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142A -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142A
KR20210134142A KR1020200052610A KR20200052610A KR20210134142A KR 20210134142 A KR20210134142 A KR 20210134142A KR 1020200052610 A KR1020200052610 A KR 1020200052610A KR 20200052610 A KR20200052610 A KR 20200052610A KR 20210134142 A KR20210134142 A KR 20210134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icroalgae
extract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욱
강경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순천바이오헬스케어연구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순천바이오헬스케어연구센터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순천바이오헬스케어연구센터
Priority to KR102020005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4142A/ko
Publication of KR2021013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8Cyanobacteria, i.e. blue-green bacteria or blue-green algae, e.g. spirul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은 보관 시에 안정성이 있고 산패가 발생하지 않아 천연 소재로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세포 독성이 없어 화장료,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Method for preparing oil extracts of microalgae and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mprising oil extracts of microalgae}
본 발명은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조류(microalgae)는 바다와 민물에 서식하는 단세포 광합성 생물로서, 흔히 식물 플랑크톤이라고 불리는 생물이다. 해양 생태계의 먹이 사슬 중에서도 가장 아랫 단계를 차지하는 존재이므로, 미세조류는 지구 전역의 해양에 분포되어 있다.
미세조류는 단백질, 지질, 비타민 및 기타 영양 보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주로 건강식품으로 가공 및 판매된다. 또한,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수소 생산 및 연료 가스로부터 CO2를 제거하는 것과 관련된 용도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약물 활성 물질의 유용한 신규 공급원으로서 미세조류가 보고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보트리오코쿠스 브라우니이(Botryococcus braunii), 클로렐라 속(Chlorella sp.), 두나리엘라 프리모렉탈(Dunaliella primolectal), 난노클로리스 속(Nannochloris sp.), 네오클로리스 올레오어번단스(Neochloris oleoabundans) 및 파리에토클로리스 속(Parietochloris sp.)과 같은 미세조류가 적절한 조건 하에서 세포 내에 고 함량의 단백질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미세조류 공급원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미세조류 원료로부터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미세조류는 클로로필(chlorophyll)을 함유하고 있어 산, 온도, 빛에 의해 쉽게 산화되거나 변성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미세조류 그 자체를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한편, 체내 염증이란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나 조직손상 세균감염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응하기 위한 생체조직에서 일어나는 방어 기전으로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신체적 반응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오히려 혈관 활성물질인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라딘, 류코트리엔, 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hydroxyeicosatetraenoic acid)에 의해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만성염증을 유도하거나 점막 손상을 촉진시켜 통증, 부종, 발열 등 기능장애를 일으키며 염증성 질환 및 암의 발병을 유발한다 ([BK Kang, et al., Cells in Mice.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112-119, 2015]; [BK Kang, et al., Microbiol. Biotechnol. Lett. 44, 236-245, 2016]; 및 [MJ Kim, et al.,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32, 352-360, 2017]). 체내의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 중 하나인 대식세포는 식균작용을 통해 염증반응과 면역기능을 조절하는 세포로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 Woo, et al., Cells. Korean J. Plant Res. 31. 466-477, 2018]; [JH Kim, et al.,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24, 1149-1157, 2018]; [TH Lee, et al., Mol. Cells. 23, 398-404, 2007] 및 [D Bishop-Bailey, et al., J. Environ. Pathol. Tox. Oncol. 21, 93-101, 2002]). 대식세포는 그람 음성균의 외막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의 자극으로 인해 활성화되며 감염 초기에는 생체 방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LPS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종양괴사인자-α (TNF-α), 인터루킨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전 사이토카인, 염증성 케모카인인 GM-CSF를 과도하게 분비하여 산화질소 (NO),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의 염증매개 물질을 다량 분비하게 된다.
