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004A - 렌즈용 스페이서,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차광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용 스페이서,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차광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004A
KR20210134004A KR1020217031045A KR20217031045A KR20210134004A KR 20210134004 A KR20210134004 A KR 20210134004A KR 1020217031045 A KR1020217031045 A KR 1020217031045A KR 20217031045 A KR20217031045 A KR 20217031045A KR 20210134004 A KR20210134004 A KR 20210134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es
light
lens
light blocking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나가하마
가즈키 오가와
신이치 나카야마
도모코 네기시
슈조 도미자와
가오루 나카무라
가즈히로 노자와
야스마로 도시마
스스무 구리시마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3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주면에서의 빛의 반사에 따른 플레어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며, 또한, 고스트의 발생도 억제된, 렌즈용 스페이서, 및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차광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렌즈용 스페이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포개어 쌓인 렌즈 유닛에 있어서 사용되는 렌즈용 스페이서로서, 수지 및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단면시에서 중공 판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된 내주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렌즈용 스페이서,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차광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본 발명은 렌즈용 스페이서,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차광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의 정보통신 단말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에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화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이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 상에 피사체의 화상을 결상하기 위한 렌즈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렌즈 유닛은 통상 복수의 광학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종의 카메라 모듈의 경우, 불필요한 입사광이나 반사광을 제거하여, 할레이션(halation), 렌즈 플레어, 고스트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촬상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빛을 커트하기 위한 차광판이나 차광링 등을 렌즈 사이에 개재시킨 렌즈 유닛이나 카메라 모듈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차광부재로서는, 카본 블랙, 윤활제, 미립자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차광층을 PET 필름 등의 기재 필름의 양면에 형성한 차광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그리고, 이 종의 차광 필름을 중공상으로 펀칭함으로써, 차광링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종의 차광링을 렌즈 사이에 개재시킨 경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이 PET 필름의 노출된 내주면에서 반사되어, 그 결과, 플레어 현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플레어 현상의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해, 염기성 용액 등의 에칭액을 사용하여 내주면을 에칭(부식 처리, 화학 처리)함으로써, PET 필름의 노출된 내주면을 만곡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표면을 조면화하는, PET 필름의 노출된 내주면에 무수의 미세구멍을 형성하여 조면화하는 등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및 4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평9-274218호 공보 WO 2006/01655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301607호 공보 한국 등록특허 제10-184340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3 및 4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지는 차광링은 에칭 시에 염기성 용액이 필름 내부에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에, 내주면이 약간 만곡되는 정도로밖에 표면을 부식시킬 수 없다. 또한, 그 표면 조면화도도 기껏해야 서브 미크론 오더 정도이다. 여기서, 보다 깊은 에칭을 행하기 위해서는, 부식 처리액의 알칼리성을 높이거나 처리온도나 처리시간을 증대시키거나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기재 필름 상에 설치되어 있는 차광층 등의 다른 층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변형되어 치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없는 등, 다른 요구 성능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3 및 4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지는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나 차광 날개 등은, 실제로는 플레어 현상의 저감 효과가 불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3 및 4에 기재된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나 차광 날개 등은, 표면 조면화도가 서브 미크론 오더 정도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광각 촬영 등의 화각이 넓은 경우에는, 구슬 형상 내지는 바퀴 형상 또는 기하학 형상의 고스트가 발생하기 쉬워, 이 문제에 대해 전혀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내주면에서의 빛의 반사에 따른 플레어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고스트의 발생도 억제된, 렌즈용 스페이서,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차광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렌즈용 스페이서나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등의 내주면 형상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소정의 수지 필름이 필름의 면내방향으로의 성형 가공성(에칭성)이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이 소정의 수지 필름의 내주 단면에 소정 심도를 갖는 비교적 예리한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에 나타내는 각종 구체적 태양을 제공한다.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포개어 쌓인 렌즈 유닛에 있어서 사용되는 렌즈용 스페이서로서, 수지 및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단면시(斷面視)에서 중공 판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된 내주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용 스페이서.
(2) 외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b)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된 외주 개구부를 추가로 갖는 (1)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3) 평면시(平面視)에서 외주 단면에서 바깥쪽으로 연출(延出)되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를 추가로 갖는 (1) 또는 (2)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4) 평면시에서 외주의 일부가 절결된, 위치 결정용 오목부를 추가로 갖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5) 한쪽 주면에 표면 조면부 및/또는 다른쪽 주면에 이면 조면부를 추가로 갖는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6) 상기 안료의 함유 비율이 상기 연신 수지 필름에 대해 0.3∼15 질량%인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7) 상기 연신 수지 필름이 3 ㎛ 이상, 150 ㎛ 이하의 두께를 갖는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8) 상기 연신 수지 필름이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9) 상기 연신 수지 필름이 이축연신 지환식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축연신 방향족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10) 1.5 이상의 광학농도를 갖는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11) 1.0 이상의 광학농도를 갖는 제1 차광층 및 기재를 이 순서로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재는 수지 및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단면시에서 중공 판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된 내주 개구부를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차광부재.
