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005A -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005A
KR20210110005A KR1020200025373A KR20200025373A KR20210110005A KR 20210110005 A KR20210110005 A KR 20210110005A KR 1020200025373 A KR1020200025373 A KR 1020200025373A KR 20200025373 A KR20200025373 A KR 20200025373A KR 20210110005 A KR20210110005 A KR 2021011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eat
charcoal
hea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435B1 (ko
Inventor
최윤수
우덕순
Original Assignee
최윤수
우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수, 우덕순 filed Critical 최윤수
Priority to KR1020200025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43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는 구동부, 환기부, 구이부, 냉각부, 가열부, 청소부, 제어부로 구성되었으며, 구동부는 고기를 걸고 굽는 원통형 고기거치대를 회전시켜 고기가 골고루 익도록 하고, 환기부는 본체 내부의 연기배출과 온도를 조절하는 연통개폐모터와 연통실외송풍기를 설치하며, 구이부는 구이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온도계와 조명등, 보임창을 설치하고, 냉각부는 고기기름이 구이기의 바닥에 떨어지면 연기와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을 냉각하며, 가열부는 본체 내부예열과 고기 굽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송풍기와 열선코일을 설치하고, 청소부는 본체 바닥의 기름과 숯불화덕의 재를 모아 쉽게 수거할 수 있는 재받이통과 기름받이통을 설치하며, 제어부는 구이기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전기제어반 덮개에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숯불훈제통구이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숯불화덕크기보다 큰 원통형 고기거치대가 숯불화덕을 중심으로 숯불화덕의 주변을 회전하며 고기를 굽기 때문에 고기기름은 숯불화덕에 직접 낙하되지 않고 숯불화덕 주변바닥에 떨어지며, 바닥에 떨어진 고기기름은 구이기의 바닥 냉각으로 연기나 그을음은 발생하지 않으며, 고기를 굽는 동안 기름기는 제거되고, 육즙은 유지되며, 참숯의 훈연이 고기에 은은히 배어 숯불고기의 참 맛을 유지할 수 있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로서, 기존의 직화구이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구이방식으로 국민건강과 식생활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 및 그 제작방법 {Convection heated hardwood charcoal smoked barrel meat roaster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숯불 고기구이기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고기기름이 숯불에 직접 낙하하여 발생하는 연기와 그을음을 방지하고, 고기를 굽는 동안 기름기는 제거되며, 육즙은 유지되고, 참숯의 훈연이 고기에 은은히 배어 숯불고기의 참 맛을 유지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 조류, 어패류, 채소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기존의 숯불구이기는 숯불상단에 석쇠나 불판을 올린 후 숯불에서 발열되는 직화에 의하여 조리를 한다.
기존 숯불구이기 중 구멍이 뚫리지 않은 불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기기름이 화덕에 직접 낙하하지 않아 연기와 그을음은 발생하지 않으나 직화에 의한 숯불고기의 참 맛이 저하되고, 석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숯불고기의 참 맛은 있으나 고기기름이 화덕에 직접 낙하하여 연기와 그을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숯불구이기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게 되면, 고기를 뒤집어 구워야 하는 수고와 그로 인하여 뒤집는 과정에서 고기의 육즙이 말라버려 고기의 식감과 숯불고기의 참 맛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숯불상단에서 좌우횡(左右橫)으로 왕복하며 회전하면서 고기를 굽는 장치가 개발되었지만, 이 또한 고기기름이 숯불에 직접 낙하하여 발생하는 연기와 그을음을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근래에는 고기를 굽는 동안 발생하는 연기와 그을음을 숯불상단에 연통을 설치하여 배출하는 것과 숯불화덕 주위에 흡입구멍을 설치하여 옥외로 배출하는 송풍장치(blower)가 있는데, 이는 각각의 공간과 설치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기도 하며 무엇보다 고기의 육즙유지를 저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고기기름이 숯불에 직접 낙하하여 발생하는 연기나 그을음을 방지하고, 고기를 굽는 동안 