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643A - 에어 퍼지 홈 - Google Patents

에어 퍼지 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643A
KR20210132643A KR1020217021068A KR20217021068A KR20210132643A KR 20210132643 A KR20210132643 A KR 20210132643A KR 1020217021068 A KR1020217021068 A KR 1020217021068A KR 20217021068 A KR20217021068 A KR 20217021068A KR 20210132643 A KR20210132643 A KR 20210132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w chamber
capsule
air purge
lid
chamb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에케 노르드휘스
안드레아 파베로
주디스 마그리트 하네케 오징크
조한 반 토르
게르브란드 크리스티안 드 그라프
자르노 비크만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1013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소비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본 시스템은, 컵형 몸체(6A, 6B) 및 리드(12A, 12B)를 갖는 교환가능 캡슐(4A, 4B)을 포함하고, 장치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교환가능 캡슐(4A, 4B)을 보유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 및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을 폐쇄하여 브루 챔버(16)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을 포함한다.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은 교환가능 캡슐(4A, 4B)의 리드(12A, 12B)와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사이의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한 밀봉 부재(36, 37)를 갖는다. 밀봉 부재(36, 37)는 가압 액체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브루잉 챔버(16) 내로 공급되는 동안 브루 챔버(16) 내의 공기가 장치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허용하기 위해 캡슐의 리드(12A, 12B)와 밀봉 부재(36, 37) 사이에 에어 퍼지 개구를 형성하는 에어 퍼지 홈(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퍼지 홈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분쇄 커피, 차, 가용성 커피 분말, 우유, 또는 이들의 농축물 등과 같은 음료 성분을 함유하는 교환가능 캡슐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이 최신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한 알려진 시스템에서, 음료는, 교환가능 캡슐이 음료 제조 장치의 브루 챔버(brew chamber) 내에 수용되고, 액체가 장치의 액체 분배 디바이스에 의해 압력 하에서 캡슐에 공급되는 브루잉 사이클(brewing cycle)에서, 음료 성분을 물과 같은 액체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음료는 캡슐로부터 배출되고 브루 챔버로부터 브루 챔버의 출구를 통해 방출되며, 통상적으로, 장치의 스파우트 개구(spout opening)를 통해 컵과 같은 리셉터클 내로 유동할 것이다. 알려진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공급된 가압 액체가 브루 챔버 출구로 유동할 때 브루 챔버 내의 캡슐을 우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캡슐과 브루 챔버 벽 사이의 가능한 액체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임의의 자유 공간을 액밀식으로 밀봉하기 위해, 캡슐과 브루 챔버의 벽 섹션 사이에 밀봉 수단을 채용한다. 이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획득되는 음료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캡슐 내의 음료 성분과 접촉하는 액체의 양에 대한 제어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브루잉 사이클의 종료 시에, 가압 액체가 더 이상 액체 분배 디바이스에 의해 브루 챔버에 공급되지 않을 때, 브루 챔버 내의 모든 액체가 브루 챔버로부터 방출되지는 않았을 것이고, 일부 액체는 여전히 적어도 일시적으로 브루 챔버 내에, 캡슐 주위에 또는 캡슐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남아 있는 액체는, 가압 액체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브루 챔버의 출구를 통해 비교적 천천히 유동하여, 음료 제조 장치의 스파우트 개구에서의 드리핑(dripping)을 야기할 수 있다. 알려진 시스템에서의 이러한 이른바 애프터 드리핑 효과는, 비교적 긴 애프터 드립으로 얻어진 음료가 전형적으로 열등한 품질을 갖고, 더욱이 애프터 드리핑이 시스템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연장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단점이다.
위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려진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애프터 드리핑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감쇠시키는 음료 제조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소비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교환가능 캡슐 - 교환가능 캡슐은 컵형 몸체 및 리드(lid)를 포함하고, 컵형 몸체는 저부, 원주방향 벽 및 플랜지를 가지며, 리드는 플랜지에 밀봉됨 -; 및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1 브루 챔버 부분 및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폐쇄하여 브루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브루 챔버 부분을 포함하는 장치 -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교환가능 캡슐의 리드와 제2 브루 챔버 부분 사이의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한 밀봉 부재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밀봉 부재는 가압 액체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브루잉 챔버 내로 공급되는 동안 브루 챔버 내의 공기가 장치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허용하기 위해 캡슐의 리드와 밀봉 부재 사이에 에어 퍼지(air purge) 개구를 형성하는 에어 퍼지 홈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브루잉 사이클 동안 브루 챔버 내에 보유된 공기가 애프터 드리핑 효과의 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환가능 캡슐이 브루 챔버 내에 수용될 때, 캡슐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용적부는 공기로 충전된다. 예를 들어, 캡슐이 브루 챔버의 용적부를 완전히 충전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브루 챔버의 벽과 캡슐 사이에 한정되는 원주방향 용적부가 교환가능 캡슐 주위에 있을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 브루 챔버 내의, 예컨대 캡슐 주위의 원주방향 용적부 내의 임의의 공기가 브루 챔버 및 캡슐과 경계를 이루는 부분들 사이의 액밀 시일로 인해 브루 챔버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포획된 공기는 브루잉 사이클 동안 브루 챔버로의 액체 공급의 영향 하에서의 브루 챔버 내의 압력 축적으로 인해 압축될 것이다. 브루잉 사이클의 종료 시에, 브루 챔버로의 액체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압축 공기는 팽창하여, 브루잉 챔버 내에, 예를 들어 캡슐 내에 여전히 보유되는 액체가 출구를 통해 브루 챔버 밖으로 유동하게 할 것이다. 이는 음료 제조 장치의 스파우트 개구에서의 드리핑을 초래한다. 애프터 드리핑 효과는, 심지어, 액체가 상승된 온도에서 브루 챔버에 공급될 때 증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브루 챔버 부분 상의 밀봉 부재 및 캡슐의 리드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에어 퍼지 개구는 공기가 브루 챔버로부터, 예를 들어 적어도 브루 챔버로의 액체의 공급의 제1 단계에서 음료 제조 장치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공기 통기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에어 퍼지 개구는 브루잉 사이클 동안 브루 챔버의 탈기(de-airing)를 허용한다. 브루잉 사이클 동안 본질적으로 모든 공기가 브루 챔버로부터 제거되어서, 브루잉 사이클의 종료 시에, 브루 챔버 내에 공기가 본질적으로 전혀 보유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가 적어도 가압 액체의 공급의 시작 시에 브루잉 챔버로부터 퍼징된다는 사실로 인해, 브루잉 사이클의 종료 시에 브루잉 챔버 내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거나 적어도 덜 존재할 것이다. 팽창할 수 있는 공기가 덜 존재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애프터 드리핑의 문제가 완화될 것이다.
공기의 밀도가 공급된 액체에 비해 훨씬 더 낮기 때문에, 브루 챔버가 액체 분배 디바이스에 의해 공급되는 액체로 충전될 때 공기가 브루 챔버 내에서 상승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액체가 에어 퍼지 개구에 도달하기 전에 실질적으로 모든 공기가 브루 챔버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허용하기 위해, 에어 퍼지 개구가 지면 높이에 비해 밀봉 부재의 높은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루 챔버는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1 브루 챔버 부분, 및 사용자가 제1 브루 챔버 부분에 교환가능 캡슐을 편리하게 로딩 및 언로딩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폐쇄하기 위한 제2 브루 챔버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브루 챔버는 제2 브루 챔버 부분에 의한 제1 브루 챔버 부분의 폐쇄 시에 형성된다. 제1 브루 챔버 부분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예를 들어, 브루 챔버의 개방 및 폐쇄를 허용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브루 챔버의 입구 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브루 챔버의 출구 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브루 챔버 부분이 브루 챔버의 입구를 한정할 수 있고, 제1 브루 챔버 부분이 브루 챔버의 출구를 한정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에어 퍼지 홈은 캡슐의 리드로 지향되는 개구를 갖는 밀봉 부재 내의 만입부(indentation)일 수 있다. 에어 퍼지 개구는, 적어도 브루 챔버 내로의 액체의 공급의 시작 직후에, 공기가 밀봉 부재를 우회하도록 허용한다. 밀봉 부재가 브루잉 사이클 후에 교환가능 캡슐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경우에, 홈의 개방 측부가 노출된다. 이는 브루잉 동안 발생하였을 수 있는 에어 퍼지 개구의 막힘의 경우에 에어 퍼지 개구를 세정하는 용이한 방법을 제공한다.
