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4338A - 차량 제어 시스템, 휴대 단말기 및 차량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시스템, 휴대 단말기 및 차량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338A
KR20210124338A KR1020217027974A KR20217027974A KR20210124338A KR 20210124338 A KR20210124338 A KR 20210124338A KR 1020217027974 A KR1020217027974 A KR 1020217027974A KR 20217027974 A KR20217027974 A KR 20217027974A KR 20210124338 A KR20210124338 A KR 20210124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rtable terminal
control unit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611B1 (ko
Inventor
노부요시 나가이
노부야스 오카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21012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차량 제어 시스템(1, 101)은, 차량 탑재 장치(11, 111)와, 휴대 단말기(12, 112)를 구비한다. 차량 탑재 장치는, 차량(2)의 도어의 로크 및 언로크를 실행하는 로크 기구(21)를 제어하는 로크 제어부(41)를 구비한다. 차량 제어 시스템이 구비하는 시스템 제어부(44, 144)는, 판정부(42)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언로크의 조건의 충족이 불가능해지도록 당해 시스템을 제어하고, 또한, 그러한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 검출부(43, 143)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조건의 충족이 가능하도록 당해 시스템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시스템, 휴대 단말기 및 차량 탑재 장치
본 국제 출원은, 2019년 3월 5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3955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 출원 제2019-39555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한다.
본 개시는, 차량의 도어록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선 통신 가능한 키 장치를 보유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도어 등의 로크(즉 잠금), 언로크(즉 잠금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보안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69008호 공보
본원의 발명자는,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기만을 이용하고, 휴대 단말기를 키 장치로 대체해 사용하는 시스템을 검토하고 있다. 발명자의 상세한 검토의 결과,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알아 내었다.
키 장치로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중의 1대가 차 실외에 있다고 판정되면, 차 실내에 있다고 판정된 휴대 단말기는 일시적으로 키 장치로서의 기능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당해 휴대 단말기가 차 실내에 남겨져 있는 것으로, 제3자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언로크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어떤 휴대 단말기가 차 실내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실제로는 그 휴대 단말기가 차 실외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정지되어 버리면 당해 휴대 단말기를 키 장치로서 도어의 언로크를 행할 수 없어, 시스템의 편리성이 저하된다.
본 개시의 하나의 국면은, 도어의 언로크의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와, 차량 탑재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구비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이다. 차량 탑재 장치는, 차량의 도어 로크 및 언로크를 실행하는 로크 기구를 제어하는 로크 제어부이며,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로크 기구에 도어의 언로크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로크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은 판정부와, 검출부와, 시스템 제어부를 구비한다. 판정부는, 차량의 차 실내에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검출부는, 휴대 단말기가 사용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 제어부는, 판정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조건의 충족이 불가능해지도록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고, 또한,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 검출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조건의 충족이 가능해지도록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가 차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될 때까지, 당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한 도어의 언로크가 금지된다. 그 때문에, 차 실내에 놓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제3자의 언로크를 억제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의 잘못된 판정에 기인하는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양태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이다.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차량의 도어의 로크 및 언로크를 실행하는 로크 기구를 제어하는 로크 제어부와, 차량의 차 실내에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휴대 단말기는, 검출부와, 송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검출부는, 휴대 단말기가 사용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제어부는, 로크 기구에 도어의 언로크를 허가하기 위한 허가 신호를, 소정의 송신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차량 탑재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송신 제어부는, 판정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검출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될 때까지, 허가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가 차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될 때까지, 당해 휴대 단말기는 도어의 언로크를 허가하기 위한 신호 송신이 금지된다. 그 때문에, 차 실내에 놓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제3자의 언로크를 억제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의 오판정에 의한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와, 차량 탑재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를 구비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 탑재 장치이다. 당해 차량 탑재 장치는, 차량의 도어의 로크 및 언로크를 실행하는 로크 기구를 제어하는 로크 제어부이며,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로크 기구에 도어의 언로크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로크 제어부와, 차량의 차 실내에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차량 제어 시스템은, 검출부와, 시스템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검출부는, 휴대 단말기가 사용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 제어부는, 판정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조건의 충족이 불가능해지도록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고, 또한, 제어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검출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조건의 충족이 가능해지도록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가 차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될 때까지, 차량 탑재 장치는 도어의 언로크를 실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차 실내에 놓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제3자의 언로크를 억제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의 오판정에 의한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판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로크 접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무효화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언로크 접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응답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로크 접수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차 실내외 판정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언로크 접수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
[1-1.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1)은, 차량(2)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11)와, 차량 탑재 장치(11)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12)를 구비한다.
