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059A -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059A
KR20210123059A KR1020200040282A KR20200040282A KR20210123059A KR 20210123059 A KR20210123059 A KR 20210123059A KR 1020200040282 A KR1020200040282 A KR 1020200040282A KR 20200040282 A KR20200040282 A KR 20200040282A KR 20210123059 A KR20210123059 A KR 20210123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tance
identified
proximity senso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일
양준현
최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059A/ko
Priority to US17/183,808 priority patent/US11336878B2/en
Priority to PCT/KR2021/002783 priority patent/WO2021201450A1/en
Publication of KR2021012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059A/ko
Priority to US17/725,479 priority patent/US117164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광 출력부, 카메라, 복수의 센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투사 장치가 개시된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를 식별하고,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영상 투사 장치의 방향 조정을 안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카메라를 통해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을 촬영하여 투사된 영상의 형상을 식별하고, 식별된 형상에 기초하여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광 출력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 IMAGE PROJE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영상 투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근접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투사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 투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빔 프로젝터 제품 분야에서, 일반적인 장초점의 영상 투사 장치와 다른 초단초점(Ultra Short Throw) 영상 투사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초단초점 영상 투사 장치는, 스크린과 프로젝터 간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ex. 50cm 이내) 프로젝터이다.
영상 투사 장치를 통해 투사된 영상에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키스톤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키스톤을 영상 투사 장치가 자동으로 보정하도록 하는 기술이 많지 않다.
특히, 투사되는 영상과 투사 장치 간의 거리가 매우 짧은 초단초점 영상 투사 장치의 경우, 키스톤의 자동 보정 방안이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본 개시는, 근접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키스톤을 자동 보정할 수 있는 영상 투사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개시는 영상 투사 장치와 투사면 간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투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영상 투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는,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광 출력부, 카메라,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투사 장치의 방향 조정을 안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투사된 영상의 형상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형상에 기초하여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상기 광 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영상 투사 장치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근접 센서 및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근접 센서를 통해,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근접 센서와 상기 투사면 간의 제1 거리를 식별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근접 센서와 상기 투사면 간의 제2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 간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투사 장치의 회전 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식별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영상 투사 장치를 회전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식별된 형상이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상기 광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형상의 상변과 하변의 평행 여부, 상기 식별된 형상의 좌변과 우변의 길이 차, 및 상기 좌변과 상기 우변 각각의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형상이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투사 장치는, 초단초점 프로젝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 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은,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복수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투사 장치의 방향 조정을 안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투사된 영상의 형상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형상에 기초하여 보정된 영상을 상기 투사면에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영상 투사 장치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근접 센서 및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근접 센서를 통해,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근접 센서와 상기 투사면 간의 제1 거리를 식별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근접 센서와 상기 투사면 간의 제2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 간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투사 장치의 회전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식별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영상 투사 장치를 회전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제어 방법은, 상기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형상이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정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형상의 상변과 하변의 평행 여부, 상기 식별된 형상의 좌변과 우변의 길이 차, 및 상기 좌변과 상기 우변 각각의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형상이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장치를 투사면에 평행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는, 초단초점 프로젝터로써 투사면에 근접하여 영상을 투사하더라도, 광각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접한 투사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보정에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별도의 다른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투사 영상을 식별하고 분석하여 투사 영상의 키스톤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가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가 측정된 거리들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투사면과 근접하게 설치된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가 카메라를 통해 투사 영상을 촬영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가 촬영된 투사 영상의 형상을 기반으로 영상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그리고
도 7은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이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들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제1 구성, 제2 구성 및 제3 구성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configuration 1, configuration 2 or configuration 3)의 의미는, "오직 제1 구성", "오직 제2 구성", "오직 제3구성", "제1 구성과 제2 구성", "제2 구성과 제3 구성", "제1 구성과 제3 구성", "제1 구성과 제2 구성과 제3 구성 모두"인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투사 장치(100)는 광 출력부(110), 센싱부(120), 카메라(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투사 장치(100)는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투사 장치(100)는 장초점 프로젝터, 단초점 프로젝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초단초점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광 출력부(110)는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광 출력부(110)는 영상 투사 장치(100)의 정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투사면에 영상에 대응되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광 출력부(110)는 렌즈와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출력부(110)로부터 