에어 퍼지 개구를 통해 유동할 수 있는 액체의 양이 최소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것이 폐액(waste liquid)을 증가시키고, 음료 제조 장치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브루 챔버 내에서의 압력 축적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고, 음료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우회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에어 퍼지 개구는, 예를 들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반면 액체 통과는 완전히 억제되거나 방지되는 방식으로 치수설정될 수 있다. 이는 공기가 에어 퍼지 개구를 통해 브루 챔버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허용하지만, 실질적으로 모든 공기가 빠져나갔을 때, 액체가 에어 퍼지 개구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거나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이, 브루 챔버 내의 액체는 교환가능 캡슐을 통해 유동하도록 강제된다. 이는 많은 방식으로 확립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에어 퍼지 홈은 탄성 재료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에어 퍼지 개구와 경계를 이루는 재료는 예를 들어 변형가능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성 변형가능할 수 있다. 물이 에어 퍼지 개구를 통해 브루 챔버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 퍼지 홈과 경계를 이루는 재료가 예를 들어 소수성 특성을 갖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에어 퍼지 홈에는 소수성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예를 들어 복수의 에어 퍼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퍼지 홈이, 공기에 대해 본질적으로 비제한적이지만 액체에 대한 큰 제한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작게 치수설정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에어 퍼지 홈은 공기가 브루 챔버로부터 퍼징될 때 에어 퍼지 홈에서의 압력이 브루잉 사이클의 초기 단계에서 실질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즉 에어 퍼지 홈과 경계를 이루는 캡슐의 리드가 초기 단계에서 에어 퍼지 개구를 폐쇄하지 않고, 액체가 에어 퍼지 홈에 도달할 때, 에어 퍼지 홈이 폐쇄될 수 있게 에어 퍼지 홈에 걸친 압력 강하가 충분히 낮게 유지되도록 치수설정될 수 있다. 폐쇄는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에어 퍼지 홈이 캡슐 또는 물에 의해 밀봉 부재에 가해지는 힘의 영향 하에서 변형된다는 사실로 인해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폐쇄는 공급되는 액체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증가로 인해 캡슐의 리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 증가는 리드의 팽출(bulging)로 이어져서, 그에 의해 에어 퍼지 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하고, 에어 퍼지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일 실시예에서, 캡슐의 리드는 에어 퍼지 개구를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방식으로 캡슐의 내부 공간 내의 액체 압력의 영향 하에서 팽출하도록 배열된다. 액체 분배 디바이스가 브루 챔버에 일정량의 액체를 공급하는 경우에, 액체는 브루 챔버를 점진적으로 충전하여, 그에 의해 브루 챔버 내의 공기를 변위시킬 것이다. 공기는 에어 퍼지 개구를 통해 브루 챔버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액체와 비교하여 공기의 상대적으로 낮은 유체 저항(hydraulic resistance)이 에어 퍼지 개구를 통한 공기의 용이한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공급된 액체는, 또한, 교환가능 캡슐의 내부 공간을 충전하여, 그에 의해 캡슐의 내부 공간 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캡슐의 리드는 캡슐의 내부 공간 내에서의 액체 압력 축적의 효과 하에서 팽출하도록 배열된다. 리드의 팽출은 밀봉 부재와 캡슐 사이의 밀봉을 향상시키고, 리드가 밀봉 부재의 형상에 순응하게 하여, 그에 의해 에어 퍼지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밀봉 부재 내의 에어 퍼지 홈은 실질적으로 모든 공기가 캡슐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브루 챔버의 용적부로부터 빠져나갔을 때 에어 퍼지 개구를 폐쇄하도록 리드와 협동하는 방식으로 치수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리드는 금속 포일,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일, 또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금속과 플라스틱의 라미네이트 포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리드는 실질적으로 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누출을 방지하고 브루 챔버 내에서의 충분한 압력 축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브루 챔버는 밀봉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 브루 챔버 부분과 제2 브루 챔버 부분 사이의 밀봉은 제2 브루 챔버 부분의 상기 밀봉 부재와 캡슐 리드 사이의 밀봉에 추가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제1 브루 챔버 부분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을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에어 퍼지 개구는 제2 브루 챔버 부분 내의 개구부(aperture)와 유체 연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의 통기 채널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는 시스템을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유지시킨다.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루 챔버 부분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는 소비를 위해 리셉터클 내로 제조된 음료를 방출하기 위한 장치의 스파우트 개구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 퍼지 개구는 음료 장치의 스파우트 개구와 유체 연통하여, 공기가 스파우트 개구를 통해 장치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제1 브루 챔버 부분이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할 때 교환가능 캡슐의 리드에 맞닿기 위한 추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는 음료를 제조하는 동안 브루 챔버 내의 교환가능 캡슐의 고정 또는 부동화(immobilization)를 가능하게 한다. 추출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예를 들어, 캡슐의 리드와 맞물리도록 그리고 캡슐 외측에 있는 브루 챔버 내의 액체가 캡슐 주위로 추출 플레이트로 유동하여 그에 의해 캡슐을 우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출 플레이트의 원주에 원주방향으로 인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예를 들어, 교환가능 캡슐의 리드와 액체 밀봉식으로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환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 퍼지 홈은 U자형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U자형 에어 퍼지 홈은 매끄러운 형상, 즉 어떠한 불연속부 또는 날카로운 에지도 없는 형상을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어 피로의 결과로서, 이들 불연속부에서의 홈을 경계설정하는 재료의 파열 또는 균열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게다가, U자형 홈은 공기가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에어 퍼지 개구를 유지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U자형 형태는, 또한, 캡슐의 리드를 홈 내로 팽출시켜, 그에 의해 홈의 프로파일을 따름으로써, 에어 퍼지 개구의 폐쇄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에어 퍼지 홈의 단면적은 대략 0.1 내지 055 ㎟, 바람직하게는 대략 0.2 내지 0.3 ㎟,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245 ㎟이다.
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에어 퍼지 홈의 단면의 깊이는 대략 0.2 내지 0.6 mm, 바람직하게는 대략 0.3 내지 0.4 mm,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35 mm이다.
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에어 퍼지 홈의 단면의 폭은 대략 0.3 내지 2.1 mm, 바람직하게는 대략 0.8 내지 1.2 mm,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1 mm이다.
이들 치수에 의해, 브루잉 챔버에 액체를 공급하는 제1 단계에서의 공기의 충분한 퍼징과 브루잉 챔버에 액체를 공급하는 추후 단계에서의 액체의 최소 누출 사이의 양호한 균형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확립되었다.
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교환가능 캡슐은 제1 교환가능 캡슐이고, 본 시스템은 제1 교환가능 캡슐과는 상이한 크기를 갖는 제2 교환가능 캡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브루 챔버는 제1 교환가능 캡슐 및 제2 교환가능 캡슐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보유하도록 배열된다. 다수의 상이한 크기의 캡슐에 의해, 본 시스템은 유형에 따라 다양한 유형 및 양의 음료의 제조를 허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추가의 상세예(elaboration)에서, 제1 브루 챔버 부분의 공동은 제1 교환가능 캡슐 및 제2 교환가능 캡슐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보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크기의 제1 교환가능 캡슐 및 제2 교환가능 캡슐을 선택적으로 보유할 수 있는 시스템의 경우, 캡슐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브루 챔버의 용적부가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제2 교환가능 캡슐을 단단히 보유하도록 치수설정되는 비교적 큰 브루 챔버가 비교적 작은 제1 교환가능 캡슐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때. 비교적 작은 제1 교환가능 캡슐이 사용될 때, 브루 챔버의 비교적 큰 용적부가 캡슐에 의해 점유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비교적 큰 부피의 공기가 브루 챔버에 액체를 공급하기 시작할 때 브루 챔버 내에 존재할 것이다. 브루잉 사이클의 종료 시에, 이어서 압축되는 비교적 큰 부피의 공기가 후속하여 팽창할 것이고, 에어 퍼지 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애프터 드리핑 문제가 상당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교환가능 캡슐 및 제2 교환가능 캡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대 직경 비를 갖는다. 제2 캡슐은 제1 캡슐의 크기 및 형상의 (정확히) 확대된 외양을 가질 수 있어서, 사용자가 매장에서 인식가능한 동일한 "패밀리(family)" 외관 및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캡슐에는 음료 성분을 보유하기 위한 추가의 용량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브루 챔버 부분의 공동은 제1 교환가능 캡슐 및 제2 교환가능 캡슐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보유하도록 배열된다.