차량 탑재 장치(11)는, 로크 기구(21)와, 로크 제어 스위치(22)와, 제어 ECU(23)와, 무선 제어부(24)와, 차량 제어부(25)와, 안테나(26)를 구비한다.
로크 기구(21)는, 복수의 도어 및 트렁크 중 하나에 있어서, 로크(즉 잠금) 및 언로크(즉 잠금해제)를 실현하기 위한 기구이다. 차량 탑재 장치(11)는, 차량(2)이 구비하는 복수의 도어와 트렁크의 각각에 대응하는 로크 기구(21)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에서는, 하나의 로크 기구(21)만을 기재한다. 로크 기구(21)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로크와 언로크의 전환을 실현하는 자물쇠 기구와, 그 자물쇠 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로크 제어 스위치(22)는, 유저가 도어 또는 트렁크를 로크 또는 언로크할 때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이 스위치는, 예를 들어 유저가 압박 가능한 버튼, 접촉 센서 및 손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센서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로크 제어 스위치(22)는 무선 제어부(24)에 접속되어 있고, 유저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에는 무선 제어부(24)에 신호를 출력한다. 로크를 행하기 위한 조작과, 언로크를 행하기 위한 조작은 다른 조작이어도 되고, 동일한 조작이어도 된다. 차량 탑재 장치(11)는, 로크 기구(21)와 마찬가지로, 차량(2)에 있어서 복수의 로크 제어 스위치(2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로크 제어 스위치(22)만을 기재한다. 또한, 로크 제어 스위치(22)가 조작부에 상당한다.
제어 ECU(23)는, 차량 제어부(25)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로크 기구(21)의 구동 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도어 및 트렁크의 로크ㆍ언로크를 제어한다.
무선 제어부(24)는, 차량 제어부(25)가 휴대 단말기(12)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BLE(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는, 등록 상표)에 의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 무선 제어부(24)는, 수십m 정도 떨어진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제어부(25)가 휴대 단말기(12)와 복수의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통신 방식에 대응한 복수의 모듈이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RF 신호, LF 신호, 또는 Bluetooth의 다른 통신 방식을 실행하는 모듈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차량 제어부(25)는, CPU와, 예를 들어 RAM 또는 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한다. 차량 제어부(25)의 각 기능은, CPU가 비전이적 실체적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예에서는, 상술한 반도체 메모리가,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전이적 실체적 기록 매체에 해당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법이 실행된다. 또한, 차량 제어부(25)는, 하나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해도 되고, 복수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해도 된다. 차량 제어부(25)는, 로크 제어부(41)와, 판정부(42)를 구비한다.
로크 제어부(41)는, 차량(2)의 도어의 로크 및 언로크를 실행하는 로크 기구(2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제어부(41)는 제어 ECU(2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로크 기구(21)를 작동시킨다. 또한, 언로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조건의 충족이 필요하게 된다.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요건에는, (i) 차량(2)에 탑재되는 로크 제어 스위치(22)에 대해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은 것, 및 (ⅱ) 휴대 단말기(12)로부터 로크 기구(21)에 도어의 언로크를 허가하기 위한 허가 신호를 수신한 것이 포함된다.
판정부(42)는, 차량(2)의 차 실내에 휴대 단말기(12)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인 판정 방법을,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차량(2)을 상측으로부터 볼 때 차량(2)의 거의 중앙이 되는 위치에는, 휴대 단말기(12a 내지 12c)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안테나(26)가 배치되어 있다. 판정부(42)는, 휴대 단말기(12)로부터 수신한 전파의 강도에 기초하여, 안테나(26)로부터 휴대 단말기(12)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전파 강도로부터 2점간의 거리를 취득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차 실내에 휴대 단말기(12)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 방법은, 전파의 강도에 기초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2)의 위치와, 차량(2)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2)가 차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장치(11)과 휴대 단말기(12)의 통신에는 BLE 통신을 이용하지만, 예를 들어 RF 신호, LF 신호 등의 통신 방식을 실행하는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판정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안테나(26) 이외에, 하나 이상의 안테나(26a)를 차량(2)의 측면 등에 배치하고, 보다 상세한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2의 예에서는, 안테나(26a)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휴대 단말기(12b)가 차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설명을 도 1로 되돌아간다. 휴대 단말기(12)는, 단말기 제어부(33)와, 애플리케이션 제어부(31)와, 진동 검출부(32)와, 무선 제어부(34)와, 안테나(35)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기(12)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이어도 된다. 휴대 단말기(12)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플레이나 터치 센서 등을 구비해도 된다.
