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968B1 -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5968B1 KR102525968B1 KR1020197010498A KR20197010498A KR102525968B1 KR 102525968 B1 KR102525968 B1 KR 102525968B1 KR 1020197010498 A KR1020197010498 A KR 1020197010498A KR 20197010498 A KR20197010498 A KR 20197010498A KR 102525968 B1 KR102525968 B1 KR 1025259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ck light
- shielding
- light
- film
- blocking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색의 차광층을 가지면서도 표리면의 판별이 용이한 적층 차광 필름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층 차광 필름(100)은 기재 필름(11), 이 기재 필름(11)의 한쪽 주면(11a) 측에 설치된 흑색 차광층(21), 및 다른 쪽 주면(11b) 측에 설치된 흑색 차광층(31)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다. 제1 흑색 차광층(21) 및 제2 흑색 차광층(31)은 2.5 이상의 광학농도 및 5.0% 이하의 60도 광택도를 각각 갖고, 흑색 차광층(21)은 흑색 차광층(31)과는 상이한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를 갖는다. 기재 필름(11), 제1 흑색 차광층(21) 및/또는 제2 흑색 차광층(31)은 제1 흑색 차광층(21)으로부터 제2 흑색 차광층(31)을 향하여 필름 폭을 확대시키는 경사 단면(12,22,3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층 차광 필름(100)은 기재 필름(11), 이 기재 필름(11)의 한쪽 주면(11a) 측에 설치된 흑색 차광층(21), 및 다른 쪽 주면(11b) 측에 설치된 흑색 차광층(31)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다. 제1 흑색 차광층(21) 및 제2 흑색 차광층(31)은 2.5 이상의 광학농도 및 5.0% 이하의 60도 광택도를 각각 갖고, 흑색 차광층(21)은 흑색 차광층(31)과는 상이한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를 갖는다. 기재 필름(11), 제1 흑색 차광층(21) 및/또는 제2 흑색 차광층(31)은 제1 흑색 차광층(21)으로부터 제2 흑색 차광층(31)을 향하여 필름 폭을 확대시키는 경사 단면(12,22,3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 스마트폰 등의 정보통신단말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에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화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이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 상에 피사체의 화상을 결상하기 위한 렌즈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렌즈 유닛은 통상 복수의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종의 카메라 모듈의 경우, 불필요한 입사광이나 반사광을 제거함으로써 헐레이션(halation), 렌즈 플레어(lens flare), 고스트(ghost)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촬상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빛을 커트하기 위한 차광 부재를 갖는 렌즈 유닛이나 카메라 모듈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차광 부재로서는, 카본블랙, 윤활제, 미립자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차광층을 기재 필름의 양면에 형성한 차광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최근들어 세계 횡단적인 모듈화가 진전되고 있어, 복수의 렌즈와 차광판을 광축방향으로 겹친 렌즈 유닛, 이 렌즈 유닛에 촬상소자를 추가로 조립한 카메라 모듈 등의 형태로, 세계 각국의 제조공장에서 각각 제조 및 관리되어지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각 모듈의 일부품이 되는 차광 필름이나 차광 부재도 각처에 있어서 각각 반송 및 제조 관리되고 있다.
여기서, 차광 필름으로 목적하는 형상의 차광 부재를 제작할 때 또는 차광 부재를 모듈에 조립할 때, 차광 필름이나 차광 부재 표리면의 판별이 불가능하면, 조립 불량 등의 제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세계 횡단적인 모듈화가 진전되고 있는 작금에 있어서, 전세계적으로 차광 필름이나 차광 부재의 관리(표리면의 확인)의 철저함을 도모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및 박막화의 진전에 의해, 매우 작은 사이즈의 차광 부재가 탑재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흑색의 차광층을 설치한 차광 필름에 있어서는, 사이즈가 사방 수 센치 이하가 되면 차광 필름의 표리 판별이 매우 곤란해진다. 특히, 흑색도가 높은(바꿔 말하면, 광학농도가 높은) 차광 필름에 있어서는 이러한 경향이 현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흑색의 차광층을 가지면서도 표리면의 판별이 용이한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공학적인 접근방법으로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흑색 차광층의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추가로 필요에 따라 단면을 지표(mark)로서 기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에 나타내는 여러 구체적 태양을 제공한다.
(1) 제1 흑색 차광층 및 제2 흑색 차광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은 2.5 이상의 광학농도 및 5.0% 이하의 60도 광택도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제2 흑색 차광층과는 상이한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차광 필름.
(2)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또는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으로부터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을 향하여 필름 폭을 확대시키는 경사 단면을 갖고,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주면(major surface)의 법선방향에서 본 평면시(planar view)에서 상기 경사 단면이 노출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적층 차광 필름.
(3)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의 상기 주면과 상기 경사 단면을 잇는 경사각이 10~87°인 상기 (2)에 기재된 적층 차광 필름.
(4) 상기 제1 흑색 차광층과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의 60도 광택도의 차가 1.0~4.5%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차광 필름.
