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595A -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595A
KR20130029595A KR1020110092949A KR20110092949A KR20130029595A KR 20130029595 A KR20130029595 A KR 20130029595A KR 1020110092949 A KR1020110092949 A KR 1020110092949A KR 20110092949 A KR20110092949 A KR 20110092949A KR 20130029595 A KR20130029595 A KR 20130029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algae
fmp
fermentation
cells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191B1 (ko
Inventor
정원교
천충길
정상화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1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조류를 효모에 의해 발효시켜 그의 물질 조성 및 아미노산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항산화 특성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그의 항산화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Fermented microalgae for antioxidant effect and a functional produc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조류 발효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세조류인 하프토조류(Haptophyceae)를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 효모에 의해 발효시켜 물질 조성 및 아미노산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항산화 특성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발효물, 그의 항산화 용도 및 상기 미세조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의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리 라디칼 및 반응성 산소 종(ROS)은 활성화된 산소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주로 생물학적 반응 또는 외인성 요인의 산화에 의해 종종 생성된다. ROS는 살아있는 생물에서 일부 분자와 쉽게 반응할 수 있는 일종의 반응성 분자로, 신경퇴행성 질환, 암, 죽상 경화증, 백내장 및 심혈관 질환과 같은 여러 종류의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중요한 원인 인자이다. 최근, ROS에 의해 야기되는 여러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서 효과적인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항산화제는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산화 손상 방어 및 세포의 주요 신호화 경로 참여를 비롯한 여러 기능을 갖는다. 세포에서 항산화제의 주요 작용중 하나는 반응성 산소 종이 작용하여 야기되는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최근, 항산화제는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과 같은 산화성(oxidizable) 제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첨가제로 이용된다.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육상 식물에서 추출하여 정화된 화합물에 집중되어 있다.
해양 미세조류는 단백질, 지질, 비타민 및 기타 영양 보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주로 건강식품으로 가공, 판매된다. 또한,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수소 생산 및 연료 가스로부터 CO2를 제거하는 것과 관련된 용도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약물학적 활성 물질의 유용한 신규 공급원으로서 미세조류가 보고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보트리오코쿠스 브라우니이(Botryococcus braunii), 클로렐라 종, 두나리엘라 프리모렉탈(Dunaliella primolectal), 난노클로리스 종(Nannochloris sp .), 네오클로리스 올레오어번단스(Neochloris oleoabundans) 및 파리에토클로리스 종(Parietochloris sp)과 같은 미세조류가 적절한 조건 하에서 세포 내에 고 함량의 단백질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해양 미세조류 공급원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미세조류 원료로부터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발효는 음식 생산 및 보존을 위한 가장 오래되고 경제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식품 가공에서 효모, 세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이산화탄소를 무산소 조건 하에 변환시킨다. 또한, 발효는 수송할 재료의 부피를 줄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구성성분을 파괴시키며 음식의 영양학적 가치와 외관을 향상시키고 요리에 필요한 에너지를 줄이며 안전한 제품을 만드는 자연적 방법이다. 단백질분해(proteolysis)는 발효중에 폴리펩타이드, 보다 작은 펩타이드, 아미노산 및 아민으로 주로 구성된 작은 분자를 형성하는데 수반되는 주된 생화학 현상이다. 발효 반응은 내인성 효소의 결과이며, 미생물 유형에 영향을 받는다.
선행기술 중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99730000호 (등록일: 20090316)'미세녹조류를 이용한 항산화, 주름개선, 항여드름ㆍ항염증및 미백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서 미세녹조류인 테트라셀미스 수에시카(Tetraselmis suecica)의 항산화 효능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74270000호 (등록이: 2011.08.10) '신규한 패 유래 이시고사이드 화합물'에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갈조류 패 유래의 화합물인 1,2-디-O-팔미토일-3-O-(6-데옥시-6-아미노)-α-D-글루코피라노실-글리세롤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미세조류를 발효시켜 항산화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연구결과는 아직까지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99730000호 (등록일: 2009.03.16, 공개번호 제20090025431호, 공개일: 2009.03.11)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74270000호 (등록일: 2011.08.10, 공개번호 제20100039105호, 공개일: 2010.04.15)
본 발명에서는 해양 미세조류인 하프토조류를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효모에 의해 발효시킨 미세조류 발효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세조류 발효물의 항산화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세조류 발효물을 함유한 항산화 활성의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해양 미세조류인 하프토조류를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효모에 의해 발효시켜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미세조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양 미세조류는 바람직하게는 파블로바(Pavlova)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블로바 루테나(Pavlova luthena)이다.
