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928B1 - 키 유닛 - Google Patents

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928B1
KR102191928B1 KR1020180107699A KR20180107699A KR102191928B1 KR 102191928 B1 KR102191928 B1 KR 102191928B1 KR 1020180107699 A KR1020180107699 A KR 1020180107699A KR 20180107699 A KR20180107699 A KR 20180107699A KR 102191928 B1 KR102191928 B1 KR 10219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key unit
housing
ke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051A (ko
Inventor
야스유키 다마네
츠카사 다카하시
마사키 오시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기가이샤 노무라소고켄큐쇼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기가이샤 노무라소고켄큐쇼,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5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65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passive electr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01Q7/08Ferrite rod or like elongated co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8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 G07C2009/004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starting with prompting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8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f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01Q1/324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particular used in keyless entry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15Non-print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507Involving several components
    • H05K2201/10545Related component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시해정 장치(300)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대상물의 시해정을 행하는 키 유닛(100)이며, 전원 회로와, 상기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제1 주파수대에서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회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 중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가장 높은 부품이,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실장되고, 상기 수신 안테나가, 제2 면에 실장되고, 상기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수용한 경우, 상기 제2 면에 있어서의 기판 표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면에 있어서의 기판 표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된다.

Description

키 유닛 {KEY UNIT}
본 발명은 시해정을 행하는 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해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가 서버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전자 키로서 이용할 수 있는 키 관리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6-118122호). 상기 시스템에서는, 차량이 IC(Integrated Circuit) 태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을 갖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키 정보가 기입된 IC 태그를 사용하여 해정을 행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21278호에는, 차량의 시해정을 원격으로 행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판매되고 있는 차량에는 스마트 키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량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휴대기(전자 키)에 고유의 ID(Identifier)를 제공하고, 통신에 의해 얻어진 ID와, 차량에 사전에 등록된 ID가 일치하는 경우에 도어의 해정이나 엔진의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의한 차량의 시해정을, 차량의 개조를 수반하지 않고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검토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키의 역할을 갖는 키 유닛을 차 내에 설치하고, 무선 통신을 통하여 행한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자 키의 유효/무효를 전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차량을 시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마트 키 시스템은, 차량측으로부터의 폴링에 장파대의 전파를, 차량측으로의 응답 신호의 송신에 극초단파대의 전파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키 시스템을 사용한 키 유닛에 있어서는, 저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는 회로(LF(Low Frequency) 회로)와, 고주파수대의 전파를 송신하는 회로(RF(Radio Frequency) 회로)를 탑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회로나, 전술한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유닛도 필요하게 된다. 즉, 스마트 키 시스템을 사용한 키 유닛을 설계하는 경우, 전술한 회로의 적절한 배치가 요망된다.
본 발명은 부품의 배치를 최적화하는, 대상물의 시해정을 제어하는 키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키 유닛은, 시해정 장치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대상물의 시해정을 행하는 키 유닛이다. 대상물이 차량인 경우, 시해정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고, 도어의 시해정을 제어한다. 전술한 경우, 키 유닛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 내로부터 시해정 장치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신호는, 스마트 키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되는 키 신호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키 유닛은, 전원 회로와, 상기 시해정 장치로부터 제1 주파수대에서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실장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 중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가장 높은 부품이,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실장된다. 상기 수신 안테나가, 상기 제1 면과 반대측의 면인 제2 면에 실장된다. 상기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수용한 경우, 상기 제2 면에 있어서의 기판 표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면에 있어서의 기판 표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된다.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이란,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나 전해 콘덴서 등이다. 전술한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높이가 필요하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하우징의 높이가 증가한다. 한편, 시해정 장치에 새로운 키를 등록하는 경우, 제1 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차량측의 안테나를 근접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과 수신 안테나를 동일 면에 실장한 경우, 수신 안테나와 하우징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수신 안테나와 차량측 안테나의 거리도 길어진다. 즉, 통신을 행할 때의 감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키 유닛에 따르면,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 중 가장 키가 큰 부품과, 수신 안테나를, 기판의 각각 상이한 면에 배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신 안테나가 실장된 면에 있어서의 부품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 안테나를 차량측 안테나에 보다 근접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등록 시에 있어서 양호한 통신 감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키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접지층을 중간에 갖는 복층 기판이어도 된다.
