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988Y1 - 치간 치솔 - Google Patents

치간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988Y1
KR200199988Y1 KR2020000013032U KR20000013032U KR200199988Y1 KR 200199988 Y1 KR200199988 Y1 KR 200199988Y1 KR 2020000013032 U KR2020000013032 U KR 2020000013032U KR 20000013032 U KR20000013032 U KR 20000013032U KR 200199988 Y1 KR200199988 Y1 KR 200199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wivel
handle
head portion
interdental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일
Original Assignee
장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일 filed Critical 장지일
Priority to KR2020000013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간 치솔에 관한 것으로서, 종전 일체형으로 되어 있던 브러시의 솔대 및 회전대 전체를 탈거하여 교체하는 방식을 배제하고, 브러시의 솔대와 회전대를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솔대만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솔대만의 교체에 따른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헤드부에는 소정의 받침턱 수단을 구비하고 여기에 브러시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브러시의 각도 고정상태가 한층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치간 치솔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간 치솔{Interdental brush}
본 고안은 치간 치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브러시의 솔대와 회전대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솔대의 교체에 따른 편의를 도모하고, 손잡이의 헤드부에는 브러시 전체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잇는 소정의 받침턱 수단을 구비하여 브러시의 각도 고정상태를 한층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치간 치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대부분은 보통의 치솔을 사용하고 있으나, 치아와 치아 사이에 끼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또는 치석 등을 제거하려면 보통의 치솔로는 곤란하고 일명 치간 치솔이라고 불리는 치솔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치간 치솔은 가정용과 휴대용이 있으며, 가정용은 특정 보관장소에 보관한 상태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어금이의 부위까지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길이를 비교적 길게 제작한다.
또, 휴대용은 길이가 길면 휴대가 불편하므로 비교적 짧게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치간 치솔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비교적 가는 직경의 몸체로 된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끝에 일체로 고정되는 브러시와, 휴대시 브러시를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는 캡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에는 치아 사이의 각도에 따라 모든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손잡이와 브러시의 연결부위에 실리콘이나 비교적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그 각도를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각도 전환이 가능한 치간 치솔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솔 대 및 회전대로 구성되는 일체형의 브러시와, 휴대시 브러시를 보호하기 위해 씌워지고 사용시 손잡이를 늘려주는 용도로 이용되는 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도 전환이 가능한 특성을 이용하여 입안에 위치되는 각 구강의 세척을 수행하는데 나름대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치간 치솔의 브러시는 어느 정도 사용 후에는 교체를 해야 하는데, 손잡이의 홈에 체결되어 있는 브러시의 회전대를 강제로 탈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 치아 사이를 왕복하며 세척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전환시킨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함에 따라 자주 각도를 보정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전 일체형으로 되어 있던 브러시의 솔대 및 회전대 전체를 탈거하여 교체하는 방식을 배제하고, 브러시의 솔대와 회전대를 분리형으로 제작하고 솔대만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솔대만의 교체에 따른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헤드부에는 소정의 받침턱 수단을 구비하고 여기에 브러시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브러시의 각도 고정상태가 한층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치간 치솔을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에서 손잡이와 브러시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솔대 11 : 회전대
12 : 손잡이 13 : 캡
14 : 회전대 안착홈 15 : 핀
16 : 브러시 17 : 걸림대
18 : 받침턱 19 : 핀 안착홈
20 : 돌출부 21 : 요홈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솔대(10) 및 회전대(11)를 포함하는 브러시(16)와, 손잡이(12)와, 캡(13)으로 구성되는 치간 치솔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16)의 솔대(10)와 회전대(11)는 각각의 테이퍼 형태의 돌출부(20) 및 요홈부(21)를 이용한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조합되고, 상기 회전대(11)는 손잡이(12)의 헤드부에 있는 회전대 안착홈(14)내에 끼워져 양쪽 핀(15)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손잡이(12)의 헤드부 후면에는 상기 회전대(11)의 후단과 이 회전대(11)의 후단에 있는 걸림대(17)를 각각 선택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받침턱(18)이 구비되어 상기 브러시(16) 전체의 꺽임상태 및 세움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받침턱(18)은 손잡이(12)의 헤드부를 전면에서 후면까지 길게 절개시킨 형태에서 그 바닥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2)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핀 안착홈(19)은 전면이 붙어 있거나 또는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헤드부 전면에서부터 후면쪽으로 길게 절개되는 타원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원의 초입부에서부터 일정구간을 좁게 하여 핀(15)을 안쪽면으로 압착 지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치간 치솔은 치간 세척을 위한 솔대(10)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솔대(1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회전대(11)로 구성되는 브러시(16)와, 치간 세척시 손으로 잡는 부분인 손잡이(12) 및 휴대시 브러시(16)를 씌워주는 캡(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브러시(16)의 솔대(10)는 중심으로 가는 철사가 꼬여지며 솔 소재가 그 사이에서 엮여진 상태로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며, 회전대(11)의 전면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솔대(10)의 후면에는 봉형상의 돌출부(20)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것이 회전대(11)의 요홈부(21) 내에 삽입되어 압착되므로서, 솔대(10)와 회전대(11)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돌출부(20)는 삽입되는 앞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돌출부(20)가 삽입되는 요홈부(21)도 이에 대향하는 테이퍼 형상의 홈으로 제작되어서 삽입시 이러한 테이퍼 형상이 갖는 특성에 의한 압착작용으로 돌출부(20)의 견고한 삽입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브러시(16)의 회전대(11)는 솔대(10)를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1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대략 일직선 내지는 거의 직각에 가까운 자세로 각도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동부재이다.