각 거리에 위치한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의 크기는, 렌즈와 미러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영상 투사 장치(100)와 투사면 간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센싱부(12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각각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TOF 센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 각각은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20)는 각각 근접 센서에 해당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센서는 제1 센서와 투사면 간의 거리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센서는 제2 센서와 투사면 간의 거리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20)는 상술한 센서 외에도 추가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는 바, 관련하여서는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카메라(130)는 영상 투사 장치(100)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130)는 광 출력부(110)에 의해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160도 이상의 광각 범위를 촬영할 수 있는 광각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투사 장치(100)가 투사면과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초단초점 프로젝터로 구현되는 경우, 광각 카메라로 구현된 카메라(130)를 통해 투사된 영상 전체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영상 투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VPU(Vision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S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영상 투사 장치(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시켜 영상 투사 장치(1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거나, 하드웨어적인 회로 내지는 칩으로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으로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 투사 장치(100)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영상을 투사하도록 광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센싱부(1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상 투사 장치(100)에 투사면이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투사 장치(100)에 투사면이 일정 거리 내로 근접해 있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영상을 투사하도록 광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투사면 및/또는 영상 투사 장치(100)의 설치 환경에 따라, 투사된 영상에 키스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100)가 키스톤을 해결하는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2는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가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투사 장치(100)는 영상 투사 장치(10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근접 센서(120-1) 및 제2 근접 센서(12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투사 장치(100)가 바닥면에 수평하게 놓인 상황을 전제로, 영상 투사 장치(100)의 정면 방향을 x축 방향, 측면 방향을 y축 방향,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z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1 근접 센서(120-1) 및 제2 근접 센서(120-2)는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센서들의 위치 및 방향이 도 2의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당업자 수준에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제1 근접 센서(120-1)를 통해 영상 투사 장치(100)의 정면에 위치한 투사면(250)과 제1 근접 센서(120-1) 간의 제1 거리(261)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제1 근접 센서(120-1)가 적외선 등을 출력하는 일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근접 센서(120-1)와 투사면(250) 간의 제1 거리(261)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2 근접 센서(120-2)를 통해 투사면(250)과 제2 근접 센서(120-2) 간의 제2 거리(262)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제2 근접 센서(120-2)는 제1 근접 센서(120-1)가 적외선 등을 출력하는 해당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외선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1 근접 센서(120-1)와 투사면(250) 간의 거리의 기준이 되는 해당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제2 근접 센서(120-2)와 투사면(250) 간의 제2 거리(262)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제1 거리(120-1) 및 상술한 제2 거리(120-2) 간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영상 투사 장치(100)의 방향 조정을 안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유저 인터페이스는 영상 투사 장치(100)의 회전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회전 방향은, 상술한 x, y, z축 중에서 z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에 대한 것일 수 있다.
관련하여, 도 3은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가 측정된 거리들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만약 도 2에서 제1 거리(120-1)와 제2 거리(120-2) 간의 차이(: 절대값)가 동일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아무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1 거리(120-1)와 제2 거리(120-2) 간의 차이(: 절대값)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1 거리(120-1) 및 제2 거리(120-2)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영상 투사 장치(100)의 회전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식별된 회전 방향에 따라 영상 투사 장치(100)를 회전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만약 도 2에서 제1 거리(120-1)가 제2 거리(120-2)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품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주세요."와 같이 영상 투사 장치(100)의 방향 조정을 안내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유저 인터페이스는 영상 투사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영상 투사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제1 거리(120-1)가 제2 거리(120-2)보다 작은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품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세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30)를 통해 투사면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광 출력부(110)를 통해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프로세서(140)는 도 2와 같이 영상 투사 장치(100)의 정면에 설치된 카메라(130)를 통해 (투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의 형상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투사면 내에서, 영상이 투사되지 않은 영역과 영상이 투사된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영상이 투사된 영역의 형상을 투사된 영상의 형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인접한 픽셀들 간의 컬러 변화 정도를 기반으로 영상이 투사된 영역과 영상이 투사되지 않은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입력된 이미지 내에서 영상이 투사되지 않은 영역과 영상이 투사된 영역을 구분하도록 훈련된 별도의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촬영된 영상 내에서 비교적 밝기가 밝은 부분을 영상이 투사된 영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형상에 기초하여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광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앞서 도 2 등을 통해 식별된 거리들(ex. 제1 거리(120-1), 제2 거리(120-2))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투사 영상의 형상에 기초하여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광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투사 장치(10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반면,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에는 카메라(130)를 이용하여 투사된 영상의 키스톤 등을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a는 투사면과 근접하게 설치된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가 카메라를 통해 투사 영상을 촬영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영상 투사 장치(100)가 초단초점 프로젝터로 구현된 경우를 전제로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비록 광 출력부(110)가 투사한 영상은 본래 직사각형의 형상에 대응되더라도, 광각 카메라인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400) 속에 포함된 투사 영상(410)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이 아닐 수 있다.
