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427A - 면 삶는 장치 - Google Patents

면 삶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427A
KR20210120427A KR1020200037116A KR20200037116A KR20210120427A KR 20210120427 A KR20210120427 A KR 20210120427A KR 1020200037116 A KR1020200037116 A KR 1020200037116A KR 20200037116 A KR20200037116 A KR 20200037116A KR 20210120427 A KR20210120427 A KR 20210120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s
water tank
circulation belt
hot 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343B1 (ko
Inventor
정영진
Original Assignee
동산식품 농업회사법인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산식품 농업회사법인유한회사 filed Critical 동산식품 농업회사법인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34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8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water-bath, e.g. pasta-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027/006Cooking-vessels e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pas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량의 면을 연속적으로 삶기 위한 면 삶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루프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순환 벨트(110); 상기 순환 벨트(110)에 맞닿아 상기 순환 벨트(110)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순환 롤러(120); 상기 순환 벨트(1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면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면수용부(140); 및 상기 복수 개의 면수용부(140)에 담긴 면을 삶기 위한 열수를 저장하는 열수조(200)를 포함하되, 상기 순환 벨트(110)가 루프를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순환 벨트(110)에 부착된 상기 면수용부(140)가 상기 열수조(200) 내에 담긴 열수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 삶는 장치{NOODLE BOILING MACHINE}
본 발명은 면 삶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산업 현장에서 대용량의 면을 삶은 후 이를 찬물에 냉각시키는 과정까지를 자동화시킨 면 삶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수, 파스타 등의 면 요리는 가정에서 쉽게 조리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 오랜 기간동안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최근에는 건면 또는 유탕면 형태의 제품을 수요자가 조리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전자 레인지에 의하여 가열만 하여 바로 취식할 수 있는 형태의 면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이렇게 가열만 하여 바로 취식할 수 있는 형태의 면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조 공장 내에서 건면을 대량으로 삶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기존에도 건면을 대량으로 삶기 위한 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이들의 용량은 요식업계에서 사용되기 적당한 정도의 규모로 제조될 수 있을 뿐, 공장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기에는 그 용량이 턱없이 모자란다. 특히 면을 삶은 후 이를 냉수에 담가 냉각하는 과정은 전적으로 작업자가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자는 위험한 고온 상태에 노출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27371호 (공고일: 2013.11.08.) 등록특허공보 제10-1214519호 (공고일: 2012.12.2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088호 (공고일: 2012.12.1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장 제조 규모로 면을 연속하여 대량으로 삶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면을 삶는 과정과 면을 냉수에 담가 냉각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한 고온 상태에 노출되는 상황을 막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량의 면을 연속적으로 삶기 위한 면 삶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루프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순환 벨트(110); 상기 순환 벨트(110)에 맞닿아 상기 순환 벨트(110)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순환 롤러(120); 상기 순환 벨트(1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면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면수용부(140); 및 상기 복수 개의 면수용부(140)에 담긴 면을 삶기 위한 열수를 저장하는 열수조(200)를 포함하되, 상기 순환 벨트(110)가 루프를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순환 벨트(110)에 부착된 상기 면수용부(140)가 상기 열수조(200) 내에 담긴 열수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 개의 순환 롤러(120)는 상기 순환 벨트(110)의 루프 안쪽에서 상기 순환 벨트(110)와 맞닿는 루프 내 롤러(121) 및 상기 순환 벨트(110)의 루프 바깥쪽에서 상기 순환 벨트(110)와 맞닿는 루프 외 롤러(122)를 포함하되, 상기 루프 외 롤러(122)는 상기 열수조(2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 벨트(110)가 상기 열수조(200) 내로 진입했다가 열수로(200)를 빠져 나가게끔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 삶는 장치는 삶아진 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저장된 냉수조(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 벨트(110) 및 상기 순환 벨트(110)에 설치된 면수용부(140)는 상기 열수조(200)를 거친 후 다시 상기 냉수조(300)로 거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면수용부(140)는 면을 수용할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버켓(141); 및 상기 조리버켓(141)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순환 벨트(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켓착탈수단(142)을 더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리버켓(141)은 상단이 개방되어 있되, 상기 순환 벨트(110)에 결합된 면수용부(140)가 상기 냉수조(300)를 통과한 다음에는 90° 이상으로 기울어져 상기 조리버켓(141)에 담겨진 면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 삶는 장치는, 루프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순환 벨트에 의하여 면을 이송시키면서 삶게 되므로, 작업자의 개입 없이도 연속적으로 대량의 면을 삶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열수조 내에서 면을 담은 면수용부가 움직이면서 면이 삶아지므로, 관리자가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면이 고르게 익게 된다.
