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215B1 -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 Google Patents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215B1
KR102550215B1 KR1020230041425A KR20230041425A KR102550215B1 KR 102550215 B1 KR102550215 B1 KR 102550215B1 KR 1020230041425 A KR1020230041425 A KR 1020230041425A KR 20230041425 A KR20230041425 A KR 20230041425A KR 102550215 B1 KR102550215 B1 KR 10255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leaning cloth
parts
frui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본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본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본에
Priority to KR102023004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 D06M11/1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 D06M11/17Halides of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7Cloths; Pads; Sponges containing clean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5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 D06M11/5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with ammonia; with complexes of organic amines with inorganic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5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other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sulfur, silicon or phosphorus atoms
    • D06M15/356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other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sulfur, silicon or phosphorus atoms containing nitrog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이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의 원단 롤과 항균 청소포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단 롤에 감겨진 원단을 풀면서 접지된 원단을 이송시켜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된 원단을 사용되는 청소포 크기로 분절하는 단계; 상기 분절된 청소포를 적층하여 포장재 내로 삽입하고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된 포장재에 개폐 캡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원단은 부직포이고,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0.5 중량부,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0.01 내지 0.1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내지 0.1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글리세린 0.01 내지 0.1 중량부, 소듐바이카보네이트 0.01 내지 0.1 중량부, 가용화제 0.001 내지 0.1 중량부 및 기능성 첨가제 0.01 내지 0.1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가용화제는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와 폴리솔베이트20를 1 : 1 내지 1.5 중량비 함유하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무환자 추출물 1 중량, 녹차 추출물 1 내지 1.5 중량비, 부틸렌글리콜 1 내지 5 중량비 및 구연산 1 내지 10 중량비를 함유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초래하지 않고 세정과 더불어 살균, 항균 등의 위생적인 활성을 나타내고, 인체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팝업 현상의 발생빈도를 개선하여 간편하고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bacterial cleaning cloth for wet mop and antibacterial cleaning cloth for wet mop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피부 자극을 초래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세정과 더불어 살균, 항균 등의 위생적인 활성을 나타내는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바닥을 청소할 경우 손걸레를 직접 잡고 엎드려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바닥을 청소하거나, 밀대 청소기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바닥을 청소한다.
이때, 상기 밀대 청소기의 경우 구입비용이 저렴함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가정이나 사무실뿐만 아니라 각종 음식점이나 학교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밀대 청소기의 경우 사각형 형상의 판재에 걸레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걸레를 세척하여 탈수시킨 다음 상기 사각형 형상의 판재에 세척하여 탈수시킨 걸레를 부착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는 걸레가 오염되면 사각형 형상의 판재로부터 걸레를 분리시킨 후 사용자가 걸레를 세탁하여 탈수시킨 후 다시 사각형 형상의 판재에 걸레를 고정시켜 사용해야 함으로써, 걸레의 세탁과 탈수방식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종래의 밀대 청소기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걸레에 손을 대지않고 세탁기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걸레를 세척한 후 탈수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물걸레 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걸레를 세척한 후 탈수시키는 작업 또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부직포 재질의 일회용 청소포를 사용하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회용 청소포를 채택하고 있는 물걸레 청소기는 매번 사용한 청소포를 폐기함에 따르는 낭비적 요인이 있지만 사용하기 편리하여 점차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회용 청소포는 수분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쉽게 분해되지 않는 펄프나 부직포를 그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소재에 액상의 합성세제 및 분말의 합성세제의 화학적 조성물과 더불어 증점제, 계면활성제 및 화학방부제 등의 화학적 첨가물이 다량 함유된다.
