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629A -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 - Google Patents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629A
KR20210117629A KR1020200034074A KR20200034074A KR20210117629A KR 20210117629 A KR20210117629 A KR 20210117629A KR 1020200034074 A KR1020200034074 A KR 1020200034074A KR 20200034074 A KR20200034074 A KR 20200034074A KR 20210117629 A KR20210117629 A KR 20210117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mold
fabric
drying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460B1 (ko
Inventor
강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연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연우
Priority to KR102020003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46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06N3/0077Embossing; Pressing of the surface; Tumbling and crumbling; Cracking; Cooling; Heating, e.g. mirror finish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59Organic ingredients with special effects, e.g. oil- or water-repellent, antimicrobial, flame-resistant, magnetic, bactericidal, odour-influencing agents; perfum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D06N3/0065Organic pigments, e.g. dyes, brigh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수지 소재의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천연가죽과 동일한 문양과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피혁 제조방법은 소정 천연피 문양을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피혁금형을 제작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피혁금형에 소정 색상의 도색액을 스프레이한 후 건조시켜 천연피 문양의 피혁금형 위에 도색막을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피혁금형의 도색막 요철부 일부에 에폭시를 바른 후 건조시켜 해당 부분을 경화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경화시키는 제3 단계를 거친 피혁금형의 도색막 위에 점착젤을 도포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점착젤 위에 원단을 덮고, 프레싱하여 피혁금형 위의 도색막과 원단을 점착젤로 접착하는 제5 단계와, 원단이 접착된 피혁금형을 챔버에 넣고 소정 시간 건조 및 숙성시키는 제6 단계와, 상기 건조 및 숙성시키는 제6 단계를 거친 후 피혁금형으로부터 피혁원단을 박리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Method for manufacturing a leather having a natural skin pattern and a leather produc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가방이나 케이스와 같은 다양한 가죽제품을 만들기 위한 피혁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수지 소재의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천연가죽과 동일한 문양과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죽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피혁은 천연피혁(Natural leather)과 인조피혁(Man-made leather)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인조피혁은 직물에 PVC(염화비닐) 코팅한 의혁(Imitation leather)으로부터 직물에 폴리우레탄(PU)을 코팅한 합성피혁(Synthetic leather), 부직포에 폴리우레탄(PU) 가공을 적용한 인공피혁(Artificial leather) 순으로 발전되어 왔다.
천연피혁은 가축의 종류에 따라 성우피, 자우피, 양피, 염소피, 마피, 돈피 등으로 구분되고, 가공형태에 따라 smooth혁, 기모혁, 에나멜혁, 엠보스혁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통상 천연피혁이 인조피혁에 비해 모양이나 촉감이 우수하나 가격이 비싸고, 특히 악어피혁과 같은 특수피혁은 사실상 구하기 어려워 다양한 방식으로 악어피 문양의 인조피혁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인조피혁의 표면을 가공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에 등록번호 제10-0997120호로 공고된 '인조피혁표면가공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가공된 표면을 갖는 인조피혁'은 인조피혁을 준비하는 단계와, 인조피혁의 표면에 에칭기법으로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와, 무늬가 형성된 인조피혁을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인조피혁을 환원 세정하는 단계와, 환원 세정된 인조피혁을 수세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종래의 인조피혁 제조방법에서는 주로 금속재질의 금형을 사용하는데, 여러 문양의 금형을 사용할 경우 제조원가가 증가하고, 특히 천연피혁의 촉감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 소재의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천연가죽과 동일한 문양과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피혁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어피 