애플리케이션 제어부(31)는, 휴대 단말기(12)가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진동 검출부(32)는, 휴대 단말기(12)에 가해진 진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동 검출부(32)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진동 검출부(32)는, 휴대 단말기(12)에 가해진 진동에 따른 신호를 단말기 제어부(33)에 출력한다.
단말기 제어부(33)는, CPU와, 예를 들어 RAM 또는 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한다. 단말기 제어부(33)의 각 기능은, CPU가 비전이적 실체적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예에서는, 상술한 반도체 메모리가,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전이적 실체적 기록 매체에 해당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방법이 실행된다. 또한, 차량 제어부(25)는, 하나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해도 되고, 복수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해도 된다. 단말기 제어부(33)는, 검출부(43)와, 송신 제어부(44)를 구비한다.
검출부(43)는, 휴대 단말기(12)가 사용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출부(43)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부(31)가 유저의 조작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행한 것을, 휴대 단말기(12)의 사용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43)는, 진동 검출부(32)로부터 취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2)가 이동한 것을, 휴대 단말기(12)의 사용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43)는, 상기 방법 이외로 휴대 단말기(12)의 사용을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2)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휴대 단말기(12)의 이동 중 어느 하나만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그 밖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12)의 사용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송신 제어부(44)는, 로크 기구(21)에 도어의 언로크를 허가하기 위한 허가 신호를, 소정의 송신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차량 탑재 장치(11)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정의 송신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요건에는, 적어도 후술하는 언로크 커맨드를 수신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송신 제어부(44)가 상세한 제어는 후술한다.
무선 제어부(34)는, 무선 제어부(24)와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모듈이다. 따라서, 무선 제어부(34)는 무선 제어부(24)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방식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무선 제어부(34)는 안테나(35)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차량 제어 시스템(1)은, 기계적인 키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의 로크ㆍ언로크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인증 기능(소위 스마트 엔트리ㆍ개시 시스템의 기능)을 갖고 있다. 휴대 단말기(12)가 무선 인증 기능의 키 장치이다. 휴대 단말기(12)가 차량 탑재 장치(11)에 접근하여 휴대 단말기(12)의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유저가 로크 제어 스위치(22)에 대한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기인하여 로크 제어나 언로크 제어가 실현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로크 제어란, 차량 제어부(25)의 명령에 따라 제어 ECU(23)가 로크 기구(21)를 작동시키고, 도어 등을 로크 상태로 함을 의미한다. 또한 언로크 제어란, 차량 제어부(25)의 명령에 따라 제어 ECU(23)가 로크 기구(21)를 작동시키고, 도어 등을 언로크 상태로 함을 의미한다.
[1-2. 차량 제어 시스템의 처리]
차량 제어 시스템(1)은, 차량 제어부(25)와 무선 제어부(34)가 실행하는 처리에 의해 언로크의 안전성을 향상된다. 이하의 처리에서는, 차량 탑재 장치(11)에 의한 휴대 단말기(12)의 인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지만, 로크 제어 및 언로크 제어는, 휴대 단말기(12)의 인증이 성립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1-2-1. 로크 접수 처리]
우선, 차량 제어부(25)가 실행하는 로크 접수 처리에 대해, 도 3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단순히 단말기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S1에서는, 차량 제어부(25)는, 로크 제어 스위치(22)로부터, 로크 조작 신호를 수신한다. 로크 조작 신호는, 로크 제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로크 조작이 로크 제어 스위치(22)에 행해졌을 때 출력되는 신호이다.
S2에서는, 차량 제어부(25)는, 전파를 수신 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12)로부터 전파를 수신한다.