캡슐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브루 챔버 내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여기에서 제1 위치에서, 제1 브루 챔버 부분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제1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하고, 제2 위치에서, 제1 브루 챔버 부분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제2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브루 챔버 부분에 제1 교환가능 캡슐이 로딩되는 경우에 제1 브루 챔버 부분의 공동의 부피가 감소된다. 브루 챔버가 제1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할 때 제1 교환가능 캡슐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제1 브루 챔버 부분 내의 제1 용적부가 의도적으로 유지되며, 이러한 제1 용적부는 브루 챔버가 제2 캡슐을 보유할 때 제2 교환가능 캡슐의 일부를 보유하도록 배열된다.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또한, 브루 챔버가 제2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할 때 제2 교환가능 캡슐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제2 용적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용적부는 브루 챔버가 제1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할 때 제2 브루 챔버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제1 용적부 및 제2 용적부는, 특히 단일 크기 캡슐을 보유하도록 적응된 브루 챔버에 비해, 상당한 양의 공기를 보유할 수 있다. 브루 챔버가, 시스템 내에 제공되는 에어 퍼지 개구 없이, 상이한 크기의 캡슐, 특히 제1 캡슐 및 제2 캡슐을 선택적으로 보유하도록 배열되는 경우에, 애프터 드리핑 효과가 심각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중심 부분 및 주연부 부분을 포함하고, 중심 부분은 제1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위치 및 제2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하는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제2 브루 챔버 부분의 중심 부분은, 예를 들어, 제1 캡슐 또는 제2 캡슐의 출구 면에 맞닿기 위한 추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추출 플레이트는 제2 캡슐의 출구 면에 맞닿는다. 제1 캡슐이 삽입되는 경우에, 중심 부분은 제1 위치를 향해 추가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중심 부분은 주연부 부분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시스템은 공동이 제1 캡슐을 보유할 때, 중심 부분을 제1 위치에 또는 그 부근에, 또는 제2 위치보다 제1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주연부 부분은 제2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주연부 부분과 제1 브루 챔버 부분 사이의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추가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제2 캡슐은 추가 밀봉 부재에 맞대어져 밀봉하기 위한 밀봉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밀봉 표면은 제1 교환가능 캡슐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제1 캡슐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밀봉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제1 캡슐이 제1 브루 챔버 부분의 동일한 개방 단부를 통해 제1 브루 챔버 부분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설계가 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밀봉 부재는 제1 교환가능 캡슐을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중심 부분과 제1 브루 챔버 부분 사이의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밀봉 부재는, 예를 들어, 중심 부분과 제1 브루 챔버 부분 사이의 자가 보강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탄성 립(li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 립은 제2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중심 부분과 주연부 부분 사이의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제2 브루 챔버 부분의 전방 면 상에 제공되는 환형 전방 밀봉 부재이며, 이러한 전방 면은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향해 지향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추가의 상세예에서, 전방 밀봉 부재는 교환가능 캡슐의 리드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서, 브루잉 사이클 동안, 전방 밀봉 부재가 리드와 맞물리게 한다.
따라서, 브루잉 사이클의 시작 시에, 전방 밀봉 부재 내의 에어 퍼지 홈은 캡슐의 리드에 의해 점유되지 않을 것이지만, 얼마 후에, 캡슐의 공동 내의 압력이 상승할 때, 리드가 에어 퍼지 홈 내로 변형될 것이고, 에어 퍼지 홈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에어 퍼지 개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1 브루 챔버 부분 - 캡슐은 컵형 몸체 및 리드를 포함하고, 컵형 몸체는 저부, 원주방향 벽 및 플랜지를 가지며, 리드는 플랜지에 밀봉됨 -; 및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폐쇄하여 브루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브루 챔버 부분 -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교환가능 캡슐의 리드와 제2 브루 챔버 부분 사이의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한 밀봉 부재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제2 브루 챔버 부분의 밀봉 부재는 가압 액체가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브루잉 챔버 내로 공급되는 동안 브루 챔버 내의 공기가 장치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허용하기 위해 캡슐의 리드와 밀봉 부재 사이에 에어 퍼지 개구를 형성하는 에어 퍼지 홈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한 장치에 의해, 위의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효과 및 이점이 얻어질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제2 브루 챔버 부분의 전방 면 상에 제공되는 환형 전방 밀봉 부재이며, 이러한 전방 면은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향해 지향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추가의 상세예에서, 전방 밀봉 부재는 교환가능 캡슐의 리드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서, 브루잉 사이클 동안, 전방 밀봉 부재가 리드와 맞물리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표현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주어진다. 도면이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지 개략적인 표현인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바와 같은 제1 교환가능 캡슐과 협동하는 장치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바와 같은 제2 교환가능 캡슐과 협동하는 장치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에어 퍼지 홈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장치의 제2 브루 챔버 부분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장치의 브루 챔버 내의 제1 교환가능 캡슐의 밀봉 구성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장치의 브루 챔버 내의 제2 교환가능 캡슐의 밀봉 구성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U자형 에어 퍼지 홈의 일례의 위치에서의 밀봉 부재의 일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일례에 적용되는 바와 같은 교환가능 캡슐과 협동하는 장치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유사성을 고려하여, 두 캡슐(4A, 4B)이 이제 동시에 기술될 것이다. 교환가능 캡슐들 사이의 주요 차이는 그들의 크기이다. 도 1a 및 도 3a에 도시된 제1 교환가능 캡슐(4A)은 도 1b 및 도 3b에 도시된 제2 교환가능 캡슐(4B)보다 작은 내부 용적부를 갖는 캡슐이다. 이러한 예에서, 캡슐(4A, 4B) 둘 모두는 컵형 몸체(6A, 6B)를 포함한다. 여기서, 컵형 몸체(6A, 6B)는 저부(8A, 8B) 및 원주방향 벽(10A, 10B)을 포함한다. 원주방향 벽(10A, 10B)의 제1 단부가 저부(8A, 8B)에 연결된다. 원주방향 벽(10A, 10B)은 캡슐(4A, 4B)을 통한 중심축(L)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진 원주방향 벽(10A, 10B)의 각도는 두 캡슐(4A, 4B)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경사진 원주방향 벽(10A, 10B)은 캡슐의 저부(8A, 8B)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단면을 제공한다. 저부(8A, 8B) 및 원주방향 벽(10A, 10B)은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컵형 몸체(6A, 6B)는 원주방향 벽(10A, 10B)의 제2 단부에 연결되는 플랜지 유사 림(rim)(14A, 14B)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2 단부는 원주방향 벽(10A, 10B)의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고, 컵형 몸체(6A, 6B)의 개방 단부와 경계를 이룬다. 플랜지 유사 림(14A, 14B)은 외향으로 연장되는 림이다. 저부(8A, 8B), 원주방향 벽(10A, 10B) 및 플랜지 유사 림(14A, 14B)은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캡슐(4A, 4B) 둘 모두는 리드(12A, 12B)를 포함한다. 리드(12A, 12B)는 컵형 몸체(6A, 6B)의 개방 단부를 폐쇄시킨다. 리드(12A, 12B)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음료가 그를 통해 캡슐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출구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리드(12A, 12B)는 캡슐(4A, 4B)의 플랜지 유사 림(14A, 14B)에 연결된다. 여기서, 출구 영역(13A, 13B)은 음료가 그것을 통해 잠재적으로 캡슐(4A, 4B)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리드(12A, 12B)의 영역을 한정한다. 따라서, 림(14A, 14B)에 밀봉되는 리드(12A, 12B)의 영역이 출구 영역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이러한 예에서, 캡슐(4A, 4B)은 저부(8A, 8B)로부터 리드(12A, 12B)까지 연장되는 중심축(L)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회전 대칭이다. 따라서, 경사진 원주방향 벽(10A, 10B)은 사실상 원추형 벽이다. 컵형 몸체(6A, 6B) 및 리드(12A, 12B)는 캡슐의 내부 공간을 에워싼다. 내부 공간은 일정량의 음료 성분, 예를 들어 추출가능 또는 가용성 물질을 포함한다. 음료 성분은 예컨대 로스팅 및 분쇄 커피, 차 등일 수 있다. 음료 성분은 분말 커피(powdered coffee)일 수 있다. 음료 성분은 액체일 수 있다. 캡슐(4A, 4B)의 크기의 차이를 고려하여, 제2 캡슐(4B)이 제1 캡슐(4A)보다 많은 양의 음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제2 캡슐(4B)의 내부 공간은 제1 캡슐(4A)의 내부 공간의 약 2배이다. 예를 들어, 제1 캡슐(4A)은 4 내지 8 그램, 예컨대 약 6 그램의 분쇄 커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캡슐(4B)은 8 내지 16 그램, 예컨대 약 12 그램의 분쇄 커피를 포함할 수 있다.
