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963A -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 Google Patents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963A
KR20120090963A KR20127005938A KR20127005938A KR20120090963A KR 20120090963 A KR20120090963 A KR 20120090963A KR 20127005938 A KR20127005938 A KR 20127005938A KR 20127005938 A KR20127005938 A KR 20127005938A KR 20120090963 A KR20120090963 A KR 20120090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lubricant
shielding film
shielding memb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0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코 다카하시
마사히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48922A external-priority patent/JP54981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803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123255A/ja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9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1Of polyim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높은 슬라이딩성을 가지면서, 차광성, 광택 제거성 등의 차광막의 물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내마모성이나 접착성이 개선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제공한다.
광학기기용 차광부재(1)는, 필름 기재(2)와, 이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차광막(3)을 갖는다. 차광막(3)은, 바인더 수지, 카본블랙(31), 입자상의 활제(32) 및 미립자(33)를 함유한다. 바인더 수지 및 입자상의 활제의 함유율은, 각각 65 중량% 이상, 5~15 중량%이다. 입자상의 활제(32)로서, 그 밀도가 미립자(33)의 밀도보다도 큰 것을 사용한다.

Description

광학기기용 차광부재{Light-blocking member for use in optical equipment}
본 발명은 각종 광학기기의 셔터나 조리개 부재 등에 사용 가능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성능 일안레프 카메라, 컴팩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의 각종 광학기기에 대한 소형화, 경량화의 요구에 의해,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던 광학기기의 셔터나 조리개 부재가 플라스틱 재료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의 조리개로서는, 카본블랙, 활제, 미립자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차광막을 필름 기재 위에 형성한 차광성 필름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2).
일본국 특허공개 평9-274218호 공보 WO2006/016555호 공보
전술한 종래수법에 의한 차광성 필름의 경우는, 슬라이딩성(摺動性)을 높이기 위해, 차광막 중에 다량의 활제(滑劑)를 함유시켜야만 했었다. 그 결과, 첫째로, 다량의 활제에 의해 차광막의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로, 차광막 중의 미립자의 함유율을 저하시킬 수 밖에 없어, 차광성은 좋더라도, 광택 제거성을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었다.
그런데 최근 들어, 휴대전화의 카메라 등에 렌즈를 탑재하는 경우, 당해 렌즈를 기판에 실장(mounting)할 때 리플로 땜납에 의한 장착이 주목되고 있다. 리플로 땜납이란, 크림상의 땜납을 기판에 도포한 후에 고온의 리플로 로에 통과시켜, 땜납을 녹여서 접착시키는 장착방법을 말한다. 이 리플로 땜납에 의한 렌즈의 장착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장착수법과 비교하여,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의 현격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차광성 필름을 휴대전화의 카메라에 탑재하는 경우, 전술한 리플로 땜납에 의한 렌즈 장착조건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높은 내열성이, 차광성 필름에 대해 요구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수법에 의한 차광성 필름의 경우는, 차광막 중에 다량의 활제를 함유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차광막 중의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이 저하되어, 차광막과 필름 기재 사이에서 접착성이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는, 높은 슬라이딩성을 가지면서, 차광성, 광택 제거성 등의 차광막의 물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내마모성이나 접착성이 개선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높은 슬라이딩성을 가지면서, 차광성, 광택 제거성 등의 차광막의 물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내열성이나 접착성이 개선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립자와 입자상의 활제의 밀도에 착안하여, 미립자의 밀도보다 큰 밀도를 갖는 활제(특정 활제)를 사용함으로써, 차광막 표면의 활제량을 적게 할 수 있어, 그 결과, 차광막의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특정 활제를 사용함으로써, 소량의 배합으로 높은 슬라이딩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이 발견한 특정 활제를 사용하면, 소량의 배합으로 높은 슬라이딩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차광막 중에서의 활제 배합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어, 그 상대적 효과로서, 차광막 중의 바인더 수지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필름 기재에 대한 차광막의 접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필름 기재(2)와, 이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차광막(3)을 가지며, 차광막(3)은 바인더 수지, 카본블랙(31), 입자상의 활제(32), 및 미립자(33)를 함유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1)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 및 입자상의 활제(32)의 함유율은 각각 65 중량% 이상, 5~15 중량%이다. 입자상의 활제(32)로서, 그 밀도가 미립자(33)의 밀도보다도 큰 것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특정 입자상의 활제를 사용함으로써, 소량의 배합에도 불구하고 높은 슬라이딩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것도 발견하였다. 이유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여럿 있는 입자상 활제 중에서 불소수지 입자를 선택해서 사용함으로써, 소량의 배합으로 높은 슬라이딩성이 얻어지는 결과, 차광막 중의 카본블랙 및 미립자의 함유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차광성, 광택 제거성 등의 차광막의 물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활제의 배합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는 상대적 효과로서, 차광막 중의 바인더 수지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성공하였다. 그 결과, 차광막의 내열성이나 접착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차광막의 내마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필름 기재(2)와, 이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차광막(3)을 가지며, 차광막(3)은 바인더 수지, 카본블랙(31), 불소수지 입자(32), 및 미립자(33)를 함유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1)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 및 불소수지 입자(32)의 함유율은 각각 65 중량% 이상, 5~15 중량%이다. 불소수지 입자(32)와 미립자(33)의 중량비율은 불소수지 입자(32)/미립자(33)로 5 이하이다.
