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834A -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834A
KR20130034834A KR1020110098931A KR20110098931A KR20130034834A KR 20130034834 A KR20130034834 A KR 20130034834A KR 1020110098931 A KR1020110098931 A KR 1020110098931A KR 20110098931 A KR20110098931 A KR 20110098931A KR 20130034834 A KR20130034834 A KR 20130034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veyor belt
rod
rod conveyor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207B1 (ko
Inventor
김수종
Original Assignee
김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종 filed Critical 김수종
Priority to KR102011009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2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봉형돌기가 형성된 봉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츄러스 등과 같은 막대형 과자를 회전시키면서 고르게 튀길 수 있는 유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고온의 기름을 공급받고, 상부로 츄러스와 같은 막대형 과자의 반죽을 공급받아 과자로 튀기는 유탕장치에 있어서, 기름을 일정 이상의 높이가 되도록 공급받는 유탕조와; 유탕조 내부의 양측면 사이에 놓여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봉형돌기와, 몸체의 양측면 중앙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된 회전지지부, 및 서로 이웃하는 봉컨베이어벨트의 회전지지부에 연결되어 몸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구비하는 봉컨베이어벨트와; 유탕조의 내부의 양측면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봉컨베이어벨트의 회전지지부가 상부에 놓여지는 회전지지부 받침부와, 봉컨베이어벨트의 몸체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되는 봉형돌기가 수용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봉형돌기 받침부를 구비하는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와; 유탕조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위치하는 봉컨베이어벨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며 봉컨베이어벨트를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키는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SNACK FRYING APPARATUS AND SNACK FRYING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표면에 봉형돌기가 형성된 봉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츄러스 등과 같은 막대형 과자를 회전시키면서 고르게 튀길 수 있는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자를 튀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탕장치는 그 튀김솥 내측으로 튀겨진 과자를 걸러 원심분리기내로 공급하여 주는 거름망과 그 상부로 튀김을 휘저어 주는 회전체 그리고 상기 튀김솥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버너로 일체 구성되어져 있는 것으로, 이는 통상 튀김솥으로 일정량의 튀김용 기름을 넣어 가열버너로 충분히 가열한 다음 그 내로 성형된 과자를 투입시켜 회전체로 튀김물을 회전시키면서 튀김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유탕장치는 한번에 과자 반죽을 튀김솥에 투입하여 튀긴 후에 다시 모든 튀겨진 과자를 걸러내야 하기 때문에 과자를 연속적으로 튀겨낼 수 없을 뿐만아니라 튀김솥에 투입된 반죽도 상하를 뒤집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튀김작업에 의해 완료된 과자을 배출할때에 다량의 기름이 과자에 포함되어 있어 이를 다시 원심분리기로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매번 유탕장치에 새로운 보충기름을 공급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능률의 저하는 물론 제품의 생산 속도가 매우 더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면에 봉형돌기가 형성된 봉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츄러스 등과 같은 막대형 과자를 회전시키면서 고르게 튀길 수 있는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봉컨베이어벨트가 유탕조 내부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이송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츄러스 등과 같은 막대형 과자를 회전시키면서 고르게 튀길 수 있는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유탕조 내부의 위치하는 봉컨베이어벨트의 전단부가 기름에 잠기고 후단부가 기름에 잠기지 않도록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츄러스 등과 같은 막대형 과자를 튀긴 후에 기름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탕장치는 고온의 기름을 공급받고, 막대형 과자의 반죽을 공급받아 과자로 튀기는 유탕장치(100)에 있어서, 기름을 일정 이상의 높이가 되도록 공급받는 유탕조(110)와; 유탕조(110) 내부의 양측면 사이에 놓여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몸체(121)와, 몸체(121)의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봉형돌기(122)와, 몸체(121)의 양측면 중앙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된 회전지지부(123), 및 서로 이웃하는 봉컨베이어벨트(120)의 