기름기는 제거되며, 육즙은 유지되고, 참숯의 훈연이 고기에 은은히 배어 숯불고기의 참 맛을 유지할 수 있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기를 굽는 동안, 고기기름은 원통형 고기거치대로 흘러내려 숯불화덕주변의 본체 바닥으로 낙하되며, 바닥에 떨어진 고기기름에서 연기나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공급 장치를 본체 외부에 설치하며, 외부에 설치된 냉각수탱크에는 급수밸브와 배수밸브를 이용하여 바닥을 냉각할 수 있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통형 고기거치대는 상하 2단으로 고기꽂이를 쉽게 많이 걸 수 있게 하고, 원통형 고기거치대 하단중앙에 고깔모양의 깔대기를 붙여 제작하여 숯불화덕에서 곧 바로 올라오는 직화에 의해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며 열을 분산하여 대류 열로 많은 고기를 골고루 구울 수 있게 하고, 원통형 고기거치대가 숯불화덕을 중심으로 숯불화덕의 주변을 회전하며 고기가 골고루 구워지도록 설치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통형 기둥형태로 구성된 본체 내부의 상층부와 하층부의 상하 40~60℃의 온도 차를 이용하여, 고온 가열할 육류는 원통형 고기거치대 상층부에, 저온 가열할 어패류는 하층부에 거치하며, 초벌구이고기를 하층부에 보관할 수 있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숯불화덕의 내부 삼발이 중앙철판 밑에 송풍파이프로 연결된 송풍구는 송풍의 세기를 조절하는 수동식 회전조절레버가 설치되었으며, 본체 내부의 연기는 연통으로 배출하고, 연통에는 본체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숯불화력조절장치인 연통개폐모터와 연통실외송풍기로 굽는 대상물에 따라 숯불의 화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이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본체 내부를 예열할 때와, 구이 적정온도에서 구이작업을 하기 위해 개폐도어를 열 때, 본체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감으로, 이를 다시 구이 적정온도로 올리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때 구이온도가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고기의 육즙유지가 어렵고 식감도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 내부온도를 올려 온도편차를 줄이고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열원 전기장치인 열선코일을 본체 챔버의 중간 벽면 좌우로 설치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숯불화덕에서 연소되고 남은 재를 수거하는 재받이통이 숯불화덕 밑에 위치하고, 숯불화덕 주변바닥에 떨어진 고기기름은 본체 바닥의 기름구멍을 통해 낙하시켜 수거할 수 있는 기름받이통을 재받이통 옆에 설치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는, 원통형 기둥형태의 챔버 (chamber)와 재킷 (jacket)으로 구성된 본체 (main body)와, 상기 본체 재킷 (jacket)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driving motor)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직교형 감속기 (right angle reducer)와, 상기 직교형 감속기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원통형 막대모양의 샤프트 (shaft)와, 상기 샤프트는 본체 챔버에서 샤프트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디스크커플링 (disk coupling) 상측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크커플링 하측에 연결된 샤프트는 베어링하후징 (bearing housing)에 장착된 볼베어링 (ball bearing)을 통과하여 본체 재킷의 상부 중앙과 챔버의 천정 중앙을 관통한 후, 챔버 상층부의 원통형 고기거치대 (meat hanger)의 조인트 (joint)와 연결하고, 이를 구동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 챔버의 하단벽면에 연기와 열을 배출할 수 있는 연통구멍 (stove pipe hole)이 위치하며, 본체 내부의 연기는 연통으로 배출되고, 연통에는 본체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연통개폐모터 (stove pipe open and close motor)와 연통실외송풍기 (stove pipe air outing blower)를 설치하고, 이를 환기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 재킷 전면 상층부에서 챔버 상층부로 관통하여 아날로그 탐침온도계 (analog probe thermometer)를 설치하고, 구울 고기는 옷걸이 모양의 고기꽂이 (meat skewer)에 걸고, 고기꽂이는 원통형 고기거치대에 걸며, 원통형 고기거치대는 상하 2단으로 고기꽂이를 쉽게 많이 걸 수 있게 하고, 원통형 고기거치대 하단 중앙에 고깔모양의 깔대기 (funnel)를 붙여 제작하며, 본체 내부를 밝힐 조명등 (lighting bulb)을 설치하여 구이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개폐도어 (open and close door)에는 고기의 익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2중 보임창 (observing window)을 