문양의 폴리우레탄 금형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원하는 색상의 도색막을 형성한 후 점착젤을 도포하고 원단을 접착하여 악어피 문양과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피혁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피혁 제조방법들에 의해 제조된 피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연피 문양과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피혁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피혁 제조방법은 소정 천연피 문양을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피혁금형을 제작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피혁금형에 소정 색상의 도색액을 스프레이한 후 건조시켜 천연피 문양의 피혁금형 위에 도색막을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피혁금형의 도색막 요철부 일부에 에폭시를 바른 후 건조시켜 해당 부분을 경화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경화시키는 제3 단계를 거친 피혁금형의 도색막 위에 점착젤을 도포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점착젤 위에 원단을 덮고, 프레싱하여 피혁금형 위의 도색막과 원단을 점착젤로 접착하는 제5 단계와, 원단이 접착된 피혁금형을 챔버에 넣고 소정 시간 건조 및 숙성시키는 제6 단계와, 상기 건조 및 숙성시키는 제6 단계를 거친 후 피혁금형으로부터 피혁원단을 박리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는 찬연가죽을 선별하여 금형을 위한 견본을 확정한 후 견본 위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하여 폴리우레탄 재질의 금형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단계는 복수의 색조를 갖는 피혁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 투톤 도색액을 피혁금형 위의 일부에 스프레이 후 건조시켜 투톤 도색막을 형성하고, 피혁금형 위 전체에 베이스 도색액을 스프레이 후 건조시켜 베이스 도색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조피혁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금속 금형 대신에 폴리우레탄 소재의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천연가죽과 동일한 문양과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악어피와 같은 고가의 천연피혁 대신에 저가의 일반피혁에 악어피 문양의 인조피혁을 결합하여 천연 악어피와 문양과 촉감이 동일한 인조 악어피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혁 제조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리우레탄 금형 제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색 공정의 세부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폴리우레탄 점착 공정의 세부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색막을 형성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혁원단을 폴리우레탄 금형에서 박리하는 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피혁원단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혁 제조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혁 제조절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금형 제작단계(S1)와, 도색 공정(S2), 에폭시 작업공정(S3), 폴리우레탄 점착 작업공정(S4), 박리 및 재단 공정(S5), 검사(S6), 출고(S7) 순으로 이루어진다.
폴리우레탄 금형 제작단계(S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가죽을 구입하는 단계(S11)와, 천연가죽을 선별하여 금형을 위한 견본을 확정하는 단계(S12)와, 견본 위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한 후 건조시키는 폴리우레탄 작업단계(S13)와, 견본으로부터 건조된 폴리우레탄 시트를 박리시켜 천연가죽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음각 문양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시트를 획득하는 단계(S14)와, 음각 문양의 폴리우레탄 시트를 지지판에 부착하여 천연피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금형을 완성하는 단계(S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제작된 폴리우레탄(PU) 재질의 피혁 금형(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4) 위에 천연피의 음각 문양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시트(1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폴리우레탄 금형(10)을 이용하여 실제로 피혁을 제조하는 절차는 도 1에 도시된 도색 공정(S2) 내지 출고(S7) 공정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색 공정(S2)은 가죽 표면의 1차 도색 작업인 베이스(Base) 작업과 다채로운 색상의 이중색을 구현하기 위한 투 톤(Two tone) 작업으로 구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색 공정(S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 톤 도색인지를 판단하여 투 톤이면, 소정의 재료들을 믹서로 혼합하여 투 톤 도색액을 준비하는 단계(S21,S22)와, 준비된 폴리우레탄 금형 위에 투 톤 도색액을 분사장치로 스프레이하는 단계(S23)와, 투 톤 도색액이 분사된 폴리우레탄 금형을 소정 시간 건조실에서 건조시키는 단계(S24)와, 소정의 재료들을 믹서로 혼합하여 베이스 도색액을 준비하는 단계(S25)와, 투 