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152A -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 Google Patents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152A
KR20220029152A KR1020200111131A KR20200111131A KR20220029152A KR 20220029152 A KR20220029152 A KR 20220029152A KR 1020200111131 A KR1020200111131 A KR 1020200111131A KR 20200111131 A KR20200111131 A KR 20200111131A KR 20220029152 A KR20220029152 A KR 20220029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ed layer
black colored
black
l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084B1 (ko
Inventor
이승한
조경제
Original Assignee
(주)코원티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원티엔에스 filed Critical (주)코원티엔에스
Priority to KR102020011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0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9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Abstract

본 발명은 차광필름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Light-shielding film for lens of optical device}
본 발명은 차광필름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기술과 모바일폰 기술을 융합시킨 확장된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폰, 즉 소위 카메라폰의 보급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여기에 인터넷 네트워킹 기능이 혼합된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었다.
이러한 휴대폰 카메라, 콤팩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소형화·경량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로 금속으로 제조되었던 셔터나 조리개, 스페이서 등의 차광부재가 가벼운 고분자 필름으로 대체되고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spacer)는 다수의 렌즈 간 간격 유지 및 전체 렌즈 유니트의 해상도 조절을 위해 필름을 도너츠 형태로 타공하여 만든 것으로서, IRIS나 MASK 또는 차광필름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차광필름의 차광성은 통상적으로 카본블랙과 같은 흑색안료를 함유한 차광층을 통해서 달성하는데, 카본블랙은 입자들이 뭉쳐서 덩어리를 형성하는 경향이 큼에 따라서 차광필름의 타발성을 크게 저해하고, 타발 시 차광층의 크랙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광층의 접착력을 약화시켜서 차광층이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서 충분한 차광성, 낮은 광택성을 가지면서도 렌즈 플레어 현상, 헐레이션 현상 및 고스트 현상 등이 더욱 개선되고, 타발 시 손상이 방지되며, 내구성이 우수한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2020-001512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충분한 차광성, 낮은 광택성을 가지면서도 렌즈 플레어 현상, 헐레이션 현상 및 고스트 현상 등이 더욱 개선되고, 타발 시 손상이 방지되며, 내구성이 우수한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이를 구비한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학농도가 4.0 이상이며, 필름기재 및 코팅층으로써 상기 필름기재 주 표면 측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기재의 광학농도가 상기 제1블랙착색층 및 상기 제2블랙착색층 각각의 광학농도보다 큰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블랙착색층과 제2블랙착색층은 광학농도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기재는 두께가 6 ~ 100㎛이며, 상기 제1블랙착색층과 제2블랙착색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두께가 0.5 ~ 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블랙착색층과 제2블랙착색층은 각각 검정 유성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기재의 광학농도는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의 전체 광학농도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기재의 광학농도는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의 전체 광학농도의 2 ~ 13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블랙착색층과 제2블랙착색층 각각의 광학농도는 1.0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필름의 중앙부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기재의 주표면 각각과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 사이에는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되고, 상기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 각각의 상부에는 대전방지층이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축방향으로 적층된 다수 개의 렌즈, 및 인접하는 렌즈 사이의 여러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차광필름을 포함하는 광학기기용 렌즈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충분한 차광성, 낮은 광택성을 가지면서도 렌즈 플레어 현상, 헐레이션 현상 및 고스트 현상 등이 더욱 개선되고, 타발 시 손상이 방지되며, 내구성이 우수함에 따라서 카메라모듈 등 광학기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광필름의 사시도 및 X-X' 경계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광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실시예1 및 비교예1에 따른 차광필름에 대한 플레어 현상 촬영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광필름(100)은 필름기재(10) 및 상기 필름기재(10) 주 표면 측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을 포함하며, 광학농도가 4.0 이상인 차광필름이다.
