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638A -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638A
KR20210119638A KR1020200035967A KR20200035967A KR20210119638A KR 20210119638 A KR20210119638 A KR 20210119638A KR 1020200035967 A KR1020200035967 A KR 1020200035967A KR 20200035967 A KR20200035967 A KR 20200035967A KR 20210119638 A KR20210119638 A KR 20210119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oothbrush
fitting groove
handl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홍
Original Assignee
박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홍 filed Critical 박일홍
Priority to KR1020200035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9638A/ko
Publication of KR2021011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46B7/1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as a rotating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05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by moulding or casting a body aroun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3/00Preparing, i.e. Manufacturing brush bodies
    • A46D3/04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 A46D3/045Machines for inserting or fixing bristles in bodies for fixing bristles by fusing or gluing to a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2Brushes
    • B29L2031/425Toothbrus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003/1034Material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fic properties
    • C09K2003/1081Water-proof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대손잡이; 및 상기 칫솔대손잡이에 T자형으로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헤드는 칫솔대손잡이로부터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의 양측을 커버하는 측면커버를 포함하고,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끼움홈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회동브라켓을 포함하는 칫솔대손잡이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b) 일측에 치모가 식모되는 치모판 및 상기 치모판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이음부재와 상기 이음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회동부재로 구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헤드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c) 상기 회전체를 감싸도록 방수부를 압출성형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수부가 압출성형된 헤드를 칫솔대손잡이에 형성된 끼움홈에 탁상프레스로 가압하여 끼워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헤드는 방수부가 상기 끼움홈의 양 끝단에 각각 접촉되는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TOOTHBRUS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칫솔의 머리 부분과 손잡이 부분이 T자형으로 형성된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치모가 구비되는 헤드와 칫솔대손잡이가 T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칫솔대손잡이로부터 헤드가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치아의 다양한 형태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한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칫솔은 손잡이와 헤드가 일자 형태로 이루어진 세로형 칫솔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세로형 칫솔은 칫솔질(양치질)을 할때 좌우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게 되어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범랑질(enamel)이 쉽게 손상되어 치아 질환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칫솔질을 할 때 잇몸에서 치아 끝으로 빗질하듯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으나, 세로형 칫솔의 경우 구조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어렵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게 되어 범랑질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로형 칫솔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손목 관절의 움직임이 많아져 관절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덧니, 옥니, 뻐드렁니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치아를 깨끗하게 칫솔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칫솔질을 상,항 방향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2592호에 T자형 칫솔이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T자형 칫솔을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은 손잡이(1)와 치모가 식모되는 솔체(4)가 T자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T자형 칫솔은 칫솔질을 상,하 방향으로 쉽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아보호막을 손상하지 않고 잇몸을 보호할 수 있으며, 깨끗한 칫솔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T자형 칫솔은 손잡이(1)와 솔체(헤드, 4)가 T자형태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의 칫솔질이 가능하다는 점은 긍정적이나 손잡이(1)와 솔체(4)에 식모된 치모(5)가 직각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치아에 맞춤형 칫솔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치아의 형태뿐만 아니라 내치면과 외치면 각각을 칫솔질 하는 경우에도 솔체(4)가 손잡이(1)에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깨끗한 칫솔질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등록특허공보 제10-1683734호에 파지부(손잡이, 20)로부터 머리부(헤드, 10)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칫솔이 개시되었다.