기판의 중간에 접지층을 형성함으로써, 기판의 표면과 이면의 사이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전파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원 회로 등에 있어서 발생한 노이즈가, 수신 안테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통신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키 유닛에 있어서, 상기 시해정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제1 주파수대에서 상기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주파수대보다 높은 주파수대인 제2 주파수대에서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시해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키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시해정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2 주파수대에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더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기설의 스마트 키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시해정을 행하는 형태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키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제1 변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면의 제1 영역에, 상기 전원 회로가 실장되어도 되고, 상기 제1 변에 대향하는 제2 변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면의 제2 영역에, 상기 수신 안테나가 실장되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 상의 영역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나눈 경우, 제1 영역에 전원 회로를, 제2 영역에 수신 안테나를 배치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원 회로와 수신 안테나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에 의한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키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영역에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회로를 추가로 실장해도 되고, 상기 기판은, 추가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인증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구비해도 된다.
수신 안테나는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다른 통신 수단과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역에 통신 회로를 실장함으로써, 수신 안테나와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키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대는 장파대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장파대(30 내지 300kHz)의 전파에 의해 리퀘스트(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시스템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키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에는, 플러그 커넥터 및 전해 콘덴서가 포함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키 유닛은, 시해정 장치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대상물의 시해정을 행하는 키 유닛이며, 상기 시해정 장치로부터 제1 주파수대에서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회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수용한 경우, 상기 기판의 표면 및 이면 중,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보다 가까워지는 측의 면에 상기 수신 안테나가 실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키 유닛은, 시해정 장치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대상물의 시해정을 행하는 키 유닛이며, 전원 회로와, 상기 시해정 장치로부터 제1 주파수대에서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실장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 중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가장 높은 부품이,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실장된다. 상기 수신 안테나가, 상기 제1 면과 반대측의 면인 제2 면에 실장된다. 상기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수용한 경우, 상기 제2 면에 실장된 상기 수신 안테나의 기판측 면과 반대의 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면에 실장된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가장 높은 부품의 기판면측과 반대의 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상기 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키 유닛으로서 특정할 수 있다. 상기 키 유닛을 포함하는 시해정 시스템으로서 특정할 수도 있다. 상기 처리나 수단은, 기술적인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도에 있어서, 자유롭게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대상물의 시해정을 제어하는 키 유닛에 있어서, 부품의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그리고 기술적 및 산업적 중요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며,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시해정 시스템의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 2는, 시해정 시스템이 갖는 구성 요소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대조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의 예이다.
도 4는, 제어부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의 예이다.
도 5는, 키 유닛의 셋업 흐름도이다.
도 6은, 각 구성 요소간에 있어서의 데이터 및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7a는, 키 유닛의 각 구성 요소를 실장한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키 유닛의 각 구성 요소를 실장한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하우징에 수납한 기판을 X축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관한 기판을 X축 방향으로부터 관찰한 단면도이다.
(시스템 개요)
실시 형태에 관한 시해정 시스템의 개요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해정 시스템은, 차량(10)에 탑재된 키 유닛(100) 및 시해정 장치(300), 휴대 단말기(200), 서버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해정 시스템에서는, 키 유닛(100)이, 스마트 키의 전자 키(휴대기)와 마찬가지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으며, 기설의 시해정 장치(300)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물리적인 키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시해정을 행할 수 있다. 키 유닛(100)은, 휴대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여, 휴대 단말기(200)를 인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키 유닛(100)이 차량(10)의 전자 키로서 역할을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시스템의 유저는, 차량(10)의 외부로부터 휴대 단말기(200)를 조작함으로써, 차량의 시해정을 행할 수 있다.
(시스템 구성)
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키 유닛(100), 휴대 단말기(200), 시해정 장치(300), 서버 장치(400)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키 유닛(100) 및 시해정 장치(300)가, 시해정(시정 및 해정)의 대상인 차량(10)에 탑재된다.
시해정 장치(300)는, 차량의 도어를 시정 및 해정하기 위한 장치이며, 스마트 키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설의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유저가 소지하는 전자 키(이하, 휴대기라고 칭함)로부터, 고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고 칭함)대의 전파를 통하여 송신되는 시정 신호 및 해정 신호에 따라, 차량(10)의 도어를 시정 및 해정한다. 휴대기를 검색하기 위한, 저주파수(Low Frequency, 이하, LF라고 칭함)대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가 소지하는 휴대기 대신에, 키 유닛(100)이 RF대 및 LF대의 전파를 송수신함으로써, 차량의 도어의 시해정을 제어한다. 이후, 언급하지 않는 한, 시해정 장치(300)의 통신처를 키 유닛(100)에 한정하여 설명을 행한다.
시해정 장치(300)는, LF 송신기(301), RF 수신기(302), 대조 ECU(303), 보디 ECU(304), 도어록 모터(3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해정 장치(300)는, 차량(10)에 탑재되는 도시하지 않은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한다.
LF 송신기(301)는, 키 유닛(100)을 검색(폴링)하기 위한 저주파수대(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주파수대. 예를 들어, 100KHz 내지 300)KHz)의 전파를 송신하는 수단이다. LF 송신기(301)는, 예를 들어 차실 내의 센터 콘솔이나 스티어링 휠의 근방에 내장된다.