제1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 차광막(3) 중에서의 활제(32)의 함유율을 10 중량%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활제의 밀도를 2.0(g/㎤)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활제(32)로서, 평균 입경이 5~1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활제로서 불소수지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 차광막(3) 중에서의 불소수지 입자(32)의 함유율을 10 중량%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차광막(3) 중에서의 불소수지 입자(32)와 미립자(33)의 중량비율을 불소수지 입자(32)/미립자(33)로 3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불소수지 입자(32)로서, 평균 입경이 5~1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양 관점의 발명에 있어서, 차광막(3) 중에서의 카본블랙 및 미립자(33)의 함유율을 각각 5~20 중량%, 1~10 중량%로 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를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름 기재(2)를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33)로서, 흡유량이 250(g/100 g)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에서는,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하였으나, 이 부호는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뿐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제1 관점의 발명에 의하면, 차광막에 함유시키는 활제로서, 특정 입자상의 활제, 즉 미립자보다도 밀도가 큰 입자상의 활제를 사용함으로써, 차광막 표면의 활제 존재량을 적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차광막의 내마모성이 향상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정 활제를 사용함으로써, 소량의 배합으로 차광막에 높은 슬라이딩성을 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차광막 중으로의 활제 배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차광막 중으로의 활제 배합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는 상대적 효과로서, 차광막 중의 카본블랙 및 미립자의 함유율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광성, 광택 제거성 등의 차광막의 물성을 유지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얻을 수 있다. 차광막 중으로의 활제 배합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는 다른 상대적 효과로서, 차광막 중의 바인더 수지(특히 열경화성 수지)의 함유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차광막의 필름 기재에 대한 접착성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제2 관점의 발명에 의하면, 차광막에 함유시키는 활제로서 특정 입자상의 활제, 즉 불소수지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소량의 배합으로 차광막에 높은 슬라이딩성을 발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광막 중으로의 활제 배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차광막 중으로의 활제 배합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는 상대적 효과로서, 차광막 중의 바인더 수지(특히 열경화성 수지)의 함유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차광막의 내열성이 향상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차광막 중으로의 활제 배합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는 다른 상대적 효과로서, 차광막 중의 카본블랙 및 미립자의 함유율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광성, 광택 제거성 등의 차광막의 물성을 유지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차광막 중의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을 늘리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내열성 외에, 차광막의 필름 기재에 대한 접착성이나 내마모성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양 관점의 발명 모두 차광막의 접착성이나 내마모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양 관점에 의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는, 고성능 일안레프 카메라, 컴팩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전화, 프로젝터 등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리플로 땜납에 의한 렌즈 장착이 요구되고 있는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설명한다.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부재(1)는 기재(2)를 갖는다. 기재(2)의 적어도 편면에는 차광막(3)이 형성되어 있다.
《기재》
사용 가능한 기재(2)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의 합성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고, 연신가공, 특히 이축 연신가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기계적 강도,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내열용도로의 사용에는, 폴리이미드 필름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최근 들어, 휴대전화의 카메라 등에 렌즈를 탑재하는 경우, 당해 렌즈를 기판에 실장할 때 리플로 땜납에 의한 장착이 주목되고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기재(2)로서, 투명한 것은 물론, 발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카본블랙 등의 흑색 안료나 다른 안료를 함유시킨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기재(2)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광부재(1)로서 사용할 때, 부재 단면의 합성수지 필름 부분에 있어서 렌즈 등으로 집광된 빛이 반사되어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높은 차광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카본블랙 등의 흑색 안료 함유의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경우에 있어서는, 투명 또는 발포한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광막(3) 자체로 차광부재(1)로서의 충분한 차광성이 얻어지는 것으로부터, 합성수지 필름에 흑색 안료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합성수지 필름이 육안으로 흑색으로 보이는 정도, 특 광학농도가 3 정도가 되도록 함유하면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합성수지 필름 중에 기재(2)로서의 물성이 손상되는 한계까지 흑색 안료를 함유시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합성수지 필름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기재(2)의 두께는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상이하나, 경량의 차광부재(1)로서의 강도나 강성 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25 ㎛~25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2)에는, 차광막(3)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앵커처리 또는 코로나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광막》
기재(2)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되는 차광막(3)은, 바인더 수지, 카본블랙, 입자상의 활제(32) 및 광택 제거제(33)를 함유해서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바인더 수지 및 카본블랙을 통칭하여, 부호「31」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바인더 수지》
차광막(3)에 함유되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메타)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초산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요소계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아크릴폴리올 수지, 에폭시폴리올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내열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경화성 수지가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은, 차광막(3) 중,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으로 한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을 차광막(3) 중, 50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기재(2)와 차광막(3)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은, 차광막(3) 중,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이하로 한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을 차광막(3) 중, 85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차광성, 슬라이딩성, 광택 제거성 등의 차광막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툭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관점에서는 활제(32)로서 특정 활제(후술)를 선택하고, 또한 제2 관점에서는 활제(32)로서 불소수지 입자를 선택함으로써, 차광막(3) 중에서의 활제(32)의 함유량을 낮게 억제해도 높은 슬라이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의 상대적 효과로서,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을 종래기술보다도 증가(예를 들면 65 중량% 이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결과, 차광막(3)의 접착성이나 내마모성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카본블랙》
차광막(3)에 함유되는 카본블랙은, 바인더 수지를 흑색으로 착색시켜 차광성을 부여시키는 동시에, 도전성을 부여시켜서 정전기에 의한 대전을 방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카본블랙의 평균 입경은, 충분한 차광성을 얻기 위해 1 ㎛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균 입경이란, 레이저 회절식 입도분포 측정장치(예를 들면, 시마즈 세이사쿠쇼사:SALD-7000 등)로 측정되는 메디안 직경(D50)을 가리키고 있다. 활제, 미립자 등도 동일하다.