도 2는 종래 머리부가 꺾이도록 설계된 칫솔을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은 머리부(10), 파지부(20) 및 상기 머리부(10)와 파지부(20) 사이에 구비되어, 머리부(10)가 치아와 치은에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할 때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꺽임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꺽임수단(50)은 머리부(10)와 파지부(20)가 상호 접하는 부분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핀(60), 상기 힌지결합핀(60)과 인접한 머리부(10) 또는 파지부(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관통공(70), 상기 머리부(10) 또는 파지부(20) 중 나머지 하나에 관통공(70)에 대응되는 부분에 곡면이 형성되게 인입된 삽입홈(80) 및 상기 관통공(7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외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상기 삽입홈(80)에 안착되어 머리부(10)와 파지부(20)가 일직선상을 이루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삽입홈(80)에서 이탈되면서 머리부(10)가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상태를 갖는 잠금유닛(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칫솔은 파지부(20)로부터 머리부(10)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잠금유닛(9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머리부(10)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칫솔은 파지부(20)로부터 머리부(10)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점은 긍정적이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10)는 파지부(20)의 길이방향으로 손잡이 일부분에서 회동되는 구성으로 손잡이 일부분이 회동되면 칫솔질을 할 때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불편함이 따르며, 치모가 식모되는 헤드 부분만 회동되는 것이 아닌 손잡이 일부분이 함께 회동되어 치아의 형태나 구조에 따라 치모의 각도를 달리하는 맞춤형 칫솔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칫솔은 단순히 일정한 외력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 머리부(10)가 파지부(20)로부터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칫솔질을 하고 있는 것을 인식시켜주기 위한 구성으로, 파지부(20)로부터 머리부(20)의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치아의 형태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2592호(2001.08.01.) 등록특허공보 제10-1683734호(2016.12.0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모가 구비되는 헤드와 칫솔대손잡이가 T자형으로 이루어져 종래 가로칫솔질보다 세로칫솔질에 의해 칫솔질 시간을 감소시키고, 보다 청결한 칫솔질이 가능한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칫솔대손잡이로부터 헤드가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치아의 형태나 또는 덧니, 옥니, 뻐드렁니 등 다양한 치아의 형태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한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헤드의 회동을 위한 회전체에 겉면을 감싸는 방수부가 구비됨으로써, 헤드의 회동에 의해 칫솔대손잡이와 그 사이에 틈이 형성되더라도 방수기능을 수행하여 세균증식 및 세균서식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은 칫솔대손잡이; 및 칫솔대손잡이에 T자형으로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헤드는 칫솔대손잡이로부터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끼움홈과 끼움홈의 양측을 커버하는 측면커버를 포함하고, 일측이 개구되어 끼움홈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회동브라켓을 포함하는 칫솔대손잡이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b) 일측에 치모가 식모되는 치모판 및 치모판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이음부재와 이음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회동부재로 구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헤드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c) 회전체를 감싸도록 방수부를 압출성형하는 단계; 및 (d) 방수부가 압출성형된 헤드를 칫솔대손잡이에 형성된 끼움홈에 탁상프레스로 가압하여 끼워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헤드는 방수부가 상기 끼움홈의 양 끝단에 각각 접촉되는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치모가 구비되는 헤드와 칫솔대손잡이가 T자형으로 이루어져 가로로 칫솔질을 해야하는 종래 세로형 칫솔에 비해 칫솔질 시간을 감소시키고, 보다 청결한 칫솔질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칫솔대손잡이로부터 헤드가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치아의 형태나 또는 덧니, 옥니, 뻐드렁니 등 다양한 치아의 형태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헤드의 회동을 위한 회전체에 겉면을 감싸는 방수부가 구비됨으로써, 헤드의 회동에 의해 칫솔대손잡이와 그 사이에 틈이 형성되더라도 방수기능을 수행하여 세균증식 및 세균서식을 차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T자형 칫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머리부가 꺾이도록 설계된 칫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칫솔대손잡이를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칫솔대손잡이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칫솔대손잡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헤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헤드의 치모판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헤드의 방수부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칫솔대손잡이로부터 헤드가 회동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은 치모(240)가 구비되는 헤드(200)와 칫솔대손잡이(100)가 T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은 치모(240)가 구비되는 헤드(200)와 손잡이 기능을 하는 칫솔대손잡이(100)가 T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 세로형 칫솔에 비하여 보다 짧은 시간안에 깨끗한 칫솔질이 가능하며, 상기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치아의 다양한 형태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칫솔대손잡이(100) 및 헤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은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가 T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칫솔대손잡이(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칫솔대손잡이를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칫솔대손잡이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칫솔대손잡이(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회동브라켓(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칫솔대손잡이(10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후술되는 헤드(200)와의 연결을 위한 회동브라켓(110)이 구비되고, 타측은 손잡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긴 막대 형태를 갖는다.
