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80421A1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80421A1
WO2023080421A1 PCT/KR2022/013514 KR2022013514W WO2023080421A1 WO 2023080421 A1 WO2023080421 A1 WO 2023080421A1 KR 2022013514 W KR2022013514 W KR 2022013514W WO 2023080421 A1 WO2023080421 A1 WO 20230804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im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5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형철
문승현
채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0804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804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image correction in consideration of an arrangement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electronic device may correct the projected imag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projection direction toward the projection surface and finally output the projected image.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orrecting an image may include keystone correction.
  • Keystone correction may refer to an operation of correcting a trapezoidal image into a rectangular shape. Specifically, whether or not keystone correction is necessar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oj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oward the projection surface.
  • the function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keystone correction may be a keystone function.
  • Leveling may refer to an operation of rotating an image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jection surface is viewed.
  • a projected image may be partially rotated and output when horizontal distortion occurs, and thus a projected image unsuitable for a user may be provided.
  • the present disclosure is design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to automatically correct an image in consideration of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re is.
  • An electronic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rojection unit, a sensor unit, and at least one of horizontal tilt information, vertical tilt information, and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based on sensing data acquired through the sensor unit. information is obtained, and when at least one of horizontal tilt information or vertical tilt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among the state information, a keystone function is performed, and when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among the state information, a leveling function is performed. and a processor controlling the projection unit to output a projected image on a projection surface.
  • the processor may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identify a projection area where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and a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and may identify the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 the projection unit may be controlled to output the projected image to the projection area based on ,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is among pattern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color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contain at least one.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projection unit to output the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a location of the preset object.
  • the preset object is a line object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projection unit so that the line object and an outer portion of the projection image are parallel.
  • the preset object is a corner object
  •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projection unit to output a projection image on one projection surface among a plurality of projection surfaces divided into the corner object.
  •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and the processor may acquire a captured image through the camera when vibration inform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obtained based on the sensing data of the sensor unit.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reset object.
  • the processor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UI) for providing at least one function among a function of rotating a projected image, a function of changing a size of a projected image, and a function of changing a location of a projected image.
  • UI user interface
  • the processor performs the keystone function or the leveling function when, after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movement inform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obtained based on sensing data of the sensor unit. At least one of these can be performed again.
  •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the processor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nd output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 the projected area can be identified.
  • the processor may change a projection area where the projection image is output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obtain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horizontal inclination information, vertical inclination information, and horizontal tilt informa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inclination information and the vertical inclination information among the state information is If obtained, performing a keystone function; if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among the state information is acquired, performing a leveling function; and outputting a projection image to a projection surface.
  • the control method includes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identifying a projection area where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and a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and determining the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and outputting the projection image to the projection area based on the projection surface, where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includes at least one of pattern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color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contain one.
  •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when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outputting the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a location of the preset object.
  • the preset object is a line object
  • the outputting of the projected image may further include, when the line object is identified, outputting the projected image such that the line object and an outer portion of the projected image are parallel.
  • the preset object is a corner object
  • the outputting of the projected image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projected image on one of a plurality of projection surfaces divided into the corner object.
  •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cquiring a captured image and identifying the preset object based on the captured image when vibration inform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obtained.
  • control method includes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rotation function of a projected image, a function of changing a size of a projected image, and a function of changing a location of a projected image when a preset event is identified.
  • UI user interface
  • control method includes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again when movement inform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obtained after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Further steps may be included.
  •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ying a projection area where the projection image is outpu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whe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is changed, changing a projection area where the projection image is output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of FIG. 2 in detail.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tated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f FIG. 7 .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performing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orizontal inclination.
  •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ertical inclination.
  •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rizontal distortion, horizontal inclination, and vertical inclin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jection dire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operation considering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operation considering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keystone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a vertical inclination.
  •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keystone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a horizontal inclination.
  •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operation considering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leveling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horizontal distortion.
  •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 FIG. 2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operation considering a vertical proj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operation considering a vertical proj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manual manipulation UI.
  • 2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otation function of a projected image.
  • 2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changing the size and position of a projected image.
  • 2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specifying a projection area.
  • 2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erformed when a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 2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when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on a projection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a preset object.
  • 3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whether or not an electronic device vibrates.
  • 32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erformed when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on a projection su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3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a corner portion of a wall.
  • 3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when a predetermined object is identified on a projection su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3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when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on a projection su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3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a user's foot object.
  • 3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device.
  • 3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a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3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ion image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4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expressions such as “has,” “can have,” “includes,” or “can include”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feature (eg, numerical value,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such as a part). , which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f additional features.
  •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 another component e.g., a second component
  • connection 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or may be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eg, a third element).
  • a “module” or “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ar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and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not shown), except for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It can be.
  • the term user may refer to a person using an electronic device or a device (e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lectronic device) using an electronic device.
  • a device e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lectronic devi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head 103, a body 105, a projection lens 110, a connector 130, or a cover 107.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device of various type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projector device that enlarges and projects an image onto a wall or a screen
  • the projector device may be an LCD projector or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projector using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home or industrial display device, or a lighting device used in daily life, a sound device including a sound modu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phon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a wearable device, or a home applian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device 100 having two or mor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device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used as a display device, a lighting device, or a sound device by turning off a projector function and turning on a lighting function or a speaker function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a processor, and AI including a microphone or communication device.
  • a speaker a speaker.
  • the main body 105 is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d may support or protect components (e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5 .
  • the body 105 may have a structure close to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1 .
  • the shape of the main body 105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in body 105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geometric shapes such as a column, a cone, and a spher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the size of the main body 105 may be a size that a user can hold or move with one hand, may be implemented in a very small size for easy portability, and may be implemented in a size that can be placed on a table or coupled to a lighting device.
  •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105 may be implemented with matte metal or synthetic resin so as not to be stained with user's fingerprints or dust, or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105 may be made of a smooth gloss.
  • a friction area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body 105 so that a user can grip and move the main body 105 .
  • the main body 105 may be provided with a bent gripping portion or a support 108a (see FIG. 4 ) that the user can grip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 the projection lens 11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to project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array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5 .
  • the projection lens 110 of various embodiments may be an optical lens coated with low dispersion in order to reduce chromatic aberration.
  • the projection lens 110 may be a convex lens or a condensing lens, and the projection len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adjust the focus by adjusting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sub-lenses.
  • the head 103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to support and protect the projection lens 110 .
  • the head 103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5 so as to be swivel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ba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
  • the head 103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swiveled by a user or a processor to freely adjust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ens 110 .
  • the head 103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5 and includes a neck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105, so that the head 103 is tilted or tilted to adjust the projection angle of the projection lens 110. can be adjust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adjusts the direction of the head 103 and adjusts the emission angle of the projection lens 110 while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main body 105 are fixed, so that light or an image can be projected to a desired location.
  • the head 103 may include a handle that the user can grasp after rotating in a desired direction.
  • a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 Audio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5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 the audio output unit may include a speaker, and the speaker may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multimedia playback, recording playback, and audio output.
  • a heat dissipation fan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5, and when the heat dissipation fan (not shown) is driven, air or heat inside the main body 105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openings. can emit.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ischarge heat generated by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the outside and prev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from overheating.
  • the connector 130 may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to transmit/receive electrical signals or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 the connector 130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 the connector 130 may include an input/output interface, and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or receive power.
  • the connector 130 may include an HDMI connection terminal, a USB connection terminal, an SD card receiving groove, an audio connection terminal, or a power outlet, or may include Bluetooth, Wi-Fi, or wireless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wirelessly.
  • a charging connection module may be included.
  • the connector 130 may have a socket structure connected to an external lighting device, and may be connected to a socket receiving groove of the external lighting device to receive power.
  • the size and standard of the connector 130 having a socket structure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a receiving structure of a coupleable external device.
  • the diameter of the junction of the connector 130 may be implemented as 26 mm, an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100 replaces a conventionally used light bulb and an external lighting device such as a stand. can be coupled to Meanwhile, when fastened to a socket located on an existing ceil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projected from top to bottom,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not rotated by coupling the socket, the screen cannot be rotated either.
  •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socket-coupled to the ceiling stand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rotate even when the socket is coupled and power is supplied, and the head 103 is mov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5. It swivels and adjusts the emission angle to project the screen to a desired position or rotate the screen.
  • the connector 130 may include a coupling sensor, and the coupling sensor may sense whether or not the connector 130 is coupled with an external device, a coupling state, or a coupling target, and transmit the sensor to the processor, based on the received detection value. Driv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 the cover 107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5 and can protect the connector 130 so that the connector 130 is not constantly exposed to the outside.
  • the shape of the cover 107 may have a shape continuous with the body 105 as shown in FIG. 1, or may be implement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nnector 130.
  • the cover 107 can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used by being coupled to the cover 107 and coupled to or mounted on an external cradle.
  • a battery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ver 107 .
  • a battery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rechargeable primary cell, a rechargeable secondary cell or a fuel cell.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may capture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one or more lenses, image sensors, image signal processors, or flashe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protective case (not shown) to protect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easily carry it, or a stand supporting or fixing the main body 105. (not shown), and may include a bracket (not shown) coupled to a wall or parti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by being connected to various external devices using a socket struct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amera device using a socket struct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use the projection unit 111 to provide an image stored in a connected camera device or an image currently being captur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module and supplied with power using a socket struct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using a socket structure,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using another interface (eg, USB, etc.).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projection unit 111 , a sensor unit 113 and a processor 114 .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output an image to be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the projection surface.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include a projection lens 110 .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perform a function of outputting an image on a projection surface.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unit 111 is described in FIG. 3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ject images in various ways.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include a projection lens 110 .
  • the projection surface may be a part of a physical space on which an image is output or a separate screen.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that obtains sensing data.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 sensor that senses data related to state information (or arrangement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time of flight (ToF) sensor.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pth camera, a distanc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Specifically, the processor 114 function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processor 114 obtain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horizontal tilt information, vertical tilt information, and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113, and obtains horizontal tilt information or vertical tilt information among the state information.
  •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horizontal tilt information, vertical tilt information, and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113, and obtains horizontal tilt information or vertical tilt information among the state information.
  • a keystone function is performed, and when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is obtained among the state information, a processor 114 that performs a leveling function and outputs a projected image to a projection surface.
  • the keystone fun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 the processor 114 may automatically perform the keystone function. Specifically, the processor 114 may automaticall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based on the obtained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horizontal tilt information and vertical tilt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among the state information,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btained horizontal tilt information and vertical tilt information. When the keystone funct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the keystone function may be described as an auto-keystone function.
  • the keystone function may be performed manually.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input or user's manipulation.
  • the user may use the keystone function to make the projected image rectangular by manipul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while viewing the projected image on the projection surface.
  • the leveling fun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 the processor 114 may automaticall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Specifically, the processor 114 may automaticall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based on the obtained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horizontal displacement information among state information is obtained,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based on the obtained horizontal displacement information. When the leveling funct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the leveling function may be described as an auto-leveling function.
  • the leveling function may be performed manually.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input or user's manipulation.
  • the user may use the leveling function to rotate the projected image by manipul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while viewing the projected image on the projection surface.
  •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sensing data through the sensor unit 113 .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that obtains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time of flight (ToF) sensor.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pth camera, a distanc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 the state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tilted.
  • 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horizontal tilt information, vertical tilt information, and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 the horizontal tilt information may represent the degree of horizontal rot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horizontal til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projection surface.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the projection surface and measure how much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dist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egree to which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horizontally distorted may be obtained as horizontal inclination information.
  • the processor 114 may use at least one of a depth camera, a distanc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3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 the vertical tilt information may indicate a degree of vertical rot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processor 114 may directly obtain vertical tilt information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3 .
  • vertical til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projection surface.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the projection surface and measure how much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vertically distorted.
  • the degree to which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dist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obtained as vertical inclination information.
  • the processor 114 may use at least one of a depth camera, a distanc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3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formation may represent a degree of rot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projection surface.
  • Horizontal tilt information, vertical tilt information, and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may be described as first axis rotation information, second axis rotation information, and third axis rota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 first axis rotation information first axis rotation information
  • second axis rotation information second axis rotation information
  • third axis rota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 state information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stat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FIG. 13 .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when at least one of horizontal tilt information and vertical tilt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among the state information.
  • the keystone function may be a function to solve a problem that a trapezoidal image is output on the projection surface due to the til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keystone function may be a function of correcting an image so that a trapezoidal image output on the projection surface is output as a rectangular or square image.
  • the keystone function can be described as keystone correction.
  • a keystone function performed based on horizontal tilt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horizontal keystone function
  • a keystone function performed based on vertical tilt inform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keystone function.
  • FIG. 18 a keystone function performed based on horizontal tilt information is described in FIG. 18 . Also, a keystone function performed based on vertical tilt information is described in FIG. 17 .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based on horizontal displacement information among state information.
  • the leveling function may mean a function of rotating an image.
  • the processor 114 may rotate the image by a specific angle using a leveling function and control output of the projected image.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using software.
  • the processor 114 may correct the image so that the rotated image is output using the leveling function.
  • the processor 114 may control the projection unit 111 to output the rotated image.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the leveling function using hardware.
  • the processor 114 may rotate the image by rotating the projection lens 110 included in the projection unit 111 .
  • the processor 114 may rotate an image by controlling a fixing member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fixing member may mean a member that contacts a specific surface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fixed.
  • the processor 114 may rotate or adjust the length of the fixing member to control an image to be rotated and output.
  •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a final projection image by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and control the projection unit 111 to output the final projection image to the projection surfa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provide a projection image suitable for the user.
  • the processor 114 may provide the projected image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 the processor 114 may output a corrected projection image after at least one of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is performed.