해양 미세조류 파블로바는 먹이그물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차지하는 구성요소중 하나이고, 해양과학업계에서는 파블로바의 계절적 풍도(abundance), 변동 및 증식률에 대하여 중점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파블로바 종은 성장 단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세포 유형에 따라 2개 군으로 분리된다. 즉, 대부분의 단계에서 운동성 세포로 존재하는 제1 군은 파블로바 헬리카타(P. helicata), 파블로바 루테리(P. lutheri) 및 파블로바 살리나(P. salina) 등으로 구성되는데, 마지막 종의 경우에는 2개월 이상된 배양물 및 아가 상에서 증식한 배양물에서는 비-운동성 세포가 발견된다. 대부분의 단계에서 비-운동성 세포로 존재하는 또 다른 제2 군은 팔멜로이드(palmelloid) 콜로니를 형성하고, 파블로바 엔노레아(P. ennorea), 파블로바 그라니페라(P. granifera) 및 파블로바 비레센스(P. virescens) 등으로 구성된다. 파블로바 루테리(P. lutheri)는 일반적으로 양식장에서 해양생물 사료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senula polymorpha : Pichia angusta)는 메탄올자화(methylotrophic) 효모 종에 속한다. 메탄올자화 효모에는 칸디다 보이디니이(Candida boidinii), 피치아 메탈로리카(Pichia methanolica), 피치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및 한세눌라 폴리모르파가 포함된다. 한세눌라 폴리모르파는 분류학상으로 사카로미세스 목(Saccharomycetaceae) 계열의 종이며, 그의 특이한 특성으로 인해 단백질, 특히 당뇨병 치료용 인슐린, B형 간염 백신 또는 C형 간염 치료용 IFNα-2a와 같은 의약품의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조류 하프토조류 분말에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효모를 첨가하여 미세조류 용액을 수득하고, 여기에 배양액을 첨가하여 배양한 후에 발효된 미세조류를 동결건조시킴으로써 미세조류 발효물(Fermented Microalgae Preparation: FMP)이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발효물은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효모에 의해 적은 분자량의 단백질 및 펩타이드를 생성시켜, 소정의 변화 및 아미노산 함량 변화를 초래한다. 미세조류 발효물은 아미노산 조성 측면에서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발린,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히스티딘 및 아르기닌이 증가하지만, 글리신, 프롤린, 세린 및 라이신은 감소한다(하기 표 2 참조). 미세조류 발효물의 아미노산 조성에 존재하는 Leu, Val 및 Ala와 같은 소수성 아미노산이 라디칼 소거 특성에 유리하고, 리놀레산 모델 시스템에서 테스트된 지방산 산화 억제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에서 Glu, Leu 및 His의 적절한 위치가 라디칼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FMP의 라디칼 소거 활성은 발효 동안에 유래된 펩타이드의 생물물리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FMP의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널리 알려진 다중불포화 지방산(PUFA)인 리놀레산을 배양하여 암실에서 물/에탄올 유화액에서 자가산화시킨다. 상기 모델 시스템에서, 기존의 지질 퍼옥사이드로부터 유래된 퍼옥실(ROO·) 및 알콕실(RO·) 라디칼은 유화된 리놀레산 시스템에서 지질 과산화를 개시시키기 위해 직접 이용된다. DPPH는 안정한 유리 라디칼로, 전자 또는 수소 라디칼을 받아들여서 안정한 반자성 분자가 된다. 따라서, DPPH는 중성 기질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질로 종종 사용된다.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다양한 생물학적 손상 및 지질 과산화 개시를 일으키는 주요한 반응성 산소 종이다. Fenton 시스템(Fe2 +/H2O2)에서 생성된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DMPO에 트래핑(trapping)되어, ESR 분광계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스핀 부가물을 형성하고, ESR 신호는 DMPO-OH와 경쟁하는 OH 소거제의 존재하에 억제된다.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은 체내에서 발생하는 산화 반응 동안에 생성된다. 이는 약한 산화제이지만, 철 및 구리와 같은 금속 존재하에 강력하고 위험한 하이드록실 라디칼로 변형될 수 있어서 세포 손상 및 ROS-관련 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알킬 라디칼은 수용성 퍼옥실 라디칼 개시제인 AAPH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되고, 이어서 4-POBN에 의해 ESR 신호 수치가 감소한다. 본 발명에서는 FMP의 유리 라디칼 활성 소거능 평가를 위해 DPPH, 수산기,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및 알킬 라디칼을 비롯한 4종의 전형적인 유리 라디칼이 사용되고, 그 결과, FMP는 하이드록실 및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에 대해 강한 소거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FMP의 항산화 효과를 in vitro 실험을 통해 제공한다. 