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606A -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9606A KR20210119606A KR1020200035552A KR20200035552A KR20210119606A KR 20210119606 A KR20210119606 A KR 20210119606A KR 1020200035552 A KR1020200035552 A KR 1020200035552A KR 20200035552 A KR20200035552 A KR 20200035552A KR 20210119606 A KR20210119606 A KR 202101196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one
- bar
- alignment
- main body
- seat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1—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aircr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8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by vehicles
- B64U80/86—L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screw-and-nut mechanis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8—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uction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
- B64C2201/208—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은,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며 상면에 드론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 및 안착플레이트 상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을 밀어 정렬하는 제1 정렬바와, 안착플레이트 상면을 따라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을 밀어 정렬하는 제2 정렬바를 포함하여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된 드론을 정렬시키는 위치정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은,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며 상면에 드론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 및 안착플레이트 상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을 밀어 정렬하는 제1 정렬바와, 안착플레이트 상면을 따라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을 밀어 정렬하는 제2 정렬바를 포함하여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된 드론을 정렬시키는 위치정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착플레이트 상의 일정 위치에 드론을 정렬시킬 수 있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이라 함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원격으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무인 항공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드론은 일반 항공기와 달리 조종사를 위한 탑승공간과 안전장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곳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정찰 또는 촬영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순찰 시 드론을 이용하여 도주하는 범법자 또는 범법차량을 추적하거나 실시간 방범 영상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순찰에 드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요 시 즉각 드론이 비행할 수 있도록 순찰차에 드론을 탑재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 드론의 보관 및 충전이 가능한 드론 스테이션이 순찰차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드론 스테이션은 드론을 일정 위치에 정렬 및 고정할 수 없어 주행하는 순찰차에 적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높낮이 조절이 안되므로 다양한 외형의 순찰차에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순찰차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순찰차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드론 스테이션의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이에, 드론을 일정 위치에 정렬 및 고정할 수 있어 보관 및 충전이 용이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외형의 순찰차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드론 스테이션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착플레이트 상의 일정 위치에 드론을 정렬시킬 수 있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면에 드론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드론을 밀어 정렬하는 제1 정렬바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드론을 밀어 정렬하는 제2 정렬바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드론을 정렬시키는 위치정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정렬바와 상기 제2 정렬바 중 적어도 하나는 쌍을 이루며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드론을 사이에 두고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며 상기 드론을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렬유닛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제1 정렬바 또는 상기 제2 정렬바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바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바 또는 상기 제2 정렬바는, 쌍을 이루어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바와 제2 바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블록은, 상기 제1 바에 고정된 제1 너트블록과, 상기 제2 바에 고정된 제2 너트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바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은, 상기 제1 너트블록이 이동하며 제1 나선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너트블록이 이동하며 상기 제1 나선방향과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제2 나선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제2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바는 쌍을 이루어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의 양단부를 각각 구동하되, 한 쌍의 상기 스크류바는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바와 상기 제2 정렬바 중 적어도 하나는 쌍을 이루어 상기 드론을 파지하여 드론고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측에 상기 드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상기 드론을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하거나 상기 본체 밖으로 노출시키는 승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서로 교차하며 교차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링크와 제2 링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와,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본체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 링크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제1 홈이 형성된 제1 연결블록과, 상기 제2 링크와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2 링크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제2 홈이 형성된 제2 연결블록, 및 제1 모터부와, 상기 제1 모터부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스크류봉, 및 상기 제1 스크류봉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크류봉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일 측이 상기 제1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 링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바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타단부가 각각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드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 상부를 덮거나 열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은, 제2 모터부와, 상기 덮개부 하부에 상기 덮개부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스크류봉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크류봉이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와, 상기 제2 모터부와 상기 너트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풀리, 및 상기 한 쌍의 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정렬바와 상기 제2 정렬바가 이동하여 상기 드론을 정렬시켜 고정하는 드론고정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은, 상기 드론고정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드론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정렬바와 상기 제2 정렬바가 이동하여 상기 드론을 정렬시켜 고정하는 드론고정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은, 상기 드론고정위치에 상기 드론을 자력으로 고정하는 자석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은, 상기 본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차량의 지붕에 자력으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모듈과, 상기 본체 하부에 상기 제1 고정모듈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차량에 흡착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렬유닛과 자석고정부가 구비되어 드론을 일정 위치에 정렬 및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주행하더라도 드론의 보관 및 충전이 용이하다.