염증전 사이토카인 및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은 핵인자-카파 B(nuclear factor-kappa B, NF-κB)와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키나제 (p38), c-Jun NH2-말단 키나제 (JNK)와 같은 유사분열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체내의 염증과정에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사이클로옥시제나제-2 (COX-2)에 의하여 과량의 산화질소 (NO) 및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의 염증인자가 생성된다. NO는 반응성이 높은 물질로 NO 합성효소 (NOS)에 의해 L-아르기닌으로부터 생성되며, NOS는 구성 NOS와 유도 NOS로 나누어진다. 특히 iNOS는 외부자극이나 염증전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되면 다량의 NO를 생산하며 과잉 생산된 NO는 혈관 투과성 및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염증 매개인자인 COX는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유리된 후 프로스타글란딘으로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효소이며, COX-2는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및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등 다양한 자극에 의해서 마크로파지나 단핵구(monocyte) 등의 세포에서 다량 발현되고 이로 인해 발생된 프로스타글란딘은 종양의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혈관생성을 유도하여 종양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대식세포 매개의 염증반응의 조절을 위하여 NO 생성 효소인 iNOS,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의 단계효소인 COX-2와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조절과 이들의 주요 신호전달 분자인 MAPKs와 NF-κB의 활성 조절은 염증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이들의 생성과 생성에 관여되는 효소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 염증 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천연물에 의한 염증성 질환 치료제 및 보조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미세조류 추출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오일을 용매로 하여 미세조류 추출물을 제조할 경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미세조류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9595호(2013.03.2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0575호(2013.03.2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2149호(2018.06.29. 공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산패 및 보관 안정성이 있는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제조된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제조된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산패 및 보관 안정성이 있는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 제조 방법은,
미세조류의 배양액, 농축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세조류의 배양액, 농축액 또는 슬러리에 오일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정치하고 오일층만을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세조류(microalgae)는 담수 및 해양계에 서식하는 단세포 광합성 생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미세조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트리오코커스(Botryococcus) 속, 클로렐라(Chlorella) 속, 두나리에라(Dunaliella) 속, 난노클로롭시스(Nannochloropsis) 속, 스피루나(Spirulina)속, 할로클로로코쿰(Halochlorococcum) 속 등의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미세조류가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상기 미세조류는 난노클로롭시스(Nannochloropsis) 속, 바람직하게는 난노클로롭시스 오셔니카(Nannochloropsis oceanica)이다.
이하,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산패 및 보관 안정성이 있는 미세조류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미세조류의 배양액, 농축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미세조류의 배양액은 미세조류의 특성에 맞는 배양 방법으로 미세조류를 배양하고 미세조류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액상의 물질을 말한다. 상기 미세조류의 농축액은 상기 미세조류의 배양액을 농축한 물질을 말한다. 상기 미세조류의 슬러리는 상기 미세조류의 농축액을 더 농축하여 슬러리 상태로 만든 물질을 만든다.
상기 미세조류의 배양은 배양하고자 하는 미세조류의 특성에 적합한 배양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농축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 예를 들어 회전식 농축기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미세조류의 배양액, 농축액 또는 슬러리에 오일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오일은 식용 곤충 또는 식물로부터 유래된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용 곤충은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갈색거저리 또는 이의 유충, 누에 번데기, 장수풍뎅이 유충, 메뚜기, 귀뚜라미 등이 있다. 상기 식물은 바람직하게 식물 종자이며,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헴프시드, 동백씨, 달맞이꽃씨, 호호바씨, 포도씨, 유채씨 등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상기 오일은 갈색거저리 유충 유래 오일 및 헴프시드 유래 오일을 사용하였다.
이들 식용 곤충 또는 식물 종자 유래 오일은 통상의 제조 방법, 예를 들면 압착법, 유기용매 추출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혼합은 미세조류의 배양액, 농축액 또는 슬러리와 오일을 0.5 내지 1.5: 0.5 내지 1.5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0.8 내지 1.2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1의 중량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미세조류의 배양액, 농축액 또는 슬러리의 함량보다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미세조류의 유용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추출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과도하게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혼합은 바람직하게 교반하면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정치한 후 오일층만을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물을 정치하여 물층 및 오일층으로 분리한 다음 오일층만을 회수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조류 추출물, 즉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은 저온, 상온, 또는 고온 보관시에 안정성을 가져갈 수 있으며, 산패가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미세조류의 추출물은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로서, 본 명세서는 편의상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조류의 추출물을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트리오코커스(Botryococcus) 속, 클로렐라(Chlorella) 속, 두나리에라(Dunaliella) 속, 난노클로롭시스(Nannochloropsis) 속, 스피루나(Spirulina)속, 할로클로로코쿰(Halochlorococcum) 속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난노클로롭시스(Nannochloropsis) 속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난노클로롭시스 오셔니카(Nannochloropsis oceanica) 등이 있다.