또한, 최근에는 소독, 항균 및 살균 성능이 있는 물질이 함입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염 상태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나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대상을 제독하는데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성분은 장기간 사용하거나 자주 또는 한꺼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게 되면, 피부 트러블의 발생, 호르몬 이상 및 알러지 반응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작용을 하게 되며, 특히, 피부가 연약한 소아나 피부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청소포에 함유된 화학성분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사용상 매우 주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72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12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9519호
본 발명은 피부 자극을 초래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세정과 더불어 살균, 항균 등의 위생적인 활성을 나타내는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원단이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의 원단 롤과 항균 청소포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단 롤에 감겨진 원단을 풀면서 접지된 원단을 이송시켜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된 원단을 사용되는 청소포 크기로 분절하는 단계; 상기 분절된 청소포를 적층하여 포장재 내로 삽입하고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된 포장재에 개폐 캡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원단은 부직포이고,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0.5 중량부,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0.01 내지 0.1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내지 0.1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글리세린 0.01 내지 0.1 중량부, 소듐바이카보네이트 0.01 내지 0.1 중량부, 가용화제 0.001 내지 0.1 중량부 및 기능성 첨가제 0.01 내지 0.1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가용화제는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와 폴리솔베이트20를 1 : 1 내지 1.5 중량비 함유하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무환자 추출물 1 중량, 녹차 추출물 1 내지 1.5 중량비, 부틸렌글리콜 1 내지 5 중량비 및 구연산 1 내지 10 중량비를 함유하는 것인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제수는
물을 활성탄 여과 처리, 이온교화수지 처리, 정밀 마이크로필터 처리, 자외선 살균 처리, 초정밀 마이크로 필터 처리 및 역삼투압 처리으로 이루어진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환자 추출물은
무환자 나무 열매를 탄산수에 침지한 후 50 내지 70 kHz의 주파수, 100 내지 300 W/cm2의 강도로 1 내지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무환자 나무 열매를 70 내지 80 ℃의 온도에서 7 내지 9 시간 열수 추출하여 무환자 나무 열매 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무환자 나무 열매 수추출물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를 접종하여 30 내지 35 ℃에서 6 내지 12 시간 동안 1차 발효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를 트리코데마 리제이로부터 유래된 효소와 아스퍼질러스 니거로부터 유래된 효소가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효소 1 내지 20 중량부로 처리하여 무환자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발효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를 접종하여 발효한 후, 클루이베로미세스 마르시아누스 NCK02(Kluyveromyces marxianus NCK02)를 접종하여 30 내지 35 ℃에서 6 내지 12 시간 동안 발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그 표면에 폴리쿼터늄 1 중량 및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 0.1 내지 0.5 중량비의 혼합물이 도포되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코팅층은 부직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합물이 10 내지 30 중량부가 도포된 것이며,
상기 폴리쿼터늄은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61 및 폴리쿼터늄-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무환자 추출물 1 중량에 대하여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0.1 내지 1 중량비 및 폴리쿼터늄 0.1 내지 1 중량비를 추가로 함유하며,
상기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은
분쇄된 고추냉이 뿌리에 물을 혼합하여 100 내지 130 ℃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 상기 살균된 고추냉이 뿌리에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한 후 β-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로 첨가하여 25 내지 35 ℃의 온도에서 36 내지 72 시간 동안 발효 및 효소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및 효소 처리한 후 100 내지 130 ℃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살균하여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폴리쿼터늄은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61 및 폴리쿼터늄-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는 피부 자극을 초래하지 않고 세정과 더불어 살균, 항균 등의 위생적인 활성을 나타내어 현대인의 세균성 감염, 바이러스성 전염병 등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는 인체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팝업 현상의 발생빈도를 개선하여 간편하고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원단이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의 원단 롤과 항균 청소포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단 롤에 감겨진 원단을 풀면서 접지된 원단을 이송시켜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된 원단을 사용되는 청소포 크기로 분절하는 단계; 상기 분절된 청소포를 적층하여 포장재 내로 삽입하고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된 포장재에 개폐 캡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원단은 부직포이고,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0.5 중량부,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0.01 내지 0.1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내지 0.1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글리세린 0.01 내지 0.1 중량부, 소듐바이카보네이트 0.01 내지 0.1 중량부, 가용화제 0.001 내지 0.1 중량부 및 기능성 첨가제 0.01 내지 0.1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가용화제는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와 폴리솔베이트20를 1 : 1 내지 1.5 중량비 함유하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무환자 추출물 1 중량, 녹차 추출물 1 내지 1.5 중량비, 부틸렌글리콜 1 내지 5 중량비 및 구연산 1 내지 10 중량비를 함유하는 것인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는 피부 자극을 초래하지 않고 세정과 더불어 살균, 항균 등의 위생적인 활성을 나타내어 현대인의 세균성 감염, 바이러스성 전염병 등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는 인체에 안전할 뿐만 아니라 팝업 현상의 발생빈도를 개선하여 간편하고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단이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의 원단 롤과 항균 청소포 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원단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천연 섬유인 레이온과 화학섬유인 폴리에스터를 혼방해 만든 부직포, 펄프를 고분자로 직조한 펄프 원단 및 면과 같은 섬유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그 표면에 폴리쿼터늄 및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의 혼합물이 도포되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쿼터늄은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61 및 폴리쿼터늄-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는 효모인 칸지다본비코라(Candida bombicola)에서 생산되는 당지질 계열의 대표적인 미생물 계면활성제(biosurfactant)이다.