이때, 칫솔대손잡이(100)는 종래 다양한 형태의 칫솔 손잡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칫솔대손잡이(100)의 손잡이 기능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형태 및 구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회동브라켓(110)은 칫솔대손잡이(100)의 일단에 구비되어 후술되는 헤드(20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끼움홈(111), 측면커버(112) 및 테이퍼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회동브라켓(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개구된 공간을 통해 후술되는 헤드(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상세하게는, 회동브라켓(110)은 내측 공간에 끼움홈(111)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홈(111)에 끼워진 헤드(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회동브라켓(110)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끼움홈(111)이 형성된 내주면은 원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은 타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가 연결되는 방향의 세로축 두께(l1)보다 가로축 두께(l2)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축 두께(l1)가 약 2mm로 이루어지고, 가로축 두께(l2)가 약 2.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홈(111)은 회동브라켓(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헤드(200)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끼움홈(111)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회동브라켓(110)의 일측이 개구된 공간을 통해 후술되는 헤드(200)가 끼움홈(111)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끼움홈(111)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의 지름(d1)보다 개구된 공간 사이의 길이(d2)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끼움홈(111)으로 끼워진 헤드(200)의 회전체(220) 및 방수부(230)는 내부 공간의 지름(d1)보다 개구된 공간 사이의 길이(d2)가 작기 때문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된 공간인 회동브라켓(110)의 양 끝단 사이의 간격은 후술되는 헤드(200)의 회전체(220) 및 방수부(230)가 끼움홈(111)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되, 상기 헤드(200)가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방수부(230)가 걸림되는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커버(112)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끼움홈(111)의 양측을 커버하는 것으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회동브라켓(110)의 양측을 각각 커버하여 끼움홈(111)으로 끼워진 헤드(200)의 회전체(220) 및 방수부(2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측면커버(112)는 후술되는 헤드(200)의 방수부(230)와 더불어 헤드(200)와의 접촉면적 증가로 인한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방수부(2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테이퍼부(113)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동브라켓(110)의 양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양 끝단 각각이 두께가 거의 없는 납작한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동브라켓(110)의 양 끝단은 후술되는 헤드(200)의 방수부(230)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즉 테이퍼부(113)는 양 끝단에서 양 끝단을 연결하는 회동브라켓(110)의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후술되는 헤드(200)의 회전체(220) 및 방수부(230)가 회동브라켓(110)의 끼움홈(111)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회동브라켓(110)으로부터 회전체(220) 및 방수부(230)가 회동되는데, 이때, 회전체(220) 및 방수부(230)가 일정범위 내에서 원활하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회동브라켓(110)의 양 끝단 각각에 형성된 테이퍼부(113)는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거의 없는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동브라켓(110)으로부터 헤드(200)가 회동되는 경우, 후술되는 방수부(230)의 연장부재(231)와 커버부재(232) 사이의 틈으로 테이퍼부(113)가 형성된 회동브라켓(110)의 끝단 부분이 용이하게 안내되어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충분하게 회동 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헤드(20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회동브라켓(110)의 일단은 후술되는 방수부(230)의 연장부재(231)와 커버부재(232) 일측에 형성된 사이 공간으로 안내되고, 반대로, 헤드(200)가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회동브라켓(110)의 타단은 후술되는 방수부(230)의 연장부재(231)와 커버부재(232) 타측에 형성된 사이 공간으로 안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회동브라켓(110)의 일단이 후술되는 방수부(230)의 연장부재(231)와 커버부재(232) 일측에 형성된 사이 공간으로 안내되어 걸림되고, 회동브라켓(110)의 타단이 후술되는 방수부(230)의 연장부재(231)와 커버부재(232) 타측에 형성된 사이 공간으로 안내되어 걸림되는 범위, 즉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회동 가능한 범위는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 사이의 각이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후 칫솔질을 함에 따라, 치아의 다양한 형태 및 위치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칫솔대손잡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칫솔대손잡이(100)는 끼움홈(111)의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토퍼(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20)는 끼움홈(111)의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홈(111)에 끼워지는 후술되는 방수부(230)의 겉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끼움홈(111)에 끼워진 방수부(230)가 자유롭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토퍼(12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회동브라켓(110)의 장축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끼움홈(111)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끼움홈(111)에 끼워지는 후술되는 방수부(230)가 회동되는 방향과 