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598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598A
KR20230111598A KR1020230007565A KR20230007565A KR20230111598A KR 20230111598 A KR20230111598 A KR 20230111598A KR 1020230007565 A KR1020230007565 A KR 1020230007565A KR 20230007565 A KR20230007565 A KR 20230007565A KR 20230111598 A KR20230111598 A KR 2023011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head
toothbrush
handle
curv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쳉 모
Original Assignee
시-쳉 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쳉 모 filed Critical 시-쳉 모
Publication of KR2023011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5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41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넥 및 핸들을 포함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헤드는 여러 다발의 강모를 갖고, 넥은 헤드로부터 이어져 있고, 넥은 제1 만곡부 및 제1 만곡부에 연결된 제2 만곡부를 포함하고, 핸들은 넥의 제1 만곡부로부터 이어져 있으며, 여기서, 제1 만곡부는 핸들에 대해 형성된 제1 각도를 갖고, 제2 만곡부는 제1 만곡부와 교차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하고, 제2 만곡부는 헤드와 제3 각도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상술한 각도로 형성되어, 넥이 헤드를 보조하여 수동으로 칫솔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구강 내의 닦기 어려운 설측 근처 치아 표면의 사각 지대를 닦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주질환 및 치경부 근처의 충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 특히 구강 세정 시 수동으로 칫솔 본체를 조정하거나 회전시키지 않고도 구강 내의 닦기 어려운 치아의 사각 지대를 원활하게 닦을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건강은 전신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현대인들은 양호한 구강 위생과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 "예방이 치료보다 낫다"는 말의 중요성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청결을 소홀히 하면 나중에 아무리 좋은 기술로 복구하거나 틀니를 착용한다고 해도 자연 치아에 비할 바는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양치질을 할 때 가장 중요하고 동시에 가장 닦기 어려운 위치는 외곽 융기부하 곡면(contour crest)과 치은선 위아래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 영역은 치아의 표면을 360도 둘러싸고 있으며, 이러한 360도 중의 180도 범위(예를 들어, 순협측, 설구개측) 및 하악 구치의 설측(내측) 영역이 닦기가 가장 어렵다.
도 2를 참조하면, 해부학적 관점에서 볼 때 상하악의 치열궁은 모두 구부러져 있다. 구부러진 둥근 아치가 안정적인 구조이듯이, 구부러진 치열궁도 서로 다른 모양과 서로 다른 기능의 치아가 동일한 아치선 상에서 안정될 수 있는 중요한 이유이며, 현재 일반적인 치열궁 유형으로는 대체로 협착형 치열궁(narrow), 사각형 치열궁(square) 및 타원형 치열궁(oval)이 있는데, 다양한 구부러진 치열궁은 안정적이지만, 직선형 헤드(head)와 넥(neck)의 경우 다양한 구부러진 치열궁은 양치질을 방해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구강 치열의 측면에서 볼 때, 하악 전치는 높고, 하악 구치는 완만하거나 가파른 아치를 이루며, 둘 사이의 높이 차이가 곡선(curve of Spee)을 형성하는 특별하고 규칙적인 현상이 있으며, 이 곡선은 치아가 절단 동작을 할 때, 구치가 접촉하지 않게 하여 구치가 불필요한 접촉 및 마모를 피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지만,, 직선형 헤드와 넥이 이 높낮이 차에 따라 기울어지면, 헤드의 방향이 치열과 치아에 평행하게 될 수 없기 때문에 X자형의 교차 상태가 되며, 즉, 강모의 일부만이 치아에 닿아 하악 치열 구치부 설측이 구강 청결의 심각한 사각 지대가 되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악 구치 설측(내측) 영역은 구강 내 치아 및 상하 치열에 의해 형성되는 3D 입체 환경에서 외곽 융기부하 곡면(도면에 표시된 가로 방향의 화살표)의 각도가 적당하여 저작 시 치은과 치아를 보호하고 자정 작용을 하는 해부학적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실제로는 음식물이 파쇄되어 타액에 용해된 후에 여전히 치아에 침착된다. 