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988B1 - 김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김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988B1
KR101979988B1 KR1020170025191A KR20170025191A KR101979988B1 KR 101979988 B1 KR101979988 B1 KR 101979988B1 KR 1020170025191 A KR1020170025191 A KR 1020170025191A KR 20170025191 A KR20170025191 A KR 20170025191A KR 101979988 B1 KR101979988 B1 KR 101979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oil
unit
guide plate
f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727A (ko
Inventor
김대석
Original Assignee
김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석 filed Critical 김대석
Priority to KR102017002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9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김 가공장치는 원초김을 이송하는 제1 벨트를 갖는 원초김 공급유닛, 상기 원초김 공급유닛 공급된 상기 원초김 순차적으로 기름에 튀기는 튀김유닛, 및 상기 튀김유닛에서 튀겨진 튀긴 김에 양념을 공급하는 양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 가공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laver}
본 발명은 김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김을 기름에 튀기는 공정과 튀겨진 김에 양념을 가하여 조미할 수 있도록 한 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김은 기름을 바르고 소금을 뿌려서 조미한 후에 불에 굽는 공정을 거쳐 가공되었다. 이러한 김을 가공하는 공정을 자동화한 자동김구이 장치가 실용신안공보 제1991-0005600호(선행문헌)에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은, 도1에 도시된 종래 김 가공 공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김 가공 공정은 김에 기름을 바르는 공정과, 기름이 도포된 김에 소금을 뿌리는 공정, 그리고 기름 및 소금이 묻혀진 김을 굽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각각의 공정을 별개로 진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행문헌은 장치 내로 김을 유입시켜서 기름을 도포하는 구성, 소금을 뿌리는 구성, 및 굽는 구성을 하나의 장치 내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김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워낼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전통적 방법의 자동화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최근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전통적 방법과 다른 방식의 가공 방법을 적용하는데 한계를 가진다. 즉, 단순히 김을 굽는 공정에 의해 가공하는 것 외에 김을 기름에 튀기고 양념을 도포시켜서 간식, 안주로 식용할 수 있도록 가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한다.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1-0005600호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김을 기름에 튀기고 양념을 가하여 조미하여 김을 가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김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기름에 넣었다 빼내어 튀겨내고, 양념을 골고루 김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한 김 가공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김 가공장치는, 원초김을 이송하는 제1 벨트를 갖는 원초김 공급유닛, 상기 원초김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원초김을 순차적으로 기름에 튀기는 튀김유닛, 및 상기 튀김유닛에서 튀겨진 튀긴김에 양념을 공급하는 양념공급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양념공급유닛는, 상기 양념이 담기며 상기 양념이 낙하되는 토출구를 갖는 양념통; 상기 양념통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양념이 분산되어 안내되도록 복수의 안내홈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튀긴김 상부로 양념을 안내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의 양념이 상기 튀긴김 상부로 낙하되도록 상기 가이드판을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구비하며,
이송 중 상기 튀긴 김에 묻은 기름이 떨어지도록, 상기 튀김유닛과 상기 양념공급유닛 사이에 복수의 제2 벨트를 갖는 잔류기름낙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벨트간의 간격은 상기 튀김유닛으로부터 상기 양념공급유닛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념통의 토출구에 상기 양념을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공급롤러는 외주면에 상기 양념이 진입되는 복수의 공급홈이 형성된 홈부와, 상기 토출구를 차단시키는 평면부로 형성되어서, 상기 가이드판에 상기 양념이 간헐적으로 낙하되도록 하여서 상기 각 튀긴김의 이송 시간차이에 따른 양념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튀긴 김에 상기 가이드판으로부터 양념 공급이 완료된 후에 후속하는 튀긴김이 상기 가이드판의 하측으로 이송되는 시간 동안 상기 가이드판으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양념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는 상기 양념이 낙하되는 상기 가이드판에 인접 배치되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을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 위치로 왕복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튀김유닛은, 상기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조; 상기 기름조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기름을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기름조의 상부위치에 배치되어 순환회전되며 상기 원초김을 이송시키는 하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순환회전되며 상기 하부벨트에 위치된 원초김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상부벨트와; 상기 하부벨트에 위치된 상기 원초김을 상기 기름조의 기름에 일정시간 넣었다 빼는 출입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입수단은, 상기 상부벨트와 하부벨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1실린더와; 상기 각 제1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한쌍의 브라켓과; 상기 하부벨트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브라켓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하부벨트의 처짐을 지지하는 하부롤러가 결합된 복수의 제1축과; 상기 상부벨트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브라켓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부롤러가 결합된 복수의 제2축;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1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브라켓이 승강되면서 상기 상부롤러의 하강에 의해서 상기 하부벨트에 위치된 원초김이 기름에 잠기어 튀겨지도록 하고, 상시 하부롤러의 상승에 의해서 상기 하부벨트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튀겨진 김이 기름 상부로 이동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브라켓에 상기 1축과 2축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방향의 장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원초김 공급유닛은, 상기 원초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원초김이 감지되면 상기 원초김의 진행 방향을 폐쇄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출몰시켜서 상기 원초김의 진행 방향을 개폐하는 스토퍼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김 가공장치는,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원초김을 기름에 튀기고 양념을 가하여 조미하여 김을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튀김유닛에 의해 원초김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기름에 넣었다 빼내지고, 양념유닛에 의해 양념은 균일하게 튀긴김에 도포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출입수단의 상부 및 하부벨트를 원초김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부 및 하부롤러는 원초김이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기름에 튀겨지도록 한다.