RF 수신기(302)는, 키 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된 고주파수대(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주파수대. 예를 들어, 100MHz 내지 1GHz)의 전파를 수신하는 수단이다. RF 수신기(302)는, 차실 내의 어느 장소에 내장된다.
대조 ECU(303)는, 키 유닛(100)으로부터 RF대의 전파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시정 신호 또는 해정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도어를 시정 및 해정하는 제어를 행하는 컴퓨터이다. 대조 ECU(303)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시정 신호와 해정 신호를 시해정 신호라고 총칭한다. 시해정 신호라고 하는 단어는, 시정 신호와 해정 신호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나타낸다.
대조 ECU(303)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을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각 기능 모듈은, ROM(Read Only Memory) 등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Central Processing Unit)(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LF 송신 처리부(3031)는, LF 송신기(301)를 통하여, LF대의 전파로서 폴링 신호(본 발명에 있어서의 리퀘스트 신호)를 차실 내에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RF 수신 처리부(3032)는, RF 수신기(302)를 통하여, 키 유닛(100)으로부터 RF대의 전파로서 송신된 시해정 신호(본 발명에 있어서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인증부(3033)는, 키 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된 시해정 신호가, 정당한 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임을 인증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해정 신호에 포함되는 키 ID가, 대조 ECU(303)가 갖는 기억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미리 기억된 키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키 제어부(3034)는, 인증부(3033)가 행한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보디 ECU(304)에 해정 명령 또는 시정 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신호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차 내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된다.
보디 ECU(304)는, 차량의 보디 제어를 행하는 컴퓨터이다. 보디 ECU(304)는, 수신한 해정 명령 또는 시정 명령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도어록 모터(115)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도어의 해정 및 시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보디 ECU(304)는, 파워 윈도우 제어, 시트 조절, 도난 방지, 시트 벨트 제어, 헤드라이트 제어 등, 차체에 관련된 요소의 제어를 행하는 기능을 더 가져도 된다.
도어록 모터(305)는, 차량(10)의 도어(승강용 도어나 리어 게이트 외에, 트렁크도 포함함)를 시정 및 해정하는 액추에이터이다. 도어록 모터(305)는, 보디 ECU(304)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키 제어부(3034)는, 해정 명령 또는 시정 명령 대신에, 인증에 성공한 것의 정보만을 보디 ECU(304)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유저에 의한 액션(예를 들어, 해정 버튼의 누름, 도어 노브로의 터치 등)을 트리거로 하여, 시정 또는 해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키 유닛(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키 유닛(100)은, 차량(10)의 내부에 배치된 장치이며, 휴대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200)를 인증하는 기능과, 휴대 단말기(200)를 인증한 결과에 기초하여, RF대의 전파를 사용하여 시해정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키 유닛(100)은, LF 수신기(101), RF 송신기(102), 근거리 통신부(103), 제어부(104)를 갖고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키 유닛(100)은, 차실 내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어, 글로브 박스 내)에 배치되고, 차량(10)에 탑재되는 도시하지 않은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한다.
LF 수신기(101)는,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LF대의 전파를 통하여 송신된 폴링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이다. LF 수신기(101)는, LF대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하, LF 안테나라고 칭함)를 갖고 있다.
RF 송신기(102)는, RF대의 전파를 통하여, 키 유닛(100)에 대하여 시해정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이다.
근거리 통신부(103)는, 유저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200)와 통신을 행하는 수단이다. 근거리 통신부(103)는, 소정의 무선 통신 규격을 사용하여, 근거리(차실 내와 차실 외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을 정도)에 있어서의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근거리 통신부(103)는, Bluetooth(등록 상표) Low Energy 규격(이하, BLE라고 칭함)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BLE란, Bluetooth에 의한 저전력 통신 규격이며, 기기끼리의 페어링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대를 검지함으로써 바로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BLE를 예시하지만, 다른 무선 통신 규격도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UWB(Ultra Wide Band), WiFi(Wireless Fidelity)(등록 상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04)는, 근거리 통신부(103)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여, 휴대 단말기(200)를 인증하는 제어와,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시해정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컴퓨터이다. 제어부(104)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104)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을,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각 기능 모듈은, 기억 수단(ROM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LF 수신 처리부(1041)는, LF 수신기(101)를 통하여,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LF대의 전파로서 송신된 폴링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RF 송신 처리부(1042)는, RF 송신기(102)를 통하여, RF대의 전파로서 시해정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를 행한다. 시해정 신호는, 후술하는 인증부(1044)가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을 성공시킨 경우에, 후술하는 통신 처리부(1043)에 의해 생성된다.
