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734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734B1
KR101683734B1 KR1020150106138A KR20150106138A KR101683734B1 KR 101683734 B1 KR101683734 B1 KR 101683734B1 KR 1020150106138 A KR1020150106138 A KR 1020150106138A KR 20150106138 A KR20150106138 A KR 20150106138A KR 101683734 B1 KR101683734 B1 KR 101683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external force
hole
grip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옥
이병진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1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a pressure control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41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46B5/007Inse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 e.g. springs,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나 치은에 칫솔의 칫솔모에 접촉되면서 일정이상의 외력이 전달되었을 때 머리부가 꺽이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칫솔은 칫솔질시 과도한 힘(1.961N이상)이 가해질 때마다 칫솔의 머리부가 꺽이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가 칫솔질을 멈추게 되고, 칫솔질을 계속진행하면서 이러한 작용이 반복됨에 따라 일정한 힘을 치아나 치은에 가할 수 있는 학습효과를 볼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치은퇴축과 치경부 마모증을 예방할 수 있어 구강질환예방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 { Toothbrush }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나 치은에 칫솔의 칫솔모에 접촉되면서 일정이상의 외력이 전달되었을 때 머리부가 꺽이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질은 구취예방, 충치와 풍치를 예방하는 등 구강건강 향상 또는 유지, 그리고 대인관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모든 사람들이 매일 수 차례씩 시행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치과를 방문하는 거의 대부분의 환자들은 매일 칫솔질을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은이 내려가는 치은퇴축과 함께 치아와 치은의 경계부분인 치경부가 마모되는 증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환자들 중 심한 경우에는 치아나 치은에 시린 증상이 나타나는 지각과민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치경부 마모의 원인은 다양하나 특히 1.961N(200g×9.81m/s2) 이상의 과도한 힘으로 칫솔질을 장기간동안 하는 경우에 이러한 증상이 발현된다.
치아나 치은에 1.961N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치아 에나멜이 벗겨지고 치은의 상피세포가 파괴되면서 치경부가 마모되게 된다.
수동 칫솔과 전동칫솔 둘 다 이러한 과도한 힘이 가해질 수 있지만, 종래에는 전동칫솔을 사용한 방법이 과도힌 힘을 전달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동칫솔을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의 칫솔 사용방법이나 근력에 따라 치아와 치은에 가하는 힘이 다르며 또한, 일정한 힘을 전달하기 어려우므로 1.961N 이상의 힘이 가해질 우려가 있으나 아직까지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칫솔들은 치태세균 제거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칫솔강모의 종류, 강모의 길이와 직경, 강모의 갯수와 배열 등을 고려하여 제작되고 있으나, 치아의 마모와 치은퇴축을 야기시킬 수 있는 치아와 치은에 가해지는 힘인 외력은 크게 고려되고 있지 않다.
또한, 현재 치의학계에서도 구강질환 예방을 위해 칫솔질 방법과 횟수 그리고 칫솔 교체시기 등만을 교육하고 있는 실정이며, 칫솔질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강조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22710호에 게시된 전동칫솔용 압력 과부하 표시장치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7688호에 게시된 양치 패턴 분석용 칫솔 및 분석 시스템과 같이 전동칫솔을 사용시 치경부마모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 고려되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동칫솔에 치아와 치은에 1.96N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고 있지만, 전동칫솔은 가격이 높아 보급률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22710호 : 전동칫솔용 압력 과부하 표시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7688호 : 양치패턴분석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칫솔의 머리부와 파지부 사이에 일정이상의 외력이 주어졌을 때 머리부가 꺽일 수 있도록 꺽임수단을 구비한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치아와 치은에 접촉되는 다수의 칫솔모가 장착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파지부와, 상기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머리부가 상기 치아와 치은에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할 때 상기 머리부가 상기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꺽임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꺽임수단은 분리된 형태를 가지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가 상호 접하는 부분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핀과, 상기 힌지결합핀과 인접한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파지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파지부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분에 곡면이 형성되게 인입된 삽입홈과, 상기 관통공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어 상기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가 일직선상을 이루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삽입홈에서 이탈퇴면서 상기 머리부가 상기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상태를 갖는 잠금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유닛은 기 