여기서 광학농도는 ISO 5-1 정의에 준거하여 투과율 측정 후 계산된 것으로서, 광 투과율이 높아지면 광학농도는 작아지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광필름(100)은 광학농도 4.0 이상인데, 이를 통해서 우수한 차광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만일 광학농도가 4.0 미만일 경우 차광성이 부족하여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으로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광필름(100)은 상술한 광학농도를 필름기재(10) 및 제1블랙착색층(20)과 제2블랙착색층(30)을 통해 달성하는데, 이때 필름기재(10)의 광학농도는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 각각의 광학농도 보다 크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서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 각각과 필름기재(10) 간 접착특성을 개선하고 타발 시 블랙착색층의 크랙 등 손상을 방지함에 따라서 손상에 따른 광학적 물성의 변동이나 의도치 않은 광학적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달리 말하면 통상적인 차광필름의 경우 필름기재 상에 코팅되는 차광막의 광학농도를 크게 하여 차광특성을 발현하는데, 광학농도가 높은 차광막에는 카본블랙 등의 흑색 안료가 다량으로 함유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다량 함유된 흑색안료는 필름기재와의 접착 특성을 저해시키며, 차광필름의 타발 시 다량의 흑색 안료로 인해 발생한 차광막의 크랙 및 이로 인한 흑색안료 분말인 이물은 의도하지 않은 광학적 부작용을 유발시킴에 따라서 광학용도의 차광필름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렉이 발생한 차광필름이 채용된 렌즈 유닛을 육안으로 관찰 시 렌즈 주변에 실과 같은 버(burr)가 보이는 광학적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광필름(100)은 필름기재(10)의 광학농도가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 각각의 광학농도 보다 크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필름기재(10)가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의 광학농도 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차광필름의 측면에서 입사하는 광의 난반사를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플레어 현상을 더욱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필름기재(10)의 광학농도가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의 전체 광학농도 보다 클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기재(10)의 광학농도는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의 전체 광학농도의 2 ~ 13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 13배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술한 블랙착색층의 접착특성이 더 개선되며, 타발 시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플레어 현상 방지에 더 유리할 수 있다. 만일 필름기재(10)의 광학농도가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 전체 광학농도의 2 배 미만일 경우 차광필름의 광학농도가 낮아 차광필름으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없거나, 또는 블랙착색층의 높은 광학농도로 인하여 블랙착색층과 필름기재 간 접착강도 저하 및 타발 시 손상 발생 우려가 있다. 또한, 발생된 크랙 등의 손상은 공정상의 외관 불량 및 흑색안료 분말에 의한 이물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만일 필름기재의 광학농도가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의 전체 광학농도보다 13배 초과하여 클 경우 블랙착색층에서 광 반사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플레어 현상이 발생 또는 심화될 우려가 있고, 블랙 명도 저하로 인해 블랙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필름기재(10)는 차광필름의 지지체인 동시에 본 발명 차광필름의 광학농도 달성에 주로 기여하는 부재로써, 차광필름 분야에서 공지된 재질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일예로써 PET, PA, PC, PI, PMMA, TAC 등의 재질이 주제로써 사용된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광학농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주제에 카본블랙 등의 공지된 안료를 더 함유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필름기재(10)는 두께가 6 ~ 10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 ~ 50㎛일 수 있다. 만일 두께가 6㎛ 미만인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광학농도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두께가 100㎛를 초과할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차광필름 광학 농도를 달성하기는 유리하나 필름기재 측면에서 반사가 심해져 플레어 현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상기 필름기재(10)는 일예로 안료를 함유한 PET 필름일 수 있으며, 광학농도가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필름기재(10)의 주표면 상에 구비되는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은 차광필름(100)의 색상을 검게 만들고, 무광택성을 부여하며, 보조적으로 차광성에 도움을 주는 층이다. 이러한 블랙착색층(20,30)은 매트릭스 수지 및 상기 매트릭스 수지 내 분산된 안료나 염료를 함유할 수 있으며, 활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내후성, 내식성, 내약품성 등 강인한 물성을 갖는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코팅층을 형성케 하는 공지된 바인더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폴리(메타)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초산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폴리올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요소계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병용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트릭스 수지는 폴리우레탄 등 우레탄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안료나 염료는 차광필름(100)이 검정색을 띠도록 하는 성분으로써 검정색을 띠도록 하는 공지된 안료나 염료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안료는 카본블랙, 티틴블랙, 아닐린 블랙, 산화철 등일 수 있고, 상기 염료는 검정 유성염료일 수 있다. 