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363B1 -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363B1
KR102546363B1 KR1020220178868A KR20220178868A KR102546363B1 KR 102546363 B1 KR102546363 B1 KR 102546363B1 KR 1020220178868 A KR1020220178868 A KR 1020220178868A KR 20220178868 A KR20220178868 A KR 20220178868A KR 102546363 B1 KR102546363 B1 KR 102546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one
bracket
fram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창
정호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류
강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류, 강태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류
Priority to KR102022017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B64C2201/066
    • B64C2201/2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드론정렬유닛(100)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1000)이 개시된다. 개시된 드론정렬유닛(100)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100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드론이 착륙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단자가 내장된 상부면(11)이 구비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11)에 착륙한 드론이 충전단자와 접촉하여 충전이 이뤄지도록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드론정렬유닛(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Drone station equipped with drone alignment unit}
본 발명은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에 착륙한 드론의 둘레에 두 개의 와이어를 올가미 형태로 걸어서 충전위치로 이동시키는 한편, 와이어를 이송시키는 풀리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를 단축시키며, 와이어가 풀리에 접촉하는 접촉각도를 제한하여 와이어가 풀리에 불균일한 권취반경으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한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이라 함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원격으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무인항공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드론은 일반 항공기와 달리 조종사를 위한 탑승공간과 안전장치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곳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정찰 또는 촬영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통상적으로 배터리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으므로, 필연적으로 드론스테이션을 통해 주기적으로 충전하여야 한다.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에는 소정 위치에 충전단자가 내장되어 있으며, 드론이 충전단자에 접촉되도록 착륙함으로써 충전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드론이 드론스테이션 상의 특정 위치에 정확히 착륙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아(bar)로 드론을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드론 정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바아로 드론을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드론이 착륙한 위치에 따라 그에 맞게 바아로 여러 번 밀어서 이동시켜야 한다. 이로 인해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드론의 착륙 위치에 맞도록 바아를 제어해야 하므로 제어 알고리즘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드론을 드론스테이션의 충전위치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드론 정렬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23395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에 착륙한 드론의 둘레에 두 개의 와이어를 올가미 형태로 걸어서 충전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송시키는 풀리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를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가 풀리에 접촉하는 접촉각도를 제한하여 와이어가 풀리에 불균일한 권취반경으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드론이 착륙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단자가 내장된 상부면이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착륙한 드론이 충전단자와 접촉하여 충전이 이뤄지도록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드론정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론정렬유닛은 와이어를 드론의 둘레에 감은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를 당겨서 상기 드론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론정렬유닛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며, 복수 개의 제1 풀리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브라켓;
일단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제1 브라켓에 고정되며, 타단은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액츄에이터;
상기 제1 액츄에이터의 타단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복수 개의 제2 풀리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대향하도록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며, 복수 개의 제3 풀리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3 브라켓;
일단은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제3 브라켓에 고정되며, 타단은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액츄에이터;
상기 제2 액츄에이터의 타단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복수 개의 제4 풀리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4 브라켓;
일단은 상기 제1 브라켓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를 경유하여 중간부위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배치된 후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브라켓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
일단은 상기 제3 브라켓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3 풀리와 제4 풀리를 경유하여 중간부위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 와이어와 교차되도록 배치된 후 상기 제3 풀리와 제4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3 브라켓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정렬유닛은 제2 브라켓과 제4 브라켓을 이동시켜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프레임의 상부면에 배치된 드론을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의 교차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풀리 내지 제4 풀리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액츄에이터와 제2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stroke)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의 외주면에 접촉되되 상기 제1 와이어의 접촉각도가 360도 보다 작게 유지되며,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3 풀리와 제4 풀리의 외주면에 접촉되되 상기 제2 와이어의 접촉각도가 360도 보다 작게 유지되어,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풀리에 불균일한 권취반경으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5 풀리와 상기 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6 풀리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5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브라켓과 제3 브라켓을 연결하는 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되, 일단은 프레임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1 와이어 또는 제2 와이어가 지나가는 관통공이 형성된 복원로드;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복원로드의 타측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액츄에이터 또는 제2 액츄에이터가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이동할 경우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복원로드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프레임의 상부면에서 와이어가 펼쳐저 와이어가 둘러싸는 영역이 확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제1 와이어 또는 제2 와이어와 상기 복원로드의 내측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제1 와이어 또는 제2 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스테이션은 드론스테이션에 착륙한 드론을 신속하게 충전위치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를 이송시키는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리에 와이어가 불균일하게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드론스테이션에 드론이 착륙하여 충전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측면커버가 제거된 드론스테이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드론정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드론정렬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제2 브라켓이 제1 브라켓과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제2 브라켓이 하부로 이동하여 제1 브라켓과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제2 브라켓이 제1 브라켓과 접촉한 상태에서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브라켓이 하부로 이동하여 제1 브라켓과 이격된 상태에서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드론스테이션(1000)에 드론이 착륙하여 충전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측면커버가 제거된 드론스테이션(10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스테이션(1000)은 프레임(10)과, 드론정렬유닛(100)이 구비된다.