수직인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20)는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토퍼(120)가 서로 이격되어 끼움홈(111)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스토퍼(120)가 후술되는 방수부(230)의 겉면을 압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헤드(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헤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헤드의 치모판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헤드의 방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에서 칫솔대손잡이로부터 헤드가 회동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헤드(200)는 치모(240)가 식모되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손잡이(100)에 T자형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치모판(210), 회전체(220), 방수부(230) 및 치모(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헤드(200)는 상기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치아의 위치나 다양한 형태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세로형 칫솔보다 WKfq은 시간 내에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oRmt한 칫솔질이 가능하며, 치아의 외치면 뿐만 아니라 내치면까지 쉽고 편하게 칫솔질할 수 있도록 한다.
치모판(210)은 일측에 치모(240)가 식모되며, 타측에 후술되는 회전체(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치모판(210)은 헤드(200)의 본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수의 치모(24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후술되는 회전체(220) 및 방수부(230)가 칫솔대손잡이(100)의 회동브라켓(110)에 끼워져 회동됨에 따라, 함께 회동되어 상기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치모판(210)은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술되는 방수부(230)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타측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안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211)은 치모판(210)의 겉면 일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방수부(230)의 연장부재(231)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회전체(220)는 치모판(210)의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칫솔대손잡이(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음부재(221) 및 회동부재(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음부재(221)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치모판(210)의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치모판(210)의 타측에 형성된 안착홈(211)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음부재(221)는 후술되는 방수부(230)가 회전체(220)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경우, 방수부(230)의 연장부재(231)가 상기 이음부재(221)를 감싸도록 한 후, 안착홈(211)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음부재(221)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부재(221)의 두께(r1)보다 큰 지름(r2)을 갖는 회동부재(222)가 치모판(21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회전체(220)가 회동브라켓(110)에 끼워져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브라켓(110)의 양 끝단이 이음부재(221)와 회동부재(222) 사이의 공간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회동부재(222)는 이음부재(221)의 끝단에 구비되되, 이음부재(221)의 두께(r1)보다 큰 지름(r2)을 갖는 원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방수부(230)와 함께 회동브라켓(110)의 끼움홈(111)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이때, 회동부재(222)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이음부재(221)의 두께(r1)보다 큰 지름(r2)을 갖는 원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끼움홈(111)에 끼워지면 상기 끼움홈(111)의 내주면은 회동부재(222)를 감싸는 방수부(230)의 겉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칫솔대손잡이(100)에 헤드(200)가 끼워지면,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칫솔을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견고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방수부(230)는 회전체(220)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220)와 끼움홈(111)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연장부재(231) 및 커버부재(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수부(230)는 끼움홈(111)의 내주면과 회전체(220) 사이에 구비되어 방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회동되더라도 방수기능에 의한 세균증식 및 세균서식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방수부(230)는 실리콘, 라텍스,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료를 이용하여 금형에 의한 압출성형을 통해 회전체(220)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회동브라켓(110)의 끼움홈(111)에 끼워지면 탄성력에 의해 끼움홈(111) 내주면으로 밀착되어 일정한 힘 이상의 외력에 작용하지 않는 경우,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헤드(200)를 회동시키려는 힘이 약 4N(408gF)을 기준으로 칫솔질을 하는 동안 기준 힘보다 작은 외력이 가해지면 방수부(230)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200)가 고정되어 회동 동작이 정지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를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기준 힘보다 큰 외력을 가하면 헤드(200)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에게 칫솔질을 위해 가해지는 힘의 기준을 약 4N 이하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치모(240)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치아의 범랑질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옳바른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연장부재(231)는 방수부(230)의 바닥 기능을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치모판(210)의 안착홈(211)에 안착된다.