또한, 제2 고정모듈이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지붕 외형에 관계없이 본체를 차량의 지붕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모듈이 자력을 조절할 수 있고, 제2 고정모듈이 흡착판을 통해 차량에 흡착되므로, 필요 시 본체를 차량의 지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이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위치정렬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승강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승강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정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위치정렬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승강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승강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정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이 차량의 지붕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1)은 드론(D)을 보관 및 충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차량(C), 보다 구체적으로, 지붕에 경광등이 설치된 순찰차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차량(C)이 순찰차인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지붕에 경광등이 설치되지 않은 일반 차량일 수도 있다. 또한,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1)이 차량(C)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드론(D)의 보관 및 충전이 요구되는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1)은 위치정렬유닛(30)과 자석고정부(12)가 구비되어 드론(D)을 일정 위치에 정렬 및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C)이 주행하더라도 드론(D)의 보관 및 충전이 용이하다. 또한, 제2 고정모듈(14)이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C)의 지붕 외형에 관계없이 본체(10)를 차량(C)의 지붕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모듈(13)이 자력을 조절할 수 있고, 제2 고정모듈(14)이 흡착판(14a)을 통해 차량에 흡착되므로, 필요 시 본체(10)를 차량(C)의 지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위치정렬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승강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승강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1)은 본체(10)와, 안착플레이트(20), 및 위치정렬유닛(3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1)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드론(D)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a)이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본체(10)가 정방형(正方形)의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본체(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체(10)는 순찰차의 지붕에 설치된 경광등의 후방에 밀착하여 배치되며, 후술할 제1 고정모듈(13)과 제2 고정모듈(14)에 의해 순찰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경광등의 후방이라 함은, 경광등을 기준으로 운전석이 위치한 전방과 대향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체(10)가 경광등의 후방에 밀착하여 배치됨으로써, 경광등이 본체(10)와 중첩되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순찰차의 운행 시 경광등이 본체(10)에 가해지는 외력, 예를 들어, 공기의 저항 등을 완화시켜 본체(10)가 순찰차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에는 안착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안착플레이트(20)는 판 상의 부재로, 수용공간(10a) 내부에 수평하게 수용되어 상면에 드론(D)이 안착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20)에 안착된 드론(D)은 위치정렬유닛(30)에 의해 정렬되며, 위치정렬유닛(30)은 제1 정렬바(31)와 제2 정렬바(32)를 포함하여 드론(D)을 드론고정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다. 드론고정위치는, 안착플레이트(20)에 제1 정렬바(31)와 제2 정렬바(32)가 이동하여 드론(D)을 정렬시켜 고정하는 위치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드론고정위치는 비행 중인 드론(D)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안착플레이트(20) 상에 표식될 수 있다. 드론고정위치에는 드론(D)을 충전하는 충전부(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부(11)는 드론(D)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하여 드론(D)을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부(11)가 드론(D)에 유선으로 접속하는 경우, 충전부(11)는 안착플레이트(20)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평상 시에는 안착플레이트(2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드론(D)의 충전 시 안착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부(11)에는 드론(D)을 인식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론고정위치와 드론(D)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석고정부(12)가 형성되어 드론(D)이 드론고정위치에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자석고정부(12)는 통상의 마그네틱 베이스로 형성되어 자력이 조절될 수 있다. 