(5)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 주면 측에 설치된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쪽 주면 측에 설치된 제2 흑색 차광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차광 필름.
(6) 상기 기재 필름은 80.0~99.9%의 전광선 투과율을 갖는 상기 (5)에 기재된 적층 차광 필름.
(7) 상기 기재 필름은 0.5 ㎛ 이상, 50 ㎛ 이하의 두께를 갖는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적층 차광 필름.
(8) 링형상의 외형 형상을 갖고, 제1 흑색 차광층 및 제2 흑색 차광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은 2.5 이상의 광학농도 및 5.0% 이하의 60도 광택도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제2 흑색 차광층과는 상이한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를 갖는 광학기기용 차광 링.
(9)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또는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으로부터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을 향하여 필름 폭을 확대시키는 경사 단면을 갖고,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주면의 법선방향에서 본 평면시에서 상기 경사 단면이 노출되어 있는 상기 (8)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 링.
(10)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 주면 측에 설치된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쪽 주면 측에 설치된 제2 흑색 차광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상기 (9)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 링.
(11) 복수의 렌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광판이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겹쳐 쌓인 렌즈 유닛으로서, 상기 차광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차광 필름, 및/또는 상기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 링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유닛.
(12) 복수의 렌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광판이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겹쳐 쌓인 렌즈 유닛과, 상기 렌즈 유닛을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소자를 적어도 갖는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차광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차광 필름, 및/또는 상기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 링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본 발명에 의하면, 흑색의 차광층을 가지면서도 표리 판별이 용이한 적층 차광 필름 및 광학기기용 차광 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적층 차광 필름 및 광학기기용 차광 링을 사용함으로써 모듈 제조 현장에 있어서의 취급성이 향상되어, 부품 관리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조립 불량 등의 제조 고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사용한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등은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도 1은 일실시형태의 적층 차광 필름 및 그의 롤 원반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의 적층 차광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 링(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 링(적층 차광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의 적층 차광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 링(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 링(적층 차광 필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하좌우 등의 위치관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관계에 기초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도시하는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아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를 들면 「1~100」이라는 수치범위의 표기는, 그 상한값 「1」 및 하한값 「100」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다른 수치범위의 표기도 동일하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적층 차광 필름(100) 및 그의 원반 롤(20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적층 차광 필름(100)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II-II 단면)이다. 도 3은 적층 차광 필름(100)의 평면도이다. 이 적층 차광 필름(100)은 기재 필름(11), 이 기재 필름(11)의 한쪽 주면(11a) 측에 설치된 제1 흑색 차광층(21), 및 다른 쪽 주면(11b) 측에 설치된 제2 흑색 차광층(31)을 적어도 구비한다. 그리고, 적층 차광 필름(100)은 흑색 차광층(21), 기재 필름(11) 및 흑색 차광층(31)이 적어도 이 순서로 배열된 적층 구조(3층 구조)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적층 차광 필름(100)이 유심(有芯) 또는 무심(無芯)의 롤형상으로 감김으로써 권회체인 롤 원반(200)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 필름의 한쪽(다른 쪽) 주면 측에 설치된」이라는 것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기재 필름(11)의 표면(예를 들면 주면(11a)이나 주면(11b))에 흑색 차광층(21,31)이 직접 올려놓아진 태양뿐 아니라, 기재 필름(11)의 표면과 흑색 차광층(21,31) 사이에 임의의 층(예를 들면 프라이머층, 접착층 등)이 개재된 태양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제1 흑색 차광층(21) 및 제2 흑색 차광층(31)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란, 제1 흑색 차광층(21) 및 제2 흑색 차광층(31)만이 직접 적층된 구조뿐 아니라, 전술한 3층 구조 및 3층 구조에 임의의 층을 추가로 설치한 4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기재 필름(11)은 흑색 차광층(21,31)을 지지 가능한 것인 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치수 안정성, 기계적 강도 및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합성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합성 수지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올레핀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설폰계, 폴리페닐렌설피드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에테레에테르케톤계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기재 필름(11)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특히,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필름, 특히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내열 용도에는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폴리이미드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재 필름(11)의 두께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량화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기재 필름(11)의 두께는 0.5 ㎛ 이상,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1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7 ㎛ 이하이다. 또한, 흑색 차광층(21,31)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11) 표면에 앵커처리나 코로나처리 등의 각종 공지의 표면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재 필름(11)의 외주 측면(외주 단면)에는 경사 단면(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 단면(12)에 의해 기재 필름(11)의 단면 구조는 아랫바닥이 윗바닥보다도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기재 필름(11)의 필름 폭은 흑색 차광층(21)으로부터 흑색 차광층(31)을 향하여 확대된 구조로 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경사 단면(12)은 기재 필름(11)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 상태로 했을 때, 기재 필름(11)의 주면(11a) 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해지도록, 기재 필름(11) 주면(11a)의 법선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구체적으로는, 기재 필름(11)의 주면(11a)과 경사 단면(12)을 잇는 경사각 θ(부각 θ)가 10~87°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주면(11a) 측으로부터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경사 단면(12)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기재 필름(11) 단면의 강도를 유지하고, 생산성을 유지하는 등의 관점에서 경사각 θ는 30~85°가 바람직하고, 40~83°가 보다 바람직하며, 45~8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단면(12)이 기재 필름(11)의 주면(11a) 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한, 예를 들면 필름 단면 강화를 위해 경사 단면(12)에 투명 내지 반투명의 보호층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 필름(11)의 외관은 투명, 반투명, 불투명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포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발포된 합성 수지 필름이나, 카본블랙 등의 흑색 안료나 다른 안료를 함유시킨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면(11a) 측으로부터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경사 단면(12)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기재 필름(11)은 80.0~99.9%의 전광선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3.0~99.0%, 더욱 바람직하게는 85.0~99.0%이다.