상기 회전대(11)의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솔대(10)의 축 중심선상에서 직각되게 양쪽으로 핀(15)이 일체로 성형된다.
특히, 회전대(11)의 후단 일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형태의 걸림대(18) 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걸림대(18)는 브러시(16)의 세워진 상태를 일부 유지시켜주는 역할과, 세워진 상태의 브러시(16)를 눕힐 때 그 누름 조작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핀(15)은 손잡이(12)의 헤드부에 파여져 있는 회전대 안착홈(14)의 양옆으로 형성되는 핀 안착홈(19) 내에 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되는 핀(15)을 중심축으로 하여 브러시(16) 전체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러시(16)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12)의 헤드부는 전면에서 윗쪽 구간을 따라 후면까지 연장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브러시(16)의 회전시 이 절개부를 따라 회전대(11)가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핀 안착홈(19)은 안쪽에서부터 초입부쪽으로 그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핀(15)이 탄력적으로 안쪽에 압착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핀 안착홈(19)의 초입부는 그 간격이 핀(15)의 직경보다 조립에 문제가 없는 범위내에서 상당히 작게 형성하거나, 또는 맞붙어 있는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전과 같이 한번 조립한 회전대(11)를 탈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능하며, 핀(15)을 포함하는 회전대(11) 전체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회전대(11)에 형성되는 요홈부(21)의 바닥에는 그 두께를 관통하는 공기 배출구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공기 배출구로 인해 요홈부(21)에 돌 출부(20)를 삽입하는 경우 그 안쪽에 있던 공기가 용이하게 밖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 솔대(10)의 결합을 힘들이지 않고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12)의 헤드부는 양옆의 핀 안착홈(19)과 윗쪽으로 절개부를 갖춘 대략 구형(球形)으로 성형되며, 헤드부의 후면까지 연장되는 절개부의 끝에는 소정의 받침턱(18)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브러시(16)의 회전대(11) 후단과 회전대(11)에 있는 걸림대(17)가 각각 선택적으로 받쳐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받침턱(18)은 거의 수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회전대(11)를 세워지려는 방향으로 구속하면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12)의 헤드부 내측에서 손잡이 몸체의 중심축선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는 회전대 안착홈(14)은 상기 회전대(11)를 세우게 되면 그 후단 일부가 이 회전대 안착홈(14) 내에 안착되므로서, 회전대(11)를 포함하는 브러시(16)의 세워진 상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손잡이(12)의 헤드부 후면에는 전면에서부터 길게 절개되어 마감되는 받침턱(18)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받침턱(18)은 첨부한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대(11)가 손잡이(12)로부터 대략 직각되게 회전된 상태에서는 이 회전대(11)의 후단 저면을 받쳐주게 되므로 그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의해 다시 세워지게 할 경우에는 손잡이(12)의 상단 후면을 앞쪽으로 밀면 합성수지재가 갖는 탄력 특성으로 인해 핀 안착홈(19)의 초입부가 약간 벌어지면서 회전대(11)의 후단이 받침턱(18)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회전대(11)를 용이하게 세울 수 있게 되며, 회전대(11)의 회동이 이루어진 후 그 뒷쪽의 걸림대(17)는 받침턱(18) 내에 받쳐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대(11)의 회동 각도는 대략 70∼80°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 조작이 편리한 각도를 감안하여 핀 안착홈(19)의 크기나 받침턱(18)의 위치 등을 결정하게 되면 회전대(11)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손잡이의 하단부터 그 안쪽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공간을 조성하고, 이곳에 별도의 예비용 브러시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보관되는 브러시는 그 일부가 손잡이의 하단 내측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첨부한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치간 치솔의 사용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a는 솔대(10)를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의 회전대(11)는 그 몸체 하단이 손잡이(12)의 회전대 안착홈(14)내에 끼워져 지지되는 동시에 회전대(11)에 있는 걸림대(17)가 손잡이(12)의 헤드부에 있는 받침턱(18)에 받쳐지게 되고, 꺽여지려는 쪽으로는 회전대 안착홈(14)과 회전대(11) 간의 결착력과 핀 안착홈(19)과 핀(15) 간의 결착력에 의해 솔대(10)의 견고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c는 솔대(10)를 꺽어서 사용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즉, 걸림대(17)를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으로 약간 미는 방법으로 솔대(10) 및 회전대(11)를 앞쪽으로 젖히면 회전대(11)는 핀(15)을 중심으로 회동 되는 동시에 회전대(11)가 회전대 안착홈(14)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꺽여지게 