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922A -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922A
KR20210112922A KR1020200028584A KR20200028584A KR20210112922A KR 20210112922 A KR20210112922 A KR 20210112922A KR 1020200028584 A KR1020200028584 A KR 1020200028584A KR 20200028584 A KR20200028584 A KR 20200028584A KR 20210112922 A KR20210112922 A KR 20210112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ember
rotating structure
inner groove
shaft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092B1 (ko
Inventor
정재연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09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2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1Tyre supporting devices, e.g. ch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며,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내부홈을 구비한 회전 구조체와, 복수개가 상기 내부홈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홈에 배치되는 마찰 부재와, 일단에 고무 시편이 장착되고, 상기 고무 시편을 회전시키는 샤프트, 및 일단이 상기 회전 구조체의 바닥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홈을 향하여 배치되는 회수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abrasion of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타이어는 여러가지 재료가 배합되어 이루어 진다. 따라서 각 고무 배합물의 배합 정도에 따라 마모의 정도가 차이가 발생하고, 타이어의 마모도는 차량의 유지 및 보수나 운전자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고무 배합물의 마모도를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단순히 돌기를 형성하여 노면을 재현하고, 고무 시편을 시험 하였으나, 이러한 점은 실제 구동환경을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높은 신뢰도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제 타이어의 주행환경을 고려하여 상관성이 높은 마모 측정 장치와 방법은 타이어의 안정성 확보 및 성능 평가를 위한 필수적인 장비 및 방법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의 구동환경을 재현하여 마모 성능의 예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타이어의 주행 환경을 일정하게 재현하여 타이어의 컷 앤 칩(cut & chip) 시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며,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내부홈을 구비한 회전 구조체와, 복수개가 상기 내부홈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홈에 배치되는 마찰 부재와, 일단에 고무 시편이 장착되고, 상기 고무 시편을 회전시키는 샤프트, 및 일단이 상기 회전 구조체의 바닥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홈을 향하여 배치되는 회수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 구조체는 상기 고무 시편과 상기 마찰 부재의 접촉 과정에서, 일부 상기 마찰 부재가 바닥으로 이탈되며, 상기 회수 슬라이드는 이탈된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내부홈으로 다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슬라이드는 유입된 상기 마찰 부재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구조체의 바닥으로 연장되되, 탄성을 가지는 입구판, 및 상기 몸체에서 상기 내부홈을 향하여 돌출되는 배출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단은 단부가 상기 내부홈의 입구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구조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 슬라이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 구조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구조체 및 상기 샤프트가 회전 중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개구, 및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회전 구조체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슬라이드는 상기 샤프트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고무 시편에 접촉하여 상기 내부홈에 이탈된 상기 마찰 부재가 유입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방법은 타이어의 구동환경을 재현하여 마모 성능의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 및 샤프트가 각각 회전할 수 있어 타이어가 차량에 탑재되어 구동되는 상황을 재현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고무 시편의 마모 성능, 마모 양상의 형태의 상관성이 실제 타이어와 높아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방법은 타이어의 마모 성능의 측정 중에, 일정한 주행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고무 시편과 마찰 부재의 접촉으로, 마찰 부재가 내부홈에서 유출되더라도, 회수 슬라이드가 유출된 마찰 부재를 내부홈으로 다시 유입시켜서, 고무 시편은 일정한 마찰 환경에서 마모 시험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버 플레이트와 회수 슬라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회수 슬라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회수 슬라이드가 마찰부재를 회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수 슬라이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Ⅵ-Ⅵ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회수 슬라이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는 회전 구조체(110), 샤프트(120), 가압부(130), 승강부(140), 선형이동부(150), 커버 플레이트(160) 및 회수 슬라이드(170)를 구비할 수 있다.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는 차량의 구동환경에서 타이어의 고무 배합물인 고무 시편(10)의 마모도 및 양상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방향은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의 높이 방향(Z 방향)으로 정의하고, 제2 방향은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의 폭 방향(X 방향)으로 정의하며, 제3 방향은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의 측면 방향(Y 방향)으로 정의한다.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지지 프레임(101, 102, 103)에 의해 골격을 가진다. 제1 지지 프레임(101)에 의해서 지면에 지지되고, 제2 지지 프레임(102)과 제3 지지 프레임(103)은 제1 지지 프레임(101)과 연결되어 회전 구조체(110), 샤프트(120), 가압부(130), 승강부(140) 및 선형이동부(150)를 지지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10)는 제1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10)는 제2 지지 프레임(102)에 지지되고, 제1 축(i)을 중심으로 회전 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10)는 몸체(111), 내부홈(112) 및 내부공간(113)을 구비할 수 있다.