자석고정부(12)의 자력이 조절됨으로써, 드론(D)을 드론고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드론고정위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자석고정부(12)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정렬바(31)는 안착플레이트(20)의 너비 방향(도 2의 x 방향 참조)으로 배치된 막대 형상의 부재로, 안착플레이트(20) 상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D)을 밀어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이라 함은, 안착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도 2의 y 방향 참조)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정렬바(32)는 안착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도 2의 y 방향 참조)으로 배치되어 제1 정렬바(31)와 중첩된 막대 형상의 부재로, 안착플레이트(20) 상면을 따라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D)을 밀어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이라 함은, 안착플레이트(20)의 너비 방향(도 2의 x 방향 참조)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정렬바(31)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D)을 밀고, 동시에 또는 시간 차를 두고 제2 정렬바(32)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D)을 밈으로써, 안착플레이트(20) 상의 일정 위치, 즉, 드론고정위치에 드론(D)이 정렬될 수 있다. 제1 정렬바(31)와 제2 정렬바(32) 중 적어도 하나는 쌍을 이루며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드론(D)을 사이에 두고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며 드론(D)을 정렬할 수 있다. 즉,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제1 정렬바(31) 또는 한 쌍의 제2 정렬바(32)는 초기 상태에서 각각 안착플레이트(20)의 일 측 가장자리와 타 측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이격 배치되고, 안착플레이트(20)에 드론(D)이 안착되면 각각 안착플레이트(20)의 중앙을 향해 이동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히며 드론(D)을 정렬할 수 있다. 또는, 제1 정렬바(31)와 제2 정렬바(32) 중 적어도 하나는 쌍을 이루어 드론(D)을 파지하여 드론고정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제1 정렬바(31) 또는 한 쌍의 제2 정렬바(32)는 사이에 개재된 드론(D)을 파지하고 서로의 간격을 유지한 채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D)을 드론고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정렬바(31)와 제2 정렬바(32) 중 적어도 하나가 쌍을 이루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정렬바(31)와 제2 정렬바(32) 모두 단일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정렬바(31)와 제2 정렬바(32)가 모두 단일 개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정렬바(31)와 제2 정렬바(32)가 각각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안착플레이트(20)의 일 측 구석으로 드론(D)을 밀어 정렬시킬 수 있다.
제1 정렬바(31)와 제2 정렬바(32)는 각각, 스크류바(33)와 구동모터(34), 및 너트블록(35)에 의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류바(3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의 부재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크류바(33)는 안착플레이트(20)의 하부에 안착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정렬바(31) 또는 제2 정렬바(32)의 일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렬바(31)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바(33)는 안착플레이트(2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정렬바(32)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바(33)는 안착플레이트(2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바(33)는 구동모터(34)에 의해 회전 구동하며, 구동모터(34)는 안착플레이트(20) 하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 정렬바(31) 또는 제2 정렬바(32)는 일단부에 너트블록(35)이 고정되며, 너트블록(35)은 스크류바(33)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스크류바(33)가 구동모터(34)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바(3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34)가 스크류바(33)를 회전 구동하면, 스크류바(33)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블록(35)이 스크류바(3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너트블록(35)에 연결된 제1 정렬바(31) 또는 제2 정렬바(32)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D)을 정렬한다.
제1 정렬바(31) 또는 제2 정렬바(32)는 쌍을 이루어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바(31a, 32a)와 제2 바(31b, 32b)를 포함하며, 제1 바(31a, 32a)와 제2 바(31b, 32b)는 드론(D)을 사이에 두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히며 드론(D)을 정렬할 수 있다. 너트블록(35)은 제1 바(31a, 32a)의 일단부에 고정된 제1 너트블록(35a)과, 제2 바(31b, 32b)의 일단부에 고정된 제2 너트블록(35b)을 포함하며, 스크류바(33)에 형성된 나사산은, 제1 너트블록(35a)이 이동하며 제1 나선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제1 나사산(33a)과, 제2 너트블록(35b)이 이동하며 제1 나선방향과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제2 나선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제2 나사산(33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바(33)에 제1 나사산(33a)과 제2 나사산(33b)이 형성됨으로써, 제1 너트블록(35a)에 연결된 제1 바(31a, 32a)와, 제2 너트블록(35b)에 연결된 제2 바(31b, 32b)가 각각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히며 드론(D)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상태에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31a, 32a)와 제2 바(31b, 32b)가 각각 안착플레이트(20)의 일 측 가장자리와 타 측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이격 배치되고, 안착플레이트(20)에 드론(D)이 안착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31a, 32a)와 제2 바(31b, 32b)가 각각 스크류바(33)에 나사 결합하는 제1 너트블록(35a)과 제2 너트블록(35b)에 의해 안착플레이트(20)의 중앙을 향해 이동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히며 드론(D)을 정렬할 수 있다. 