S3에서는, 차량 제어부(25)는, 차 실내외 판정을 행한다. 여기서는, 차량 제어부(25)는, S2에서 수신한 전파의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안테나(26)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고,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12) 각각에 대해, 차 실내 및 차 실외의 어느 것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판정을 행한다.
S4에서는, 차량 제어부(25)는, S3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 실외에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12)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차 실외란, 차량(2)의 외측이며 차량(2)의 근방 영역을 의미한다. 차량 제어부(25)는, 차 실외에 휴대 단말기(12)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5로 이행하고, 차 실외에 단말기가 없는 경우의 응답을 한다. 차량 제어부(25)는, 제어 ECU(23)에 대해 로크 기구(21)의 로크를 행하지 않고, 로크 제어를 할 수 없었던 취지를 나타내는 알람을 스피커에 의해 출력시켜도 된다. 또한, 차량에 탑재되는 램프를 점멸시켜도 된다. 이 S5의 후, 도 3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4에서 차 실외에 휴대 단말기(12)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6으로 이행한다.
S6에서는, 차량 제어부(25)는, S3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 실내에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12)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량 제어부(25)는, 차 실내에 휴대 단말기(12)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7로 이행하고, 로크 제어를 행한다. 이 S7의 후, 도 3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차량 제어부(25)는, S6에서 차 실내에 휴대 단말기(12)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8로 이행하고, 무효화 커맨드를 휴대 단말기(12)에 송신한다. 여기서 말하는 무효화 커맨드란, 휴대 단말기(12)에 대해, 키 장치로서의 기능을 정지시키기 위한 커맨드이다.
다음에, S9에서, 차량 제어부(25)는 로크 제어를 한다. 이 S9의 후, 도 3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2, S3, S6이 판정부(42)로서의 처리에 상당한다.
[1-2-2. 무효화 처리]
단말기 제어부(33)가 실행하는 무효화 처리에 대해, 도 4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S11에서는, 단말기 제어부(33)는, 도 3의 S8의 처리에서 차량 제어부(25)가 송신한 무효화 커맨드를 수신한다.
S12에서는, 단말기 제어부(33)는, 동작 모드를 비응답 모드로 설정한다. 단말기 제어부(33)는, 응답 모드와 비응답 모드 중 어느 것에 동작 모드가 설정되고, 응답 모드일 때에 한하여 허가 신호의 송신을 행한다. 동작 모드는, 단말기 제어부(33)가 구비하는 메모리에 기억되는 플래그로 관리해도 된다.
S13에서는, 단말기 제어부(33)는, S12에서 비응답 모드로 설정된 후에 휴대 단말기(12)가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기 제어부(33)는, 휴대 단말기(12)가 사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가 다시 S13으로 되돌아간다. 즉, 휴대 단말기(12)가 사용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단말기 제어부(33)는, 휴대 단말기(12)가 사용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14로 이행하고, 동작 모드를 응답 모드로 설정한다. 이 S14의 후, 도 4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13이 검출부(43)로서의 처리에 상당한다.
[1-2-3. 언로크 접수 처리]
차량 제어부(25)가 실행하는 언로크 접수 처리에 대해, 도 5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S21에서는, 차량 제어부(25)는, 로크 제어 스위치(22)로부터, 언로크 조작 신호를 수신한다. 언로크 조작 신호는, 언로크 제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언로크 조작이 로크 제어 스위치(22)에 행해졌을 때 출력되는 신호이다.
S22에서는, 차량 제어부(25)는, 언로크 커맨드를 휴대 단말기(12)에 송신한다. 또한, 언로크 커맨드가, 차량 탑재 장치(11)가 송신하는 소정의 조작 신호에 상당한다.
S23에서는, 차량 제어부(25)는, 휴대 단말기(12)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여부, 즉 휴대 단말기(12)로부터 허가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허가 신호는, 후술하는 도 6의 S33의 처리에서 송신되는 신호이다.
차량 제어부(25)는, S23에서 응답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24로 이행하고, 소정 시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량 제어부(25)는, 소정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S23으로 되돌아가, 다시 응답의 유무를 판정한다. 즉 차량 제어부(25)는, 휴대 단말기(12)로부터 응답이 있을 때까지, 소정 시간 대기한다. 한편, 무선 제어부(24)는, 소정 시간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언로크 제어를 행하지 않고, 도 5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차량 제어부(25)는, S23에서 응답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25로 이행하고, 언로크 제어를 한 후, 도 5의 처리를 종료한다.