몸체(111)는 대략 원형을 가지고, 샤프트(12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몸체(111)는 제1 엑츄에이터(115)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축(i)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몸체(111)의 일측에는 제1 축(i)을 따라 베어링이나 기어 등의 회전 유닛(117)이 설치되고, 제1 엑츄에이터(115)와 회전 유닛(117)의 사이에는 전달 유닛(116)이 설치되어 제1 엑츄에이터(115)의 구동력을 몸체(111)로 전달할 수 있다. 전달 유닛(116)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부품으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벨트, 체인, 기어 등일 수 있다. 또한, 제1 엑츄에이터(115)가 직접 회전 유닛(117)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내부홈(112)은 회전 구조체(110)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내부홈(112)은 몸체(1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내부에 마찰 부재(20)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찰 부재(20)는 노면을 상태를 모사하기 위한 재료로 특정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갈, 모래, 아스팔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마찰 부재(20)는 타이어의 마모를 측정하는 설정상황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내부홈(112)은 유입부(112a)와 저장부(112b)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부(112a)는 내부공간(113)에 연장되고, 고무 시편(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고무 시편(10)은 유입부(112a)에서 마찰 부재(20)와 접촉할 수 있다. 저장부(112b)는 유입부(112a)에서 연장되어 마찰 부재(20)가 저장될 수 있다. 유입부(112a)는 지면에 대해 플랫하게 연장되나 저장부(112b)는 적어도 일부가 만곡되게 형성되어 마찰 부재(20)의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내부공간(113)은 몸체(111)의 개구와 연장되어 샤프트(120)가 이동할 수 있다. 샤프트(120)는 내부공간(113)에서 제1 방향, 제2 방향 또는 제3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무 시편(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내부공간(113)은 유입부(112a)와 소정의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 구조체(110)의 바닥에서 높이 방향으로 D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마모 측정시에 고무 시편(10)이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샤프트(120)는 제1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120)의 일단에는 고무 시편(10)이 장착되며 타단은 가압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120)는 제2 엑츄에이터(125)와 연결되어 제2 축(j)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축(j)은 가압부(130), 승강부(140) 또는 선형이동부(150)에 의해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샤프트(120)는 커버 플레이트(160)의 가이드 개구(163)에 삽입되개 배치되며, 가이드 개구(16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압부(130)의 구동으로, 샤프트(120)는 내부홈(11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š, 가이드 개구(163)는 커버 플레이트(160)의 베이스 커버(16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샤프트(1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샤프트(120)는 서포터(121)와 연결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서포터(121)의 단부에는 고무 시편(10)이 장착되고, 연결부(122)는 제2 엑츄에이터(125)와 연결되어 서포터(121)에 회전력을 전달 할 수 있다.