회전지지부(123)에 연결되어 몸체(121)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124)를 구비하는 봉컨베이어벨트(120)와; 유탕조(110)의 내부의 양측면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봉컨베이어벨트(120)의 회전지지부(123)가 상부에 놓여지는 회전지지부 받침부(131)와, 봉컨베이어벨트(120)의 몸체(121)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되는 봉형돌기(122)가 수용되는 다수의 삽입홈(133)이 형성된 봉형돌기 받침부(132)를 구비하는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130)와; 유탕조(11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위치하는 봉컨베이어벨트(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며 봉컨베이어벨트(120)를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키는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탕조(110)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탕조(110)는 일단이 기름히팅장치(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유탕조(110)에 연결되어 고온의 기름을 유탕조(110)로 직접 공급하는 하부기름이송관(111)과, 일단이 기름히팅장치(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유탕조(110)의 상부에 기름을 유탕조(110)로 분무하는 상부기름이송관(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부기름이송관(112)의 끝단에는 분사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탕조(110)는 기름의 수위를 확인하는 기름수위 확인센서와 기름의 온도를 확인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봉컨베이어벨트(120)는 유탕조(110) 내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이동하는 상부 봉컨베이어벨트와 상부 봉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서 유탕조(110) 내의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이동하는 하부 봉컨베이어벨트가 연결된 무한괘도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130)의 회전지지부 받침부(131)와 봉형돌기 받침부(132)는 유탕조(11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기울기가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봉컨베이이벨트 이송롤러는 봉컨베이어벨트(120)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봉컨베이어벨트(120)의 봉형돌기(122)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과자를 튀기는데 사용되는 기름이 저장되는 기름저장탱크(200)와; 기름공급배관을 통해 기름저장탱크(200)에 연결되어 기름을 공급받는 기름보관부(301)와; 기름보관부(301)의 하부에서 기름보관부(301)를 가열하는 가열부(302)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기름을 유탕장치(100)로 공급하는 기름히팅장치(300)와; 막대형 과자를 반죽하고 유탕장치(100)의 상부로 공급하는 반죽공급장치(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름히팅장치(300)의 가열부(302)는 전기 또는 가스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탕장치는 표면에 봉형돌기가 형성된 봉컨베이어벨트가 회전하면서 이송되면 봉컨베이어벨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츄러스 등과 같은 막대형 과자도 함께 회전되면서 고르게 튀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탕조 내부의 위치하는 봉컨베이어벨트의 전단부가 기름에 잠기고 후단부가 기름에 잠기지 않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되기 때문에 과자를 튀기면서 과자에 포함된 기름도 유탕기의 상부에서 제거할 수 있어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탕시스템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탕장치의 봉컨베이어벨트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유탕장치의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탕장치의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탕장치의 봉컨베이어벨트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탕시스템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탕시스템은 기름저장탱크(200), 기름히팅장치(300), 반죽공급장치(400), 유탕장치(100)로 이루어진다.
기름저장탱크(200)는 외부로부터 츄러스 등과 같은 막대형 과자를 튀기는데 사용되는 기름이 저장된다. 이러한 기름저장탱크(200)는 기름이송모터(201)를 통해 후술하는 기름히팅장치(300)로 기름을 공급하고, 유탕장치(100)로부터 사용된 기름을 제공받는다.
기름히팅장치(300)는 기름공급배관을 통해 기름저장탱크(200)에 연결되어 기름을 공급받는 기름보관부(301)와, 기름보관부(301)의 하부에서 기름보관부(301)를 가열하는 가열부(302)로 이루어진다. 가열부(302)는 전기 또는 가스 등을 이용하여 기름보관부(301)의 기름이 165~170℃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한다.
반죽공급장치(400)는 츄러스와 같은 막대형 과자를 반죽하고 유탕장치(100)의 상부로 공급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탕장치(100)는 기름히팅장치(300)를 통해서 고온의 기름을 공급받고, 반죽공급장치(400)를 통해 츄러스와 같은 막대형 과자의 반죽을 공급받아 튀겨 과자로 제작한다. 이러한 유탕장치(100)는 유탕조(110), 봉컨베이어벨트(120),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130),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140)로 이루어진다.