프레임(1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드론이 착륙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상부면(11)에는 충전단자가 내장된다.
드론정렬유닛(100)은 프레임의 상부면(11)에 착륙한 드론이 충전단자와 접촉하여 충전이 이뤄지도록 드론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도 3은 드론정렬유닛(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드론정렬유닛(100)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드론정렬유닛(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정렬유닛(100)은 드론을 충전위치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와이어 방식을 채택하였다.
드론정렬유닛(100)은 두 개의 와이어를 드론의 둘레에 올가미 형태로 감은 상태에서 와이어를 당겨 드론을 충전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올가미 형태의 와이어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드론이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11)에서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충전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드론을 바아로 밀어서 충전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제어 알고리즘 또한 복잡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였다.
도 5는 제2 브라켓(22)이 제1 브라켓(21)과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제2 브라켓(22)이 하부로 이동하여 제1 브라켓(21)과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제2 브라켓(22)이 제1 브라켓(21)과 접촉한 상태에서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11)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 브라켓(22)이 하부로 이동하여 제1 브라켓(21)과 이격된 상태에서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1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드론정렬유닛(100)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드론정렬유닛(100)은 제1 브라켓(21), 제1 액츄에이터(41), 제2 브라켓(22), 제3 브라켓(23), 제2 액츄에이터(42), 제4 브라켓(24), 제1 와이어(51), 제2 와이어(52)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21)은 프레임(10)의 측면에 고정되며, 복수 개의 제1 풀리(31)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액츄에이터(41)는 일단은 프레임(10) 또는 제1 브라켓(21)에 고정되며, 타단은 내장된 구동모터에 의해 직선이동한다.
제1 액츄에이터(41)로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브라켓(22)은 제1 액츄에이터(41)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1 액츄에이터(41)와 함께 이동하며, 복수 개의 제2 풀리(32)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3 브라켓(23)은 제1 브라켓(21)과 대향하도록 프레임(10)의 측면에 고정되며, 복수 개의 제3 풀리(33)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액츄에이터(42)는 일단은 프레임(10) 또는 제3 브라켓(23)에 고정되며, 타단은 내장된 구동모터에 의해 직선이동한다.
제4 브라켓(24)은 제2 액츄에이터(42)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2 액츄에이터(42)와 함께 이동하며, 복수 개의 제4 풀리(34)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와이어(51)는 일단은 제1 브라켓(21)의 일측에 고정되며, 복수 개의 제1 풀리(31)와 제2 풀리(32)를 경유하여 중간부위가 프레임의 상부면(11)에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제1 풀리(31)와 제2 풀리(32)를 경유하여 제1 와이어(51)의 타단이 제1 브라켓(21)의 타측에 고정된다.
제2 와이어(52)는 일단은 제3 브라켓(23)의 일측에 고정되며, 제3 풀리(33)와 제4 풀리(34)를 경유하여 중간부위가 프레임의 상부면(11)에서 상기 제1 와이어(51)와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3 풀리(33)와 제4 풀리(34)를 경유하여 제2 와이어(52)의 타단이 제3 브라켓(23)의 타측에 고정된다.
즉,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는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11)에서 올가미 형태로 교차되어 있다.
드론정렬유닛(100)은 제1 액츄에이터(41)와 제2 액츄에이터(42)에 의해 제2 브라켓(22)과 제4 브라켓(24)을 이동시킨다.
제1 액츄에이터(41)와 제2 액츄에이터(42)가 제2 브라켓(22)과 제4 브라켓(24)을 동일한 거리를 이동시키면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가 동일한 길이만큼 당겨진다.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가 계속 당겨지면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의 교차영역(53)은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11) 중앙으로 좁혀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드론이 프레임의 상부면(11)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에 의해 충전단자가 내장된 드론스테이션 상부면(11)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정렬유닛(100)은 와이어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와이어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드론을 충전위치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론정렬유닛(100)에는 두 개의 제5 브라켓(25), 복원로드(60), 스프링(70)이 더 구비된다.
제5 브라켓(25)은 프레임(10)의 일측에 고정되어 프레임의 상부면(11)으로 노출되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5 풀리(35)와, 프레임(10)의 수평방향으로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6 풀리(36)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복원로드(60)는 제1 브라켓(21)과 제3 브라켓(23)을 연결하는 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프레임의 상부면(11)에 결합된다.
복원로드(60)의 일단은 프레임(10)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제1 와이어(51) 또는 제2 와이어(52)가 지나가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의 내측면에는 롤러(80)가 결합된다.