가압부(130)는 샤프트(120)의 타단 연결되고 이동 플레이트(105)에 지지될 수 있다. 가압부(130)는 고무 시편(10)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무 시편(10)의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압부(130)가 샤프트(12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무 시편(10)과 마찰 부재(20) 사이의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압부(130)는 가압 실린더(131), 연장암(132), 이동 프레임(133) 및 가이드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 실린더(131)는 이동 플레이트(105)의 일측에 장착되며 축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연장암(132)은 가압 실린더(131)와 연결되어 가압 실린더(131)의 구동력을 이동 프레임(133)에 전달 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133)은 샤프트(120)가 지지되고 연장암(13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프레임(133)의 양측은 가이드부(134)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134)는 가이드 서포터(134a) 및 가이드 라인(134b)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라인(134b)은 이동 프레임(133)의 양측에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가이드 라인(134b)의 단부는 가이드 서포터(134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승강부(140)는 가압부(130)를 지지하며, 제1 방향으로 샤프트(120)를 승하강 할 수 있다. 승강부(140)는 승강 실린더(141)와 승강축(142)을 구비할 수 있으며, 승강축(142)의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승강부(140)는 이동 플레이트(105)와 제2 지지 프레임(102) 사이에 배치되며, 이동 플레이트(105)를 제1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 시켜, 이동 플레이트(105)에 연결된 샤프트(120)는 승강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선형이동부(150)는 샤프트(120)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선형이동부(150)는 회전 구조체(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승강부(140)를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선형이동부(150)는 가이드 레일(151)과 스토퍼(15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51)은 제2 지지 프레임(102)에 장착되고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152)는 가이드 레일(151)과 승강부(140)를 연결하며, 승강부(140)를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는 제1 엑츄에이터(115), 제2 엑츄에이터(125), 가압부(130), 승강부(140) 및 선형이동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제1 엑츄에이터(115)를 제어하여 회전 구조체(110)의 제1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제2 엑츄에이터(125)를 제어하여 샤프트(120)의 제2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가압부(130)의 가압 실린더(131)의 힘을 제어하여 고무 시편(10)의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승강부(140)의 승강 실린더(141)를 제어하여 샤프트(120)의 제1 방향으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선형이동부(150)를 제어하여 샤프트(120)의 제3 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커버 플레이트(160)와 회수 슬라이드(17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회수 슬라이드(17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4의 회수 슬라이드(170)가 마찰 부재(20)를 회수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는 커버 플레이트(160)와 회수 슬라이드(17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0)는 회전 구조체(11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0)는 회전 구조체(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무 시편(10)의 마모 측정 중에, 마찰 부재(2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0)는 회전 구조체(110) 및 샤프트(120)가 회전중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160)에 회수 슬라이드(170)가 부착되어, 회수 슬라이드(170)가 회전 구조체(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0)는 베이스 커버(161), 지지로드(162), 가이드 개구(163), 주입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커버(161)는 회전 구조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며, 회전 구조체(110)의 상부 개구의 형태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 커버(161)는 회전 구조체(110)의 제1 축(i)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커버(161)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작업자가 마모 시험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
지지로드(162)는 베이스 커버(161)의 상부에서 연장되며, 베이스 커버(16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지지로드(162)는 이동 플레이트(105)에 지지되어, 베이스 커버(16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베이스 커버(161)가 지지로드(162)에 지지되므로, 고무 시편(10)의 마모 시험 중에, 베이스 커버(161)는 회전 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63)는 샤프트(1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63)는 베이스 커버(161)에 배치되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63)는 샤프트(120)의 이동을 허용하고, 마모 측정 중에 샤프트(120)가 특정된 위치에서 마모 시험이 진행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163)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므로, 가압부(130)가 샤프트(120)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커버(161)는 마모 측정 중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이드 개구(163)도 고무 시편(10)의 마모 측정 중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가이드 개구(163)는 회전 구조체(110)의 원주 방향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에서 고무 시편(10)의 마모 측정이 수행된다.
주입부(164)는 마찰 부재(20)를 회전 구조체(110)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주입부(164)는 베이스 커버(161)에 배치되며, 개폐 가능한 도어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마찰 부재(20)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면 작업자는 주입부(164)를 열어서, 마찰 부재(20)를 회전 구조체(110)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주입된 마찰 부재(20)는 원심력에 의해서 내부홈(112)을 향하여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마찰 부재(20)는 회수 슬라이드(170)를 통해서 내부홈(112)으로 들어갈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170)는 회전 구조체(110)의 바닥의 마찰 부재(20)를 내부홈(112)으로 회수할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170)는 커버 플레이트(160)의 하면에 장착되어, 회전 구조체(110)가 회전시에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170)는 일단이 회전 구조체(110)의 바닥에 배치되고, 타단이 내부홈(112)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10)는 고무 시편(10)과 마찰 부재(20)의 접촉 과정에서, 일부 마찰 부재(20)가 바닥으로 이탈되며, 회수 슬라이드(170)는 이탈된 마찰 부재(20)를 내부홈(112)으로 다시 안내할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170)는 몸체(171), 입구판(172), 배출단(173)을 가질 수 있다.