카본블랙의 함유율은, 차광막(3) 중, 5~20 중량%가 바람직하고, 10~20 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광막(3) 중, 5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차광성 및 도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20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접착성이나 내찰상성(또는 내마모성)이 향상되며, 또한 도막강도의 저하 및 생산비용 증가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립자》
차광막(3)에 함유되는 미립자(33)는,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시킴으로써 입사광의 반사를 적게 하여 표면의 광택도(경면 광택도)를 저하시켜, 차광부재(1)로 했을 때의 광택 제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미립자(33)는, 차광부재(1)로 했을 때의 표면의 광택 제거성을 부여시키기 위해 불가결하나, 차광막(3)에 함유할 수 있는 비율에는 다음과 같은 제한이 있다. 먼저 수지와 그 이외의 성분의 비율을 변경하지 않고 미립자(33)의 함유율을 증가시킨 경우, 그것에 따라 카본블랙(31), 활제(32) 등의 함유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차광부재(1)로서의 차광성, 슬라이딩성 등의 물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차광성 등의 물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차광막 중의 카본블랙, 활제의 함유율은 유지하면서,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을 저하시켜 미립자(33)의 함유율을 증가시킨 경우에는, 기재(2)와 차광막(3)의 접착성이 부족하여, 내찰상성 또는 내마모성이 열화(劣化)된다. 즉, 충분한 광택 제거성을 부여하는 양의 미립자(33)를 차광막(3) 중에 함유시킨 경우에는, 차광성, 슬라이딩성 등의 물성을 유지할 수 없거나, 내찰상성 또는 내마모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유량이 많은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유량이 바람직하게는 250(g/100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유량 300(g/100 g) 이상의 미립자(33)를 사용할 수 있다. 흡유량이 많은 미립자(33)를 사용하면, 소량으로 표면의 광택 제거성이 얻어져, 차광막(3) 중의 카본블랙(31), 활제(32) 등의 함유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차광막(3)에 광택 제거성을 가지면서, 차광막(3)에 의한 차광성, 슬라이딩성 등의 물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흡유량은, ISO787/V-1968에 준거한 것으로, 100 g의 미립자(33)에 아마인유를 습윤 혼합하여 딱딱한 페이스트상으로 하는데 필요한 기름의 양(g)이다.
이와 같은 미립자(33)로서는, 가교 아크릴 수지 비즈(1.19) 등의 유기계나, 실리카(1.9),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2.0~2.2), 산화티탄, 마그네슘(1.7) 등의 무기계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으나 무기계의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미립자의 분산성?저비용 등의 관점에서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괄호 안의 숫자는, 그 물질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다(단위는「g/㎤」).
미립자(33)의 1차 입자경 또는 2차 입자경은 1~10 ㎛가 바람직하고, 1~6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차광부재(1)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광택 제거성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2차 입자란, 1차 입자가 응집되어 형성된 입자를 의미하는 것이다. 1차 입자경 또는 2차 입자경은, 투과형 전자현미경에 의한 사진촬영으로 구할 수 있는데, 간이적으로는 레이저 산란식의 입도분포계(예를 들면, HORIBA사 제조의 상품명 「LA300」) 등을 사용하여, 개수 메디안 직경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미립자(33)의 함유율은, 차광막(3) 중, 1~10 중량%가 바람직하고, 1~5 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광막(3) 중, 1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표면의 광택도(경면 광택도)가 증가하여 광택 제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차광부재(1)의 슬라이딩에 의한 미립자(33)의 탈락이 발생하거나, 슬라이딩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높은 차광성이나 슬라이딩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미립자(33)의 함유율은, 전술한 범위에서 추가로 차광막(3) 중, 3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미립자(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량으로도 높은 광택 제거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3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충분한 광택 제거성이 얻어지고, 또한 상대적으로 카본블랙(31), 활제(32)의 함유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차광성, 슬라이딩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활제》
차광막(3)에 함유되는 입자상의 활제(32)는, 차광부재(1) 표면의 슬라이딩성을 향상시켜, 조리개 부재 등으로 가공했을 때, 작동시의 마찰저항을 작게 하는 동시에, 표면의 내찰상성 또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관점에서는, 입자상의 활제(32)로서, 그 밀도가 전술한 미립자의 밀도보다도 큰 것(특정 밀도의 활제)을 사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차광막(3) 중에 함유시키는 입자상의 활제(32)로서, 특정 밀도의 활제를 선택해서 사용함으로써, 차광막(3) 표면의 활제(32)의 양을 적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차광막(3)의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특정 밀도의 활제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미립자가 도막 표면에 오기 때문에, 미립자 함유량이 소량이더라도 양호한 광택 제거성을 얻기 쉽다.