(12) 1.0 이상의 광학농도를 갖는 제2 차광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차광층, 상기 기재 및 상기 제2 차광층을 이 순서로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11)에 기재된 적층 차광부재.
여기서,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적층 차광부재는 상기 (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을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링형상의 외형 형상을 갖고, 제1 차광층 및 기재를 이 순서로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재는 수지 및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단면시에서 중공 판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된 내주 개구부를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차광층은 1.0 이상의 광학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링.
여기서, 상기 (13)에 기재된 차광링은 상기 (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을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복수의 렌즈가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포개어 쌓인 렌즈 유닛으로서, 상기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상기 (11) 및 (12)에 기재된 적층 차광부재, 및 (13)에 기재된 차광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한쌍의 상기 렌즈 사이에 배치된, 렌즈 유닛.
(15) 복수의 렌즈가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포개어 쌓인 렌즈 유닛과, 상기 렌즈 유닛을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소자를 적어도 갖는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상기 (11) 및 (12)에 기재된 적층 차광부재, 및 (13)에 기재된 차광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한쌍의 상기 렌즈 사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본 발명에 의하면, 내주면에서의 빛의 반사에 따른 플레어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고스트의 발생도 억제된, 렌즈용 스페이서,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차광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렌즈용 스페이서 등을 사용함으로써, 촬상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합 태양에 의하면, 촬상 화상의 화질의 향상뿐 아니라 조립 시의 위치 결정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스마트폰 등의 정보통신 단말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모듈 제조현장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향상되어, 부품 관리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조립 불량 등의 제조 고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렌즈용 스페이서(10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변형예의 렌즈용 스페이서(20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의 렌즈용 스페이서(30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적층 차광부재(400)(차광링)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렌즈용 스페이서(100, 200, 300)나 적층 차광부재(400)(차광링)를 사용한,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품의 적층 차광링의 내주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품의 적층 차광링의 내주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확대사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하좌우 등의 위치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하는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아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를 들면 「1∼100」이라는 수치범위의 표기는, 그 상한값 「100」 및 하한값 「1」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다른 수치범위의 표기도 동일하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렌즈용 스페이서(10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렌즈용 스페이서(10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II-II 단면)이다. 이 렌즈용 스페이서(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이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포개어 쌓인 렌즈 유닛에 있어서 사용되는 렌즈용 스페이서이다. 렌즈용 스페이서(100)는 기재 필름(11)으로서 수지 및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있다. 렌즈용 스페이서(100)는 평면시에서 외형이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대략 중앙에 대략 원기둥 형상의 중공부(13)를 갖는 링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단면시에서 중공 판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렌즈용 스페이서(100)의 중공부(13)의 내주 단면에는, 기재로서 기재 필름(11)의 면내방향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를 갖는, 내주 개구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내주 개구부(31)에 있어서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는, 내주 단면의 개구로부터 기재 필름(11)의 면내방향을 향하여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가지고 있고, 이로써 내주면에서의 빛의 반사에 따른 플레어 현상뿐 아니라, 내주면에서의 빛의 반사에 따른 고스트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고 있다.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의 최대 심도(La)는,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의 억제, 렌즈용 스페이서(100)의 기계적 강도 등의 관점에서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20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18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16 ㎛ 미만이다.
한편, 렌즈용 스페이서(100)의 외주 단면에는, 기재 필름(11)의 면내방향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를 갖는, 외주 개구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주 개구부(41)에 있어서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는, 외주 단면의 개구로부터 기재 필름(11)의 면내방향을 향하여 5 ㎛ 이상의 최대 심도(Lb)를 가지고 있고, 이로써 외주 단면에서의 빛의 반사에 따른 플레어 현상의 발생을 억제시키고 있다.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의 최대 심도(Lb)는 플레어 현상의 억제, 렌즈용 스페이서(100)의 기계적 강도 등의 관점에서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20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18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16 ㎛ 미만이다.
기재 필름(11)을 구성하는 연신 수지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연신 수지 필름으로서는, 흐름방향(MD방향)으로 연신된 1축연신 수지 필름이어도, 폭방향(TD방향)으로 연신된 1축연신 수지 필름이어도 되며, 또한, MD방향 및 TD방향으로 연신된 2축연신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이러한 연신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롤 연신법, 텐터 연신법, 축차 이축연신법, 동시 이축연신법, 경사 연신법 등의 공지의 연신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치수 안정성, 기계적 강도 및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연신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등 외에, 폴리카보네이트계, 아크릴계, 나일론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올레핀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설폰계, 폴리페닐렌설피드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의 필름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연신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환식 폴리이미드 필름 및 방향족 폴리이미드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신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안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카올린, 소성 카올린, 소성 클레이, 미소성 클레이, 실리카(예를 들면 천연 실리카, 용융 실리카, 비정질 실리카, 중공 실리카, 습식 실리카, 합성 실리카, 아에로질 등), 알루미늄 화합물(예를 들면 베마이트,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하이드로탈사이트, 붕산알루미늄, 질화알루미늄 등), 마그네슘 화합물(예를 들면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등), 칼슘 화합물(예를 들면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황산칼슘, 아황산칼슘, 붕산칼슘 등), 몰리브덴 화합물(예를 들면 산화몰리브덴, 몰리브덴산 아연 등), 탈크(예를 들면 천연 탈크, 소성 탈크 등), 마이카(운모),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황산바륨, 붕산아연, 메타붕산바륨, 붕산나트륨, 질화붕소, 응집 질화붕소, 질화규소, 질화탄소,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바륨, 주석산아연 등의 주석산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흑색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흑색 수지 입자, 마그네타이트계 블랙, 구리·철·망간계 블랙, 티탄 블랙,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안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안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안료로서, 흑색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기재 필름(11) 그 자체에 차광성이나 차폐성을 부여할 수 있다. 흑색 안료로서는, 흑색 수지 입자, 티탄 블랙,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이다.
