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690A -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 Google Patents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690A
KR20210123690A KR1020200041155A KR20200041155A KR20210123690A KR 20210123690 A KR20210123690 A KR 20210123690A KR 1020200041155 A KR1020200041155 A KR 1020200041155A KR 20200041155 A KR20200041155 A KR 20200041155A KR 20210123690 A KR20210123690 A KR 20210123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evice
circuit breaker
cradle
bar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582B1 (ko
Inventor
김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04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582B1/ko
Priority to CN202180025687.2A priority patent/CN115380443A/zh
Priority to US17/916,705 priority patent/US20230154696A1/en
Priority to EP21779908.9A priority patent/EP4131679A4/en
Priority to PCT/KR2021/003866 priority patent/WO2021201536A1/ko
Priority to JP2022558205A priority patent/JP7458500B2/ja
Publication of KR20210123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10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 of gear;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02B1/0523Mounting on rails locked into position by a sliding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for a door switch, a limit switch, a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Breaker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 관한 것으로 후방 측에 크래들 단자가 형성되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 단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 및 상기 차단기 내부에 장착되어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위치 검출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Power Equipment For Detecting In-Out Position Continuously}
본 발명은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래들 내에서 이동하는 차단기 본체의 정확한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기기라 함은 전력을 수전, 송전 변환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력기기는 차단기 등이 크래들 내부에서 이동함에 단자들이 접속 및 분리되는 장치들이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전력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기기는 외부 전원 또는 부하 측 전력선로를 연결하는 크래들 단자(110)가 형성되며 배전반에 고정되는 크래들(100)과 상기 크래들(100)의 단자 부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 본체(200) 및 상기 차단기 본체(200)를 접속 또는 분리되는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이송장치인 거더(300)와 트럭(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위치라 함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최대로 접근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분리 위치라 함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과 최대로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 위치를 의미한다.
한편, 시험 위치라 함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분리 위치로 변경되거나,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접속 위치로 변경되는 과정의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에서 상기 분리 위치와 접속 위치에 따른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의 a, b, c는 각각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분리, 시험, 접속 위치에 따른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상기 거더(300)는 전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바(310)와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리브(320)와 전면 중앙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핀들(330)과 상기 스핀들(3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위치 작동바(3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럭(400)은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휠(410)과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에 의하여 작동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스위치(4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330)이 회전함에 따라,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0)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즉, 상기 스핀들(330)을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킴에 따라, 상기 트럭(400)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과의 간격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는 상기 트럭(400)의 이동 범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오목홈부(341)와 상기 오목홈부(341)의 일단 측에 형성되는 후단 경사부(342) 및 상기 오목홈부(341)와 상기 후단 경사부(342)를 제외한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평면부(3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20)는 제 1 내지 제 3마이크로 스위치(421, 422, 423)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 1마이크로 스위치(421)는 하측에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 1접촉레버(421a)를 포함하여 상기 거더(300) 측에 최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마이크로 스위치(422)는 하측에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 2접촉레버(422a)를 포함하여 상기 제 1마이크로 스위치(421)의 후단 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마이크로 스위치(423)는 하측에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 3접촉레버(423a)를 포함하여 상기 제 트럭(400)의 후단 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상기 트럭(300)에 의하여 상기 크래들(100)의 단자(110) 측과 상기 차단기 본체(200)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와 같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기기의 분리 위치에서 상기 트럭(400)과 상기 거더(300)의 간격은 최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200)와 상기 크래들 단자(110)의 거리는 최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접촉레버(421a)는 상기 상부 평면부(343)에 접촉되며, 상기 제 2접촉레버(422a)와 상기 제 3접촉레버(423a)는 각각 상기 오목홈부(341)에 접촉된다.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기기의 시험 위치에서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거리가 이격됨에 따라, 제 1접촉레버(421a)와 상기 제 2접촉레버(422a)는 각각 상기 오목홈부(341)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 3접촉레버(423a)는 상기 후단 경사부(342)를 거쳐 상기 상부 평면부(343)에 접촉된다.