설치하며, 개폐도어틀 테두리는 방열을 차단하는 고무패킹 (rubber packing)을 설치하고, 이를 구이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 하부바닥은 밀폐형 탱크 (closed tank)로 제작하고, 탱크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며, 고기기름이 바닥에 떨어졌을 때, 고온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을 냉각하는 냉각수공급 장치 (cooling water supply device)를 본체 외부에 설치하며, 외부에 설치된 냉각수탱크에는 급수밸브 (water supply valve)와 배수밸브 (drainage valve)를 설치하고, 이를 냉각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의 바닥 중앙에 위치한 원통형 숯불화덕 (charcoal oven)은 화덕외부를 내열성 단열재 (adiabatic material)로 감싼 후 안착하고, 숯불화덕 내부 밑부분에 삼발이 (trivet)를 설치하고 삼발이 중앙에 철판을 붙여 제작하며, 삼발이 중앙철판 바로 밑에는 송풍파이프 (wind pipe)가 위치하고, 송풍파이프는 본체 재킷의 송풍구에 연결하며, 송풍구는 송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동식 회전조절레버 (rotation control lever)를 설치하고, 송풍구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삼발이 중앙철판의 주변부로 분산되어 숯을 균일하게 발화시키고 숯을 완전 연소시키며, 본체 내부를 예열할 때와 구이작업을 하기 위해 개폐도어를 열 때, 본체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감으로, 본체 내부온도를 올려 주고, 유지하기 위한 보조열원 전기장치인 열선코일 (heat coil)을 본체 챔버의 중간 벽면 좌우로 설치하고, 이를 가열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 바닥중앙의 숯불화덕에서 연소되고 남은 재를 수거하는 재받이통 (ashes tray)이 숯불화덕 밑에 위치하고, 숯불화덕 주변바닥에 떨어진 고기기름은 바닥의 기름구멍 (oil hole)을 통해 낙하시켜 수거할 수 있는 기름받이통 (oil tray)을 재받이통 옆에 설치하고, 이를 청소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 전면 우측상단에 구이기를 작동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전기제어반 (control board, 制御盤)의 덮개에 열선코일 버튼스위치A (heated coil button switch), 열선코일 버튼스위치B, 조명등 버튼스위치 (lighting bulb button switch), 연통실외송풍기 버튼스위치 (stove pipe air outing blower button switch), 연통개폐 다이얼스위치 (stove pipe open and close dialing switch), 고기거치대 회전버튼스위치 (meat hanger rotary button switch)를 장치하고, 이를 제어부라고 한다.
상기와 같이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는 구동부, 환기부, 구이부, 냉각부, 가열부, 청소부, 제어부로 구성하고 제작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수단을 통해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를 제공함으로서, 참숯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 고기기름이 숯불화덕에 직접 낙하하여 발생하는 연기나 그을음을 방지하고, 고기를 굽는 동안 기름기는 제거되고, 육즙은 유지되며, 참숯의 훈연이 고기에 은은히 배어 참숯 훈제고기의 참 맛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열원 전기장치인 열선코일을 설치하여 본체 내부온도를 올려주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고기의 식감과 육즙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수공급 장치를 설치하여 고기기름이 바닥에 떨어졌을 때, 고온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와 그을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숯불화력조절장치인 송풍구 수동식 회전조절레버, 연통개폐모터, 연통실외송풍기를 통해 굽는 대상물에 따라 숯불의 화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숯불고기의 조리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조리공간에서의 온도편차를 줄여 음식을 골고루 익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단면도.
도 4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구동부 부분도.
도 5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환기부 부분도.
도 6은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구이부 부분도.
도 7은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냉각부와 가열부 부분도.
도 8은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가열부 열선도.
도 9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청소부 부분도.
도 10은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기름받이 배관도.