마우스 마크로파지(RAW264.7)를 과산화수소로 처리한 후에, 세포내 산화 스트레스를 관측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DCFH-DA를 이용하여 세포내 ROS를 측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FMP를 0.01 내지 99중량%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MP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FMP 또는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담당 의사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FMP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캡슐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향미제, 착색제,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풍부한 미세조류인 하프토조류를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효모로 발효 처리함으로써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갖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ferric thiocyanate 방법에 의해 측정된 리놀레산 유화 시스템중 FMP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ESR 분광계에 의해 측정된, 다양한 농도의 FMP 존재하에 유리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RAW264.7, HL60 및 MRC-5 세포에 대한 FMP의 세포적합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0.1, 0.5 및 1 mg/mL 농도의 FMP의 세포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HL60 세포에서 FMP에 의한 미엘로퍼옥시다아제(MPO) 억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0.1, 0.5 및 1 mg/mL 농도의 FMP가 RAW264.7 세포에서 과산화수소-유도된 항산화 효소에 갖는 영향을 H2O2 단독 처리된 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된 파블로바 루테리(KMCC H-006)는 한국해양미세조류은행(Korea Marine Microalgae Culture Center)에서 공급받았다. 생명자원관리본부(Korea Biological Resource Center)에서 입수한 한세눌라 폴리모르파(KCTC 7538)는 표준 F/2(Guillard) 배지에 보관하였다. 37℃에서 8시간동안 기질/효소의 비를 100:1 (w/w)로 조정하며 셀룰로오즈에 의해 세포 벽을 분해시켰다(pH 6.0). 마우스 마크로파지(RAW264.7), 인간 태아의 폐 섬유아세포(MRC-5) 및 인간 골수세포 (HL60) 세포주는 아메리칸 타입 오브 컬쳐 컬렉션(American Type of Culture Collection)(미국 버지니아주 매너새스 소재)에서 입수하였다.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MEM), RPMI 1640 배지, 트립신-EDTA, 페니실린/스트렙토 마이신/앰포테리신(각각 10,000 U mL-1, 10,000 μg mL-1 및 2500 μg mL-1) 및 소태아 혈청(FBS)은 깁코 비알엘, 라이프 테크놀러지스(Gibco BRL, Life Technologies)(미국)에서 입수하였다. MTT (3-(4,5-다이메틸-2-일)-2,5-다이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시약, 5,5-다이메틸-1-피롤리딘-N-옥사이드(DMPO), α-(4 -피리딜-1-옥사이드)-N-3급-부틸니트론(4-POBN),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AAPH) 및 미엘로퍼옥시다아제(MPO)를 시그마 케미칼 캄파니(Sigma Chemical Co.,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에서 구입하였다. 2',7'-다이클로로플루오레신 다이아세테이트(DCFH-DA) 및 모노브로모바만을 몰레큘러 프로브스(Molecular probes, 미국 오레곤주 유진 소재)에서 구입하였다. 웨스턴 블롯 분석에 사용된 일차 및 이차 항체는 산타 크루즈 바이오테크놀러지 잉크(Santa Cruz Biotechnology Inc.,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크루즈 소재) 및 아머샴 파마시아 바이오사이언스이즈(Amersham Pharmacia Biosciences, 미국 뉴저지주 피스카타웨이 소재)에서 각각 구입하였다. 다른 화학약품 및 시약은 시판되는 분석용 등급이었다.
제조예 1: 미세조류 발효물의 제조 및 분석
미세조류 발효물을 제조하기 위해, 미세조류 분말을 1:15 (w/v)의 비로 Sodium phosphate 완충액(pH 7)에 첨가하고, 미세조류 양에 근거한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용액(500:1)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발효를 도왔다. 121℃에서 30분동안 가압멸균처리(autoclaving)한 후에, 미세조류 용액을 수득하고, 이 용액에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BJ20 (수탁번호 KCTC 11377BP) 배양액을 1 % (v/v) 농도로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하고, 37 ℃에서 3일, 6일 및 12일동안 배양하였다. 모든 회수된 미세조류 발효물(FMP)을 동결건조하여 사용시까지 -80℃ 로 보관하였다.