또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력기기의 접속 위치에서 상기 트럭(400)과 상기 거더(300)의 간격은 최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200)는 상기 크래들 단자(11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접촉레버(421a)는 상기 오목홈부(341)에 접촉되며, 상기 제 2접촉레버(422a)는 상기 후단 경사부(342)를 거쳐 상기 상부 평면부(343)에 접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력기기는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가 상기 거더(30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트럭(400)과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트럭(400)에 고정 설치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스위치(420)를 물리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력기기는 분리, 시험, 접속 위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지만 시험 위치 간에 상기 차단기 본체(200)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사이의 변경되는 거리는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전력기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연속적으로감지 및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력기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 검출을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20)와 상기 스위치 작동바(340)의 물리적 접촉이 연속적으로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2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결합부 측에 변형이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력기기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2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결합부 측에 변형이나 파손으로 인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구간 전체에 걸쳐 차단기의 정확한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래들 단자가 형성되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 단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단기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위치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검출수단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이동 범위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포지션 감지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의 전방 측에 고정 설치되는 거더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크래들의 후방 측에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포지션바 및 상기 차단기 본체가 적재되고 상기 포지션바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내부에서 상기 거더로부터 상기 크래들 단자 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트럭과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에 대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트럭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는 상기 포지션바의 길이 방향으로 음영이 변화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포지션 스티커와 상기 포지션바의 길이 방향으로 일단이 하향 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포지션 경사부 및 상기 포지션바의 길이 방향으로 개수 또는 형성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포지션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비접촉식 센서 또는 접촉식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비접촉식 센서와 접촉식 센서 각각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지션바의 일측에는 포지션 선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트럭에는 상기 포지션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 수 또는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럭에는 상기 포지션바의 양측면에 인접 또는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포지션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포지션바 가이드는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에 적층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포지션바 클리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차단기의 위치를 동작 구간 전체에 걸쳐 선형적으로 감지 및 검출함으로써 차단기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차단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각 구성 간의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력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분리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접속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a, b, c는 각각 종래의 전력기기에서 분리, 시험, 접속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분리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접속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센서 모듈의 상면과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포지션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포지션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시험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시험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종래의 전력기기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과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분리 위치와 접촉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외부 전원 또는 부하 측 전력선로를 연결하는 크래들 단자(110)가 형성되며 배전반에 고정되는 크래들(100)과 상기 크래들(100)의 단자 부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 본체(200) 및 상기 크래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위치 검출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를 분리 또는 접속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이송장치인 거더(300)와 트럭(400)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기 본체(200)는 상기 트럭(400)에 고정되도록 적재되어 상기 트럭(400)이 이송됨에 따라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과의 간격이 조절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차단기라 함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와 상기 거더(300) 및 상기 트럭(4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리 위치라 함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과 최대로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된 위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분리 위치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간격이 최소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접속 위치라 함은 상기 차단기 본체(200)가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최대로 접근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위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접촉 위치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간격이 최대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시험 위치라 함은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분리 위치로 변경되거나,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접속 위치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거더(300)는 전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핸들바(310)와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리브(320)와 전면 중앙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핀들(330)과 상기 스핀들(330)의 일측에 형성되는 포지션바(35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바(310)는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을 상기 크래들(100)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때,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더(300)는 상기 지지리브(320)가 상기 크래들(100)의 양측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크래들(1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핀들(330)은 일단이 상기 거더(300)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을 향하도록 상기 트럭(40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스핀들(300)이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지션바(350)는 상기 트럭(400)의 이동 범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지션바(350)는 상기 스핀들(330)과 평행하도록 일단이 상기 거더(300)에 결합되며,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트럭(400)은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휠(410)과 상기 포지션바(350)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센서 모듈(430)을 포함한다.