즉 밀도가 큰 활제(32)는, 그 대부분이 차광막(3)의 표면 부근에 체재하지 않고 막 내부에 존재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슬라이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나, 실험에 의해 확인한 바, 비교적 높은 슬라이딩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이유는 반드시 명확하지는 않으나, 배합된 소량의 활제 전부가 차광막(3)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일부가 미립자(33)에 덮이지 않고 차광막(3)의 표면에 체재하고 있는 것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제1 관점에서 사용 가능한 특정 밀도의 활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밀도가 2.0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활제로서는, 폴리사불화에틸렌(PTFE, 2.2), 폴리삼불화에틸렌(PCTFE, 2.15), 폴리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FEP, 2.15)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미립자의 항목과 동일하게, 괄호 안의 숫자는, 그 물질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다(단위는 「g/㎤」).
제2 관점에서는, 입자상의 활제(32)로서, 불소수지 입자를 사용한다. 불소수지 입자에는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입자가 포함된다. 본 발명자들은, 차광막(3) 중에 함유시키는 입자상의 활제(32)로서, 여럿 있는 입자상 활제 중에서 불소수지 입자를 선택해서 사용함으로써, 차광막(3) 중에서의 활제(32)의 함유량을 적게 하더라도(종래비로 약 40% 정도 줄임), 높은 슬라이딩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불소수지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사불화에틸렌(PTFE), 폴리삼불화에틸렌(PC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불화비닐(PVF), 폴리에틸렌사불화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사불화에틸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샴록 테크놀로지사(미국)나 헥스트재팬사 등으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수지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샴록 테크놀로지사의 시판품 「샴록 왁스」의 SST 시리즈나, 헥스트재팬사의 시판품 「호스타플론」의 TF 시리즈 등이 있다. SST 시리즈로서는, 예를 들면, 「SST-1MG」(입경 약 1~2 ㎛), 「SST-2」(입경 약 12.5 ㎛), 「SST-2P」(입경 약 12.5 ㎛), 「SST-2D」(입경 약 9 ㎛), 「SST-3」(입경 약 5 ㎛), 「SST-3D」(입경 약 5 ㎛), 「SST-3P」(입경 약 5 ㎛), 「SST-3H」(입경 약 5 ㎛), 「SST-4」(입경 약 4 ㎛), 「SST-4MG」(입경 약 2~4 ㎛) 등을 들 수 있다. TF 시리즈로서는, 예를 들면, 「TF9202」(입경 약 2.5 ㎛), 「TF9205」(입경 약 5 ㎛)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사불화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샴록 왁스」의 FLUOROSLIP 시리즈 등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이 시리즈의 「225(PTFE/PE, 입경 약 12.5 ㎛)」, 「231(PTFE/PE, 입경 약 6 ㎛)」, 「245(PTFE/PE, 입경 약 12.5 ㎛)」, 「285(PTFE/PE, 입경 약 12.5 ㎛)」, 「421T(PTFE/PE, 입경 약 6 ㎛)」, 「425(PTFE/PE, 입경 약 12.5 ㎛)」, 「511(PTFE/PE, 입경 약 6 ㎛)」, 「722MG(PTFE/PE, 입경 약 5 ㎛)」, 「731MG(PTFE/PE, 입경 약 3~4 ㎛)」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입경은 평균 입경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특정 활제(제1 관점에서는 특정 밀도의 활제, 제2 관점에서는 불소수지 입자. 이하 동일.) 이외의, 공지의 입자상 활제로서 알려져 있는 유기계 활제나 무기계 활제를, 상기 특정 활제에 적량으로 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특정 활제 100부에 대해, 중량비로 100부 이하 정도가 되도록 배합할 수 있다. 특정 활제 이외의 다른 활제 성분의 배합량이 많아지면, 본 실시형태에서 특정 활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효과가 손상될 우려도 있다.
특정 활제 입자의 평균 입경은 1~2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 ㎛이다. 이 범위의 평균 입경을 갖는 특정 활제를 사용함으로써, 표면에 적절한 요철이 형성되어, 슬라이딩성능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예를 들면 동마찰계수가 보다 저하된다).
제1 관점에서는, 미립자(33)의 평균 입경보다 큰 평균 입경을 갖는 특정 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활제의 평균 입경을 미립자(33)의 평균 입경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차광막(3) 중에서 활제가 미립자(33)에 덮이기 어려워져, 그 결과 차광막(3)의 표면에 존재하기 쉬워져 슬라이딩성이 향상되는 것에 더하여, 차광막(3) 표면의 광택 제거성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특정 활제의 함유율은, 차광막(3) 중, 5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중량% 이상이다. 차광막(3) 중, 5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표면에 적절한 요철이 형성되어 슬라이딩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정 활제의 함유율을, 차광막(3) 중,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로 해도, 높은 슬라이딩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활제(32)로서 사용하는 특정 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량으로도 높은 슬라이딩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15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충분한 슬라이딩성이 얻어지고, 또한 상대적으로 카본블랙, 미립자(33),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차광성, 광택 제거성 등 외에, 차광막(3)의 내마모성이나 접착성의 향상(제1 관점), 또는 내열성의 향상(제2 관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제1 관점에서는, 차광막(3) 중에서의 활제(32)와 카본블랙(31)의 중량비율(활제(32)/카본블랙(31))을, 바람직하게는 0.90 이하(0을 제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 이하(0을 제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 이하(0을 제외한다)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0.75 이하(0을 제외한다)로, 종래기술(예를 들면 1.00 이상)보다도 작은 값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차광막(3) 중에서의 활제(32)와 카본블랙(31)의 중량비율을, 활제(32)/카본블랙(31)으로 전술한 소정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차광성, 슬라이딩성 및 광택 제거성을 높은 레벨로 유지하여, 차광막(3)의 내마모성이나 접착성의 향상이 기대된다. 이러한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차광막(3)에 포함하는 활제(32)로서 특정 활제를 선택하고, 또한 그 차광막(3)에서의 함유량을 적게 하는 것의 상대적 효과로서, 차광막(3) 중에서의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 것에 기인한다. 차광막(3) 중의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차광막(3)의 기재(2)로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이것에 의해 차광막(3)의 내마모성이 보다 한층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바인더 수지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차광막(3)의 내마모성이나 내열성이 향상된다.