통신 처리부(1043)는, 근거리 통신부(103)를 통하여 행하는 휴대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시정 요구 또는 해정 요구(이하, 시해정 요구라고 총칭함)를 수신하고, 수신한 요구에 따라 시해정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시해정 신호는, 일시적으로 기억되며, 후술하는 인증부(1044)가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에 성공한 타이밍에 출력된다.
인증부(1044)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시해정 요구에 포함되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인증 정보와,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양쪽의 인증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인증 성공이라고 판단한다. 양쪽의 인증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증 실패라고 판단한다. 인증부(1044)가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통신 처리부(1043)가 생성한 시해정 신호가, RF 송신 처리부(1042)에 출력되고, 시해정 장치(300)에 무선 송신된다. 인증부(1044)가 행하는 인증의 방식은, 인증 정보끼리를 단순하게 비교하여 동일성을 검증하는 방식이어도 되고, 비대칭 암호를 사용한 방식이어도 된다. 이후, 설명의 필요에 따라, 키 유닛(100)에 기억되는 인증 정보를 장치 인증 정보,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인증 정보를 단말기 인증 정보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증부(1044)가 시해정 신호의 송신 트리거를 생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인증부(1044)가, 인증 상황에 기초하여 키 유닛(100)의 전원을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이 행해지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는, 통신 처리부(1043) 및 인증부(1044)를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를 서스펜드 상태로 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예를 들어, 송신한 시해정 신호에 대한 리스펀스가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있을 때까지), 모든 구성 요소를 통전 상태로 하도록 해도 된다.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시해정 신호를 송신한다면, 인증의 실현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키 유닛(100)은, 시해정 신호와 함께, 전자 키의 ID(이하, 키 ID라고 칭함)를 동시에 시해정 장치(300)에 송신한다. 키 ID는, 평문의 상태로 미리 키 유닛(100)에 기억되어 있어도 되고, 휴대 단말기(200)에 고유한 암호에 의해 암호화된 상태로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키 ID가 암호화된 상태로 기억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인증 정보에 의해 암호화된 키 ID를 복호하고, 본래의 키 ID를 얻도록 해도 된다.
휴대 단말기(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 전화, 태블릿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 웨어러블 컴퓨터(스마트 워치 등)와 같은 소형의 컴퓨터이다. 휴대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부(201), 통신부(202), 제어부(203), 입출력부(204)를 갖고 구성된다.
근거리 통신부(201)는, 근거리 통신부(103)와 동일한 통신 규격에 의해, 키 유닛(100)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수단이다. 통신부(202)는, 휴대 단말기(200)를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G(Third Generation)나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경유로 다른 장치(예를 들어, 서버 장치(400))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203)는, 휴대 단말기(200)의 제어를 담당하는 컴퓨터이다. 제어부(203)는, 예를 들어 시해정 요구를 생성하는 처리, 전술한 단말기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 시해정 요구 및 단말기 인증 정보를 키 유닛(100)에 송신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제어부(203)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203)는, 기억 수단(ROM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모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 등의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제어부(203)는, 입출력부(204)를 통하여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행한다. 입출력부(204)는, 유저가 행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여, 유저에 대하여 정보를 제시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널과 터치 패널의 제어 수단, 액정 디스플레이와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다. 터치 패널 및 액정 디스플레이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03)는, 입출력부(204)에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가 행한 조작에 기초하여, 해정 요구 또는 시정 요구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해정을 행하기 위한 아이콘, 시정을 행하기 위한 아이콘 등을 출력하고,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에 기초하여, 해정 요구 내지 시정 요구를 생성한다. 유저가 행하는 조작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통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스위치 등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제어부(203)는, 단말기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기 인증 정보는, 서버 장치(400)에 있어서 생성되고, 통신부(202)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00)에 전송된다. 휴대 단말기(200)가 단말기 인증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조작 화면으로부터의 시정 조작 및 해정 조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200)가 취득하는 단말기 인증 정보는, 불변의 키여도 되고, 원타임 키여도 된다. 어느 경우든, 단말기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인증 정보가, 키 유닛(100)에 사전에 기억된다.