도 11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전기제어반과 조작버튼 상세도.
도 12은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 훈제통구이기의 고기거치대와 고기꽂이 상세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이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게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상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단면도, 부분도, 배관도,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 및 그 제작방법은 원통형 기둥형태의 Ø700mm 챔버 (chamber)와 Ø800mm 재킷 (jacket) 사이의 공간에 50mm 내열성 단열재 (adiabatic material)로 충진된 스테인리스 (stainless steel)재질의 본체 (main body)(10)와, 상기 본체 재킷 상부에 설치된 220V/250W 10~20rpm 구동모터 (driving motor)(11)와, 상기 구동모터의 Ø8mm중실축 (solid shaft, 中實軸)은 직교형 감속기 (right angle reducer)(12)의 Ø9mm중공축 (hollow shaft, 中空軸)과 연결되고, 상기 직교형 감속기 반대쪽 Ø17mm중공축은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스테인리스 원통형 막대모양의 샤프트 (shaft)(13) Ø16mm중실축과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 반대 쪽 Ø16mm중실축은 본체 챔버에서 샤프트로 전달되는 진동, 충격, 열을 차단하는 디스크커플링 (disk coupling)(14)의 위쪽 Ø17mm중공축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크커플링 아래쪽 Ø26mm중공축은 샤프트 Ø25mm중실축과 연결되며, Ø25mm중실축 샤프트는 베어링하후징 (bearing housing)(15)에 장착된 고열, 고하중용 SUS440C 내열용 특수강 Ø26mm 볼베어링 (ball bearing)을 통과하여 본체 재킷의 상부 중앙과 챔버의 천정 중앙을 관통한 후, 챔버 상부의 Ø420mm X 600mm 원통형 고기거치대 (meat hanger)(16)의 Ø26mm 조인트 (joint)와 연결하는 구동부로 구성되었으며,(도4 참조)
또한, 본체 챔버의 하단벽면에 연기와 열을 배출할 수 있는 Ø80mm 연통구멍 (stove pipe hole)(17)이 위치하며, 본체 내부의 연기는 연통으로 배출되고, 연통에는 본체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220V/14W 2.5rpm 연통개폐모터 (stove pipe open and close motor)(18)와 220V/55W 연통실외송풍기 (stove pipe air outing blower)(19)를 설치하는 환기부로 구성되었으며,(도5 참조)
또한, 본체 재킷 전면 상층부에서 챔버 상층부로 관통하여 아날로그 탐침온도계 (analog probe thermometer)(20)를 설치하고, 구울 고기는 300mm X 350mm 옷걸이 모양의 고기꽂이 (meat skewer)(21)에 걸고, 고기꽂이는 Ø420mm X 600mm 원통형 고기거치대에 걸며, 원통형 고기거치대는 상하 2단으로 고기꽂이를 쉽게 많이 걸 수 있게 하고, 원통형 고기거치대 하단 중앙에 Ø200mm 고깔모양의 깔대기 (funnel)(22)를 붙여 제작하며, 본체 내부를 밝힐 고온용 220V/60W 조명등 (lighting bulb)(23)을 설치하여 구이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600mm X 850mm 개폐도어 (open and close door)(24)에는 고기의 익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300mm X 300mm 2중 보임창 (observing window)(25)을 설치하며, 개폐도어틀 테두리는 방열을 차단하는 고무패킹 (rubber packing)(26)을 설치하는 구이부로 구성되었으며,(도6 참조)
또한, 본체 하부바닥은 밀폐형 탱크 (closed tank)(27)로 제작하고, 탱크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며, 고기기름이 바닥에 떨어졌을 때, 고온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을 냉각하는 냉각수공급 장치 (cooling water supply device)(28)를 본체 외부에 설치하며, 외부에 설치된 200mm X 300mm X 100mm(6L) 냉각수탱크에는 급수밸브 (water supply valve)(29)와 배수밸브 (drainage valve)(30)를 설치하는 냉각부로 구성되었으며,(도7, 도12 참조)
또한, 본체 내부바닥 중앙에 위치한 Ø200mm 원통형 숯불화덕 (charcoal fire oven)(31)은 화덕외부를 50mm 내열성 단열재 (adiabatic material)(32)로 감싼 후 안착하고, 숯불화덕 내부 밑부분에 Ø200㎜ 삼발이 (trivet)(33)를 설치하고 삼발이 중앙에 Ø80㎜ 철판을 붙여 제작하며, 삼발이 중앙철판 바로 밑에는 Ø50㎜ 송풍파이프 (wind pipe)(34)가 위치하고, 송풍파이프는 본체 재킷의 송풍구에 연결하며, 송풍구는 송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동식 회전조절레버 (rotation control lever)(35)를 설치하고, 송풍구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삼발이 중앙철판의 주변부로 분산되어 숯을 균일하게 발화시키고 숯을 완전 연소시키며, 본체 내부를 예열할 때와 구이작업을 하기 위해 개폐도어를 열 때, 본체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감으로, 본체 내부온도를 올려 주고, 유지하기 위한 보조열원 전기장치인 1.5㎾ 니크롬 (nichrome) 열선코일 (heat coil)(36) 2개를 본체 챔버의 중간 벽면 좌우로 설치하는 가열부로 구성되었으며,(도7, 도8 참조)