또한, 양념통의 토출구에 마련된 공급롤러는 튀긴김의 이송 시간 차이에 따른 양념의 손실을 줄이고, 수거부는 튀긴김이 이송되는 시간 간격 동안 낙하하여 버려지는 양념을 수거하여 양념 손실을 추가적으로 방지하고 주변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김 가공 공정의 흐름도,
도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김 가공장치의 개략도,
도3a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김 가공장치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
도 3c는 도 3b의 양념공급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4는 원초김 공급유닛의 확대도,
도5는 튀김유닛의 확대도,
도6은 출입수단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7은 출입수단의 동작과정을 보인 도면,
도8은 제1,2 축의 거리가 변경된 예를 보인 도면,
도9는 잔류기름낙하부의 확대도,
도10 및 도11은 양념유닛의 요부를 발췌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김 가공장치에 의해 김이 가공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 가공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원초김을 튀김유닛에서 튀겨낸 후, 양념유닛에 의해 양념을 도포하여 조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초김은 튀김유닛에 의해 튀겨지고, 양념이 도포된다. 양념이 도포된 양념김은 절단된 후에 포장되는 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 중에서 튀김 공정과 양념을 도포하는 공정에 관여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원초김은 사각형으로 잘려진 가공 전의 김을 의미하고, 튀긴 김은 원초김이 튀김유닛에 의해 튀겨진 상태로 된 것을 의미한다.
원초김은 기름에 튀겨진 후 절반정도로 면적이 수축되고 기름이 흡수되면서 두게가 두꺼워진다.
도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김 가공장치는, 원초김 공급유닛 (10), 튀김유닛(20), 및 양념공급유닛(3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원초김 공급유닛(10)은 원초김(1)을 튀김유닛(20)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원초김(1)은 제1 벨트(11)를 통해 이송된다. 상기 원초김 공급유닛(10)은 감지센서(14), 스토퍼(13), 스토퍼구동실린더(12)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14)는 상기 제1 벨트(11)를 따라 이송되는 원초김(1)을 감지한다.
상기 스토퍼(13)는 상기 감지센서(14)에 의해 상기 원초김(1)이 감지되면 상기 원초김(1)의 진행 방향을 폐쇄한다. 상기 스토퍼(13)는 스토퍼구동실린더(12)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 벨트(11)로부터 출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구동실린더(12)는 상기 스토퍼(13)를 출몰시키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 상기 스토퍼(13)가 상기 제1 벨트(11)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원초김(1)의 진행 방향이 폐쇄되고 상기 스토퍼(13)가 상기 제1 벨트(11)의 하측으로 몰입되면 상기 원초김(1)의 진행 방향이 개방된다.
상기 감지센서(14)에 의해 원초김(1)이 감지되면 상기 스토퍼구동실린더(12)의 로드가 신장되어 스토퍼(13)가 상기 제1 벨트(11)로부터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원초김(1)은 튀김유닛(20)으로 공급되기 전에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튀김유닛(20)에서 튀겨진 튀긴김(2)이 잔류기름낙하부(40) 측으로 이송되면 상기 스토퍼구동실린더(12)의 로드가 수축되어 스토퍼(13)가 상기 제1 벨트(11) 아래로 몰입되고, 대기 중인 원초김(1)은 튀김유닛(20)으로 이송된다.