이러한 연장부재(231)가 안착홈(211)으로 끼워져 안착되면, 후술되는 커버부재(232)는 회전체(220)를 완전히 감싸게 되므로 상기 회전체(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안정되게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커버부재(232)는 회동부재(222)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연장부재(231)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버부재(23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같도록 형성되되,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 공간에 회전체(220)의 회동부재(222)가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커버부재(232)의 내측 공간은 회동부재(22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연장부재(231) 측으로 개구된 개구홈(232a)이 형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연장부재(231)와 커버부재(232)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재(231)은 약 1mm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커버부재(232)는 약 1.5mm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두께가 두꺼운 커버부재(232)는 회전체(220)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헤드(20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끼움홈(111)의 내주면에 마찰이 되더라도 안정된 두께에 의해 커버부재(232)가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연장부재(231)는 판 형태로 안착홈(211)으로 안착되기 때문에 두께가 얇더라도 안전하고 견고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칫솔대손잡이(100)에 헤드(200)가 끼워지면, 동일한 회동축을 갖는 끼움홈(111)과 회전체(220)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이때, 회동브라켓(110)의 양 끝단은 방수부(230)의 연장부재(231)와 커버부재(23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각각 걸림됨으로써,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 예로, 도 12의 (a)에서와 같이, 외력을 가하여 헤드(200)를 칫솔대손잡이(100) 측으로 회동시키면 사이의 각이 약 70°가 되도록 하고, 다른 예로, 도 12의 (b)에서와 같이, 헤드(200)를 칫솔대손잡이(100) 외측으로 회동시키면 사이의 각이 약 120°가 되도록 함으로써, 헤드(200)가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칫솔질을 하는 경우, 치아의 내치면 및 외치면과 치모(240) 간의 약 45°가 되도록 하여 이상적인 칫솔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덧니의 내치면은 헤드(200)가 약 80°가 되도록 하여 칫솔질을 하고, 덧니의 외치면은 헤드(200)가 약 110°가 되도록 하여 칫솔질을 하며, 옥니의 내치면은 헤드(200)가 약 70°가 되도록 하여 칫솔질을 하고, 옥니의 외치면은 헤드(200)가 약 100°가 되도록 하여 칫솔질을 하며, 뻐드렁니의 내치면은 헤드(200)가 약 90°가 되도록 하여 칫솔질을 하고, 뻐드렁니의 외치면은 헤드(200)가 약 120°가 되도록 하여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헤드(200)를 자유롭게 회동시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치아의 크기, 형태, 위치 등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은 치모(240)가 구비되는 헤드(200)와 칫솔대손잡이(100)가 T자형으로 이루어져 세로로 칫솔질을 하도록 함으로써, 가로로 칫솔질을 해야하는 종래 세로형 칫솔에 비해 칫솔질 시간을 감소시키고, 보다 청결한 칫솔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치아의 형태나 또는 덧니, 옥니, 뻐드렁니 등 다양한 치아의 형태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다.