  • the processor 114 may output an original projected image before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are performed, and output a corrected projection image after at least one of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is performed.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 projection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 the projection direction may represent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to output the projection image.
  • the projection direction may include one of a horizontal forward direction, a horizontal vertical direction, a horizontal oblique direction, a vertical ceiling direction, and a vertical floor direction.
  • the processor 114 ma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based on the projection direction.
  • the forward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proj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 state where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horizontal wall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face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If the projection direction is a horizontal forward direction, the processor 114 can onl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 the horizontal up-down direction may be a proj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 stat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tilted up and down, although the projected surface of the horizontal wall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facing each other. If the projection direction is the horizontal vertical direction, the processor 114 can only perform the keystone function.
  • the horizontal oblique direction may be a proj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 stat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tilted up and down/left and right, although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horizontal wall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facing each other. If the projection direction is a horizontal oblique direction, the processor 114 can perform both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 the vertical ceiling direction may be a proj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 state where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ceiling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face each other. If the projection direction is the vertical ceiling direction, the processor 114 can only perform the keystone function.
  • the vertical floor direction may be a proj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 state where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floor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face each other. If the projection direction is the vertical floor direction, the processor 114 can only perform the keystone function.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the projection direction and selectively apply a keystone function or a level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ojection direction. Since the time required for image conversion increases when the two functions are used in all situations, the processing time can be reduced by omitting the keystone function or the leveling function in a specific situation as described above.
  • the processor 114 acqui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identifies a projection area where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and a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and generates a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It can be output to the projection area,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attern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color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processor 114 may determine the size and output focus of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based on sensing data acquired using the sensor unit 113 .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pth camera, a distanc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Further,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based on the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113 and may identify the projection surface from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 the projection surface may mean a surface on which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 the projection area may refer to a specific area where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among the entire areas of the projection surface.
  •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may include space information around the electronic device 100 .
  •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may include the size of the projection area, the location of the projection area, or state information between the projection area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
  • stat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ojection area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horizontal tilt information may indicate how mu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rotat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projection area.
  • the vertical tilt information may indicate how mu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rotated up and down based on the projection area.
  •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formation may indicate how much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ased on the projection area.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the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size of the projection area. Also, the processor 114 may correct the original image based on the size of the projected image. Also, the processor 114 may control the projection unit 111 to output a projection image corrected to the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to the projection area.
  •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pattern the projection surface includes. For example, if the projection surface includes a stripe pattern,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 position of a line object included in the projection surface. Also, the processor 114 may correct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line object.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in FIGS. 29 and 30 .
  •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at color the projection surface includes.
  • the processor 114 may correct the color of the projection image by considering the color of the projection surface.
  • the processor 114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preset object.
  • the preset obj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ne object, an edge object, a thing, and a person object.
  • the preset object may be set by the user.
  •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a photographed image of the fro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n object based on the obtained captured image.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whether a preset object is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For example,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n object made of lines included in a photographed image as a line object.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corner of the projection surface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as a corner object.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n object covering the projection surface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image as an object object.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n object having a human shape as a human object while covering the projection surface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 the preset object is a line object
  • the processor 114 may output the projection image so that the line object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projection image are parallel.
  • the operation of outputting the projection image so that the line object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projection image are parallel may mean an operation of outputting the outer portion (or outline) of the projection image at the location where the line object is output.
  • the processor 114 may output the projection image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ine object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projection imag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s the threshold value is smaller, a projected image closer to the line object may be output.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line object by identifying the line object.
  • the processor 114 may change the projection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line object. Specifically, the processor 114 may change the projection area so that one outer portion (or one outer line) of four outer portions (or outer lines) included in the line object and the projection area is parallel. Also, the processor 114 may control the projection unit 111 to output a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changed projection area.
  • Embodiments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a line object are described in FIGS. 29 and 30 .
  • the preset object is a corner object
  • the processor 114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on one projection surface among a plurality of projection surfaces divided into corner objects.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the corner object and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corner object.
  • the processor 114 may change the projection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corner object. Specifically, the processor 114 may change the location of the projection area so that the corner object is not included in the projection area. Also, the processor 114 may control the projection unit 111 to output a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changed projection area.
  • FIGS. 32 and 33 An embodiment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a corner object is described in FIGS. 32 and 33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and the processor 114 obtains vibration information based on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113, and when the vibration information is changed to a threshold value or more, A photographed image may be acquired through a camera, and a preset object may be identified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 the camera is described as hardware different from the sensor unit 113, but according to implementation examples,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 sensor that performs a camera function such as an image sensor.
  •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vibration information through a vibration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3 . And, if the vibration information is changed by more than a threshold value, the processor 114 may determine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disposed in a space with severe vibration.
  • severe vibration may mean a situation in which a projected image is output in a moving object such as a ship or an airplane.
  • it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a preset object only with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113 . This is because the positions of identified objects may continue to change due to vibration.
  • the processor 114 may acquire a photographed image by photographing the front (or surrounding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a camera when vibration information or vibration data is changed by a threshold value or more. Also,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 preset object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The photographed image is fixed data, and when an object is analyzed using the photographed image, accuracy may be much higher than simply using sensing data. Accordingly,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 preset object based on an image obtained through a camera instead of sensing data when the vibration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 the processor 114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UI)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function of rotating a projected image, a function of changing a size of a projected image, and a function of changing a position of a projected image.
  • UI user interface
  • the preset event may be an event in which a user's manual setting command is input or an event in which a projected image is output for the first time.
  • the preset event may be an event set to display a UI in order for a user to manually correct an image.
  • the processor 114 may provide a UI for manually correcting an image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 the processor 114 may provide a UI for manually correcting the image.
  • the keystone function or the leveling func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processor 114 and movement inform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obtained based on the sensing data of the sensor unit 113. At least one can be done.
  • the processor 114 obtains movement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based on the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113, and when the movement information is changed by a threshold value or more, at least one of a keystone function or a leveling function. can be done again.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first correction operation on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 the primary correction operation may refer to an operation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according to state information.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second correction operation on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 the secondary correction operation may refer to an operation of performing at least one of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according to movement information.
  •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processor 114 based on whether the sensing data changes. For example, the processor 114 may acquire sensing data in real time and acquire movement information in real time.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sensing data at each preset time and acquire movement information at each preset time.
  • the processor 114 may determine that the lo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has changed. When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hang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previously performed keystone function and leveling function again. Accordingly,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t least one of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aga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moved.
  • the processor 114 may newly perform the keystone function based on the horizontal tilt information measured at the second time point. can If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horizontal tilt information measured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horizontal tilt information measured at the second time point, the processor 114 may not perform a separate keystone function.
  • the processor 114 may newly perform the keystone function based on the vertical tilt information measured at the second time point. there is. If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vertical tilt information measured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vertical tilt information measured at the second time point, the processor 114 may not perform a separate keystone function.
  • the processor 114 may newl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based on the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measured at the second time point. there is. If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formation measured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horizontal displacement information measured at the second time point, the processor 114 may not perform a separate leveling function.
  • a communication interface 119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devices 200 and 300 is further included, and the processor 114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s 200 and 300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devices 200 and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a projection area where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may be identified.
  • the external devices 200 and 300 may refer to devices used to identify the projection area.
  • the external devices 200 and 300 may independently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9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xternal device 200 or 300 may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its loc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processor 114 may transmit the external device 200 or 300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external device 200 or 300. )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the projection area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s 200 and 300 . And, the processor 114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to the identified projection area.
  • the processor 114 may change a projection area where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 the location of the projection area may be changed. Accordingly, when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or 300 is changed,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t least one of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of the projection area. If only the horizontal tilt is changed and the vertical tilt is maintained,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only the horizontal keystone function.
  • FIGS. 37 to 39 Detailed descriptions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s 200 and 300 are described in FIGS. 37 to 39 .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of FIG. 2 in detail.
  •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projection unit 111, a memory 112, a sensor unit 113, a processor 114, a user interface 115, an input/output interface 116, an audio output unit ( 117), a power supply unit 118, a communication interface 119, and a shutter unit 120.
  •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is merely an embodiment, and some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and new configurations may be added.
  • the projection unit 111 is a component that projects an image to the outside.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use various projection methods (eg, a cathode-ray tube (CRT) metho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ethod,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method, and a laser method). etc.) can be implemented.
  • CTR cathode-ray tube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 laser method e.g., a laser method, etc.
  • the principle of the CRT method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a CRT monitor.
  • the CRT method enlarges the image with a lens in front of the cathode ray tube (CRT)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screen.
  • CTR cathode ray tube
  • red, green, and blue cathode ray tubes can be separately implemented.
  • the LCD method i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by transmitt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through a liquid crystal.
  • the LCD method is divided into a single-panel type and a three-panel type.
  •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s separated into red, green, and blue by a dichroic mirror (a mirror that reflects only light of a specific color and passes the rest) and transmits the liquid crystal. After that, the light can gather in one place again.
  • a dichroic mirror a mirror that reflects only light of a specific color and passes the rest
  • the DLP method i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using a 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chip.
  • the projection unit of the DLP method may include a light source, a color wheel, a DMD chip, a projection lens, and the like.
  • Light output from a light source may exhibit a color while passing through a rotating color wheel.
  • the light that passed through the color wheel is input to the DMD chip.
  • the DMD chip includes numerous micromirrors and reflects light input to the DMD chip.
  • the projection lens may play a role of enlarging light reflected from the DMD chip to an image size.
  • the laser method includes a diode pumped solid state (DPSS) laser and a galvanometer.
  • DPSS diode pumped solid state
  • the galvanometer includes a mirror and a high power motor to move the mirror at high speed.
  • a galvanometer can rotate a mirror at up to 40 KHz/sec.
  • the galvanometer is mounted according to the scanning direction. In general, since the projector scans in a plane, the galvanometer can also be arranged separately in the x and y axes.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light sources.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among a lamp, LED, and laser.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output an image in a 4:3 aspect ratio, a 5:4 aspect ratio, or a 16:9 wide aspect ratio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he user's settings, and may output an image in a WVGA (854*480) aspect ratio depending on the aspect ratio. ), SVGA(800*600), XGA(1024*768), WXGA(1280*720), WXGA(1280*800), SXGA(1280*1024), UXGA(1600*1200), Full HD(1920*1080) ), etc., can output images at various resolutions.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adjusting an output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4 .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zoom, keystone, quick corner (4 corner) keystone, and lens shift.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enlarge or reduce the imag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creen (projection distance). That is, a zoom fun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creen.
  • the zoom function may include a hardware method of adjusting the screen size by moving a lens and a software method of adjusting the screen size by cropping an image.
  • methods for adjusting the focus include a manual focus method and a motorized method.
  • the manual focus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manually focusing
  • the motorized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motor built into the projector when a zoom function is performed.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provide a digital zoom function through software, and may provide an optical zoom function that performs a zoom function by moving a lens through a driving unit.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If the height is not right for the front projection, the screen may be distorted up or down.
  • the keystone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correcting a distorted screen. For example, if distortion occur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screen, it can be corrected using the horizontal keystone, and if distortion occurs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corrected using the vertical keystone.
  • the quick corner (4 corner) keystone function corrects the screen when the central area of the screen is normal but the corner area is not balanced.
  • the lens shift function is a function that moves the screen as it is when the screen is out of the screen.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provide zoom/keystone/focus functions by automatically analy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projection environment without user input. Specifically, the projection unit 111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screen detected through sensors (depth camera, distance sensor, infrared sensor, illuminance sensor, etc.) and the spac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urrently located. Zoom/Keystone/Focus functions can be automatically provid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image and the amount of ambient light.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provide a lighting function using a light source.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provide a lighting function by outputting a light source using LEDs.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include one LED,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output a light source using a surface-emitting L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 the surface-emitting LED may refer to an LE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optical sheet is disposed above the LED so that light sources are uniformly distributed and output. Specifically, when the light source is output through the LED, the light source may be evenly dispersed through the optical sheet, and the light source dispersed through the optical sheet may be incident to the display panel.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provide a user with a dimming function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Specifically, when a user input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a light source is received from a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240 (eg, a touch display button or a dial), the projection unit 111 displays a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inpu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ED to output the intensity of.
  • the user interface 240 e.g, a touch display button or a dial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provide a dimming function based on the content analyzed by the processor 114 without user input.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control the LED to output the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based on information about currently provided content (eg, content type, content brightness, etc.).
  • the projection unit 111 may control the color temperatur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4 .
  • the processor 114 may control the color temperature based on content. Specifically, if the content is identified as being output,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color information for each frame of the content for which output is determined. Also, the processor 114 may control the color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color information for each frame. Here,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at least one main color of a frame based on color information for each frame. Also, the processor 114 may adjust the color temperature based on the obtained at least one primary color. For example, the color temperature controllable by the processor 114 may be classified into a warm type or a cold type.
  • a frame to be outp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utput frame) includes a scene in which a fire has occurred.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or obtain) that the main color is red based on the colo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urrent output frame. Also,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 col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main color (red). Here, the col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red may be a warm type. Meanwhile, the processor 114 may us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obtain color information or a primary color of a frame.
  •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the memory 1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communicabl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a lighting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light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 the ligh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rightness information and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set by an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connected to the same network as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an IoT device included in the same home/work network) or a device that is not on the same network as the electronic device 100 but can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 For example, a remote control server).
  • IoT device included in the same network as the electronic device 100 outputs red light with a brightness of 50.
  • the external lighting device may directly or indirectly transmit lighting information (e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red light is output with a brightness of 5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based on ligh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lighting device. For example, when ligh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lighting device includes information for outputting red light with a brightness of 50,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red light with a brightness of 5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a lighting function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user's biometric information.