도 2, 도 3a,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튀김유닛(20)은 상기 원초김 공급유닛(10)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원초김(1)을 순차적으로 기름에 튀기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튀김유닛(20)은 기름조(21), 히터부(22), 하부벨트(231), 상부벨트(232)를 구비하고 또한 원초김(1)을 기름조(21)에 출입시키는 출입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기름조(21)는 기름(27)을 수용한다.
상기 히터부(22)는 상기 기름조(21)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기름을 가열한다.
상기 하부벨트(231)는 상기 기름조(2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벨트(231)는 제1 롤러(24)에 권취되어 순환 회전한다. 상기 원초김(1)은 상기 하부벨트(231)에 안착되어 이송된다.
상기 상부벨트(232)는 상기 하부벨트(231)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벨트(232)는 제2 롤러(25)에 권취되어 순환 회전한다. 상기 상부벨트(232)는 상기 하부벨트(231)에 위치된 원초김(1)의 이탈을 방지한다. 즉, 상기 원초김(1)은 상기 상부벨트(232)와 하부벨트(231) 사이에 위치하는데, 원초김(1)이 후술하는 출입수단에 의해 기름조(21)에 넣어질 때, 상기 원초김(1)의 상측에서 원초김(1)을 누르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벨트(232)는 하부벨트(231)를 따라 잔류기름낙하부(40) 측으로 이송되는 튀긴김(2)을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출입수단은 상기 하부벨트(231)에 위치된 상기 원초김(1)을 상기 기름조(21)에 일정 시간 넣었다 빼내기 위해서 마련된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출입수단은 한 쌍의 제1 실린더(235), 한 쌍의 브라켓(26), 복수의 제1 축(236), 복수의 제2 축(23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실린더(235)는 상기 상부벨트(232)와 상기 하부벨트(23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된다. 튀김유닛(20)은 메인바디(201)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실린더(235)는 메인바디(201)에 고정되는 메인브라켓(28)에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브라켓(26)은 각각 상기 제1 실린더(235)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브라켓(26)은 상기 제1 실린더(235)의 로드에 체결되어 승강된다.
상기 제1 축(236)은 상기 하부벨트(231)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축(236)은 상기 하부벨트(231)가 이루는 폐곡선 내부에 배치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축(236)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브라켓(26)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 축(236)은 상기 브라켓(26)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 축(236)에는 상기 하부벨트(231)의 처짐을 방지하는 하부롤러(233)가 결합된다. 상기 제1 축(236)은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롤러(233)는 각 제1 축(236)에 복수 개가 결합된다.
상기 제2 축(237)은 상기 상부벨트(232)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축(237)은 상기 상부벨트(232)가 이루는 폐곡선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축은(237)은, 상기 제1 축(236)과 마찬가지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브라켓(26)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2 축(237)은 상기 브라켓(26)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 축(237)은 복수 개 마련되며, 각각의 제2 축(237)에는 복수의 상부롤러(234)가 결합된다.
상기 제1 실린더(235)의 작동에 따라 상기 브라켓(26)이 승강되고, 상기 브라켓(26)에 체결된 상기 제1,2 축(236, 237)이 함께 승강된다. 상기 제1 실린더(235)가 상기 브라켓(26)을 하강시키면, 상기 제2 축(237)에 결합된 상기 상부롤러(234)가 하강하면서 상기 하부벨트(231)에 위치된 원초김(1)을 눌러서 기름에 잠기도록 한다. 일정 시간 원초김(1)이 기름조(21)에 잠겨서 튀겨진 후, 상기 제1 실린더(235)가 상기 브라켓(26)을 상승시키면, 제1 축(236)에 결합된 상기 하부롤러(233)가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하부벨트(231)가 상부로 이동되어 튀겨진 김이 기름 상부로 이동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출입수단의 동작을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의 (a)는 제1 실린더(235)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벨트(232)는 제2 롤러(25)에 감겨있고, 하부벨트(231)는 제1 롤러(24)에 감겨있다. 상부벨트(232) 및 하부벨트(231)는 모두 하방으로 쳐진 호형으로 각각 제2 롤러(25) 및 제1 롤러(24)에 권선되어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상부롤러(234)는 가상선 L1을 따라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롤러(233)는 가상선 L2를 따라 서로 수평으로 배치된다.