스크류바(33)는 쌍을 이루어 제1 바(31a, 32a)와 제2 바(31b, 32b)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제1 바(31a, 32a)는 양단부에 각각 제1 너트블록(35a)이 고정되고 제2 바(31b, 32b)는 양단부에 각각 제2 너트블록(35b)이 고정되어 제1 바(31a, 32a)와 제2 바(31b, 32b)의 양단부가 각각 구동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스크류바(33)는 벨트풀리 등으로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크류바(33)가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구동됨에 따라, 제1 바(31a, 32a)와 제2 바(31b, 32b)의 양단부의 움직임이 동기화되어 보다 정밀하게 드론(D)을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안착플레이트(20)는 승강유닛(4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승강유닛(40)은 안착플레이트(20)를 승강시켜 드론(D)을 수용공간(10a) 내부에 수용하거나 본체(10) 밖으로 노출시키는 것으로, 본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유닛(40)은 안착플레이트(20)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41)와, 제1 연결블록(42)과, 제2 연결블록(43), 및 제1 구동부(44)를 포함하여 안착플레이트(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링크부(41)는 막대 또는 바 형상의 제1 링크(41a)와 제2 링크(41b)로 이루어지며, 제1 링크(41a)와 제2 링크(41b)는 서로 교차하며 교차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링크(41a)와 제2 링크(41b)는 일단부가 각각 제1 연결블록(42)과 제2 연결블록(4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각각 안착플레이트(20)와 본체(10)에 힌지 결합된다. 제1 연결블록(42)은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1 링크(41a)와 본체(10)를 서로 연결하며, 제1 링크(41a)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제1 홈(42a)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블록(43)은 안착플레이트(20)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2 링크(41b)와 안착플레이트(20)를 서로 연결하며, 제2 링크(41b)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제2 홈(43a)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링크(41a)와 제2 링크(41b)는 타단부가 각각 안착플레이트(20)와 본체(10)에 힌지 결합되고, 교차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1 링크(41a)와 제2 링크(41b)의 일단부가 각각 제1 홈(42a)과 제2 홈(43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수직 방향 간격이 조절되어 안착플레이트(20)가 승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41a)와 제2 링크(41b)의 일단부가 각각 교차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홈(42a)과 제2 홈(43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 제1 링크(41a)와 제2 링크(41b)의 수직 방향 간격이 감소하여 안착플레이트(20)가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링크(41a)와 제2 링크(41b)의 일단부가 각각 교차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홈(42a)과 제2 홈(43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 제1 링크(41a)와 제2 링크(41b)의 수직 방향 간격이 증가하여 안착플레이트(20)가 상승할 수 있다. 제1 링크(41a)는 제1 구동부(44)에 의해 구동되며, 제1 구동부(44)는 제1 모터부(44a)와, 제1 스크류봉(44b), 및 연결바(4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부(44a)는 본체(1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며, 일 측에 제1 스크류봉(44b)이 연결된다. 제1 스크류봉(44b)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의 부재로, 제1 연결블록(42)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1 모터부(44a)에 연결되어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한다. 연결바(44c)는 제1 스크류봉(44b)과 교차하여 배치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제1 스크류봉(44b)과 교차하는 부분에 제1 스크류봉(44b)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제1 스크류봉(44b)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결바(44c)는 일 측이 제1 홈(42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 링크(41a)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부(44a)가 제1 스크류봉(44b)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바(44c)가 제1 스크류봉(44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진 이동하고, 이로 인해, 제1 링크(41a)의 일단부가 교차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홈(42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안착플레이트(20)가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모터부(44a)가 제1 스크류봉(44b)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바(44c)가 제1 스크류봉(44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이동하고, 이로 인해, 제1 링크(41a)의 일단부가 교차점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홈(42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안착플레이트(20)가 상승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41)가 쌍을 이루어 이격 배치되는 경우, 연결바(44c)는 한 쌍의 제1 링크(41a) 사이를 연결하며 제1 모터부(44a)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강유닛(40)이 링크 구조로 형성되어 안착플레이트(2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승강유닛(4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유닛(40)은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실린더 구조로 형성되어 안착플레이트(20)를 승강시킬 수도 있고, 기어 구조로 형성되어 안착플레이트(20)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는 상부에 덮개부(50)가 배치된다. 