이러한 보호 작용의 부작용은 외곽 융기부하 곡면 영역이 양치질의 사각 지대 중 하나가 된다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강 치열의 후면도에는 하악 구치가 설구개측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또 다른 특별한 규칙이 있으며, 즉, 구치가 상하로 부수고 좌우로 분쇄하는 저작 동작을 할 때, 캠핑 못(camp nail)처럼 안정적이고 흔들리지 않는 기반 작용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는 마찬가지로 하악 구치 설측을 닦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다년간 관련 업계에 종사해 온 경험에 기초하여 칫솔의 전체적인 구조와 사용자의 습관을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사용자가 칫솔 본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거나 조정하지 않고도 칫솔 넥의 도움을 받아 헤드를 이용하여 구강 내의 닦기 어려운 설측에 가까운 치아 표면을 닦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칫솔은 주로 헤드(head), 넥(neck) 및 핸들(handle)을 포함하고, 헤드는 여러 다발의 강모를 갖고, 넥은 헤드로부터 이어져 있고, 넥은 제1 만곡부 및 제1 만곡부에 연결된 제2 만곡부를 포함하고, 핸들은 넥의 제1 만곡부로부터 이어져 있으며, 여기서, 제1 만곡부는 핸들에 대해 형성된 제1 각도를 갖고, 제2 만곡부는 제1 만곡부와 교차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하고, 제2 만곡부는 헤드와 제3 각도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상술한 각도로 형성되어, 넥이 헤드를 보조하여 수동으로 칫솔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구강 내의 닦기 어려운 설측 근처 치아 표면의 사각 지대를 닦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주질환 및 치경부 근처의 충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각도는 12도 내지 35도이고, 제2 각도는 45도 내지 -35도이고, 제3 각도는 15도 내지 85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만곡부에 가까운 제2 만곡부의 끝점과 제1 만곡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끝점은 제1 만곡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높이를 형성하며, 높이는 4mm 내지 15mm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만곡부는 3번 내지 7번 하악 치아의 배열 방향과 평행을 이룬다.
상술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칫솔의 헤드는 넥의 도움을 받아 치아의 기울어짐 또는 기타 요인으로 인한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칫솔 본체를 조정하지 않고도 구강 내의 닦기 어려운 치아의 사각 지대를 원활하게 닦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도 1은 구강 내 치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치열궁 유형의 개략도이다.
도 3는 Spee의 곡선의 개략도이다.
도 4는 Spee의 곡선이 수직형 칫솔에 미치는 영향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외곽 융기부하 곡면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외관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만곡부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만곡부의 높이 개략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칫솔의 제2 만곡부의 제2 각도 중 하나의 각도의 개략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칫솔의 제2 만곡부의 제2 각도 중 다른 각도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윌슨 곡면(curve of Wilson)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치아의 경사각(a) 및 외곽 융기부하 곡면의 경사각(b)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헤드 경사 각도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첨부 도면과 함께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설명되는 실시 형태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부일 뿐이며 전부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의적인 노력없이 얻은 모든 기타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학술 용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및"은 열거된 하나 또는 다수의 관련 항목 중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면 및 수반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 및 실시 형태를 인식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첨부 도면과 예시는 일반적으로 축척에 맞게 그려지지 않았으며, 실제의 상대 치수에 상응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칫솔(20)은 헤드(201), 넥(202) 및 핸들(203)을 포함한다. 넥(202)은 헤드(201) 및 핸들(203)과 연결되어 있다. 헤드(201)에는 여러 다발의 강모(2011)가 제공되어 있다. 