상기 오일은 식물, 바람직하게는 식물 종자로부터 유래된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물 종자는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헴프시드, 동백씨, 달맞이꽃씨, 호호바씨, 포도씨, 유채씨 등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상기 오일이 식물 유래 오일인 경우 식용 곤충 유래 오일로 미세조류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포독성이 없으면서 항염증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상기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나, 오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이 항염증용 조성물은 상기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효과인 항염증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은 저온, 상온, 또는 고온에 보관 하더라도 안정성을 가져갈 수 있으며, 산패가 발생하지 않으며, 세포독성이 거의 없고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억제하므로 염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를 위하여 매우 유용한 성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은 염증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또는 식품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증"은 염증유발인자 또는 방사선조사 등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인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염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 또는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염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염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막형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윤활제, 습윤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용제, 좌제, 피부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컨대 완충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유효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여 개체의 몸무게 1㎏ 당 일반적으로 1일 0.01㎎ 내지 5000㎎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기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하여 또는 적당한 집합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염증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염증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하는 방법은,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 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투여량은 1~500㎎/Kg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할 뿐만 아니라 비중 및 산패 실험에서도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혼합량에 큰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어 "기능성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건강식품용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미세조류 오일 조성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식품에는 예컨대,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스낵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 등 모든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세조류 추출물은 보관시에 용이하게 안정성을 가져갈 수 있으며, 산패가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은 면역세포에서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염증의 예방, 치료, 및 개선에 유용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였기 때문에 인체에 안전하게 적용 가능하므로, 염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약학적, 및 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물성 오일 및 식물성 오일을 이용하여 난노클로롭시스 3종 각각에 대한 오일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조군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 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 제조
1-1. 추출물 제조를 위한 오일 제조
본 실험에서 사용한 오일은 동물성 오일로서 동결건조된 갈색거저리 유충 유래 오일을 사용하였으며 식물성 오일로서 헴프시드 유래 오일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동결건조된 갈색거저리 유충과 헴프시드 원물 각각에 20배의 식용 헥산을 가하여 24시간씩 2회 반복하여 오일을 추출한 뒤 감압농축을 진행하여 헥산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농축이 완료된 후 잔류 헥산을 확인하여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하기 미세조류의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1-2.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 제조
난노클로롭시스 오세아니카(Nannochloropsis oceanica)를 배양한 배양액(이하, 배양액이라 함), 상기 배양액을 회전식 산업용 농축기를 이용하여 10배 농축한 농축액(이하, 농축액이라 함), 상기 농축액을 10배 더 농축하여 슬러리 상태로 만든 슬러리(이하, 슬러리라 함)를 준비하였다. 슬러리의 경우 실험에 이용하기 위하여 1:100의 비율로 혼합액을 만든 뒤 시료로 활용하였다.