관통공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구속부를 가지는 볼플렌지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구속부에 접촉되어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일정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수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측과 접촉되고 상기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내주면과 결합하여 상기 관통공에 상기 스프링을 구속하는 마감재를 구비하고, 상기 볼플렌지는 상기 잠금상태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머리부가 회동되면서 접촉되는 부분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 외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프링이 수축됨으로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공 내로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재는 상기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내주면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에서 상기 스프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꺽임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향되게 볼록한 호형 곡률을 갖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머리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연결된 스프링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프링 판재는 상기 외력이 전달되었을 때 평평한 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외력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게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호형곡률을 갖는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꺽임수단은 상기 스프링판재를 내부에 수용하고, 외주면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굴곡부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머리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연결된 주름부를 더 구비하고,상기 주름부는 상기 스프링판재가 탄성 변형될 때 상기 머리부가 상기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함께 꺽이며,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가 일직선상에 있도록 펴질수 있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칫솔은 칫솔질을 할 때 과도한 힘(1.961N이상)이 가해지면 칫솔의 머리부가 꺽이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가 칫솔질을 멈추게 되고, 칫솔질을 계속진행하면서 이러한 작용이 반복됨에 따라 일정한 힘을 치아나 치은에 가할 수 있는 학습효과를 볼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치은퇴축과 치경부 마모증을 예방할 수 있어 구강질환예방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칫솔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꺽임수단에 대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꺽임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칫솔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적용된 칫솔의 꺽임수단에 대한 일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칫솔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적용된 꺽임수단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사용자의 팔의 반복운동 의해 치아나 치은에 붙은 치태세균을 제거하는 수동형 칫솔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동으로 칫솔질을 할 경우, 사용자에 따라 치아나 치은에 접촉되어 칫솔의 이동방향, 그리고 사용자의 근력에 따라 치아나 치은에 가해지는 힘이 일정하지 못하다.
그런데, 치아나 치은에 1.961N(200g×9.81m/s2)이상의 과도한 힘으로 칫솔질을 장기간동안 하는 경우에 치아 에나멜이 벗겨지고 치은의 상피세포가 파괴되면서 치경부가 마모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상기와 같은 증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칫솔(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칫솔(100)은 머리부(10), 파지부(20), 꺽임수단(50)을 구비한다.
머리부(10)는 치아와 치은에 접촉되는 다수의 칫솔모(11)가 장착된 부분이다.
칫솔모는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길이나 직경 그리고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파지부(20)는 머리부(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연장된 부분이다.
머리부(10)와 파지부(20)는 분리된 형태로서, 후술되는 꺽임수단(50)의 힌지결합핀(60)에 힌지결합된다.
머리부(10)의 하부와 파지부(20)의 상부는 각각 제1,2절제부(13,23)가 형성된다.
제1절제부(13)는 머리부(10) 하부의 일측이 절제되어 상부보다 단턱지게 단면적이 줄어드는 부분이다.
제2절제부(23)는 파지부(20)의 상부의 일측이 절제되어 하부보다 단턱지게 단면적이 줄어드는 부분이다.
제1,2절제부(13,23)에 의해 각각 형성된 머리부(10) 하부의 제1절제면(15), 파지부(20) 상부의 제2절제면(25)이 상호 접촉되게 힌지결합된다.
꺽임수단(50)은 머리부(10)와 파지부(20) 사이에 구비되어, 머리부(10)가 상기 치아와 치은에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할 때 머리부(10)가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일정이상의 외력이란 1.961N(200g×9.81m/s2)이상의 힘을 말한다.
꺽임수단(50)은 힌지결합핀(60), 관통공(70), 삽입홈(80), 잠금유닛(90)으로 이루어진다.
힌지결합핀(60)은 칫솔모(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2절제부(13,23)를 관통하여 머리부(10)와 파지부(20)를 힌지결합한다.
관통공(70)은 파지부(20)의 제2절제부(23)에 형성된 부분으로, 후술되는 잠금유닛(90)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관통공(70)은 힌지결합핀(60)이 제1,2절제부(13,23)에 설지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70)은 제2절제부(23)에 설치된 힌지결합핀(60)보다 하부에 형성된다.
관통공(70)은 일정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되, 제1절제면(15)에 인접하는 단부는 내경이 좁아지는 내경축소부(71)가 형성된다.
내경축소부(71)는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삽입홈(80)은 제1절제부(11)에 의해 형성된 제1절제면(15)에 형성된 부분이다.