톤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금형 위에 베이스 도색액을 분사장치로 1차 스프레이하는 단계(S26)와, 1차 스프레이 작업이 완료된 폴리우레탄 금형을 건조실에서 소정 시간 1차 건조시키는 단계(S27)와, 1차 건조된 폴리우레탄 금형 위에 베이스 도색액을 분사장치로 2차 스프레이하는 단계(S28)와, 2차 스프레이 작업이 완료된 폴리우레탄 금형을 건조실에서 소정 시간 2차 건조시키는 단계(S29)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투 톤 도색액은 1차 믹스분 1Kg, DMF 600g, 염료 20g을 믹서기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고, 베이스 도색액은 1차 믹스분(구체적인 내용 보충요망) 500g, 유성안료 5g을 믹서기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그리고 싱글 톤으로 제작할 경우(베이스 도색작업)에는 투 톤 작업(S21 내지 S24)을 생략하고, 바로 베이스 작업(S25 내지 S29)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도색작업(S2)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도색막(22-1)과 투톤 도색막(22-2)이 형성될 수 있고, 금형(10)의 문양에 따라 요철부분(22a)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에폭시 작업 공정(S3)은 가죽제품의 요철문양의 일부가 딱딱한 촉감을 갖도록 문양의 일부를 경화시키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색 공정(S2)을 거친 폴리우레탄 금형(10)의 요철부분(22a)에 브러쉬(30)로 경화제가 혼합된 에폭시 액을 바르고, 건조실에서 소정 시간 건조시켜 해당 부분이 딱딱하게 경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브러쉬 작업을 통해 요철부분(22a)에 형성된 기포 등이 제거될 수 있고, 에폭시 액은 에폭시 원액 100g에 경화제 50g을 믹서로 혼합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폴리우레탄 금형(10) 위에는 앞서 설명한 도색 공정(S2)을 통해 도색막(22)이 형성되어 있고, 도색막(22)의 요철부위(22a)에 경화제가 혼합된 에폭시 액을 브러쉬 등으로 바른 후 건조실에서 건조시키면 해당 부분이 딱딱하게 표면처리된다. 도색막(2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작업을 통해 형성된 베이스 도색막(22-1)과 투 톤 작업을 통해 형성된 투톤 도색막(2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폴리우레탄 점착 작업공정(S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재료들을 믹서기로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점착젤을 준비하는 단계(S41)와, 폴리우레탄 금형 위의 도색막(22) 위에 폴리우레탄 점착젤을 소정 두께로 도포하는 단계(S42)와, 폴리우레탄 점착젤 위에 저가의 일반가죽이나 직물 등의 원단(24)을 덮고 평판 프레스 장치로 프레싱하여 원단(24)과 도색막(22)을 점착젤로 접착하는 단계(S43,S44)와, 원단이 접착된 폴리우레탄 금형을 건조실에서 소정시간 건조시키는 단계(S45)로 구성된다. 여기서, 원단으로는 저가의 일반 천연피혁이나 부직포, 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저가의 일반 천연피혁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 점착젤은 5차 믹스분 200g, 유성안료 20g, 경화제 100g을 믹서기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박리 및 재단 공정(S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금형(10)과 피혁원단(20)을 분리시키고, 문양이 없는 불필요한 부분을 재단하는 단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폴리우레탄 금형(10)은 지지판(14) 위에 천연피 문양이 음각된 폴리우레탄 시트(12)가 고정되어 일체로 되어 있고, 그 위에 앞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도색막(22)이 점착젤을 통해 원단과 접착되어 천연피 문양이 형성된 피혁원단(20)으로 완성된다. 따라서 박리 및 재단공정에서는 폴리우레탄 금형(10)과 피혁원단(20)을 분리하고, 불필요한 부분을 재단하여 피혁을 완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피혁원단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피혁원단(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24) 위에 점착젤이 건조된 점착층(26)이 적층되어 있고, 점착층(26) 위에 베이스 도색막(22-1)이 적층되어 있으며, 베이스 도색막(22-1)의 일부에 투 톤 도색막(22-2)이 적층되어 2 색조의 피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완성된 피혁원단(20)은 검사공정에서 검사를 거친 후 하자가 없는 양호한 피혁원단만 출고된다(S6,S7).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악어피와 같은 고가의 천연피혁 대신에 저가의 일반피혁에 악어피 문양의 인조피혁을 결합하여 천연 악어피와 유사한 인조 악어피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폴리우레탄 금형 12: 폴리우레탄 시트
14: 지지판 20: 피혁원단
22: 도색막 22-1: 베이스 도색막
22-2: 투톤 도색막 22a: 요철부
24: 원단 26: 점착층

Claims (4)

  1. 소정 천연피 문양을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피혁금형을 제작하는 제1 단계;
    상기 피혁금형에 소정 색상의 도색액을 스프레이한 후 건조시켜 천연피 문양의 피혁금형 위에 도색막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피혁금형의 도색막 요철부 일부에 에폭시를 바른 후 건조시켜 해당 부분을 경화시키는 제3 단계;
    상기 경화시키는 제3 단계를 거친 피혁금형의 도색막 위에 점착젤을 도포하는 제4 단계;
    상기 점착젤 위에 원단을 덮고, 프레싱하여 피혁금형 위의 도색막과 원단을 점착젤로 접착하는 제5 단계;
    원단이 접착된 피혁금형을 챔버에 넣고 소정 시간 건조 및 숙성시키는 제6 단계; 및