  •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ser's body temperature, heart rate, blood pressure, respiration, and electrocardiogram.
  •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ensor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a sensor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based on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 the processor 114 may receive biometric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116 .
  • the external device may refer to a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 phone or a wearable device).
  • the processor 114 may obtain user's biometric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based on the obtained biometric information.
  • the electronic device may identify whether the user is sleeping, and if the user is identified as sleeping (or preparing for sleep), the processor 114 determines the light source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You can control the output.
  • the memory 112 may store at least one command rel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Also, an operating system (O/S)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12 . Also, various software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1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lso, the memory 112 may include a semiconductor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or a magnetic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 O/S operating system
  • various software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1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memory 112 may include a semiconductor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or a magnetic storage medium such as a hard disk.
  • various software modules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1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ocessor 114 executes various software modules stored in the memory 112.
  •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That is, the memory 112 is accessed by the processor 114, and data can be read/written/modified/deleted/updated by the processor 114.
  • the term memory 112 refers to a memory 112, a ROM (not shown) in the processor 114, a RAM (not shown), or a memory card (not shown) mount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For example, micro SD card, memory stick) may be used as a meaning including.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ilt sensor that senses the til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image sensor that captures an image.
  • the tilt sensor may be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 the image sensor may mean a camera or a depth camera.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various sensors other than a tilt sensor or an image sensor.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and a distance sensor.
  •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 lidar sensor.
  • User interface 115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 user interface 115 may include physical buttons.
  • the physical button may include a function key, a direction key (eg, a 4-direction key), or a dial button.
  • the physical button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keys.
  • the physical button may be implemented as one key.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in which one key is pressed for a critical period of time or longer.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For example, processor 114 may provide a lighting function based on user input.
  • the user interface 115 may receive a user input using a non-contact method.
  • a contact method physical force must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regardless of physical force may be required.
  • the user interface 115 may receive a user gesture and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gesture.
  • the user interface 115 may receive a user's gesture through a sensor (eg, an image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 the user interface 115 may receive a user input using a touch method.
  • the user interface 115 may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a touch sensor.
  • the touch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 non-contact method.
  • the touch sensor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s body has approached within a critical distance.
  • the touch sensor may identify a user input even when the user does not contact the touch sensor.
  • the touch sensor may identify a user input in which a user contacts the touch senso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user input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user interfa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an external remote control device.
  • the external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a remote contro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eg, an electronic device-specific control device) or a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g, a smartphone or a wearable device).
  •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store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obtain a user input through a stored application and transmit the acquired user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from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using voice recogni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s voice through a microphone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s voice from a microphone or an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may acquire a user voice through a microphone of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the obtained user voic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user's voice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may be audio data or digital data obtained by converting the audio data (eg, audio data converted into a frequency domai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user vo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a user's voice through a microphon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vert the received audio data into digital data.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vert the converted digital data into text data using a speech to text (STT) function.
  • STT speech to text
  • the STT (Speech To Text) function may be performed directly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 a speech to text (STT)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an external serve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transmit digital data to an external server.
  • the external server may convert digital data into text data and obtain control command data based on the converted text data.
  • the external server may transmit control command data (this time, text data may also be inclu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based on the obtained control command data.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using one assistant (or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eg, BixbyTM, etc.),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rough a plurality of assistants.
  •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may be provid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by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assists based on a trigger word corresponding to the assist or a specific key present on the remote control.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using screen interaction.
  • Screen interaction may refer to a function of identifying whether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through an image projected on a screen (or a projection surface) by an electronic device and acquiring a user input based on the predetermined event.
  • the predetermined event may refer to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object is identified at a specific location (eg, a location where a UI for receiving a user input is projected).
  • the predetermined objec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s body part (eg, a finger), a pointing stick, and a laser poi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projected UI has been received.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ject a guide image to display a UI on the screen.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identify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projected UI.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the user has selected the projected UI when a predetermined event is identified at the location of the projected UI.
  • the projected UI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item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spatial analysis to identify whether a predetermined event is located at the location of the projected UI.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spatial analysis through a sensor (eg, an image sensor, an infrared sensor, a depth camera, a distance sensor, etc.).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at a specific location (the location where the UI is projected) by performing spatial analysis. And, if it is identified that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at a specific location (the location where the UI is project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at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UI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has been received.
  • the input/output interface 116 is a component for inputting/outputting at least one of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 the input/output interface 116 may receive at least one of audio and video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and output a control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 the input/output interface 116 include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USB C-type, DP (Display Port), Thunderbolt, VGA (Video Graphics Array) port, RGB port, D-SUB (Dsubminiature) and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wired input/output interface.
  • the wired input/output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rface for inputting/outputting only audio signals and an interface for inputting/outputting only video signals, or may be implemented as one interface for inputting/outputting both audio and video signal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data through a wired input/output interface,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wired input/output interfa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battery through USB C-type or from an outlet through a power adapter.
  • an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eg, a laptop computer or a monitor) through a DP.
  • the input/output interface 116 is Wi-Fi, Wi-Fi Direct, Bluetooth, Zigbee, 3rd Generation (3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and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It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input/output interfac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 the wireless input/output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rface for inputting/outputting only audio signals and an interface for inputting/outputting only video signals, or may be implemented as one interface for inputting/outputting both audio and video signals.
  • an audio signal may be input through a wired input/output interface, and a video signal may be input through a wireless input/output interface.
  • an audio signal may be input through a wireless input/output interface and a video signal may be input through a wired input/output interface.
  • the audio output unit 117 is a component that outputs an audio signal.
  • the audio output unit 117 may include an audio output mixer, an audio signal processor, and a sound output module.
  • the audio output mixer may synthesize a plurality of audio signals to be output into at least one audio signal.
  • the audio output mixer may combine an analog audio signal and another analog audio signal (eg, an analog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into at least one analog audio signal.
  • the sound output module may include a speaker or an output terminal.
  • the sound output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eakers, and 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module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sound emitted by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diaphragm of the sound output module may be emitted through a sound conduit ( waveguide)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 the sound output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since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sound can be emitted in all directions, that is, in all directions of 360 degrees.
  • the power supply unit 118 may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y power to various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power supply unit 118 may receive power through various methods. As an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18 may receive power using the connector 130 shown in FIG. 1 .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18 may receive power using a 220V DC power cor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power using a USB power cord or a wireless charging method.
  • the power supply unit 118 may receive power using an internal battery or an external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power through an internal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18 may charge power of an internal battery using at least one of a 220V DC power cord, a USB power cord, and a USB C-Type power cord, and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charged internal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1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power through an external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18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external battery.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18 may directl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battery, or may charge an internal battery through an external battery and receive power from the charged internal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18 may receive power us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methods described abov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have power consumption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eg, 43W) due to a socket type and other standard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vary power consump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using a battery.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vary power consumption based on a power supply method and power usag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various smart functions.
  •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screen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through a user input in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mobile terminal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including a touch display,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and outputs screen data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device from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inputs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device.
  • a screen out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 inpu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hare content or music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by connecting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Miracast, Airplay, wireless DEX, and Remote PC.
  •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various connection methods.
  •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may perform a wireless connection by searching for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search fo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erform a wireless connec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or music currently being output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hile specific content or music is being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brought closer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eg, non-contact tap view), or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close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eg, non-contact tap view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content or music currently being output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hen a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utputs a first screen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first screen is provided by a different portable terminal device.
  • a second screen may be output.
  • the first screen may be a screen provided by a first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second screen may be a screen provided by a secon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first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may be different screens provided by on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 the first screen may be a screen including a remote control type UI for controlling the second scree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tandby scree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tandby scree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tandby screen.
  • Conditions for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output the standby scree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the standby screen may be output under various condition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standby screen in the form of a blue screen,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n irregular object by extracting only the shape of a specific object from data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output an idle screen including the acquired irregular object.
  • the shutter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hutter, a fixing member, a rail, a body, or a motor.
  • the shutter may block light output from the projection unit 111 .
  • the fixing member may fix the position of the shutter.
  • the rail may be a path for moving the shutter and the fixing member.
  • the bod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hutter and a fixing member.
  • the motor may be a component that generates driving power for movement (eg, movement of the body) or rotation (eg, rotation of the shutter) of components in the shutter unit 120 .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support (or referred to as a “handle”) 108a.
  • the support 108a of various embodiments may be a handle or a hook provided for a user to grip or move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he support 108a may be a main body ( 105) may be a stand supporting the.
  • the support 108a may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in a hinge structure, and may be selectively separated and fix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 the number, shape or arrangement of the supports 108a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out limitation.
  • the support 108a is built into the main body 105 and can be taken out and used by the user as needed, or the support 108a can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accessory and detachable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re is.
  • the support 108a may include a first support surface 108a-1 and a second support surface 108a-2.
  • the first support surface 108a-1 may be a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body 105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108a is separ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5
  • the second support surface 108a-2 is the support (108a) may be a surface facing the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5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 the first support surface 108a-1 is develop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5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5 and may move away from the body 105, and the first support surface 108a-1 is flat or uniformly curved. can have a shape.
  • the first support surface 108a-1 is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5 touches the bottom surface, that is, when the projection lens 110 is disposed facing the front direction, the body ( 105) can be supported.
  • the angle of exit of the head 103 and the projection lens 110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upports 108a or the hinge opening angle.
  • the second support surface 108a-2 is a sur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 or an external mounting structure when the support 108a is supported by the user or an external mounting structure, and prevents the user from slipping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supported or moved. It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ipping structure of the hand or the external mounting structure. The user may direct the projection lens 110 toward the front, fix the head 103, hold the support 108a, move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use the electronic device 100 like a flashlight.
  • the support groove 104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05 and is a groove structure that can be accommodated when the support rod 108a is not in use, and as shown in FIG. It can be implemented as a home structure. Through the support groove 104, the support 108a can be stor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when the support 108a is not in us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can be kept smooth.
  • the support 108a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108a is stored inside the body 105 and the support 108a is pulled out of the body 105 in a situation where the support 108a is needed.
  • the support groove 104 may have a structure drawn into the main body 105 to accommodate the support rod 108a,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108a-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or a separate support rod.
  • a door (not shown) that opens and closes the groove 104 may be includ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accessories that help use or store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the electronic device 100
  • a protective case (not shown) may be included to protect and easily transport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being coupled to a tripod (not shown) or an external surface that supports or fixes the main body 105. Possible brackets (not shown) may be included.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support (or referred to as a “handle”) 108b.
  • the support 108b of various embodiments may be a handle or a hook provided for a user to grip or move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he support 108b may be a main body ( 105) may be a stand that supports it so that it can be directed at an arbitrary angle.
  • the support 108b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5 at a predetermined point (eg, 2/3 to 3/4 of the height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105. .
  • a predetermined point eg, 2/3 to 3/4 of the height of the main body
  • the main body 105 can be supported at an arbitrary angle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105 is laid down in the lateral direc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support (or referred to as a “stand”) 108c.
  • the support 108c of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base plate 108c-1 provided to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100 on the ground and two support members 108c connecting the base plate 108-c and the main body 105. -2) may be included.
  • the two support members (108c-2) have the same height, so that one end surface of the two support members (108c-2) is provided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5 and the hinge member (108c). -3) can be combined or separated.
  • the two supporting members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5 at a predetermined point (eg, 1/3 to 2/4 of the height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105 .
  • the main body 105 is rotated based on the imaginary horizontal axis formed by the two hinge members 108c-3 so that the projection lens 110 The emission angle of can be adjusted.
  • FIG.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wo support members 108c-2 are connected to the body 105
  •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support member and the body as shown in FIGS. 7 and 8 ( 105) may be connected by one hinge member.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tated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of FIG. 7 .
  • the support 108d of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base plate 108d-1, a base plate 108-c, and a body 105 provided to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100 on the ground. It may include one support member (108d-2) connecting the.
  • one support member 108d-2 may be coupled or separated by a groove provided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5 and a hinge member (not shown).
  • the supports shown in FIGS. 4, 5, 6, 7, and 8 are merely examples,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have supports in various positions or shapes.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performing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a projection direction (S90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e projection direction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projection surface information (S91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projection surface information using a ToF sensor or a camera.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t least one of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based on projection direction and projection surface information.
  •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orizontal inclina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1011 on the projection surface 10 in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 the horizontal slope is zero.
  • the horizontal inclination may mean a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the left or right toward the fro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1021 on the projection surface 10 in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 the horizontal inclination 1022 is 30 degree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ed image 1021 to the right by 30 degrees from the projection surface 10 to the right.
  • the horizontal inclination may mean a yaw rotation angle based on the z axis.
  •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ertical inclina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not shown) on a projection surface (not shown) in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 the vertical inclination is 0 based on the virtual horizontal line 1111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vertical inclination may mean a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upward or downward toward the front.
  • the projected image may be output horizontally.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not shown) on a projection surface (not shown) in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 the vertical inclination 1122 is 30 degrees.
  • the vertical inclination 1122 may refer to an angle between a virtual horizontal line 1111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virtual line 1121 view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not shown) upward by 30 degrees upward on the projection surface (not shown).
  • the vertical inclination may mean a pitch rotation angle based on the y-axi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not shown) without horizontal distortion.
  • a criterion without horizontal distortion is indicated by a horizontal line 1211.
  • the reference horizontal line and the horizontal lin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incid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horizontally tilted 1222 by 30 degrees to the right.
  •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horizontal line 1211 and the horizontal line 1221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s much as the horizontal distortion 1222 .
  • Horizontal distortion may mean a roll rotation angle based on the x-axis.
