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592Y1 - T자형 칫솔 - Google Patents

T자형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592Y1
KR200242592Y1 KR2020010010728U KR20010010728U KR200242592Y1 KR 200242592 Y1 KR200242592 Y1 KR 200242592Y1 KR 2020010010728 U KR2020010010728 U KR 2020010010728U KR 20010010728 U KR20010010728 U KR 20010010728U KR 200242592 Y1 KR200242592 Y1 KR 200242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ole
teeth
shaped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흥여
Original Assignee
윤흥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흥여 filed Critical 윤흥여
Priority to KR2020010010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592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솔(5)(5')(5')을 구성한 솔체를 손잡이(1)와 목부(2)(2')(2')를 일체로 형성한 T자형 칫솔에 있어서, 좌, 우양단 모서리를 반원호상과, 일직선으로 한, 전후가 타원형솔체(4)(')와 전후가 평행의 솔체(4')로 구성하여 목부(2)(2')(2')를 각솔체 중단 상부측면을, 측면외향으로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게 돌출경사부(3)(3')(3')를 형성케 함을 특징으로한 T자형 칫솔.

Description

T자형 칫솔{omitted}
본고안은 종래의 일자형 칫솔로 치아를 닦는 습관을 바꾸어서 상하로만 칫솔질을 하여 잇몸을 보호하고, 치아보호막 보호와 풍치를 예방하도록 하며 신속하고 깨끗하게 치아를 닦을수 있도록 개량한 T자형 칫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T자형 칫솔이 다수 안출되고 공고되여 있는데, 실용신안 공개번호 88-14620호, 제87-4709, 제87-3405호등 다수의 T형 칫솔은 주로 손잡이 선단목부를 솔체측면에 직선, 동일선상으로 연결되게 구성한 것으로서 칫솔모 단면과 목부위 사이 간격 높이가 칫솔모길이만 형성되어, 공간이 좁아서 칫솔질 할 때 목부위가 입술과 턱볼에 닿아서 불편하여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실용신안 공개번호 92-20740호가 공개되여 있는데, 이것은 솔체상부 전면을 수직으로 돌출하고 절곡부를 갖게 하여 목부위가 너무 넓고, 높게 구성되였으며, 특허 제25574호는 솔체상부 중앙을 상부로 돌출하고 만곡하여서 솔체와 목부사이에 턱과 홈, 공간이 형성되어 불순물, 이물질이 끼게되는 비위생적인 구성이고,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86-11355호는 솔체상부에 별도의 돌출구, 이중턱을 형성한 위에 목부를 돌출되게하고, 굴곡부를 ''형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들 솔체 상부 수직돌출형은 목부위 높이가 너무 높게 구성되어서 불편할 뿐아니라 솔체가 입안에서 치아나 잇몸, 천장등에 부딪쳐서 번거로우며 칫솔손잡이 중심선과 솔의 각도가 맞지 않아 칫솔의 단부면이 치아와 일치되지 않으며 목부위가 입술턱 밑에 닿아 불편하게되어 칫솔질이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대부분 한두번 사용해 보고는 기피하여 왔기 때문에 실용화가 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일자형 칫솔만 상품화되여 유통, 사용되고 있고, T자형 칫솔은 사실상 전혀 상품화 되거나 유통되지 않는 실정이며, 다만 아이디어로만 그치게 되었던 것이다.
본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T자형 칫솔이 다수 안출되고 상품화가 시도되여 왔으나, 사용상의 불편과 T형 칫솔체의 구성이 좋지 않은점, 양치질(치솔질)의 불편등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자 장기간 동안 종래의 T자형 칫솔들을 실제모형으로 각기 만들어서 실험하고 사용하며 연구하여, 구조적인 결함과 기술적 구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함으로서 안출하게 된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의 솔체가 타원형으로된 T자형 사시도
도 2는 본고안의 솔체양단부가 반원상으로된 T자형 사시도
도 3은 본고안의 솔체양단부가 직선으로된 T자형 사시도
도 4는 본고안의 단면 예시도
솔(5)(5')(5')을 구성한 솔체를 손잡이(1)와 목부(2)(2')(2')를 일체로 형성한 T자형 칫솔에 있어서, 좌, 우 양단 모서리를 반원호상과 일직선으로한 전후가 타원형 솔체(4)(4'), 평행의 솔체(4')로 구성하여 목부(2)(2')(2')를 각 솔체 중단 상부측면을 측면외향으로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게 돌출경사목부(3)(3')(3')를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솔체(4)(4')(4')의 돌출경사목부(3)(3')(3')와 손잡이(1)를 연결하므로서 솔(5)(5')(5')의 단면부와 목부위의 돌출경사목부(3)(3')(3')의 높이(L)을 적정높이로 알맞게 구성하고, 종래에는 솔(5)(5')(5')의 단면부와 목부위(2)(2')(2')까지의 높이를 (H)와 같이 솔체(4)(4')(4')와 같은 높이로 구성하지 않으므로서 양치질할대 목부위(2)(2')(2')가 입술과 턱볼에 닿지 않고 치아내부를 닦기가 편리하게 되며, 솔체(4)(4')(4') 측면을 수직이나 수평이 아닌 측면외향으로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게 하여 돌출경사목부(3)(3')(3')를 낮게하고 측면 연결보다는 높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서 일거에 측면과 상부연결의 양, 단점이 보완, 개선되어 불편없이 편리하게 사용될수 있게 함과 동시에 종래의 것과 같이 솔체(4)(4')(4')와 목부(2)(2')(2') 사이에 턱이나 공간 홈등이 형성되지 않고 솔체(4)(4')(4')와 돌출경사 목부(3)(3')(3')가 일체로 요홈없이 일체의 만곡면을 이루게되어 위생적으로 사용될수 있게 한것이고, 솔체(4)(4')(4')를 모형이 각기 다르게 전,후 좌,우면이 타원형솔체(4)(도1)와 전후면이 직선이고 좌,우 양단이 만곡면인 반원상의 솔체(4')(도2)와 좌,우측 양단이 일직선이며 전후면이 만곡대칭으로된솔체(4')(도3)등의 형상, 모양을한 솔체(4)(4')(4') 하부에 평면상의 솔(5)(5')(5')이 식모하여 치아의 외부와 내부를 닦기에 편리하고 칫솔구성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 사용할수 있게 되는데, 사용할때는 손잡이(1)를 잡고 솔체(4)(4')(4')의 솔(5)(5')(5')의 끝부분 표면이 평면으로 치아와 일치되게 횡으로 접촉되게한 다음 상하로 양치질을 하는데 입안쪽 어금니 외부쪽으로도 접촉이 용이하여 상하로 양치질을 쉽사리 할수 있게되며 치아의 내향면에도 입을 벌려서 솔체 솔이 치아면에 횡으로 접촉되게 한다음 전후진을 반복하여서 입안쪽 치아만을 닦을수도 있으며 치아의 안과 밖을 동시에 치열을 따라가면 전후진하여 치아 사이사이를 깨끗하게 닦을수 있으며, 아랫이를 닦은 다음 칫솔면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웃니를 같은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게 되는데 일자형 칫솔로서 상하로 닦을 때의 불편과 같은 번거로움을 전혀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되게 한 것은 손잡이의 선단목부를 솔체중단상부와 측면모서리에 비스듬이 상향으로 돌출만곡되게 하여서 목부위와 솔의 단면사이 간격 높이가 알맞도록 되게한 돌출된 솔체(목부)를 형성케 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된 본고안은
첫째 : 양치질을 좌, 우 즉 횡으로 닦지않고 상,하로 하도록 구성되어서 양치질을 좌, 우 횡으로만 치아를 닦는 나쁜습관을 고칠수 있으며,
둘째 : 양치질을 상, 하로 하므로서 치아보호막을 손상하지 않고 잇몸을 보호하고 치아 사이사이 깊은곳까지 칫솔모가 닿아서 깨끗이 닦으수 있고,
셋째 : 장기간 경과해도 치석이 발생하지 않으며 풍치를 예방할 수 있어서 평생 치아건강을 유지할수 있으며,
넷째 :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곡면 타원형과 반원타원형 양단선타원형 등을 선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2)