삽입홈(80)은 머리부(10)와 파지부(20)가 힌지결합 시 제2절제면(25)과 접촉되는 제1절제면(15)에 형성되되, 제2절제면(25)에 형성된 관통공(70)과 대응되는 부분에 곡면이 형성되게 인입된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머리부(10)에 삽입홈(80)이 형성되고, 파지부(20)에 관통공(70)이 형성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머리부(10)에 관통공(70)이 형성되고 파지부(20)에 삽입홈(80)이 형성된 예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잠금유닛(90)은 관통공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잠금유닛(90)은 외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삼입홈(80)에 안착되어 머리부(10)와 파지부(20)가 일직선상을 이루는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잠금유닛(90)은 일정이상의 외력 즉 1.961N의 힘이 가해졌을 때, 삽입홈(80)에서 이탈되면서 머리부(10)가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상태가 된다.
잠금유닛(90)은 볼플렌지(91), 스프링(95),마감재(97)로 구비된다.
볼플렌지(91)는 관통공(70) 밖으로 돌출되어 삽입홈(80)에 안착되는 돌출부(92)와, 돌출부(92)에 연결되어 관통공(70)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구속부(93)로 이루어진다.
돌출부(92)는 삽입홈(80)이 형성하는 곡면에 안착 될 수 있는 반구형상으로 관통공(70)의 내경축소부(71)를 관통하여 삽입홈(80)에 안착된다
구속부(93)는 돌출부(92) 단부에 연결되며 돌출부(92)보다 외경이 확장되는 부분이며, 내경축소부(71)에 접촉되어 관통공(70) 내에 구속되는 부분이다.
스프링(95)은 관통공(70) 내에 삽입되어 볼플렌지(91)를 제1절제부(13)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스프링(95)은 일측이 볼플렌지(91)의 구속부(93)와 접촉되어 구속부(93)를 삽입홈(80) 방향으로 밀어 돌출부(92)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95)은 1.961N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 수축되는 탄성계수를 갖는다.
마감재(97)는 스프링(95)의 타측과 접촉되고, 관통공(70)의 내주면과 결합하여 고정됨으로써 관통공(70)에 스프링(95)을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마감재(97)는 관통공(70)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하여 볼플렌지(91)와 마감재(97)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스프링(95)의 수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탄성조절나사로 구비된다.
탄성조절나사에 나사선부(97a)와 진입방지부(97b)가 구비된다.
나사선부(97a)는 관통공(70)에 삽입되어 관통공(70)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되며 일측 단부가 스프링(95)의 타측과 접촉된다.
진입방지부(97b)는 나사선부(97a)의 타측단부와 연결되며, 나사선부(97a)보다 외경이 확장되어 관통공(70) 내로 진입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진입방지부(97b)의 단부에는 드라이버나 렌치가 결합 될 수 있는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같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치아나 치은에 머리부의 칫솔모를 접촉시켜 칫솔질을 한다.
이때 칫솔모가 치아나 치은에 접촉되면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크기의 반작용력이 발생된다.
이 반작용력에 의해 꺽임수단(50)에 치아나 치은에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반작용력과 같은 크기의 힘이 가해진다.
즉, 치아나 치은에 칫솔모(11)를 접촉시킬 때 발생되는 외력은 꺽임수단(50)에 동일한 방향과 크기로 힘이 가해진다. 앞으로 꺽임수단(50)에 가해지는 힘도 외력이라 한다.
본 발명의 칫솔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머리부(10)와 파지부(20)가 일직선상에 있다.
그리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잠금유닛(90)은 볼플렌지(91)의 돌출부(92)가 머리부(10)의 삽입홈(80)에 안착되어 머리부(10)가 힌지결합핀(60)을 축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꺽임수단(50)에 1.96N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힌지결합핀을 축으로 머리부(10)가 회동되려한다.
머리부(10)가 회동되려 하면서 삽입홈(80)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볼플렌지(91)의 돌출부(92)의 외주면을 접촉하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돌출부(92)의 외주면의 측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내경축소부(71)와 외력와 관통공(70)의 형성방향에 의해 볼플렌지(91)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이 관통공(70)에 장착된 마감재(97)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때 1.96N 이상의 외력에 의해 스프링(95)이 수축되면서 돌출부(92)가 관통공(70) 내로 삽입된다.
이렇게 잠금유닛(90)은 일정이상의 외력 즉 1.961N의 힘이 가해졌을 때, 돌출부(92)가 삽입홈(80)에서 이탈되면서 머리부(10)가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상태가 된다.