또한, 카본 블랙으로서는, 오일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채널 블랙, 가스 퍼니스 블랙, 아세틸렌 블랙, 서멀 블랙, 케첸 블랙 등, 각종 공지의 제법으로 제작된 것이 알려져 있으나,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전성을 부여하여 정전기에 의한 대전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도전성 카본 블랙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본 블랙의 역사는 길어, 예를 들면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아사히 카본 주식회사, 미쿠니 색소 주식회사, 레지노 컬러 공업주식회사, Cabot사, DEGUSSA사 등으로부터, 각종 그레이드의 카본 블랙 단체 및 카본 블랙 분산액이 시판되고 있어, 요구 성능이나 용도에 따라 이들 중에서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또한, 카본 블랙의 입자 사이즈는 요구 성능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의 평균 입자경(D50)은 0.01∼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0.5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장치(예를 들면, 시마즈 제작소사:SALD-7000 등)로 측정되는, 부피 기준의 메디안 직경(D50)을 의미한다.
기재 필름(11)으로서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소정 심도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 또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의 경우, 그 연신방향(TD방향 및/또는 MD방향)으로 수지 사슬이 배향되어 있어 그 배향방향으로의 성형 가공성 또는 에칭성이 높아져 있는 것에 더하여, 성형 가공 시 또는 에칭 시에 안료가 탈락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의 면내방향을 향하여 비교적 예리하게 깊게 팔 수 있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기재 필름(11) 중 안료의 함유 비율은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 또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의 성형 가공성이나 에칭 가공성, 치수 안정성, 기계적 강도,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안료의 함유 비율은 연신 수지 필름에 대해 0.3∼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2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 질량%이다.
기재 필름(11)의 두께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량화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기재 필름(11)의 두께는 3 ㎛ 이상, 1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14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30 ㎛ 이하이다. 또한, 특히 박막화가 요구되는 용도의 경우는, 기재 필름(11)의 두께는 3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며, 상한은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다. 어느 경우에도, 총 두께에 대한 기재 필름(11)의 비율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11)으로서, 특히 흑색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은, 후술하는 차광층을 기재 필름(11) 상에 별도 설치하지 않더라도, 차광성 부재로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태양의 하나이다. 이때, 흑색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의 광학농도(OD)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차광층의 유무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상한은 6.0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농도(OD)는 JIS-K7651:1988에 준거하여, 광학농도계(TD-904:그레텍 맥베스사) 및 UV 필터를 사용해서 측정하여 얻어진 값으로 한다.
전술한 렌즈용 스페이서(100)는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 또는 시판품으로서 입수하고, 필요에 따라 목적하는 외형 형상 및 중공 형상으로 가공한 후, 전술한 내주 개구부(31)나 외주 개구부(41)를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내주 개구부(31)나 외주 개구부(41)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샌드 블라스트 가공, 마이크로 드릴 가공, 절삭 가공 등의 기계 가공, 에칭액 등을 사용한 부식 처리(화학 처리)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 필름(11)으로서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기재 필름(11)의 면내방향을 향하여 비교적 예리하게 깊이 팔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소정 심도를 갖는 비교적 예리한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 또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를 성형 가공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칭액을 사용한 부식 처리(화학 처리)는, 비교적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된다.