이러한 폴리쿼터늄 및 소포로리피드는 세균을 강력히 흡착하여 살균 및 소독이 가능하고, 유연제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을 하여 기포를 감소시킴으로써 팝업 현상의 발생 빈도를 줄이는 역할을 하며, 특히 피부에 자극 및 독성이 낮아 피부에 매우 안전하다.
상기 코팅층은 부직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합물이 10 내지 30 중량부가 도포되며, 도포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소포로리피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폴리쿼터늄 1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비의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0.5 중량부,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0.01 내지 0.1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내지 0.1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글리세린 0.01 내지 0.1 중량부, 소듐바이카보네이트 0.01 내지 0.1 중량부, 가용화제 0.001 내지 0.1 중량부 및 기능성 첨가제 0.01 내지 0.1 중량부를 함유한다.
상기 정제수는 원단에 수분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멸균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도물을 원수로 유입하여 물을 활성탄 여과 처리, 이온교화수지 처리, 정밀 마이크로필터 처리, 자외선 살균 처리, 초정밀 마이크로 필터 처리 및 역삼투압 처리으로 이루어진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각 처리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 및 방법으로 사용하며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활성탄 여과 처리는 냄새 및 미세부유물질 탁도 성분 흡착제거하고, 상기 이온교화수지 처리는 이온 및 유기물, 미생물, 중금속 제거하고, 상기 정밀 마이크로필터 처리는 미고형 물질과 탁도성분 정수하고, 상기 자외선 살균 처리는 세균, 대장균, 바이러스, 미세 효모 등의 멸균, 증식 억제, 잔류 미생물 제거하고, 상기 초정밀 마이크로 필터 처리는 정수한 물의 순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역삼투압 처리는 이온 및 유기물, 미생물, 중금속 제거한다.
상기 소듐벤조에이트 피부에 자극이 적어 알러지나 피부트러블 등과 같은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진균에 대한 항균력이 뛰어나 진균 번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듐벤조에이트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부 함유하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 또는 알러지를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는 원단 표면에 암모늄 분자의 양이온으로 부착되어 있다가 세균이 부착되면 세균 표면의 음이온 부위를 전기적으로 흡착하여 그 표층을 물리화학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세균을 사멸시키고 또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 함유하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는 인체에 무해하며, 청소포 용액에 포함된 성분들이 금속이온과 결합하여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여 항균, 보습, 살균 등의 기능이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소듐이디티에이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 함유하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이상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시트릭애씨드는 인체에 무해하고 독성이 없으며, 청소포 용액이 강한 염기성을 띠지 않도록 중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시트릭애씨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 함유하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주는 문제점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투명하고 끈적한 점도가 있는 무향의 액체로, 피부에 자극없이 수분을 잡아두는 능력이 뛰어나고 청소포의 수분유지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천연 야자오일이나 식물성 오일에서 만들어지는 식물성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글리세린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 함유하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끈적임이 과하여 사용 촉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듐바이카보네이트는 천연의 세제로 세정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듐바이카보네이트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 함유하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일으키거나 적층된 원단에 가라않아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청소포 함유 성분이 정제수에 유화될 수 있도록 하는 계면활성제 역할을 한다.