컵형 몸체(6A, 6B)는 금속 포일(metal foil), 예컨대 알루미늄 포일,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컵형 몸체(6A, 6B)는 프레싱(pressing), 딥-드로잉(deep-drawing), 진공 성형,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리드는 금속 포일, 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일,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 예컨대 금속과 플라스틱의 라미네이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캡슐(4A, 4B)은 이른바 폐쇄형 캡슐이다. 이는 장치 내로의 삽입 전에 밀폐식으로 폐쇄된 캡슐을 나타낸다. 그러나, 캡슐은, 또한, 저부(8A, 8B) 및/또는 리드(12A, 12B)가 천공되거나 필터 재료, 예컨대 직조 또는 부직 투수성 멤브레인으로 선택적으로 덮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개방 유형의 것일 수 있다.
도 1a에서, 교환가능 캡슐(4A)은 제1 브루 챔버 부분(18) 및 제2 브루 챔버 부분(20)에 의해 한정되는 장치의 브루 챔버(16) 내에 배열된다. 여기에서, 교환가능 캡슐(4A)은 브루 챔버(16)의 입구 측부(22)와 출구 측부(24) 사이에 제공된다. 브루 챔버(16)의 입구 측부(22)에서, 브루 챔버(16)에 일정량의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분배 디바이스(26)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교환가능 캡슐(4A), 특히 캡슐의 저부(8)를 천공하기 위한 천공 수단(28)을 포함한다. 천공 수단(28)은 복수의 나이프(knife), 예를 들어 3개의 나이프를 포함한다. 액체 분배 디바이스(26)에 의해 브루 챔버(16) 내로 공급되는 액체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교환가능 캡슐(4A)을 통과한다.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은 교환가능 캡슐의 출구 영역으로부터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추출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교환가능 캡슐(4A)의 리드(12A)와 같은 출구 영역은 추출 플레이트(30)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추출 플레이트(30)는 이러한 예에서 복수의 양각 요소(relief element)(34)(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양각 요소(34)는 절두 피라미드이다. 캡슐(4A) 내측의 압력의 상승은 출구 영역이 양각 요소에 맞대어져 인열되게 하여 음료가 캡슐(4A)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음료는 추출 플레이트(30) 내의 개구부(56)를 통해 추출 플레이트(30)를 통과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음료는 추출 플레이트(30)의 출구로 유동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음료는 컵과 같은 리셉터클 내로 배출될 수 있다.
누출을 방지하고 액체가 교환가능 캡슐(4A)을 우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슐(4A)과 브루 챔버(16A)의 벽 사이의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는 밀봉 부재(36)가 배열된다. 더 구체적으로, 밀봉 부재(36)는, 캡슐(4A)의 리드(12A)에 맞닿아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한, 이러한 예에서 환형 돌출부로서 구현되는 환형 전방 밀봉 부재(37)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밀봉 부재(36)는 그가 캡슐(4A)과 제1 브루 챔버 부분(18) 사이의 추가의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시스템(1)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또한, 캡슐의 플랜지 유사 림(14)에 맞닿기 위한 제1 환형 맞닿음 표면(39)을 포함한다. 이는 제1 캡슐이 제자리에 보유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되지 않은 특정 실시예에서, 제1 환형 맞닿음 표면(39)은 캡슐의 림(14A)과 밀봉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제1 환형 맞닿음 표면(39)은, 예를 들어, 제1 환형 맞닿음 표면(39)과 캡슐 림(14A) 사이에서의 공기 통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홈과 같은 추가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공기가 입구 측부(22)와 밀봉 부재(36) 사이의 브루 챔버(16)의 용적부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허용하기 위해 전방 밀봉 부재(37) 내의 에어 퍼지 홈(40)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에어 퍼지 개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입구 측부(22)와 밀봉 부재(36) 사이의, 캡슐(4A)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브루 챔버의 용적부 내의 포획된 공기가 에어 퍼지 홈(40)에 의해 형성된 에어 퍼지 개구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교환가능 캡슐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브루 챔버의 용적부(46)가 도 1a에 캡슐 몸체(6A)와 제1 브루 챔버 부분(18) 사이의 음영 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교환가능 캡슐(4A)을 사용하여 음료를 브루잉할 때, 이러한 용적부는 액체로 충전될 것이다. 공기는 액체에 의해 변위될 수 있고, 에어 퍼지 개구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에어 퍼지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브루 챔버 내의 공기가 상승할 것이기 때문에, 지면 높이에 비해 높은 위치에 제공된다. 이는 가능한 한 많은 공기, 이상적으로는 모든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허용한다. 교환가능 캡슐(4A) 내에 존재할 수 있는 공기는 캡슐의 저부(8A)를 통해 캡슐로 들어가는 액체에 의해 변위될 것이다. 캡슐(4A) 내에서의 압력 축적의 영향 하에서, 캡슐의 출구 영역, 예컨대 캡슐의 리드(12A)는 인열되어, 음료뿐만 아니라 캡슐 내의 공기를 위한 출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캡슐 내의 공기는 캡슐(4A)의 출구 영역을 통해, 그리고 이어서 추출 플레이트(30) 내의 개구부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에어 퍼지 홈(40)은 환형 전방 밀봉 부재(37) 내의 만입부에 의해 형성되고, 공기가 액체 밀봉 맞물림부를 우회하도록 허용한다. 여기에서, 공기는 브루 챔버(16)로부터 에어 퍼지 개구를 통해 그리고 추출 플레이트(30) 내의 개구부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입구 측부(22)와 밀봉 부재(36) 사이의, 교환가능 캡슐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브루 챔버의 용적부 내의 공기에 대한 탈출 경로는 에어 퍼지 개구를 통해 캡슐의 플랜지 주위로 이어진다. 에어 퍼지 홈은 브루 챔버 내의 액체 압력, 더 구체적으로는 캡슐(4A) 내의 액체 압력의 영향 하에서 폐쇄가능하여, 리드(12A)의 팽출로 이어져서, 에어 퍼지 홈(40)에 의해 경계지어진 에어 퍼지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액체가 교환가능 캡슐(4A)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브루 챔버의 용적부를 충전하고 에어 퍼지 홈(30)에 도달할 때, 공기에 대한 액체의 높은 유체 저항이 압력 증가를 유도한다. 이러한 압력 증가를 동반하는 힘은 교환가능 캡슐의 내부에서의 압력 축적으로 이어지고, 캡슐(4A)의 리드(12A)는 팽출할 것이다. 이는 에어 퍼지 홈(40)의 폐쇄에 기여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밀봉 부재(36)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과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사이의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추가로 배열된다. 여기에서, 밀봉 부재(36)는 제1 브루 챔버 부분(18)과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사이의 자가 보강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립(42)을 포함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장치의 동일한 브루 챔버(16)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브루 챔버에는 제2 교환가능 캡슐(4B)이 제공된다. 제2 교환가능 캡슐은 도 1a에 도시된 제1 교환가능 캡슐(4A)보다 크기가 더 크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제1 교환가능 캡슐(4A) 및 제2 교환가능 캡슐(4B)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보유하도록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의 치수는 제1 캡슐(4A) 및 제2 캡슐(4B)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적응될 것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브루 챔버가 제2 교환가능 캡슐(4B)을 보유할 때 제2 교환가능 캡슐(4B)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제2 용적부(44)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2 용적부(44)는 브루 챔버가 제1 교환가능 캡슐(4A)을 보유할 때 제2 브루 챔버 부분(24)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제2 용적부(44)는 상당한 양의 공기를 보유할 수 있다. 애프터 드리핑을 회피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이러한 부피의 공기를 액체에 의해 대체하는 것이 매우 유익하다는 것이 확립되었다. 게다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루 챔버 부분은, 또한, 브루 챔버(16)가 제1 교환가능 캡슐(4A)을 보유할 때 제1 교환가능 캡슐(4A)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제1 용적부(46)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1 용적부(46)는 브루 챔버가 제2 캡슐(4B)을 보유할 때 제2 교환가능 캡슐(4B)의 일부를 보유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브루 챔버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은 중심 부분(48) 및 주연부 부분(50)을 포함한다. 