[1-2-4. 응답 처리]
단말기 제어부(33)가 실행하는 응답 처리에 대해, 도 6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S31에서는, 단말기 제어부(33)는, 도 5의 S22의 처리에서 차량 제어부(25)가 송신한 언로크 커맨드를 수신한다.
S32에서는, 단말기 제어부(33)는, 동작 모드가 응답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기 제어부(33)는, 응답 모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아무런 응답을 행하지 않고, 도 6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말기 제어부(33)는, 응답 플래그가 온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S33으로 이행하고, 허가 신호를 차량 탑재 장치(11)에 송신한다. 이 S33의 후, 도 6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12, S14, S32, S33이 송신 제어부(44)로서의 처리에 상당한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송신 제어부(44)가 시스템 제어부에 상당한다. 즉, 송신 제어부(44)는, 판정부(42)에 의해 휴대 단말기(12)가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로크 제어부(41)가 언로크 제어를 행하기 위한 상술한 소정의 조건의 충족이 불가능해지도록 차량 제어 시스템(1)을 제어한다. 또한, 송신 제어부(44)는, 그러한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 검출부(43)에 의해 휴대 단말기(12)의 사용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조건의 충족이 가능해지도록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1)을 제어한다.
[1-3. 효과]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1a) 차량 제어 시스템(1)에서는, 판정부(42)에 의해 휴대 단말기(12)가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송신 제어부(44)가, 검출부(43)에 의해 휴대 단말기(12)의 사용이 검출될 때까지, 허가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그 때문에, 차 실내에 놓인 휴대 단말기(12)를 이용한 제3자의 언로크를 억제하면서, 휴대 단말기(12)의 위치의 잘못된 판정에 기인하는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1b) 차량 제어 시스템(1)에서는, 휴대 단말기(12)의 단말기 제어부(33)가 검출부(43)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허가 신호를 송신해야 하는지 여부를 휴대 단말기(12)에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탑재 장치(11)의 처리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2-1.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
제2 실시 형태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위점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선행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12)의 사용을 검출하는 검출부(43)가 휴대 단말기(12)에 마련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1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제어부(125)가 검출부(143)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즉, 휴대 단말기(112)의 사용 검출을 차량 탑재 장치(111)의 차량 제어부(125)가 실행해도 된다.
또한, 차량 제어부(125)는, 언로크 관리부(144)를 구비해도 된다. 언로크 관리부(144)는, 판정부(42)에 의해 휴대 단말기(112)가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소정의 조건의 충족이 불가능해지도록 차량 제어 시스템(101)을 제어한다. 또한, 언로크 관리부(144)는, 그러한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 검출부(143)에 의해 휴대 단말기(112)의 사용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조건의 충족이 가능해지도록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101)을 제어한다.
또한, 언로크 관리부(144)가, 시스템 제어부에 상당한다. 도어의 언로크 제어 그 자체는 로크 제어부(41)에 의해 실행된다. 언로크 관리부(144)는, 동작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로크 제어부(41)에 의한 언로크 제어의 실행 가부를 제어한다.
[2-2. 처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탑재 장치(111)의 차량 제어부(125)는, 언로크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도 5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112)의 단말기 제어부(133)는, 언로크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허가 신호를 차량 탑재 장치(111)에 송신한다.
[2-2-1. 로크 접수 처리]
제2 실시 형태의 차량 제어부(125)가 실행하는 로크 접수 처리에 대해, 도 8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의 S41 내지 S47의 처리는, 도 3에 있어서의 S1 내지 S7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일부 간략화하고 있다.
차량 제어부(125)는, S46에서 차 실내에 휴대 단말기(12)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48로 이행한다.
S48에서는, 차량 제어부(125)는, 로크 제어를 행한다. 그 후, 차량 제어부(125)는, S49에서 정기적인 차 실내외 판정의 처리를 개시한 후, 도 8의 처리를 종료한다.
[2-2-2. 차 실내외 판정 처리]
차량 제어부(125)가 실행하는 차 실내외 판정 처리에 대해, 도 9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도 8의 S49에서 개시되어, 일정한 주기로 실행된다.