마지막으로, 루프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순환 벨트에 의해서 면이 열수조로부터 냉수조로 자동으로 이송되므로, 삶는 과정과 냉각 과정의 일괄 진행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면 삶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 삶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면수용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건면 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숙면 배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면 삶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 삶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면 삶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루프를 형성하는 순환 벨트(110)는 복수 개의 순환 롤러(120)에 의하여 움직이면서 순환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순환 롤러(120)는 순환 벨트(110)에 맞닿아서 순환 벨트(110)의 이동 경로를 변경시키는 요소로서, 이들 중 하나 이상에는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순환 벨트(110)의 일면에는 다수 개의 면수용부(140)가 일렬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면수용부(140)는 면을 삶는 과정과 냉각하는 과정에서 면을 수용하고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순환 벨트(110)와 함께 움직이면서 열수조(200)와 냉수조(300)로 순차적으로 지나게 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순환 벨트(110)가 9개의 순환 롤러(120)에 의하여 경로가 결정되고 있는데, 순환 롤러(120) 의하여 결정된 경로를 순환 벨트(110)가 따라가고, 그로 인하여 면 수용부들 역시(140) 순환 벨트(110)를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우선 도 2의 좌상단 건면 공급 영역(IN)에서 건면을 면수용부(140)에 공급하면, 건면을 담은 상태의 면수용부(140)는 이동하여 열수조(200)로 들어가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면수용부(140)는 상단은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물이 쉽게 빠지되 면은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열수조(200)에는 끓는 물이 준비되어 있는데, 면수용부(140)는 열수조(200) 내의 끓는 물 속에서 이동하게 된다. 열수조(200)내에서 면수용부(140)가 움직이게 되므로, 면수용부(140) 내의 면은 뜨거운 물이 흐르는 상태에서 삶아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면이 고르게 삶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소정 시간 동안 열수조(200) 내에서 삶아진 면을 수용한 면수용부(140)는 열수조(200)를 빠져 나와 다시 냉수조(300)로 들어간다. 냉수조(300)에서 삶아진 면이 빠른 속도로 냉각되면서 면에 탄력과 쫄깃함을 부여하게 된다.
여기에서 순환 벨트(110) 및 이와 결합된 면수용부(140)는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되므로, 면을 삶는 시간과 면을 냉수에 넣어 냉각하는 시간은 전적으로 열수조(200)의 길이 방향(순환 벨트(110)의 이동 방향)의 크기 및 냉수조(300)의 길이 방향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순환 벨트(110)를 따라서 냉수조(300)를 빠져나온 면수용부(140)는 90° 이상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면수용부(140) 상단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면수용부(140) 내에 담겨 있던 삶아진 면(숙면)은 숙면 배출 영역(OUT)으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면수용부(140)를 90° 이상으로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순환 벨트(110)의 경로가 순환 롤러(120)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루프 내 롤러(12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면수용부(140)가 90° 이상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복수 개의 순환 롤러들(120)은 루프 내 롤러(121)와 루프 외 롤러(122)로 구분될 수 있는데, 루프 내 롤러(121)는 순환 벨트(110)의 루프 안쪽에서 순환 벨트(110)의 내측에 맞닿는 롤러를, 로프 외 롤러(122)는 순환 벨트(110)의 루프 바깥 쪽에서 순환 벨트(110)의 외측에 맞닿는 롤러를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는 9개의 순활 롤러(120) 중 5개는 루프 내 롤러(121)이고, 4개는 루프 외 롤러(122)임을 알 수 있다. 루프 내 롤러(121)는 순환 벨트(110)가 순환을 하도록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루프 외 롤러(122)는 순환 벨트(110)가 열수조(200) 및 냉수로(300)를 경유할 수 있도록 경로에 변화를 주는데 사용된다. 루프 내 롤러(121)는 구동되는데 있어서 특별히 간섭을 일으키는 요소가 없지만, 루프 외 롤러(122)는 면수용부(140)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루프 외 롤러(122)는 순환 벨트(110)의 폭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서는 아니되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면수용부(14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순환 벨트(11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맞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면수용부(140)의 폭은 순환 벨트(110)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순환 벨트(110)의 폭방향 양쪽 단부는 루프 외 롤러(122)와 맞닿을 수 있는 여유 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구조상 루프 외 롤러(122)는 열수조(200) 및 냉수조(300)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루프 외 롤러(122)의 회전축은 열수조(200) 및 냉수조(300)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면수용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면수용부(140)는 면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단이 개방된 조리버켓(141)과, 상기 조리버켓(141)을 순환벨트(1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버켓착탈수단(142)를 포함한다. 조리버켓(141)은 메쉬 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면은 지지하되 물이 쉽게 들어가고 빠질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버켓착탈수단(142)은 조리버켓(141)을 순환 벨트(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조리버켓(141)이 순환 벨트(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버켓착탈수단(14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버켓착탈수단(142)은 필요에 따라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한 모든 수단을 포괄한다.