덮개부(50)는 판 상의 부재로, 본체(10) 상부를 덮거나 열어 수용공간(10a)을 개폐할 수 있다. 덮개부(50)가 본체(10) 상부를 덮거나 열어 수용공간(10a)을 개폐함으로써, 드론(D)의 보관 및 충전 시 눈, 비,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드론(D)을 보호할 수 있다. 덮개부(50)는 본체(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구동부(5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2 구동부(51)는 제2 모터부(51a)와, 제2 스크류봉(51b)과, 너트부(51c)와, 한 쌍의 풀리(51d), 및 벨트부(51e)를 포함하여 덮개부(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모터부(51a)는 본체(1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며, 일 측에 후술할 풀리(51d)가 설치된다. 즉, 제2 모터부(51a)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풀리(51d)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스크류봉(51b)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의 부재로, 덮개부(50) 하부에 덮개부(5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으로 결합된다. 너트부(51c)는 덮개부(50)와 접하는 본체(10)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스크류봉(51b)이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즉, 제2 스크류봉(51b)이 너트부(51c)에 나사 결합함에 따라 덮개부(5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며 수용공간(10a)을 개폐한다. 너트부(51c)에는 제2 모터부(51a)와 같이 풀리(51d)가 설치되며, 제2 모터부(51a)와 너트부(51c)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풀리(51d)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 배치되되 벨트부(51e)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터부(51a)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일 측에 연결된 풀리(51d)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벨트부(51e)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너트부(51c)에 연결된 풀리(51d)와, 너트부(51c)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로 인해, 제2 스크류봉(51b)이 후진 이동하면서 덮개부(50)가 수용공간(10a)을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모터부(51a)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일 측에 연결된 풀리(51d)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벨트부(51e)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너트부(51c)에 연결된 풀리(51d)와, 너트부(51c)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로 인해, 제2 스크류봉(51b)이 전진 이동하면서 덮개부(50)가 수용공간(10a)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제1 고정모듈(13)과 제2 고정모듈(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고정모듈(13)과 제2 고정모듈(14)은 본체(10)를 차량(C)의 지붕에 고정 설치하며, 본체(10)는 하면이 차량(C)의 지붕에서 차량(C)의 후면 유리창(도시되지 않음)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고정모듈(13)은 본체(10)의 하면 중 상부에 형성되어 차량(C)의 지붕, 즉, 차체(車體, car body)와 중첩 배치되고, 제2 고정모듈(14)은 제1 고정모듈(13)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차량(C)의 후면 유리창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본체(10)의 하면 중 제1 고정모듈(13)과 제2 고정모듈(14)이 결합되는 부분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본체(10)는 하면이 전체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고정모듈(13)은 본체(10)의 일 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가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본체(10)를 차량(C)의 지붕에 자력(磁力)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모듈(13)은 통상의 마그네틱 베이스로 형성되어 자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고정모듈(13)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고정모듈(14)은 본체(10)의 타 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가 본체(10)의 하부에 제1 고정모듈(13)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본체(10)를 차량(C)의 후면 유리창에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 고정모듈(14)은 본체(10)와 접하는 일단부가 본체(10)에 나사 결합하여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고정모듈(14)이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차량(C)의 지붕 외형에 관계없이 본체(10)를 차량(C)의 지붕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붕의 높이가 높은 차량(C), 다시 말해, 제1 고정모듈(13)이 결합되는 지붕의 최상단과, 제2 고정모듈(14)이 결합되는 후면 유리창 사이의 수직 방향 간격이 큰 경우, 제2 고정모듈(14)이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지붕의 높이가 낮은 차량(C), 다시 말해, 제1 고정모듈(13)이 결합되는 지붕의 최상단과, 제2 고정모듈(14)이 결합되는 후면 유리창 사이의 수직 방향 간격이 작은 경우, 제2 고정모듈(14)이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모듈(14)은 끝단에 흡착판(14a)이 힌지 결합되므로, 후면 유리창의 경사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1)의 정렬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의 정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1)은 위치정렬유닛(30)과 자석고정부(12)가 구비되어 드론(D)을 일정 위치에 정렬 및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C)이 주행하더라도 드론(D)의 보관 및 충전이 용이하다.