차량 제어부(125)는, S51에서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112)의 전파를 수신하고, S52에서 각 휴대 단말기(112)가 차실의 내외 중 어느 것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S53에서는, 차량 제어부(125)는, S52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 실내에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112)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휴대 단말기(112)가 차 실내에서 이동한 것을 검출함으로써, 유저에 의해 휴대 단말기(112)가 운반된 것, 즉 휴대 단말기(112)가 사용된 것을 검출한다. 차량 제어부(125)는, 차 실내에 휴대 단말기(112)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54에서, 차량 탑재 장치(111)의 동작 모드를, 언로크 조작이 행해졌을 때 응답하는 응답 모드로 하고, 도 9의 처리를 종료한다. 응답 모드란, 휴대 단말기(112)로부터 허가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어 ECU(23)에 로크 기구(21)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동작 모드이다. 동작 모드는, 플래그를 사용하여 관리되어도 된다.
한편, 차량 제어부(125)는, S53에서 차 실내에 휴대 단말기(112)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55에서, 차량 탑재 장치(111)의 동작 모드를 언로크 조작이 행해졌을 때 응답하지 않는 비응답 모드로 하고, 도 9의 처리를 종료한다. 비응답 모드란, 휴대 단말기(112)로부터 허가 신호를 수신해도, 제어 ECU(23)에 로크 기구(21)의 동작을 실행시키지 않는 동작 모드이다.
또한, S51 내지 S53이 검출부(143)로서의 처리에 상당한다.
[2-2-3. 언로크 접수 처리]
제2 실시 형태의 차량 제어부(125)가 실행하는 언로크 접수 처리에 대해, 도 10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의 S61 내지 S64의 처리는, 도 5에 있어서의 S21 내지 S2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일부 간략화하고 있다.
차량 제어부(125)는, S62에서 언로크 커맨드를 휴대 단말기(112)에 송신한 후, S63에서 응답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64로 이행하고, 소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차량 제어부(125)는, S63에서 응답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S65로 이행한다.
S65에서는, 차량 제어부(125)는, 동작 모드가 응답 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응답 모드가 아니면, 즉 비응답 모드라면, 언로크 제어를 행하지 않고, 도 10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응답 모드라면, S66으로 이행하고, 언로크 제어를 한다. 이 S66의 후, 도 10의 처리를 종료한다.
[2-3. 효과]
이상 상세하게 기술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2a) 차량 제어 시스템(101)에서는, 판정부(42)에 의해 휴대 단말기(12)가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검출부(43)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될 때까지, 로크 제어부(41)가, 언로크 제어를 실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차 실내에 놓인 휴대 단말기(12)를 이용한 제3자의 언로크를 억제하면서, 휴대 단말기(12)의 위치의 잘못된 판정에 기인하는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2b) 차량 제어 시스템(101)에서는, 차량 탑재 장치(111)에 의해 휴대 단말기(112)의 사용을 검출한다. 그 때문에, 휴대 단말기(112)는 제1 실시 형태보다도 간이적인 구성으로 실현 가능하고, 또한, 휴대 단말기(112)의 처리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3.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되어 실시할 수 있다.
(3a)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기로서 스마트 폰의 기능을 갖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한 스마트 시계 등의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나,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지 않는, 일반적인 스마트 키를 휴대 단말기로서 사용해도 된다.
(3b)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판정부(42)는 차량 탑재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판정부는, 휴대 단말기가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의 판정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 장치와 통신할 때의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 장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구하여, 그 거리로부터 차 실내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3c) 본 개시에 기재된 차량 제어부(25), 단말기 제어부(33) 및 차량 제어부(125) 등의 전자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체화된 하나 내지는 복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성함으로써 제공된 전용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혹은, 본 개시에 기재된 상술한 전자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전용 하드웨어 논리 회로에 의해 프로세서를 구성함으로써 제공된 전용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혹은, 본 개시에 기재된 상술한 전자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은, 하나 내지는 복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논리 회로에 의해 구성된 프로세서와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용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으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전이 유형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전자 제어 장치에 포함되는 각 부의 기능을 실현하는 방법에는, 반드시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그 전부의 기능이, 하나 혹은 복수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3d)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하나의 구성 요소가 갖는 복수의 기능을, 복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실현하거나, 하나의 구성 요소가 갖는 하나의 기능을, 복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실현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구성 요소가 갖는 복수의 기능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실현하거나, 복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실현되는 하나의 기능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실현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 부가 또는 치환해도 된다.