이는, 영상 투사 장치(100)가 도 2와 같이 투사면과 매우 근접한 초단초점 프로젝터인 경우, 카메라(130)는 일반적으로 투사 영상을 아래에서 위로 촬영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투사 영상(410)의 형상은 사다리꼴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도 4b는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가 촬영된 투사 영상의 형상을 기반으로 영상의 보정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형상(410)의 상변과 하변의 평행 여부, 식별된 형상(410)의 좌변과 우변의 길이 차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상변과 하변이 서로 평행하고 좌변과 우변의 길이 차가 없는 경우에만 식별된 형상(410)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좌변과 우변 각각의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식별된 형상(410)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하변에 대한 좌변과 우변의 각도(내각)가 서로 동일한 경우에만 식별된 형상(410)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하여, 프로세서(140)는 상변과 하변 각각이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내에서 정확한 수평 방향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식별된 형상(410)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듯, 기설정된 조건은, 식별된 형상이 완전한 사다리꼴인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식별된 형상이 완전한 사다리꼴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반면, 식별된 형상이 완전한 사다리꼴이 아닌 경우,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투사될 영상에 대한 별도의 보정이 수행되지 않은 채, 광 출력부(110)는 기존에 투사하던 영상을 계속해서 투사할 수 있다.
반면,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기존에 투사하던 영상이 아니라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광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광 출력부(110)가 특정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투사되는 영상이 완전한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보정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투사하도록 광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렇듯, 본 개시의 영상 투사 장치(100)는, 초단초점 프로젝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투사 영상의 형상이 완전한 사다리꼴이 되도록 자동으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완전한 직사각형 형태의 투사 영상을 체험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보정된 영상이 투사된 이후, 카메라(130)를 통해 다시금 투사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투사된 (보정된) 영상의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영상을 다시 보정할 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렇듯, 프로세서(140)는 투사된 영상의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할 때까지 영상을 보정하여 투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140)가 제1 근접 센서(120-1) 및 제2 근접 센서(120-2) 각각과 투사면과의 거리를 식별하여 영상 투사 장치(100)의 방향 조정이 필요할지 여부를 판단/안내하는 동작과, 프로세서(140)가 카메라(130)를 통해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의 형상을 식별하는 동작은 여러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동작들은, 영상 투사 장치(100)의 전원이 온(on)되어 광 출력부(110)를 통해 영상이 투사되는 시점 마다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동작들은, 영상의 투사가 시작된 후 영상의 투사가 종료될 때까지 일정 주기에 따라 계속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동작들은, 영상 투사 장치(100)의 위치 또는 방향의 이동이 감지되는 시점,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영상 투사 장치(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시점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 투사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 위치 감지, 자세 또는 방향의 감지, 또는 외부의 충격이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하나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투사 장치(100)는 광 출력부(110), 센싱부(120), 카메라(130) 및 프로세서(140) 외에도 메모리(150), 통신부(160), 디스플레이(170), 오디오 출력부(18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투사면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상술한 복수의 센서 외에도,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 센싱부(120)는 영상 투사 장치(100)의 회전 각도를 알 수 있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앞선 도면들을 통해 상술한 실시 예들은, 프로세서(140)가 복수의 근접 센서를 통해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는 실시 예들이었다.
다만, 이와 달리,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보정된 영상을 투사할 수도 있다.