FMP의 수분, 회분,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은 AOAC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결정하고, 탄수화물 함량은 페놀-황산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미세조류 및 미세조류 발효물(FMP)의 수분, 조 단백질, 조 지질, 회분, 탄수화물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조성 함량 (%)
발효 전 발효 (12일) 후
수분 17.53 ±0.07 13.03 ±0.05
회분 36.58 ±0.04 18.61 ±0.01
조 지질 14.86 ±0.03 11.27 ±0.04
조 단백질 23.27 ±0.07 35.20 ±0.01
조 탄수화물 8.71 ±0.05 20.8 ±0.04
전체 100 100
상기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발효 동안에 수분 함량은 17.53 %에서 13.03 %로 변하였고, 조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함량은 12일동안 35.20 % 및 20.8 %까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효모 작용에 의한 것이며, 작은 단백질과 펩타이드가 생성되었다. 그러나, 조 지질 및 회분 함량은 각각 36.58%에서 18.61%로, 또한 14.86%에서 11.27%로 감소하였다.
동결 건조된 FMP (20 mg, 12일)을 110℃ 진공에서 0.1% 티오글리콜산을 함유하는 6 N HCl에서 24시간동안 가수분해하였다. 페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에 의해 유도된 아미노산을 동정하고, 자동 아미노산 분석기 (Biochrom 20, 파마시아 바이오텍(Pharmacia Biotech), 영국 소재)를 사용하여 계량하고, 미세조류 및 FMP의 아미노산 조성 비율은 하기 표 2에 요약하였다.
아미노산 파블로바 루테리 (시료중 %)
발효 전 발효 후
Asp. 5.88 7.95
Thr. 4.52 4.63
Ser. 4.48 2.8
Glu. 10.3 10.13
Pro. 6.33 3.67
Gly. 9.4 4.41
Ala 9.39 9.82
Val. 7.25 9.25
Ile. 5.98 5.85
Leu. 10.24 12.93
Tyr. 2.85 3.07
Phe. 6.12 7.17
His. 3.91 4.44
Lys. 7.54 6.38
Arg. 5.63 7.5
전체 100% 100%
상기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발효 전에 비해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발린, 류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히스티딘 및 아르기닌이 증가하고, 글리신, 프롤린, 세린과 라이신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1: 전체 항산화 활성의 결정
전체 항산화 활성은 오사와(Osawa) 및 나미키(Namiki)의 방법에 따라 리놀레산 모델 시스템에서 측정하였다. 즉, FMP (1.3 mg, 3, 6, 12일)를 물에 용해시키고, 리놀레산 0.13 mL 및 99.5% 에탄올 10 m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증류수를 이용하여 전체 부피를 25 mL로 조정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스크류 캡(screw cap)이 있는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암실 40±1℃에서 배양하고, ferric thiocyanate 값을 측정하여서 산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리놀레산 모델 시스템에서 배양된 반응 용액 (100 ㎕)을 75 % 에탄올 4.7 mL, 30 % 암모늄 티오시아네이트 0.1 mL, 3.5% HCl 중 2 x 10-2 M 염화철 용액 0.1mL와 혼합하였다. 3분 후에, 500nm 흡광도를 읽어서 티오시아네이트 값을 측정하고, 40±1℃에서 배양 기간동안 상이한 간격으로 FeCl2 및 티오시아네이트에 의한 발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고, 여기서 낮은 흡광도는 보다 높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배양 7 일후에는 리놀레산의 이용불가능성 때문에 과산화물 형성이 중단되었다. 또한, 중간 생성물은 안정한 말단 생성물로 전환되어 Fe2 + 산화를 중단시켰다. FMP (12 일) (78.5 %) 및 α-토코페롤 (78.6 %)은 7일 후에 대조군에 비해 FMP (6 일) (73.5 %) 및 FMP (3 일) (69.4 %)에서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후속 실험에서는 강한 항산화제로 증명된 FMP (12 일)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전자 스핀 공명( ESR ) 분광계에 의한 유리 라디칼 소거 활성의 측정