  •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rizontal distortion, horizontal inclination, and vertical inclin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 Rotation around the x-axis can be defined as roll, rotation around the y-axis as pitch, and rotation around the z-axis as yaw.
  •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described as the rotation direction defined in the embodiment 1310.
  • the horizontal inclination described in FIG. 10 may correspond to a yaw rotating about the z-axis.
  • the vertical inclin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may correspond to a pitch rotating about the y-axis.
  • the horizontal distortion described in FIG. 12 may correspond to a roll rotating about the x-axi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horizontal keystone correction based on the horizontal tilt (yaw rotating on the z axis). Als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vertical keystone correction based on a vertical inclination (a pitch rotating about the y-axis).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leveling correction based on horizontal displacement (roll rotating about the x-axis).
  •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j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Referring to FIG.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1411 on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10-1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10-1 may mean a wall surface of the projection spa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1421 on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10-2 in a vertical direction (floor to ceiling).
  •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10 - 2 may mean the ceiling surface of the projection spa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1431 on the third projection surface 10-3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 the third projection surface 10 - 3 may mea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jection space.
  •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operation considering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forward direction) (S150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 horizontal inclination (S151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based on the horizontal inclina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projection surface (S1520). 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e size of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S1525). 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finally output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identified size of the projected image (S1530).
  •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operation considering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in a state where a vertical tilt exists (S160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 vertical inclination (S16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based on the vertical inclination (S1615). 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corrected projection image after performing the keystone function (S1620).
  •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keystone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a vertical inclina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state where a vertical inclination exist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1721 in a state in which a vertical inclination exists, and because of the vertical inclination, the projected image 1721 is a trapezoid rather than a rectangle in the form of an original image. can be output in the form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so that the projected image 1731 finally outputted by transforming the original image has a rectangular shape.
  •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keystone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a horizontal inclina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state where a horizontal inclination exist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1821 in a state where a horizontal inclination exists, and because of the horizontal inclination, the projected image 1821 is a trapezoid rather than a rectangle in the form of an original image. can be output in the form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so that the projected image 1831 finally outputted by transforming the original image has a rectangular shape.
  • 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operation considering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tilts present (S190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lopes (S19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based on the horizontal inclination (S191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based on the vertical inclination (S1920). Meanwhile, the order of steps S1915 and S192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manual manipulation is additionally required after performing the keystone function (S192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use a user input or a captured image.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providing a manual manipulation UI is receiv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manual manipulation is additionally requir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 captured image by capturing a projected image output after performing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aptured image is normally corrected. If it is identified that the projected image included in the captured image is not rectangular,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additional manual manipulation is requir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directly output a projected image (S1930). If it is determined that manual manipulation is necessary (S1925-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a manual manipulation UI (S1935). Als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projection setting based on the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manual manipulation UI (S1940). 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changed projection setting (S1930).
  •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leveling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horizontal distor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state where a horizontal distortion exist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2021 in a state where the horizontal distortion exists, and because of the horizontal distortion, the projected image 2021 is output in a horizontally rotated state. It can b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so that a rotated projection image 2031 is output.
  •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2111 in a state where a horizontal tilt and a horizontal distortion exist. Due to the horizontal inclination, the projected image 2111 may be output in a trapezoidal shape. In order to solve a problem caused by the existence of a horizontal inclina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so that the projected image 2121 finally outputted by transforming the original image has a rectangular shape. However, since horizontal distortion still exists, the rectangular projected image 2121 may be output in a horizontally rotated state. In order to solve a problem caused by the presence of horizontal displace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leveling function so that a rotated projection image 2131 is outpu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both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to provide a non-slanting rectangular image to the user.
  • FIG. 2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operation considering a vertical proj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in a vertical projection direction from the floor to the ceiling (S220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 vertical inclination (S22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based on the vertical inclination (S221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2220). If a preset object is not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2220-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rectly output a projection image (S222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reset object (S2230).
  • the meaning of the operation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preset object may mean an operation of avoiding the preset object and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or an operation of matching the output location of the projected image with the preset object.
  • FIG.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jection operation considering a vertical projection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vertical projection direction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S230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 vertical inclination (S23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based on the vertical inclination (S231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2320). If a preset object is not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2320-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irectly output a projection image (S232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reset object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S233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reset object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S2335).
  • 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manual manipulation UI.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a first user input for manual manipulation (S240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ovide a manual manipulation UI based on the first user input (S2410). Als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t least one of a function of rotating the projected image, changing the size of the projected image,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second user input (S2415).
  • 2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otation function of a projected imag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2511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user even after at least one of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is performed. Projected images that the user does not want may be output due to problems other than the horizontal inclination, vertical inclination, and horizontal distortion.
  •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ojected image may be a direction not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otate and output the projected imag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ion image 2521 in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 image 2511 of the embodiment 2510 is rotated by 45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ion image 2531 in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 image 2521 of the embodiment 2520 is rotated by 45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otate the projected image at intervals of 45 degrees.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otate the projected image at intervals of 90 degrees. If the projected image is rotat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the projected image 2511 of the embodiment 2510 may be directly rotated to the projected image 2531 of the embodiment 2530.
  • the interval between projection image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 2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changing the size and position of a projected imag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2611 on the projection surfa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size of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a user input or a preset event.
  • the preset event may mean an event in which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size of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location of a preset objec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ion image 2621 by changing the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2611 of the embodiment 2610. And, here,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projected position of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a user input or a preset event.
  • the preset event may mean an event in which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location of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location of a preset objec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the output position of the projected image 2621 of the embodiment 2620. Based on the changed posi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2631.
  • 2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specifying a projection area.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2711 on the projection surface 10 .
  • Embodiment 2710 may be a situation in which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in a general situa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a preset object 11 on the projection surface 10.
  • the preset object 11 may mean an object used to output a projection imag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the position of the preset object 11 and acquire the projection area 11 - 1 where a projection image can be output to the preset object 11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ed image 2721 to the projection area 11-1.
  • the projected image 2721 may be an image in which the size of the original projected image 2711 is changed and the projected position is changed.
  • 2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erformed when the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hanged.
  •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S2805).
  • the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may be described as a power supply state or a normal operating stat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nalyze the projection surface (S28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keystone function and a leveling function (S281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physical movement (S2820).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position or rot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hanged by a threshold value or more during projection. For example, it may be identified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moved to another space or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changed.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or not the physical arrangement has chang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as it is (S282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rotating the projected image (S2830). 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peat the projection surface analysis operation (S2810) and the keystone function and leveling function execution operation (S2815). Meanwhil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operation S2830 may be omitted.
  • 2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when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on a projection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horizontal projection direction (S290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a captured image of the projection surface (S29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line object is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291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ed image as it is (S292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line object (S2925).
  • a specific situation considering the position of a line object is described in FIG. 30 .
  • FIG. 3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a preset objec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at least one line object 11-1, 11-2, 11-3, and 11-4 on the projection surface 10. there i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ed image 3011 as it is without considering the line object. If the line object is not considered, the projected image 3011 overlaps with the line object, and visibility may deteriorat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3021 considering the positions of the line objects 11-1, 11-2, 11-3, and 11-4.
  • the electronic device 100 acquires the positions of the line objects 11-1, 11-2, 11-3, and 11-4, and places the line objects 11-1, 11-2, 11-3, and 11-4. Based on the location of -4), at least one of the size or output location of the projected image may be changed.
  • the electronic device 100 sets at least one of the size or output position of the projected image so that the area where the projected image is output does not overlap with the line objects 11-1, 11-2, 11-3, and 11-4.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ion image such that the outer portion of the projection image is parallel to the line objects 11-1, 11-2, 11-3, and 11-4.
  • the projection image may be output such that the outer portion of the projection image is output within a critical distance from the line objects 11-1, 11-2, 11-3, and 11-4.
  • the embodiment 3020 may be a situation in which a projected image is output in a state in which a number close to 0 (eg, 0.1 cm) is applied as the threshold distance.
  • the projection image may be changed by considering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line objects 11-1, 11-2, 11-3, and 11-4.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size or output position of the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uppermost and leftmost (leftmost) line objects.
  • 3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device 100 vibrate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vibration information (S310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vibration information through at least one of a vibration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 vibra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S311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ed image as it is (S312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a captured image of the projection surface (S311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identify the line object on the projection surface (S3120). Here, if the line object is not identified (S3120-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ed image as it is.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line object (S3130).
  • 32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operation performed when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on a projection su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vertical projection direction from the floor to the ceiling (S3205). T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 captured image of the projection surface (S32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S3215).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corner object is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3220). If a corner object is not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3220-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using only distance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S3225). If a corner object is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3220-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position of the corner object (S3230).
  • 3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a corner portion of a wall.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10-1 and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10-2.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identify the corner object 11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10-1 and the second projection surface 10-2.
  • the corner object 11 may mean a boundary line of an adjacent wall surfa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3301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rner object.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ed image 3301 at a location separated by a critical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corner object 11 . Also,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corner object 11 and the projected image 3301 not to overlap.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100 displays the projected image 3301 on the wall of any one of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10-1 or the first projection surface 10-2 classified based on the corner object 11. can be printed out.
  • 3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when a predetermined object is identified on a projection su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vertical projection direction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S340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 captured image of the projection surface (S341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both the table object and the human object are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3415). When neither the table object nor the human object is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3415-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ion image as it is (S3420). If at least one of the table object and the human object is not identifie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ed image as it is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operation.
  • An operation of identifying a table object may mean using the table as a projection surfa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whether there are a plurality of person objects (S3425). If there are not a plurality of human objects (S3425-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rotating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human object (S343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S342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rotating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human objects (S343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S3420).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the gaze direction of the human object.
  • the gaze direction may refer to dir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a person is looking.
  • the processor 114 may identify a gaze direction of the human object by recognizing a fac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human object.
  • the gaze direc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a real person is looking, but may mean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direction a person can look.
  • the processor 114 may perform a rotation function of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human eye line.
  • the rotation function may refer to a function of controlling in which direction the projected image is output.
  • the rotation function may be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a projection direction.
  • the processor 114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the first direction.
  • the processor 114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n averag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 the processor 114 moves 90 degrees counterclockwise from the first gaze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the projected image by rotating it.
  • the output projection image may be an image rotated 90 degrees in a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second viewing direction and then output.
  • the processor 114 determines the first and second gaze directions Projection images can be output in the middle direction of .
  • the processor 114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by rotating the projection image by 45 degrees from the first viewing direction to the second viewing direction.
  • the outputted projection image may be a projected image rotated by 45 degrees in the first viewing direction based on the second viewing direction.
  • 3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when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on a projection su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in a vertical projection direction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S3505).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a captured image of the projection surface (S351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a human foot object is identified on the projection surface (S3515). If the human foot object is not identified (S3515-N),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the projected image as it is (S3520).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erform a rotation function of the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human foot object (S3525). A specific example is described in FIG. 26 .
  • 3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a user's foot objec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3611 in a general situatio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e user's foot object 11.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ntrol the projected image to be rotated based on the direction and position of the user's foot object.
  • the direction of the foot object may be used to identify where the user is standing.
  • the position of the foot object may be used to specify the projection area.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otate the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foot object and determine the projection are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oot object.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finally output the projected image 3621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standing.
  • the embodiment 3620 can output a projection image suitable f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standing, and thus can provide a projection image suitable for the user.
  • 3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an external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an external device through which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erformed (S3705).
  • the external device through whic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de is not identified (S3705-N)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peatedly identify the external device through whic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de.
  •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portable scree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a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indicating a projection area.
  • a description related to the portable scree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8 .
  • a description related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9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S37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ed imag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 3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ed image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a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screen 200 as an external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screen 2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e projection area 3811 of the entire area of the projection surface 1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screen 2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to the identified projection area 3811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previously store size information of the portable screen 200 .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screen 200 in real time and identify the size of the projected image and the projection area where the projected image is projected based on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portable screen 200. there is.
  •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constantly identify an appropriate projection area 3821. there is.
  • 3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utputting a projection image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300 as an external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3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dentify the projection area 3911 of the entire area of the projection surface 1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300 .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output a projection image to the identified projection area 3911 .
  •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constantly identify an appropriate projection area 3921.
  • 4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horizontal tilt information, vertical tilt information, and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S4005), among the status information.
  •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horizontal tilt information, vertical tilt information, and horizontal distortion information (S4005), among the status information.
  • S4010 keystone function
  • leveling function S4015
  • outputting the projection image on the projection surface S4020.
  • control method includes acqui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identifying a projection area where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and a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and generating a projection image based on the size of the projection image. It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o the projection area,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jection surfa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attern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color information of the projection surface,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rojection surfa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
  •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when a preset object is identified, outputting a projection image in consideration of a location of the preset object.
  • outputting the projection image may further include, if the line object is identified, outputting the projection image such that the line object and an outer portion of the projection image are parallel.
  • outputting the projection image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the projection image on one projection surface among a plurality of projection surfaces divided into corner objects.
  •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cquiring a captured image and identifying a preset object based on the captured image when vibration inform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s acquired.
  • control method includes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a function of rotating a projected image, a function of changing a size of a projected image, and a function of changing a position of a projected image when a predetermined event is identified.
  • UI user interface
  • control method performs at least one of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whe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obtained after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keystone function and the leveling function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 a redoing step may be further included.
  • control method includes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external devices 200 and 300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identifying a projection area where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s 200 and 300. It may further include steps to do.
