon), 폴리에스터, 펄프(pulp),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코튼(cotto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도 8은 시트형 기재의 재질을 달리하여 세정을 수행한 결과를 사진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의 (a)는 세정 전이고, (b)는 1차 세정을 수행한 상태이다.
여기서, ①은 코튼 100%로 구성된 시트형 기재이고, ②는 물에 잘 풀리는 플러셔블(Flushable) 원단으로 구성된 시트형 기재이며, ③은 나일론으로 구성된 시트형 기재이다. 도 8에서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듯이, 시트형 기재가 코튼으로 이루어진 경우, 가장 세정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트형 기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며, 0.2mm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기(-OH)가 1개인 1가 알코올 1 내지 30 중량부;
    올리브 오일 글리세레스-8 에스터(Olive Oil Glycereth-8 Esters)인 비이온 계면 활성제 0.1 내지 10 중량부;
    보존제 및 보습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정제수 55 내지 98.8 중량부; 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리놀레아미도프로필피지-디모늄클로라이드포스페이트 및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4급 암모늄염, 1,2-헥산디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및 소듐벤조에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 카프릴릴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소듐아니세이트, 시트릭애씨드, 폴리솔베이트20,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사이클로덱스트린,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라우릴베타인, 소듐클로라이드, 1,2-헥산다이올, 소듐바이카보네이트,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1가 알코올 3 내지 8 중량부,
    상기 비이온 계면 활성제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75 중량부 포함되는,
    세정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가 알코올은,
    세정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25 또는 7.5 중량부 포함되는,
    세정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녹차추출물, 장미추출물, 프로폴리스추출물, 다마스크장미꽃오일, 호호바씨오일, 병풀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존제, 보습제 및 첨가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인,
    세정제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 및
    상기 세정제 조성물이 함침된 시트형 기재로서, 레이온(rayon), 폴리에스터, 펄프(pulp),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코튼(cotton)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시트형 기재; 를 포함하는,
    물티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기재는,
    코튼으로만 이루어진,
    물티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기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되, 0.2mm 내지 1mm의 두께를 갖는,
    물티슈.
KR1020200054596A 2020-05-07 2020-05-07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20210136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96A KR20210136408A (ko) 2020-05-07 2020-05-07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96A KR20210136408A (ko) 2020-05-07 2020-05-07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08A true KR20210136408A (ko) 2021-11-17

Family

ID=7870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596A KR20210136408A (ko) 2020-05-07 2020-05-07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64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0403A (zh) * 2022-08-12 2022-11-08 贝亲母婴用品(常州)有限公司 用于浸渍到纤维中的含水组合物
KR102550215B1 (ko) * 2023-03-29 2023-07-03 주식회사 기본에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0403A (zh) * 2022-08-12 2022-11-08 贝亲母婴用品(常州)有限公司 用于浸渍到纤维中的含水组合物
KR102550215B1 (ko) * 2023-03-29 2023-07-03 주식회사 기본에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9175T3 (es) Producto limpiador de manos.
EP1163895B1 (en) Detergent compositions
KR20210136408A (ko)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TW536399B (en) Wet wiper
MXPA06000305A (es) Composicion para toallitas limpiadoras prehumedecidas que es suave para la piel.
TW201315484A (zh) 油中水型乳化防曬化妝料
JP596869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CN109106621B (zh) 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054939B2 (ja) メイクアップ又は皮脂汚れ除去用顔洗浄用シート
EP1397108A1 (en) Microemulsion facial washes comprising specific oils
JP3704602B2 (ja) 洗浄剤組成物
JP3699719B1 (ja) 固型石鹸組成物
TW200410727A (en) Cleanser composition
JP5465831B2 (ja) 角栓除去用の組成物
TWI231200B (en) Wet wiper
KR101966251B1 (ko) 물 없이 이용 가능한 드라이 샴푸
JP2004155716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料
US20070037717A1 (en) Denture adhesive solvent compositions
DE69934484T2 (de) Flüssiges antimikrobielles feuchthaltendes mittel für die haut
JP6611675B2 (ja) 皮膚用化粧料
KR102368898B1 (ko) 알칸디올 또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JP2000247860A (ja) マッサージ化粧料
JP2002068936A (ja) 洗浄料
JP2017206472A (ja) ゴマージュ洗浄剤用組成物
JP3183823B2 (ja) 湿潤タイプの清拭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