도7의 (b)는 제1 실린더(235)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실린더(235)가 브라켓(26)을 하강시키면, 상기 상부롤러(234)와 하부롤러(233)는 그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강한다. 이때, 상부롤러(234)가 상기 상부벨트(232)의 하측 및 하부벨트(231)의 상측을 누르면서 상기 상부벨트(232)와 하부벨트(231) 사이에 위치한 원초김(1)을 기름조(21)에 담그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롤러(234)들이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므로, 하방으로 볼록하게 쳐진 상부벨트(232)의 하측을 수평으로 펴주게 되어 원초김(1)이 평행한 상태로 기름조(21)에 투입되면서 튀겨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라켓(26)에는 각각 장공(261)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공(261)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축(236)과 상기 제2 축(237)이 하나의 장공(261)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제1 축(236)과 상기 제2 축(237)은 장공(261)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축(236)과 제2 축(237) 사이의 간격은 조절 가능하다.
도8의 (a) 및 (b)는 상기 제1 축(236)과 상기 제2 축(237) 사이의 간격이 변경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 축(236)과 상기 제2 축(237)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면 상기 제1 축(236)에 결합된 하부롤러(233)와 제2 축(237)에 결합된 상부롤러(234)의 간격이 동시에 변경된다. 도8(a)에서 상기 제1 축(236)과 상기 제2 축(237) 사이의 간격은 D1이며, 도8(b)에서 상기 제1 축(236)과 상기 제2 축(237) 사이의 간격은 D2이다. 여기서, D1은 D2보다 크다.
상기 제1 축(236)과 상기 제2 축(237)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원초김(1)이 기름조(21)에 담기는 깊이를 조절하여 튀기는 시간 내지 정도를 조절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또한 상부벨트(232) 및 하부벨트(231)의 처짐상태에 따라 각 벨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축(236)은 상기 장공(261)의 최하단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축(237)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2 축(236,237)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a)는 상기 제2 축(237)이 장공(261)의 최상단 측에 배치된 것으로 간주할 때, 도8(b)는 상기 제2 축(237)이 장공(261)의 중단 측에 배치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실린더(235)가 브라켓(26)을 하강시키면, 도8(a)에서의 상부롤러(234)보다 도8(b)에서의 상부롤러(234)가 하방으로 더 하강하게 되므로(제1 실린더(235)의 로드의 신장 길이는 동일하고, 상부롤러(234)가 최초 더 아래에 위치한 결과 임), 원초김(1)을 기름조(21)에 더 깊이 침투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1,2 축(236,237)의 거리 조절에 의해 튀기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 도 3b, 도 3c,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양념공급유닛(30)은 상기 튀김유닛(20)에서 튀겨진 튀긴김(2)에 양념(37)을 공급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튀긴김(2)은 제3 벨트(35)에 의해 이송될 때 양념(37)이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념공급유닛(30)은 양념통(31), 가이드판(32), 및 진동부(33)를 포함한다.
양념통(31)은 양념(37)이 담기며 상기 양념(37)이 낙하되는 토출구(311)를 갖는다. 상기 양념(37)은 튀긴김(2)에 도포되는 작은 알갱이 또는 가루 형태의 조미용 재료를 의미한다.
상기 양념통(31)의 토출구(311)에는 상기 양념(37)을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34)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공급롤러(34)는 외주면에 홈부(342)와 평면부(343)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342)는 외주면에 상기 양념(37)이 진입되는 복수의 공급홈(341)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공급홈(341)은 서로 인접하여 마련된다. 상기 홈부(342)는 공급롤러(34)의 외주면에 이격되어 2군데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홈부(342)의 개수는 2군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평면부(343)는 상기 토출구(311)를 차단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롤러(34)가 회전할 때, 상기 홈부(342)와 상기 평면부(343)가 교대로 상기 토출구(311)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홈부(342)의 공급홈(341)이 배치될 때 양념(37)이 공급홈(341)에 수용되어 이송되고, 평면부(343)가 배치될 때는 토출구(311)가 막혀서 잠시 양념(37)의 공급이 중단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양념(37)이 간헐적으로 가이드판(32)에 낙하되도록 하여서, 선 공급되는 튀긴김(2)과 후속하여 공급되는 튀긴김(2)이 간격을 두고 양념공급유닛(30)으로 공급될때 양념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32)은 상기 양념통(31)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양념(37)을 상기 튀긴김(2)의 상부로 안내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판(32)에는 복수의 안내홈(32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안내홈(321)은 상기 양념통(31)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양념(37)을 분산시켜 안내한다.