중심 부분(48)은 추출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중심 부분(48)에는 또한 밀봉 부재(36)가 제공된다. 주연부 부분(50)은 제2 교환가능 캡슐(4B)을 보유하기 위한 브루 챔버를 형성할 때 주연부 부분(50)과 제1 브루 챔버 부분(18) 사이의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추가 밀봉 부재(52)를 포함한다. 도 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의 밀봉 부재(36)의 탄성 립(42)은 브루 챔버가 제2 교환가능 캡슐(4B)을 보유할 때 중심 부분(48)과 주연부 부분(50) 사이의 밀봉을 제공한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또한, 제2 캡슐(4B)의 플랜지 유사 림에 맞닿기 위한 제2 환형 맞닿음 표면(54)을 포함한다. 이는 제2 캡슐(4B)이 제자리에 보유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되지 않은 특정 실시예에서, 제2 환형 맞닿음 표면(54)은 제2 캡슐의 림(14B)과 밀봉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환형 맞닿음 표면(54)은, 예를 들어, 제2 교환가능 캡슐의 림(14B)과 제2 환형 맞닿음 표면(54) 사이에서의 공기 통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홈과 같은 추가의 개구(5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루 챔버 부분(18)은 추가의 캡슐 유형이 브루 챔버(16)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추가 맞닿음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밀봉 부재(36)의 환형 전방 시일 부재(37)에서 에어 퍼지 홈(40)을 포함하는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밀봉 부재(36)는 양각 요소(34)를 갖는 추출 플레이트(30)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추출 플레이트(36)는 또한 복수의 개구부(5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밀봉 부재(36)는, 또한, 브루 챔버가 제1 교환가능 캡슐(4A)을 보유할 때 제1 브루 챔버 부분(18)과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사이의, 그리고/또는 브루 챔버가 제2 교환가능 캡슐(4B)을 보유할 때 제2 브루 챔버 부분(20)의 중심 부분(48)과 주연부 부분(50) 사이의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 립(42)을 포함한다.
도 3a는 제1 교환가능 캡슐(4A)과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사이의 밀봉 구성의 시스템(1)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환형 돌출부(37)는 림(14A)의 위치에서 제1 교환가능 캡슐(4A)의 리드(12A)에 맞닿고, 액체 밀봉 맞물림을 형성한다. 에어 퍼지 개구는 캡슐의 리드(12A) 및 에어 퍼지 홈(40)에 의해 형성된다. 공기가 림(14A) 주위로 유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캡슐(4A)의 림(14A)과 제1 환형 맞닿음 표면(39) 사이에 갭(56)이 존재한다. 탄성 립(42)은 제1 브루 챔버 부분(18)과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사이의 밀봉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도 3b는 제2 교환가능 캡슐(4B)과 제2 브루 챔버 부분(20) 사이의 밀봉 구성의 시스템(1)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환형 돌출부(37)는 제2 교환가능 캡슐(4B)의 리드(12B)에 맞닿고, 액체 밀봉 맞물림을 형성한다. 에어 퍼지 개구는 캡슐의 리드(12B)와 에어 퍼지 홈(40) 사이에 형성된다.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중심 부분(48) 및 주연부 부분(50)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에서 중심 부분(48) 및 주연부 부분(50)은 탄성 립(42)에 의해 밀봉된다.
이들 예에서, 캡슐 몸체 및 리드는 몸체에 대한 리드의 용이한 용접을 허용하도록 알루미늄 포일,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코팅된 알루미늄 포일로 제조된다. 캡슐 몸체 및/또는 리드가 압출, 공압출, 사출 성형, 취입 성형(blow molding), 진공 성형 등과 같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시트(sheet), 필름(film) 또는 포일로 처리될 수 있는 그리고 당업자에 의해 적합한 것으로 고려되는 매우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캡슐 몸체 및/또는 리드에 적합한 재료는 플라스틱 재료, 특히 열가소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PVC,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금속 포일, 예컨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금속 합금 등; 또는 직조 또는 부직 또는 달리 가공된 섬유질 재료, 예컨대, 종이, 폴리에스테르 등의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 예컨대, 다층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캡슐을 위한 재료는 생분해성 중합체 또는 다른 생분해성 재료일 수 있다. 당업자는 음식 재료와의 예상된 사용 및 캡슐의 사용 중의 임의의 다른 관련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시트 또는 포일의 두께는 형태 안정적 캡슐이 제공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시트 또는 포일의 두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4는 U자형 퍼지 홈(40)의 위치에서의 밀봉 부재(37)의 일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U자형 에어 퍼지 홈(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반경(R)을 갖는 저부 및 일정 깊이(D)를 갖는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하는 다양한 홈 치수가 하기 표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1
명료함 및 간결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특징이 동일한 또는 별개의 실시예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본 발명의 범주는 기술되는 특징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청구범위에서, 괄호 사이에 배치되는 임의의 참조 부호는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단어 '포함하는'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 이외의 다른 특징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단어 '하나'('a' 및 'an')는 '오직 하나'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도록 사용되고,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소정 수단이 서로 상이한 청구범위에 열거된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들 수단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Claims (18)

  1. 소비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교환가능 캡슐 - 상기 교환가능 캡슐은 컵형 몸체 및 리드(lid)를 포함하고, 상기 컵형 몸체는 저부, 원주방향 벽 및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리드는 상기 플랜지에 밀봉됨 -; 및
    상기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1 브루(brew) 챔버 부분 및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폐쇄하여 브루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브루 챔버 부분을 포함하는 장치 -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상기 교환가능 캡슐의 리드와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 사이의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한 밀봉 부재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가압 액체가 상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브루잉 챔버 내로 공급되는 동안 상기 브루 챔버 내의 공기가 상기 장치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캡슐의 리드와 상기 밀봉 부재 사이에 에어 퍼지(air purge) 개구를 형성하는 에어 퍼지 홈을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퍼지 홈은 탄성 재료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리드는 상기 에어 퍼지 개구를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방식으로 상기 캡슐의 내부 공간 내의 액체 압력의 영향 하에서 팽출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포일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퍼지 개구는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 내의 개구부(aperture)와 유체 연통하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퍼지 홈은 U자형 단면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퍼지 홈의 단면적은 대략 0.1 내지 0.55 ㎟, 바람직하게는 대략 0.2 내지 0.3 ㎟,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24 ㎟인,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퍼지 홈의 단면의 깊이는 대략 0.2 내지 0.6 mm, 바람직하게는 대략 0.3 내지 0.4 mm,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0.35 mm인,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퍼지 홈의 단면의 폭은 대략 0.3 내지 2.1 mm, 바람직하게는 대략 0.8 내지 1.2 mm,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1 mm인,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에어 퍼지 홈은 일정 깊이(D)를 갖고, 일정 반경(R)을 갖는 저부를 가지며, 상기 에어 퍼지 홈은 하기 표에 언급된 샘플들 중 하나의 샘플에 따른 단면적을 갖는, 시스템.