상기 가용화제는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와 폴리솔베이트20를 1 : 1 내지 1.5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용화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1 중량부 함유하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청소포 용액의 제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피부에 대한 자극성과 독성이 적으면서, 살균, 항균 및 소취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성 첨가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를 함유하며,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무환자 추출물 1 중량, 녹차 추출물 1 내지 1.5 중량비, 부틸렌글리콜 1 내지 5 중량비 및 구연산 1 내지 10 중량비를 함유한다.
상기 무환자 추출물은 피부 자극없이 항균성 및 살균성 부여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녹차 추출물은 비타민c 성분으로 활성산소제거, 살균작용, 중금속제거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부틸렌글리콜 사용감을 개선하고 습윤성 및 향균성을 상승 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구연산은 살균성 부여를 위해 사용된다. 이들 성분의 함량은 각각의 효과 발현을 위한 최적의 범위이므로 이 범위내에서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환자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환자 추출물은 무환자 나무 열매를 탄산수에 침지한 후 50 내지 70 kHz의 주파수, 100 내지 300 W/cm2의 강도로 1 내지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무환자 나무 열매를 70 내지 80 ℃의 온도에서 7 내지 9 시간 열수 추출하여 무환자 나무 열매 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무환자 나무 열매 수추출물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를 접종하여 30 내지 35 ℃에서 6 내지 12 시간 동안 1차 발효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를 트리코데마 리제이로부터 유래된 효소와 아스퍼질러스 니거로부터 유래된 효소가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효소 1 내지 20 중량부로 처리하여 무환자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발효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를 접종하여 발효한 후, 클루이베로미세스 마르시아누스 NCK02(Kluyveromyces marxianus NCK02)를 접종하여 30 내지 35 ℃에서 6 내지 12 시간 동안 발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및 클루이베로미세스 마르시아누스 NCK02(Kluyveromyces marxianus NCK02)는 1 : 1 중량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탄산수를 이용한 저온 숙성 과정 및 초음파 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열수 추출하여 추출 농도 및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및 클루이베로미세스 마르시아누스 NCK02(Kluyveromyces marxianus NCK02)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공적 기관에서 이용되는 균 또는 그의 변이주, 천연에서 분리된 균 또는 그의 변이주일 수 있다. 상기 변이주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발효물을 생산하는 능력을 가지는 주일 수 있다.
상기 효소 처리 단계는 의해 불용성 식이섬유가 수용성 식이섬유로 전환되는 효과를 얻는다. 상기 트리코데마 리제이로부터 유래된 효소는 트리코데마 리제이로부터 유래한 β글루카네이즈, 셀룰레이즈 및 헤미셀룰레이즈를 포함하는 로하멘트(Rohament); 트리코데마 리제이로부터 유래한 β글루 카네이즈 및 셀룰레이즈를 포함하는 라미넥스(Laminex)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스퍼질러스 니거로부터 유래된 효소는 아스퍼질러스 니거로부터 유래한 β글루카네이즈 및 셀룰레이즈를 포함하는 프러스자임(Pluszyme); 및 아스퍼질러스 니거로부터 유래한 β글루카네이즈, 셀룰레이즈, 및 헤미셀룰레이즈를 포함하는 수미자임(Sumizym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무환자 추출물 1 중량에 대하여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0.1 내지 1 중량비 및 폴리쿼터늄 0.1 내지 1 중량비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은 천연의 식물을 발효하여 피부에 자극없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살균 및 항균성을 더욱 부여하고 세정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은 분쇄된 고추냉이 뿌리에 물을 혼합하여 100 내지 130 ℃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 상기 살균된 고추냉이 뿌리에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한 후 β-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로 첨가하여 25 내지 35 ℃의 온도에서 36 내지 72 시간 동안 발효 및 효소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및 효소 처리한 후 100 내지 130 ℃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살균하여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쿼터늄은 세균을 강력히 흡착하여 살균 및 소독이 가능하고, 유연제 및 정전기 방지 기능을 하여 기포를 감소시킴으로써 팝업 현상의 발생 빈도를 줄이는 역할을 하며, 특히 피부에 자극 및 독성이 낮아 피부에 매우 안전하다.