넥(202)은 제1 만곡부(2021) 및 제2 만곡부(2022)를 포함하고, 제1 만곡부(2021)의 한 쪽 단부는 제2 만곡부(2022)에 연결되고, 제1 만곡부(2021)의 다른 쪽 단부는 핸들(203)에 연결되며, 제1 만곡부(2021)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만곡부(2022)의 단부는 헤드(201)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헤드(201)와 핸들(203)은 넥(202)을 통해 연결되고, 넥(202)에 포함된 제1 만곡부(2021) 및 제2 만곡부(2022)가 개별적으로 만곡되어 형성한 각도는 동일하지 않으며, 헤드(201)가 넥(202)에 대해 형성한 각도도 제1 만곡부(2021) 및 제2 만곡부(2022)와 동일하지 않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만곡부(2021)는 핸들(203)에 대해 제1 각도(A)를 형성하고, 제1 각도(A)에 의해 형성된 만곡 각도는 주로 치열궁에 의해 형성된 아치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만곡부(2021)의 만곡 각도는 설측을 마주보는 치아 표면에 더 가까워지며, 제1 각도(A)는 바람직하게는 12도 내지 35도이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만곡부(2021)는 3번 내지 7번 하악 치아의 배열 방향과 평행을 이룬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만곡부(2022)는 제1 만곡부(2021)에 대해 제2 각도(B)를 형성하며, 제2 각도(B)는 주로 전치의 경사 각도(예를 들어, 뻐드렁니 또는 부정교합)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고, 제2 각도(B)는 바람직하게는 45도 내지 -35도이다. 제2 만곡부(2022)가 하악 전치와 하악 구치 사이에 형성된 높낮이 차의 높이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2 만곡부(2022)는 전치와 구치의 높낮이 차(C1) + 구치의 수직 높이(C2)에 의해 형성된 높이(H)를 가지며, 높이(H)는 4mm 내지 15mm 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헤드(201)는 제2 만곡부(2022)에 대해 제3 각도(D)를 형성하고, 제3 각도(D)는 치아의 경사각(a)과 외곽 융기부하 곡면의 경사각(b)의 두 개의 각도가 더해져 형성된 것이며, 헤드(201)는 제3 각도(D)의 만곡 각도를 통해 하악 구치가 설측으로 기울어진 각도 및 치아의 치은선 부근의 각도를 보상하여, 헤드(201)의 강모(2011)의 기울어진 각도가 닦기 어려운 치아의 영역에 더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제3 각도(D)는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85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에 기재된 칫솔(20)은 일반적인 직선형 칫솔의 헤드(21)와 비교하여 전체 구조가 다르다는 것 이외에, 본 발명은 주로 넥(202)의 제1 만곡부(2021)와 제2 만곡부(2022)가 헤드(201)를 보조하여 치아를 닦도록 하며, 구체적으로, 치열궁의 모양, 치아의 배열 또는 치아의 높이 등의 구강 내 요인이 칫솔 본체에 의한 세정을 방해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직선형 칫솔의 헤드(21)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거나 칫솔 본체에 대해 경사 각도를 조정하여 일반적인 칫솔로는 접근할 수 없는 영역에 헤드가 가까워질 수 있게 해야 하는데, 이에 대해, 본 발명에 기재된 제1 만곡부(2021)와 제2 만곡부(2022)는 각각 미리 설계된 것으로, 칫솔(20)의 넥(202)을 구강에 넣어 세정할 때 본체 구조가 방해받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제1 만곡부(2021)와 제2 만곡부(2022)는 주로 헤드(201)를 보조하여 일반적인 직선형 헤드를 갖는 칫솔이 비교적 닦기 어려운 영역을 원활하게 닦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헤드(201)에 의해 형성되는 제3 각도(D)도 미리 설계된 것으로, 칫솔(20)을 구강에 넣어 치아를 닦을 때, 헤드(201)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조정될 필요가 없으며, 제1 만곡부(2021)와 제2 만곡부(2022)의 도움을 받아 칫솔(20)을 구강에 깊숙히 넣어 세정할 때 치아를 닦기 어려운 영역까지 원활하게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제1 만곡부(2021), 제2 만곡부(2022) 및 헤드(201)에 의해 형성된 제3 각도(D)에 의해 직관적이고 편리한 치아 세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칫솔(20)의 핸들(203)을 잡고 사용할 때, 헤드(201)에서 핸들(203) 방향으로 보면, 제1 만곡부(2021)는 핸들(203)과의 연결부에서 왼쪽 하단을 향해 헤드(201)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성형되어 있고, 제2 만곡부(2022)는 제1 만곡부(2021)와의 연결부에서 왼쪽 상단을 향해 헤드(201)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성형되어 있으며, 헤드(201)는 제2 만곡부(2022)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제3 각도(D)를 넘지 않는 범위의 값으로 회전하여 헤드(201)의 강모(2011)의 방향이 약간 왼쪽 상단을 향하도록 한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여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의 제3 각도(D)의 설계에는 치아해부학 