    Figure pct00002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가능 캡슐은 제1 교환가능 캡슐이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교환가능 캡슐과는 상이한 크기를 갖는 제2 교환가능 캡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브루 챔버는 상기 제1 교환가능 캡슐 및 상기 제2 교환가능 캡슐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보유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환가능 캡슐 및 상기 제2 교환가능 캡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대 직경 비를 갖는,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의 공동은 상기 제1 교환가능 캡슐 및 상기 제2 교환가능 캡슐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보유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 및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상기 제1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상기 브루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 및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상기 제2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상기 브루 챔버를 형성하는, 시스템.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중심 부분 및 주연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제1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상기 브루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위치 및 상기 제2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상기 브루 챔버를 형성하는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한,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의 전방 면 상에 제공되는 환형 전방 밀봉 부재이며, 상기 전방 면은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향해 지향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밀봉 부재는 교환가능 캡슐의 상기 리드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서, 브루잉 사이클 동안, 상기 전방 밀봉 부재가 상기 리드와 맞물리게 하는,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일정량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교환가능 캡슐을 보유하기 위한 공동을 갖는 제1 브루 챔버 부분 - 상기 캡슐은 컵형 몸체 및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컵형 몸체는 저부, 원주방향 벽 및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리드는 상기 플랜지에 밀봉됨 -; 및
    상기 제1 브루 챔버 부분을 폐쇄하여 브루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2 브루 챔버 부분 -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은 상기 교환가능 캡슐의 리드와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 사이의 액체 밀봉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한 밀봉 부재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루 챔버 부분의 밀봉 부재는 가압 액체가 상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브루잉 챔버 내로 공급되는 동안 상기 브루 챔버 내의 공기가 상기 장치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허용하기 위해 상기 캡슐의 리드와 상기 밀봉 부재 사이에 에어 퍼지 개구를 형성하는 에어 퍼지 홈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217021068A 2018-12-12 2019-12-12 에어 퍼지 홈 KR20210132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2190 2018-12-12
NL2022190A NL2022190B1 (en) 2018-12-12 2018-12-12 Air purge groove
PCT/NL2019/050831 WO2020122722A1 (en) 2018-12-12 2019-12-12 Air purge groo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643A true KR20210132643A (ko) 2021-11-04

Family

ID=6576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068A KR20210132643A (ko) 2018-12-12 2019-12-12 에어 퍼지 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944230B2 (ko)
EP (1) EP3893702B1 (ko)
JP (1) JP7386869B2 (ko)
KR (1) KR20210132643A (ko)
CN (1) CN113194793B (ko)
AU (1) AU2019397122A1 (ko)
BR (1) BR112021011389A2 (ko)
CA (1) CA3123195A1 (ko)
ES (1) ES2930163T3 (ko)
IL (1) IL283918A (ko)
MX (1) MX2021006950A (ko)
NL (1) NL2022190B1 (ko)
PL (1) PL3893702T3 (ko)
WO (1) WO2020122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7750A1 (de) * 2018-10-02 2020-04-02 Spengler Gmbh & Co. Kg Verfahren zur Ausgabe eines Heißgetränks
NL2022190B1 (en) 2018-12-12 2020-07-03 Douwe Egberts Bv Air purge groove
USD959974S1 (en) * 2020-04-02 2022-08-09 Euro-Caps Holding B.V. Beverage capsule
USD964158S1 (en) * 2020-10-27 2022-09-20 David Rubinstein Beverage pod

Family Cites Families (1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048A (en) 1983-05-05 1988-10-04 Alfredo Baecchi Dispensing unit for manually-operated hot drink dispensing machine with pre-manufactured throwaway capsules of two sizes
FR2610502B1 (fr) 1987-02-11 1991-02-08 Levi Mario Un dispositif de detection et d'affichage pour machine a cafe express a service automatique
JPS63300719A (ja) * 1987-05-30 1988-12-07 キーコーヒー株式会社 デイスペンサ
GB9007132D0 (en) 1990-03-30 1990-05-30 Gen Foods Kraft Ltd Packages containing comestibles
GB9007133D0 (en) 1990-03-30 1990-05-30 Gen Foods Kraft Ltd Comestibles containing packages
DE69015629T2 (de) 1990-07-27 1995-05-04 Nestle Sa Verfahren zur Extraktion von offenen Kaffeekapseln, Kaffeekapsel und Extraktions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S5755149A (en) 1993-12-20 1998-05-26 Compagnie Mediterraneenne Des Cafes S.A. Automati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hot beverage infusions
DK0891734T3 (da) 1997-07-14 2001-01-29 Nestle Sa Indretning til fremstilling af en drikkevare
IT1297289B1 (it) 1997-11-03 1999-09-01 San Remo Srl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caffe'
JPH11249875A (ja) 1998-02-26 1999-09-17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プログラミング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IT1321007B1 (it) 2000-02-07 2003-12-18 Francesco Bonanno Gruppo automatico per lo sfruttamento di caffe' e altre bevandemacinate ad azionamento idraulico
CZ20012835A3 (cs) 2000-08-30 2002-04-17 Fianara International B. V. Kávovar k vaření kávového práąku předbaleného v zásobníku
DK1208782T3 (da) 2000-11-28 2004-12-13 Nestle Sa Perkolationsindretning
WO2003030696A1 (en) 2001-10-05 2003-04-17 Hp Intellectual Corp. Coffee maker
SI1808382T1 (sl) 2002-01-16 2013-04-30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Zaprta kapsula s skodelico, ki ima odpiralna sredstva
US6619188B1 (en) * 2002-02-28 2003-09-16 Keith Joseph Meador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ES2194611B2 (es) 2002-05-08 2005-10-16 Jofemar, S.A. Sistema de preparacion de bebidas calientes en maquinas automaticas.
FR2842092B1 (fr) 2002-07-12 2004-12-24 Seb Sa Machine a cafe fonctionnant avec des doses
ITPN20020093A1 (it) 2002-12-02 2004-06-03 Necta Vending Solutions Spa Gruppo infusore a comando meccanico e fluidodinamico.
US7607385B2 (en) 2003-01-24 2009-10-27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ITBO20030062A1 (it) 2003-02-13 2004-08-14 Ima Spa Capsula utilizzabile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infusa.
DE10334526B4 (de) 2003-07-29 2015-07-02 Wmf Ag Kaffeebrühvorrichtung mit arretiertem Filterträger
GB2406329A (en) 2003-09-29 2005-03-30 Mars Inc Apparatus for making multiple beverages with reduced cross-contamination
DE102004002005A1 (de) 2004-01-14 2005-08-11 Schifferle, René Portionskapsel mit gemahlenem Kaffee zur Herstellung eines Kaffeegetränks
DE102004004314B4 (de) 2004-01-28 2014-05-15 Tchibo Gmbh Brühvorrichtung für eine Kaffeemaschine
ITTO20040476A1 (it) 2004-07-09 2004-10-09 Sgl Italia Srl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a partire da materiale in polvere disposto in una capsula sigillata.
DE602004015863D1 (de) 2004-12-21 2008-09-25 Coval Art Tec Ltd Vorrichtung zur zubereitung eines getränks
US7337704B2 (en) 2005-05-25 2008-03-04 Sunbeam Products, Inc. Single serve beverage maker with coordinated heating and pumping periods
DE602005010583D1 (de) 2005-09-27 2008-12-04 Nestec Sa Extraktionsmodul für eine auf Kapseln basierte Getränkemaschine
DE102005049624A1 (de) 2005-10-14 2007-07-12 Niro-Plan Ag Kaffeemaschine
DE202006002678U1 (de) 2006-02-17 2006-04-20 Eugster/Frismag Ag Kaffeemaschine zur Zubereitung eines Kaffeegetränks mittels abgepackter, vorportionierter Kaffeepouches
DE602006014498D1 (de) 2006-02-27 2010-07-08 Nestec Sa Kapsel mit Getränkezubereitung mit integralem Element zur allseitigen Umlenkung des Aufgussdruckstrahls
DE102006016421A1 (de) 2006-04-07 2007-12-06 Wiesauplast Kunststoff Und Formenbau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ortionsweisen Herstellung eines Aromagetränks
ES2322091T5 (es) 2006-05-24 2015-09-11 Nestec S.A. Dispositivo de infusión y sistema de infusión de cápsulas con un soporte de cápsula para facilitar la introducción y extracción de las cápsulas
PT2238879E (pt) 2006-05-24 2012-07-02 Nestec Sa Módulo de perfuração de cápsulas
PL1859713T3 (pl) 2006-05-24 2010-02-26 Nestec Sa Urządzenie do zaparzania z kapsułki zawierające mechanizm zamykający o zmiennym przełożeniu
ITMI20061307A1 (it) 2006-07-06 2008-01-07 Perfect Steam Appliances Ltd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TFI20060194A1 (it) 2006-08-04 2008-02-05 Saeco Ipr Ltd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ITFI20070028A1 (it) 2007-02-07 2008-08-08 Saeco Ipr Ltd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con un dispositivo di centraggio delle capsule.