흑색 차광층(21,31)은 2.5 이상의 광학농도(OD) 및 5.0% 이하의 60도 광택도(G60)를 갖는 차광막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농도(OD)는 JIS-K7651:1988에 준거하여, 광학농도계(TD-904:그레텍 맥베스사) 및 UV 필터를 사용해서 측정하여 얻어진 값으로 한다. 보다 높은 차광성을 구비시키는 관점에서, 흑색 차광층(21,31)은 각각 단층에서 2.7 이상의 광학농도(OD)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흑색 차광층(21,31)을 적층시킨 경우, 그 적층체의 광학농도(OD)는 4.5~6.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6.0이다.
또한, 60도 광택도는 JIS-Z8741:1997에 준거하여, 디지털 변각 광도계(UGV-5K:스가 시험기사 제조)를 사용하여 입사 수광각 60°에 있어서의 흑색 차광층(21,31) 표면의 광택도(경면 광택도)(%)를 측정하여 얻어진 값으로 한다. 입광각의 반사를 억제하여 광흡수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흑색 차광층(21,31)은 3.0% 이하의 60도 광택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2.5 이상의 광학농도 및 5.0% 이하의 60도 광택도를 갖는 차광막으로서는 당업계에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흑색계의 차광막으로서는, 바인더 수지 및 흑색 안료를 적어도 함유하는 흑색 차광막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래에 이 흑색 차광막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기술한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메타)아크릴산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알키드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요소계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는데,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경화성 엘라스토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열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흑색 차광층(21,31) 중의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총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접착성, 차광성, 내흠집성, 슬라이딩성 및 광택 제거성 등의 관점에서, 40~9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8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질량%이다.
흑색 안료는 바인더 수지를 흑색으로 착색하여 차광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흑색 안료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흑색 수지 입자, 티탄블랙, 마그네타이트계 블랙, 구리·철·망간계 블랙, 카본블랙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은폐성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흑색 수지 입자, 티탄블랙, 카본블랙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블랙이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본블랙으로서는, 오일퍼니스블랙, 램프블랙, 채널블랙, 가스퍼니스블랙, 아세틸렌블랙, 서멀블랙, 케첸블랙 등 각종 공지의 제법으로 제작된 것이 알려져 있는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흑색 차광층(21,31)에 도전성을 부여하여 정전기에 의한 대전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도전성 카본블랙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본블랙의 역사는 오래되어, 예를 들면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 아사히 카본 주식회사, 미쿠니 색소 주식회사, 레지노 컬러사, 캐봇(Cabot)사, 데구사(DEGUSSA)사 등으로부터, 각종 등급의 카본블랙 단체(simple substance) 및 카본블랙 분산액이 시판되고 있어, 요구 성능이나 용도에 따라 이들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한, 카본블랙의 입자 사이즈는 요구 성능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 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카본블랙의 평균 입자경 D50는 0.01~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0.5 ㎛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장치(예를 들면 시마즈 제작소사:SALD-7000 등)로 측정되는, 체적 기준의 메디안 지름(D50)을 의미한다.
흑색 차광층(21,31) 중의 흑색 안료의 함유량(총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분산성, 제막성, 취급성, 접착성, 미끄럼성, 광택 제거성, 내마모성 등의 관점에서, 흑색 차광층(21,31) 중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성분에 대한 고형분 환산(phr)으로 10~6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 질량%이다.
흑색 차광층(21,31)의 두께는 요구 성능 및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높은 광학농도, 경량화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흑색 차광층(21,31)의 두께는 각각 0.1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며, 상한측은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 ㎛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 차광 필름(100)에 있어서는 인간공학적인 접근방법으로 흑색 차광층(21)과 흑색 차광층(31)이 상이한 60도 광택도(G60) 및/또는 명도지수 L*를 갖도록 구성한 점에 하나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그의 광택감, 윤기 또는 명도의 차를 토대로 비접촉 즉 육안으로 적층 차광 필름(100) 표리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이때, 흑색 차광층(21)의 60도 광택도와 흑색 차광층(31)의 60도 광택도의 차는 판별성과 흑색도(차광성)의 균형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0~4.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이다. 이러한 60도 광택도의 차를 두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흑색 차광층(21)의 60도 광택도를 1.0~5.0으로 하고, 흑색 차광층(31)의 60도 광택도를 0.1~0.9로 하면 된다.