또한, 헤드(200)의 회동을 위한 회전체(220)에 겉면을 감싸는 방수부(230)가 구비됨으로써, 헤드(200)의 회동에 의해 칫솔대손잡이(100)와 그 사이에 틈이 형성되더라도 방수기능을 수행하여 세균증식 및 세균서식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12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의 제조방법은 (a)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끼움홈(111)과 상기 끼움홈(111)의 양측을 커버하는 측면커버(112)를 포함하고,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끼움홈(11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회동브라켓(110)을 포함하는 칫솔대손잡이(100)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b) 일측에 치모(240)가 식모되는 치모판(210) 및 상기 치모판(210)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이음부재(221)와 상기 이음부재(221)의 끝단에 형성되는 회동부재(222)로 구성된 회전체(220)를 포함하는 헤드(200)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c) 상기 회전체(220)를 감싸도록 방수부(230)를 압출성형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수부(230)가 압출성형된 헤드(200)를 칫솔대손잡이(100)에 형성된 끼움홈(111)에 탁상프레스로 가압하여 끼워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헤드(200)는 방수부(230)가 상기 끼움홈(111)의 양 끝단에 각각 접촉되는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의 제조방법은 기능형 칫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a) 단계, (b) 단계, (c) 단계 및 (d) 단계가 기재된 순서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즉 기능형 칫솔을 제조함에 있어, 다수 개로 이루어진 단계가 반드시 순차적으로 이루어져하는 것은 아니며,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200)를 칫솔대손잡이(100)에 결합시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헤드(200)의 회전체(220)를 완전히 감싸는 방수부(230)가 구비됨으로써, 결합부위의 방수 기능을 하고, 나아가, 헤드(200)가 회동되더라도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 사이에 형성되는 틈 또한 수밀하여 방수 기능을 함으로써, 세균증식 및 세균서식을 차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a)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끼움홈(111)과 상기 끼움홈(111)의 양측을 커버하는 측면커버(112)를 포함하고,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끼움홈(11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회동브라켓(110)을 포함하는 칫솔대손잡이(100)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a) 단계는 칫솔대손잡이(100)를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칫솔대손잡이(100)에서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종래 칫솔과 동일하게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a) 단계는 칫솔대손잡이(100)의 끝단에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동브라켓(11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회동브라켓(110)은 내부가 비어있는 끼움홈(111)이 형성되고, 끼움홈(111)의 일부분이 일측으로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후술되는 헤드(200)가 상기 끼움홈(111)으로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끼움홈(111)의 양측을 커버하는 측면커버(112)가 형성되도록 하여 끼움홈(111)으로 끼워진 후술되는 헤드(200)의 회전체(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111)의 단면이 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공간은 상기 끼움홈(111)의 지름보다 작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끼움홈(111)에 끼워진 헤드(200)의 회전체(220)는 분리되지 않고,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b) 일측에 치모(240)가 식모되는 치모판(210) 및 상기 치모판(210)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이음부재(221)와 상기 이음부재(221)의 끝단에 형성되는 회동부재(222)로 구성된 회전체(220)를 포함하는 헤드(200)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b) 단계는 헤드(200)를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하되, 치모(240)가 식모되어 치아를 칫솔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b) 단계는 치모판(210)의 일측에 치모(240)가 식모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체(220)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로,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체(220)가 칫솔대손잡이(100)의 끼움홈(111)에 끼워지도록 한다.