최근에, 전자 스핀 공명(ESR) 분광계는 반응에 남아있는 라디칼 농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가장 유용한 분광계이다. 따라서, JES-FA 전자 스핀 공명 (ESR) 분광계 (JEOL Lts., 일본 동경 소재)를 사용하여 DPPH, 하이드록실, 수퍼옥사이드 및 알킬 라디칼에 대한 소거 효과에 의해 FMP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라디칼 소거 활성은 하기 수식으로 계산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H 및 H0는 시료를 갖는 라디칼 신호 및 시료를 갖지 않는 라디칼 신호 각각의 상대 피크 높이이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Nanjo 등(1996)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30 ㎕ FMP 용액 (또는 대조군으로서 물 자체)을 에탄올 용액중 DPPH 30 ㎕ (60 μM)에 첨가하였다. 10초동안 격렬하게 혼합한 후에, 상기 용액을 100㎕ 석영 모세관으로 옮기고, JES-FA ESR 분광계(JEOL Lts., 일본 동경 소재)를 이용하여 DPPH 라디칼에 대한 FMP의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정확히 2분 후에, ESR 분광계 상에서 스핀 부가물을 측정하였다.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자기장 336.5±5 mT; 전력 5 mW; 변조 주파수 9.41 GHz; 진폭 1 x 1000; 스위프(sweep) 시간 30초.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철-촉매화된 Fenton Haber-Weiss 반응에 의해 생성시키고, 생성된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니트론 스핀 트랩(nitrone spin trap) DMPO와 신속하게 반응하였다. 생성된 DMPO-OH 부가물을 ESR 분광계로 검출하였다. FMP 용액(20㎕)을 인산염 완충액(pH 7.4) 중 DMPO (0.3 M, 20 ㎕), FeSO4 (10 mM, 20 ㎕) 및 H2O2 (10 mM, 20 ㎕)와 혼합하고, 이어서 100 μL들이 석영 모세관으로 옮겼다. 2.5분 후, ESR 분광계를 사용하여 ESR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자기장 336.5 ± 5 mT; 전원 1 mW; 변조 주파수 9.41 GHz; 진폭 1 × 200; 스위프 시간 4 분.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 활성
UV 조사된 리보플라빈/EDTA 시스템에 의해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을 생성시켰다. 0.3 mM 리보플라빈 (20 ㎕), 1.6 mM EDTA (20 ㎕), 800 mM DMPO (20 ㎕) 및 지시 농도의 FMP 용액 (20 ㎕)을 함유한 반응 혼합물에 UV 램프 하에 365 nm을 1분동안 조사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측정을 위해 ESP 분광계의 100 ㎕들이 석영 모세관으로 옮겼다. 이용된 실험 조건은 하기와 같았다: 자기장 336.5 ± 5 mT; 전원 10 mW; 변조 주파수 9.41 GHz; 진폭 1 × 1,000; 스위프 시간 1 분.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퍼옥실 라디칼 소거 분석
히라모토(Hiramoto) 등(1993)의 방법에 따라 퍼옥실 라디칼을 생성시켰다. 40 mM의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다이하이드로클로라이드(AAPH) 20 ㎕를 PBS 완충액 20㎕, 40 mM 4-POBN 20 ㎕ 및 FSM 용액 20 ㎕와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볼텍스(vortex) 처리하고, 30분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밀폐 모세관으로 이동시키고, 스핀 부가물을 제어된 분광 조건하에 기록하였다: 변조 주파수 100 kHz; 마이크로파 전력 10 mW; 마이크로파 주파수 9,441 MHz; 자기장 336.5±5 mT 및 스위프 시간 30초.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퍼옥실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FMP는 다양한 농도(1, 0.5 및 0.1mg/mL)에서 DPPH, 하이드록실, 수퍼옥사이드 및 알킬 라디칼의 소거에 있어서 각각 72.4% (DPPH, 1 mg/mL), 93.5 % (하이드록실, 1 mg/mL), 94 % (수퍼옥사이드, 1 mg/mL) 및 84 % (알킬, 1 mg/mL) 소거율을 가져서 유의한 효능(p < 0.05)을 갖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FMP은 DPPH 소거 활성에 대해서 0.257 mg/mL, 하이드록실 소거 활성에 대해서 0.024 mg/mL, 수퍼옥사이드 소거 활성에 대해서 0.064 mg/mL 및 알킬 라디칼 소거 활성에 대해서 0.187 mg/mL의 IC 50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세포 배양 및 생존도 결정
백혈구 세포주(HL60), RAW264.7 및 MRC-5를 10% 소태아 혈청, 2 mM 글루타민 및 100 μg/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한 DMEM 배지에서 5 % CO2 및 37 ℃ 가습 분위기에서 증식시켰다.