등 전문적인 구강의학 지식을 필요로 하여, 각 치아의 외곽 융기부하 곡면 및 치은선 위아래의 치아 표면의 가장 깊은 부위의 세정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위치(도 1 및 도 5 참조)가 치태, 치석, 치은염, 치주질환이 발생하는 주요 부위라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구강생리학 및 치주질환학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치주질환은 잇몸 출혈, 구취, 치아 흔들림 및 발치를 초래하는 구강 질환의 2가지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다시 도 3, 도 8 내지 도 11을 조합하여 참조하면, 상술한 것들은 치아교정학의 구강 내 3차원 입체구조 및 치아, 치은, 치주 관계의 치주질환학 전문 지식을 갖고 있어야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치아해부학적 지식이 없는 경우, 일반인은 제3 각도(D)라는 위치를 세정해야 한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또한, 위의 전문 지식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직선형 칫솔 또는 제1 각도(A) 및 제2 각도(B)를 갖는 칫솔로 외곽 융기부하 곡면과 치은선 위아래 사이의 치아 표면의 위치까지 닦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인데, 이는 제3 각도(D)가 닦아낼 수 있는 치아 표면이 매우 가파르고 미끄러워 머물러 있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다수 사람들은 이러한 전문 지식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직선형 칫솔을 통해 제3 각도(D)의 위치까지 닦아낼 수 있는 기술을 익히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시 이 경우의 도 12를 참조하면, 제3 각도(D)로 닦아낼 수 있는 위치까지 닦으려면 또한 기술이 필요한데, 이는 양치질을 할 때 핸들(203)을 잡는 각도를 찾아내고 이를 유지하는 기술이 또한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술을 습득한 후에는, 양치질을 할 때 칫솔의 헤드가 치아를 덮고, 타액과 치약도 시야를 가리기 때문이며, 따라서, 제3 각도(D)는 꾸준한 연습이 필요한 기술이므로, 이 경우에 제1 만곡부(2021), 제2 만곡부(2022) 및 헤드(201)의 3개 사이에 형성된 제1 각도(A), 제2 각도(B) 및 제3 각도(D)는 각각 미리 설계된 것으로, 칫솔의 넥(202)을 구강에 넣어 세정할 때 본체 구조가 방해받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제1 각도(A) 및 제2 각도(B)의 형성은 칫솔을 보조하여 일반적인 직선형 헤드를 갖는 칫솔로 닦기 어려운 영역을 원활하게 닦을 수 있게 하고, 이 경우의 제3 각도(D)의 형성은 칫솔을 구강에 넣어 치아를 닦을 때 사용자가 많은 연습을 할 필요가 없게 하는 기술로서, 수동으로 조정할 필요도 없는 방식이며, 제1 만곡부(2021) 및 제2 만곡부(2022)의 도움을 받아 칫솔(20)을 구강에 깊숙히 넣어 닦기 어려운 치아의 영역까지 세정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인 직선형 칫솔(도 12의 직선형 칫솔의 헤드(21)로 나타낸 바와 같음)과 이 경우의 제1 각도(A) 및 제2 각도(B)만을 갖는 칫솔은 치아의 설측에 가까운 외곽 능선의 "윗쪽" 치아 표면까지만 닦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칫솔(20)이 갖는 제1 각도(A), 제2 각도(B) 및 제3 각도(D)는 설측에 가까운 치아면 및 외곽 융기부하 곡면과 치은 사이의 홈의 사각 지대까지 전방위로 닦아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라, 본 출원에서 설명된 개념은 이러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특정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개념을 설명했지만,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와 같이, 기술된 실시 형태는 모든 면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상술한 특정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재구성, 수정 및 치환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라 기타 여러 가지 상응하는 변경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모든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20: 칫솔
201: 헤드
2011: 강모
202: 넥
2021: 제1 만곡부
2022: 제2 만곡부
203: 핸들
21: 직선형 칫솔 헤드
A: 제1 각도
B: 제2 각도
C1: 전치와 구치의 높낮이 차
C2: 구치의 수직 높이
D: 제3 각도
a: 치아의 경사각
b: 외곽 융기부하 곡면의 경사각

Claims (3)

  1. 여러 다발의 강모를 갖는 헤드(head),
    상기 헤드로부터 이어져 있고,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1 만곡부에 연결된 제2 만곡부를 포함하는 넥(neck),
    상기 넥의 제1 만곡부로부터 이어져 있는 핸들(handle)을 포함하는, 칫솔로서,