상기 진동부(33)는 상기 가이드판(32)의 양념(37)이 상기 튀긴김(2)의 상부로 낙하되도록 상기 가이드판(32)을 진동시킨다. 상기 가이드판(32)은 양념통(31)으로부터 양념(37)이 낙하되는 수평면(32a)과 튀긴김(2) 상부로 낙하되는 양념을 안내하는 경사면(3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부(33)가 상기 가이드판(32)을 진동시키면, 상기 양념통(31)으로부터 낙하하는 양념(37)은 상기 안내홈(321)으로 균일하게 수용되면서 상기 가이드판(32)의 단부 측으로 이송된다. 결과적으로, 튀긴김(2)에 양념(37)이 균일하게 낙하되어 최종적으로 가공된 김의 맛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홈(321)은 어느 특정 부분에 양념(37)이 집중되거나, 어느 특정 부분에 양념(37)이 모자라서 맛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경사면(32b)의 단부측에는 안내판(38)이 힌지(38a) 연결되어서 경사면(32b)을 따라 낙하되는 양념(37)이 불규칙하게 날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념을 수거하는 수거부(36)를 더 포함한다.
도 2 및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수거부(36)는 상기 튀긴김(2)에 상기 가이드판(32)으로부터 양념(37)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 후속하는 튀긴김(2)이 상기 가이드판(32)의 하측으로 이송되는 시간 동안 상기 가이드판(32)으로부터 낙하하는 양념(37)을 수거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수거부(36)는 수거통(361)과 제2 실린더(362)를 포함한다.
상기 수거통(361)은 상기 양념(37)이 낙하되는 상기 가이드판(3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거통(361)은 상기 가이드판(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실린더(362)는 상기 수거통(361)을 상기 가이드판(32)의 하부 위치로 왕복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실린더(362)는 상기 수거통(361)을 상기 가이드판(32)의 단부 위치로 왕복 이동시켜서, 후속하는 튀긴김(2)이 상기 가이드판(32)의 단부 위치로 이송되는 시간 동안 그대로 낙하하는 양념(37)을 수거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잔류기름낙하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잔류기름낙하부(40)에서 이송 중 튀긴김(2)에 묻은 기름이 떨어진다. 상기 잔류기름낙하부(40)는 상기 튀김유닛(20)과 상기 양념공급유닛(30)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잔류기름낙하부(40)는 복수의 제2 벨트(41)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벨트(41)의 간격은 상기 튀김유닛(20) 측으로부터 상기 양념공급유닛(30) 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즉, 상기 튀김유닛(30) 측에서 상기 제2 벨트(41)의 간격(d1)은 상기 양념공급유닛(30) 측에서 상기 제2 벨트(41)의 간격(d2) 보다 크다. 상기 튀김유닛(20)에서 튀겨진 상기 튀긴김(2)은 상기 원초김(1)보다 수축되어 그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상기 튀긴김(2)은 상기 잔류기름낙하부(40)에서 이송되는 도중에 냉각되면서 더욱 수축되므로 상기 제2 벨트(41)의 간격을 양념공급유닛(30) 측으로 갈수록 좁게 하여 상기 튀긴김(2)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김 가공장치는, 튀김유닛(20)에 의해 원초김(1)을 용이하게 튀겨낸다. 기름조(21)에 원초김(1)을 넣을 때, 상,하부벨트(232,231)에 의해 원초김(1)이 안정적으로 안내되는 효과를 제공하면서 상부롤러(234)에 의해 원초김(1)이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원초김(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균일하게 튀겨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양념공급유닛(30)에 의해 균일하게 양념을 도포하여 균일한 맛을 제공하는 조미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급롤러(34) 및 수거부(36)는 튀긴김(2)이 이송되는 시간 간격으로 인한 양념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잔류기름낙하부(40)는 튀긴김(2)에 묻은 기름이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잔류기름낙하부(40)의 제2 벨트(41)는 양념공급유닛(40) 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져서, 양념공급유닛(40) 측으로 이동하는 튀긴김(2)이 냉각되어 수축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원초김 공급유닛 11... 제1 벨트
12... 스토퍼구동실린더 13... 스토퍼
14... 감지센서 20... 튀김유닛
21... 기름조 22... 히터부
231... 하부벨트 232... 상부벨트
233... 하부롤러 234... 상부롤러
235... 제1 실린더 30... 양념공급유닛
31... 양념통 32... 가이드판
321... 안내홈 33... 진동부
34... 공급롤러 341... 공급홈
342... 홈부 343... 평면부
36... 수거부 361... 수거통
362... 제2 실린더 40... 잔류기름낙하부
41... 제2 벨트 1... 원초김
2... 튀긴김

Claims (9)