예로, 만약 카메라(130)를 통해 식별된 (투사된) 영상의 형상에서 좌변과 우변의 각도 차이가 기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측정된 거리 차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만약 카메라(130)를 통해 식별된 (투사된) 영상의 형상에서 좌변과 우변의 각도 차이가 (0 보다 크고) 기설정된 각도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40)는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광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만약 식별된 (투사된) 영상의 형상에서 상변과 하변이 서로 평행한 조건 및 좌변과 우변의 길이가 동일한 조건 중 어느 하나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근접 센서를 기반으로 측정된 거리 차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한 가지 조건만 만족하는 경우라면 프로세서(140)는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광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영상 투사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는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기준 영상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무선 혹은 유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6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통신부(16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셀룰러 통신모듈, 3G(3세대) 이동통신 모듈, 4G(4세대) 이동통신 모듈, 4세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5세대 이동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통신부(160)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과 연결되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투사하도록 광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40)는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투사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들 외에도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기반으로, 상술한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통해서는, 본 개시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제어 방법은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S610). 구체적으로, 광 출력부 등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투사면에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S620).
복수의 센서는, 영상 투사 장치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근접 센서 및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보정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S630).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투사 장치를 특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는 동작은, 구체적인 예로, 투사되는 영상이 완전한 사다리꼴이 될 때까지 이미지 데이터를 보정하고, 보정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하여, 도 7은 본 개시의 제어 방법이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들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이 투사된(S710) 이후, 제1 근접 센서 및 투사면 간의 제1 거리, 제2 근접 센서 및 투사면 간의 제2 거리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S720).
여기서, 제1 근접 센서를 통해서는 일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근접 센서와 투사면 간의 제1 거리를 식별하고, 제2 근접 센서를 통해서는 상술한 일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제2 근접 센서와 투사면 간의 제2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730).
만약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S730 - Y), 영상 투사 장치의 방향 조정을 안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S740).
여기서, 제1 거리 및 제2 거리 간의 차이가 줄어들도록 하는 회전 방향을 식별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된 회전 방향에 따라 영상 투사 장치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S730 - N), 카메라를 통해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을 촬영하여 투사된 영상의 형상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S730 - N)는, 비록 최초에는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이었지만,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이후 사용자가 영상 투사 장치를 회전시킨 결과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이 된 경우도 포함한다(S730-Y -> S740 -> S730-N).
그리고, 식별된 형상에 기초하여 보정된 영상을 투사면에 투사할 수 있다(S750).
이때,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별된 형상의 상변과 하변의 평행 여부, 식별된 형상의 좌변과 우변의 길이 차, 및 좌변과 우변 각각의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보정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반면,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라면, 기존에 투사되던 영상이 계속해서 투사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투사된 영상의 형상이 완전한 사다리꼴(: 기설정된 조건)이 되도록 영상을 보정하여 투사할 수 있다.
다만,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ex. 완전한 사다리꼴)을 만족하는 경우라면, 투사되는 영상에 대한 별도의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제어 방법은 도 2 및 도 5를 통해 도시 및 설명한 영상 투사 장치(1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도 6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제어 방법은 영상 투사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 제어기(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4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1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투사 장치(100)의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영상 투사 장치 110: 광 출력부
120: 센싱부 130: 카메라
140: 프로세서

Claims (11)

  1. 영상 투사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광 출력부;
    카메라;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투사 장치의 방향 조정을 안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투사된 영상의 형상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형상에 기초하여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상기 광 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투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영상 투사 장치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근접 센서 및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근접 센서를 통해,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근접 센서와 상기 투사면 간의 제1 거리를 식별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근접 센서와 상기 투사면 간의 제2 거리를 식별하는, 영상 투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 간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투사 장치의 회전 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식별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영상 투사 장치를 회전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영상 투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식별된 형상이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도록 상기 광 출력부를 제어하는, 영상 투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형상의 상변과 하변의 평행 여부, 상기 식별된 형상의 좌변과 우변의 길이 차, 및 상기 좌변과 상기 우변 각각의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형상이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영상 투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사 장치는, 초단초점 프로젝터인, 영상 투사 장치.