전술한 부식 처리(화학 처리)에 있어서 사용하는 에칭액은, 사용하는 기재 필름(11)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조제하면 되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염기성 수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염기성 수용액으로서는, 10∼25 질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이것에 에틸렌디아민 등의 탄소수 1∼10의 제1급 지방족 아민을 첨가한 수용액(NaOH:에틸렌디아민=8∼12:1) 등이 바람직하다. 부식 처리의 처리 조건은, 기재 필름(11)이나 에칭액의 종류 등에 따라 적당히 조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는 처리온도는 10∼80℃ 정도, 처리시간은 3∼60분 정도가 기준이 된다. 사용하는 에칭액의 종류나 농도, 처리시간, 처리온도 등을 변동시킴으로써,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의 최대 심도(La)나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의 최대 심도(Lb)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작용)
본 실시형태의 렌즈용 스페이서(100)에 있어서는, 내주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를 갖는 내주 개구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것을 렌즈 유닛이나 카메라 모듈 등의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입사광이나 반사광의 내주면에서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플레어 현상의 발생뿐 아니라 고스트의 발생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촬상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 및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적어도 내주면에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를 갖는 내주 개구부(31)가 설치되어 있는 한, 본 발명의 렌즈용 스페이서로서 이용 가능하다. 즉,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를 갖는 외주 개구부(41)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요소이다. 도 3 및 4에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를 갖는 외주 개구부(41)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를 갖는 내주 개구부(31)만이 설치된 렌즈용 스페이서(200)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링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그 외형 형상은 이것이 조립되는 렌즈 유닛의 수납 형상에 따라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 단면에서 바깥쪽으로 연출되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51)를 설치하거나, 외주의 일부를 절결하여 위치 결정용 오목부(61, 62)를 설치하거나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용 볼록부(51, 52)나 위치 결정용 오목부(61, 62)를 설치하면, 여러 장의 렌즈용 스페이서를 포갤 때나, 렌즈용 스페이서를 렌즈 사이에 끼워 넣을 때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취급성이 비약적으로 향상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 필름(11)의 한쪽 주면(표면) 및 다른쪽 주면(이면)에 대해서는 무가공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기재 필름(11)의 한쪽 주면(표면) 및/또는 다른쪽 주면(이면)은 조면화 처리되어 있어도 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조면부(11a)나 이면 조면부(11b)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표면 조면부(11a)나 이면 조면부(11b)를 설치함으로써, 표면 광택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머디한 질감이 얻어지기 쉽다. 표면 조면부(11a)나 이면 조면부(11b)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샌드 블라스트 가공, 마이크로 드릴 가공, 절삭 가공 등의 기계 가공, 에칭액 등을 사용한 부식 처리(화학 처리)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11)으로서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이것을 염기성 수용액등의 에칭액으로 부식 처리(화학 처리)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필름(11)의 면내방향(도 5의 좌우방향)을 향하여 비교적 예리하게 깊이 팔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소정 심도를 갖는 비교적 예리한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나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와, 이들의 최대 심도(La) 및 최대 심도(Lb)보다도 작은 표면 거칠기(Da 및 Db)(예를 들면 Ra=0.1∼2.0 ㎛)를 갖는 표면 조면부(11a)나 이면 조면부(11b)를 동시에 성형 가공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적층 차광부재(400)(적층 차광링)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적층 차광부재(400)는 1.0 이상의 광학농도를 갖는 제1 차광층(21), 기재로서의 기재 필름(11), 및 1.0 이상의 광학농도를 갖는 제2 차광층(22)을 이 순서로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기재 필름(11)으로서,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를 갖는 내주 개구부(31) 및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를 갖는 외주 개구부(41)가 설치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렌즈용 스페이서(100)를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기재 필름(11)은 수지 및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단면시에서 중공 판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가 설치된 내주 개구부(31)를 갖고, 외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b)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가 설치된 외주 개구부(41)를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10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차광층(21) 및 제2 차광층(22)도, 단면시에서 중공 판형상(평면시에서 링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렌즈용 스페이서(100)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기에, 여기서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차광부재(400)는, 기재 필름(11)의 한쪽 주면(11a) 측에 설치된 제1 차광층(21)과, 다른쪽 주면(11b) 측에 설치된 제2 차광층(22)을 적어도 구비한다. 그리고, 적층 차광부재(400)는 제1 차광층(21), 기재 필름(11), 및 제2 차광층(22)이 적어도 이 순서로 배열된 적층구조(3층구조)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적층구조에 있어서, 제1 차광층(21)은 겉쪽의 최표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2 차광층(22)은 안쪽의 최표면에 배치되어 있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은 겉쪽 및 안쪽의 최표면에 각각 노출된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은 겉쪽 및 안쪽의 최표면은, 도전성 카본 블랙 등을 부여하는 등의 표면 처리(대전 방지 처리 등)가 행하여져 있어도 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 필름의 한쪽(다른쪽)의 주면 측에 설치되었다」는 것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재 필름(11)의 표면(예를 들면 제1 차광층(21) 측의 주면이나 제2 차광층(22) 측의 주면)에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이 각각 직접 올려놓아진 태양뿐 아니라, 기재 필름(11)의 표면과 제1 및 제2 차광층(21, 22) 사이에 임의의 층(예를 들면 프라이머층, 접착층 등)이 개재된 태양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구조란, 제1 차광층(21) 및 제2 차광층(22)만이 직접 적층된 구조뿐 아니라, 전술한 3층구조, 및 3층구조에 임의의 층을 추가로 설치한 구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은 각각 1.0 이상의 광학농도(OD)를 갖는 차광막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농도(OD)는 JIS-K7651:1988에 준거하여, 광학농도계(TD-904:그레텍 맥베스사) 및 UV 필터를 사용해서 측정하여 얻어진 값으로 한다. 보다 높은 차광성을 구비시키는 관점에서, 제1 및 제2 차광층(21, 22), 각각 단층으로 1.5 이상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단층으로 1.7 이상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을 적층시킨 경우, 그 적층체의 광학농도(OD)는 2.5∼6.0이 바람직하고, 4.5∼6.0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6.0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의 소재로서는, 당업계에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광학농도가 높은 차광막으로서, 흑색, 회색, 자색, 청색, 갈색, 적색, 녹색 등의 암색계의 안료 또는 염료를 1종 이상 입힌 암색계의 차광막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흑색계의 차광막으로서는, 바인더 수지 및 흑색 안료,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암색계의 안료 또는 염료를 적어도 함유하는 흑색 차광막(바꿔 말하면, 제1 및 제2 흑색 차광층(21, 22))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래에 이 흑색 차광막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기술한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메타)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알키드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요소계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경화성 엘라스토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열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차광층(21, 22) 중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총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접착성, 차광성, 내흠집성, 슬라이딩성 및 광택 제거성 등의 관점에서, 40∼9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8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질량%이다.