또한, 명도의 차는 CIE 1976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명도지수 L*로 나타낼 수 있고, 명도지수 L*의 차는 1~2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이다.
흑색 차광층(21)과 흑색 차광층(31)의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의 조정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흑색 차광층(21)과 흑색 차광층(31)에서 흑색 안료의 함유량을 상위하게 하는 방법, 흑색 차광층(21)과 흑색 차광층(31)에서 흑색도가 상이한 흑색 안료를 사용하는 방법, 흑색 차광층(21)과 흑색 차광층(31)에서 크기가 다른 흑색 안료를 사용하는 방법, 흑색 차광층(21)과 흑색 차광층(31)에서 표면 거칠기를 상위하게 하는 방법, 흑색 차광층(21)과 흑색 차광층(31)에서 색상이 상이한 바인더 수지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차광막에 사용되는 각종 공지의 첨가제를 배합함으로써, 명도, 색상 및/또는 채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조정방법은 각종 방법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조합해서 행할 수 있다.
흑색 차광층(21,31)의 외주 측면에는 전술한 경사 단면(12)에 대응하는 경사각 θ를 갖는 경사 단면(22, 32)(외주 단면(22, 32))이 양 측면(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경사 단면(22, 32)은 흑색 차광층(21,31)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 상태로 했을 때, 흑색 차광층(21)의 주면(21a) 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해지도록, 흑색 차광층(21) 주면(21a)의 법선방향으로부터의 평면시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구체적으로는, 흑색 차광층(21)의 주면(21a)과 경사 단면(22, 32)을 잇는 경사각 θ가 10~87°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경사 단면(22, 32)이 흑색 차광층(21)의 주면(21a) 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한, 예를 들면 필름 단면 강화를 위해 경사 단면(22, 32)에 투명 내지 반투명의 보호층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고, 기재 필름(11)과 흑색 차광층(21,31)의 색상, 채도, 명도, 투명도, 60도 광택도, 전광선 투과율 등의 상위를 이용함으로써, 흑색 차광층(21,31)의 판별성이 더욱 향상된다. 여기서, 경사 단면(22, 32)의 경사각 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경사 단면(12)과 동일하게 10~87°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85°, 더욱 바람직하게는 40~83°, 특히 바람직하게는 45~80°이다. 경사 단면(12)과 동일 또는 같은 정도의 경사각으로 설정함으로써, 단면 강도를 높게 유지하기 쉬운 경향이 있으며, 또한 생산성이 향상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흑색 차광층(21,31)은 당업계에서 공지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매트제(광택 제거제), 윤활제, 도전제, 난연제, 항균제, 곰팡이방지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레벨링제, 유동 조정제, 소포제, 분산제 등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트제로서는,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등의 유기계 미립자, 실리카,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산화티탄 등의 무기계 미립자 등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윤활제로서는, 폴리에틸렌, 파라핀, 왁스 등의 탄화수소계 윤활제;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계 윤활제;스테아르산아미드,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윤활제;스테아르산부틸,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라이드 등의 에스테르계 윤활제;알코올계 윤활제;금속비누, 활석,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고체 윤활제;실리콘 수지 입자, 폴리테트라불화에틸렌 왁스,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유기계 윤활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바인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나 전자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의 증감제나 자외선흡수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흑색 차광층(21,31) 중에 포함되는 전체 수지 성분에 대한 고형분 환산으로 일반적으로는 각각 0.01~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흑색 차광층(21,31)은 10.0% 이하의 가시광 반사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시광 반사율이란, 분광광도계(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분광광도계 SolidSpec-3700 등) 및 표준판으로서 황산바륨을 사용하여, 흑색 차광층(21,31)에 대해 입사각 8°에서 빛을 입사했을 때의 상대 전광선 반사율을 의미한다. 보다 높은 차광성을 구비시키는 등의 관점에서, 흑색 차광층(21,31)의 가시광 반사율은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또한, 흑색 차광층(21,31)의 판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흑색 차광층(21)과 흑색 차광층(31)의 가시광 반사율의 차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 차광 필름(100)으로서는, 가시광 이외의 적외(800~1,000 ㎚) 범위의 확산 반사율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또한, 흑색 차광층(21,31)은 충분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비시키는 관점에서, 1.0×108Ω 미만의 표면 저항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5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4Ω 미만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표면 저항률은 JIS-K6911:199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으로 한다.