도 5는 건면(D)을 면수용부(1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건면 공급부(4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이송에 의하여 건면(D)을 공급하고 있으나, 건면(D)의 공급 방식은 수동이든 자동이든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6은 열수조(200) 및 냉수조(300)로 거친 숙면(B)을 배출하는 숙면 배출부(5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이송에 의하여 숙면(B)을 밖으로 배출하고 있으나, 배출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열수조(210)에 열수조 커버(210)가 형성되어 있다. 열수조 커버(210)는 열수조(300)의 상면은 덮되, 열수조(300)의 양단에는 순환 벨트(110)가 지나갈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길이는 열수조(3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열수조 커버(210)를 구비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냉수조(300)는 냉각수 순환관(311)을 통하여 냉각수단(310)과 연결되어 있다. 열수조(200)에서 삶아진 대량의 면이 연속적으로 냉수조(300)를 지나게 되면 냉수조(300) 내의 냉각수는 적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기 쉽다. 그러므로 냉수조(300) 내의 냉각수가 적정 온도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수조(300) 내의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냉수조(300) 내의 온도 센서에 의하여 냉수조(300) 내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냉수조(300) 내의 온도가 올라갈 경우에는 냉각수 순환관(311)을 통하여 냉수조(300) 내의 물을 냉각수단(310)으로 보내에 냉각시키거나, 혹은 외부에서 새로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110: 순환 벨트
120: 순환 롤러 121: 루프 내 롤러
122: 루프 외 롤러
140: 면수용부 141: 조리버켓
142: 버켓착탈수단
200: 열수조 210: 열수조 커버
300: 냉수조 310: 냉각수단
311: 냉각수 순환관
400: 건면 공급부
500: 숙면 배출부
D: 건면 B: 숙면

Claims (5)

  1. 대량의 면을 연속적으로 삶기 위한 면 삶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루프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순환 벨트(110);
    상기 순환 벨트(110)에 맞닿아 상기 순환 벨트(110)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순환 롤러(120);
    상기 순환 벨트(1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면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면수용부(140); 및
    상기 복수 개의 면수용부(140)에 담긴 면을 삶기 위한 열수를 저장하는 열수조(200)를 포함하되,
    상기 순환 벨트(110)가 루프를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순환 벨트(110)에 부착된 상기 면수용부(140)가 상기 열수조(200) 내에 담긴 열수를 통과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삶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순환 롤러(120)는 상기 순환 벨트(110)의 루프 안쪽에서 상기 순환 벨트(110)와 맞닿는 루프 내 롤러(121) 및 상기 순환 벨트(110)의 루프 바깥쪽에서 상기 순환 벨트(110)와 맞닿는 루프 외 롤러(122)를 포함하되,
    상기 루프 외 롤러(122)는 상기 열수조(2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 벨트(110)가 상기 열수조(200) 내로 진입했다가 열수로(200)를 빠져 나가게끔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삶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삶아진 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저장된 냉수조(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 벨트(110) 및 상기 순환 벨트(110)에 설치된 면수용부(140)는 상기 열수조(200)를 거친 후 다시 상기 냉수조(300)로 거치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삶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면수용부(140)는 면을 수용할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버켓(141); 및
    상기 조리버켓(141)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순환 벨트(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버켓착탈수단(1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삶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리버켓(141)은 상단이 개방되어 있되,
    상기 순환 벨트(110)에 결합된 면수용부(140)가 상기 냉수조(300)를 통과한 다음에는 90° 이상으로 기울어져 상기 조리버켓(141)에 담겨진 면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삶는 장치.