흑색 안료는 바인더 수지를 흑색으로 착색하여 차광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흑색 안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흑색 수지 입자, 마그네타이트계 블랙, 구리·철·망간계 블랙, 티탄 블랙,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은폐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흑색 수지 입자, 티탄 블랙,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이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암색계의 안료 또는 염료에 대해서도, 공지의 것 중에서 적당히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
카본 블랙으로서는, 오일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채널 블랙, 가스 퍼니스 블랙, 아세틸렌 블랙, 서멀 블랙, 케첸 블랙 등, 각종 공지의 제법으로 제작된 것이 알려져 있으나,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차광층(21, 22)에 도전성을 부여하여 정전기에 의한 대전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도전성 카본 블랙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본 블랙의 역사는 오래되어, 예를 들면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아사히 카본 주식회사, 미쿠니 색소 주식회사, 레지노 컬러 공업주식회사, Cabot사, DEGUSSA사 등으로부터, 각종 그레이드의 카본 블랙 단체 및 카본 블랙 분산액이 시판되고 있어, 요구 성능이나 용도에 따라, 이들 중에서 적당히 선택하면 된다. 또한, 카본 블랙의 입자 사이즈는 요구 성능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카본 블랙의 평균 입자경(D50)은 0.01∼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0.5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장치(예를 들면, 시마즈 제작소사:SALD-7000 등)로 측정되는, 부피 기준의 메디안 직경(D50)을 의미한다.
제1 및 제2 차광층(21, 22) 중 흑색 안료의 함유량(총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분산성, 제막성, 취급성, 접착성, 미끄럼성, 광택 제거성, 내마모성 등의 관점에서,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성분에 대한 고형분 환산(phr)으로, 10∼6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 질량%이다.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의 두께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높은 광학농도, 경량화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각각 0.1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며, 상한 측은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 ㎛ 이하이다.
또한, 경량화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적층 차광부재(400)의 총 두께는 0.5 ㎛ 이상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다.
또한,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은 당업계에서 공지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매트제(광택 제거제), 윤활제, 도전제, 난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레벨링제, 유동 조정제, 소포제, 분산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매트제로서는,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등의 유기계 미립자, 실리카,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산화티탄 등의 무기계 미립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윤활제로서는, 폴리에틸렌, 파라핀, 왁스 등의 탄화수소계 윤활제;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계 윤활제;스테아르산아미드,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윤활제;스테아르산부틸,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리드 등의 에스테르계 윤활제;알코올계 윤활제;금속비누, 활석,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고체 윤활제;실리콘 수지 입자;폴리테트라불화에틸렌 왁스,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유기계 윤활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바인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나 전자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의 증감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함유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제1 및 제2 차광층(21, 22) 중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성분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일반적으로는 각각 0.0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은 10.0% 이하의 가시광 반사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시광 반사율이란, 분광광도계(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분광광도계 SolidSpec-3700 등) 및 표준판으로서 황산바륨을 사용하여, 차광층(21, 22)에 대해 입사각 8°로 빛을 입사했을 때의 상대 전광선 반사율을 의미한다. 보다 높은 차광성을 구비시키는 등의 관점에서,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의 가시광 반사율은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적층 차광부재(400)로서는 가시광 이외의 적외광(800∼1000 ㎚) 범외의 확산 반사율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또한,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은 충분한 대전 방지성능을 구비시키는 관점에서 1.0×108Ω 미만의 표면 저항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5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4Ω 미만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표면 저항률은 JIS-K6911:199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으로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은, 예를 들면 안료로서 도전성 카본 블랙을 사용하거나, 제1 및 제2 차광층(21, 22) 표면에 도전성 카본 블랙을 부여하는 대전 방지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적층 차광부재(400)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구성의 것이 얻어지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 필름(11) 상에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을 재현성 좋게 간이하며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관점에서는, 닥터 코트, 딥 코트, 롤 코트, 바 코트, 다이 코트, 블레이드 코트, 에어나이프 코트, 키스 코트, 스프레이 코트, 스핀 코트 등의 종래 공지의 도포방법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인더 수지 및 흑색 안료,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임의 성분으로서의 첨가제를 용매 중에 함유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11)의 주면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 열처리나 가압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기재 필름(11) 상에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을 제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도포액의 용매로서는, 물;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제;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의 에테르계 용제;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11)과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앵커 처리나 코로나 처리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로,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11)과 제1 및 제2 차광층(21, 22) 사이에 프라이머층이나 접착층 등의 중간층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압축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트랜스퍼 성형, 압출 성형 등의 각종 공지의 성형방법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형상을 갖는 적층 차광부재(400)를 간이하게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일단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후, 진공 성형이나 압공 성형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내주 개구부(31)나 외주 개구부(41)를 형성하는 타이밍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내주 개구부(31)나 외주 개구부(41)를 사전에 설치한 기재 필름(11)을 준비하고, 이 기재 필름(11) 상에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을 각각 형성해도 되고, 중공부(13)나 내주 개구부(31)나 외주 개구부(41)를 설치하기 전의 기재 필름(11) 상에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을 설치한 후에, 중공부(13)나 내주 개구부(31)나 외주 개구부(41)를 형성해도 된다.