상기 안료나 염료의 함량은 블랙착색층의 광학농도, 명도 등을 고려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료 보다 염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안료는 낱 개의 입자 크기가 작아도 이들이 응집되고 뭉쳐서 2차 입자를 형성하기 쉽고, 형성된 2차 입자는 차광필름을 소정의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하거나 관통 홀을 형성시키는 타발공정에서 블랙착색층의 크랙 등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고, 필름기재와의 접착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블랙착색층(20,30)과 필름기재(10)의 부착성과 밀착력을 확보 하는데 유리하고, 표면의 반사율을 더 낮추기 위한 활제 혹은 미립자 선정의 폭이 넓어서 광택도를 낮추고 플레어 현상을 방지하기 더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착색층(20,30)은 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활제는 블랙착색층(20,30) 표면의 슬라이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활제는 입경이 서로 상이한 2종의 활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1 ~ 5㎛ 평균입경을 갖는 제1활제와 6 ~ 10㎛의 평균입경을 갖는 제2활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평균입경이 작은 제1활제는 블랙착색층(20,30)에 무광택성을 부여할 수 있고, 제2활제는 블랙착색층(20,30) 표면의 슬라이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활제와 제2활제는 1:1.5 ~ 2.5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목적하는 효과의 달성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상술한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 ~ 25 중량부로 구비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 미만일 때 슬라이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5 중량부를 초과 시 필름기재(10)와의 접착특성이 저하되고, 타발 시 블랙착색층(20,30)의 크랙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활제는 블랙착색층(20,30)의 광학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하나로써, 목적하는 광학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상술한 안료나 염료의 함량을 고려해 적절히 함량이 조절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활제는 공지된 재질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상기 활제는 폴리사불화에틸렌(PTFE), 폴리삼불화에틸렌(PC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불화비닐(PVF), 폴리에틸렌사불화에틸렌 공중합체(ETF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의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0.5 ~ 10㎛, 바람직하게는 1 ~ 10㎛일 수 있으며, 이때 제1블랙착색층(20)과 제2블랙착색층(30)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은 광학농도가 서로 동일하게 구현되거나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의 광학농도는 각각 독립적으로 1.0 미만일 수 있고, 다른 일예로 0.15 이상 1.0 미만일 수 있다. 만일 제1블랙착색층 및/또는 제2블랙착색층의 광학농도가 1.0 이상인 경우 차광성은 좋아질 수 있으나 타발 시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고, 필름기재와 블랙착색층 간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광필름(100')은 필름기재(10)와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 간의 접착특성 강화를 위해서 필름기재(10) 상에 프라이머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라이머층(40) 상에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40)은 공지된 프라이머층 재질의 경우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블랙착색층(20,30)의 매트릭스 수지의 재질을 고려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매트릭스 수지가 우레탄계 수지일 경우 상기 프라이머층(40) 역시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40)은 두께가 3㎛ 이하일 수 있으며, 프라이머층(40) 두께가 3㎛를 초과 시 블랙착색층(20,30)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도포 시 블로킹에 의한 외관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투명한 프라이머층에 의한 광택도 증가로 인해 플레어 현상의 유발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블랙착색층(20) 및 제2블랙착색층(30) 각각의 상부에는 대전방지층(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층(50)은 공지된 전도성물질과 바인더 수지를 함유한 코팅층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알칼리 금속염, 이온성 액체,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등의 탄소계 물질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우레탄-아크릴계 공중합체, 에스테르계 수지, 에테르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대전방지층(50)은 두께가 10nm ~ 400n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차광필름(100)은 중앙부에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렌즈 등을 통해서 광이 지나가는 통로로써 기능한다. 상기 관통홀은 필름부재에 대한 통상적인 타발공정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로 인한 차광필름(100)의 내벽에서는 광의 반사로 인한 플레어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광필름(100)의 내벽은 부식처리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증가된 내벽 표면의 거칠기나 내벽이 안쪽을 만곡시켜서 플레어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부식처리는 염기성용액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차광필름은 다수 개의 렌즈와 함께 광학기기용 렌즈 유닛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유닛은 광축 방향으로 적층된 다수 개의 렌즈 및 인접하는 렌즈 사이의 여러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배치된 차광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의 구체적 형상, 렌즈 유닛 내 구비되는 렌즈의 개수, 렌즈의 종류(볼록렌즈, 오목렌즈, 비구면 렌즈, 구면 렌즈 등), 렌즈의 배치 등은 통상적인 광학기기용 렌즈 유닛을 참조하여 이를 적절히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렌즈 유닛은 카메라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 유닛을 통해서 피사체를 촬상하는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촬상소자는 상기 렌즈 유닛의 광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1>
두께 25㎛이며, 광학농도가 4.0인 PET 필름을 필름기재로써 준비했다. 준비된 필름기재 양 면에 우레탄계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활제(PTFE, 평균입경 5㎛인 제1활제와 평균입경 10㎛인 제2활제 1:2 중량비로 구성) 7중량부 및 검정 유성염료 1 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유기용제 300 중량부가 혼합된 블랙착색층 형성조성물을 각각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시켜서 블랙착색층 각각의 최종 두께가 3㎛, 각각의 블랙착색층 광학농도가 0.36이 되도록 구현하였다.