롤러(80)는 제1 와이어(51) 또는 제2 와이어(52)와 복원로드(60)의 내측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제1 와이어(51) 또는 제2 와이어(52)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스프링(70)은 일단은 프레임의 상부면(11)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복원로드(60)의 타측에 고정된다.
제1 액츄에이터(41) 또는 제2 액츄에이터(42)가 프레임(10)의 상부로 이동할 경우 스프링(70)은 복원로드(60)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프레임의 상부면(11)에서 와이어가 펼쳐져 두 개의 와이어가 둘러싸는 교차영역(53)이 확장되도록 한다.
도 5는 제2 브라켓(22)이 제1 브라켓(21)과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상태에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 브라켓(22)이 하부로 이동하여 제1 브라켓(21)과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도시된 평면도이다.
드론을 정렬시키기 위한 두 개의 와이어의 교차영역(53)을 넓게 형성해 주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충분한 길이로 당겨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가 길어져야 하며, 이는 결국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넓은 교차영역(53)을 형성하면서도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를 줄이기 위해 복수 개의 풀리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였다.
풀리의 개수를 증가시킬수록 그에 비례하여 와이어의 이송길이는 증가되며, 풀리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와이어의 이송길이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풀리에 와이어가 여러 번 권취되면 풀리의 축방향 폭을 따라 와이어가 불균일하게 권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풀리의 중심에서 와이어의 외주면 상의 위치에 따라 거리가 달라지게 되고, 이는 와이어의 이송거리 및 이송속도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도 8에서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의 이송거리 및 이송속도가 달라지면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의 교차영역(53)에 있는 드론이 드론스테이션 상부면(11)의 중앙위치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가 풀리를 경유하되 권취되지 않도록 하였다.
즉, 제1 와이어(51)는 제1 풀리(31)와 제2 풀리(32)의 외주면에 접촉하되 제1 와이어(51)의 접촉각도가 360도 보다 작게 유지되도록 하며, 제2 와이어(52)는 제3 풀리(33)와 제4 풀리(34)의 외주면에 접촉하되 제2 와이어(52)의 접촉각도가 360도 보다 작게 유지되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가 풀리에 불균일한 권취반경으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가 당겨지면 드론이 정확히 드론스테이션 상부면(11)의 중앙으로 이동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드론정렬유닛(100)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1000)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스테이션의 상부면(11)에 착륙한 드론 둘레에 두 개의 와이어를 올가미 형태로 걸어서 충전위치로 이동시키는 한편, 와이어를 이송시키는 풀리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를 단축시키며, 와이어가 풀리에 접촉하는 접촉각도를 제한하여 와이어가 풀리에 불균일한 권취반경으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한 드론정렬유닛(100)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1000)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 드론스테이션
100 : 드론정렬유닛
10 : 프레임
11 : 상부면
21 : 제1 브라켓
22 : 제2 브라켓
23 : 제3 브라켓
24 : 제4 브라켓
25 : 제5 브라켓
31 : 제1 풀리
32 : 제2 풀리
33 : 제3 풀리
34 : 제4 풀리
35 : 제5 풀리
36 : 제6 풀리
41 : 제1 액츄에이터
42 : 제2 액츄에이터
51 : 제1 와이어
52 : 제2 와이어
53 : 교차영역
60 : 복원로드
61 : 관통공
70 : 스프링
80 : 롤러

Claims (8)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드론이 착륙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단자가 내장된 상부면(11)이 구비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11)에 착륙한 드론이 충전단자와 접촉하여 충전이 이뤄지도록 상기 드론을 이동시키는 드론정렬유닛(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드론정렬유닛(100)은 와이어를 드론의 둘레에 감은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를 당겨서 상기 드론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드론정렬유닛(100)은,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 고정되며, 복수 개의 제1 풀리(31)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브라켓(21);
    일단은 상기 프레임(10) 또는 상기 제1 브라켓(21)에 고정되며, 타단은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액츄에이터(41);
    상기 제1 액츄에이터(41)의 타단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복수 개의 제2 풀리(32)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브라켓(22);
    상기 제1 브라켓(21)과 대향하도록 프레임(10)의 측면에 고정되며, 복수 개의 제3 풀리(33)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3 브라켓(23);
    일단은 상기 프레임(10) 또는 상기 제3 브라켓(23)에 고정되며, 타단은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액츄에이터(42);
    상기 제2 액츄에이터(42)의 타단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며, 복수 개의 제4 풀리(34)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4 브라켓(24);
    일단은 상기 제1 브라켓(21)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풀리(31)와 제2 풀리(32)를 경유하여 중간부위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11)에 배치된 후 상기 제1 풀리(31)와 제2 풀리(32)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브라켓(21)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51);
    일단은 상기 제3 브라켓(23)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3 풀리(33)와 제4 풀리(34)를 경유하여 중간부위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11)에서 상기 제1 와이어(51)와 교차되도록 배치된 후 상기 제3 풀리(33)와 제4 풀리(34)를 경유하여 상기 제3 브라켓(23)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52);를 포함하며,