도 8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센서 모듈의 상면과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 모듈(430)은 상기 트럭(400)에 고정 설치되는 센서 서포터(431)와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를 대향하도록 상기 센서 서포터(431)에 결합되는 비접촉식 센서(4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비접촉식 센서(432)는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의 음영이나 거리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접촉식 센서(432)는 광센서로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 중 일정 역영의 음영이나 거리, 형상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접속 위치에서 상기 분리 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접속 위치로 이동하는 시험 위치에서도 상기 비접촉식 센서(432)가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의 이동 거리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센서(432)가 광센서인 경우 다른 부품에 의한 음영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지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비접촉식 센서(432)의 외주면에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비접촉식 센서 삽입리브(4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차단기의 위치를 동작 구간 전체에 걸쳐 선형적으로 감지 및 검출함으로써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종래의 전력기기와 대비하여 하나의 센서 모듈(430)에 의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전력기기 제작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구성 간의 물리적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모듈(430)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탄성부재 등에 의하여 상기 포지션바(350)와 접촉되는 접촉식 센서(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식 센서(434)는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에 접촉되어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의 형상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거더(300)와 상기 트럭(400)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동안 상기 스핀들(330)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를 상기 비접촉식 센서(432)와 상기 접촉식 센서(434)가 동시에 감지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하여 각각 검출되는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 알림 경보 등을 생성하는 모니터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와 도 10의 a, b, c, 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포지션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상기 포지션바(350)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트럭(400)의 이동 범위에 따라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라데이션 스티커 등과 같이 위치에 따라 음영이 상이한 포지션 스티커(351a)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티커(351a)가 두께에 의하여 상기 포지션바(35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는 상기 포지션 스티커(351a)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깊게 형성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티커(351a)는 도 9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더(30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어둡고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밝아지도록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티커(351a)는 상기 거더(30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밝고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어두워지도록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포지션 스티커(351a)는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포지션바(350)의 길이 방향에 따라 2개로 분할되어 하나는 상기 거더(30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밝고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어두워지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거더(30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밝고 상기 크래들 단자(110) 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어두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2개의 포지션 스티커(351a)에 각각 대향하여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지션 스티커(351a)는 도 9의 c, 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삼각형 등과 같이 상기 포지션바(35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면적이 다르게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는 도 10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포지션 경사부(351b)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지션 경사부(351b)는 상기 포지션바(350)가 상기 스핀들(33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포지션 경사부(351b)의 상면과 상기 센서 모듈(430) 간의 거리가 변경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포지션 경사부(351b)는 도 10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를 제외한 상기 포지션바(350)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와는 반대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경사부(351b)의 상면에는 도 10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라데이션 테이프가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는 도 10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포지션 돌기(351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지션 돌기(351c)는 상기 스핀들(330)의 반경 방향과 상기 포지션바(350)의 길이 방향으로 개수가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는 상기 포지션 돌기(351c)가 형성된 그라데이션 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는 상기 포지션 스티커(351a)와 상기 포지션 경사부(351b) 및 상기 포지션 돌기(351c)가 혼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포지션바(3501)는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의 일 측면에 포지션 선기어(35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시험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의 d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상기 트럭(400)에는 상기 포지션 선기어(352)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기어(4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럭(400)에는 상기 회전기어(450)의 회전 수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는 상기 휠(410)의 회전 수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시험 위치에 따른 거더와 트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에서 상기 트럭(400)에는 상기 포지션바(350)의 양 측면에 인접 또는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포지션바 가이드(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션바 가이드(440)는 상기 포지션바(350)의 상면에 적층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포지션바 클리너(44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지션바 클리너(441)는 브러시 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포지션바(350)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351)에 적층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먼지 또는 이물질로 인한 상기 센서 모듈(430)의 감지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크래들
110. 크래들 단자
200. 차단기 본체
300. 거더
310. 핸들바
320. 지지리브
330. 스핀들
340. 스위치 작동바
341. 오목홈부
342. 후단 경사부
343. 상부 평면부
350. 포지션바
351. 포지션 감지 영역부
351a. 포지션 스티커
351b. 포지션 경사부
351c. 포지션 돌기
352. 포지션 선기어
400. 트럭
410. 휠
420. 마이크로 스위치
421. 제 1마이크로 스위치
421a. 제 1접촉레버
422. 제 2마이크로 스위치