(3e) 상술한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 단말기 외에, 당해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구성 요소로 하는 시스템, 당해 차량 탑재 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어느 하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을 기록한 반도체 메모리 등의 비전이적 실태적 기록 매체, 차량의 로크 제어 방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본 개시를 실현할 수도 있다.

Claims (7)

  1. 차량(2)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11, 111)와, 해당 차량 탑재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12, 112)를 구비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1, 101)이며,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로크 및 언로크를 실행하는 로크 기구(21)를 제어하는 로크 제어부(41)이며,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상기 로크 기구에 상기 도어의 언로크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로크 제어부를 구비하고,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차 실내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42)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사용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43, 143)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조건의 충족이 불가능해지도록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고, 또한, 해당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조건의 충족이 가능하도록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제어부(44, 144)를 구비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조작된 것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이동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란, (i)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조작부(22)에 대해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은 것, 및 (ⅱ)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로크 기구에 상기 도어의 언로크를 허가하기 위한 허가 신호를 수신한 것을 적어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4. 차량(2)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11)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12)이며,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로크 및 언로크를 실행하는 로크 기구(21)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로크 제어부(41)와,
    상기 차량의 차 실내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42)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사용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43)와,
    상기 로크 기구에 상기 도어의 언로크를 허가하기 위한 허가 신호를, 소정의 송신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상기 차량 탑재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제어부이며,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될 때까지, 상기 허가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구성된 송신 제어부(44)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조작부(22)에 대해 소정의 입력 조작을 받았을 때,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소정의 조작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송신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요건으로서, 적어도 당해 휴대 단말기가 상기 조작 신호를 수신한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6. 차량(2)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 장치(11, 111)와, 해당 차량 탑재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12, 112)를 구비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1, 101)을 구성하는 차량 탑재 장치이며,
    당해 차량 탑재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로크 및 언로크를 실행하는 로크 기구를 제어하는 로크 제어부이며,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였을 때, 상기 로크 기구에 상기 도어의 언로크를 실행시키도록 구성된 로크 제어부(41)와,
    상기 차량의 차 실내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42)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사용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43, 143)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차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조건의 충족이 불가능해지도록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고, 또한, 해당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조건의 충족이 가능하도록 당해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제어부(44, 144)를 구비하는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 탑재 장치.
  7. 제6항에 기재된 차량 탑재 장치(111)이며,
    상기 차량 탑재 장치는, 상기 검출부(143) 및 상기 시스템 제어부(144)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
KR1020217027974A 2019-03-05 2020-03-05 차량 제어 시스템, 휴대 단말기 및 차량 탑재 장치 KR102620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9555A JP7230590B2 (ja) 2019-03-05 2019-03-05 車両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車載装置
JPJP-P-2019-039555 2019-03-05
PCT/JP2020/009405 WO2020179866A1 (ja) 2019-03-05 2020-03-05 車両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車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338A true KR20210124338A (ko) 2021-10-14
KR102620611B1 KR102620611B1 (ko) 2024-01-03

Family

ID=7233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974A KR102620611B1 (ko) 2019-03-05 2020-03-05 차량 제어 시스템, 휴대 단말기 및 차량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91595B2 (ko)
JP (1) JP7230590B2 (ko)
KR (1) KR102620611B1 (ko)
CN (1) CN113544351B (ko)
DE (1) DE112020001047T5 (ko)
WO (1) WO2020179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2280B2 (ja) * 2020-05-25 2023-11-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076A (ja) * 2010-04-30 2011-12-08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50064910A (ko) * 2013-12-04 2015-06-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5169008A (ja) 2014-03-07 2015-09-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マー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9008A (en) 1987-09-10 1989-03-15 Murata Manufacturing Co Layer-built capacitor