(시해정 장치의 개요)
시스템의 상세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기설의 시해정 장치(300)가 행하는 동작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해정 장치(300)는, 통상의 스마트 키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이며, 유저가 소지하는 휴대기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휴대기가 차량의 근방 혹은 차실 내에 있음을 검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키 유닛(100)이 휴대기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조 ECU(303)가, LF 송신기(301)를 통하여 일정한 주기로 폴링 신호를 차 내외로 송신하고, 상기 폴링 신호에 응답하여 키 유닛(100)이 송신한 회신 신호를 수신한다. 회신 신호에는, 키 유닛(100)에 고유한 키 ID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대조 ECU(303)에는, 등록된 키 유닛(100)의 키 ID가 기억되어 있으며, 대조 ECU(303)는, 수신한 키 ID와, 기억된 키 ID를 사용하여 키 유닛(100)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 키 유닛(100)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인증에 성공하였음을 보디 ECU(304)에 통지하고, 전술한 바에 의해, 차량에 소정의 동작(예를 들어, 도어의 해정, 이모빌라이저의 해제 등)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키 유닛(100)의 키 ID를 시해정 장치(300)에 등록하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작업은, 차량의 제조자 또는 오너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상기 작업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서, 시해정 장치(300)가, 신규 키 ID를 등록하는 모드로의 전환을 행한다. 이때, 시해정 장치(300)는, 이미 등록되어 있는 휴대기(즉, 이미 기억되어 있는 키 ID를 갖는 휴대기)와의 통신을 요구해도 된다. 전술에 의해, 등록 작업을 행하고 있는 사람이 정당한 차량의 오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스텝 S2에서, 유저가, 키 유닛(100)의 LF 안테나를, 시해정 장치(300)가 갖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 코일(전형적으로는 차량의 푸시 스타트 스위치 부근에 내장됨)에 근접 내지 대략 접촉시킨다. 전술에 의해, 전자기 유도에 의해 안테나 코일로부터 키 유닛(100)에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전력을 사용하여, 키 유닛(100)이 키 ID를 송신한다(스텝 S3). 상기 동작은, 자동차용 스마트 키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측에 키 ID를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알려져 있다(일반적으로 트랜스폰더 통신이라고 불림). 송신된 키 ID는, 시해정 장치(300)에 의해 수신되고, 유효한 키 ID로서 등록된다(스텝 S4). 즉, 시해정 장치와 키 유닛의 관련짓기가 행해진다.
이상, 시해정 장치(300)와 키 유닛(100)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통신 및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해정 시스템에서는, 차량 내에 설치된 키 유닛(100)이 휴대기 대신에 키 ID를 시해정 장치(300)에 송신함으로써, 휴대기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시해정이 가능하게 된다.
(시스템의 동작)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해정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각 구성 요소간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 및 각 구성 요소가 행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스텝 S11에서, 휴대 단말기(200)가, 서버 장치(400)에 대하여 단말기 인증 정보의 발행을 요구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단말기 인증 정보는, 시해정 장치(300)가 키 유닛(100)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가 아니라, 키 유닛(100)이 휴대 단말기(200)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이다. 휴대 단말기(200)가, 단말기를 식별하는 정보를 서버 장치(400)에 송신하면, 서버 장치(400)가, 휴대 단말기(200)에 고유한 단말기 인증 정보를 취득하고(스텝 S12), 취득한 단말기 인증 정보를 휴대 단말기(200)에 송신한다(스텝 S13). 전술에 의해, 휴대 단말기(200) 상에 있어서, 차량(10)을 해정하는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스텝 S11 내지 S13의 처리는, 시해정을 행하기 위한 준비 처리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전에 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21 내지 S24는, 휴대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차량(10)을 해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휴대 단말기(200)의 유저가, 입출력부(204)를 통하여 차량(10)을 해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스텝 S21에서, 휴대 단말기(200)가, 서버 장치(400)에 대하여 해정 요구 및 단말기 인증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S22에서, 키 유닛(100)이,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인증 정보와, 사전에 기억된 장치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인증에 성공한 경우, 스텝 S23에서, 키 유닛(100)이, 시해정 장치(300)에 대하여 해정 신호 및 키 ID를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S24에서, 시해정 장치(300)가, 수신한 키 ID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 결과, 인증에 성공한 경우, 차량(10)의 도어가 해정된다. 이때, 앤서 백 등을 행해도 된다.
스텝 S31 내지 S36은, 휴대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차량(10)을 시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휴대 단말기(200)의 유저가, 터치 패널 스크린을 통하여 차량(10)을 시정하는 조작을 행하면, 스텝 S31에서, 휴대 단말기(200)가, 서버 장치(400)에 대하여 시정 요구 및 단말기 인증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S32에서, 키 유닛(100)이,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단말기 인증 정보와, 사전에 기억된 장치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인증에 성공한 경우, 스텝 S33에서, 키 유닛(100)이, 시해정 장치(300)에 대하여 시정 신호 및 키 ID를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S34에서, 시해정 장치(300)가, 수신한 키 ID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 결과, 인증에 성공한 경우, 차량(10)의 도어가 시정된다.
키 유닛(100)은, 시정 신호를 송신한 후에, 휴대 단말기(200)에 대하여 시정이 완료되었다는 통지(시정 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35). 전술에 의해, 휴대 단말기(200)의 터치 패널 스크린 상에, 시정이 완료되었다는 통지가 출력된다. 인증 정보가 원타임 키인 경우, 스텝 S35의 타이밍에 원타임 키를 무효화해도 된다. 휴대 단말기(200)는, 시스템의 이용이 종료되었다는 통지를 생성하고, 서버 장치(400)에 송신한다(스텝 S36).