  •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whe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s 200 and 300 is changed, changing a projection area where a projection image is output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전자 장치는 프로젝션부, 센서부 및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평 기울기 정보, 수직 기울기 정보 또는 수평 틀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태 정보 중 수평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키스톤(keystone) 기능을 수행하고, 상태 정보 중 수평 틀어짐 정보가 획득되면, 레벨링(leveling) 기능을 수행하고, 투사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도록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100)의 배치 상태를 고려하여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가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배치 및 투사면을 향하는 투사 방향에 따라서 투사 이미지를 보정하여 투사 이미지를 최종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를 보정하는 대표적인 예시는 키스톤 보정이 있을 수 있다. 키스톤 보정은 사다리꼴 형태의 이미지를 직사각형 형태로 보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가 투사면을 향해 투사하는 방향에 다라서 키스톤 보정의 필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자동으로 키스톤 보정이 수행되는 기능은 키스톤(keystone) 기능일 수 있다.
하지만, 키스톤 보정 이외에 레벨링(leveling) 기능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레벨링은 투사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이미지를 회전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투사면을 향해 정확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이미지 보정 동작이 필요가 없지만, 사용자가 직접 전자 장치(100)를 배치하는 경우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미세하게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키스톤 보정만을 수행하는 경우 수평 뒤틀림이 발생한 상황에서 투사 이미지가 일부 회전되어 출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투사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이미지를 보정하기 위해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젝션부,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평 기울기 정보, 수직 기울기 정보 또는 수평 틀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 중 수평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키스톤(keystone)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상태 정보 중 수평 틀어짐 정보가 획득되면, 레벨링(leveling) 기능을 수행하고, 투사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 및 상기 투사 이미지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투사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투사 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는 투사면의 패턴 정보, 투사면의 색상 정보, 투사면 및 상기 전자 장치 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선 오브젝트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상기 선 오브젝트와 상기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이 평행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모서리 오브젝트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서리 오브젝트로 구분되는 복수의 투사면 중 하나의 투사면에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임계값 이상의 진동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식별되면,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 투사 이미지의 크기 변경 기능 또는 투사 이미지의 위치 변경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스톤 기능 또는 상기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이후, 상기 센서부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임계값 이상의 이동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키스톤 기능 또는 상기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수평 기울기 정보, 수직 기울기 정보 또는 수평 틀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 중 수평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키스톤(keystone)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 중 수평 틀어짐 정보가 획득되면, 레벨링(leveling)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투사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 및 상기 투사 이미지의 크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투사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는 투사면의 패턴 정보, 투사면의 색상 정보, 투사면 및 상기 전자 장치 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선 오브젝트이고, 상기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상기 선 오브젝트와 상기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이 평행하도록 상기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모서리 오브젝트이고, 상기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모서리 오브젝트로 구분되는 복수의 투사면 중 하나의 투사면에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임계값 이상의 진동 정보가 획득되면,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이벤트가 식별되면,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 투사 이미지의 크기 변경 기능 또는 투사 이미지의 위치 변경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스톤 기능 또는 상기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이후, 임계값 이상의 이동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키스톤 기능 또는 상기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자 장치(100)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수평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수직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수평 틀어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전자 장치의 수평 틀어짐, 수평 기울기 및 수직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전자 장치의 투사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수평 투사 방향을 고려한 투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평 투사 방향을 고려한 투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수직 기울기를 고려하여 키스톤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수평 기울기를 고려하여 키스톤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평 투사 방향을 고려한 투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수평 틀어짐을 고려하여 레벨링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직 투사 방향을 고려한 투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직 투사 방향을 고려한 투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수동 조작 UI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는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투사 이미지의 크기 변경 기능 및 위치 변경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투사 영역을 특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전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투사면에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경우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은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전자 장치의 진동 여부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투사면에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경우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3은 벽의 모서리 부분을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투사면에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경우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투사면에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경우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6은 사용자의 발 오브젝트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린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장치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헤드(103), 본체(105), 프로젝션 렌즈(110), 커넥터(130) 또는 커버(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0)는 벽 또는 스크린으로 영상을 확대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젝터 장치는 LCD 프로젝터 또는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사용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프로젝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가정용 또는 산업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조명 장치일 수 있으며, 음향 모듈을 포함하는 음향 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기기들의 둘 이상의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의 조작에 따라 프로젝터 기능은 오프되고 조명 기능 또는 스피커 기능을 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또는 음향 장치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마이크 또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AI 스피커로 활용될 수 있다.
본체(105)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으로, 본체(105)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 부품(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지지하거나 보호할 수 있다. 본체(105)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에 가까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원뿔, 구와 같은 다양한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크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초소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테이블에 거치하거나 조명 장치에 결합 가능한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5)의 재질은 사용자의 지문 또는 먼지가 묻지 않도록 무광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의 외관은 매끈한 유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5)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옮길 수 있도록 마찰 영역이 본체(105)의 외관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105)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절곡된 파지부 또는 지지대(108a, 도 4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10)는 본체(105)의 일 면에 형성되어, 렌즈 어레이를 통과한 광을 본체(105) 외부로 투사하도록 형성된다. 다양한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10)는 색수차를 줄이기 위하여 저분산 코팅된 광학 렌즈일 수 있다. 프로젝션 렌즈(110)는 볼록 렌즈 또는 집광 렌즈일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의 프로젝션 렌즈(110)는 복수의 서브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프로젝션 렌즈(110)를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헤드(103)는 본체(105)의 일 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 범위에서 스위블 가능하도록 본체(105)와 결합될 수 있다.
헤드(103)는 사용자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스위블되어 프로젝션 렌즈(110)의 투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헤드(103)는 본체(105)와 결합되며 본체(105)로부터 연장되는 넥을 포함하여, 헤드(103)는 젖혀지거나 기울어지며 프로젝션 렌즈(110)의 투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본체(105)의 위치 및 각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103)의 방향을 조정하며 프로젝션 렌즈(110)의 출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광 또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3)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한 뒤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5) 외주면에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오디오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가 전자 장치(100)의 본체(105)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 음성 출력 등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5) 내부에는 방열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방열 팬(미도시)이 구동되면 복수의 개구를 통하여 본체(105) 내부의 공기 또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고, 전자 장치(1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3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30)는 외부 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30)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연결하거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30)는 HDMI 연결 단자, USB 연결 단자, SD 카드 수용 홈, 오디오 연결 단자 또는 전력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블루투스, Wi-Fi 또는 무선 충전 연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30)는 외부 조명 장치에 연결되는 소켓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조명 장치의 소켓 수용 홈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소켓 구조의 커넥터(130)의 사이즈 및 규격은 결합 가능한 외부 장치의 수용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제 규격 E26에 따라, 커넥터(130)의 접합 부위의 지름은 26 mm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구를 대체하여 스탠드와 같은 외부 조명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기존 천장에 위치한 소켓에 체결 시, 전자 장치(100)는 위에서 아래로 프로젝션되는 구조로서, 소켓 결합에 의해 전자 장치(100)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화면 역시 회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소켓 결합이 되어 전원 공급이 되는 경우라도 전자 장치(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전자 장치(100)는 천장의 스탠드에 소켓 결합된 상태로 헤드(103)가 본체(105)의 일 면에서 스위블되며 출사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화면을 출사하거나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커넥터(130)는 결합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 센서는 커넥터(130)와 외부 장치의 결합 여부, 결합 상태 또는 결합 대상을 센싱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감지값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커버(107)는 본체(105)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커넥터(130)가 상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넥터(130)를 보호할 수 있다. 커버(107)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와 연속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커넥터(1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커버(107)는 전자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에 결합되어 외부 거치대에 결합되거나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전자 장치(100)는 커버(107) 내부에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스탠드(미도시), 벽면 또는 파티션에 결합 가능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의 카메라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연결된 카메라 장치에 저장된 영상이나 현재 촬영 중인 영상을 프로젝션부(111)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소켓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다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등)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젝션부(111), 센서부(113) 및 프로세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1)는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1)는 프로젝션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1)는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1)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에서 기술한다. 여기서, 프로젝션부로 기재되었지만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션부(111)는 프로젝션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면은 이미지가 출력되는 물리적 공간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스크린일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13)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13)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또는 배치 상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3)는 가속도 센서, ToF(Time of Flight)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3)는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3)는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세서(114)는 센서부(113)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평 기울기 정보, 수직 기울기 정보 또는 수평 틀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태 정보 중 수평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키스톤(keystone) 기능을 수행하고, 상태 정보 중 수평 틀어짐 정보가 획득되면, 레벨링(leveling) 기능을 수행하고, 투사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는 프로세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방식에 따라 키스톤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4)는 키스톤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획득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키스톤 기능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 중 수평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프로세서(114)는 획득된 수평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키스톤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경우, 키스톤 기능은 오토 키스톤(auto-keystone) 기능으로 기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키스톤 기능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투사면에 투사된 이미지를 보면서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여 투사된 이미지가 직사각형이 되도록 키스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방식에 따라 레벨링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4)는 레벨링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획득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 중 수평 틀어짐 정보가 획득되면, 프로세서(114)는 획득된 수평 틀어짐 정보에 기초하여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레벨링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경우, 레벨링 기능은 오토 레벨링(auto-leveling) 기능으로 기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레벨링 기능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투사면에 투사된 이미지를 보면서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여 투사된 이미지가 회전 되도록 레벨링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센서부(113)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13)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3)는 가속도 센서, ToF(Time of Flight)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3)는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100)가 기울어져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정보는 수평 기울기 정보, 수직 기울기 정보 또는 수평 틀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기울기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좌우 회전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수평 기울기 정보는 투사면을 기준으로 획득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투사면을 식별하고,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가 수평 방향으로 어느 정도 틀어져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가 수평 방향으로 틀어져 있는 정도를 수평 기울기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센서부(113)에 포함된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기울기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상하 회전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4)는 센서부(113)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를 통해 바로 수직 기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직 기울기 정보는 투사면을 기준으로 획득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투사면을 식별하고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가 수직 방향으로 어느 정도 틀어져 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가 수직 방향으로 틀어져 있는 정도를 수직 기울기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센서부(113)에 포함된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틀어짐 정보는 투사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전자 장치(100) 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수평 기울기 정보, 수직 기울기 정보, 수평 틀어짐 정보는 각각 제1 축 회전 정보, 제2 축 회전 정보, 제3축 회전 정보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3에서 기술한다.
또한, 프로세서(114)는 상태 정보 중 수평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키스톤 기능은 전자 장치(100)의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사다리꼴 형태의 이미지가 투사면에 출력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여기서, 키스톤 기능은 투사면에 출력되는 사다리꼴 형태의 이미지를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이미지로 출력되도록 이미지를 보정하는 기능일 수 있다. 키스톤 기능은 키스톤 보정으로 기재될 수 있다.
수평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키스톤 기능은 수평 키스톤 기능으로 기재될 수 있으며, 수직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키스톤 기능은 수직 키스톤 기능으로 기재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키스톤 기능은 도 18에서 기재한다. 또한, 수직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키스톤 기능은 도 17에서 기재한다.
또한, 프로세서(114)는 상태 정보 중 수평 틀어짐 정보에 기초하여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레벨링 기능은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레벨링 기능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특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4)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레벨링 기능을 이용하여 회전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회전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프로젝션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4)는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프로젝션부(111)에 포함된 프로젝션 렌즈(110)를 회전시켜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고정 부재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는 전자 장치(100)가 고정 될 수 있도록 특정 면에 접촉되는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고정 부재를 회전시키거나 길이를 조절하여 이미지가 회전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틀어짐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레벨링 기능은 도 20에서 기재한다.
또한, 프로세서(114)는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여 최종 투사 이미지를 획득하고, 최종 투사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도록 프로젝션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수행된 이후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므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투사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투사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4)는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수행된 이후 보정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4)는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이 수행되기 전 원본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고,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수행된 이후 보정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4)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 방향은 투사 이미지를 어디에 출력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사 방향은 수평 정방향, 수평 상하 방향, 수평 사선 방향, 수직 천장 방향, 수직 바닥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투사 방향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정방향은 수평 벽면의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가 서로 일직선으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투사 방향일 수 있다. 투사 방향이 수평 정방향이면, 프로세서(114)는 레벨링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상하 방향은 수평 벽면의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가 서로 마주보고 있지만, 전자 장치(100)가 상하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투사 방향일 수 있다. 투사 방향이 수평 상하 방향이면, 프로세서(114)는 키스톤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사선 방향은 수평 벽면의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가 서로 마주보고 있지만, 전자 장치(100)가 상하/좌우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투사 방향일 수 있다. 투사 방향이 수평 사선 방향이면, 프로세서(114)는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천장 방향은 천장의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투사 방향일 수 있다. 투사 방향이 수직 천장 방향이면, 프로세서(114)는 키스톤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바닥 방향은 바닥의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투사 방향일 수 있다. 투사 방향이 수직 바닥 방향이면, 프로세서(114)는 키스톤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투사 방향을 식별하여, 투사 방향에 따라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모든 상황에서 두가지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이미지 변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술한 설명과 같이 특정 상황에서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을 생략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4)는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 및 투사 이미지의 크기를 식별하고, 투사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투사 영역에 출력할 수 있고,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는 투사면의 패턴 정보, 투사면의 색상 정보, 투사면 및 전자 장치(100) 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투사면 및 전자 장치(100) 간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크기 및 출력 초점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센서부(113)를 이용하여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3)는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센서부(113)를 통해 획득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에서 투사면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면은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 영역은 투사면의 전체 영역 중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특정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는 투사 영역의 크기, 투사 영역의 위치 또는 투사 영역과 전자 장치(100) 간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투사 영역과 전자 장치(100)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기울기 정보는 투사 영역을 기준으로 전자 장치(100)가 얼마나 좌우 회전되는지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직 기울기 정보는 투사 영역을 기준으로 전자 장치(100)가 얼마나 상하 회전되는지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평 틀어짐 정보는 투사 영역을 기준으로 전자 장치(100)가 얼마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지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투사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투사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원본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투사 이미지의 크기에 맞게 보정된 투사 이미지를 투사 영역에 출력하도록 프로젝션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면의 패턴 정보는 투사면이 어떠한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사면이 줄무늬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프로세서(114)는 투사면에 포함된 선 오브젝트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식별된 선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9 및 도 30에서 기재한다.