이렇게 잠금유닛(90)이 잠금해제상태가 되면 머리부(10)는 힌지결힙핀(60)을 축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사용자는 칫솔질시 치아나 치은에 1.961N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머리부가 꺽임으로서, 칫솔질을 중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사용자가 칫솔질시 1.961N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때마다 머리부가 꺽이는 것이 반복되면서 일정한 힘을 치아나 치은에 가할 수 있는 학습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장기적으로 치은퇴축과 치경부 마모증을 예방할 수 있어 구강질환예방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마감재(97)인 탄성조절나사는 나사선부를 회전시킴으로서 볼플렌지(91) 간의 거리를 조절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95)이 볼플렌지(91)를 미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반복되는 사용으로 스프링(95)의 탄성력이 떨어지게 되더라도 탄성조절나사를 이용하여 스프링이 1.96N의 외력이 주어졌을 때 수축되는 탄성계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적용된 칫솔의 꺽임수단에 대한 일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꺽임수단은 스프링판재(150)인 것을 예로 들고 있다.
스프링판재(150)는 일측이 머리부(10)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파지부(20)의 상부에 연결된다
스프링판재(150)는 파지부(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치아와 치은에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향되게 볼록한 호형 곡률을 갖게 형성된다.
스프링판재(150)의 횡단면은 중앙부분(151)이 양측 가장자리(155)보다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해 가깝게 형성된 볼록한 형상이다.
스프링판재(15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머리부(10)와 파지부(20)가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호형곡률을 가진다.
스프링판재(150)는 중앙부분에 일정이상의 외력, 즉 1.961N 이상의 힘이 전달되었을 때, 중앙부분(151)과 가장자리(155)이 동일한 선상에 있는 횡단면이 평평한 상태로 펼쳐진다.
외력에 의해 횡단면이 평평하게 된 스프링판재(150)는 외력이 가해지기 전 가지고 있던 호형곡률에 의해 길이연장된 부분이 탄성변형되면서 외력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된다.(도 5참조)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은 사용자가 치아나 치은에 1.961N이상의 외력을 주었을 때, 스프링판재(150)는 외력이 주어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탄성 변형된다.
스프링판재(150)가 탄성 변형되면서 스프링판재(150)의 단부에 연결된 머리부(10)가 스프링판재(150)가 굴곡지는 방향인 외력이 주어지는 반대방향으로 꺽이게 된다.
스프링판재(150)는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호형곡률을 갖는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기 위하여, 얇은 두께의 철강소재로 압연을 요하는 탄소강이나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사용자는 칫솔질시 치아나 치은에 1.961N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머리부가 꺽임으로서, 칫솔질을 중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칫솔은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면서 1.96N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치아나 치은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칫솔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의 칫솔의 꺽임수단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구조에 주름부(160)를 더 구비한다.
도 7에는 도 6에 적용된 주름부(16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주름부(160)는 스프링판재(150)를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이 머리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파지부의 상부와 연결된다.
주름부(160)의 외주면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굴곡부가 형성된다.
주름부(160)는 스프링판재(150)가 탄성 변형될 때 머리부(10)가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함께 꺽이며,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머리부(10)와 파지부(20)가 일직선상에 있도록 펴질 수 있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주름부(160)는 스프링판재(150)가 탄성 변형될 때 외력의 정도에 따라 스프링판재(150)의 굴곡 정도가 과도하게 굴곡 되거나 접혀 스프링판재(150)가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주름부(160)는 스프링판재(150)가 탄성변형 된 후, 주름부(160) 및 스프링판재(150)에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칫솔은 칫솔질시 과도한 힘(1.961N이상)이 가해질 때마다 칫솔의 머리부가 꺽이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가 칫솔질을 멈추게 되고, 칫솔질을 계속진행하면서 이러한 작용이 반복됨에 따라 일정한 힘을 치아나 치은에 가할 수 있는 학습효과를 볼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치은퇴축과 치경부 마모증을 예방할 수 있어 구강질환예방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칫솔 10 : 머리부
11 : 칫솔모 13 : 제1절제부
15 : 제1절제면 20 : 파지부
23 : 제2절제부 25 : 제2절제면
50 : 꺽임수단 60 : 힌지결합핀
70 : 관통공 71 : 내경축소부
80 : 삽입홈 90 : 잠금유닛
91 : 볼플렌지 92 : 돌출부
93 : 구속부 95 : 스프링
97 : 마감재

Claims (6)

  1. 치아와 치은에 접촉되는 다수의 칫솔모가 장착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파지부와;
    상기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머리부가 상기 치아와 치은에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할 때 상기 머리부가 상기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꺽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꺽임수단은
    상기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가 상호 접하는 부분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핀과;
    상기 힌지결합핀과 인접한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파지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머리부 또는 상기 파지부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분에 곡면이 형성되게 인입된 삽입홈과;
    상기 관통공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어 상기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가 일직선상을 이루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삽입홈에서 이탈퇴면서 상기 머리부가 상기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상태를 갖는 잠금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관통공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안착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구속부를 가지는 볼플렌지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구속부에 접촉되어 상기 돌출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일정이상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수축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측과 접촉되고 상기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내주면과 결합하여 상기 관통공에 상기 스프링을 구속하는 마감재;를 구비하고,