(작용)
본 실시형태의 적층 차광부재(400)에 있어서도, 내주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를 갖는 내주 개구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것을 렌즈 유닛이나 카메라 모듈 등의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입사광이나 반사광의 내주면에서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플레어 현상의 발생뿐 아니라 고스트의 발생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촬상 대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적층 차광부재(400)의 경우, 제1 및 제2 차광층(21, 2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충분한 차광성을 구비하고 있어, 렌즈용 스페이서뿐 아니라, 차광링이나 차광판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 및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를 설치한 렌즈용 스페이서(100)를 기재로서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적어도 내주면에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를 갖는 내주 개구부(31)가 설치되어 있는 기재를 사용하는 한, 본 발명의 적층 차광부재로서 이용 가능하다. 즉,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를 갖는 외주 개구부(41)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요소이다. 예를 들면,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41a)를 갖는 외주 개구부(41)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31a)를 갖는 내주 개구부(31)만이 설치된, 전술한 렌즈용 스페이서(200)를 기재로서 사용하여 적층 차광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링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그 외형 형상은 이것이 조립되는 렌즈 유닛의 수납 형상에 따라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용 볼록부(51, 52)나 위치 결정용 오목부(61, 62)를 설치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차광부재는 렌즈용 조리개 부재나 조리개 날개의 외형에 형성하고, 이들을 복수 장 조합하거나 하여 포컬플레인 셔터나 렌즈 셔터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 필름(11)의 한쪽 주면(표면) 및 다른쪽 주면(이면)에 대해서는 무가공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기재 필름(11)의 한쪽 주면(표면) 및/또는 다른쪽 주면(이면)은 조면화 처리되어 있어도 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조면부(11a)나 이면 조면부(11b)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필름(11)의 표리에 제1 차광층(21) 및 제2 차광층(22)을 설치한 태양을 나타내었으나, 제1 차광층(21) 단독/제2 차광층(22) 단독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렌즈 유닛(500) 및 카메라 모듈(60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렌즈 유닛(500)은 렌즈군(71)(렌즈 71A, 71B, 71C, 71D, 71E)과, 다단 원통 형상의 홀더(72)와, 렌즈용 스페이서(100, 300)와, 적층 차광부재(400)(렌즈용 스페이서(200))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72)의 내주부에는 복수의 단차부(72a, 72b, 72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부(72a, 72b, 72c)를 이용하여, 렌즈군(71), 렌즈용 스페이서(100, 300), 및 적층 차광부재(400)(렌즈용 스페이서(200))가 동축상(동일 광축상)에 배치되어 포개어 쌓인 상태로, 홀더(72) 내의 소정 위치에 수납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렌즈(71A, 71B, 71C, 71D, 71E)로서는, 볼록렌즈나 오목렌즈 등 각종 렌즈를 사용할 수 있고, 그 곡면은 구면이어도, 비구면이어도 된다. 한편, 카메라 모듈(600)은 전술한 렌즈 유닛(500)과, 이 렌즈 유닛(500)의 광축상에 배치되어, 렌즈 유닛(500)을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소자(81)로 구성되어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층 차광부재(400)(렌즈용 스페이서(100, 200, 300))의 외형 형상은, 예를 들면 평면시에서 직사각 형상, 정사각 형상, 육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 타원 형상, 부정 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차광부재(400)(렌즈용 스페이서(100, 200, 300))의 중공부(13)의 형상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시에서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외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평면시에서 직사각 형상, 정사각 형상, 육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 타원 형상, 부정 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실험예)
기재로서, 두께 50 ㎛의 흑색 PET 필름(도레이사, 상품명:루미러 X30(등록상표), 카본 블랙 니딩 타입, 광학농도:2.0), 및 두께 125 ㎛의 흑색 PET 필름(도레이사, 상품명:루미러 X30(등록상표), 카본 블랙 니딩 타입, 광학농도:5.0)을 사용하고, 그 양면에 아래 처방의 도포액을 바 코트법으로 각각 도포한 후, 건조를 행하여 제1 차광층 및 제2 차광층을 형성하고, 제1 차광층, 기재 및 제2 차광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3층 적층구조를 갖는 적층 차광부재 A 및 B를 각각 제작하였다. 또한, 두께 50 ㎛의 이축연신 PET 필름(도레이사 제조, 상품명:루미러 T50, 안료 니딩 없는 고투명 타입, 전광선 투과율(550 ㎚):89.1)을 사용하고, 그 양면에 아래 처방의 도포액을 바 코트법으로 각각 도포한 후, 건조를 행하여 제1 차광층 및 제2 차광층을 형성하고, 제1 차광층, 기재 및 제2 차광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3층 적층구조를 갖는 적층 차광부재 C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적층 차광부재 A∼C를 직경 1 ㎝ 및 안지름 3 ㎜의 링형상으로 펀칭 가공하여, 적층 차광링 A∼C를 각각 제작하였다.