(c) 상기 회전체(220)를 감싸도록 방수부(230)를 압출성형하는 단계
(c) 단계는 회전체(220)를 감싸도록 방수부(230)를 압출성형하는 단계로, 실리콘, 라텍스 또는 합성고무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 방수부(230)를 압출성형하여 회전체(220)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방수부(230)는 후술되는 (d) 단계에서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가 결합되면, 탄성력에 의해 끼움홈(111) 내주면으로 밀착되어 일정한 힘 이상의 외력에 작용하지 않는 경우,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방수부(230)의 재질 특성상 방수 기능을 수행하여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 사이를 수밀하고, 나아가,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사이의 틈이 벌어지고 좁혀지는 과정이 반복되더라도, 방수기능에 의해 세균증식 및 세균서식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방수부(230)를 압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수부(230)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치모판(210)의 외측에 내측으로 파여지도록 형성된 안착홈(211)에 안착되도록 판 형태의 연장부재(23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재(231)의 외측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커버부재(232)가 구비됨으로써, 연장부재(231)와 커버부재(232)에 의해 회전체(220)를 완전히 감싸도록 하여 상기 회전체(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d) 상기 방수부(230)가 압출성형된 헤드(200)를 칫솔대손잡이(100)에 형성된 끼움홈(111)에 탁상프레스로 가압하여 끼워지도록 하는 단계;
(d) 단계는 (c) 단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이음부재(221) 및 이음부재(221)의 끝단에 형성된 원의 단면을 갖는 회동부재(222)를 포함하는 회전체(220)를 방수부(230)가 완전하게 감싸도록 한 후, 회전체(220) 및 방수부(230)가 회동브라켓(110)의 끼움홈(111)으로 끼워지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d) 단계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브라켓(110)은 끼움홈(111)의 지름이 일측으로 개구된 공간보가 크게 형성되고, 회전체(220)는 이음부재(221)의 두께가 회동부재(222)의 지름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를 탁상프레스로 가압하여 끼워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회전체(220) 및 방수부(230)를 끼움홈(111)의 개구된 공간에 위치시킨 후 탁상프레스로 가압함으로써,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b) 단계에서 치모판(210)에 치모(240)가 식모되는 과정을 명시하였으나, (d) 단계에서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가 결합된 후, 헤드(200)의 치모판(210)에 치모(240)가 식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탁상프레스로 가압하여 끼워지도록 하는데, 이때, 식모된 치모(240)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능형 칫솔의 제조방법은 각각 사출성형된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가 T자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로로 칫솔질을 해야하는 종래 세로형 칫솔에 비해 칫솔질 시간을 감소시키고, 보다 청결한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헤드(200)가 약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치아의 형태나 또는 덧니, 옥니, 뻐드렁니 등 다양한 치아의 형태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헤드(200)의 회동을 위한 회전체(220)에 겉면을 감싸는 방수부(230)가 구비됨으로써, 헤드(200)의 회동에 의해 칫솔대손잡이(100)와 그 사이에 틈이 형성되더라도 방수기능을 수행하여 세균증식 및 세균서식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칫솔대손잡이 110 : 회등브라켓
111 : 끼움홈 112 : 측면커버
113 : 테이퍼부 120 : 스토퍼
200 : 헤드 210 : 치모판
211 : 안착홈 220 : 회전체
221 : 이음부재 222 : 회동부재
230 : 방수부 231 : 연장부재
232 : 커버부재 232a : 개구홈
240 : 치모

Claims (10)

  1. 칫솔대손잡이(100); 및
    상기 칫솔대손잡이(100)에 T자형으로 결합되는 헤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헤드(200)는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손잡이(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개구되어 헤드(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브라켓(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브라켓(110)은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의 지름(d1)보다 개구된 공간 사이의 길이(d2)가 작게 형성되는 끼움홈(111); 및
    상기 끼움홈(111);의 양측을 커버하는 측면커버(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브라켓(110)은
    상기 끼움홈(111)이 형성된 내주면은 원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은 타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상시 칫솔대손잡이(100)와 헤드(200)가 연결되는 방향의 세로축 두께(l1)보다 가로축 두께(l2)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동브라켓(110)은
    양 끝단에서 양 끝단을 연결하는 회동브라켓(110)의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는 형태의 테이퍼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11)은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회동브라켓(110)의 장축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내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스토퍼(120)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200)는
    일측에 치모(240)가 식모된 치모판(210);