세포 독성은 Hansen 등(1989)에 기재된 MTT (3-(4,5-다이메틸-2-일)-2,5-다이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를 5 x 103 세포/웰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증식시켰다. 24 시간 후에, 세포를 새로운 배지로 세척하고, 상이한 농도의 FMP로 처리하였다. 48 시간 배양 후에, 세포를 재세척하고, MTT 100㎕ (1mg/mL)를 첨가하고, 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최종적으로, DMSO (150㎕)를 첨가하여 형성된 포르마잔 염을 용해시키고, GENios(등록상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테칸 오스트리아 게엠베하(Tecan Austria GmbH), 오스트리아 소재)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OD를 측정하여 포르마잔 염의 양을 결정하였다. 상대 세포 생존도는 포르마잔 염으로 전환된 MTT 양에 의해 결정하였다. 세포 생존도는 대조군 대비 백분율(처리 세포의 OD - 블랭크 OD/대조군 OD - 블랭크 OD x 100%)로 정량화하였고, 투여량 반응 곡선을 작성하였다. 상기 데이터는 적어도 3회의 별개 실험의 평균값으로 표기되고, P < 0.05가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FMP는 0.1 내지 2 mg/mL의 다양한 농도에서 상기 3가지 테스트된 배양 세포주에 대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4: DCFH - DA 라벨을 이용한 세포내 반응성 산소 종( ROS ) 형성의 결정
세포내 반응성 산소 종(ROS)의 형성은 산화 민감성 염료인 2',7'-다이클로로플루오레신 다이아세테이트(DCFH-DA)를 기질로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Okimotoa, Watanabea, Nikia, Yamashitab & Noguchia, 2000).
형광 미세적정 96-웰 플레이트에서 증식하고 있는 RAW264.7 세포에 HBSS 중 20μM DCFH-DA를 로딩(loading)하고, 상기 세포를 암실에서 20분동안 배양하였다. 비형광성 DCFH-DA 염료는 세포내로 자유롭게 침투하여, 세포내 에스테라아제에 의해 2',7'-다이클로로플루오레신(DCFH)으로 가수분해되고 세포 내에 트래핑(trapping)된다. 이어서, 세포를 상이한 농도(1, 0.5 또는 0.1 mg/mL)의 테스트 화합물로 처리하고,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한 후에, HBSS에 용해된 300μM H2O2를 세포에 첨가하였다. 다양한 ROS 존재하에 DCFH 산화로 인한 2',7'-다이클로로플루오레신(DCF)의 형성을 485 nm 여기 파장(Ex: excitation wavelength) 및 535 nm 방출 파장(Em: emission wavelength)에서 GENions(등록상표)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테칸 오스트리아 게엠베하, 오스트리아)를 이용하여 30분마다 읽었다. 처리 군의 투여량 의존적 및 시간 의존적 효과를 도 4 그래프에 표시하고, 대조군 및 블랭크 군의 형광 강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FMP를 이용한 전배양은 DCF 형광을 투여량- 및 시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60분 배양한 후에 FMP는 0.1 mg/mL의 최저 농도에서도 상당한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1 mg/mL의 최고 농도에서 FMP는 배양 시간동안 ROS를 유의하게 소거시켰다. 200분 배양 후에, FMP는 1 mg/mL 농도에서 ROS 생성을 86.8% 감소시켰다. 상기 결과는 FMP의 항산화 활성이 세포 ROS의 직접적인 소거에 의해 야기됨을 나타낸다. 따라서, FMP는 세포 ROS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항산화제가 될 수 있다.
실험예 5: 미엘로퍼옥시다아제 ( Myeloperoxidase ) 활성 분석
미엘로퍼옥시다아제는 비특이적 면역 방어 시스템 중심에 연결된 미생물 효소로 오랫동안 간주되어 온 백혈구 유래의 헴 퍼옥시다아제(heme peroxidase)이다. 조직의 MPO 함량을 결정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방법은 호중구 침윤 정도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에서는 가장 강력한 산화제인 하이포아염소산(HOCl)의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 염화물 및 H2O2를 사용하며, 상기 하이포아염소산은 미생물 살처리 및 이후 숙주조직의 산화적 손상 둘다에 일조하여 중증 염증 질환을 유발한다.