키 유닛(100)의 설계상의 과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 유닛(100)은, 차량이 갖는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따라서, LF 수신기(101), RF 송신기(102), 근거리 통신부(103), 제어부(104)에 소정 전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제1 문제는, 부품의 배치에 기인하는 통신 불량이다. 키 유닛(100)을 시해정 장치(300)에 등록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기와 마찬가지로 LF 안테나를 시해정 장치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키 유닛(100)이 갖는 전원 회로에는, 전원 커넥터, 전해 콘덴서 등의 비교적 키가 높은 부품이 모여 배치되기 때문에, 상술한 부품이 배치된 기판을 하우징 내에 수용하는 경우, 기판에서부터 하우징까지의 거리가, 부품의 높이에 따라 길어진다. 그 때문에, 기판면을 시해정 장치(300)를 향하여 통신을 행하는 경우, 부품의 키가 높으면 높을수록, LF 안테나와 시해정 장치(300)의 거리가 길어진다. 전술에 의해, 양호한 통신을 행하기 위해 필요한 거리를 초과해 버려, 통신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제2 문제는, 회로에 있어서 발생한 노이즈가, LF 수신기(101)로 돌아 들어감으로써 발생하는 통신 불량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LF 수신기(101)는 장파대의 전파를 수신하기 때문에, 특히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다. 노이즈는, 전형적으로는 전원 회로로부터 발생하는 것 이외에, 근거리 통신부(103)로부터도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노이즈가 혼입되면, 폴링 신호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키 유닛(100)은, 저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는 LF 안테나를, 기판 상의,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이 실장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실장한다. 도 7a 및 도 7b는, 키 유닛(100)의 각 구성 요소를 실장한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7a가 기판의 표면을 도시하고, 도 7b가 기판의 이면을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 제어부(104)인 마이크로 컴퓨터, 근거리 통신부(103)인 IC가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고, LF 수신기(101)(구체적으로는 LF 안테나. 이후, LF 안테나(101A)로서 도시함)가 기판의 이면에 실장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있어서, 기판은 반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면에 실장된 부품을 도 7a에 있어서도 시인할 수 있고, 표면에 실장된 부품을 도 7b에 있어서도 시인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LF 안테나(101A)를 기판의 이면에 배치함으로써, 키 유닛(100)의 등록 작업에 있어서의 통신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하우징에 수납한 기판을 X축 정방향으로부터 관찰한 단면도이다. 기판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의 하우징에 수납된다.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판의 표면에는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 표면에서부터 하우징 내면까지의 거리 H1을 길게 취해야만 한다. 한편, 기판의 이면에는, 키가 높은 부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LF 안테나(101A)를 기판의 이면에 배치함으로써, 기판 표면에서부터 하우징 내면까지의 거리(H2)를 짧게 할 수 있다(H2<H1). 즉, LF 안테나(101A)에서부터 하우징 표면까지의 거리를 보다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키 유닛(100)의 등록 시에 있어서, LF 안테나(101A)를 시해정 장치(300)에 보다 근접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에 의해, 등록 작업에 있어서의 통신 상태를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도 8의 LF 안테나(101A)의 상부에서부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의 상부에서부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은, 중간에 접지층을 포함하는 복층 기판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부품으로부터 발생한 노이즈가, 기판의 이면에 실장된 부품에 끼치는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즉, 전원 회로나 근거리 통신부(103)에 있어서 발생한 노이즈가, LF 수신기(101)에 끼치는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기판의 중간에 접지층을 마련함으로써, 노이즈를 보다 좋게 저감할 수 있지만, 전술 이외의 구성이라도, LF 안테나(101A)를 노이즈원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노이즈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의 제1 변(부호(701))을 포함하는 제1 영역(702)에,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과 근거리 통신부를 배치하고, 제1 변에 대향하는 제2 변(부호(703))을 포함하는 제2 영역(704)에 LF 안테나(101A)를 배치하고 있다. 전술에 의해, 전원 회로와 LF 안테나(101A)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LF대의 통신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한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차량에 탑재된 시해정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키 유닛과 조합하여 이용되는 시해정 장치는, 차량 이외의 시설이나 건물에 탑재된 것이어도 된다. 도 8에서 예시한 하우징은 플라스틱제를 상정하고 있지만, 하우징의 어느 면을 금속에 의해 구성하고, 접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LF 송신기(301)가 갖는 안테나와 키 유닛(100)이 갖는 LF 안테나(101A)의 위치 관계, 또는 LF 안테나(101A)의 지향성에 따라, 적절한 소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200)를 예시하였지만, 휴대 단말기(200)는, 인증 정보를 유지하고, 키 유닛(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면, 반드시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 장치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비접촉 IC 카드나 그 밖의 장치여도 된다.