JPH0215A (ja) 1989-02-28 1990-01-05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4488050B2 (ja) * 2007-10-16 2010-06-23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2011256606A (ja) 2010-06-09 2011-12-22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
JP5670659B2 (ja) * 2010-07-01 2015-02-18 美和ロック株式会社 電気錠システム
JP5720501B2 (ja) * 2011-08-29 2015-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携帯端末充電装置
JP5846024B2 (ja) * 2012-04-11 2016-01-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5985941B2 (ja) * 2012-09-18 2016-09-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キー認証装置
US9080878B2 (en) * 2013-02-21 2015-07-14 Apple Inc. Automatic identification of vehicle location
DE102013010984B4 (de) 2013-07-01 2017-11-30 Audi Ag Kraftwagen mit einer Fernstarteinheit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Betriebszustands eines Kraftwagens
US9542844B2 (en) * 2014-02-11 2017-01-10 Google Inc. Providing navigation directions in view of device orientation relative to user
JP6407574B2 (ja) 2014-06-04 2018-10-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マホ機能設定システム
CN104442706B (zh) * 2014-10-31 2017-02-0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JP2018524749A (ja) * 2015-06-12 2018-08-30 フレー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車両共有システム及び方法
US9875591B2 (en) * 2016-04-26 2018-01-23 Ford Global Tech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hone-as-a-key range extension
US9894492B1 (en) * 2016-09-22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obile device location relative to vehicle cabin
JP6757101B2 (ja) 2017-08-23 2020-09-16 秀子 栗原 緩み止め締結構造
EP3696031A4 (en) * 2017-10-11 2021-05-26 Wonki Cho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CONTROL OF A VEHICLE DURING THE DEFENSE AGAINST RSA BY THE USE OF A MOBILE DEVICE
JP6954801B2 (ja) * 2017-10-23 2021-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キーユニットおよび制御システム
US10585431B2 (en) * 2018-01-02 2020-03-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US11068893B2 (en) * 2018-07-20 2021-07-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entralized cloud-based authentication for vehicles and associated transactions
US11789135B2 (en) * 2019-03-29 2023-10-17 Robert Bosch Gmbh Ultra-wideband intelligent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ar states detection
US11402485B2 (en) * 2019-04-30 2022-08-02 Robert Bosch Gmbh Ultra-wideband intelligent sensing system and method
US11420593B2 (en) * 2019-08-07 2022-08-23 Keep Technologies, Inc. Authentication and control for vehicle intrusion devices
KR20210077191A (ko) * 2019-12-17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무선 통신 연결 제어 장치 및 그의 무선 통신 연결 제어 방법
JP7338565B2 (ja) * 2020-06-01 2023-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認証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7076A (ja) * 2010-04-30 2011-12-08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50064910A (ko) * 2013-12-04 2015-06-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5169008A (ja) 2014-03-07 2015-09-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マー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611B1 (ko) 2024-01-03
WO2020179866A1 (ja) 2020-09-10
DE112020001047T5 (de) 2021-12-23
US20210370876A1 (en) 2021-12-02
CN113544351A (zh) 2021-10-22
CN113544351B (zh) 2022-06-03
JP2020143475A (ja) 2020-09-10
US11691595B2 (en) 2023-07-04
JP7230590B2 (ja)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3953B2 (en) Car sharing system
US20200156591A1 (en) Car sharing system and car sharing program
US10425176B2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vehicle-mounted device
CN108292931B (zh) 车载器、便携设备以及车辆用无线通信系统
RU2693421C1 (ru) Терминал,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CN113561938B (zh) 终端、车辆控制系统及车辆控制方法
EP3412521B1 (en) Control system, in-vehicle device and electronic key
US10147250B2 (en) Door unlocking system and door unlocking method
JP2007077640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車両側ユニット及び携帯機
JP6323298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携帯機
WO2015040835A1 (ja) 車両制御装置
US10911953B2 (en) In-vehicle authentication device and portable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US10701523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JP2019041348A (ja) リレーアタック検出装置及びリレーアタック検出方法
KR20210124338A (ko) 차량 제어 시스템, 휴대 단말기 및 차량 탑재 장치
US11699313B2 (en) Smart key storage case for vehicle
CN106965770B (zh) 车辆用锁止解锁系统
JP5717586B2 (ja) 施解錠制御システム、施解錠制御方法及び電波送受体
KR102192457B1 (ko) 차량 탑재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191928B1 (ko) 키 유닛
WO2018116626A1 (ja) 携帯機検出装置及び携帯機検出方法
US11059456B2 (en) In-vehicle authentication device and portable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WO2023228779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プログラム、位置確認装置
JP6697690B2 (ja) 携帯機、車載器、及び車両用無線通信システム
JP2021122104A (ja) 車両の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