KR1020200037116A 2020-03-26 2020-03-26 면 삶는 장치 KR102348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16A KR102348343B1 (ko) 2020-03-26 2020-03-26 면 삶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16A KR102348343B1 (ko) 2020-03-26 2020-03-26 면 삶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427A true KR20210120427A (ko) 2021-10-07
KR102348343B1 KR102348343B1 (ko) 2022-01-10

Family

ID=7811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116A KR102348343B1 (ko) 2020-03-26 2020-03-26 면 삶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710A (ko) 2022-05-12 2023-11-21 윤희정 회전부 및 버블발생부가 구비된 면 삶는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459A (ja) * 1991-08-26 1993-03-02 Shinwa Kikai:Kk 容器入り食品の殺菌冷却装置
JP3018378U (ja) * 1995-05-22 1995-11-21 謙次 村上 麺の茹加工装置
JPH08140865A (ja) * 1994-11-18 1996-06-04 Fuji Seisakusho:Kk 食品の油揚げ装置
KR200464088Y1 (ko) 2010-08-25 2012-12-10 곽경수 국수 삶는 기계
KR101214519B1 (ko) 2010-08-30 2012-12-24 문기경 튀김 겸용 면삶는 장치
KR101327371B1 (ko) 2011-12-29 2013-11-08 유진엠씨 주식회사 면 삶기 장치
KR101741713B1 (ko) * 2015-09-24 2017-06-15 (주)코스턴 태블릿 pc를 이용한 음식 자동 주문 및 배송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378B2 (ja) * 1990-03-29 2000-03-13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459A (ja) * 1991-08-26 1993-03-02 Shinwa Kikai:Kk 容器入り食品の殺菌冷却装置
JPH08140865A (ja) * 1994-11-18 1996-06-04 Fuji Seisakusho:Kk 食品の油揚げ装置
JP3018378U (ja) * 1995-05-22 1995-11-21 謙次 村上 麺の茹加工装置
KR200464088Y1 (ko) 2010-08-25 2012-12-10 곽경수 국수 삶는 기계
KR101214519B1 (ko) 2010-08-30 2012-12-24 문기경 튀김 겸용 면삶는 장치
KR101327371B1 (ko) 2011-12-29 2013-11-08 유진엠씨 주식회사 면 삶기 장치
KR101741713B1 (ko) * 2015-09-24 2017-06-15 (주)코스턴 태블릿 pc를 이용한 음식 자동 주문 및 배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343B1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8533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cooking food in sequential oven section of an elongated oven
KR102044572B1 (ko) 즉석 유탕면의 제조 방법, 및 튀김 처리 장치
US4478140A (en) Fryer with oil circulation and conveyor
US7500426B2 (en) Rotary cooker and cooler with improved product transfer mechanism
JP2001520793A (ja) マイクロ波と加熱用オイルを使用した調理器
KR102348343B1 (ko) 면 삶는 장치
US4600596A (en) Automatic food cooking machine
US3641923A (en) Apparatus for deep fat frying of foodstuffs
CN102742867B (zh) 咸蛋黄连续烘烤生产线
JP6326874B2 (ja) 炊飯設備における浸漬装置
US4522217A (en) Paired conveyor belts with zigzag travel
KR101655883B1 (ko) 신속 세절 맛김치 제조시스템
KR101950144B1 (ko) 취반 장치를 이용한 볶음밥 제조방법
JP6329921B2 (ja) 食品加工装置及び食品用コンベア
JP6731756B2 (ja) 穀類浸漬装置および炊飯システム
KR20130034834A (ko)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
US11844456B1 (en) Formed product grill
JPH04132527A (ja) 連続真空フライヤー装置
RU211380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жаривания полуфабриката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JP2003299578A (ja) 炒め物の製造装置
SU142517A1 (ru) Машина дл разгрузки автоклавных корзин с жест ными консервными банками
CN208300884U (zh) 一种节能蒸煮机的翻料输送装置
JPS583369Y2 (ja) 小魚類の連続煮沸装置
SU1597160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ланшировани плодов
JP2023143329A (ja) 流体供給管を備えた食品処理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