도 9는 드론이 높게 비행 중일 때 안착플레이트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드론이 낮게 비행 중일 때 안착플레이트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위치정렬유닛이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된 드론을 정렬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위치정렬유닛에 의해 드론이 정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 중인 드론(D)은 안착플레이트(20) 상에 표식된 드론고정위치를 인식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플레이트(20)에 근접하며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드론고정위치에 형성된 충전부(11)는 안착플레이트(2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며, 제1 정렬바(31)의 제1 바(31a)와 제2 바(31b)는 각각 안착플레이트(20)의 너비 방향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제2 정렬바(32)의 제1 바(32a)와 제2 바(32b)는 각각 안착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드론(D)이 안착플레이트(20) 상에 안착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렬유닛(30)이 드론(D)을 정렬시킨다. 제1 정렬바(31)의 제1 바(31a)와 제2 바(31b)는 드론(D)을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히며 드론(D)을 정렬한다. 동시에 또는 시간 차를 두고 제2 정렬바(32)의 제1 바(32a)와 제2 바(32b)는 드론(D)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히며 드론(D)을 정렬한다. 제1 바(31a, 32a)와 제2 바(32a, 32b)에는 각각 스크류바(33)와 나사 결합하는 제1 너트블록(35a)과 제2 너트블록(35b)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34)가 스크류바(33)를 회전 구동하면, 제1 너트블록(35a)과 제2 너트블록(35b)이 각각 스크류바(3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 바(31a, 32a)와 제2 바(31b, 32b)가 각각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드론(D)을 정렬할 수 있다.
드론(D)이 정렬되면, 충전부(11)에 구비된 센서에 드론(D)이 감지되어 충전부(11)가 안착플레이트(20) 외측으로 돌출된다. 충전부(11)가 돌출되어 드론(D)의 충전포트와 일치되면, 자석고정부(12)가 드론(D)을 드론고정위치에 자력으로 고정하고, 충전부(11)와 드론(D)이 접속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 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렬바(31)의 제1 바(31a)와 제2 바(31b)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간격을 넓히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동시에 또는 시간 차를 두고, 제2 정렬바(32)의 제1 바(32a)와 제2 바(32b)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의 간격을 넓히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드론(D)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부(11)는 다시 안착플레이트(20)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드론 정렬 기능이 있는 드론 스테이션
10: 본체 10a: 수용공간
11: 충전부 12: 자석고정부
13: 제1 고정모듈 14: 제2 고정모듈
14a: 흡착판 20: 안착플레이트
30: 위치정렬유닛 31: 제1 정렬바
31a: 제1 바 31b: 제2 바
32: 제2 정렬바 32a: 제1 바
32b: 제2 바 33: 스크류바
33a: 제1 나사산 33b: 제2 나사산
34: 구동모터 35: 너트블록
35a: 제1 너트블록 35b: 제2 너트블록
40: 승강유닛 41: 링크부
41a: 제1 링크 41b: 제2 링크
42: 제1 연결블록 42a: 제1 홈
43: 제2 연결블록 43a: 제2 홈
44: 제1 구동부 44a: 제1 모터부
44b: 제1 스크류봉 44c: 연결바
50: 덮개부 51: 제2 구동부
51a: 제2 모터부 51b: 제2 스크류봉
51c: 너트부 51d: 풀리
51e: 벨트부
C: 차량 D: 드론
10: 본체 10a: 수용공간
11: 충전부 12: 자석고정부
13: 제1 고정모듈 14: 제2 고정모듈
14a: 흡착판 20: 안착플레이트
30: 위치정렬유닛 31: 제1 정렬바
31a: 제1 바 31b: 제2 바
32: 제2 정렬바 32a: 제1 바
32b: 제2 바 33: 스크류바
33a: 제1 나사산 33b: 제2 나사산
34: 구동모터 35: 너트블록
35a: 제1 너트블록 35b: 제2 너트블록
40: 승강유닛 41: 링크부
41a: 제1 링크 41b: 제2 링크
42: 제1 연결블록 42a: 제1 홈
43: 제2 연결블록 43a: 제2 홈
44: 제1 구동부 44a: 제1 모터부
44b: 제1 스크류봉 44c: 연결바
50: 덮개부 51: 제2 구동부
51a: 제2 모터부 51b: 제2 스크류봉
51c: 너트부 51d: 풀리
51e: 벨트부
C: 차량 D: 드론
Claims (13)
-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면에 드론이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드론을 밀어 정렬하는 제1 정렬바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드론을 밀어 정렬하는 제2 정렬바를 포함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드론을 정렬시키는 위치정렬유닛을 포함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바와 상기 제2 정렬바 중 적어도 하나는 쌍을 이루며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드론을 사이에 두고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며 상기 드론을 정렬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렬유닛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바,