여기서, 투사면의 색상 정보는 투사면이 어떠한 색상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투사면의 색상이 단일색인 경우, 프로세서(114)는 투사면의 색상을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의 색상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4)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선 오브젝트, 모서리 오브젝트, 사물, 사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 전방을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획득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촬영 이미지에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4)는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선으로 이루어진 오브젝트를 선 오브젝트로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4)는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투사면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모서리 오브젝트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4)는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투사면을 가리는 오브젝트를 사물 오브젝트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14)는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투사면을 가리면서 사람 형상을 가지는 오브젝트를 사람 오브젝트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선 오브젝트이고, 프로세서(114)는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선 오브젝트와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이 평행하도록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선 오브젝트와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이 평행하도록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은 선 오브젝트가 출력된 위치에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또는 외곽선)이 출력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선 오브젝트와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임계값이 작을수록 선 오브젝트에 가깝게 투사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선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선 오브젝트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선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투사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선 오브젝트와 투사 영역이 포함하는 4개의 외곽 부분(또는 외곽선) 중 하나의 외곽 부분(또는 하나의 외곽선)이 평행하도록 투사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변경된 투사 영역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프로젝션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선 오브젝트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실시 예는 도 29 및 도 30에서 기재한다.
한편,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모서리 오브젝트이고, 프로세서(114)는 모서리 오브젝트로 구분되는 복수의 투사면 중 하나의 투사면에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모서리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모서리 오브젝트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모서리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투사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모서리 오브젝트가 투사 영역에 포함되지 않도록 투사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변경된 투사 영역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프로젝션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모서리 오브젝트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실시 예는 도 32 및 도 33에서 기재한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14)는 센서부(113)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정보를 획득하고, 진동 정보가 임계값 이상 변경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센서부(113)와 다른 하드웨어로 기재하였지만, 구현 예에 따라 센서부(113)에 이미지 센서와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센서부(113)에 포함된 진동 센서를 통해 진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정보가 임계값 이상 변경되면,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가 진동이 심한 공간에 배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이 심한 경우는 배, 비행기 등 움직이는 물체 안에서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이 심한 경우 센서부(113)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만으로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왜냐하면 식별되는 오브젝트들의 위치가 진동으로 인하여 계속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세서(114)는 진동 정보 또는 진동 데이터가 임계값 이상 변경되면, 카메라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전방(또는 주변)을 촬영함으로써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촬영 이미지는 고정된 데이터이고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분석하는 경우 단순히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4)는 진동 정보가 임계값 이상이면 센싱 데이터가 아닌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4)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식별되면,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 투사 이미지의 크기 변경 기능 또는 투사 이미지의 위치 변경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의 수동 설정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또는 투사 이미지가 최초ㅋ로 출력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이미지를 보정하기 위하여 UI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이벤트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특정 버튼 또는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이 획득되면, 프로세서(114)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이미지를 수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공급된 상태(또는 정상 동작 상태)로 변경된 이후 최초로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경우, 프로세서(114)는 이미지를 수동으로 보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4)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이후, 센서부(113)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임계값 이상의 이동 정보가 획득되면,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센서부(113)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고, 이동 정보가 임계값 이상 변경되면,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에 대한 1차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보정 동작은 상태 정보에 따라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1차 보정 동작을 수행한 이후, 프로세서(114)는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에 대한 2차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2차 보정 동작은 이동 정보에 따라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센싱 데이터의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14)의 이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4)는 실시간으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4)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동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마다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정보 또는 이동 데이터가 임계값 이상 변경되면,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의 위치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기존에 수행한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을 다시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4)는 전자 장치(100)의 이동되었다고 판단되면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시점에 측정한 수평 기울기 정보와 제2 시점에 측정한 수평 기울기 정보가 차이가 있으면, 프로세서(114)는 제2 시점에 측정한 수평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을 새로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1 시점에 측정한 수평 기울기 정보와 제2 시점에 측정한 수평 기울기 정보가 차이가 없으면, 프로세서(114)는 별도의 키스톤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시점에 측정한 수직 기울기 정보와 제2 시점에 측정한 수직 기울기 정보가 차이가 있으면, 프로세서(114)는 제2 시점에 측정한 수직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을 새로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1 시점에 측정한 수직 기울기 정보와 제2 시점에 측정한 수직 기울기 정보가 차이가 없으면, 프로세서(114)는 별도의 키스톤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시점에 측정한 수평 틀어짐 정보와 제2 시점에 측정한 수평 틀어짐 정보가 차이가 있으면, 프로세서(114)는 제2 시점에 측정한 수평 틀어짐 정보에 기초하여 레벨링 기능을 새로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제1 시점에 측정한 수평 틀어짐 정보와 제2 시점에 측정한 수평 틀어짐 정보가 차이가 없으면, 프로세서(114)는 별도의 레벨링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 300)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19)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114)는 외부 장치(200, 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 장치(200, 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200, 300)는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200, 300)는 자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19)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 300)는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프로세서(114)는 외부 장치(200, 300)가 전송한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200, 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외부 장치(200, 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식별된 투사 영역에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4)는 외부 장치(200, 300)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200, 3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투사 영역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200, 300)의 위치가 변경되면 프로세서(114)는 변경된 투사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수평 기울기만 변경되고 수직 기울기는 유지되었다면, 프로세서(114)는 수평 키스톤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0, 300)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7 내지 도 39에서 기재한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젝션부(111), 메모리(112), 센서부(113), 프로세서(114), 유저 인터페이스(115), 입출력 인터페이스(116), 오디오 출력부(117), 전원부(118), 통신 인터페이스(119) 및 셔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은 생략한다.
프로젝션부(111)는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부(111)는 다양한 투사 방식(예를 들어, CRT(cathode-ray tube) 방식,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레이저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CRT 방식은 기본적으로 CRT 모니터와 원리가 동일하다. CRT 방식은 브라운관(CRT) 앞의 렌즈로 상을 확대시켜서 스크린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브라운관의 개수에 따라 1관식과 3관식으로 나뉘며, 3관식의 경우 Red, Green, Blue의 브라운관이 따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LCD 방식은 광원에서 나온 빛을 액정에 투과시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LCD 방식은 단판식과 3판식으로 나뉘며, 3판식의 경우 광원에서 나온 빛이 다이크로익 미러(특정 색의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거울)에서 Red, Green, Blue로 분리된 뒤 액정을 투과한 후 다시 한 곳으로 빛이 모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LP 방식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DLP 방식의 프로젝션부는 광원, 컬러 휠, DMD 칩, 프로젝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에서 출력된 빛은 회전하는 컬러 휠을 통과하면서 색을 띌 수 있다. 컬러 휠을 통화한 빛은 DMD 칩으로 입력된다. DMD 칩은 수많은 미세 거울을 포함하고, DMD 칩에 입력된 빛을 반사시킨다. 프로젝션 렌즈는 DMD 칩에서 반사된 빛을 영상 크기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레이저 방식은 DPSS(Diode Pumped Solid State) 레이저와 검류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색상을 출력하는 레이저는 DPSS 레이저를 RGB 색상별로 3개를 설치한 후 특수 거울을 이용하여 광축을 중첩한 레이저를 이용한다. 검류계는 거울과 높은 출력의 모터를 포함하여 빠른 속도로 거울을 움직인다. 예를 들어, 검류계는 최대 40 KHz/sec로 거울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검류계는 스캔 방향에 따라 마운트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평면 주사를 하므로 검류계도 x, y축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다양한 유형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111)는 램프, LED,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111)는 전자 장치(100)의 용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4:3 화면비, 5:4 화면비, 16:9 와이드 화면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화면비에 따라 WVGA(854*480), SVGA(800*600), XGA(1024*768), WXGA(1280*720), WXGA(1280*800), SXGA(1280*1024), UXGA(1600*1200), Full HD(1920*1080) 등의 다양한 해상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프로세서(114)의 제어에 의해 출력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111)는 줌, 키스톤, 퀵코너(4코너)키스톤, 렌즈 시프트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1)는 스크린과의 거리(투사거리)에 따라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즉, 스크린과의 거리에 따라 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줌 기능은 렌즈를 이동시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드웨어 방식과 이미지를 크롭(crop) 등으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줌 기능이 수행되면, 이미지의 초점의 조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은 수동 포커스 방식, 전동 방식 등을 포함한다. 수동 포커스 방식은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하고, 전동 방식은 줌 기능이 수행되면 프로젝터가 내장된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한다. 줌기능을 수행할 때, 프로젝션부(111)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디지털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부를 통해 렌즈를 이동하여 줌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1)는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면 투사에 높이가 안 맞으면 위 혹은 아래로 화면이 왜곡될 수 있다. 키스톤 기능은 왜곡된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평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직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퀵코너(4코너)키스톤 기능은 화면의 중앙 영역은 정상이지만 모서리 영역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경우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이다. 렌즈 시프트 기능은 화면이 스크린을 벗어난 경우 화면을 그대로 옮겨주는 기능이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사용자 입력없이 자동으로 주변 환경 및 프로젝션 환경을 분석하여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1)는 센서(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등)를 통해 감지된 전자 장치(100)와 스크린과의 거리, 현재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보, 주변 광량에 대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1)는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션부(111)는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션부(111)는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구현 예에 따라 면발광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면발광 LED는 광원이 고르게 분산하여 출력되도록 LED의 상측에 광학 시트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LED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를 통해 광원이 출력되면 광원이 광학 시트를 거쳐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광학 시트를 통해 분산된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디밍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240)(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다이얼)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젝션부(111)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111)는 사용자 입력 없이 프로세서(114)에 의해 분석된 컨텐츠를 바탕으로 디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111)는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 유형, 컨텐츠 밝기 등)를 바탕으로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111)는 프로세서(114)의 제어에 의해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출력되기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14)는 출력이 결정된 컨텐츠의 프레임별 색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획득된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의 주요 색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색상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4)가 조절할 수 있는 색온도는 웜 타입(warm type) 또는 콜드 타입(cold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될 프레임(이하 출력 프레임)이 화재가 일어난 장면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프로세서(114)는 현재 출력 프레임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색상이 적색이라고 식별(또는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4)는 식별된 주요 색상(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는 웜 타입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4)는 프레임의 색상 정보 또는 주용 색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예를 들어, 메모리(112))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조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정보는 외부 기기에서 설정된 밝기 정보 또는 색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예를 들어, 동일한 홈/회사 네트워크에 포함된 IoT 기기) 또는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는 아니지만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한 기기(예를 들어, 원격 제어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는 조명 정보(예를 들어,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전자 장치(100)는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심장 박동 수, 혈압, 호흡,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생체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는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수면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면 중(또는 수면 준비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14)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12)는 전자 장치(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2)에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12)는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12)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이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4)는 메모리(112)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모리(112)는 프로세서(114)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14)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메모리(112)라는 용어는 메모리(112), 프로세서(114)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113)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3)는 전자 장치(100)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기울기 센서,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울기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일 수 있고,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또는 뎁스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3)는 기울기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이외에 댜앙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3)는 조도 센서,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3)는 라이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다양한 유형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버튼은 기능키(function key), 방향키(예를 들어, 4방향 키) 또는 다이얼 버튼(dial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복수의 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하나의 키(one key)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버튼이 하나의 키로 구현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14)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4)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비접촉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접촉 방식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물리적인 힘이 전자 장치에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힘에 관계없이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사용자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15)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방식은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임계 거리 이내로 사용자 신체가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원격 제어 장치는 전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 전용 제어 기기)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통신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는 외부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사용자 음성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음성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이용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전자 장치(100)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외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 명령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제어 명령 데이터(이때, 텍스트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음.)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제어 명령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어시스턴스(또는 인공지능 비서, 예로, 빅스비TM 등)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어시스턴스를 통해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어시스턴스에 대응되는 트리거 워드 또는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키를 바탕으로 복수의 어시스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크린 인터렉션이란, 전자 장치가 스크린(또는 투사면)에 투사한 이미지를 통해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식별하고, 기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이벤트는 특정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UI가 투사된 위치)에 특정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 지시봉 또는 레이저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투사된 UI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투사된 UI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에 UI를 표시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서 식별되면,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되는 UI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ite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등)를 통해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공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 하기 위한 구성이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 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USB C-type, DP(Display Port), 썬더볼트 (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및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영상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USB C-type을 통해 외부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거나 전원 어뎁터를 통해 콘센트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DP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노트북이나 모니터 등)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입출력 인터페이스(116)는 Wi-Fi, Wi-Fi 다이렉트, 블루투스,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및 LTE(Long Term Evoloution)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영상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고, 영상 신호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신호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고, 영상 신호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17)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디오 출력부(117)는 오디오 출력 믹서, 오디오 신호 처리기,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믹서는 출력할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 믹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다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예: 외부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스피커 또는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음향 출력 모듈은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의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고 방사되는 음향은 음도관(waveguide)을 통과하여 본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이 본체의 외관에 대칭 배치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즉 360도 전 방향으로 음향을 방사할 수 있다.