적층 차광 필름(100)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구성의 것이 얻어지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 필름(11) 상에 흑색 차광층(21,31)을 재현성이 좋고, 간이하며,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관점에서는, 닥터 코팅, 딥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다이 코팅, 블레이드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키스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스핀 코팅 등의 종래 공지의 도포방법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인더 수지 및 흑색 안료,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임의 성분으로서의 첨가제를 용매 중에 함유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11)의 주면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 열처리나 가열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기재 필름(11) 상에 흑색 차광층(21,31)을 제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하는 도포액의 용매로서는, 물;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용제;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의 에테르계 용제;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11)과 흑색 차광층(21,31)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앵커처리나 코로나처리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11)과 흑색 차광층(21,31) 사이에 프라이머층이나 접착층 등의 중간층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압축성형, 사출성형, 블로우성형, 트랜스퍼성형, 압출성형 등 각종 공지의 성형방법에 의해, 목적하는 형상을 갖는 적층 차광 필름(100)을 간이하게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일단 시트형상으로 성형한 후, 진공성형이나 압공성형(pressure forming)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사 단면(12,22,32)의 형성방법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각종 공지의 수법을 적절히 적용하여, 임의의 경사각 θ를 갖는 경사 단면(12,22,32)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11) 상에 흑색 차광층(21) 및 흑색 차광층(31)을 설치한 적층 차광 필름을 준비하고, 그 외주 측면을 전술한 경사각 θ으로 잘라냄(재단함)으로써, 경사 단면(12,22,32)을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경사 단면(22, 32)이 불필요한 경우는, 임의의 경사각 θ를 갖는 경사 단면(12)을 사전에 설치한 기재 필름(11)을 준비하고, 이 기재 필름(11) 상에 흑색 차광층(21) 및 흑색 차광층(31)을 설치하면 된다.
(작용)
본 실시형태의 적층 차광 필름(100) 및 원반 롤(200)에 있어서는, 2.5 이상의 광학농도 및 5.0% 이하의 60도 광택도를 갖는 제1 흑색 차광층(21)과 제2 흑색 차광층(31)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것을 렌즈 유닛이나 카메라 모듈 등의 광학기기용 차광 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입사광이나 반사광을 제거할 수 있어, 헐레이션, 렌즈 플레어, 고스트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촬상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 흑색 차광층(21)과 제2 흑색 차광층(31)이 상이한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를 갖기 때문에, 그의 광택감, 윤기 또는 명도의 차를 토대로 비접촉 즉 육안으로 표리면의 판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평면시에서 시인 가능하게 노출된 경사 단면(12)은 필름 외주 가장자리에 있어서 광택감이 있는 휘부(輝部)로서 인지 가능하기 때문에, 비접촉 즉 육안으로 적층 차광 필름(100) 표리면의 판별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는 제1 흑색 차광층(21)이나 제2 흑색 차광층(31)과 경사 단면(12)(기재 필름(11))의 색상, 채도, 명도, 투명도, 60도 광택도, 전광선 투과율 등의 상위에 기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적층 차광 필름(100) 및 원반 롤(200)을 암소에서 취급하는 경우에도 경사 단면(12)은 유효하게 기능한다. 즉, 경사 단면(12)(기재 필름(11))은 제1 흑색 차광층(21)이나 제2 흑색 차광층(31)과의 상위에 기인하여, 약간의 빛이라도 광택감이 있는 휘부로서 명료하게 인지 가능하다. 또한, 경사 단면(12)을 손가락 등으로 직접 접촉하여 그 경사방향을 확인함으로써 표리면의 판별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사 단면(22, 32)을 설치하지 않고, 경사 단면(12)만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경사 단면(12)의 형성 개소는 기재 필름(11) 외주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적층 차광 필름(100)의 MD방향으로 연재(延在)되도록 기재 필름(11)의 양 측면(2개소)에 설치해도 되고, 기재 필름(11)의 TD방향으로 연재되도록 기재 필름(11)의 일 측면(1개소) 또는 양 측면(2개소)에 설치해도 된다. 또는 기재 필름(11) 외주 측면의 전체 면(전체 둘레)에 걸쳐 경사 단면(12)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MD방향 및/또는 TD방향으로 연재되는 경사 단면(12)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렌즈 유닛(41) 및 카메라 모듈(51)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렌즈 유닛(41)은 렌즈군(42)(렌즈(42A,42B,42C,42D,42E)), 다단 원통형상의 홀더(43), 및 차광성 스페이서로서의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100B,100C)(적층 차광 필름(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43)의 내주부에는 복수의 단차부(43a,43b,43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부(43a,43b,43c)를 이용하여 렌즈군(42) 및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100B,100C)이 동축 상(동일 광축 상)에 배치되어 겹쳐 쌓인 상태로 홀더(43) 내의 소정 위치에 수납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렌즈(42A,42B,42C,42D,42E)로서는 볼록렌즈나 오목렌즈 등 각종 렌즈를 사용할 수 있고, 그의 곡면은 구면이어도 되고 비구면이어도 된다. 한편, 카메라 모듈(51)은 전술한 렌즈 유닛(41)과, 이 렌즈 유닛(41)의 광축 상에 배치되어 렌즈 유닛(41)을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소자(44)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적층 차광 필름(100)을 링형상(중공 통형상)으로 펀칭 가공하여 얻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적층 차광 필름(100)과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갖는다.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은 평면시에서 대략 중앙 위치에 원통형상의 중공부(S)가 설치된 외형이 링형상(중공 통형상)인 차광판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의 외주 측면에는 전술한 경사 단면(12,22,32)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이들 외주 측면은 단면시에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에 있어서 외주 단면의 경사각 θ는 90°가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에 있어서 내주 단면에는 전술한 경사 단면(12,22,32)에 대응하는 경사 단면(13,23,3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B,100C)은 바깥지름의 사이즈 및 중공부(S)의 바깥지름의 사이즈가 각각 상위한 것 이외는,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여기에서의 중복된 설명한 생략한다.