되고, 솔대(10) 및 회전대(11)가 사용가능한 약 70∼80°의 각도로 완전히 꺽여지면 밀려났던 솔대(10) 및 회전대(11)는 손잡이(12) 헤드부의 핀 안착홈(19)이 발휘하는 압착력에 의해 뒷쪽으로 밀리면서 그 회전대(11)의 후단 저면이 받침턱(18)에 받쳐지게 되므로서, 이때의 꺽인 상태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꺽인 상태의 솔대(10) 및 회전대(11)을 바로 세우는 경우에도 위와 같이 걸림대(17)을 앞쪽으로 약간 미는 방법으로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솔대(10)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회전대(11)로부터 솔대(10)만 뽑아내면 되므로 그 교체작업도 종전에 비해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치간 치솔은 브러시 사용시 편리한 각도로 세워지게 하거나 꺽여지게 하는 각도로 전환하는 것이 용이하고, 특히 손잡이에 있는 받침턱을 이용하여 그 전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브러시 교체시 종전과 같이 솔대 및 회전대 전체를 탈거하는 것이 아니라 솔대만 뽑아내면 되므로 브러시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손잡이의 내부에 별도의 예비용 브러시를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솔대(10) 및 회전대(11)를 포함하는 브러시(16)와, 손잡이(12)와, 캡(13)으로 구성되는 치간 치솔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16)의 솔대(10)와 회전대(11)는 각각의 테이퍼 형태의 돌출부(20) 및 요홈부(21)를 이용한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조합되고, 상기 회전대(11)는 손잡이(12)의 헤드부에 있는 회전대 안착홈(14)내에 끼워져 양쪽 핀(15)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손잡이(12)의 헤드부 후면에는 상기 회전대(11)의 후단과 이 회전대(11)의 후단에 있는 걸림대(17)를 각각 선택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받침턱(18)이 구비되어 상기 브러시(16) 전체의 꺽임상태 및 세움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치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턱(18)은 손잡이(12)의 헤드부를 전면에서 후면까지 길게 절개시킨 형태에서 그 바닥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치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핀 안착홈(19)은 헤드부 전면에서부터 후면쪽으로 길게 절개되는 타원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원의 초입부에서부터 일정구간을 좁게 하여 핀(15)을 안쪽면으로 압착 지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치솔.
KR2020000013032U 2000-05-08 2000-05-08 치간 치솔 KR200199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032U KR200199988Y1 (ko) 2000-05-08 2000-05-08 치간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032U KR200199988Y1 (ko) 2000-05-08 2000-05-08 치간 치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988Y1 true KR200199988Y1 (ko) 2000-10-16

Family

ID=19655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032U KR200199988Y1 (ko) 2000-05-08 2000-05-08 치간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9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45Y1 (ko) 2013-12-06 2015-03-18 장기선 치간칫솔
WO2016148317A1 (ko) * 2015-03-13 2016-09-22 장기선 치간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45Y1 (ko) 2013-12-06 2015-03-18 장기선 치간칫솔
WO2016148317A1 (ko) * 2015-03-13 2016-09-22 장기선 치간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7415A (en) Multi-purpose dental applicator
US5010906A (en) Multi-purpose dental applicator
CA2537630C (en) Toothbrushes
US5980541A (en) Oral hygiene device
RU24314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центром масс
US4471506A (en) Toothbrush with multi-positionable head
US20020073496A1 (en) Toothbrush with bristle pick
US9144297B2 (en) Rotating toothbrush
CA2249614A1 (en) Toothbrush with bendable head for implementing the bass brushing technique
EP2242443B1 (fr) Brosse à dents à double système rotatif de brossage
US20090090380A1 (en) Flossing and Oral Hygiene Tool
CN210250128U (zh) 具有可旋转清洁器具的口腔清洁工具
KR200199988Y1 (ko) 치간 치솔
EP0926966B1 (fr) Brosse a dents dont le manche comporte des moyens pour son rangement en position verticale
KR101589575B1 (ko) 다용도 칫솔
EP1441617B1 (en) Support for interdental brushes and similar instruments for oral hygiene
KR200179688Y1 (ko) 치간 치솔
KR101535796B1 (ko) 휴대용 치실장치
KR200377277Y1 (ko) 칫솔
JPH0767723A (ja) 歯ブラシ
CN210095975U (zh) 一种y型护齿刷头
CN218474301U (zh) 一种便携式牙刷
KR200337910Y1 (ko) 상하 이동식 다목적 치솔
KR950003963Y1 (ko) 치간 칫솔
KR200401044Y1 (ko) 치간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