제2 관점에서는, 차광막(3) 중에서의 불소수지 입자와 미립자(33)의 중량비율(불소수지 입자/미립자)은, 바람직하게는 5 이하(0을 제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0을 제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0을 제외한다)로, 종래기술(예를 들면 6 이상)보다도 작은 값(단,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으로 한다.)이 되도록 조정된다. 차광막(3) 중에서의 불소수지 입자와 미립자(33)의 중량비율을, 불소수지 입자/미립자로 전술한 소정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차광성, 슬라이딩성 및 광택 제거성을 높은 레벨로 유지하여, 차광막(3)의 내열성이나 내마모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광막(3)에 포함하는 활제(32)로서 불소수지 입자를 선택하고, 또한 그 차광막(3)에서의 함유량을 적게 하는 것의 상대적 효과로서, 차광막(3) 중에서의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 것에 기인한다. 차광막(3) 중의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차광막(3)의 기재(2)로의 접착성이 보다 한층 향상되어, 이것에 의해 차광막(3)의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바인더 수지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차광막(3)의 내열성이 향상된다.
또한, 차광막(3) 중에서의 불소수지 입자와 미립자(33)의 중량비율을, 바람직하게는 1 이상으로 함으로써, 차광성, 슬라이딩성 및 광택 제거성을 높은 레벨로 유지하여, 차광막(3)의 내열성이나 내마모성, 접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기타 성분》
기재(2)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되는 차광막(3)에는, 본 발명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라면, 난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레벨링제, 유동 조정제, 소포제, 분산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차광막(3)의 두께는 5~30 ㎛가 바람직하고, 5~20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5 ㎛ 이상으로 함으로써, 차광막(3)에 핀홀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충분한 차광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30 ㎛ 이하로 함으로써, 차광막(3)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부재(1)는, 기재(2)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바인더 수지, 카본블랙(31), 입자상의 활제(32) 및 미립자(33)를 포함하는 차광막용 도포액을 딥 코트, 롤 코트, 바 코트, 다이 코트, 블레이드 코트, 에어나이프 코트 등의 종래 공지의 도포방법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 가열?가압 등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도포액의 용매는, 물이나 유기 용제, 물과 유기 용제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부재(1)는, 기재(2)의 적어도 편면에 특정 차광막(3)을 갖는 것으로부터, 광택 제거성을 가지면서, 차광성, 슬라이딩성 등의 차광막의 물성을 유지한 것이다. 이 때문에, 고성능 일안레프 카메라, 컴팩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전화, 프로젝터 등의 광학기기의 셔터, 조리개 부재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차광막(3) 중에, 활제(32)로서, 소량으로도 높은 슬라이딩성을 발현할 수 있는 불소수지 입자를 함유시킨 경우에는, 차광막(3) 중의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내마모성이나 접착성(제1 관점)이 우수한 차광막, 또는 내열성이나 내마모성(제2 관점)이 우수한 차광막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최근 들어, 리플로 땜납에 의한 렌즈 장착이 요구되고 있는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의 셔터, 조리개 부재 등에 사용하여 매우 적합한 것이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부」, 「%」는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기준으로 한다.
1.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의 제작
[실험예 1~19]
기재로서, 두께 50 ㎛의 폴리이미드 필름(캡톤 200H:도오레 듀폰사)을 사용하여, 그 양면에 하기 처방의 차광막용 도포액 a~s를 각각 바 코트법에 의해 건조시의 두께가 10 ㎛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를 행하여 차광막 A~S를 형성해서, 각 실험예의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를 제작하였다. 또한, 하기 처방의 차광막용 도포액의 아크릴폴리올 등의 함유량(부)을 표 1, 2에 나타낸다. 또한, 형성한 차광막의 아크릴폴리올 등의 함유율(%)을 표 3, 4에 나타낸다.