상기 스크류바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제1 정렬바 또는 상기 제2 정렬바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바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블록을 포함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바 또는 상기 제2 정렬바는, 쌍을 이루어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바와 제2 바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블록은, 상기 제1 바에 고정된 제1 너트블록과, 상기 제2 바에 고정된 제2 너트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바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은, 상기 제1 너트블록이 이동하며 제1 나선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너트블록이 이동하며 상기 제1 나선방향과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제2 나선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 제2 나사산을 포함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바는 쌍을 이루어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바와 상기 제2 바의 양단부를 각각 구동하되,
한 쌍의 상기 스크류바는 서로 연동되어 동시에 구동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바와 상기 제2 정렬바 중 적어도 하나는 쌍을 이루어 상기 드론을 파지하여 드론고정위치로 이동시키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에 상기 드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상기 드론을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하거나 상기 본체 밖으로 노출시키는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서로 교차하며 교차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링크와 제2 링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링크부,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본체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 링크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제1 홈이 형성된 제1 연결블록,
상기 제2 링크와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2 링크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제2 홈이 형성된 제2 연결블록, 및
제1 모터부와, 상기 제1 모터부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스크류봉, 및 상기 제1 스크류봉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크류봉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일 측이 상기 제1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 링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바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타단부가 각각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드론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 상부를 덮거나 열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모터부와, 상기 덮개부 하부에 상기 덮개부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스크류봉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크류봉이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와, 상기 제2 모터부와 상기 너트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풀리, 및 상기 한 쌍의 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덮개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정렬바와 상기 제2 정렬바가 이동하여 상기 드론을 정렬시켜 고정하는 드론고정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드론고정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드론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정렬바와 상기 제2 정렬바가 이동하여 상기 드론을 정렬시켜 고정하는 드론고정위치가 설정되고,
상기 드론고정위치에 상기 드론을 자력으로 고정하는 자석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차량의 지붕에 자력으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모듈과,
상기 본체 하부에 상기 제1 고정모듈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를 상기 차량에 흡착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5552A KR102339589B1 (ko) | 2020-03-24 | 2020-03-24 |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5552A KR102339589B1 (ko) | 2020-03-24 | 2020-03-24 |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9606A true KR20210119606A (ko) | 2021-10-06 |
KR102339589B1 KR102339589B1 (ko) | 2021-12-20 |
Family
ID=7807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5552A KR102339589B1 (ko) | 2020-03-24 | 2020-03-24 |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958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01962A (zh) * | 2022-04-14 | 2022-07-29 | 广州精天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车载组合式无人机移动机巢 |