이후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을 사용하여 P.E.D.O.T 계열의 대전방지코팅층 형성조성물을 각각의 블랙착색층 상에 100 ㎚ 두께로 코팅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시켜서 하기 표 1과 같은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블랙착색층과 PET 필름기재의 광학농도 및/또는 블랙착색층 내 검정 유기염료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여 차광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블랙착색층과 PET 필름기재의 광학농도 및 블랙착색층 내 검정 유기염료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여 차광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차광필름에 대해서 하기 물성을 평가해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블랙착색층과 필름기재 간 접착특성
크로스-컷 방법을 통해서 블랙착색층과 필름기재 간 접착특성을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차광필름을 가로 세로 3㎜ 격자로 커팅하여 총 100 개의 격자 패턴을 구현 후 부착력 시험 테이프를 격자 패턴 상에 평행하게 올려 부착한 후 3분 뒤 60도 각도록 균일하게 부착력 시험 테이프를 떼어 내었다. 이후 차광필름 표면 상태를 확대경을 통해 확인하여 하기의 기준에 의거해 평가했다.
0: 절단면이 깨끗하고 격자의 사각형이 분리되지 않음
1: 블랙착색층의 작은 조각이 교차점에서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조각의 총 면적이 총 격자 면적의 5% 미만임
2: 블랙착색층의 작은 조각이 절단된 교차점 및 모서리를 따라서 분리되었고, 분리된 조각의 총 면적이 총 격자 면적의 5% 이상 ~ 15% 미만임
3: 블랙착색층의 절단면 가장자리와 사각형 일부가 분리되었고, 분리된 조각의 총 면적이 총 격자 면적의 15% 이상 ~ 35% 미만임
4: 블랙착색층이 절단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크게 벗겨졌고, 사각형이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조각의 총 면적이 총 격자 면적의 35% 이상 ~ 65% 미만임
5: '4' 보다 더 분리되었고, 분리된 조각의 총 면적이 총 격자 면적의 65% 이상임
2. 타발 후 블랙착색층의 손상여부
구현된 차광필름을 외경 4.5mm, 내경 1.5mm가 되도록 타발한 뒤, 광학 렌즈 사이에 삽입시켜 렌즈 유닛을 구현한 뒤 육안으로 렌즈 유닛을 관찰하여 광학렌즈 주변에 실과 같은 버(Burr)의 발생 유무를 관찰했고, 실과 같은 버가 관찰 시 ○로 표시하고, 버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로 나타내었다.
3. 플레어 현상 발생여부 평가
플레어 테스트는 타발된 차광필름을 S사 스마트폰 모델에 장착하고, 암실에서 LED조명으로 강한 빛을 주고 각도에 따라 실제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상에 플레어 현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플레어 현상이 관찰되는 경우 ○, 관찰되지 않는 경우 ×로 표기했다. 또한, 실시예1과 비교예1의 플레어 현상에 대해서는 하기 도 3 및 도 4에 사진을 촬영하여 나타내었다.
도 3과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1에서 촬영된 도 4의 경우 빛이 흘러내리는 샤워플레어가 관찰되나 실시예1에서 촬영된 도 3의 경우 샤워플레이가 관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제1블랙착색층 안료 또는 염료 종류 검정유기염료 검정유기염료 검정유기염료 검정유기염료 카본블랙 검정유기염료 카본블랙 카본블랙
두께(㎛) 3 3 3 3 3 3 3 3
광학농도 0.36 0.17 0.15 1.12 1.50 0.98 0.96 2.5
필름기재 두께(㎛) 25 25 25 25 25 25 25 25
광학농도(A) 4.0 4.0 4.0 4.0 2.5 4.0 4.0 1.2
제2블랙착색층 안료 또는 염료 종류 검정유기염료 검정유기염료 검정유기염료 검정유기염료 카본블랙 검정유기염료 카본블랙 카본블랙
두께(㎛) 3 3 3 3 3 3 3 3
광학농도 0.36 0.17 0.15 1.12 1.50 0.98 0.96 2.5
제1블랙착색층+제2블랙착색층 광학농도(B) 0.68 0.31 0.29 2.20 2.90 1.95 1.93 4.84
A:B의 광학농도비 5.88:1 12.98:1 13.79:1 1.82:1 0.86:1 2.05:1 2.07:1 0.82:1
차광필름 광학농도 4.0 초과 4.0 초과 4.0 초과 4.0 초과 4.0 초과 4.0 초과 4.0 초과 4.0 초과
물성 접착특성 0 0 0 2 3 0 2 5
손상여부 × × × × × ×
플레어현상 × × × × ×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의 경우 전체 광학농도 4.0을 초과하여 차광특성의 발현에는 문제가 없으나 제1블랙착색층 또는 제2블랙착색층이 필름기재 보다 광학농도가 커서 필름기재와의 접착특성이 나쁘고 타발 시 손상이 발생하며, 플레어 현상까지 유발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1에 대비해 접착특성이 우수했고, 타발 시 손상이 적게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필름기재의 광학농도가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 광학농도 합보다 작은 실시예5의 경우 다른 실시예에 대비해 접착특성 저하 및 타발시 손상이 컸으며, 플레어 현상도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100': 차광필름 10: 필름기재
20,30: 블랙착색층

Claims (10)

  1. 광학농도가 4.0 이상이며,