상기 3종(배양액, 농축액, 슬러리)의 난노클로롭시스 10 mL에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오일 2종(햄프씨드, 갈색거저리 유충) 10 mL을 첨가하여 4℃, 24℃, 및 40℃ 온도 각각에서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140 rpm으로 교반하여 반응시킨 후 물층과 오일층을 분리한 다음 오일층만을 분리 수거하였다. 또한 대조군(control) 시료로 사용하기 위해 난노클로롭시스 슬러리 1 g에 1차 증류수 100 mL을 혼합하여 혼탁액을 제조한 후 에탄올과 1:1로 혼합하였다. 이를 24℃에서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140 rpm으로 교반하며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3종의 난노크로롭시스의 동물성 오일(갈색거저리 유충 오일(Meal Worm Oil); MO) 및 식물성 오일(헴프시드 오일(Hemp Seed Oil); HO)을 이용한 추출물의 추출 조건을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미세조류 추출 오일 4℃ 24℃ 40℃
배양액(S) MO SMO-4 SMO-24 SMO-40
HO SHO-4 SHO-24 SHO-40
농축액(C) MO CMO-4 CMO-24 CMO-40
HO CHO-4 CHO-24 CMO-40
슬러리(CM) MO CMMO-4 CMMO-24 CMMO-40
HO CMHO-4 CMHO-24 CMHO-40
실시예 2: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 확인
2-1.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의 비중을 통한 안정성 확인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을 24시간 동안 정치한 후 오일 추출물의 비중을 비교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은 비중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안정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료 오일 온도 비중
0시간 24시간
배양액 햄프씨드 4℃ 0.91±0.01 0.92±0.01
24℃ 0.91±0.01 0.91±0.01
40℃ 0.92±0.00 0.92±0.00
갈색거저리 유충 4℃ 0.86±0.02 0.87±0.02
24℃ 0.91±0.00 0.90±0.01
40℃ 0.83±0.00 0.84±0.01
농축액 햄프씨드 4℃ 0.84±0.01 0.84±0.01
24℃ 0.83±0.00 0.83±0.01
40℃ 0.83±0.01 0.83±0.01
갈색거저리 유충 4℃ 0.82±0.01 0.82±0.01
24℃ 0.81±0.00 0.81±0.00
40℃ 0.81±0.01 0.81±0.01
슬러리 햄프씨드 4℃ 0.82±0.01 0.81±0.01
24℃ 0.77±0.00 0.78±0.00
40℃ 0.81±0.00 0.80±0.00
갈색거저리 유충 4℃ 0.81±0.01 0.80±0.00
24℃ 0.80±0.01 0.79±0.01
40℃ 0.80±0.00 0.79±0.01
미세조류 슬러리의 주정 추출물 1.02±0.00 1.01±0.01
2-2.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의 안전성 확인
본 실험은 호기성(Aerobic count), 대장균(E. Coli/Coliform) 건조필름배지(사니타군 MC-Media Pad, JNC Corporation, Tokyo, Japan)를 사용하였다. 시료 100 ul, Tween 80용액 100 ul, 그리고 멸균증류수 800 ul를 넣고 혼합하여 혼탁시켰다. 이를 1 mL을 취하여 건조필름배지에 흩뿌린 후 35℃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 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아 상기 실시예 1-2의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은 안전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의 산패 확인
상기 실시예 1-2의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지방 산패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TBARS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 내지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TBARS assay로 측정한 MDA 함량의 결과는 상온에 방치하여 지방 산화를 유도했을 때 미세조류의 슬러리와 농축액에 대한 오일의 온도별 시료 중 저온과 상온에서 햄프씨드 오일의 발색 반응이 동일한 조건의 갈색거저리 오일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온도별 시료 중 고온에서는 미세조류의 슬러리에 대한 갈색거저리 오일과 미세조류의 배양액에 대한 햄프씨드 오일에서 반응이 발생하였다. 또한, 미세조류 슬러리에 대한 주정 추출물은 MDA 함량을 나타내는 발색 반응이 실험 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갈색 거저리 오일의 저온과 상온 추출에서 지방 산패에 대한 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TBARS MDA contents (Day 0)
sample 저온(4℃) 상온(24℃) 고온(45℃)
SMO N.D. N.D. N.D.
CMO N.D. N.D. N.D.
CMMO N.D. N.D. N.D.
SHO N.D. N.D. N.D.
CHO N.D. N.D. N.D.
CMHO N.D. N.D. N.D.
sample Concentration (μg/mL)
100 300 1000 2000 3000
슬러리 주정 추출물 N.D. N.D. 11.89±0.97 32.44±0.32 35.18±0.80
N.D.:Not Detection
TBARS MDA contents (Day 3)
sample 저온(4℃) 상온(24℃) 고온(45℃)
SMO N.D. 1.09±0.16 2.65±0.06
CMO N.D. N.D. N.D.
CMMO N.D. N.D. N.D.
SHO N.D. 0.15±0.16 N.D.
CHO 1.61±0.06 N.D. N.D.
CMHO N.D. N.D. N.D.
sample Concentration (μg/mL)
100 300 1000 2000 3000
슬러리 주정 추출물 N.D 0.65±0.16 19.11±0.53 29.34±0.10 40.17±1.14
N.D.:Not Detection
TBARS MDA contents (Day 7)
sample 저온(4℃) 상온(24℃) 고온(45℃)
SMO N.D. N.D. N.D.
CMO N.D. N.D. N.D.
CMMO N.D. N.D. N.D.
SHO N.D. N.D. N.D.
CHO N.D. N.D. N.D.
CMHO N.D. N.D. N.D.
sample Concentration (μg/mL)
100 300 1000 2000 3000
슬러리 주정 추출물 N.D. N.D. 5.97±0.33 22.49±1.13 29.90±0.44
N.D.:Not Detection
TBARS MDA contents (Day 10)
sample 저온(4℃) 상온(24℃) 고온(45℃)
SMO N.D. N.D. 5.44±0.47
CMO N.D. N.D. N.D.
CMMO N.D. N.D. N.D.
SHO 2.11±0.06 2.91±0.26 N.D.
CHO 0.83±0.06 3.46±0.16 N.D.