CN116001672A (zh) * | 2023-03-28 | 2023-04-25 | 江苏东方创意文化产业有限公司 | 一种喷洒灌溉无人机 |
KR102680297B1 (ko) * | 2023-09-21 | 2024-07-01 | 주식회사 조이 | 차량용 드론 이착륙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6363B1 (ko) | 2022-12-20 | 2023-06-22 | 주식회사 대류 |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
KR102670298B1 (ko) * | 2023-07-21 | 2024-05-31 | 주식회사 상현모터스 | 드론 스테이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11405U (ja) * | 2005-01-31 | 2005-07-28 | 株式会社金子製作所 | 霜付着防止具 |
KR20150136224A (ko) * | 2014-05-26 | 2015-12-07 | 퍼스텍주식회사 | 무인비행기 착륙 위치 정렬 장치, 정렬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지상시스템 |
JP2017527479A (ja) * | 2014-08-08 | 2017-09-21 |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 エネルギー提供ステーション |
KR20190141958A (ko) * | 2018-06-15 | 2019-12-26 |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
KR102075776B1 (ko) | 2018-09-11 | 2020-02-10 | 허원기 | 순찰차 탑재형 방범 드론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11405B2 (ja) * | 1996-05-09 | 2000-11-20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電池の残容量推定方法 |
-
2020
- 2020-03-24 KR KR1020200035552A patent/KR1023395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11405U (ja) * | 2005-01-31 | 2005-07-28 | 株式会社金子製作所 | 霜付着防止具 |
KR20150136224A (ko) * | 2014-05-26 | 2015-12-07 | 퍼스텍주식회사 | 무인비행기 착륙 위치 정렬 장치, 정렬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지상시스템 |
JP2017527479A (ja) * | 2014-08-08 | 2017-09-21 |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 エネルギー提供ステーション |
KR20190141958A (ko) * | 2018-06-15 | 2019-12-26 | 크린팩토메이션 주식회사 | 드론용 무선충전 스테이션 |
KR102075776B1 (ko) | 2018-09-11 | 2020-02-10 | 허원기 | 순찰차 탑재형 방범 드론시스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01962A (zh) * | 2022-04-14 | 2022-07-29 | 广州精天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车载组合式无人机移动机巢 |
CN114801962B (zh) * | 2022-04-14 | 2024-01-23 | 广州精天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车载组合式无人机移动机巢 |
CN116001672A (zh) * | 2023-03-28 | 2023-04-25 | 江苏东方创意文化产业有限公司 | 一种喷洒灌溉无人机 |
KR102680297B1 (ko) * | 2023-09-21 | 2024-07-01 | 주식회사 조이 | 차량용 드론 이착륙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9589B1 (ko) | 2021-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9589B1 (ko) |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 |
KR102309610B1 (ko) | 차량 고정식 드론 스테이션 | |
EP0693996B1 (en) | Adjustment apparatus for a sunroof | |
CN107010402B (zh) | 夹持翻转组装工装及夹持翻转组装方法 | |
JP2021535051A (ja) | セルフサービスパーセルキャビネット | |
US20110119842A1 (en) | Boarding bridge with minute approaching device and shock absorbing par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CN110667869B (zh) | 一种停机场 | |
KR102040948B1 (ko) | 감시 로봇의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102300172B1 (ko) | 무인 비행기용 착륙 제어장치 | |
CN1970326A (zh) | 用于滑顶的提升机构和包括这种提升机构的车顶 | |
KR20110122469A (ko) | 무인 항공기용 영상 감지기 승강 장치 | |
CN212195963U (zh) | 无人机机场 | |
DE102017115909A1 (de)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einer Fahrzeugkontakteinheit, Fahrzeugverbindungsvorrichtung zur elektrischen Verbindung einer Fahrzeugkontakteinheit und Fahrzeug mit einer Fahrzeugverbindungsvorrichtung | |
US5333987A (en) | Automated high-raised parking system | |
CN106167241A (zh) | 救援升降机系统 | |
CN105082948A (zh) | 用于车辆的遮阳板组件及车辆 | |
TW201841815A (zh) | 高架搬運車系統及教學單元 | |
CN110864072B (zh) | 一种具有减震和除尘功能的车载导航机器人 | |
CN106457985A (zh) | 包括用于车辆车顶的盖的结构 | |
CN102126420A (zh) | 具有一种导风元件的敞篷车 | |
CN103158513B (zh) | 车辆的天窗结构 | |
KR101864034B1 (ko) | 선루프 조립체 | |
CN212473952U (zh) | 无人机降落设备及具有无人机降落设备的巡检车辆 | |
KR102621543B1 (ko) | 양방향 오픈 선루프 구조 | |
EP1760235B1 (en) | Device for actuating the rear side windows of a convertible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