<차광막 형성용 도포액>
·아크릴폴리올(고형분 50%) 153.8부
(아크리딕 A807:DIC사)
·이소시아네이트(고형분 75%) 30.8부
(버녹 DN980:DIC사)
·카본 블랙(평균 입경 25 ㎚) 24부
(토카 블랙#5500:토카이 카본사)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잔부(고형분:20 질량%)
다음으로, 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에틸렌디아민을 10:1의 비율로 첨가한 에칭액을 조정하였다. 이 에칭액 중에, 전술한 적층 차광링 A∼C를 교반하 70℃에서 20분간 각각 침지하여, 내주 단면 및 외주 단면의 부식 처리(화학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 6과 동등한 구조를 갖는 부식 처리가 끝난 적층 차광링 A∼C를 각각 얻었다. 얻어진 부식 처리가 끝난 적층 차광링 A∼C의 내주 단면의 오목부의 깊이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적층 차광부재 A의 외주 단면의 광학현미경 사진, 및 적층 차광부재 B의 내주 단면의 광학현미경 사진(확대도)을 도 8 및 도 9에 나타낸다. 또한, 부식 처리가 끝난 적층 차광링 A∼C를 렌즈 유닛에 각각 조립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고, 플레어 현상 및 고스트의 발생을 각각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정밀기계 분야, 반도체 분야, 광학기기 분야, 전자기기 분야 등에 있어서의 고성능 차광부재로서 널리 또한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다. 특히, 고성능 일안 반사식 카메라, 콤팩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전화, 프로젝터, 차량 탑재 카메라, 차량 탑재 센서, 광학 센서 등에 탑재되는 렌즈 유닛이나 카메라 모듈이나 센서 유닛 등에 사용하는 스페이서나 차광부재나 조리개 부재나 조리개 날개 등으로서, 특히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다.
 11 ···기재(기재 필름)
 11a ···표면 조면부
 11a ···이면 조면부
 13 ···중공부
 21 ···차광층(제1 차광층)
 22 ···차광층(제2 차광층)
 31 ···내주 개구부
 31a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
 La ···최대 심도
 41 ···외주 개구부
 41a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
 Lb ···최대 심도
 51 ···위치 결정용 볼록부
 61 ···위치 결정용 오목부
 62 ···위치 결정용 오목부
 71 ···렌즈군(렌즈 71A, 71B, 71C, 71D, 71E)
 72 ···홀더
 72a ···단차부
 72b ···단차부
 72c ···단차부
 81 ··· 촬상소자
100 ···렌즈용 스페이서
200 ···렌즈용 스페이서
300 ···렌즈용 스페이서
400 ···적층 차광부재(적층 차광링)
500 ···렌즈 유닛
600 ···카메라 모듈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포개어 쌓인 렌즈 유닛에 있어서 사용되는 렌즈용 스페이서로서,
    수지 및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단면시에서 중공 판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된 내주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용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외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b)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된 외주 개구부를 추가로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
  3. 제2항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외주 단면에서 바깥쪽으로 연출(延出)되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를 추가로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외주의 일부가 절결된, 위치 결정용 오목부를 추가로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 주면에 표면 조면부 및/또는 다른쪽 주면에 이면 조면부를 추가로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의 함유 비율이 상기 연신 수지 필름에 대해 0.3∼15 질량%인
    렌즈용 스페이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수지 필름이 0.5 ㎛ 이상, 150 ㎛ 이하의 두께를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수지 필름이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렌즈용 스페이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수지 필름이 이축연신 지환식 폴리이미드 필름 및 이축연신 방향족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렌즈용 스페이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5 이상의 광학농도를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
  11. 1.0 이상의 광학농도를 갖는 제1 차광층 및 기재를 이 순서로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재는 수지 및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단면시에서 중공 판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된 내주 개구부를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차광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1.0 이상의 광학농도를 갖는 제2 차광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차광층, 상기 기재 및 상기 제2 차광층을 이 순서로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적층 차광부재.
  13. 링형상의 외형 형상을 갖고,
    제1 차광층 및 기재를 이 순서로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재는 수지 및 안료를 함유하는 연신 수지 필름을 구비하고, 단면시에서 중공 판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주 단면에 5 ㎛ 이상의 최대 심도(La)를 갖는 뾰족한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된 내주 개구부를 갖는 렌즈용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차광층은 1.0 이상의 광학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링.