이러한 폴리쿼터늄은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61 및 폴리쿼터늄-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향료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준비된 상기 원단 롤에 감겨진 원단을 풀면서 원단을 접지하고, 상기 접지된 원단을 이송시켜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한다.
다음으로,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된 원단을 사용되는 청소포 크기로 분절하여 청소포를 제조하는 단계로,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원단을 통상의 청소포 크기로 분절한다.
다음으로 상기 분절된 청소포를 적층하여 포장재 내로 삽입하고 밀봉한다.
이때, 적층은 분절된 청소포를 상호 겹쳐지도록 적층시키며, 상호 겹쳐지도록 적층시킨으로써 분절된 상태의 청소포를 순차적으로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적층되어 형성된 청소포 블록을 삽입하여 포장재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포장재의 개방부위를 융착시켜 포장재를 마감한다.
다음으로 상기 밀봉된 포장재에 개폐 캡을 부착하여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를 제조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조예 1> 정제수 제조
수도물을 원수로 유입하여 활성탄 여과 필터(맑은물사업소사), 이온교환수지 필터(삼양사), 정밀 마이크로필터 필터(주식회사아쿠아텍사), UV 램프(15 내지 20 W, 파장 254 nm), 초정밀 마이크로 필터(주식회사아쿠아텍사) 및 R/O 멤브레인 필터(유니온 워터사)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정제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무환자 수추출물
세척된 무환자 나무 열매 1 kg에 정제수 10 L를 혼합하여 75 ℃의 온도에서 7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무환자 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무환자 발효추출물
세척된 무환자 나무 열매 1 kg을 탄산수 10 L에 침지하였다. 이후에 60 kHz의 주파수, 200 W/cm2의 강도로 5 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이후에 상기 초음파 처리된 무환자 나무 열매만 분리하고, 정제수 10 L를 혼합하여 75 ℃의 온도에서 7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무환자 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무환자 나무 열매 수추출물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를 5×106 cfu/g 정도가 되도록 0.05 g 접종하고 호기조건에서 1차 발효하였다. 이때, 상기 발효는 32 ℃에서 10 시간동안 수행하였다. 이후에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에, 로하멘트(Rohament)와 프러스자임(Pluszyme) 1 : 1 중량비로 혼합된 효소 1 mL 및 물 100 mL를 혼합하고 50 ℃에서 12시간 동안 처리하여 무환자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무환자 발효추출물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무환자 나무 열매 수추출물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를 5×106 cfu/g 정도가 되도록 0.05 g 접종하고 호기조건에서 발효한 후, 클루이베로미세스 마르시아누스 NCK02(Kluyveromyces marxianus NCK02) 5×106 cfu/g 정도가 되도록 접종하고 호기조건에서를 접종하여 1차 발효를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발효는 32 ℃에서 10 시간동안 수행하였다. 이후에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에, 로하멘트(Rohament)와 프러스자임(Pluszyme) 1 : 1 중량비로 혼합된 효소 1 mL 및 물 100 mL를 혼합하고 50 ℃에서 12시간 동안 처리하여 무환자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고추냉이 뿌리 발효 추출물
-55 ℃에서 동결건조시킨 고추냉이 뿌리를 분쇄하여 700 ㎛ mesh로 거른 분말 1 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3 중량비를 추가한 후, 121 ℃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살균하였다. 이후에, 상기 살균된 고추냉이 뿌리에, 총량에 대하여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20 중량% 접종한 후, β-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를 20 중량% 첨가하고 30 ℃의 온도에서 48 시간 동안 발효 및 효소처리 하였다. 이후에 상기 발효 및 효소처리물을 121 ℃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살균하여 고추냉이 뿌리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폴리쿼터늄 및 소포로리피드 코팅층이 형성된 부직포
정제수 10 L에, 폴리쿼터늄-6 20 g과 소포로리피드 3 g을 혼합한 용액에 부직포 원단을 침지시켰다, 이후에 실온에서 건조하여 폴리쿼터늄 및 소포로리피드 코팅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으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직포 원단이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의 원단 롤과 항균 청소포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때 항균 청소포 용액은 실온에서 충분히 교반시키면서 상기 성분들을 용해시켰다. 상기 원단 롤에 감겨진 원단을 풀면서 접지된 원단을 이송시켜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하였다.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된 원단을 사용되는 청소포 크기로 분절하고, 상기 분절된 청소포를 적층하여 포장재 내로 삽입하고 밀봉하였다. 상기 밀봉된 포장재에 개폐 캡을 부착하여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를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원단 부직포
(100)
제조예6
(100)
제조예6
(100)
부직포
(100)
부직포
(100)
항균 청소포 용액 27 27 27 27 27
중량부 정제수 제조예1
(100)
제조예1
(100)
제조예1
(100)
100 100
소듐벤조에이트 0.26 0.26 0.26 0.26 0.26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0.08 0.08 0.08 0.08 0.08
디소듐이디티에이 0.06 0.06 0.06 0.06 0.06