    상기 볼플렌지는 상기 잠금상태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홈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머리부가 회동되면서 접촉되는 부분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 외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프링이 수축됨으로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통공 내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상기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내주면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에서 상기 스프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치아와 치은에 접촉되는 다수의 칫솔모가 장착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파지부와;
    상기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머리부가 상기 치아와 치은에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할 때 상기 머리부가 상기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꺽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꺽임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대향되게 볼록한 호형 곡률을 갖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머리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력이 전달 되었을 때 평평한 상태로 펼쳐지면서 상기 외력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게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호형곡률을 갖는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판재와;
    상기 스프링판재를 내부에 수용하고, 외주면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굴곡부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머리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판재가 탄성 변형될 때 상기 머리부가 상기 외력의 반대방향으로 함께 꺽이며, 상기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머리부와 상기 파지부가 일직선상에 있도록 펴질 수 있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 주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삭제
KR1020150106138A 2015-07-27 2015-07-27 칫솔 KR101683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138A KR101683734B1 (ko) 2015-07-27 2015-07-27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138A KR101683734B1 (ko) 2015-07-27 2015-07-27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734B1 true KR101683734B1 (ko) 2016-12-07

Family

ID=5757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138A KR101683734B1 (ko) 2015-07-27 2015-07-27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7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0922A (zh) * 2018-03-09 2018-07-10 成都理工大学 一种可换刷头的新型杯口清洁刷
KR20210119638A (ko) 2020-03-25 2021-10-06 박일홍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61U (ja) * 1992-08-21 1994-03-15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歯ブラシ
KR980006397U (ko) * 1996-07-25 1998-04-30 김원영 건강 재활용 칫솔
KR20010022710A (ko) 1997-08-08 2001-03-26 칼 에프. 포스가드 전동 칫솔용 압력 과부하 표시 장치
US7383603B2 (en) * 2003-11-25 2008-06-10 Fitmouth, Inc. Flexible neck toothbrush
KR20130057688A (ko) 2011-11-24 2013-06-03 (주)케이엔씨웰빙 양치 패턴 분석용 칫솔 및 분석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61U (ja) * 1992-08-21 1994-03-15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歯ブラシ
KR980006397U (ko) * 1996-07-25 1998-04-30 김원영 건강 재활용 칫솔
KR20010022710A (ko) 1997-08-08 2001-03-26 칼 에프. 포스가드 전동 칫솔용 압력 과부하 표시 장치
US7383603B2 (en) * 2003-11-25 2008-06-10 Fitmouth, Inc. Flexible neck toothbrush
KR20130057688A (ko) 2011-11-24 2013-06-03 (주)케이엔씨웰빙 양치 패턴 분석용 칫솔 및 분석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6019561 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0922A (zh) * 2018-03-09 2018-07-10 成都理工大学 一种可换刷头的新型杯口清洁刷
KR20210119638A (ko) 2020-03-25 2021-10-06 박일홍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3407B1 (en) Toothbrushes
US6070286A (en) Angulated toothbrush
US6612770B2 (en) Brush head of toothbrush
US7384265B2 (en) Orthodontic force module
US6997709B2 (en) Dental hand instrument and tip of the instrument
US20070265555A1 (en) Hand tool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of tooth root and gum
JPH04269905A (ja) 曲率を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歯ブラシ
NO319235B1 (no) Tannborste
JPH01214306A (ja) 歯ブラシ
US9648942B2 (en) Toothbrush
US20020152563A1 (en) 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KR101683734B1 (ko) 칫솔
CH681596A5 (ko)
US20210068526A1 (en) Toothbrush
US8621701B2 (en) Dental brush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620330A (en) Toothbrush
US20110027754A1 (en) Dental pliers with adjustable bumper
US5758382A (en) Interdental brush handle
US20080235889A1 (en) Right angle tooth brush
EP1441617B1 (en) Support for interdental brushes and similar instruments for oral hygiene
US20150173503A1 (en) Transversal Cleaning Apparatus
RU255393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WO2015190285A1 (ja) ワンタフト付歯ブラシ
AT409921B (de) Zahnputzkörper
KR200292879Y1 (ko) 각도조절기능이 구비된 치간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