몸체(171)는 유입된 마찰 부재(20)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몸체(171)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미끄럼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체(171)는 안내판(171a), 제1 벽(171b), 제2 벽(171c)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5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입구단과 출구단만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안내판(171a)은 입구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안내판(171a)은 바닥에 대해서 일정한 경사를 가지거나, 가변하는 경사를 가져 오목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벽(171b)은 안내판(171a)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마찰 부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벽(171b)은 내부홈(112)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마찰 부재(20)가 유입된 이후에 다시 바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제1 벽(171b)은 내부홈(1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벽(171b)의 곡률은 내부홈(112)의 곡률에 따라 연장되어, 내부홈(112)의 입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벽(171c)은 안내판(171a)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마찰 부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벽(171c)은 제1 벽(171b)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마찰 부재(20) 유입된 이후에 다시 바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벽(171b)과 제2 벽(171c) 사이의 거리는 입구판(172)에서 배출단(173)으로 변화할 수 있다. 입구단에서의 제1 벽(171b)과 제2 벽(171c) 사이의 거리는 배출단(173)에서의 제1 벽(171b)과 제2 벽(171c)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입구판(172)에서는 마찰 부재(20)가 쉽게 회수 슬라이드(170)로 유입되고, 배출단(173)에서는 내부홈(112)의 설정된 위치로 마찰 부재(20)가 회수 될 수 있따.
도면에서는 제1 벽(171b)과 제2 벽(171c)이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로 연장되는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벽(171b)이 제2 벽(171c) 보다 더 높게 연장될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170)는 회전 구조체(110)가 회전 중에 마찰 부재(20)를 내부홈(112)으로 회수하므로, 원심력에 의해서 안내판(171a)으로 유입된 마찰 부재(20)는 제1 벽(171b)으로 향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제1 벽(171b)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마찰 부재(20)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입구판(172)은 몸체(171)의 입구에 배치되고, 회전 구조체의 바닥으로 연장되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입구판(172)은 회전 구조체(110)의 바닥에서 약간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입구판(172)은 실질적으로 바닥과 접촉될 정도로 배치될 수 있다.
입구판(172)은 플렉서블하며,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입구판(172)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마찰 부재(20)의 회수 시에 입구판(172)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입구판(172)은 연결 부재(174)에 의해서 몸체(171)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부재(174)는 나사, 볼트, 리벳 등과 같이 부품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 부재(174)를 분리하여 교체가 필요한 입구판(172)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배출단(173)은 몸체(171)에서 내부홈(112)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배출단(173)은 제1 벽(171b)과 제2 벽(171c)에 의해서 형성되며, 마찰 부재(20)가 내부홈(112)로 다시 회수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배출단(173)은 양측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배출단(173)은 제1 벽(171b)에 대응하는 내측(173a)은 바닥에서 H1의 높이로 이격되고, 제2 벽(171c)에 대응하는 외측(173b)은 바닥에서 H1보다 작은 H2의 높이로 이격될 수 있다. 