    상기 드론정렬유닛(100)은 제2 브라켓(22)과 제4 브라켓(24)을 이동시켜 상기 제1 와이어(51)와 상기 제2 와이어(52)를 당김으로써 프레임의 상부면(11)에 배치된 드론을 상기 제1 와이어(51)와 상기 제2 와이어(52)의 교차영역(53)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31) 내지 제4 풀리(34)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액츄에이터(41)와 제2 액츄에이터(42)의 스트로크(stroke)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51)는 상기 제1 풀리(31)와 제2 풀리(32)의 외주면에 접촉되되 상기 제1 와이어(51)의 접촉각도가 360도 보다 작게 유지되며,
    상기 제2 와이어(52)는 상기 제3 풀리(33)와 제4 풀리(34)의 외주면에 접촉되되 상기 제2 와이어(52)의 접촉각도가 360도 보다 작게 유지되어,
    상기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가 풀리에 불균일한 권취반경으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11)으로 노출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5 풀리(35)와 상기 프레임(10)의 수평방향으로 제1 와이어(51)와 제2 와이어(52)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6 풀리(36)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5 브라켓(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21)과 제3 브라켓(23)을 연결하는 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11)에 결합되되, 일단은 프레임(10)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1 와이어(51) 또는 제2 와이어(52)가 지나가는 관통공이 형성된 복원로드(60);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11)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복원로드(60)의 타측에 고정되는 스프링(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액츄에이터(41) 또는 제2 액츄에이터(42)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로 이동할 경우 상기 스프링(70)은 상기 복원로드(60)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프레임의 상부면(11)에서 와이어가 펼쳐져 와이어가 둘러싸는 영역이 확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롤러(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80)는 제1 와이어(51) 또는 제2 와이어(52)와 상기 복원로드(60)의 내측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제1 와이어(51) 또는 제2 와이어(5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KR1020220178868A 2022-12-20 2022-12-20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KR102546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868A KR102546363B1 (ko) 2022-12-20 2022-12-20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868A KR102546363B1 (ko) 2022-12-20 2022-12-20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363B1 true KR102546363B1 (ko) 2023-06-22

Family

ID=8698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868A KR102546363B1 (ko) 2022-12-20 2022-12-20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3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923A (ko) * 2020-06-02 2021-12-1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이·착륙 및 무선자동충전 기능을 포함한 드론 스테이션 장치
KR102339589B1 (ko) 2020-03-24 2021-12-20 주식회사 상상제작소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589B1 (ko) 2020-03-24 2021-12-20 주식회사 상상제작소 드론 정렬 기능을 갖는 드론 스테이션
KR20210149923A (ko) * 2020-06-02 2021-12-1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이·착륙 및 무선자동충전 기능을 포함한 드론 스테이션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영규 외. 회전익 드론의 드론스테이션 충전베드 구조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6, pp. 41-50(2022.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362B1 (ko) 자율비행로봇을 위한 윈치 장치
EP3556939A1 (en)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CN106029502B (zh) 云台及使用该云台的无人飞行器
EP3408178A1 (en) Centering and landing platform for hovering flying vehicles
KR101586188B1 (ko) 무인비행기 착륙 위치 정렬 장치, 정렬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지상시스템
EP1736407B1 (en) Controllable refueling drogu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459094B2 (en) Cable-driven four-bar link leg mechanism
US102595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and launch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80207793A1 (en) Crawling device and the method of deployment
EP16541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an object subject to a directional force
US20180326577A1 (en) Modular rod-centered, distributed actuation and control architecture for spherical tensegrity robots
US20030137268A1 (en) Miniature robotic vehicl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WO2018034578A1 (en) Tethered aerial drone system
US201800795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cking unmanned vehicles
US90736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ieving unmanned aerial vehicles
JP2020509454A (ja) 転動装置を組み込んだ機構を自律的に再配置する転動装置および方法
KR102546363B1 (ko) 드론정렬유닛이 구비된 드론스테이션
KR102248289B1 (ko)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US10079497B2 (en) Charge device for a drone
CN104802871A (zh) 球形结构探测机器人
KR20200142079A (ko) 항공 운송 수단 도킹을 위한 디바이스 및 시스템
EP2817224B1 (en) Aircraft passenger boarding bridge having a stepless passage
US9587411B2 (en) Telescopic mast
KR20130011310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점핑로봇
KR20180089789A (ko) 차량용 드론 케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