HL60 인간 프로(PRO)미엘로퍼옥시다아제 세포에 의해 배출되는 미엘로퍼옥시다아제(MPO)의 양을 O-다이아니시딘 방법(Worthing 1972)을 약간 변형시켜 결정하였다. HL60 세포를 페놀 레드 및 FBS없이 RPMI-1640에 현탁시키고, 96-웰 플레이트에 씨딩(seeding)하였다. 다양한 농도(1, 0.5, 0.1 mg/mL)의 FMP와 함께 세포를 30분동안 전배양하고, TNF-α (0.05 μg/mL)로 37℃에서 30분동안 자극시켰다. 이어서, 0.1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6.0)중 1 mM H2O2 0.05 mL 및 탈이온수중 (새로 제조된) 0.02 M O-다이아니시딘 0.05 mL를 함유하는 분석 혼합물과 함께 세포를 첨가하였다. 배출되는 MPO 양을 분광계에서 460 nm로 측정하고, 미처리된 블랭크 군과 비교한 흡수도 값으로 MPO 활성을 그래프에 표시하였다(도 5 참조).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FMP는 TNF-α-자극된 대조군에 비해 MPO 활성을 감소시켰다. MPO 활성은 서로 다른 농도의 전처리에 의해 투여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FMP의 억제 활성은 50.4 % (1 mg/mL), 33.0 % (0.5 mg/mL) 및 15.3 % (0.1 mg/mL)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FMP가 살아있는 세포 시스템에서 간접 방법을 통해 세포의 항산화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6: 웨스턴 블롯 분석
퇴행성 관절염의 산화적 스트레스의 병인 중요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산화적 스트레스는 많은 질환에서 산화 스트레스 징후 증가 및 신체의 자연 항산화제, 예컨대 SOD 및 GSH의 낮은 농도와 관련된다. SOD-1은 수퍼옥사이드의 유해한 반응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주요한 항산화 효소중 하나이며, 세포를 수퍼옥사이드 독성으로부터 보호한다. GSH는 세포내 산화환원 상태를 조절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GSH 농도가 증가하면 유리 라디칼이 제거되거나 독성물과 결합하게 되어 세포가 사멸하지 않는다. FMP의 세포내 유리 라디칼 소거 효과는 항산화 효소의 특성을 통해 측정되므로, 항산화 효소(SOD-1 및 GSH)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RAW264.7 세포에서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결정하였다.
RAW264.7 세포를 1 x 10-6 세포/웰의 밀도로 6-웰 배양 접시에 씨딩하고, 24시간동안 증식 배지 2 mL에 증식시켜서 60 내지 70% confluence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세포를 1시간동안 FMP로 통상적으로 전처리하고, 이어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완충액(1% Triton X-100, 100 mM 피로인산나트륨, 50 mM HEPRS, 2 mM PMSF, pH 7.4)에서 균질화하였다. 상기 균질화물을 4℃에서 20분동안 12000 rpm으로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10% SDS-PAGE을 이용하여 단백질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단백질을 전기영동에 의해 니트로셀룰로즈 막으로 옮겼다. 5% 탈지유 및 0.1% Tween-20을 함유한 포스페이트 완충액에서 니트로셀룰로즈 막을 4℃에서 하룻밤 배양하여서, 비특이적인 결합을 감소시키고, 제조업체 지시에 따라 SOD-1 및 GSH 항체(1:1000, 산타 크루즈 바이오테크놀러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로 블롯팅(blotting)하였다. 퍼옥시다아제-결합된 2차 항체(1:2000, 산타 크루즈 바이오테크놀러지)와 배양한 후에, 강화된 화학발광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시각화하였다. 밴드 강도를 농도계측기에 의해 정량하고, 하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 gene), 베타-액틴 및 항체를 착색하여 하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산화 효소의 모든 단백질 발현 정도는 FMP 처리에 의해 투여량 의존적으로 상향 조절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FMP가 RAW264.7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의 발현 정도를 증가시켜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소거함을 나타낸다.
통계 분석
통계 분석은 스튜던트(Student) t-테스트에 의해 실시하였다. 적어도 3회 이상의 별개 실험을 바탕으로 한 p < 0.05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된다.