    상기 건조 및 숙성시키는 제6 단계를 거친 후 피혁금형으로부터 피혁원단을 박리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천연가죽을 선별하여 금형을 위한 견본을 확정한 후 견본 위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하여 폴리우레탄 재질의 금형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복수의 색조를 갖는 피혁을 제조하고자 할 경우, 투 톤 도색액을 피혁금형 위 일부에 스프레이 후 건조시켜 투 톤 도색막을 형성하고, 피혁금형 전체에 베이스 도색액을 스프레이 후 건조시켜 베이스 도색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의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
KR1020200034074A 2020-03-19 2020-03-19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 KR102402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074A KR102402460B1 (ko) 2020-03-19 2020-03-19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074A KR102402460B1 (ko) 2020-03-19 2020-03-19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629A true KR20210117629A (ko) 2021-09-29
KR102402460B1 KR102402460B1 (ko) 2022-05-26

Family

ID=7792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074A KR102402460B1 (ko) 2020-03-19 2020-03-19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4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0A (ja) * 1991-09-09 1994-01-11 Toshimitsu Musha 人工革調表皮材の製造方法
JPH06328562A (ja) * 1993-05-19 1994-11-29 Tsutomu Yamana 爬虫類の模造皮の製造方法
KR100215495B1 (ko) * 1997-05-27 1999-08-16 최창호 피혁제품의 표면처리방법
WO2004014627A2 (en) * 2002-08-12 2004-02-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article with a textured surface
KR101196315B1 (ko) * 2012-08-02 2012-11-06 김태원 피혁제품 표면 처리방법 및 피혁제품
KR101319325B1 (ko) * 2006-12-29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턴의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80A (ja) * 1991-09-09 1994-01-11 Toshimitsu Musha 人工革調表皮材の製造方法
JPH06328562A (ja) * 1993-05-19 1994-11-29 Tsutomu Yamana 爬虫類の模造皮の製造方法
KR100215495B1 (ko) * 1997-05-27 1999-08-16 최창호 피혁제품의 표면처리방법
WO2004014627A2 (en) * 2002-08-12 2004-02-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article with a textured surface
KR101319325B1 (ko) * 2006-12-29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턴의 형성 방법
KR101196315B1 (ko) * 2012-08-02 2012-11-06 김태원 피혁제품 표면 처리방법 및 피혁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460B1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460B1 (ko) 천연피 문양을 갖는 피혁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혁
KR100516276B1 (ko) 3차원 입체무늬를 가지는 인공피혁의 제조 방법
JP2004329578A (ja) 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の製造法および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
KR20140045850A (ko) 표면에 입체적인 무늬가 형성된 장식 판재의 제조 방법
TW586918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oor mat assembly
JPH0263823A (ja) 印刷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665303B2 (ja) 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の製造法
JP2000301844A (ja) Frp化粧板の製造方法
JPH0813351A (ja) ヌバック調皮革様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18468A (ja) 成形品用ゲルコートシートとその製造法及び該成形品用ゲルコートシートを用いたゲルコート層付成形品の製造法
KR930010206B1 (ko) 장식용 천정판의 무늬형성방법
JP2004148808A (ja) 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の製造法および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
TR201903966A2 (tr) Bi̇r lami̇nant taşiyici üzeri̇ne dökülen baskili deri̇ görünümlü deri̇ dokusunda ve yumuşakliğinda mobi̇lya kaplama malzemesi̇
JPH069832B2 (ja) 模様付プラスチック積層体
JP3425245B2 (ja) 光輝性化粧板の製造方法
JPH0929723A (ja) 板状建材の製造方法
JPH01167000A (ja) 熱可塑性合成樹脂フイルム製エンブレム等の古び加工方法
KR100891607B1 (ko) 무늬 합판 및 그 제조방법
CN1036364A (zh) 喷花玻璃钢饰面的制作工艺
JPH05193243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JPH09241700A (ja) スプリットレザ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14698A (ja) パルプボードを利用した漆器等の製造方法
JP2698763B2 (ja) 凹凸模様を有するうるし塗り製品の製造方法
JPH0732798A (ja) 模様付方法
JPH03281342A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