<차광막용 도포액 a~s의 처방>
?아크릴폴리올(고형분 50%) (표 1에 기재된 부)
(아크리딕 A804:DIC사)
?이소시아네이트(고형분 75%) (표 1에 기재된 부)
(바녹 DN980:DIC사)
?카본블랙 (표 1에 기재된 부)
(벌칸 XC-72R:캐봇사)
?표 1에 기재된 활제 (표 1에 기재된 부)
?표 1에 기재된 미립자 (표 1에 기재된 부)
?메틸에틸케톤 60부
?톨루엔 40부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또한, 표 1~4 중, 활제 P는, 샴록 SST-3D(샴록 테크놀로지사, 불소수지 입자, 밀도 2.2, 평균 입경 5 ㎛)를 나타낸다. 활제 Q는, 샴록 SST-2D(샴록 테크놀로지사, 불소수지 입자, 밀도 2.2, 평균 입경 9 ㎛)를 나타낸다. 활제 R은, 샴록 SST-2(샴록 테크놀로지사, 불소수지 입자, 밀도 2.2, 평균 입경 12.5 ㎛)를 나타낸다. 활제 S는, 세리더스트 3620(헥스트사, 폴리에틸렌 왁스, 밀도 0.96, 평균 입경 8.5 ㎛)을 나타낸다.
또한, 미립자 X는, TS100(데구사사, 실리카, 밀도 1.9, 평균 입경 4 ㎛, 흡유량 390(g/100 g))을 나타낸다. 미립자 Y는, 사일리시아 470(후지 실리시아사, 실리카, 밀도 2.15 평균 입경 14.1 ㎛, 흡유량 180(g/100 g))을 나타낸다. 미립자 Z는, MX-500(소켄 가가쿠사, 가교 아크릴 수지 비즈, 밀도 1.19 평균 입경 5 ㎛, 흡유량 불명)을 나타낸다.
2. 평가
이상과 같이 하여 각 실험예에서 얻어진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대해서,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6에 나타낸다. 단, 하기 (1) 차광성의 평가에 대해서는, 두께 50 ㎛의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루미러 T60:도오레사)의 편면에, 상기 각 실험예의 처방의 각 차광막을 두께 10 ㎛로 형성한 샘플을 사용해서 행하였다.
(1) 차광성의 평가
각 실험예의 샘플의 광학농도를, JIS-K7651:1988을 토대로 광학농도계(TD-904:그레태그맥베스사)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4.0을 초과하여, 측정 불능영역의 농도인 것을 「○」로 하고, 4.0 이하인 것을 「×」로 하였다. 또한, 측정은 UV 필터를 사용하였다.
(2) 슬라이딩성의 평가
각 실험예에서 얻어진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의 정마찰계수(μs)와 동마찰계수(μk)를, JIS-K7125:1999를 토대로 하중 200(g), 속도 100(mm/min)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정마찰계수(μs)가 0.30 미만인 것을 「◎」, 0.30 이상 0.35 이하인 것을 「○」, 0.35 이상인 것을 「×」로 하였다. 또한, 동마찰계수(μk)가 0.30 이하인 것을 「○」, 0.30 이상인 것을 「×」로 하였다.
(3) 광택 제거성의 평가
각 실험예에서 얻어진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의 차광막 표면의 광택도(경면 광택도)(%)를, JIS-Z8741:1997을 토대로 측정하였다. 광택도가 낮을수록 광택 제거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된다.
(4) 도전성의 평가
각 실험예에서 얻어진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의 표면저항률(Ω)을, JIS K6911:1995를 토대로 측정하였다. 표면저항률이 1.0×105Ω 미만인 것을 「○」, 1.0×105Ω 이상 1.0×108Ω 미만인 것을 「△」, 1.0×108Ω 이상인 것을 「×」로 하였다.
(5) 접착성의 평가
각 실험예에서 얻어진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의 접착성을, JIS-K5400:1990에 있어서의 바둑판눈 테이프법을 토대로 측정해서 평가하였다. 바둑판눈 부분의 면적이 10% 이상 박리된 것을 「×」, 5% 이상 10% 미만인 것을 「△」, 5% 미만인 것을 「○」로 하였다.
또한, 실험예 12~19에 대해서는, 폴리이미드 필름 대신에, 기재에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미러:도오레사)을 사용한 경우의, 각 실험예에서 얻어진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의 접착성에 대해서도 함께 평가한 바, 어느 샘플에 대해서도 바둑판눈 부분의 면적이 5% 미만으로(평가는 「○」), 접착성은 양호하였다.
(6) 내마모성의 평가
각 실험예에서 얻어진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의 차광층 표면에 대해서, 마모시험기(NUS-ISO-1)를 사용하여, 가동부와 고정부에 샘플편을 설치하고, 하중 500 g, 100 왕복의 조건으로 마모시험을 행하여, 그 마모시험 전후의 고정부에 설치한 샘플편 표면의 광택도(경면 광택도)를 측정하고, 그 차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마모시험 후(광택도)-마모시험 전(광택도)」의 값이 1.0 미만인 것을 「○」, 1.0 이상 1.5 미만인 것을 「△」, 1.5 이상인 것을 「×」로 하였다.
(7) 내열성의 평가
각 실험예에서 얻어진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의 내열성을 다음과 같이 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각 차광부재에 대해 270℃에서 5초간 열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열처리 후의 각 차광부재의 차광막 표면의 광택도를, 상기 (3)과 동일하게, JIS-Z8741:1997을 토대로 측정한다. 그 결과, 광택도가, 열처리 전후에서 변화 없음 또는 저하된 것을 내열성 있음으로 판단하여 「○」, 열처리 후의 광택도가 열처리 전의 광택도보다 증가한 것을 내열성 없음으로 판단하여 「×」로 하였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3. 고찰
표 5 및 표 6으로부터 이하의 것을 이해할 수 있다.