  7.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투사면에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
    복수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 각각과 투사면 간의 거리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투사 장치의 방향 조정을 안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거리들 간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투사면에 투사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투사된 영상의 형상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형상에 기초하여 보정된 영상을 상기 투사면에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영상 투사 장치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근접 센서 및 제2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근접 센서를 통해, 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근접 센서와 상기 투사면 간의 제1 거리를 식별하고,
    상기 제2 근접 센서를 통해, 상기 일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근접 센서와 상기 투사면 간의 제2 거리를 식별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 간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투사 장치의 회전 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식별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영상 투사 장치를 회전시키도록 안내하기 위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형상이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형상이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보정된 영상을 투사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형상의 상변과 하변의 평행 여부, 상기 식별된 형상의 좌변과 우변의 길이 차, 및 상기 좌변과 상기 우변 각각의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형상이 상기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제어 방법.
KR1020200040282A 2020-04-02 2020-04-02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10123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82A KR20210123059A (ko) 2020-04-02 2020-04-02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US17/183,808 US11336878B2 (en) 2020-04-02 2021-02-24 Image proje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21/002783 WO2021201450A1 (en) 2020-04-02 2021-03-05 Image proje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7/725,479 US11716452B2 (en) 2020-04-02 2022-04-20 Image projec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282A KR20210123059A (ko) 2020-04-02 2020-04-02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059A true KR20210123059A (ko) 2021-10-13

Family

ID=7792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282A KR20210123059A (ko) 2020-04-02 2020-04-02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336878B2 (ko)
KR (1) KR20210123059A (ko)
WO (1) WO202120145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522A1 (ko) * 2021-10-18 2023-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80421A1 (ko) * 2021-11-05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32625A1 (ko) * 2022-01-04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249275A1 (ko) * 2022-06-23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4029991A1 (ko) * 2022-08-05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3947B2 (ja) * 2020-10-22 2022-11-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領域の設定支援方法、設定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5417B2 (ja) 1992-12-03 1999-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と接続可能な外部装置
JP3731663B2 (ja) 2002-12-04 2006-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5006228A (ja) * 2003-06-13 2005-01-06 Casio Comput Co Ltd プロジェクタ
JP4155890B2 (ja) * 2003-07-15 2008-09-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の傾斜角度取得方法及び投影像補正方法
JP4131214B2 (ja) * 2003-08-08 2008-08-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傾斜角度検出装置及び傾斜角度検出方法
JP4020043B2 (ja) * 2003-08-25 2007-12-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204596B2 (en) * 2003-09-19 2007-04-17 Nec Corporation Projector with tilt angle measuring device
JP4867154B2 (ja) 2004-11-09 2012-02-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80557B2 (ja) * 2005-02-15 2009-12-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チャート画像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17795A (ja) 2005-05-13 2006-11-24 Toshiba Corp 投射装置と投射装置の測距方法
JP4169026B2 (ja) * 2005-09-27 2008-10-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測距装置及び測距方法
JP4169027B2 (ja) * 2005-09-27 2008-10-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測距装置及び測距方法
KR20090072038A (ko) 2007-12-28 200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갖는 이동 로봇 및 그의 프로젝트 방법
KR101428064B1 (ko) 2008-02-22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왜곡 보정 장치 및 방법
US8610726B2 (en) * 2008-09-26 2013-12-17 Apple Inc.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with projected display
US8297757B2 (en) * 2008-10-29 2012-10-30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and projector control method
KR20100072670A (ko) 2008-12-22 2010-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투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9526A (ko) * 2009-12-17 201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1199750A (ja) 2010-03-23 2011-10-06 Olympus Corp 撮像端末、外部端末、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US8322863B1 (en) * 2010-06-18 2012-12-04 Samuel Seungmin Cho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visual distortion adjustments for a portable projection device
US8727539B2 (en) * 2010-10-28 2014-05-20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projector
JP2013061552A (ja) * 2011-09-14 2013-04-04 Ricoh Co Ltd 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操作検出方法
US9344695B2 (en) 2011-09-15 2016-05-17 Nec Corporation Automatic projection image correction system, automatic projection image corre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8820944B2 (en) * 2011-10-25 2014-09-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lectable throw ratio image projection device