(작용)
본 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100B,100C)에 있어서도, 2.5 이상의 광학농도 및 5.0% 이하의 60도 광택도를 갖는 제1 흑색 차광층(21)과 제2 흑색 차광층(31)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것을 렌즈 유닛이나 카메라 모듈 등의 광학기기용 차광 부재로서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입사광이나 반사광을 제거할 수 있어, 헐레이션, 렌즈 플레어, 고스트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촬상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 흑색 차광층(21)과 제2 흑색 차광층(31)이 상이한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를 갖기 때문에, 그의 광택감, 윤기 또는 명도의 차를 토대로 비접촉 즉 육안으로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100B,100C) 표리면의 판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100B,100C)을 사용한 렌즈 유닛(41) 및 카메라 모듈(51)은 그의 보관 시나 조립 시에 있어서도 표리면의 오인에 기인하는 조립 불량 등의 제조 고장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에 있어서는 경사 단면(13,23,33)이 설치되어 있어, 흑색 차광층(21,31)의 판별성이 더욱 높아져 있다. 이와 같이 광축 측의 단면(내주 단면)에 경사 단면(13,23,33)을 설치함으로써 불필요한 반사광을 제거할 수 있어, 헐레이션, 렌즈 플레어, 고스트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촬상 화상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층 차광 필름(100)(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100B,100C))의 외형 형상은, 예를 들면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상, 정사각형상, 육각형상 등의 다각형상, 타원형상, 부정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100A,100B,100C)의 중공부(S)의 형상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시에서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외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평면시에서 직사각형상, 정사각형상, 육각형상 등의 다각형상, 타원형상, 부정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경사 단면(12,22,32)을 설치하지 않았는데, 필요에 따라 경사 단면(12) 및 경사 단면(22, 3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밀기계 분야, 반도체 분야, 광학기기 분야, 전자기기 등에 있어서의 고성능 차광 부재로서 넓고 또한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다. 특히, 고성능 일안반사식 카메라, 콤팩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전화, 프로젝터 등에 탑재되는 렌즈 유닛이나 카메라 모듈 등에 사용하는 차광 부재로서 특히 유효하게 이용 가능하다.
11 ···기재 필름
11a···표면(주면)
11b···표면(주면)
12 ···경사 단면
13 ···경사 단면
21 ···흑색 차광층
21a···표면(주면)
22 ···경사 단면
23 ···경사 단면
31 ···흑색 차광층
31a···표면(주면)
32 ···경사 단면
33 ···경사 단면
41 ···렌즈 유닛
42 ···렌즈군
42A···렌즈
42B···렌즈
42C···렌즈
42D···렌즈
42E···렌즈
43 ···홀더
43a···단차부
43b···단차부
43c···단차부
44 ···촬상소자
51 ···카메라 모듈
100 ···적층 차광 필름
100A···광학기기용 차광 링(적층 차광 필름)
100B···광학기기용 차광 링(적층 차광 필름)
100C···광학기기용 차광 링(적층 차광 필름)
200 ···원반 롤
θ···경사각
S···중공부
MD···흐름방향
TD···수직방향
11a···표면(주면)
11b···표면(주면)
12 ···경사 단면
13 ···경사 단면
21 ···흑색 차광층
21a···표면(주면)
22 ···경사 단면
23 ···경사 단면
31 ···흑색 차광층
31a···표면(주면)
32 ···경사 단면
33 ···경사 단면
41 ···렌즈 유닛
42 ···렌즈군
42A···렌즈
42B···렌즈
42C···렌즈
42D···렌즈
42E···렌즈
43 ···홀더
43a···단차부
43b···단차부
43c···단차부
44 ···촬상소자
51 ···카메라 모듈
100 ···적층 차광 필름
100A···광학기기용 차광 링(적층 차광 필름)
100B···광학기기용 차광 링(적층 차광 필름)
100C···광학기기용 차광 링(적층 차광 필름)
200 ···원반 롤
θ···경사각
S···중공부
MD···흐름방향
TD···수직방향
Claims (12)
- 제1 흑색 차광층 및 제2 흑색 차광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적층 구조의 겉쪽 최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적층 구조의 안쪽 최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은 2.5 이상의 광학농도 및 5.0% 이하의 60도 광택도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제2 흑색 차광층과는 상이한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차광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또는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으로부터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을 향하여 필름 폭을 확대시키는 경사 단면을 갖고,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주면의 법선방향에서 본 평면시에서 상기 경사 단면이 노출되어 있는
적층 차광 필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의 상기 주면과 상기 경사 단면을 잇는 경사각이 10~87°인
적층 차광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흑색 차광층과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의 60도 광택도의 차가 1.0~4.5%인
적층 차광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 주면 측에 설치된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쪽 주면 측에 설치된 제2 흑색 차광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적층 차광 필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80.0~99.9%의 전광선 투과율을 갖는
적층 차광 필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0.5 ㎛ 이상, 50 ㎛ 이하의 두께를 갖는
적층 차광 필름. - 링형상의 외형 형상을 갖고,
제1 흑색 차광층 및 제2 흑색 차광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적층 구조의 겉쪽 최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적층 구조의 안쪽 최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은 2.5 이상의 광학농도 및 5.0% 이하의 60도 광택도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제2 흑색 차광층과는 상이한 60도 광택도 및/또는 명도지수 L*를 갖는,