422a. 제 2접촉레버
423. 제 3마이크로 스위치
423a. 제 3접촉레버
430. 센서 모듈
431. 센서 서포터
432. 비접촉식 센서
433. 비접촉식 센서 삽입리브
434. 접촉식 센서
440. 포지션바 가이드
441. 포지션바 클리너
450. 회전기어

Claims (6)

  1. 후방 측에 크래들 단자가 형성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 단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되는 차단기; 및
    상기 차단기 내부에 장착되어 차단기 본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위치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수단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이동 범위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포지션 감지 영역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의 전방 측에 고정 설치되는 거더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크래들의 후방 측에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포지션바; 및
    상기 차단기 본체가 적재되고 상기 포지션바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내부에서 상기 거더로부터 상기 크래들 단자 측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트럭과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에 대향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트럭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는
    상기 포지션바의 길이 방향으로 음영이 변화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포지션 스티커와
    상기 포지션바의 길이 방향으로 일단이 하향 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포지션 경사부 및
    상기 포지션바의 길이 방향으로 개수 또는 형성 위치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포지션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비접촉식 센서 또는 접촉식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거나, 비접촉식 센서와 접촉식 센서 각각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인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션바의 일측에는 포지션 선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트럭에는 상기 포지션 선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 수 또는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럭에는 상기 포지션바의 양측면에 인접 또는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포지션바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포지션바 가이드는 상기 포지션 감지 영역부에 적층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포지션바 클리너를 포함하는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KR1020200041155A 2020-04-03 2020-04-03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KR10242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155A KR102423582B1 (ko) 2020-04-03 2020-04-03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CN202180025687.2A CN115380443A (zh) 2020-04-03 2021-03-29 用于连续检测进出位置的电力设备
US17/916,705 US20230154696A1 (en) 2020-04-03 2021-03-29 Power device for continuously detecting entrance and exit positions
EP21779908.9A EP4131679A4 (en) 2020-04-03 2021-03-29 DRIVE DEVICE FOR CONTINUOUS DETECTION OF INPUT AND EXIT POSITIONS
PCT/KR2021/003866 WO2021201536A1 (ko) 2020-04-03 2021-03-29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JP2022558205A JP7458500B2 (ja) 2020-04-03 2021-03-29 引込み引出し位置を連続して検出するための電力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155A KR102423582B1 (ko) 2020-04-03 2020-04-03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690A true KR20210123690A (ko) 2021-10-14
KR102423582B1 KR102423582B1 (ko) 2022-07-20

Family

ID=7792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155A KR102423582B1 (ko) 2020-04-03 2020-04-03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54696A1 (ko)
EP (1) EP4131679A4 (ko)
JP (1) JP7458500B2 (ko)
KR (1) KR102423582B1 (ko)
CN (1) CN115380443A (ko)
WO (1) WO202120153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797B1 (ko) * 2011-02-24 2012-05-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3 포지션 위치검출장치
KR200462421Y1 (ko) * 2011-09-30 2012-09-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거더와 트럭 어셈블리
KR101272305B1 (ko) * 2012-02-22 2013-06-07 기현정공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 인입출 장치
KR20140002079U (ko) * 2012-10-02 2014-04-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20190113132A (ko) * 2018-03-27 2019-10-08 한국중부발전(주) 차단기 인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23B1 (ko) 2000-12-01 2002-12-16 엘지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기중차단기용 인터록장치의 위치 표시장치
KR101026293B1 (ko) * 2008-12-31 2011-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인/입출 위치표시장치
KR101201711B1 (ko) * 2011-06-10 2012-1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회로차단기용 위치 검출기
JP2014143867A (ja) * 2013-01-25 2014-08-07 Toshiba Corp 引出形収納機器の位置検出装置
US9673595B2 (en) * 2013-10-31 2017-06-06 Eaton Corporation Withdrawable contactor trucks with integral motorized levering-in, related switchgear, kits and methods
CN107275970A (zh) 2017-07-12 2017-10-20 中科电力装备集团有限公司 一种万能式断路器
CN109861125A (zh) * 2019-04-01 2019-06-07 银川市立恒电气设备有限公司 本安型智能电气开关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797B1 (ko) * 2011-02-24 2012-05-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3 포지션 위치검출장치
KR200462421Y1 (ko) * 2011-09-30 2012-09-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거더와 트럭 어셈블리
KR101272305B1 (ko) * 2012-02-22 2013-06-07 기현정공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 인입출 장치
KR20140002079U (ko) * 2012-10-02 2014-04-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20190113132A (ko) * 2018-03-27 2019-10-08 한국중부발전(주) 차단기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80443A (zh) 2022-11-22
JP2023519325A (ja) 2023-05-10
EP4131679A1 (en) 2023-02-08
EP4131679A4 (en) 2023-09-06
WO2021201536A1 (ko) 2021-10-07
JP7458500B2 (ja) 2024-03-29
US20230154696A1 (en) 2023-05-18
KR102423582B1 (ko)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2446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648377B2 (en) Connector having connection detecting means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US20100210130A1 (en) Connector assembly
US6490149B2 (en) Drawing apparatus for a drawer type electrical machinery
KR102423582B1 (ko)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KR101372561B1 (ko) 디바이스 선택 구조
KR102378389B1 (ko) 인입출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전력기기
US12009642B2 (en) Power device for continuously detecting entry and exit positions
US20230154712A1 (en) Power device monitoring system
CN201440076U (zh) 位置检测装置及具有该位置检测装置的自助终端设备
JP2002270323A (ja) 電気接続装置
EP1202309A3 (en) Interlocking type multi-push-switch device
WO2002077696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switching positions of mems optical switch
CN217278482U (zh) 一种检测装置
KR101057814B1 (ko) 자동 엠디에프 장치
CN217112623U (zh) 一种低压断路器综合性能检测装置
CN220753783U (zh) 测试转接头
CN213457991U (zh) 触控面板装置和气体分析仪
KR200143482Y1 (ko) 슬라이드 노브장치
JPH085737Y2 (ja) パチンコ玉検出用センサ
US6867381B1 (en) Electronic device and position sensor thereof
KR930004770Y1 (ko) 엔코더 장치
CN117038568A (zh) 机械手定位装置及半导体设备
KR20150054653A (ko) 스위치
MY132927A (en) Inclination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