  1. 원초김(1)을 이송하는 제1 벨트(11)를 갖는 원초김 공급유닛(10);
    상기 원초김 공급유닛(10)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원초김(1)을 순차적으로 기름(27)에 튀기는 튀김유닛(20); 및
    상기 튀김유닛(20)에서 튀겨진 튀긴김(2)에 양념(37)을 공급하는 양념공급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양념공급유닛(30)는,
    상기 양념(37)이 담기며 상기 양념(37)이 낙하되는 토출구(311)를 갖는 양념통(31); 상기 양념통(31)으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양념(37)이 분산되어 안내되도록 복수의 안내홈(32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튀긴김 상부로 양념을 안내하는 가이드판(32); 및 상기 가이드판(32)의 양념이 상기 튀긴김 상부로 낙하되도록 상기 가이드판(32)을 진동시키는 진동부(33);를 구비하고,
    이송 중 상기 튀긴 김(2)에 묻은 기름이 떨어지도록, 상기 튀김유닛(20)과 상기 양념공급유닛(30) 사이에 복수의 제2 벨트(41)를 갖는 잔류기름낙하부(40)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벨트(41)간의 간격(41)은 상기 튀김유닛(20)으로부터 상기 양념공급유닛(30)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성되고,
    상기 양념통(31)의 토출구(311)에 상기 양념을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공급롤러(34)는 외주면에 상기 양념이 진입되는 복수의 공급홈(341)이 형성된 홈부(342)와, 상기 토출구(311)를 차단시키는 평면부(343)로 형성되어서,
    상기 가이드판(32)에 상기 양념이 간헐적으로 낙하되도록 하여서 상기 각 튀긴김의 이송 시간차이에 따른 양념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튀긴 김(2)에 상기 가이드판(32)으로부터 양념 공급이 완료된 후에 후속하는 튀긴김(2)이 상기 가이드판(32)의 하측으로 이송되는 시간 동안 상기 가이드판(32)으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양념을 수거하는 수거부(36)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36)는 상기 양념이 낙하되는 상기 가이드판(32)에 인접 배치되는 수거통(361)과, 상기 수거통(361)을 상기 가이드판(32)의 하부 위치로 왕복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3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유닛(20)은,
    상기 기름(27)을 수용하는 기름조(21);
    상기 기름조(21)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기름을 가열하는 히터부(22);
    상기 기름조(21)의 상부위치에 배치되어 순환회전되며 상기 원초김을 이송시키는 하부벨트(231)와;
    상기 하부벨트(231)의 상부에 위치되어 순환회전되며 상기 하부벨트(231)에 위치된 원초김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상부벨트(232)와;
    상기 하부벨트(231)에 위치된 상기 원초김을 상기 기름조(21)의 기름에 일정시간 넣었다 빼는 출입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수단은,
    상기 상부벨트(232)와 하부벨트(231)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1실린더(235)와;
    상기 각 제1실린더(235)에 의해 승강되는 한쌍의 브라켓(26)과;
    상기 하부벨트(231)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브라켓(26)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하부벨트(231)의 처짐을 지지하는 하부롤러(233)가 결합된 복수의 제1축(236)과;
    상기 상부벨트(232)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한쌍의 브라켓(26)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부롤러(234)가 결합된 복수의 제2축(237);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1실린더(235)의 작동에 따라 상기 브라켓(26)이 승강되면서 상기 상부롤러(234)의 하강에 의해서 상기 하부벨트(231)에 위치된 원초김이 기름에 잠기어 튀겨지도록 하고, 상시 하부롤러(235)의 상승에 의해서 상기 하부벨트(231)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튀겨진 김이 기름 상부로 이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브라켓(26)에 상기 제1 축(236)과 제2 축(237)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방향의 장공(261)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축(236)과 상기 제2 축(237)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가공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초김 공급유닛(10)은,
    상기 원초김(1)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4);
    상기 감지센서(14)에 의해 상기 원초김(1)이 감지되면 상기 원초김(1)의 진행 방향을 폐쇄하는 스토퍼(13); 및
    상기 스토퍼(13)를 출몰시켜서 상기 원초김(1)의 진행 방향을 개폐하는 스토퍼구동실린더(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가공장치.