  14. 복수의 렌즈가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포개어 쌓인 렌즈 유닛으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제11항 및 제12항에 기재된 적층 차광부재, 및 제13항에 기재된 차광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한쌍의 상기 렌즈 사이에 배치된,
    렌즈 유닛.
  15. 복수의 렌즈가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포개어 쌓인 렌즈 유닛과, 상기 렌즈 유닛을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소자를 적어도 갖는 카메라 모듈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용 스페이서, 제11항 및 제12항에 기재된 적층 차광부재, 및 제13항에 기재된 차광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한쌍의 상기 렌즈 사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
KR1020217031045A 2019-03-01 2020-02-26 렌즈용 스페이서,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차광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KR20210134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7623A JP7396803B2 (ja) 2019-03-01 2019-03-01 レンズ用スペーサー、並びに、これを用いた積層遮光部材、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JP-P-2019-037623 2019-03-01
PCT/JP2020/007594 WO2020179560A1 (ja) 2019-03-01 2020-02-26 レンズ用スペーサー、並びに、これを用いた積層遮光部材、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004A true KR20210134004A (ko) 2021-11-08

Family

ID=7228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045A KR20210134004A (ko) 2019-03-01 2020-02-26 렌즈용 스페이서,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차광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96803B2 (ko)
KR (1) KR20210134004A (ko)
CN (1) CN113454509B (ko)
TW (1) TW202036140A (ko)
WO (1) WO2020179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4787B (zh) * 2021-11-17 2023-03-21 北京理工大学 一种宽视场相机遮光罩及其设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4218A (ja) 1996-04-05 1997-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遮光性フィルム
JP2000301607A (ja) 1999-04-21 2000-10-31 Nidec Copal Corp 遮光羽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16555A1 (ja) 2004-08-10 2006-02-16 Kimoto Co., Ltd. 光学機器用遮光部材
KR101843401B1 (ko) 2017-12-22 2018-03-29 (주)코원티엔에스 플레어 현상이 저감된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12679A (zh) 2005-08-11 2007-02-14 精碟科技股份有限公司 柱状透镜板及其制造方法
CN101382631A (zh) 2007-09-04 2009-03-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片制造方法
JP5406165B2 (ja) * 2010-10-25 2014-02-0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装置
JP2013190500A (ja) * 2012-03-13 2013-09-26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黒色遮光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絞り、並びに羽根材
KR101467139B1 (ko) * 2012-08-03 2014-11-28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터
JP2014085361A (ja) * 2012-10-19 2014-05-12 Konica Minolta Inc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6116417B2 (ja) * 2013-07-12 2017-04-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撮像モジュール、電子機器
JP2015034912A (ja) * 2013-08-09 2015-02-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101436529B1 (ko) * 2014-03-12 2014-09-05 (주)디지탈옵틱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JP2016001262A (ja) * 2014-06-12 2016-01-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17015815A (ja) * 2015-06-29 2017-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遮光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627526B2 (ja) * 2016-01-19 2020-0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撮像装置
US20180149776A1 (en) 2016-11-28 2018-05-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cross talk mitigation for light emitter
US11869267B2 (en) 2021-10-27 2024-01-09 Omnivision Technologies, Inc. Thin, multi-lens, optical fingerprint sensor adapted to image through cell phone display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4218A (ja) 1996-04-05 1997-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遮光性フィルム
JP2000301607A (ja) 1999-04-21 2000-10-31 Nidec Copal Corp 遮光羽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016555A1 (ja) 2004-08-10 2006-02-16 Kimoto Co., Ltd. 光学機器用遮光部材
KR101843401B1 (ko) 2017-12-22 2018-03-29 (주)코원티엔에스 플레어 현상이 저감된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96803B2 (ja) 2023-12-12
JP2020140168A (ja) 2020-09-03
TW202036140A (zh) 2020-10-01
CN113454509A (zh) 2021-09-28
CN113454509B (zh) 2023-07-21
WO2020179560A1 (ja)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6685B (zh) 層合遮光薄膜、以及使用其之光學機器用遮光環、透鏡單元及相機模組
TWI758439B (zh) 層積遮光薄膜,以及使用其的光學機器用遮光環,透鏡單元及攝影機模組
JP2022166194A (ja) 光学機器用遮光フィルム及び光学機器用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光学機器用絞り部材、光学機器用シャッター部材、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WO2021176966A1 (ja) 低反射材
TW202200723A (zh) 低反射遮光層用樹脂組成物,以及使用此的低反射遮光層及低反射遮光層積層體
KR20210134004A (ko) 렌즈용 스페이서, 이것을 사용한 적층 차광부재, 차광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KR102477662B1 (ko) 적층 차광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JP6814170B2 (ja) 光学機器用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20029152A (ko)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TW202417890A (zh) 遮光膜、以及使用其而形成之遮光構件、透鏡單元以及相機模組
JP2024030665A (ja) 遮光塗料、遮光フィルム、遮光部材、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24030664A (ja) 遮光フィルム、遮光膜、遮光部材、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TW202417897A (zh) 遮光膜、以及使用其而形成之遮光構件、透鏡單元以及相機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