광학기기용 차광 링.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또는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은 상기 제1 흑색 차광층으로부터 상기 제2 흑색 차광층을 향하여 필름 폭을 확대시키는 경사 단면을 갖고,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주면의 법선방향에서 본 평면시에서 상기 경사 단면이 노출되어 있는
광학기기용 차광 링. - 제9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 주면 측에 설치된 상기 제1 흑색 차광층, 및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쪽 주면 측에 설치된 제2 흑색 차광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광학기기용 차광 링. - 복수의 렌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광판이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겹쳐 쌓인 렌즈 유닛으로서,
상기 차광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차광 필름, 및/또는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 링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유닛. - 복수의 렌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광판이 상기 렌즈의 광축방향으로 겹쳐 쌓인 렌즈 유닛과, 상기 렌즈 유닛을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소자를 적어도 갖는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차광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차광 필름, 및/또는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기기용 차광 링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7045097A KR20230003446A (ko) | 2016-10-06 | 2017-09-25 |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98372A JP6314194B2 (ja) | 2016-10-06 | 2016-10-06 | 光学機器用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
JPJP-P-2016-198372 | 2016-10-06 | ||
PCT/JP2017/034535 WO2018066401A1 (ja) | 2016-10-06 | 2017-09-25 | 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45097A Division KR20230003446A (ko) | 2016-10-06 | 2017-09-25 |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7329A KR20190057329A (ko) | 2019-05-28 |
KR102525968B1 true KR102525968B1 (ko) | 2023-04-25 |
Family
ID=618308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45097A KR20230003446A (ko) | 2016-10-06 | 2017-09-25 |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
KR1020197010498A KR102525968B1 (ko) | 2016-10-06 | 2017-09-25 |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45097A KR20230003446A (ko) | 2016-10-06 | 2017-09-25 |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90227202A1 (ko) |
EP (2) | EP3525014B1 (ko) |
JP (1) | JP6314194B2 (ko) |
KR (2) | KR20230003446A (ko) |
CN (1) | CN109791231B (ko) |
TW (1) | TWI736685B (ko) |
WO (1) | WO201806640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668693B2 (en) * | 2016-11-15 | 2020-06-02 | Largan Precision Co., Ltd. | Composite light blocking sheet, imaging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
JP6368445B1 (ja) * | 2017-03-27 | 2018-08-01 | 株式会社きもと | 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
TWI676852B (zh) * | 2018-10-31 | 2019-11-11 | 白金科技股份有限公司 | 遮光片 |
JP2020106725A (ja) | 2018-12-28 | 2020-07-09 | マクセル株式会社 | 遮光板、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
TWI776187B (zh) * | 2019-07-19 | 2022-09-01 | 日商凸版印刷股份有限公司 | 遮光板、相機單元及電子機器 |
KR20220063766A (ko) * | 2019-09-24 | 2022-05-17 |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 폴리에스테르 필름 |
DE102020100972B4 (de) | 2020-01-16 | 2024-06-13 | Sick Ag | Optoelektronischer Sens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Sensors |
JP7564600B1 (ja) | 2024-07-18 | 2024-10-09 | 株式会社ニチベイパーツ | 遮光リング製造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85026A (ja) * | 2004-09-17 | 2006-03-30 | Sony Corp | 遮光部材、撮像装置および遮光部材の製造方法 |
JP2008225099A (ja) * | 2007-03-13 | 2008-09-25 | Somar Corp | 遮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6006324A1 (ja) * | 2014-07-09 | 2016-01-14 | 株式会社きもと | 光学機器用遮光材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780A (ja) * | 1990-04-18 | 1992-01-07 | Sumitomo Metal Ind Ltd | 高耐食性着色表面処理鋼板 |
JPH09274218A (ja) | 1996-04-05 | 1997-10-2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遮光性フィルム |
JP3929546B2 (ja) * | 1996-09-20 | 2007-06-13 | ソマール株式会社 | 反射防止性カメラ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反射防止用フィルム |
JP3456408B2 (ja) * | 1997-05-12 | 2003-10-1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
JPH11301117A (ja) * | 1997-09-29 | 1999-11-02 | Konica Corp | 転写箔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材料 |