KR1020170025191A 2017-02-27 2017-02-27 김 가공장치 KR101979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191A KR101979988B1 (ko) 2017-02-27 2017-02-27 김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191A KR101979988B1 (ko) 2017-02-27 2017-02-27 김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727A KR20180098727A (ko) 2018-09-05
KR101979988B1 true KR101979988B1 (ko) 2019-05-17

Family

ID=6359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191A KR101979988B1 (ko) 2017-02-27 2017-02-27 김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2989B (zh) * 2020-10-28 2021-10-22 临泉县满江红食品有限公司 一种油炸花生生产自动添加调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75Y1 (ko) * 2002-11-26 2003-02-19 김병철 해태구이기의 소금 공급장치
KR100388775B1 (en) * 2003-01-30 2003-06-25 Jun Chul Kim Sea plant fryer
KR100675131B1 (ko) * 2005-03-25 2007-02-01 권영신 전기히터를 이용한 자동연속 튀김장치
KR101459930B1 (ko) * 2013-07-20 2014-11-07 강신탁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600Y1 (ko) 1989-01-28 1991-07-27 안무일 자동김구이 장치
US4933199A (en) * 1989-02-01 1990-06-12 Frito-Lay, Inc. Process for preparing low oil potato chi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875Y1 (ko) * 2002-11-26 2003-02-19 김병철 해태구이기의 소금 공급장치
KR100388775B1 (en) * 2003-01-30 2003-06-25 Jun Chul Kim Sea plant fryer
KR100675131B1 (ko) * 2005-03-25 2007-02-01 권영신 전기히터를 이용한 자동연속 튀김장치
KR101459930B1 (ko) * 2013-07-20 2014-11-07 강신탁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727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8066B2 (en) Improved breaded products fryer
KR102044572B1 (ko) 즉석 유탕면의 제조 방법, 및 튀김 처리 장치
US6280786B1 (en) Production of corn dogs
KR101924633B1 (ko) 김 양념공급장치
JP2006109839A (ja) 制御されたカーテン状こぼれ部による成形及び調理方法及び装置
KR101979988B1 (ko) 김 가공장치
KR940008612A (ko) 튀김식품에 가루를 입히는 방법 및 장치
JP2021098123A (ja) 自動フライヤ
CN107668110B (zh) 均布装置
KR101798893B1 (ko) 장어구이용 조리 시스템
KR101579620B1 (ko) 침지식 김치 양념소넣기 장치
CA2472568C (en) Variable geometry seasoning tumbler
CN107646925B (zh) 饼排布机
KR20120023973A (ko) 기름 분사식 튀김 장치
KR101380244B1 (ko) 파우더 균일 도포 기능을 가지는 김 구이 장치
KR20160011349A (ko) 카트리지형 폐유 회수장치를 갖는 김의 조미장치
JP6653625B2 (ja) フライヤーの搬送装置、及び、フライヤー
CN105592939A (zh) 用于日式面包屑等的食物产品涂覆设备
FI80994C (fi) Saett foer stekning av livsmedelsprodukter samt anordning foer genomfoerande av saettet.
BE1026221B1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produceren van chipolata's
CN107668111B (zh) 烘烤装置
CN107581203B (zh) 饼成形机
KR20130034834A (ko) 유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탕시스템
US20140272050A1 (en) Food cooking
AU2010201680B2 (en) Vertical Flow French F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