    상기 제1 만곡부는 상기 핸들에 대해 형성된 제1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1 각도는 12도 내지 35도이고,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제1 만곡부와 교차하여 제2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각도는 45도 내지 -35도이고, 상기 제2 만곡부와 상기 헤드는 제3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제3 각도는 15도 내지 85도이고,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칫솔의 핸들을 잡고 사용할 때, 상기 헤드에서 상기 핸들 방향으로 보면, 상기 제1 만곡부는 상기 핸들과의 연결부에서 왼쪽 하단을 향해 상기 헤드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성형되어 있고,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제1 만곡부와의 연결부에서 왼쪽 상단을 향해 상기 헤드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는 상기 제2 만곡부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3 각도를 넘지 않는 범위의 값으로 회전하여 상기 헤드의 강모의 방향이 약간 왼쪽 상단을 향하도록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부에 가까운 상기 제2 만곡부의 끝점과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끝점은 상기 제1 만곡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높이를 형성하며, 상기 높이는 4mm 내지 15mm인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부는 3번 내지 7번 하악 치아의 배열 방향과 대체로 평행을 이루는
    칫솔.
KR1020230007565A 2022-01-18 2023-01-18 칫솔 KR202301115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1102000 2022-01-18
TW111102000A TW202329841A (zh) 2022-01-18 2022-01-18 牙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598A true KR20230111598A (ko) 2023-07-25

Family

ID=8498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565A KR20230111598A (ko) 2022-01-18 2023-01-18 칫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25490A1 (ko)
EP (1) EP4212063A1 (ko)
JP (1) JP2023104922A (ko)
KR (1) KR20230111598A (ko)
CN (1) CN116458722A (ko)
TW (1) TW202329841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9582A (en) * 1981-03-09 1983-08-23 Raymond Ernest Modular interproximal toothbrush system
US4463470A (en) * 1983-03-17 1984-08-07 Brian D. Willis, P.C. Toothbrush
SG44420A1 (en) * 1993-12-13 1997-12-19 Chan Boon Su A double-headed toothbrush
US6230355B1 (en) * 1999-01-04 2001-05-15 Stephen D. Harada Lingual toothbrush
CZ2005627A3 (cs) * 2005-10-03 2006-09-13 Flek@Jaroslav Zubní kartácek
US20210177128A1 (en) * 2019-03-02 2021-06-17 Salvatore Dericco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2063A1 (en) 2023-07-19
TW202329841A (zh) 2023-08-01
JP2023104922A (ja) 2023-07-28
US20230225490A1 (en) 2023-07-20
CN116458722A (zh)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227B1 (en) Orthodontic toothbrush
RU1836043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хода за зубами
KR100937829B1 (ko) 칫솔
JPH01190307A (ja) 歯ブラシ
US4306327A (en) Toothbrush
US4724570A (en) Toothbrush for sulcular brushing
JP2004500140A (ja) 舌側歯ブラシおよびそれを作成する方法
US6018838A (en) Toothbrush
US20170280864A1 (en) Three toothbrush designed to adapt to the 3 different mouth shapes (narrow, average, wide)
KR20230111598A (ko) 칫솔
US20140283321A1 (en) Toothbrush
JP3120305U (ja) ブラシヘッド及びそれを有する歯ブラシ
JP3143239U (ja) 歯ブラシ
KR200242592Y1 (ko) T자형 칫솔
RU219853U1 (ru) Насадк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зубной щетки
JPH0335148Y2 (ko)
AU2014101647A4 (en) Tooth care device
JPH11290128A (ja) 歯ブラシ
AU701367B2 (en) Toothbrush
CA1163760A (en) Toothbrush
CN2190442Y (zh) 一种新型保健牙刷
JP2548396Y2 (ja) 歯ブラシ
JP2008018216A (ja) 歯面に沿う形状の歯ブラシ
JPH10137038A (ja) 鍬形マルチ歯ブラシと鍬形電動歯ブラシ
JP3148794U (ja) 歯茎磨き重視の歯ブラ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