배합예 1: 약학 제제
FMP 25 ㎎을 락토오스 26 ㎎, 아비셀(미결정 셀룰로오스) 3.5 ㎎, 나트륨 전분 글리코네이트 1.5 ㎎ 및 L-HPC(low-hydrosyprophylcellulose) 8 ㎎과 함께 U형 혼합기에 넣고 20분간 혼합하였다. 혼합이 완료된 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 ㎎을 추가로 첨가하고 3분간 혼합하였다. 정량 시험과 항습도 시험을 거쳐 타정하고 필름 코팅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배합예 2: 건강식품 제제
하기 배합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 형태의 기능성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D-만니톨 44.0 중량%
유당 40.0 중량%
결정셀룰로오스 10.0 중량%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0 중량%
FMP 1.0 중량%

Claims (4)

  1.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로 하프토조류(Haptophyceae)를 발효시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발효물.
  2. 제1항에 있어서, 체내 항산화 활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발효물.
  3. 제1항의 미세조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4. 제1항의 미세조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기능성 건강식품용 조성물.


KR1020110092949A 2011-09-15 2011-09-15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137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949A KR101373191B1 (ko) 2011-09-15 2011-09-15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949A KR101373191B1 (ko) 2011-09-15 2011-09-15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595A true KR20130029595A (ko) 2013-03-25
KR101373191B1 KR101373191B1 (ko) 2014-03-14

Family

ID=4817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949A KR101373191B1 (ko) 2011-09-15 2011-09-15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359B1 (ko) * 2014-03-10 2015-03-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미세조류 파블로바 루테리 유래의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멜라닌생성억제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4142A (ko) 2020-04-29 2021-11-09 재단법인 순천바이오헬스케어연구센터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9443A (ja) 2000-08-30 2002-03-08 Microalgae Corporation 抗酸化剤及び該抗酸化剤を含有する化粧料
KR100739437B1 (ko) 2005-11-16 2007-07-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올트맨시엘롭시스 유니셀루러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359B1 (ko) * 2014-03-10 2015-03-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미세조류 파블로바 루테리 유래의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멜라닌생성억제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4142A (ko) 2020-04-29 2021-11-09 재단법인 순천바이오헬스케어연구센터 미세조류 오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191B1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in et 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apacity of ferulic acid released from wheat bran by solid-state fermentation of Aspergillus niger
Maadane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oroccan marine microalgae: Pufa profiles, carotenoids and phenolic content
Nam et al.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rice bran extracts in chemical and cell assays
Li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Lycium barbarum fruits in vitro
Ko et al. Protective effect of a novel antioxidative peptide purified from a marine Chlorella ellipsoidea protein against free radical-induced oxidative stress
Kim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peptide from hoki (Johnius belengerii) frame protein by gastrointestinal digestion
Nakamura et al. Phenolic compounds responsible for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in high-Brix apple vinegar
Shen et al. Polyphenols extract from lotus seedpod (Nelumbo nucifera Gaertn.): Phenolic composition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Luo et al. Protective effects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ves extract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human fetal lung fibroblast (MRC-5) cells
Leontowicz et al. Two exotic fruits positively affect rat’s plasma composition
Kim et al. Evaluation of the EtOAc extract of lemongrass (Cymbopogon citratus) as a potential skincare cosmetic material for acne vulgaris
Hseu et al. Antrodia salmonea in submerged culture exhibits antioxidant activities in vitro and protects human erythrocytes and low-density lipoproteins from oxidative modification
Qian et al.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FERMENTED MARINE MICROALGA PAVLOVA LUTHERI (HAPTOPHYTA) WITH THE YEAST HANSENULA POLYMORPHA 1
KR20090043656A (ko) 해마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용 조성물
Hameed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polyphenolic extracts of filamentous fungus Mucor circinelloides (WJ11): Extraction, characterization and storage stability of food emulsions
KR100844185B1 (ko)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쑥차 제조 방법
Teng et al. Nutritional properties of Europen eel (Anguilla anguilla) bone peptide-calcium and its apoptosis effect on Caco-2 cells
KR101373191B1 (ko)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미세조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1793208B1 (ko) 홍자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CN110812469B (zh) 多肽ar12在制备抗氧化剂中的应用
Qiu et al.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Rhus chinensis Mill leaves
Aydin et al. Antioxidant, anti-urease and anti-elastase activities of Usnea longissima Ach.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1487A (ko) Eugenol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한약재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