시트릭애씨드 0.17 0.17 0.17 0.17 0.17
글리세린 0.01 0.01 0.01 0.01 0.01
소듐바이카보네이트 0.01 0.01 0.01 0.01 0.01
가용화제 0.002 0.002 0.002 0.002 0.002
중량비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1 1 1 1 1
폴리솔베이트 1 1 1 1 1
기능성 첨가제 0.03 0.03 0.03 - 0.03
중량비 무환자 추출물 제조예2
(1)
제조예3
(1)
제조예4
(1)
- -
녹차 추출물 1 1 1 - -
부틸렌글리콜 2.5 2.5 2.5 - 2.5
구연산 4 4 4 - 4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 - - 0.5 - -
폴리쿼터늄 - - 0.5 - -
향료(TF 8037 Chamomile) 0.01 0.01 0.01 0.01 0.01
<실험예 1> 항균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항균 시험(ASTM E 2315:2016)을 실시하고,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도출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균주는 Escherichia coli ATCC 25922(대장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폐렴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녹농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황색포도상구균) 및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비브리오균)을 사용하였다. 이때, 접촉시간 및 조건 30 분, (25±2) ℃, 200 r/min shaking을 유지하였다.
[수학식 1]
살균력(%) = [(A-B)/A] × 100
(식중, A : 초기균수, B : 접촉 후 시험편의 균수임)
구분(%) 초기농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Escherichia coli ATCC 25922 2.6 x 106 CFU/mL >99.9 >99.9 >99.9 >90 >95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5.5 x 106 CFU/mL >99.9 >99.9 >99.9 >85 >91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 6.8 x 106 CFU/mL >99.9 >99.9 >99.9 >86 >95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1.5 x 106 CFU/mL >99.9 >99.9 >99.9 >85 >94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7.0 x 106 CFU/mL >99.9 >99.9 >99.9 >87 >92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청소포에 비해 항균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1. 피부자극
피부자극 및 기타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를 이용하여 인체에 대한 첩포실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검사는 만 20 내지 60세의 건강한 성인 남녀 32명으로 착색이나 피부손상이 없는 등의 평평한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 낸 뒤 건조하고, 적단한 크기로 자른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를 피부에 고정한 후 24시간 동안 첩포하였다. 이후에 상기 첩포를 제거하고 그 뒤 30분 후, 24시간 후의 피부과 전문의 육안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 자극성 평가 기준]
◎ : 비(무) 자극성
○ : 약한 자극성
× : 중증도 자극성
△ : 강한 자극성
2. 소취율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를 사용하여 가스검지관법으로 소취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3 L 테들러백 용기에 100 ㎍/mL 농도의 암모니아(NH3)를 1.5 L 주입하고 20±2 ℃온도, 50±5 %R.H 습도, 30분 및 60분의 시간 조건에서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수학식 2로 도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소취율(%) = [(Blank가스농도-Sample가스농도)/Blank가스농도] × 100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피부자극 ×
소취율(%) 30분 99.1 99.5 99.9 70.2 82.4
60분 99.2 99.7 99.9 72.4 84.1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피부 자극성이 현저히 낮으며, 소취율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유해물질 검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유해물질 30에 대한 검출여부를 검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18-71호
구분(%)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형광증백제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포름알데히드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5-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파라벤류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메틸파라벤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부틸파라벤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에틸파라벤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이소부틸파라벤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프로필파라벤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이소프로필파라벤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염화벤잘코늄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3-요오드-2프로핀일 부틸 