(3-1) 차광성, 슬라이딩성, 광택 제거성, 도전성
먼저,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의 차광막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물성(차광성, 슬라이딩성, 광택 제거성, 도전성)에 대해서 고찰한다.
실험예 1~11에 대해서는, 일부의 실험예(실험예 4,10)를 제외하고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슬라이딩성에 관하여, 실험예 4가 떨어지는 것은, 특정 활제를 사용하지 않았을뿐 아니라, 그 배합량이 지나치게 적었던(9.5 중량%) 것에 기인한다. 실험예 10이 떨어지는 것은, 활제를 조금도 배합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또한, 실험예 8에서는, 특정 활제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그 배합량이 충분(16.3 중량%)하였기 때문에, 실험예 4와 비교하여 충분한 슬라이딩성이 얻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예 12~19에 대해서는, 모든 실험예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3-2) 접착성, 내마모성, 내열성
다음으로, 차광막의 접착성, 내마모성, 내열성에 대해서 고찰한다.
실험예 1~11에 대해서는, 일부의 실험예(실험예 4,8,9,10)를 제외하고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접착성에 관하여, 실험예 8이 약간 떨어지는 것은, 특정 활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고, 또한 활제 함유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었기(16.30 중량%) 때문에,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없었던(64.8 중량%)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예 9가 약간 떨어지는 것은, 특정 활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활제 함유량을 소량으로 할 수 없었기(16.30 중량%) 때문에,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없었던(64.8 중량%)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예 10에서 접착성이 우수했던 것은, 바인더 수지의 배합량이 충분히 높았던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실험예 8,9의 경우에서도, 기재에 PET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양호한 접착성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내마모성에 관하여, 실험예 4가 떨어지는 것은, 특정 활제를 사용하지 않고, 밀도가 미립자보다도 작은 활제를 사용함으로써, 도막 표면에 활제가 많이 존재하게 되어, 도막 표면이 부드러워 흠집이 생기기 쉬워진 것에 기인한다. 실험예 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험예 9가 약간 떨어지는 것은, 활제 함유량이 많고(16.30 중량%), 그 반면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이 적기(64.8 중량%)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전술한 차광성, 슬라이딩성, 광택 제거성, 도전성의 경우와 달리, 실험예 4보다도 활제 배합량이 많았던 실험예 8이, 실험예 4와 마찬가지로,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것은, 차광막으로의 활제 배합량을 많게 한(16.30 중량%) 것에 기인하는 상대적 효과로서,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을 충분히 높게 하지 못한(64.8 중량%) 것에 기인한다. 실험예 10이 떨어지는 것은, 애초부터 활제를 배합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내열성에 관하여, 실험예 4가 떨어지는 것은, 특정 활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실험예 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차광막의 접착성, 내마모성, 내열성에 관하여, 활제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밀도관계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배합하는 미립자의 종류(무기계, 유기계별)에 상관없이 동일한 성능(접착성, 내마모성, 내열성)을 얻을 수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1,5,11 참조).
실험예 12~19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다.
실험예 19에서는, 실험예 12~18에서 사용한 특정 입자상 활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고, 또한 차광막 중의 활제의 함유율이 높아(16.30 중량%), 그 상대적 효과로서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을 충분히 높게 하지 못하였다(64.8 중량%). 그 결과, 차광막의 접착성이나 내열성이 떨어져 있다. 또한, 차광막 중에서의 활제와 미립자의 중량비율(활제/미립자)이 커져(6.27), 차광막의 접착성과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경향도 보인다.
이에 대해, 실험예 12~18에서는, 특정 입자상의 활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험예 19와 비교하여, 차광막 중으로의 활제의 함유율을 낮게 해도(실험예 19에서는 16.30 중량%, 실험예 12~18에서는 9.07~9.75 중량%), 높은 슬라이딩성이 얻어지고 있는 동시에, 내열성이나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또한, 차광막 중으로의 활제의 함유율을 낮게 하는 것의 상대적 효과로서,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을 높게 할 수 있어(69.1 중량% 이상), 그 결과, 차광막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실험예 15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예 12~14의 경우보다도 활제의 함유율을 낮게 하면(9.07 중량%), 미립자(광택 제거제)의 함유율을 높게 할 수 밖에 없어(실험예 15에서는 9.10 중량%, 실험예 12~14에서는 4.50 중량%), 그 결과, 차광막 중에서의 활제와 미립자의 중량비율(활제/미립자)이 작아진다(1.00). 이 때문에, 실험예 12~14의 경우와 비교하면, 차광막의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나, 이 정도 저하되어도 충분히 내마모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16,17에서는, 실험예 12~14의 경우보다도 활제의 함유율을 낮게 하였으나, 실험예 15의 경우보다도 활제의 함유율을 높게 하였기 때문에(9.34 중량%, 9.35 중량%), 미립자(광택 제거제) 함유율의 증가가 억제되어 있다(6.66 중량%, 5.83 중량%). 그 결과, 실험예 15와 비교하여 차광막 중에서의 활제와 미립자의 중량비율(활제/미립자)이 작아지는 것이 억제되어(1.40, 1.60), 이것에 의해, 실험예 15의 경우와 비교하여, 차광막의 내마모성의 저하 경향이 억제된다. 차광막 중으로의 미립자(광택 제거제)의 함유율의 증가가 억제된 것에 의한 상대적 효과로서,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을 실험예 15의 경우보다 높게 할 수 있어(70.9 중량%, 71.5 중량%), 그 결과, 차광막의 접착성이 보다 향상되었다.