유탕조(110)는 기름가열부(302)재로부터 기름을 일정 이상의 높이가 되도록 공급받는다. 유탕조(110)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탕조(110)는 일단이 기름히팅장치(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유탕조(110)에 연결되어 고온의 기름을 유탕조(110)로 직접 공급하는 하부기름이송관(111)과, 일단이 기름히팅장치(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유탕조(1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끝단에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기름을 유탕조(110)로 분사하는 상부기름이송관(112)을 구비한다. 이때 유탕조(110) 내에는 기름수위 확인센서(미도시)와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센서에 의해 유탕조(110)의 기름의 량과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부기름이송관(111)으로 통해 공급되는 기름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봉컨베이어벨트(120)는 유탕조(110) 내부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봉컨베이어벨트(120)는 유탕조(110) 내부의 양측면 사이에 놓여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몸체(121)와, 몸체(121)의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봉형돌기(122)와, 몸체(121)의 양측면 중앙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된 회전지지부(123), 및 서로 이웃하는 봉컨베이어벨트(120)의 회전지지부(123)에 연결되어 몸체(121)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12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봉컨베이어벨트(120)는 유탕조(110) 내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이동하는 상부 봉컨베이어벨트와 상부 봉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서 유탕조(110) 내의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이동하는 하부 봉컨베이어벨트가 연결되어 무한괘도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츄러스 등과 같은 막대형 과자의 반죽이 유탕기 내부로 유입되면 몸체(121)의 봉형돌기(122) 사이에 놓이게 되면서 하부기름이송관(111)으로 유입된 기름과 상부기름이송관(112)으로부터 분무되는 기름에 의해 유탕조(11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이동되면서 고르게 튀겨지게 된다.
한편,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130)는 유탕조(110) 내부의 양측면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봉컨베이어벨트(120)의 이동 및 회전을 지지한다.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130)는 유탕조(110)의 내부의 양측면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봉컨베이어벨트(120)의 회전지지부(123)가 상부에 놓여지는 회전지지부 받침부(131)와, 봉컨베이어벨트(120)의 몸체(121)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되는 봉형돌기(122)가 수용되는 다수의 삽입홈(133)이 형성된 봉형돌기 받침부(1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지지부 받침부(131)와 봉형돌기 받침부(132)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수직하게 받칠 수 있는 수직고정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130)는 상부 봉컨베이어벨트와 하부 봉컨베이어벨트를 각각 지지하도록 상부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와 하부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의 회전지지부 받침부(131)와 봉형돌기 받침부(132)는 유탕조(11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기울기가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130)가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면 유탕조(110)의 중하단부에 위치하는 봉컨베이어벨트(120)가 기름과 이격되기 때문에 몸체(121)의 봉형돌기(122) 사이에서 튀겨진 과자에 함유된 기름이 다시 유탕조(110) 내부로 떨어지면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140)는 유탕조(1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위치하는 봉컨베이어벨트(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구동모터(142)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봉컨베이어벨트(120)를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킨다. 봉컨베이이벨트 이송롤러는 봉컨베이어벨트(120)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봉컨베이어벨트(120)의 봉형돌기(122)가 수용되는 수용홈(141)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홈(141)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140)가 회전하면 수용홈도 함께 회전하면서 봉컨베이어벨트(120)의 봉형돌기(122)가 수용홈(141)을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탕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유탕조(110)의 내부에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130)의 회전지지부 받침부(131)와 봉형돌기 받침부(132)를 유탕조(11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기울기가 증가되도록 위치시키고, 봉컨베이어벨트(120)의 회전지지부(123)를 회전지지부 받침부(131)에 놓여지고, 봉형돌기 받침부(132)는 봉형돌기 받침부(132)에 놓여진다. 또한, 유탕조(1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위치하는 봉컨베이어벨트(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140)의 하나를 구동모터(142)에 연결하여 회전시키면 봉컨베이어벨트(120)의 몸체(121)가 회전하면서 유탕조(11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기름저장탱크(200)에 저장되어 있는 기름은 기름공급배관을 통해 기름히팅장치(300)의 기름보관부(301)로 공급되고, 기름보관부(301)로 이송된 기름은 하부의 가열부(302)에 의해 165~170℃의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된 기름은 하부기름이송관(111)을 통해 유탕조(110)로 직접 공급되고, 상부기름이송관(112)을 통해 유탕조(110) 상부로 분사되면서 공급된다. 이때 유탕조(110) 내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에서 기름의 적정온도를 감지하고 기름보관부(301)로부터 기름을 제공받고, 유탕기의 기름수위 확인센서를 통해 기름수위가 낮아지면 기름을 공급받는다.