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키 유닛(100)이 차량의 시해정만을 행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키 유닛(100)에 의해 시해정 이외의 동작을 행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키 유닛(100)이, 엔진을 관리하는 제어 장치에 대하여 통신을 행함으로써, 차량의 엔진 시동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유저가 소지하는 종래형의 휴대기(전자 키)를 휴대 단말기로 치환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LF대의 전파를 통하여 송신된 폴링 신호를 키 유닛(100)이 수신한다고 설명하였지만, 시해정 신호는 반드시 폴링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폴링 신호에 응답하여 키 ID를 송신함으로써, 유효한 전자 키가 차 내에 있다면 시해정 장치(300)에 인식시킬 수 있지만, 간단히 RF대의 전파를 통하여 시해정 신호를 송신하는 것만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차량 탑재된 스마트 키 시스템을 이용하여 키 유닛(100)이 시해정을 제어하였지만, 무선 통신에 의해 시해정을 행할 수 있다면, 키 유닛(100)의 통신처로 되는 시해정 장치는 스마트 키 이외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등을 이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이 기판의 일측면에 실장되어 있고, LF 안테나(101A)가 기판의 반대측면에 실장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LF 안테나(101A) 상부에서부터 하우징까지의 거리를,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의 상부에서부터 하우징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할 수 있다면, 반드시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전술한 구성 요소를 기판의 표면에 실장한 후, LF 안테나(101A)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하우징의 높이를 낮게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LF 안테나(101A)에서부터 하우징 내면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하우징을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기판측에 단차 등(Z축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LF 안테나(101A) 자체의 부피를 증대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LF 안테나(101A) 상부에서부터 하우징까지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Claims (10)

  1. 시해정 장치(300)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대상물의 시해정을 행하는 키 유닛(100)이며,
    전원 회로와, 상기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제1 주파수대에서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를 LF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실장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 중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가장 높은 부품이,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실장되고,
    상기 LF 수신 안테나가, 상기 제1 면과 반대측의 면인 제2 면에 실장되고,
    상기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수용한 경우, 상기 제2 면에 있어서의 기판 표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면에 있어서의 기판 표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되고,
    상기 제1 주파수대는 장파대인, 키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접지층을 중간에 갖는 복층 기판인, 키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해정 장치(300)는, 차량(10)에 탑재되고, 상기 제1 주파수대에서 상기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주파수대보다 높은 주파수대인 제2 주파수대에서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차량(10)의 시해정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키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시해정 장치(300)에 대하여, 상기 제2 주파수대에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를 더 포함하는, 키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제1 변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면의 제1 영역에, 상기 전원 회로가 실장되고, 상기 제1 변에 대향하는 제2 변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면의 제2 영역에, 상기 LF 수신 안테나가 실장되는, 키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영역에 휴대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회로를 더 실장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인증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키 유닛.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에는 플러그 커넥터 및 전해 콘덴서가 포함되는, 키 유닛.
  9. 시해정 장치(300)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대상물의 시해정을 행하는 키 유닛(100)이며,
    상기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제1 주파수대에서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를, LF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회로가 실장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수용한 경우, 상기 기판의 표면 및 이면 중,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보다 가까워지는 측의 면에 상기 LF 수신 안테나가 실장되고,
    상기 제1 주파수대는 장파대인, 키 유닛.
  10. 시해정 장치(300)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대상물의 시해정을 행하는 키 유닛(100)이며,
    전원 회로와, 상기 시해정 장치(300)로부터 제1 주파수대에서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를 LF 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 회로를 실장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회로에 부수되는 부품 중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가장 높은 부품이,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실장되고,
    상기 LF 수신 안테나가, 상기 제1 면과 반대측의 면인 제2 면에 실장되고,
    상기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수용한 경우, 상기 제2 면에 실장된 상기 LF 수신 안테나의 기판면측과 반대의 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면에 실장된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가장 높은 부품의 기판면측과 반대의 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되고,
    상기 제1 주파수대는 장파대인, 키 유닛.