JP3143608B2 (ja) * | 1998-07-13 | 2001-03-0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投射型表示装置 |
JP2005007864A (ja) * | 2003-05-23 | 2005-01-13 | Seiko Epson Corp | 画像保護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画像保護方法及びオーバーコート記録物 |
WO2006016555A1 (ja) | 2004-08-10 | 2006-02-16 | Kimoto Co., Ltd. | 光学機器用遮光部材 |
KR20070100003A (ko) * | 2006-04-06 | 2007-10-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확산판,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
JP2008176188A (ja) * | 2007-01-22 | 2008-07-31 | Kyocera Mita Corp | 画像形成装置 |
JP5228397B2 (ja) * | 2007-04-10 | 2013-07-03 |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 耐熱遮光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絞り又は光量調整装置 |
JP2009003315A (ja) * | 2007-06-25 | 2009-01-08 | Toray Ind Inc | 遮光シート |
JP5166513B2 (ja) * | 2007-07-25 | 2013-03-21 | 株式会社日本触媒 | 遮光性フィルム |
US7857450B1 (en) * | 2008-02-04 | 2010-12-28 | Albert John Hofeldt | Hand-held device for contrast and multifunction vision testing |
JP2010069760A (ja) * | 2008-09-19 | 2010-04-02 | Kyocera Chemical Corp | フレキシブル基板材料用離型シート、カバーレイ及びボンディングシート |
CN102906603B (zh) * | 2010-05-20 | 2014-03-12 | 东洋纺株式会社 | 遮光膜 |
JP5725842B2 (ja) * | 2010-12-21 | 2015-05-27 | 株式会社きもと | 光学機器用遮光部材 |
KR101828121B1 (ko) * | 2011-03-28 | 2018-02-09 |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 광학기기용 차광재 |
JP2012208391A (ja) * | 2011-03-30 | 2012-10-25 | Fujifilm Corp | 遮光材料付き光学レンズの製造方法、遮光材料形成用インク |
CN105190390B (zh) * | 2013-03-26 | 2018-07-06 | 富士胶片株式会社 | 光学透镜及其制造方法及透镜单元、摄像模块、电子设备 |
CN104297887A (zh) * | 2013-07-17 | 2015-01-21 |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 摄影镜头及用于摄影镜头的垫圈 |
-
2016
- 2016-10-06 JP JP2016198372A patent/JP6314194B2/ja active Active
-
2017
- 2017-09-25 KR KR1020227045097A patent/KR2023000344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09-25 KR KR1020197010498A patent/KR1025259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9-25 EP EP17858240.9A patent/EP3525014B1/en active Active
- 2017-09-25 WO PCT/JP2017/034535 patent/WO2018066401A1/ja unknown
- 2017-09-25 US US16/339,994 patent/US2019022720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9-25 EP EP23211925.5A patent/EP4307044A3/en active Pending
- 2017-09-25 CN CN201780061378.4A patent/CN109791231B/zh active Active
- 2017-10-03 TW TW106134137A patent/TWI736685B/zh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85026A (ja) * | 2004-09-17 | 2006-03-30 | Sony Corp | 遮光部材、撮像装置および遮光部材の製造方法 |
JP2008225099A (ja) * | 2007-03-13 | 2008-09-25 | Somar Corp | 遮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6006324A1 (ja) * | 2014-07-09 | 2016-01-14 | 株式会社きもと | 光学機器用遮光材及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060098A (ja) | 2018-04-12 |
TW201833650A (zh) | 2018-09-16 |
CN109791231B (zh) | 2021-06-29 |
KR20190057329A (ko) | 2019-05-28 |
EP3525014A1 (en) | 2019-08-14 |
EP4307044A2 (en) | 2024-01-17 |
KR20230003446A (ko) | 2023-01-05 |
WO2018066401A1 (ja) | 2018-04-12 |
EP4307044A3 (en) | 2024-03-20 |
CN109791231A (zh) | 2019-05-21 |
TWI736685B (zh) | 2021-08-21 |
US20190227202A1 (en) | 2019-07-25 |
JP6314194B2 (ja) | 2018-04-18 |
EP3525014B1 (en) | 2024-01-03 |
EP3525014A4 (en) | 2020-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25968B1 (ko) | 적층 차광 필름,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 |
JP6403911B1 (ja) | 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 |
JP2022166194A (ja) | 光学機器用遮光フィルム及び光学機器用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光学機器用絞り部材、光学機器用シャッター部材、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 |
KR102477662B1 (ko) | 적층 차광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광학기기용 차광 링, 렌즈 유닛 및 카메라 모듈 | |
JP6814170B2 (ja) | 光学機器用積層遮光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用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 |
JP7396803B2 (ja) | レンズ用スペーサー、並びに、これを用いた積層遮光部材、遮光リング、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 |
JP2024030665A (ja) | 遮光塗料、遮光フィルム、遮光部材、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 |
TW202417890A (zh) | 遮光膜、以及使用其而形成之遮光構件、透鏡單元以及相機模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231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1222 Effective date: 20230224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