내측(173a)이 외측(173b)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므로, 도 7의 화살표와 같이 회수 슬라이드(170)로 유입되는 마찰 부재(20)는 배출단(173)의 내측(173a)으로 배출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그리하여, 배출단(173)은 마찰 부재(20)를 설정된 경로로 내부홈(112)에 회수 할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170)는 샤프트(1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170)가 샤프트(120)의 뒤에 배치되므로, 샤프트(120)의 단부에 장착된 고무 시편(10)과 접촉하여 내부홈(112)에서 이탈된 마찰 부재(20)가 바로 회수 슬라이드(170)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회수 슬라이드(170)는 몸체(171)의 폭이 길이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상세히, 회수 슬라이드(170)는 몸체(171)가 입구에서 높이방향으로 폭이 줄어들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170)의 입구에서는 폭이 넓게 설정되어, 쉽게 마찰 부재(20)가 유입될 수 있으며, 점점 그 폭이 줄어들어 배출단(173)으로 마찰 부재(20)를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회수 슬라이드(170)는 몸체(171)의 폭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고무 시편(10)의 마모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타이어의 마모 측정 방법은 샤프트(120)에 장착된 고무 시편(10)을 회전 구조체(110)의 내부공간에 배치하는 단계와, 회전 구조체(110)를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샤프트(120)를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시키는 단계와, 고무 시편(10)이 회전 구조체(110)의 내부홈(112)에 배치된 마찰 부재(20)와 접촉하도록 샤프트(120)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고무 시편(10)의 마모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마모 측정 중에 유출된 마찰 부재(20)를 회수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20)에 장착된 고무 시편(10)을 회전 구조체(110)의 내부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는 먼저, 샤프트(120)를 회전 구조체(110)의 외부에 위치시킨 후에 고무 시편(10)을 샤프트(120)에 장착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는 승강부(140)와 선형이동부(150)를 제어하여 고무 시편(10)이 회전 구조체(110)의 내부공간(113)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샤프트(120)는 커버 플레이트(160)의 가이드 개구(163)에 삽입되며, 가이드 개구(16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10)를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샤프트(120)를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시키는 단계는 컨트롤러가 제1 엑츄에이터(115)를 제어하여 회전 구조체(110)의 제1 회전 속도를 설정하고, 제2 엑츄에이터(125)를 제어하여 샤프트(120)의 제2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고무 시편(10)이 회전 구조체(110)의 내부홈(112)에 배치된 마찰 부재(20)와 접촉하도록 샤프트(120)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컨트롤러가 가압부(130)를 제어하여 고무 시편(10)과 마찰 부재(20) 사이의 접촉력을 제어할 수 있다. 가압부(130)가 이동 프레임(133)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샤프트(120)도 제2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고무 시편(10)과 마찰 부재(20)의 접촉력을 조절할 수 있다.
고무 시편(10)의 마모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고무 시편(10)을 샤프트(120)에서 분리한 뒤에 고무 시편(10)의 마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샤프트(120)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샤프트(120)가 회전 구조체(110)의 외부에 배치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고무 시편(10)을 분리하여 마모도를 산출할 수 있다.
마모 측정 중에 유출된 마찰 부재(20)를 회수 하는 단계는 마모 측정 중에 내부홈(112)에서 유출된 마찰 부재(20)를 다시 내부홈(112)으로 회수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60)에 장착된 회수 슬라이드(170)는 내부홈(112)에서 바닥으로 유출된 마찰 부재(20)를 다시 내부홈(112)으로 이동시킨다.
내부홈(112)의 입구는 바닥과 소정의 간격(D)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는 마찰 부재(20)가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마찰 부재(20) 이외의 환경에 의해서 고무 시편(10)이 마모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무 시편(10)과 마찰 부재(20)가 접촉하면, 일부 마찰 부재(20)는 내부홈(112)에서 바닥으로 유출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10)는 계속하여 회전하므로, 유출된 마찰 부재(20)는 회전 구조체(110)의 가장자리로 이동한다. 이때, 회수 슬라이드(170)는 입구단이 회전 구조체(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므로, 유출된 마찰 부재(20)가 다시 내부홈(112)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회수 슬라이드(170)는 샤프트(120)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유출된 마찰 부재(20)가 즉각적으로 회수 슬라이드(170)로 유입되어, 내부홈(112)으로 회수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수 슬라이드(270)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Ⅵ-Ⅵ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회수 슬라이드(270)는 회전 구조체(110)의 바닥의 마찰 부재(20)를 내부홈(112)으로 회수할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270)는 커버 플레이트(160)의 하면에 장착되어, 회전 구조체(110)가 회전시에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270)는 몸체(271), 입구판(272), 배출단(273)을 가질 수 있다.