KR1020180107699A 2017-10-23 2018-09-10 키 유닛 KR102191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4741 2017-10-23
JP2017204741A JP6871130B2 (ja) 2017-10-23 2017-10-23 キー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051A KR20190045051A (ko) 2019-05-02
KR102191928B1 true KR102191928B1 (ko) 2020-12-17

Family

ID=6351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699A KR102191928B1 (ko) 2017-10-23 2018-09-10 키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94526B2 (ko)
EP (1) EP3474238B1 (ko)
JP (1) JP6871130B2 (ko)
KR (1) KR102191928B1 (ko)
CN (1) CN109695376B (ko)
BR (1) BR102018071432A2 (ko)
RU (1) RU2690761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7389A (ja) * 2020-06-03 2021-12-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筐体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21188446A (ja) * 2020-06-03 2021-12-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筐体装置および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7295A1 (en) * 2001-12-26 2003-06-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emote control system for on-vehicle equipment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30341414A1 (en) * 2010-12-20 2013-12-26 Huf Hulsbeck & Furst Gmbh & Co. Compact id transmitter comprising an nfc communications option for a motor vehicle access system
US20140176301A1 (en) * 2012-12-20 2014-06-26 Lear Corporation Remote Function Fob for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Device and Method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311B1 (en) * 1998-03-02 2001-01-23 Western Multiple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high frequency signals in a printed circuit board
US7076296B2 (en) * 2000-09-18 2006-07-11 Cameron Health, Inc. Method of supplying energy to subcutaneous cardioverter-defibrillator and pacer
JP3835427B2 (ja) * 2003-04-10 2006-10-18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送信機
JP2006118122A (ja) * 2004-10-19 2006-05-11 Honda Motor Co Ltd 鍵管理システム
JP4631388B2 (ja) * 2004-10-20 2011-0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CN101189405B (zh) * 2005-05-31 2012-02-01 三洋电机株式会社 电子式钥匙系统及使用其的二轮机动车
JP2008114669A (ja) * 2006-11-02 2008-05-22 Calsonic Kansei Corp 車用キーレス装置
JP4946587B2 (ja) * 2007-04-17 2012-06-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機
US20090160607A1 (en) * 2007-12-21 2009-06-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key fob having a communications circuit
JP2009194796A (ja) * 2008-02-18 2009-08-27 Panasonic Corp 携帯機
JP5217523B2 (ja) * 2008-03-07 2013-06-1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JP5375158B2 (ja) * 2009-02-16 2013-12-25 株式会社デンソー 送受信機、及び該送受信機を有する電子キー
JP5607503B2 (ja) * 2010-11-09 2014-10-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EP2466554B1 (de) * 2010-12-15 2018-04-0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biler ID-Geber für Keyless-Systeme
DE102011002128B4 (de) * 2011-04-18 2021-07-1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ID-Geber für ein Kraftfahrzeug-Zugangssystem mit einer abnehmbaren NFC-Baugruppe
CN103886657A (zh) * 2012-12-20 2014-06-25 李尔公司 启用车辆和设备之间通信的遥控功能智能钥匙及其方法
JP6425002B2 (ja) * 2013-10-30 2018-11-21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無線キー
KR101636298B1 (ko) * 2014-07-10 2016-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Mid 적용 안테나를 구비한 스마트키
JP6451441B2 (ja) * 2015-03-25 2019-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ユーザ識別システム、車両用携帯機
JP2017172145A (ja) * 2016-03-22 2017-09-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7295A1 (en) * 2001-12-26 2003-06-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emote control system for on-vehicle equipment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30341414A1 (en) * 2010-12-20 2013-12-26 Huf Hulsbeck & Furst Gmbh & Co. Compact id transmitter comprising an nfc communications option for a motor vehicle access system
US20140176301A1 (en) * 2012-12-20 2014-06-26 Lear Corporation Remote Function Fob for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Device and Method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71130B2 (ja) 2021-05-12
EP3474238B1 (en) 2021-06-09
EP3474238A1 (en) 2019-04-24
CN109695376B (zh) 2021-07-09
US20190118769A1 (en) 2019-04-25
CN109695376A (zh) 2019-04-30
US10894526B2 (en) 2021-01-19
RU2690761C1 (ru) 2019-06-05
BR102018071432A2 (pt) 2019-06-04
JP2019078038A (ja) 2019-05-23
KR20190045051A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3953B2 (en) Car sharing system
US11029840B2 (en) Vehicle manipulation device, vehicle system, vehicle manipul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71406B1 (ko) 차량 탑재 장치 및 인증 시스템
CN110021097B (zh) 加锁和解锁系统
WO2017104352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
CN109961543B (zh) 声音输出装置、声音输出控制方法、车辆及上锁解锁系统
US10706650B2 (en) Key unit,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US10703335B2 (en) Key unit and vehicle having key unit
US20190355198A1 (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suance apparatu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suance method, and delivery system
KR102191928B1 (ko) 키 유닛
US20130208890A1 (en) Key with remote control,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and arrangement with such a key
CN109693641B (zh) 无线通信系统
US10607429B2 (en) Onboard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10530501B2 (en) Key unit, locking/unlock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JP5229046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2108296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