카바민산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수은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비소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카드뮴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1,4-다이옥세인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비스(2-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디부틸프탈레이트(DBP)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부틸벤질프탈레이트(BBP)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메탄올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트리클로산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크로뮴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니켈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염화디데실메틸암모늄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벤젠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톨루엔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자일렌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염화디옥틸다이메틸암모늄 mg/k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살리실산 %(W/W)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상기 표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는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팝업 현상 발생 횟수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물걸레용 청소포를 동일한 힘과 속도로 10회 반복하여 뽑았다. 뽑는 과정에서 한번에 두장 이상의 청소포가 연속하여 뽑히는 팝업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이의 회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팝업현상 횟수 0.5 0 0 4 3.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의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는 비교예 1 내지 2의 청소포에 비해 팝업 현상이 월등히 낮았으며, 특히, 부직포 또는 기능성 첨가제에 폴리쿼터늄을 추가한 실시예 2 및 3은 팝업 형상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원단이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의 원단 롤과 항균 청소포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단 롤에 감겨진 원단을 풀면서 접지된 원단을 이송시켜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하는 단계;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에 함침된 원단을 사용되는 청소포 크기로 분절하는 단계; 상기 분절된 청소포를 적층하여 포장재 내로 삽입하고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된 포장재에 개폐 캡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원단은 부직포이고,
    상기 항균 청소포 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 소듐벤조에이트 0.1 내지 0.5 중량부,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0.01 내지 0.1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1 내지 0.1 중량부, 시트릭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글리세린 0.01 내지 0.1 중량부, 소듐바이카보네이트 0.01 내지 0.1 중량부, 가용화제 0.001 내지 0.1 중량부 및 기능성 첨가제 0.01 내지 0.1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가용화제는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와 폴리솔베이트20를 1 : 1 내지 1.5 중량비 함유하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무환자 추출물 1 중량, 녹차 추출물 1 내지 1.5 중량비, 부틸렌글리콜 1 내지 5 중량비 및 구연산 1 내지 10 중량비를 함유하며,
    상기 무환자 추출물은
    무환자 나무 열매를 탄산수에 침지한 후 50 내지 70 kHz의 주파수, 100 내지 300 W/cm2의 강도로 1 내지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처리된 무환자 나무 열매를 70 내지 80 ℃의 온도에서 7 내지 9 시간 열수 추출하여 무환자 나무 열매 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무환자 나무 열매 수추출물에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를 접종하여 30 내지 35 ℃에서 6 내지 12 시간 동안 1차 발효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를 트리코데마 리제이로부터 유래된 효소와 아스퍼질러스 니거로부터 유래된 효소가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효소 1 내지 20 중량부로 처리하여 무환자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물을 활성탄 여과 처리, 이온교화수지 처리, 정밀 마이크로필터 처리, 자외선 살균 처리, 초정밀 마이크로 필터 처리 및 역삼투압 처리으로 이루어진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발효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를 접종하여 발효한 후,
    클루이베로미세스 마르시아누스 NCK02(Kluyveromyces marxianus NCK02)를 접종하여 30 내지 35 ℃에서 6 내지 12 시간 동안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그 표면에 폴리쿼터늄 1 중량 및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 0.1 내지 0.5 중량비의 혼합물이 도포되어 코팅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코팅층은 부직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혼합물이 10 내지 30 중량부가 도포된 것이며,
    상기 폴리쿼터늄은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61 및 폴리쿼터늄-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무환자 추출물 1 중량에 대하여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0.1 내지 1 중량비 및 폴리쿼터늄 0.1 내지 1 중량비를 추가로 함유하며,
    상기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은
    분쇄된 고추냉이 뿌리에 물을 혼합하여 100 내지 130 ℃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