몸체(271)는 안내판(271a), 제1 벽(271b), 제2 벽(미도시) 및 연결벽(271d)을 가질 수 있다. 안내판(271a)은 입구판(272)에서 배출단(273)으로 연장되며, 제1 벽(271b)과 제2 벽은 안내판(271a)의 양측에 배치된다.
연결벽(271d)은 안내판(271a)의 상측에 배치되어, 커버 플레이트(160)와 연결된다. 즉, 연결벽(271d)은 베이스 커버(161)의 하면에 부착되어, 회수 슬라이드(27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벽(271d)은 유입된 마찰 부재(20)가 다시 후방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후방이 막혀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출단(273)은 몸체(271)에서 내부홈(112)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배출단(273)은 제1 가이드벽(273a)과 제2 가이드벽(273b)을 가지며, 회수 슬라이드(270)로 유입된 마찰 부재(20)를 내부홈(112)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단(273)은 단부가 내부홈(112)의 입구에 정렬될 수 있다. 배출단(273)의 출구가 내부홈(212)의 입구에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배출단(273)을 통과한 마찰 부재(20)는 바로 내부홈(112)에 유입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회수 슬라이드(37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수 슬라이드(370)는 일부 플랫한 구간을 가지는 몸체를 가질 수 있다. 회수 슬라이드(370)의 몸체는 안내판(371a), 제1 벽(371b), 제2벽(미도시), 연결벽(371d)을 가지며, 입구판(372)이 안내판(371a)의 입구에 배치된다.
안내판(371a)은 입구판(372)이 장착된 제1 단(371a-1), 제1 단(371a-1)에서 연장되며 배출단과 연결되는 제2 단(371b-1), 연결벽(371d)에 연결되는 제3 단(371a-3)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371a-1)과 제3 단(371a-3)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나, 제2 단(371b-1)은 플랫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단에 연결되는 제2 단(371b-1)은 플랫하게 형성되어, 제2 단(371b-1)에는 마찰 부재(20)가 좀더 길게 머무를수 있다. 즉, 제2 단(371b-1)은 회수되는 마찰 부재(20)가 잔류하는 시간을 증대시켜서, 마찰 부재(20)가 쉽게 배출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찰 부재(20)가 회수 슬라이드(370)로 유입되더라도, 소정의 원심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마찰 부재(20)가 제2 단(371b-1)에 배치되면 원심력에 의해서 배출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와 이를 이용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방법은 타이어의 구동환경을 재현하여 마모 성능의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 및 샤프트가 각각 회전할 수 있어 타이어가 차량에 탑재되어 구동되는 상황을 재현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고무 시편의 마모 성능, 마모 양상의 형태의 상관성이 실제 타이어와 높아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100)와 이를 이용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방법은 타이어의 마모 성능의 측정 중에, 일정한 주행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고무 시편(10)과 마찰 부재(20)의 접촉으로, 마찰 부재(20)가 내부홈(112)에서 유출되더라도, 회수 슬라이드(170)가 유출된 마찰 부재(20)를 내부홈(112)으로 다시 유입시켜서, 고무 시편(10)은 일정한 마찰 환경에서 마모 시험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고무 시편
20: 마찰 부재
100: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110: 회전 구조체
120: 샤프트
130: 가압부
140: 승강부
150: 선형이동부
160: 커버 플레이트
170: 회수 슬라이드

Claims (8)

  1. 제1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며,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내부홈을 구비한 회전 구조체;
    복수개가 상기 내부홈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내부홈에 배치되는 마찰 부재;
    일단에 고무 시편이 장착되고, 상기 고무 시편을 회전시키는 샤프트; 및
    일단이 상기 회전 구조체의 바닥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홈을 향하여 배치되는 회수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체는 상기 고무 시편과 상기 마찰 부재의 접촉 과정에서, 일부 상기 마찰 부재가 바닥으로 이탈되며,
    상기 회수 슬라이드는 이탈된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내부홈으로 다시 안내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슬라이드는
    유입된 상기 마찰 부재를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몸체;
    상기 몸체의 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구조체의 바닥으로 연장되되, 탄성을 가지는 입구판; 및