실험예 18에서는, 실험예 12~14와 비교하여, 활제의 함유율을 높게 한 것으로(9.75 중량%), 바인더 수지의 함유율을 높게 할 수 있었다(74.1 중량%). 그 결과, 차광막 중의 미립자의 함유율을 낮게 할 수 밖에 없었으나(2.40 중량%), 이 경우에도 충분한 광택 제거성이 얻어지고 있고(4.2%), 또한, 접착성, 내마모성 및 내열성 모두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1…광학기기용 차광부재, 2…기재, 3…차광막, 31…바인더 수지 및 카본블랙, 32…활제, 33…미립자

Claims (11)

  1. 필름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차광막을 갖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로서,
    상기 차광막은 바인더 수지, 카본블랙, 입자상의 활제, 및 미립자를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 및 상기 활제의 함유율이 각각 65 중량% 이상, 5~15 중량%이며,
    상기 활제는 밀도가 상기 미립자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2. 제1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활제의 함유율이 1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활제의 밀도가 2.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활제는 평균 입경이 5~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활제는 불소수지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6. 제5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 입자와 상기 미립자의 중량비율이 불소수지 입자/미립자로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7. 제5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 입자와 상기 미립자의 중량비율이 불소수지 입자/미립자로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 및 미립자의 함유율이 각각 5~20 중량%, 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가 열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필름 기재가 폴리이미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부재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흡유량이 250(g/100 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KR20127005938A 2009-10-29 2010-09-15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KR201200909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8922 2009-10-29
JP2009248922A JP5498127B2 (ja) 2009-10-29 2009-10-29 光学機器用遮光部材
JP2009280363A JP2011123255A (ja) 2009-12-10 2009-12-10 光学機器用遮光部材
JPJP-P-2009-280363 2009-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963A true KR20120090963A (ko) 2012-08-17

Family

ID=4392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05938A KR20120090963A (ko) 2009-10-29 2010-09-15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202081A1 (ko)
KR (1) KR20120090963A (ko)
CN (1) CN102576181B (ko)
WO (1) WO2011052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6557B2 (ja) * 2011-11-16 2014-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ポイ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EP2927959A4 (en) * 2012-12-03 2016-03-09 Fujifilm Corp SEMICONDUCTOR IMAGE CAPTURE ELEMENT RETENTION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IMAGE CAPTURE DEVICE
CN103034386B (zh) 2012-12-20 2015-11-1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电容式触控显示面板、显示装置、控制装置及方法
JP6650686B2 (ja) * 2015-05-21 2020-02-19 株式会社きもと 遮光部材
JP6361615B2 (ja) * 2015-09-08 2018-07-25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2019012163A (ja) * 2017-06-30 2019-01-2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遮光性フィルム、および遮光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843401B1 (ko) * 2017-12-22 2018-03-29 (주)코원티엔에스 플레어 현상이 저감된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675818A (zh) * 2020-06-17 2020-09-18 中山明成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仪器用遮光复合膜及其制备方法
CN116218360A (zh) * 2023-02-14 2023-06-06 深圳市长松科技有限公司 遮光片涂料及其制备方法、以及遮光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18A (ja) * 1984-06-15 1986-01-09 Hitachi Maxell Ltd 磁気記録媒体
JP2552391B2 (ja) * 1990-11-26 1996-11-13 出光興産株式会社 遮光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05950B2 (en) * 2002-12-23 2004-10-19 Imation Corp.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a low molecular weight azo dye including an aryl group
WO2006016555A1 (ja) * 2004-08-10 2006-02-16 Kimoto Co., Ltd. 光学機器用遮光部材
CN101100123A (zh) * 2006-07-06 2008-01-09 郭瑞林 七层共挤高阻隔包装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2307A1 (ja) 2011-05-05
CN102576181A (zh) 2012-07-11
US20120202081A1 (en) 2012-08-09
CN102576181B (zh)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0963A (ko) 광학기기용 차광부재
JP4958950B2 (ja) 光学機器用遮光部材
JP5252115B2 (ja) 遮光フィルム
JP6552491B2 (ja) 光学機器用遮光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6290B1 (ko) 광학기기용 차광재 및 그의 제조방법
TW388802B (en) Reflection type projection screen
JP5498127B2 (ja) 光学機器用遮光部材
JP6650686B2 (ja) 遮光部材
WO2011122379A1 (ja) Led照明用光拡散フィルム
KR102643827B1 (ko) 하드 코팅 필름
KR102518423B1 (ko) 차광성 슬라이딩 필름, 차광성 슬라이딩 부재 및 차광성 슬라이딩 필름용 수지 조성물
WO2012005147A1 (ja) 光学機器用遮光部材
WO2012005148A1 (ja) 光学機器用遮光部材
JP5725842B2 (ja) 光学機器用遮光部材
JP2011123255A (ja) 光学機器用遮光部材
KR102215411B1 (ko) 차광성 잉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차광성 필름
JP2008241767A (ja) 遮光フィルム
KR102427084B1 (ko) 광학기기 렌즈용 차광필름
JP2010145607A (ja) 光学機器用遮光部材および光学機器用遮光部材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
WO2023228947A1 (ja) 黒色遮光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7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17

Effective date: 2019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