한편, 유탕조(110)의 전단부 측면에 위치하는 반죽 이송장치를 통해 츄러스 등의 막대형상으로 성형된 반죽이 유탕조(110)의 전단부로 투입되면 막대형상의 반죽은 서로 이웃하는 봉컨베이어벨트(120)의 봉형돌기(12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유탕조(110)로 투입된 반죽의 아랫부분은 유탕조(110) 내의 기름에 의해 튀겨지고, 반죽의 윗부분은 상부기름이송관(112)을 통해 분사되는 기름에 의해 가열되어 고르게 튀겨지면서 익혀지게 되며, 봉컨베이어벨트(120)가 유탕조(11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140)에 의해 봉컨베이어벨트의 몸체(121)는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1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봉컨베이어벨트의 몸체(121) 사이에 놓여지는 반죽은 몸체(1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르게 기름에 튀겨지게 된다.
한편, 봉컨베이어벨트(120)를 따라 유탕조(11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이송되면서 튀겨진 과자는 봉컨베이어벨트(120)의 기울기가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으로 이동할수록 유탕조(110)의 기름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과자에 포함된 기름도 유탕조(110)로 내로 낙하하게 되면서 기름이 제거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유탕장치 110: 유탕조
111: 하부기름이송관 112: 상부기름이송관
120: 봉컨베이어벨트 121: 몸체
122: 봉형돌기 123: 회전지지부
124: 간격유지부 130: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
131: 회전지지부 받침부 132: 봉형돌기 받침부
133: 삽입홈 134: 수직고정대
140: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 141: 수용홈
142: 구동모터 200: 기름저장탱크
201: 기름이송모터 300: 기름히팅장치
301: 기름보관부 302: 가열부
400: 반죽공급장치

Claims (10)

  1. 고온의 기름을 공급받고, 막대형 과자의 반죽을 공급받아 과자로 튀기는 유탕장치에 있어서,
    유탕장치는
    기름을 일정 이상의 높이가 되도록 공급받는 유탕조와;
    유탕조 내부의 양측면 사이에 놓여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봉형돌기와, 몸체의 양측면 중앙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된 회전지지부, 및 서로 이웃하는 봉컨베이어벨트의 회전지지부에 연결되어 몸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구비하는 봉컨베이어벨트와;
    유탕조의 내부의 양측면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봉컨베이어벨트의 회전지지부가 상부에 놓여지는 회전지지부 받침부와, 봉컨베이어벨트의 몸체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되는 봉형돌기가 수용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봉형돌기 받침부를 구비하는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와;
    유탕조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위치하는 봉컨베이어벨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며 봉컨베이어벨트를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키는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탕조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유탕조는 일단이 기름히팅장치에 연결되고 타단이 유탕조에 연결되어 고온의 기름을 유탕조로 직접 공급하는 하부기름이송관과, 일단이 기름히팅장치에 연결되고 타단이 유탕조의 상부에 기름을 유탕조로 분무하는 상부기름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부기름이송관의 끝단에는 분사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유탕조는 기름의 수위를 확인하는 기름수위 확인센서와 기름의 온도를 확인하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봉컨베이어벨트는 유탕조 내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이동하는 상부 봉컨베이어벨트와 상부 봉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서 유탕조 내의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이동하는 하부 봉컨베이어벨트가 연결된 무한괘도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의 회전지지부 받침부와 봉형돌기 받침부는 유탕조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기울기가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봉컨베이이벨트 이송롤러는 봉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봉컨베이어벨트의 봉형돌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장치.