    상기 몸체에서 상기 내부홈을 향하여 돌출되는 배출단;을 구비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은
    단부가 상기 내부홈의 입구에 정렬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수 슬라이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 구조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구조체 및 상기 샤프트가 회전 중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개구; 및
    상기 마찰 부재를 상기 회전 구조체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는 주입부;를 더 구비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슬라이드는
    상기 샤프트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고무 시편에 접촉하여 상기 내부홈에 이탈된 상기 마찰 부재가 유입되는,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KR1020200028584A 2020-03-06 2020-03-06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KR10230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584A KR102308092B1 (ko) 2020-03-06 2020-03-06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584A KR102308092B1 (ko) 2020-03-06 2020-03-06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22A true KR20210112922A (ko) 2021-09-15
KR102308092B1 KR102308092B1 (ko) 2021-10-05

Family

ID=7779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584A KR102308092B1 (ko) 2020-03-06 2020-03-06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0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146A (ja) * 1996-07-11 1998-02-03 Nippon Seiko Kk 球体研磨盤
KR20050043455A (ko) * 2003-11-06 2005-05-1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시편 마모 시험장치
KR100642992B1 (ko) * 2004-10-29 2006-11-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 고무시편의 마모 평가장치
JP2017039193A (ja) * 2015-08-21 2017-02-23 信越半導体株式会社 研磨装置
KR101846346B1 (ko) * 2016-11-23 2018-04-06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의 마모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146A (ja) * 1996-07-11 1998-02-03 Nippon Seiko Kk 球体研磨盤
KR20050043455A (ko) * 2003-11-06 2005-05-1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시편 마모 시험장치
KR100642992B1 (ko) * 2004-10-29 2006-11-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 고무시편의 마모 평가장치
JP2017039193A (ja) * 2015-08-21 2017-02-23 信越半導体株式会社 研磨装置
KR101846346B1 (ko) * 2016-11-23 2018-04-06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의 마모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092B1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36930B (zh) 轮胎试验方法及轮胎试验机
KR102308092B1 (ko)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JP4242846B2 (ja) タイヤの搬送・保持装置
KR100689719B1 (ko) 베어링 검사장치
CN208762879U (zh) 一种桥梁施工用支撑装置
CN202903424U (zh) 水泵总成气密性试漏机
AU2003243148B2 (en) Improvements in tire uniformity testing
KR101846346B1 (ko) 타이어의 마모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의 마모 측정 방법
KR100642992B1 (ko) 타이어 트레드 고무시편의 마모 평가장치
CN205506602U (zh) 一种立式磁屏蔽往复摩擦磨损试验机
KR101783698B1 (ko) 전기자동차의 변속기 시험용 고정장치
CN207598474U (zh) 变速器油泵快速测试装置
KR20050043455A (ko) 트레드 시편 마모 시험장치
CN113776734B (zh) 一种用于四臂掘锚护中的平衡测试装置及使用方法
JPH0958231A (ja) タイヤ試験機
KR101776631B1 (ko) 전자부품 검사장치
CN114858359A (zh) 真空氦检方法及其氦检机
KR20130051370A (ko) 엘엠가이드 테스트장치
KR102526788B1 (ko) 타이어 트레드의 강성 시험기
KR101277305B1 (ko) 자동차 매연저감장치 버너시스템의 리크테스트장치
CN117871020B (zh) 一种可快速拆卸的乘用车风洞试验系统
KR20060005939A (ko) 항공기 타이어 충격 시험장치 및 방법
CN117233035B (zh) 一种岩土勘察试验样品密度测试系统
CN107525645A (zh) 用于测试手机按键的方法
KR100371829B1 (ko) 고무용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