    상기 살균된 고추냉이 뿌리에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접종한 후 β-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로 첨가하여 25 내지 35 ℃의 온도에서 36 내지 72 시간 동안 발효 및 효소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및 효소 처리한 후 100 내지 130 ℃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살균하여 고추냉이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폴리쿼터늄은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61 및 폴리쿼터늄-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7. 제1항,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KR1020230041425A 2023-03-29 2023-03-29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KR102550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425A KR102550215B1 (ko) 2023-03-29 2023-03-29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425A KR102550215B1 (ko) 2023-03-29 2023-03-29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215B1 true KR102550215B1 (ko) 2023-07-03

Family

ID=8715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425A KR102550215B1 (ko) 2023-03-29 2023-03-29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21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283A (ko) 2009-03-25 2010-10-05 오씨아이 주식회사 친환경 비수성 산소계 조성물 함유 시트형 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8853A (ko) * 2010-12-28 2014-02-1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정균성 티슈 제품
KR101631225B1 (ko) 2014-08-26 2016-06-16 주식회사 씨디아이 물티슈용 항균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9519B1 (ko) 2014-11-04 2017-08-21 우상호 무환자나무 열매로부터 사포닌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KR20180113255A (ko) *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웰빙라이프 물티슈용 식물성 보존제 조성물
KR20210059237A (ko) * 2019-11-15 2021-05-25 (주)다사요윙윙 안티 암모니아 성분 기반의 물티슈,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36408A (ko) *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102366247B1 (ko) * 2020-11-02 2022-02-22 위즈티앤티 주식회사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283A (ko) 2009-03-25 2010-10-05 오씨아이 주식회사 친환경 비수성 산소계 조성물 함유 시트형 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8853A (ko) * 2010-12-28 2014-02-1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정균성 티슈 제품
KR101631225B1 (ko) 2014-08-26 2016-06-16 주식회사 씨디아이 물티슈용 항균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9519B1 (ko) 2014-11-04 2017-08-21 우상호 무환자나무 열매로부터 사포닌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KR20180113255A (ko) *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웰빙라이프 물티슈용 식물성 보존제 조성물
KR20210059237A (ko) * 2019-11-15 2021-05-25 (주)다사요윙윙 안티 암모니아 성분 기반의 물티슈,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36408A (ko) * 2020-05-07 2021-11-17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102366247B1 (ko) * 2020-11-02 2022-02-22 위즈티앤티 주식회사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9518B (zh) 含二氧化氯的杀菌、抗病毒组合物
CN101658397A (zh) 含二氧化氯的功能性湿巾及其应用
JPH11113780A (ja) 除菌ウェットティッシュ
KR101875190B1 (ko) 등차를 이용한 세제 조성물
CN111297730A (zh) 长效无害免洗不易燃高分子乙醇消毒剂
CN110477792A (zh) 一种可用于呼吸面罩清洁消毒的不含酒精的湿巾及其制备方法
KR20030070487A (ko) 세정항균탈취액의 제조방법
JPH0940516A (ja) 抗菌性を有する濡れティッシュ
KR102550215B1 (ko)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걸레용 항균 청소포
CN104490679B (zh) 一种复合型抗菌洗手液及其制备方法
JPH11113779A (ja) 除菌ウェットティッシュ
CN108498343B (zh) 一种去油污湿巾及其制备方法
KR101835098B1 (ko)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KR20150100464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012867B1 (ko) 친환경 세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9345A (ko) 화산석 추출물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탈취제 조성물
KR102298942B1 (ko) 뛰어난 살균 및 소취효과를 갖는 행주용 물티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행주용 물티슈
CN112852556B (zh) 家居杀菌清洁除螨湿巾
KR101856771B1 (ko) 알킬-pg-디모늄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물티슈용 조성물
JP2002233471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
CN101548683B (zh) 一种液体消毒剂及其制备方法
KR101420225B1 (ko) 세탁 또는 세정 보조용 발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2718A (ko) 소독성분을 함유한 물티슈
CN108728261B (zh) 一种环保物理抑菌洗液及其用途
CN105769710A (zh) 一种植物防腐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