  9. 고온의 기름을 공급받고, 막대형 과자의 반죽을 공급받아 과자로 튀기는 유탕장치와;
    과자를 튀기는데 사용되는 기름이 저장되는 기름저장탱크와;
    기름공급배관을 통해 기름저장탱크에 연결되어 기름을 공급받는 기름보관부와 기름보관부의 하부에서 기름보관부를 가열하는 가열부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기름을 유탕장치로 공급하는 기름히팅장치와; 막대형 과자를 반죽하고 유탕장치의 상부로 공급하는 반죽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유탕시스템에 있어서,
    유탕장치는
    기름을 일정 이상의 높이가 되도록 공급받는 유탕조와;
    유탕조 내부의 양측면 사이에 놓여지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봉형돌기와, 몸체의 양측면 중앙에서 각각 외부로 돌출된 회전지지부, 및 서로 이웃하는 봉컨베이어벨트의 회전지지부에 연결되어 몸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구비하는 봉컨베이어벨트와;
    유탕조의 내부의 양측면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봉컨베이어벨트의 회전지지부가 상부에 놓여지는 회전지지부 받침부와, 봉컨베이어벨트의 몸체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되는 봉형돌기가 수용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봉형돌기 받침부를 구비하는 봉컨베이어벨트 지지부와;
    유탕조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위치하는 봉컨베이어벨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며 봉컨베이어벨트를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키는 봉컨베이어벨트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기름히팅장치의 가열부는 전기 또는 가스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탕시스템.
KR1020110098931A 2011-09-29 2011-09-29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 KR101265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31A KR101265207B1 (ko) 2011-09-29 2011-09-29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31A KR101265207B1 (ko) 2011-09-29 2011-09-29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834A true KR20130034834A (ko) 2013-04-08
KR101265207B1 KR101265207B1 (ko) 2013-05-24

Family

ID=4843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931A KR101265207B1 (ko) 2011-09-29 2011-09-29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991B1 (ko) * 2021-05-27 2021-09-30 노명균 튀김 만두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127A (ko) 2015-03-25 2016-10-07 주식회사 케이씨 추로스의 기름 제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783Y1 (ko) * 2006-10-31 2007-02-21 유근영 김구이기용 컨베이어
JP2010166947A (ja) * 2009-01-20 2010-08-05 Shinwa Kikai:Kk フライ食品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991B1 (ko) * 2021-05-27 2021-09-30 노명균 튀김 만두 제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207B1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401B2 (en) Tostada forming and cooking
US2855308A (en) Deep fat frying potatoes
CA2521455C (en) Forming and cooking with controlled curtain spillage
KR20190127948A (ko) 팥말이빵 제조장치 및 팥말이빵의 제조 방법
KR101265207B1 (ko)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
RU2005127034A (ru) Формовочно-обж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с одинарными формами,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лучший контроль продукции
KR102656654B1 (ko)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20090044190A (ko) 자동튀김장치
KR101418936B1 (ko) 계란 지단 제조장치
KR0124481B1 (ko) 도너스 튀김기
US2962985A (en) Manicotti shell maker
JP6208037B2 (ja) 成形板
KR100820718B1 (ko) 구운 어묵 제조기
KR102348343B1 (ko) 면 삶는 장치
JP6653625B2 (ja) フライヤーの搬送装置、及び、フライヤー
KR20120016507A (ko) 부침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79988B1 (ko) 김 가공장치
JP5366049B2 (ja) 型焼き菓子の自動製造装置
JP5726638B2 (ja) 目玉焼き製造装置
CN215899382U (zh) 一种烹饪设备
CN110122795B (zh) 一种速冻香辣虾自动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JP2908007B2 (ja) 連続卵焼装置
KR20100132177A (ko) 자동 구이 장치
JP3184909B2 (ja) フライヤの天ぷら揚げ装置
KR101519218B1 (ko) 모듈화된 수냉식 어묵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