    상기 치모판(210)의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칫솔대손잡이(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체(220); 및
    상기 회전체(22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방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치모판(210)은
    타측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안착홈(21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홈(211)은
    상기 방수부(230) 일부분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20)는
    상기 안착홈(211)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이음부재(221); 및
    상기 이음부재(221)의 끝단에 구비되되, 상기 이음부재(221)의 두께(r1)보다 큰 지름(r2)을 갖는 원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회동부재(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230)는
    실리콘, 라텍스, 합성고무 또는 천연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220)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211)에 안착되는 연장부재(231); 및
    상기 회동부재(222)의 겉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선택된 한 항에 기재된 기능형 칫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끼움홈(111)과 상기 끼움홈(111)의 양측을 커버하는 측면커버(112)를 포함하고,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끼움홈(11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회동브라켓(110)을 포함하는 칫솔대손잡이(100)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b) 일측에 치모(240)가 식모되는 치모판(210) 및 상기 치모판(210)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이음부재(221)와 상기 이음부재(221)의 끝단에 형성되는 회동부재(222)로 구성된 회전체(220)를 포함하는 헤드(200)를 사출성형하는 단계;
    (c) 상기 회전체(220)를 감싸도록 방수부(230)를 압출성형하는 단계; 및
    (d) 상기 방수부(230)가 압출성형된 헤드(200)를 칫솔대손잡이(100)에 형성된 끼움홈(111)에 탁상프레스로 가압하여 끼워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헤드(200)는 방수부(230)가 상기 끼움홈(111)의 양 끝단에 각각 접촉되는 70° 내지 120°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형 칫솔의 제조방법.
KR1020200035967A 2020-03-25 2020-03-25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19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67A KR20210119638A (ko) 2020-03-25 2020-03-25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67A KR20210119638A (ko) 2020-03-25 2020-03-25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638A true KR20210119638A (ko) 2021-10-06

Family

ID=7807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967A KR20210119638A (ko) 2020-03-25 2020-03-25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96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829B1 (ko) * 2022-09-13 2023-01-27 이유나 칫솔모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각도칫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592Y1 (ko) 2001-04-09 2001-10-11 윤흥여 T자형 칫솔
KR101683734B1 (ko) 2015-07-27 2016-12-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칫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592Y1 (ko) 2001-04-09 2001-10-11 윤흥여 T자형 칫솔
KR101683734B1 (ko) 2015-07-27 2016-12-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829B1 (ko) * 2022-09-13 2023-01-27 이유나 칫솔모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각도칫솔
WO2024058466A1 (ko) * 2022-09-13 2024-03-21 이유나 칫솔모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각도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5626B1 (en) Interdental brush
US4780923A (en) Interproximal brush device having hinged brush retainer cap
US5896615A (en) Interdental brush
JP2510593Y2 (ja) 歯間歯ブラシ
US20070114891A1 (en) Toothbrush holder
KR20210119638A (ko)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US8621701B2 (en) Dental brush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5758382A (en) Interdental brush handle
JP2001299450A (ja) 歯ブラシ
KR960010615B1 (ko) 치간 칫솔 손잡이
US20180255914A1 (en) Small-sized hand-operated rotatable toothbrush
JP6478384B2 (ja) 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及び歯ブラシ
JP3124807U (ja) 歯用ブラッシング器具
US20040022576A1 (en) Disposable toothbrush and dentifrice combination unit
JP2001204549A (ja) 歯間ブラシ
JP4681727B2 (ja) 歯間ブラシ
KR100265524B1 (ko) 칫솔
JP4522803B2 (ja) 歯ブラシ
DE202014010277U1 (de) Schutzkappe
KR200393328Y1 (ko) 치약 구비 칫솔
KR200404379Y1 (ko) 치솔대가 없는 일회용 치솔
CA1288206C (en) Interproximal brush device having hinged brush retainer cap
KR20220072165A (ko) 기능성 칫솔
KR200199988Y1 (ko) 치간 치솔
KR200321486Y1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