CMHO N.D. N.D. 0.11±0.16
sample Concentration (μg/mL)
100 300 1000 2000 3000
슬러리 주정 추출물 N.D. N.D. 7.20±0.12 13.37±0.48 18.35±0.00
N.D.:Not Detection
실시예 4: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TCC)에서 분양받아 10% FBS(fetalbovine serum), 1% 항생제, 2-ME(2-mercaptoethanol)를 함유한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37℃, 4% CO2에서 조절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마우스의 대식세포주 RAW264.7를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5 X 104 cells/100 μl씩 분주한 뒤,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LPS (lipopolysaccharide)를 1 μg/ml 농도로 처리한 후 1시간 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상기 실시예 1-2의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 상층액을 각각 100 μl씩 제거하고, CCK-8 시약을 10 μl씩 처리하여 3시간 CO2 배양한 뒤에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7 내지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4℃, 24℃, 40℃ 그룹 중 SMO, CMO, CMMO 그룹의 0.5% 첨가량 조건에서 약 90% 이상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표 7 내지 9 참조).
oil percentage
Control LPS 4℃
1 μg/ml 0.05% 0.1% 0.5%
100.00±0.5 106.88±0.2 DMSO:oil 107.24±0.0 108.27±0.3 99.78±2.6
SMO 100.58±1.3 110.99±0.3 3.73±0.0
CMO 109.27±0.5 110.07±1.1 3.74±0.1
CMMO 102.89±4.4 109.97±0.3 3.57±0.0
SHO 108.63±0.5 108.34±0.7 107.03±0.3
CHO 106.49±0.5 107.85±0.6 102.71±0.3
CMHO 109.69±0.8 106.46±4.3 107.59±1.6
oil percentage
Control LPS 24℃
1 μg/ml 0.05% 0.1% 0.5%
100.00±0.5 106.88±0.2 SMO 109.50±0.1 108.83±0.4 4.23±0.2
CMO 110.84±1.1 111.97±0.5 3.83±0.1
CMMO 109.97±0.2 108.27±0.2 4.06±0.1
SHO 107.66±1.1 112.28±0.3 111.09±0.2
CHO 112.37±0.3 113.55±1.5 112.54±0.9
CMHO 110.48±0.4 111.77±0.1 112.86±0.0
oil percentage
Control LPS 40℃
1 μg/ml 0.05% 0.1% 0.5%
100.00±0.5 106.88±0.2 SMO 112.77±0.1 115.80±0.1 4.58±0.0
CMO 113.64±0.4 113.65±0.2 4.20±0.0
CMMO 113.51±0.2 115.01±1.1 3.99±0.1
SHO 112.65±0.3 111.84±0.1 112.37±0.6
CHO 113.09±0.5 112.09±0.0 110.32±0.1
CMHO 110.32±0.1 111.28±0.4 112.79±0.1
실시예 5: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실험
대식세포에서는 LPS와 같은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NO를 분비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생성하고,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병리적인 반응이 일어난다.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을 처리하여 항염증 효능을 조사하였다.
안정화된 NO 산화물인 NO2 (Nitrite)는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마우스의 대식세포주(RAW264.7)를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5 X 104 cells/100 μl씩 분주한 뒤,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LPS (lipopolysaccharide)를 1μg/ml 농도로 처리하고 1시간 동안 CO2 배양한 뒤 준비한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그 다음 각 배양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여기에 동량의 Griess 시약 (0.1% N-1-naphtyl-ethylendiamine in H2O : 1% sulfanilamide in 5% H3PO4 = 1 : 1)을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2 (Nitrite)의 농도는 NaNO2 (sodium nitrite)를 100 μM에서부터 0.7 μM 까지 2배씩 희석하여 얻은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LPS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 내지 1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4℃ 그룹의 경우, SHO, CHO, 그리고 CMHO 그룹의 0.5% 첨가량 조건에서 약 49%-81% NO 생산을 억제하였다. 24℃ 그룹의 경우, SHO, CHO, 그리고 CMHO 그룹의 0.5% 첨가량 조건에서 약 42% 내지 78% NO 생산을 억제하였다. 40℃ 그룹의 경우, SHO, CHO, 그리고 CMHO 그룹의 0.5% 첨가량 조건에서 약 40% 내지 58% NO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oil percentage
Control LPS 4℃
1 μg/ml 0.05% 0.1% 0.5%
N.D. 7.53±0.2 DMSO:oil 6.78±0.2 7.10±0.0 7.80±0.1
SMO 6.18±0.1 6.83±0.7 0.84±0.8
CMO 6.45±0.5 6.72±0.1 4.03±0.1
CMMO 7.53±0.3 6.40±0.1 4.24±0.1
SHO 6.51±0.4 6.72±0.2 3.87±0.0
CHO 6.56±0.3 6.40±0.2 1.65±0.5
CMHO 6.67±0.2 6.56±0.2 1.44±0.2
N.D.:Not Detection
oil percentage
Control LPS 24℃
1 μg/ml 0.05% 0.1% 0.5%
N.D. 7.53±0.2 SMO 6.67±0.2 6.45±0.2 1.28±0.6
CMO 6.45±0.3 6.62±0.1 3.06±0.1
CMMO 6.56±0.2 6.45±0.2 4.19±0.0
SHO 6.72±0.2 6.67±0.2 4.40±0.3
CHO 6.24±0.2 6.51±0.1 1.65±0.1
CMHO 6.08±0.2 6.08±0.4 1.71±0.3
N.D.:Not Detection
oil percentage
Control LPS 40℃
1 μg/ml 0.05% 0.1% 0.5%
N.D. 7.53±0.2 SMO 6.51±0.5 6.51±0.2 1.22±0.4
CMO 6.99±0.2 6.24±0.0 4.57±0.4
CMMO 6.83±0.1 6.45±0.2 3.81±0.1
SHO 7.21±0.3 7.10±0.2 4.30±0.2
CHO 7.16±0.4 6.56±0.2 4.57±0.2
CMHO 6.72±0.7 5.70±0.5 3.16±0.1
N.D.:Not Detection

Claims (10)