US8970655B2 (en) 2011-12-16 2015-03-03 Polycom, Inc. Reflective and refractive solutions to providing direct eye contact videoconferencing
JP2013168922A (ja) 2012-01-18 2013-08-29 Sony Corp 投影型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投影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5924042B2 (ja) * 2012-03-14 2016-05-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TWI562638B (en) * 2012-07-25 2016-12-11 Chiun Mai Comm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on
JP6201290B2 (ja) * 2012-10-02 2017-09-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画像調整方法
US20140176730A1 (en) * 2012-12-21 2014-06-26 Sony Corporation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device, image proje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244638B2 (ja) 2013-03-22 2017-12-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投影プログラム
CN104104891B (zh) * 2013-04-10 2018-08-10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及其投影自动校正方法
JP2015060012A (ja) * 2013-09-17 2015-03-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ならびに、表示システム
US20150092166A1 (en) * 2013-10-01 2015-04-02 Pavel Jurik Automatic keystone correction in an automated luminaire
JP2015103922A (ja) 2013-11-22 2015-06-0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装置、画像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19622B2 (en) * 2014-01-09 2016-04-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 projector with automated image enhancement
JP2015206950A (ja) * 2014-04-22 2015-11-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調整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2393297B1 (ko) * 2015-04-22 202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방법
CN105072430B (zh) * 2015-08-19 2017-10-03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调整投影图像的方法和设备
US20170094238A1 (en) * 2015-09-30 2017-03-30 Hand Held Products, Inc. Self-calibrating projection apparatus and process
KR20170044383A (ko) 2015-10-15 201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그의 영상 투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0402938B1 (en) * 2016-03-31 2019-09-03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image distortion (curvature) for viewing distance in post capture
US10554881B2 (en) * 2016-12-06 2020-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ssive and active stereo vision 3D sensors with variable focal length lenses
KR101989087B1 (ko) 2017-10-11 2019-06-14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개인용 디지털 영상 기기를 이용한 투사형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왜곡 보정 방법 및 그 시스템
JP6784280B2 (ja) * 2018-06-27 2020-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CN110930518A (zh) * 2019-08-29 2020-03-27 广景视睿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增强现实技术的投影方法及投影设备
JP2021114713A (ja) * 2020-01-20 2021-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と撮像装置のための位置サイズ調整の支援方法および支援装置
KR20210113805A (ko) * 2020-03-09 2021-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KR20210118616A (ko) * 2020-03-23 2021-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755991B (zh) * 2020-12-23 2022-02-21 陳景昭 用於投影機系統的自動梯形校正方法
TWI768672B (zh) * 2021-01-22 2022-06-21 偉詮電子股份有限公司 投影機對焦方法及投影機對焦系統
CN115086622B (zh) * 2021-03-12 2024-05-2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机及其校正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522A1 (ko) * 2021-10-18 2023-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80421A1 (ko) * 2021-11-05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32625A1 (ko) * 2022-01-04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249275A1 (ko) * 2022-06-23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스크린에 영상을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4029991A1 (ko) * 2022-08-05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47986A1 (en) 2022-08-04
US11336878B2 (en) 2022-05-17
US11716452B2 (en) 2023-08-01
WO2021201450A1 (en) 2021-10-07
US20210314538A1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3059A (ko)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US9148573B2 (en) Non-uniform correction illumination pattern
US100080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epth information
KR101969931B1 (ko) 디스플레이 영상의 회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70180622A1 (en) Auto range control for active illumination depth camera
US10104351B2 (en) Projection system and calibration apparatus
JP2013156324A5 (ko)
US9794536B2 (en)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projector
US20160119602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73035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5915803B (zh) 一种基于传感器的拍照方法及系统
US8937593B2 (en) Interactive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position of light point thereof
TWI593578B (zh) 車輛及應用於該車輛之自動調節系統及自動調節方法
KR101523046B1 (ko) 영상처리기반의 거리 측정장치
WO2021073069A1 (en) Active depth sensing based autofocus
KR20200050110A (ko)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영상 촬영 시스템
US10812764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1886107B2 (en) Projection method and projection device
JP2010034820A (ja) 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9565409B2 (en) Technologies for projecting a noncontinuous image
CN108965525B (zh) 检测方法和装置、终端、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20230040505A1 (en)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39016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769232A (zh) 超短焦投影仪的亮度检测方法、装置及系统
KR20220162595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