DE202007002910U1 (de) 2007-02-26 2007-05-10 Mahlich, Gotthard Brüheinheit eines Getränkezubereitungsgeräts
EP2266446A1 (de) 2007-03-29 2010-12-29 Tchibo GmbH Getränkemaschine und Verfahren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ATE525943T1 (de) 2007-08-29 2011-10-15 Nestec Sa Ausgabevorrichtung zur zubereitung und ausgabe eines nahrungsmittels und/oder einer ernährungszusammensetzung
EP2058498B1 (en) 2007-11-09 2013-07-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ethod to determine the fuel temperature in a common rail injection system
PL2071986T3 (pl) 2007-12-18 2012-07-31 Nestec Sa System do wytwarzania napoju ze składników podtrzymywanych przez zakodowaną wkładkę
DK2071987T3 (da) 2007-12-18 2010-08-09 Nestec Sa Indretning til fremstilling af en drikkevare omfattende en justerbar lukkemekanisme
ES2375922T3 (es) 2008-02-29 2012-03-07 Nestec S.A. Método y sistema para preparar un extracto l�?quido a partir de una celda usando fuerzas centr�?fugas.
DK2265156T3 (da) 2008-03-14 2013-08-19 Mocoffee Ag Apparatur og kapsel til fremstilling af en drikkevare
WO2010013274A1 (en) 2008-08-01 2010-02-04 Rossi Corporation S.R.L. Espresso coffee machine infusion group
EP2348930B1 (fr) 2008-09-13 2013-04-10 Ethical Coffee Company SA Dispositif pour la préparation d'une boisson
MX2011006184A (es) 2008-12-09 2011-09-06 Nestec Sa Capsula para preparar una bebida mediante centrifugacion en un dispositivo de preparacion de bebida y por consiguiente dispositivo adaptado.
IT1392572B1 (it) 2008-12-30 2012-03-09 Lavazza Luigi Spa Gruppo di infusione per u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JP2012514485A (ja) 2009-01-02 2012-06-28 エシカル コーヒー カンパニー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を製造するためのカプセル及びデバイス
BRPI1007256A2 (pt) 2009-01-23 2016-02-10 Ethical Coffee Company Sa cápsula para o preparo de uma bebida
IT1393007B1 (it) 2009-03-12 2012-04-11 Emmebielle S R L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mediante infusione di bevande mediante capsule
EP2230195B1 (en) 2009-03-19 2018-04-25 Nestec S.A. Capsule with filtering insert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CN201481108U (zh) 2009-05-11 2010-05-26 杜伟 可更换咖啡胶囊固定器的咖啡胶囊酿造装置
IT1394284B1 (it) 2009-05-21 2012-06-06 Saeco Strategic Services Ltd Grupp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onfezioni monodose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gruppo
EP2966007B1 (en) 2009-06-17 2017-09-13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PT2289820E (en) * 2009-08-05 2013-01-29 Nestec Sa Capsule with relief-shaped sealing member
US9271600B2 (en) 2009-10-05 2016-03-01 Nestec S.A. Ergonomic capsule extraction device
IN2012DN05021A (ko) * 2009-12-08 2015-10-02 Nestec Sa
AU2010330196B2 (en) 2009-12-08 2014-07-31 Nestec S.A. System, set of capsule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DE102009058646A1 (de) 2009-12-16 2011-06-22 Krüger GmbH & Co. KG, 51469 Portionskapsel und Verwendung einer Portionskapsel
SG181721A1 (en) 2009-12-21 2012-07-30 Nestec Sa Identification of beverage ingredient containing capsules
US20130001251A1 (en) 2010-03-19 2013-01-03 Nestec S.A. Beverage machine using ingredient capsules
DE102010003637A1 (de) 2010-04-01 2011-10-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rühkopf einer Heißgetränkezubereitungseinrichtung, Zubereitungseinrichtung mit einem Brühkopf und Betätigungsverfahren dafür
EP2374383B2 (fr) 2010-04-07 2019-11-06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Système d'extraction pour la production d'une boisson utilisant une capsule
CN103025216B (zh) 2010-06-28 2016-03-30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胶囊传感系统
EP2401945A1 (en) 2010-07-01 2012-01-04 Nestec S.A. A device for adapting a food capsule into a capsule holder
CN101889823B (zh) 2010-07-15 2012-11-07 美的集团有限公司 胶囊酿造机构及具有该酿造机构的胶囊咖啡机
DK2409608T3 (da) 2010-07-19 2013-07-22 Nestec Sa Indretning til føling af en kapsel i et drikfremstillingsapparat
PL2409609T3 (pl) 2010-07-22 2013-04-30 Nestec Sa Uchwyt kapsułki lub adapter do dostosowywania kapsułki w uchwycie kapsułki w maszynie do wytwarzania napojów
JP6058537B2 (ja) 2010-08-13 2017-01-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フードを作るための抽出デバイス
IT1401828B1 (it) 2010-09-28 2013-08-28 Macchiavelli Srl Sistema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a partire da un prodotto da infusione contenuto in una capsula intercambiabile
US9486106B2 (en) 2010-09-28 2016-11-08 Nestec S.A. Device and method for retrieving a capsule from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EP2543291A1 (en) 2011-07-08 201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ewing unit with a water heater
KR101812833B1 (ko) 2010-10-08 2017-12-27 큐보 커피 게엠베하 추출 장치 및 밀봉 시스템
JP5911881B2 (ja) 2010-11-09 2016-04-27 ラ ヴィッ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飲料を調製して吐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ベースのシステム
US9592953B2 (en) * 2011-01-27 2017-03-14 Nestec S.A. Pod and package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IT1403541B1 (it) * 2011-01-31 2013-10-31 Sarong Spa Macchina erogatrice per bevande
CN102188161B (zh) 2011-01-31 2013-01-16 苏州工业园区咖乐美电器有限公司 一种手动胶囊咖啡机
JP5959545B2 (ja) 2011-03-14 2016-08-0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自動飲料マシン
ITMI20110725A1 (it) 2011-04-29 2012-10-30 Roberto Celestino Santi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calde.
ITMI20110876A1 (it) 2011-05-18 2012-11-19 Swiss Caffe Asia Ltd Gruppo infusore, particolarmente per capsule e/o cialde per l'ottenimento di bevande infuse e simili.