  1. 미세조류의 배양액, 농축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미세조류의 배양액, 농축액 또는 슬러리에 오일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정치하고 오일층만을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미세조류 추출물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는 보트리오코커스(Botryococcus) 속, 클로렐라(Chlorella) 속, 두나리에라(Dunaliella) 속, 난노클로롭시스(Nannochloropsis) 속, 스피루나(Spirulina)속, 또는 할로클로로코쿰(Halochlorococcum) 속 미세조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추출물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갈색거저리 유충 유래 오일 또는 헴프시드 유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추출물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 추출물은 산패 안정성이 있고,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 제조 방법.
  5. 난노클로롭시스(Nannochloropsis) 속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식물 종자 유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난노클로롭시스(Nannochloropsis) 속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식물 종자 유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난노클로롭시스(Nannochloropsis) 속 미세조류의 오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식물 종자 유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00052610A 2020-04-29 2020-04-29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10134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610A KR20210134142A (ko) 2020-04-29 2020-04-29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610A KR20210134142A (ko) 2020-04-29 2020-04-29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142A true KR20210134142A (ko) 2021-11-09

Family

ID=7848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610A KR20210134142A (ko) 2020-04-29 2020-04-29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414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595A (ko) 2011-09-15 2013-03-2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KR20130030575A (ko) 2011-09-19 2013-03-2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난노클로롭시스 오큐라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80072149A (ko) 2016-12-21 2018-06-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노클로롭시스 오세아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595A (ko) 2011-09-15 2013-03-2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KR20130030575A (ko) 2011-09-19 2013-03-2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난노클로롭시스 오큐라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80072149A (ko) 2016-12-21 2018-06-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난노클로롭시스 오세아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5450B1 (en) Anti-stress composition
KR102207995B1 (ko) 여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00089785A (ko)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0738B1 (ko) 미세조류 유래 색소를 추출하는 방법 및 추출된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11836A (ko)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06720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황기 뿌리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KR102247810B1 (ko) 락토바실러스 속 sdcm 1003 및 sdcm 1105의 혼합 균주, 그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73251A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JP2007131579A (ja) 生理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Dacasin et al. The potential use of virgin coconut oil as an adjunctive treatment for COVID-19: A review
KR102368892B1 (ko) 약난 및 진득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481102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10134142A (ko)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58022B1 (ko) 백산차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JP2019062741A (ja) 膵リパーゼ阻害用組成物及び膵リパーゼ阻害用組成物の製造方法
JPWO2012043743A1 (ja) 抗菌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KR101080927B1 (ko) 모감주나무의 꽃(난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102023053B1 (ko) 붉은 멍게 튜닉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JP5311364B2 (ja) 抗炎症用組成物
JP2007176816A (ja) 炎症性サイトカイン抑制作用を呈するベータ−アミリン誘導体、それからなる食品製剤、化粧品及び抗炎症剤
KR102600557B1 (ko) 나한송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JP2005089385A (ja) リポキシゲナーゼ阻害剤
KR102351088B1 (ko)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20200011166A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