전원부(118)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8)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원부(11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130)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8)는 220V의 DC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는 USB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거나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8)는 내부 배터리 또는 외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8)는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118)는 220V의 DC 전원 코드, USB 전원 코드 및 USB C-Type 전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내부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18)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USB 전원 코드, USB C-Type 전원 코드, 소켓 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배터리의 연결이 수행되면, 전원부(118)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전원부(118)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바로 전력을 공급받거나, 외부 배터리를 통해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원부(118)는 상술한 복수의 전력 공급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소비 전력과 관련하여, 전자 장치(100)는 소켓 형태 및 기타 표준 등을 이유로 기설정된 값(예로, 43W) 이하의 소비 전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이용 시에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전원 공급 방법 및 전원 사용량 등을 바탕으로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화면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라캐스트(Miracast), Airplay, 무선 DEX, Remote PC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여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음악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전자 장치(100)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전자 장치 근처에 위치시킨 후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 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면(예로, 모션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기 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거나(예로, 비접촉 탭뷰) 휴대 단말 장치가 전자 장치(100)와 짧은 간격으로 두 번 접촉되면(예로, 접촉 탭뷰), 전자 장치(1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고 있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휴대 단말 장치와 전자 장치(100) 간 연결이 구축되면,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1 화면이 출력되고, 전자 장치(100)에서는 제1 화면과 상이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이며,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과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로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1 화면은 제2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형식의 UI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는 입력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대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조건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대기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블루 스크린 형태의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특정 오브젝트의 형태만을 추출하여 비정형 오브젝트를 획득하고, 획득된 비정형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셔터부(120)는 셔터, 고정 부재, 레일, 몸체 또는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는 프로젝션부(111)에서 출력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는 셔터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레일은 셔터 및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경로일 수 있다. 여기서, 몸체는 셔터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모터는 셔터부(120)에서 구성의 이동(예를 들어, 몸체의 이동) 또는 구성의 회전(예를 들어, 셔터의 회전) 동작을 위해 구동 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손잡이"라는 함.)(108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a)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손잡이 또는 고리일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a)는 본체(105)가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05)를 지지하는 스탠드일 수 있다.
지지대(108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의 외주면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105) 외주면에서 분리 및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108a)의 개수, 형상 또는 배치 구조는 제약이 없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대(108a)는 본체(105) 내부에 내장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꺼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a)는 별도의 액세서리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지지대(108a)는 제1 지지면(108a-1)과 제2 지지면(108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지지대(108a)가 본체(105)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05) 바깥 방향을 마주보는 일 면일 수 있고, 제2 지지면(108a-2)은 지지대(108a)가 본체(105)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105) 내부 방향을 마주보는 일 면일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본체(105) 하부로부터 본체(105) 상부로 전개되며 본체(105)로부터 멀어질 수 있으며, 제1 지지면(108a-1)은 평탄하거나 균일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면(108a-1)은 전자 장치(100)가 본체(105)의 외측면이 바닥면에 닿도록 거치 되는 경우, 즉 프로젝션 렌즈(110)가 전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본체(105)를 지지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지지대(108a)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 있어서는, 2개의 지지대(108a)의 간격 또는 힌지 개방된 각도를 조절하여 헤드(103)와 프로젝션 렌즈(110)의 출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지지면(108a-2)은 지지대(108a)가 사용자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의하여 지지가 될 때 사용자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맞닿는 면으로, 전자 장치(100)를 지지하거나 이동시키는 경우 미끄러지지 않도록 사용자의 손의 파지 구조 또는 외부 거치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젝션 렌즈(110)를 전면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헤드(103)를 고정하고 지지대(108a)를 잡고 전자 장치(100)를 이동시키며, 손전등과 같이 전자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지지대 홈(104)은 본체(105)에 마련되어 지지대(108a)가 사용되지 않을 때 수용 가능한 홈 구조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의 외주면에 지지대(108a)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대 홈(104)을 통하여 지지대(108a)가 사용되지 않을 때 본체(105)의 외주면에 지지대(108a)가 보관될 수 있으며, 본체(105) 외주면은 매끄럽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지지대(108a)가 본체(105) 내부에 보관되고 지지대(108a)가 필요한 상황에서 지지대(108a)를 본체(105) 외부로 빼내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 홈(104)은 지지대(108a)를 수용하도록 본체(105) 내부로 인입된 구조일 수 있으며, 제2 지지면(108a-2)이 본체(105)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별도의 지지대 홈(104)을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이용 또는 보관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를 보호하며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본체(105)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삼각대(미도시) 또는 외부 면에 결합되어 전자 장치(100)를 고정 가능한 브라켓(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손잡이"라는 함.)(108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b)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손잡이 또는 고리일 수 있으며, 또는 지지대(108b)는 본체(105)가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05)가 임의의 각도로 향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탠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08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의 기설정된 지점(예를 들어, 본체 높이의 2/3~ 3/4 지점)에서 본체(105)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108)가 본체 방향으로 회전되면, 본체(105)가 측면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본체(105)가 임의의 각도로 향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지대(또는 "받침대"라고 함)(108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c)는 전자 장치(10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8c-1)와 베이스 플레이트(108-c)와 본체(105)를 연결하는 두 개의 지지부재(108c-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두 개의 지지부재(108c-2)의 높이는 동일하여, 두 개의 지지부재(108c-2)의 일 단면 각각이 본체(105)의 일 외주면에 마련된 홈과 힌지 부재(108c-3)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부재는 본체(105)의 기 설정된 지점(예를 들어, 본체 높이의 1/3 ~ 2/4 지점)에서 본체(105)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부재와 본체가 힌지 부재(108c-3)에 의해 결합되면, 두 개의 힌지 부재(108c-3)로 인해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 축을 기준으로 본체(105)가 회전되어 프로젝션 렌즈(110)의 출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6에는 두 개의 지지부재(108c-2)가 본체(105)와 연결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 및 도 8와 같이 하나의 지지부재와 본체(105)가 하나의 힌지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자 장치(100)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의 지지대(108d)는 전자 장치(10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8d-1)와 베이스 플레이트(108-c)와 본체(105)를 연결하는 하나의 지지부재(108d-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지지부재(108d-2)의 단면은 본체(105)의 일 외주 면에 마련된 홈과 힌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하나의 지지부재(108d-2)와 본체(105)가 하나의 힌지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면, 도 8와 같이 하나의 힌지 부재(미도시)로 인해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 축을 기준으로 본체(105)가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지지대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위치나 형태로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S90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투사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910).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ToF 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투사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투사 방향 및 투사면 정보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수평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 예(1010)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수평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1011)를 투사면(1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기울기가 0인 것으로 가정한다. 수평 기울기는 전자 장치(100)가 정면을 향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1020)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수평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1021)를 투사면(1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기울기(1022)가 30도인 것으로 가정한다. 수평 기울기가 우측 30도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10)에서 우측 30도만큼 투사 이미지(1021)를 우측에 출력할 수 있다.
수평 기울기는 z축을 기준으로 yaw 회전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1은 수직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 예(1110)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수평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미도시)를 투사면(미도시)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의 가상의 수평선(1111)을 기준으로 수직 기울기가 0인 것으로 가정한다. 수직 기울기는 전자 장치(100)가 정면을 향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기울기가 0이면 수평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상황일 수 있다.
실시 예(1120)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수평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미도시)를 투사면(미도시)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기울기(1122)가 30도인 것으로 가정한다. 수직 기울기(1122)는 전자 장치(100)의 가상의 수평선(1111)과 전자 장치(100)가 바라보는 가상의 선(1121) 사이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수직 기울기가 상측 30도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미도시)에 상측 30도만큼 투사 이미지(미도시)를 상측에 출력할 수 있다.
수직 기울기는 y축을 기준으로 pitch 회전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2는 수평 틀어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 예(1210)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수평 틀어짐 없이 투사 이미지(미도시)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틀어짐이 없는 기준을 수평선(1211)으로 표시한다. 실시 예(1210)에 따라 기준 수평선과 전자 장치(100)의 수평선이 일치할 수 있다.
실시 예(1220)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우측으로 30도만큼 수평 틀어짐(1222)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수평선(1211)과 전자 장치의 수평선(1221)이 수평 틀어짐(1222)만큼 차이가 날 수 있다.
수평 틀어짐은 x축을 기준으로 roll 회전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3은 전자 장치(100)의 수평 틀어짐, 수평 기울기 및 수직 기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실시 예(1310)를 참조하면, x,y,z축에 따른 회전 방향을 정의한 그래프이다.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roll로 정의하고,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pitch로 정의하고,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yaw로 정의할 수 있다.
실시 예(1320)는 전자 장치(100)의 회전 방향을 실시 예(1310)에서 정의한 회전 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10에서 설명한 수평 기울기는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yaw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1에서 설명한 수직 기울기는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pitch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2에서 설명한 수평 틀어짐은 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roll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수평 기울기(z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yaw)에 기초하여 수평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y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pitch)에 기초하여 수직 키스톤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수평 틀어짐(x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roll)에 기초하여 레벨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전자 장치(100)의 투사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실시 예(14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1411)를 제1 투사면(10-1)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투사면(10-1)은 투사 공간의 벽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 예(14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직 방향(바닥에서 천장)으로 투사 이미지(1421)를 제2 투사면(10-2)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투사면(10-2)은 투사 공간의 천장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 예(143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직 방향(천장에서 바닥)으로 투사 이미지(1431)를 제3 투사면(10-3)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투사면(10-3)은 투사 공간의 바닥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수평 투사 방향을 고려한 투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평 투사 방향(정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1505).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수평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S15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평 기울기에 기초하여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52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S152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투사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1530).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평 투사 방향을 고려한 투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가 존재한 상태에서 수평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16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S16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161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기능을 수행한 후 보정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1620).
도 17은 수직 기울기를 고려하여 키스톤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의 실시 예(17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가 존재한 상태에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17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가 존재한 상태에서 투사 이미지(1721)를 출력할 수 있으며, 수직 기울기 때문에 투사 이미지(1721)는 원본 이미지 형태인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수평 기울기의 존재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173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최종 출력된 투사 이미지(1731)가 직사각형 형태가 되도록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수평 기울기를 고려하여 키스톤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의 실시 예(18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평 기울기가 존재한 상태에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18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평 기울기가 존재한 상태에서 투사 이미지(1821)를 출력할 수 있으며, 수평 기울기 때문에 투사 이미지(1821)는 원본 이미지 형태인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수평 기울기의 존재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183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최종 출력된 투사 이미지(1831)가 직사각형 형태가 되도록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평 투사 방향을 고려한 투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평 기울기 및 수직 기울기가 모두 존재하는 상태에서 수평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19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평 기울기 및 수직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S19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평 기울기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191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1920). 한편, S1915 단계 및 S1920 단계의 순서는 구현 예에 따라 바뀔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기능을 수행한 이후 수동 조작이 추가로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S1925). 여기서, 수동 조작이 추가로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촬영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수동 조작 UI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수동 조작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기능을 수행한 이후 출력된 투사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촬영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보정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투사 이미지가 직사각형이 아니라고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추가적으로 수동 조작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수동 조작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면 (S1925-N), 전자 장치(100)는 바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1930). 수동 조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S1925-Y), 전자 장치(100)는 수동 조작 UI를 제공할 수 있다 (S193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동 조작 UI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투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S194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투사 설정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1930).
도 20은 수평 틀어짐을 고려하여 레벨링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실시 예(20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평 틀어짐이 존재한 상태에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20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평 틀어짐이 존재한 상태에서 투사 이미지(2021)를 출력할 수 있으며, 수평 틀어짐 때문에 투사 이미지(2021)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수평 틀어짐의 존재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203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회전된 투사 이미지(2031)가 출력되도록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의 실시 예(21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평 기울기 및 수평 틀어짐이 존재한 상태에서 투사 이미지(2111)를 출력할 수 있다. 수평 기울기로 인하여 투사 이미지(2111)는 사다리꼴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수평 기울기의 존재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21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최종 출력된 투사 이미지(2121)가 직사각형 형태가 되도록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수평 틀어짐이 존재하므로 직사각형 형태의 투사 이미지(2121)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수평 틀어짐의 존재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213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회전된 투사 이미지(2131)가 출력되도록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을 모두 수행하여 기울어지지 않는 직사각형 형태의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직 투사 방향을 고려한 투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바닥에서 천장을 향하는 수직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2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S22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2215).
한편,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2220). 투사면에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지 않으면 (S2220-N), 전자 장치(100)는 바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225).
투사면에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S2220-Y),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230). 여기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려하는 동작의 의미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회피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 또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와 투사 이미지의 출력 위치를 일치시키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직 투사 방향을 고려한 투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천장에서 바닥을 향하는 수직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3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를 획득할 수 있다 (S23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수직 기울기에 기초하여 키스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2315).
한편,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2320). 투사면에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지 않으면 (S2320-N), 전자 장치(100)는 바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325).
투사면에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S2320-Y),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33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 및 전자 장치(100)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335).
도 24는 수동 조작 UI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동 조작을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24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동 조작 UI를 제공할 수 있다 (S24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 투사 이미지의 크기 변경 기능 또는 투사 이미지의 위치 변경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2415).