RU2014104784A (ru) 2011-07-12 2015-08-20 Нестек С.А. Поворотно-закрывающийся держатель ингредиента напитка с замком
GB201112058D0 (en) 2011-07-13 2011-08-31 Mars Inc Beverage preparation capsules
WO2013079814A1 (fr) 2011-11-30 2013-06-06 FRYDMAN, Philippe Machine de préparation de boissons par extraction de capsules
US20150056343A1 (en) 2012-02-28 2015-02-26 Nestec S.A. Capsule-controlled motorized brewing unit
ITMO20120056A1 (it) 2012-03-07 2013-09-08 Sarong Spa Capsula per bevande
ITTO20120279A1 (it) 2012-03-29 2013-09-30 N&W Global Vending Spa Gruppo infusore per macchine automatiche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infuse
US9801494B2 (en) 2012-04-11 2017-10-31 Koninklijke Philips N.V. Capsule adapter and system using said capsule adapter
US10093478B2 (en) * 2012-04-17 2018-10-09 Sarong Societa' Per Azioni Capsule and dispensing machine for beverages
RU2613773C2 (ru) 2012-04-24 2017-03-21 Нестек С.А.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ITBS20120073A1 (it) 2012-04-27 2013-10-28 Capitani Srl Gruppo di infusione
DE202012005191U1 (de) 2012-05-25 2012-06-18 SEVERIN ELEKTROGERÄTE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Getränkes
DE102012010394B4 (de) 2012-05-25 2018-11-15 SEVERIN ELEKTROGERÄTE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Getränkes
CN104619188B (zh) 2012-06-22 2019-02-19 塔奇咖啡饮品有限责任公司 饮料冲泡系统
DE102012105787A1 (de) 2012-06-29 2014-01-02 Eugster/Frismag Ag Elektrohaushaltgeräte System und Verfahren zum Zubereiten eines Getränks
AU2013283164B2 (en) 2012-06-29 2016-06-02 K-Fee System Gmbh Portion capsule comprising a plastic film provided with a machine-detectable identification
AU2013292237B2 (en) 2012-07-16 2017-11-02 Tuttoespresso S.R.L. Capsule with improved sealing element
RU2650060C2 (ru) 2012-07-16 2018-04-06 Туттоэспрессо С.Р.Л. Капсула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CN102743107B (zh) 2012-07-19 2015-05-06 宁波圣莱达电器股份有限公司 咖啡机冲泡装置
DE102012108653A1 (de) 2012-08-20 2014-02-20 Eugster/Frismag Ag Elektrohaushaltgeräte Brüh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WO2014029628A1 (en) 2012-08-22 2014-02-27 Nestec S.A. Capsule assemblies with data storage and communication means
CN104583098B (zh) 2012-08-24 2017-07-28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用于食品制备机器中的胶囊
WO2014041605A1 (ja) 2012-09-11 2014-03-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
RU2015116639A (ru) 2012-10-09 2016-12-10 Нестек С.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кции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приемником для капсул различных размеров
RU2015116519A (ru) 2012-10-09 2016-12-10 Нестек С.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кции капсул различных размеров с направляющими
US9913558B2 (en) 2012-10-09 2018-03-13 Nestec S.A. Extraction unit with a shiftable multi-size cartridge receiver
RU2634679C2 (ru) 2012-10-09 2017-11-02 Нестек С.А.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WO2014060370A1 (en) 2012-10-19 2014-04-24 Nestec S.A. Extensible cartridge cage with a lock
DE112013002899A5 (de) 2012-10-29 2015-08-06 Cstec Gmbh Kapsel zur Aufnahme eines Brühguts wie Kaffee, Tee und desgleichen, sowie Verfahren zum Verschließen einer solchen Kapsel
DE102012111684A1 (de) 2012-11-30 2014-06-05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zur Herstellung eines cremafreien Kaffeegetränks
DE102012111685A1 (de) 2012-11-30 2014-06-05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zur Herstellung von Kaffeegetränken mit und ohne Crema
WO2014092406A1 (ko) 2012-12-10 2014-06-19 컨벡스코리아(주)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WO2014096121A1 (en) 2012-12-19 2014-06-26 Nestec S.A. Sensor for multi-size cartridge extraction unit
US9986869B2 (en) 2012-12-19 2018-06-05 Nestec S.A. Self-locking multi-size cartridge extraction unit
CN202960135U (zh) 2012-12-24 2013-06-05 厦门优尔电器有限公司 一种胶囊安装槽改进的胶囊式咖啡机
ITBS20130026A1 (it) 2013-03-01 2014-09-02 Bialetti Ind Spa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calda
JP6449226B2 (ja) 2013-03-11 2019-01-09 デイ、ニール・エム コーヒーの風味を再現する方法及び装置
RU2015145283A (ru) 2013-03-22 2017-04-26 Нестек С.А. Капсула с кодом и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US9700171B2 (en) 2013-04-03 2017-07-11 2266170 Ontario Inc. Capsule machine and components
ITMI20130667A1 (it) 2013-04-23 2014-10-24 Imper Spa Macchina per erogazione di bevande.
ES2629227T3 (es) 2013-05-14 2017-08-07 Delica Ag Módulo de escaldado y sistema para la preparación de una bebida
AU2014268094B2 (en) 2013-05-17 2016-11-24 2266170 Ontario Inc. Capsule for preparing consumable product
ITTO20130589A1 (it) 2013-07-12 2015-01-13 Lavazza Luigi Spa Sistem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GB201318315D0 (en) 2013-10-16 2013-11-27 Sab Miller Plc Dispensing apparatus
CN105792714B (zh) 2013-12-06 2019-07-23 雀巢产品有限公司 将不同尺寸的胶囊引导至提取位置的设备
WO2015082663A1 (en) 2013-12-06 2015-06-11 Nestec S.A. Handling device with movable capsule ejector
CN105792712B (zh) 2013-12-06 2020-02-14 雀巢产品有限公司 胶囊处理装置中的可回缩引导件
WO2015086371A1 (en) 2013-12-11 2015-06-18 Nestec S.A. Beverage machine with a pivotable capsule gate
US9474406B2 (en) 2014-01-17 2016-10-25 Keurig Green Mountain, Inc. Apparatus with beverage cartridge holder having movable outlet
CA2933523A1 (en) 2014-02-19 2015-08-27 Nestec S.A. A capsule kit for use in a food preparation machine
US10687655B2 (en) 2014-02-25 2020-06-23 Newco Enterprises, Inc. Beverage brewing device for brewing and removal of different sized beverage capsules
CN103829804A (zh) 2014-03-10 2014-06-04 宁波凯波集团有限公司 胶囊饮料冲泡装置
US9439532B2 (en) 2014-03-11 2016-09-13 Starbucks Corporation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with multi-chambered basket units
PT3122660T (pt) 2014-03-24 2019-11-18 Nestle Sa Cápsula de café e sistema para produzir um extrato de café a partir de tal cápsula
US10188237B2 (en) 2014-04-08 2019-01-29 Nestec S.A. Multisize capsule handling with serial actuation
CN106232502A (zh) 2014-04-17 2016-12-14 K-Fee系统股份有限公司 剂量容器及用于生产带有剂量容器的饮料的方法
CN106132253B (zh) 2014-05-12 2019-10-11 雀巢产品有限公司 特别是用于从胶囊制备饮料的机器的饮料冲煮单元
US10405690B2 (en) 2014-06-19 2019-09-10 Massimo Tentorio Single serve brewing machine
GB2528663A (en) 2014-07-25 2016-02-03 Koninkl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forming a beverage
EP3203882A4 (en) * 2014-10-06 2018-06-27 Remington Designs LLC Beverage brew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EP3203885B1 (en) 2014-10-10 2018-07-11 Koninklijke Philips N.V. Brewing unit
WO2016071795A1 (en) 2014-11-06 2016-05-12 Luigi Lavazza S.P.A.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liquid products via capsules and method of assembly
CA2961459C (en) 2014-11-24 2018-06-26 2266170 Ontario Inc. Capsule machine and components
DE202015100812U1 (de) 2015-02-20 2016-05-27 Christoph Huber Dichtung für Kaffeekapseln
DE202015100813U1 (de) 2015-02-20 2016-05-27 Christoph Huber Dichtung für Kaffeekapseln
DE202015100814U1 (de) 2015-02-20 2016-05-27 Christoph Huber Dichtung für Kaffeekapseln
DE202015101266U1 (de) 2015-03-11 2016-06-15 Christoph Huber Dichtung für Kaffeekapseln
BR112017024479B1 (pt) * 2015-05-15 2022-02-15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Cápsula, sistema para preparação de uma bebida potável, e, uso de uma cápsula
NL2017285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kit of capsule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79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9218B1 (en) 2016-08-03 2018-07-06 Douwe Egberts Bv Capsule, system and use of the system for preparing double beverages like a double espresso, a double lungo and a double ristretto
WO2018026279A1 (en) 2016-08-03 2018-02-08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quantity of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NL2017277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system comprising the apparatus and an exchangeable capsule
NL2017278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kit of capsule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2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1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3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KR102313920B1 (ko) 2017-07-31 202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반도체 소자
CN107440523B (zh) * 2017-08-25 2023-09-08 宁波心想科技有限公司 一种饮料制备装置的出液结构
CN110831254B (zh) 2018-08-08 2021-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失败恢复的方法和设备
NL2022190B1 (en) 2018-12-12 2020-07-03 Douwe Egberts Bv Air purge gro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2022190B1 (en) 2020-07-03
CN113194793B (zh) 2023-04-25
US11944230B2 (en) 2024-04-02
JP2022515356A (ja) 2022-02-18
JP7386869B2 (ja) 2023-11-27
PL3893702T3 (pl) 2023-01-02
MX2021006950A (es) 2021-07-15
AU2019397122A1 (en) 2021-07-08
WO2020122722A1 (en) 2020-06-18
EP3893702B1 (en) 2022-09-21
ES2930163T3 (es) 2022-12-07
CA3123195A1 (en) 2020-06-18
EP3893702A1 (en) 2021-10-20
BR112021011389A2 (pt) 2021-08-31
CN113194793A (zh) 2021-07-30
US20220061580A1 (en) 2022-03-03
IL283918A (en)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230B2 (en) Air purge groove
US11129492B2 (en)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US6645537B2 (en) Beverage filter cartridge
US11129493B2 (en)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AU2017307957A1 (en) System for preparing a quantity of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US11304555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RU2804624C2 (ru) Воздухоотводная канав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