    필름기재 및 코팅층으로써 상기 필름기재 주 표면 측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기재의 광학농도가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 각각의 광학농도보다 큰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기재는 두께가 6 ~ 100㎛이며, 상기 제1블랙착색층과 제2블랙착색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두께가 0.5 ~10㎛인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랙착색층과 제2블랙착색층은 각각 검정 유성염료를 함유하는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기재의 광학농도는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의 전체 광학농도 보다 큰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기재의 광학농도는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의 전체 광학농도의 2 ~ 13 배인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랙착색층과 제2블랙착색층 각각의 광학농도는 1.0 미만인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필름의 중앙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기재의 주표면 각각과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 사이에는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되고, 상기 제1블랙착색층 및 제2블랙착색층 각각의 상부에는 대전방지층이 더 포함되는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9. 광축방향으로 적층된 다수 개의 렌즈; 및
    인접하는 렌즈 사이의 여러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광필름;을 포함하는 광학기기용 렌즈 유닛.
  10. 제9항에 따른 렌즈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111131A 2020-09-01 2020-09-01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KR102427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131A KR102427084B1 (ko) 2020-09-01 2020-09-01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131A KR102427084B1 (ko) 2020-09-01 2020-09-01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152A true KR20220029152A (ko) 2022-03-08
KR102427084B1 KR102427084B1 (ko) 2022-07-29

Family

ID=8081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131A KR102427084B1 (ko) 2020-09-01 2020-09-01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7257A (zh) * 2022-11-21 2023-04-04 中国人民解放军空军特色医学中心 一种黑色遮光导电布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871A (ja) * 2006-09-04 2008-03-13 Toray Ind Inc 遮光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843401B1 (ko) * 2017-12-22 2018-03-29 (주)코원티엔에스 플레어 현상이 저감된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184848A (ja) * 2018-04-11 2019-10-24 株式会社きもと 光学機器用遮光フィルム及び光学機器用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光学機器用絞り部材、光学機器用シャッター部材、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00015121A (ko) 2018-08-02 2020-02-12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광학기기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6871A (ja) * 2006-09-04 2008-03-13 Toray Ind Inc 遮光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843401B1 (ko) * 2017-12-22 2018-03-29 (주)코원티엔에스 플레어 현상이 저감된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184848A (ja) * 2018-04-11 2019-10-24 株式会社きもと 光学機器用遮光フィルム及び光学機器用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光学機器用絞り部材、光学機器用シャッター部材、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00015121A (ko) 2018-08-02 2020-02-12 한국다이요잉크 주식회사 광학기기 렌즈용 스페이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7257A (zh) * 2022-11-21 2023-04-04 中国人民解放军空军特色医学中心 一种黑色遮光导电布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084B1 (ko)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5968B1 (ko)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WO2016186097A1 (ja) 遮光部材、黒色樹脂組成物及び黒色樹脂成形品
CN106405710A (zh) 防眩膜、偏振片、液晶面板和图像显示装置
KR20120090963A (ko)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KR101843401B1 (ko) 플레어 현상이 저감된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7084B1 (ko)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JP2022166194A (ja) 光学機器用遮光フィルム及び光学機器用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光学機器用絞り部材、光学機器用シャッター部材、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594805B1 (ko) 적층 차광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JP5498127B2 (ja) 光学機器用遮光部材
KR102477662B1 (ko) 적층 차광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JP2018088013A (ja) 光学機器用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WO2020179560A1 (ja) レンズ用スペーサー、並びに、これを用いた積層遮光部材、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90049277A (ko) 광학용 반사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4030665A (ja) 遮光塗料、遮光フィルム、遮光部材、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24030664A (ja) 遮光フィルム、遮光膜、遮光部材、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