도 25는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의 실시 예(25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수행된 이후에도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투사 이미지(2511)를 출력할 수 있다. 수평 기울기, 수직 기울기, 수평 틀어짐 이외의 문제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투사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투사 이미지의 회전 방향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를 회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25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실시 예(2510)의 투사 이미지(2511)를 반시계 방향으로 45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로 투사 이미지(2521)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253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실시 예(2520)의 투사 이미지(2521)를 반시계 방향으로 45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로 투사 이미지(2531)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45도 간격으로 투사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90도 간격으로 투사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90도 간격으로 투사 이미지가 회전된다면, 실시 예(2510)의 투사 이미지(2511)는 바로 실시 예(2530)의 투사 이미지(2531)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투사 이미지의 간격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26은 투사 이미지의 크기 변경 기능 및 위치 변경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의 실시 예(26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2611)를 투사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26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실시 예(2610)의 투사 이미지(2611)의 크기를 변경하여 투사 이미지(2621)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또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투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263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실시 예(2620)의 투사 이미지(2621)가 출력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변경된 위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2631)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7은 투사 영역을 특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의 실시 예(27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10)에 투사 이미지(2711)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2710)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상황일 수 있다.
실시 예(27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10)에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11)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오브젝트(11)는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데 이용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11)의 위치를 획득하고, 기 설정된 오브젝트(11)에 투사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는 투사 영역(11-1)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 영역(11-1)에 투사 이미지(2721)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 이미지(2721)는 원본 투사 이미지(2711)의 크기가 변경된 이미지이며 투사 위치가 변경된 이미지일 수 있다.
도 28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S2805). 여기서,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전원 공급 상태 또는 정상 동작 상태로 기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을 분석할 수 있다 (S28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2815).
한편, 전자 장치(100)는 물리적인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82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중 전자 장치(100)의 위치 또는 회전이 임계값 이상 변경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되거나, 전자 장치(100)의 투사 방향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물리적 배치 변경 여부를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물리적 이동이 식별되지 않으면 (S2820-N), 전자 장치(100)는 그대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825). 전자 장치(100)의 물리적 이동이 식별되면 (S2820-Y),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283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다시 투사면 분석 동작(S2810) 및 키스톤 기능 및 레벨링 기능의 수행 동작(S2815)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S2830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9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투사면에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경우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수평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9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이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29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서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2915).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지 않으면 (S2915-N), 전자 장치(100)는 그대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920).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S2915-Y), 전자 장치(100)는 선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925). 여기서, 선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려하는 구체적인 상황을 도 30에서 기술한다.
도 30은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의 실시 예(30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 오브젝트(11-1, 11-2, 11-3, 11-4)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선 오브젝트를 고려하지 않고 투사 이미지(3011)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선 오브젝트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투사 이미지(3011)는 선 오브젝트와 겹쳐지게 되어 시인성이 나빠질 수 있다.
도 30의 실시 예(30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선 오브젝트(11-1, 11-2, 11-3, 11-4)의 위치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3021)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선 오브젝트(11-1, 11-2, 11-3, 11-4)의 위치를 획득하고, 선 오브젝트(11-1, 11-2, 11-3, 11-4)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크기 또는 출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이 선 오브젝트(11-1, 11-2, 11-3, 11-4)와 겹쳐지지 않도록 투사 이미지의 크기 또는 출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이 선 오브젝트(11-1, 11-2, 11-3, 11-4)와 평행하도록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이 선 오브젝트(11-1, 11-2, 11-3, 11-4)와 임계 거리 이내에 출력되도록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 예(3020)는 임계 거리가 0에 가까운 숫자(예를 들어, 0.1cm)가 적용된 상태에서 투사 이미지가 출력된 상황일 수 있다.
도 30의 실시 예(3020)에서는 식별된 모든 선 오브젝트(11-1, 11-2, 11-3, 11-4)를 고려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구현 예에 따라, 복수의 선 오브젝트(11-1, 11-2, 11-3, 11-4) 중 일부 선 오브젝트만을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최상측 및 최좌측(가장 좌측)의 선 오브젝트만을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의 크기 또는 출력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1은 전자 장치(100)의 진동 여부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진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105).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진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진동 정보가 임계값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 (S3110).
진동 정보가 임계값 미만이면 (S3110-N), 전자 장치(100)는 그대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125).
진동 정보가 임계값 이상이면 (S3110-Y),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이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311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서 선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S3120). 여기서,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지 않으면 (S3120-N), 전자 장치(100)는 그대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투사면에서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S3120-Y), 전자 장치(100)는 선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130).
도 3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투사면에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경우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바닥에서 천장으로 향하는 수직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2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이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32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과 전자 장치(100) 간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215).
한편,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 모서리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3220). 투사면에 모서리 오브젝트가 식별되지 않으면 (S3220-N),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의 거리 정보만을 이용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225). 투사면에 모서리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S3220-Y),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의 거리 정보 및 모서리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230).
도 33은 벽의 모서리 부분을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투사면(10-1) 및 제2 투사면(10-2)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1 투사면(10-1) 및 제2 투사면(10-2)의 사이의 모서리 오브젝트(11)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모서리 오브젝트(11)는 인접한 벽면의 경계선을 의미할 수 있다.
모서리 오브젝트(11)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모서리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3301)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모서리 오브젝트(11)의 위치에서 임계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투사 이미지(3301)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모서리 오브젝트(11)와 투사 이미지(3301)가 중첩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모서리 오브젝트(11)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제1 투사면(10-1) 또는 제1 투사면(10-2) 중 어느 하나의 벽면에 투사 이미지(3301)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투사면에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경우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천장에서 바닥을 향하는 수직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4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이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3410).
한편,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 테이블 오브젝트 및 사람 오브젝트가 모두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3415). 투사면에 테이블 오브젝트 및 사람 오브젝트가 모두 식별되지 않는 경우 (S3415-N), 전자 장치(100)는 그대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420). 테이블 오브젝트 또는 사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식별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0)는 별도의 추가 동작 없이 그대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테이블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동작은 테이블을 투사면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투사면에 테이블 오브젝트 및 사람 오브젝트가 모두 식별되는 경우 (S3415-Y), 전자 장치(100)는 사람 오브젝트가 복수 개인지 식별할 수 있다 (S3425). 사람 오브젝트가 복수개가 아닌 경우 (S3425-N), 전자 장치(100)는 사람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343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420).
사람 오브젝트가 복수개인 경우 (S3425-Y),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사람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343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420).
프로세서(114)는 사람 오브젝트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시선 방향은 사람이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지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사람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얼굴 오브젝트를 인식하여 사람 오브젝트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선 방향은 반드시 실제 사람이 어디를 바라보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어느 방향을 바라볼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4)는 사람 오브젝트의 시선 방향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기능은 투사 이미지가 어느 방향으로 출력되는지를 제어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기능은 투사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사람 오브젝트의 시선 방향이 제1 방향으로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114)는 제1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사람 오브젝트의 시선 방향이 제1 방향, 제2 방향으로 상이한 경우, 프로세서(114)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평균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람 오브젝트와 제2 사람 오브젝트가 마주보고 있는 경우(제1 시선 방향과 제2 시선 방향 간 각도가 180도인 경우), 프로세서(114)는 제1 시선 방향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된 투사 이미지는 제2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출력된 이미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사람 오브젝트와 제2 사람 오브젝트가 비스듬하게 위치하는 경우(제1 시선 방향과 제2 시선 방향 간 각도가 90도인 경우), 프로세서(114)는 제1 시선 방향과 제2 시선 방향의 중간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는 제1 시선 방향에서 제2 시선 방향으로 45도 회전시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된 투사 이미지는 제2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시선 방향으로 45도 회전되어 출력된 투사 이미지일 수 있다.
도 3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투사면에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경우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천장에서 바닥을 향하는 수직 투사 방향으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5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이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S3510).
한편,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서 사람의 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3515). 사람의 발 오브젝트가 식별되지 않으면 (S3515-N), 전자 장치(100)는 그대로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S3520).
사람의 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S3515-Y), 전자 장치(100)는 사람의 발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3525). 구체적인 예시는 도 26에서 기술한다.
도 36은 사용자의 발 오브젝트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의 실시 예(36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투사 이미지(3611)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36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 오브젝트(11)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발 오브젝트(11)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 오브젝트의 방향 및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발 오브젝트의 방향은 사용자가 어디를 향해 서있는지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발 오브젝트의 위치는 투사 영역을 특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발 오브젝트의 방향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회전하고, 발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투사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서 있는 방향에 맞게 투사 이미지(3621)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3610)에 비하여 실시 예(3620)는 사용자가 서 있는 방향에 알맞은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투사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7은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연결이 수행되는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S3705). 여기서, 통신 연결이 수행되는 외부 장치가 식별되지 않으면 (S3705-N), 전자 장치(100)는 반복하여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는 외부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휴대용 스크린 또는 투사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 장치일 수 있다. 휴대용 스크린과 관련된 설명은 도 38에서 기술한다. 휴대용 단말 장치와 관련된 설명은 도 39에서 기술한다.
여기서, 통신 연결이 수행되는 외부 장치가 식별되면 (S3705-Y),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7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크린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8의 실시 예(38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인 휴대용 스크린(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스크린(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스크린(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면(10)의 전체 영역 중 투사 영역(3811)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투사 영역(3811)에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스크린(200)의 크기 정보를 기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스크린(2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휴대용 스크린(200)의 위치 및 크기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의 크기 및 투사 이미지가 투사되는 투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3820)을 참조하면, 휴대용 스크린(20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투사면(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일정하게 적합한 투사 영역(3821)을 식별할 수 있다.
도 3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장치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9의 실시 예(391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인 휴대용 단말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 장치(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면(10)의 전체 영역 중 투사 영역(3911)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투사 영역(3911)에 투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3920)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 장치(30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투사면(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전자 장치(100)는 일정하게 적합한 투사 영역(3921)을 식별할 수 있다.
도 4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수평 기울기 정보, 수직 기울기 정보 또는 수평 틀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4005), 상태 정보 중 수평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키스톤(keystone)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S4010), 상태 정보 중 수평 틀어짐 정보가 획득되면, 레벨링(leveling)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S4015)및 투사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는 단계 (S4020)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 방법은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 및 투사 이미지의 크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투사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를 투사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는 투사면의 패턴 정보, 투사면의 색상 정보, 투사면 및 전자 장치(100) 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선 오브젝트이고,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선 오브젝트와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이 평행하도록을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모서리 오브젝트이고,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모서리 오브젝트로 구분되는 복수의 투사면 중 하나의 투사면에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임계값 이상의 진동 정보가 획득되면,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이벤트가 식별되면,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 투사 이미지의 크기 변경 기능 또는 투사 이미지의 위치 변경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스톤 기능 또는 상기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이후, 전자 장치(100)의 임계값 이상의 이동 정보가 획득되면, 키스톤 기능 또는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와 통신하는 외부 장치(200, 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외부 장치(200, 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200, 300)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젝션부;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평 기울기 정보, 수직 기울기 정보 또는 수평 틀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 중 수평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키스톤(keystone)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상태 정보 중 수평 틀어짐 정보가 획득되면, 레벨링(leveling) 기능을 수행하고,
    투사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 및 상기 투사 이미지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투사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투사 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고,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는,
    투사면의 패턴 정보, 투사면의 색상 정보, 투사면 및 상기 전자 장치 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선 오브젝트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상기 선 오브젝트와 상기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이 평행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모서리 오브젝트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서리 오브젝트로 구분되는 복수의 투사면 중 하나의 투사면에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프로젝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임계값 이상의 진동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식별되면, 투사 이미지의 회전 기능, 투사 이미지의 크기 변경 기능 또는 투사 이미지의 위치 변경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스톤 기능 또는 상기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이후, 상기 센서부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임계값 이상의 이동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키스톤 기능 또는 상기 레벨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평 기울기 정보, 수직 기울기 정보 또는 수평 틀어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 중 수평 기울기 정보 또는 수직 기울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면, 키스톤(keystone)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 중 수평 틀어짐 정보가 획득되면, 레벨링(leveling)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투사 이미지를 투사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이미지가 출력되는 투사 영역 및 상기 투사 이미지의 크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투사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를 상기 투사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사면과 관련된 정보는,
    투사면의 패턴 정보, 투사면의 색상 정보, 투사면 및 상기 전자 장치 간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기 설정된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선 오브젝트이고,
    상기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선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상기 선 오브젝트와 상기 투사 이미지의 외곽 부분이 평행하도록 상기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오브젝트는 모서리 오브젝트이고,
    상기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모서리 오브젝트로 구분되는 복수의 투사면 중 하나의 투사면에 투사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PCT/KR2022/013514 2021-11-05 2022-09-0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8042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157A KR20230065509A (ko) 2021-11-05 2021-11-05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1-0151157 2021-1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421A1 true WO2023080421A1 (ko) 2023-05-11

Family

ID=8624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514 WO2023080421A1 (ko) 2021-11-05 2022-09-08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5509A (ko)
WO (1) WO202308042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7071A (ja) * 2011-06-09 2012-12-2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98945A (ja) * 2016-04-28 2017-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8160762A (ja) * 2017-03-22 2018-10-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20236A (ja) * 2019-01-23 2020-08-06 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KR20210123059A (ko) * 2020-04-02 2021-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7071A (ja) * 2011-06-09 2012-12-2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98945A (ja) * 2016-04-28 2017-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8160762A (ja) * 2017-03-22 2018-10-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20236A (ja) * 2019-01-23 2020-08-06 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KR20210123059A (ko) * 2020-04-02 2021-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투사 장치 및 영상 투사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509A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7140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O2019004570A1 (en) KITCHEN HO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OD OF SUCH KITCHEN
WO2017111268A1 (ko)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WO201519477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70479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164717A1 (ko) 센서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1221464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91538A1 (ko) 음향 출력 장치
WO2023080421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82460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25130A1 (ko) 이미지를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25075A1 (ko) 이미지를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18008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13201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17904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25966A1 (ko) 영상 투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286931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49235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49232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03140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249233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87024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3132625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8203595A1 (ko)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한 프로젝터
WO2023013862A1 (ko) 전자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901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