  1. 솔(5)(5')(5')을 구성한 솔체를 손잡이(1)와 목부(2)(2')(2')를 일체로 형성한 T형 칫솔에 있어서, 좌, 우양단 모서리를 반원호상과 일직선으로 한 전, 후가 타원형솔체(4)(4')로 구성하여 목부(2)(2')(2')를 각솔체 중단 상부측면을 측면외향으로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게 돌출경사목부(3)(3')를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한 T자형 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좌, 우양단이 일직선이며 전후가 평행의 솔체(4')로 구성하여 돌출경사목부(3')를 솔체(4') 중단상부 측면을 측면외향으로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한 T자형 칫솔.
KR2020010010728U 2001-04-09 2001-04-09 T자형 칫솔 KR200242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28U KR200242592Y1 (ko) 2001-04-09 2001-04-09 T자형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28U KR200242592Y1 (ko) 2001-04-09 2001-04-09 T자형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592Y1 true KR200242592Y1 (ko) 2001-10-11

Family

ID=7306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28U KR200242592Y1 (ko) 2001-04-09 2001-04-09 T자형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5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011B1 (ko) 2020-12-18 2021-08-04 이유나 치간 칫솔질 잇솔
KR20210119638A (ko) 2020-03-25 2021-10-06 박일홍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2829B1 (ko) 2022-09-13 2023-01-27 이유나 칫솔모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각도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638A (ko) 2020-03-25 2021-10-06 박일홍 기능형 칫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6011B1 (ko) 2020-12-18 2021-08-04 이유나 치간 칫솔질 잇솔
KR102492829B1 (ko) 2022-09-13 2023-01-27 이유나 칫솔모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각도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0509A (en) Double sulcus toothbrush
KR100602964B1 (ko) 종방향 강모 보강재를 갖는 칫솔
US4306327A (en) Toothbrush
JP2004500140A (ja) 舌側歯ブラシおよびそれを作成する方法
JP3206056U (ja) L字型歯ブラシ
KR20180027257A (ko) 치은열구 칫솔
KR200242592Y1 (ko) T자형 칫솔
KR101284574B1 (ko) 트위스트 칫솔
KR101673095B1 (ko) 치아 교정장치가 부착된 치아를 닦기 위한 교정용 칫솔
KR200469882Y1 (ko) 칫솔
KR100602005B1 (ko) 칫솔
US20140283321A1 (en) Toothbrush
CN203814850U (zh) 曲口牙刷
KR200266621Y1 (ko) T자형 치솔
KR101202105B1 (ko)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CN201664027U (zh) 一种带有舌苔清洁功能的牙刷
CN216393348U (zh) 一种牙刷
CN211608486U (zh) 易清洁的曲线型牙刷
KR20230111598A (ko) 칫솔
CN2345055Y (zh) 仿生牙刷
CA1163760A (en) Toothbrush
CN2860196Y (zh) 清齿洁龈牙刷
KR101203398B1 (ko) 동작 패턴이 개선된 양방향 칫솔
TW202216008A (zh) 易於清潔牙菌斑之牙刷結構
CN2738617Y (zh) 一种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