또한, 본체 바닥중앙의 숯불화덕에서 연소되고 남은 재를 수거하는 300mm X 200mm X 550mm(33L) 재받이통 (ashes tray)(37)이 숯불화덕 밑에 위치하고, 숯불화덕 주변바닥에 떨어진 고기기름은 바닥의 Ø25mm 4개의 기름구멍 (oil hole)(38)을 통해 낙하시켜 수거할 수 있는 200mm X 200mm X 300mm(12L) 기름받이통 (oil tray)(39)을 재받이통 옆에 설치하는 청소부로 구성되었으며,(도9, 도10 참조)
또한, 본체 전면 우측상단에 구이기를 작동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전기제어반 (control board, 制御盤)의 (40)덮개에 ①열선코일 버튼스위치A (heated coil button switch)(41), ②열선코일 버튼스위치B(42), ③조명등 버튼스위치 (lighting bulb button switch)(43), ④연통실외송풍기 버튼스위치 (stove pipe air outing blower button switch)(44), ⑤연통개폐 다이얼스위치 (stove pipe open and close dialing switch)(45), ⑥고기거치대 회전버튼스위치 (meat hanger rotary button switch)(46)를 장치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었다.(도11 참조)
상기와 같이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는 구동부, 환기부, 구이부, 냉각부, 가열부, 청소부, 제어부로 구성하고 제작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고기구이는 본체 챔버의 벽면과 원통형 고기거치대(16) 사이의 140mm의 공간과 원통형 고기거치대 횡원(橫圓)거치대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며, 고기는 숯불화덕(31)의 숯불 발화에 의한 대류 열로 굽는데, Ø420mm 원통형 고기거치대(16)는 Ø200mm 숯불화덕(31)보다 크기 때문에 원통형 고기거치대(16)가 회전하면서 고기를 익히는 동안, 고기기름은 숯불화덕(31)에 직접 낙하되지 않고, 숯불화덕(31)의 주변 공간 바닥에 떨어지며, 고기기름은 본체 외부에 설치된 냉각수공급 장치(28)로 바닥을 냉각하기 때문에 연기와 그을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는 원통형 고기거치대(16) 하단중앙에 Ø200mm의 고깔모양의 깔대기(22)를 붙여 제작하기 때문에 숯불화덕에서 곧 바로 올라오는 직화에 의해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고 열을 분산하여 대류 열로 많은 고기를 골고루 구울 수 있게 하며, 장시간 열에 노출될 때 보존하기 어려운 육즙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참숯의 훈연이 고기에 은근히 배어 숯불고기의 참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숯불의 연기와 열을 배출하는 연통구멍(17)을 본체 챔버의 하단 벽면에 설치함으로 본체 내부에서 연기와 열을 대류시켜 상하 간 이동하게 하고, 원통형 고기거치대(16)의 회전으로 고기가 열을 고르게 받고 골고루 익어 고기의 맛을 배가시켜 주며, 참숯의 훈연이 고기에 은근히 배어 숯불고기의 참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숯불화덕(31)의 삼발이(33) 중앙철판 위에 고체연료를 올려놓고 점화시킨 후, 숯을 투입하면 바로 밑의 송풍파이프(34)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삼발이 중앙철판의 주변부로 분산되어 숯을 균일하게 발화시킴으로서 본체 내부온도를 빠르게 올릴 수 있고, 숯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본체 내부 상하 간 40~60℃온도 차를 이용하여, 고온 가열할 육류는 원통형 고기거치대 상층부에, 저온 가열할 어패류는 하층부에 거치하며, 초벌구이를 한 고기는 하층부에 보관할 수 있으며, ①열선코일 버튼스위치A(41), ②열선코일 버튼스위치B(42)와 ⑤연통개폐 다이얼스위치(45)를 조작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고기를 찜 하듯이 구울 수 있고 숯불고기의 조리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작동방법은, 냉각수탱크의 급수밸브(29)를 열고, 배수밸브(30)를 잠근 후, 전기제어반의 덮개에 장치된 ①열선코일 버튼스위치A(41)와 ②열선코일 버튼스위치B(42)를 켜고, 아날로그 탐침온도계(20)로 확인하면서 200℃까지 예열하고, 수동식 회전조절레버(35)를 열고, ③조명등 버튼스위치(43), ⑤연통개폐 다이얼스위치(45)를 켜고, 숯불화덕(31)에 고체연료를 점화한 후, 숯을 소량투입하고 ⑥연통실외송풍기 버튼스위치(44)를 켜고, 숯을 완전 점화시킨 후, 추가로 숯을 투입하여 발화시키고 아날로그 탐침온도계(20)로 280℃이상 유지되면 ①열선코일 버튼스위치A(41)와 ⑥연통실외송풍기 버튼스위치(44)를 끄고, 개폐도어(24)를 열고 구울 고기를 꽂은 고기꽂이(21)를 원통형 고기거치대(16)에 걸고, 개폐도어(24)를 닫고 ④고기거치대 회전버튼스위치(46)를 켠 후, 아날로그 탐침온도계(20)를 확인하여 250℃이하로 내려가면 숯을 추가 투입하고 ⑤연통개폐 다이얼스위치(45)를 켜고 조작하며, 250℃를 유지하면 수동식 회전조절레버(35)를 닫고, ②열선코일 버튼스위치 B(42)와 ⑤연통개폐 다이얼스위치(45)를 끄고 고기를 굽는다.
또한, 고기를 굽는 방법으로 초벌구이는 고기를 70~80% 정도 구우며, 양갈비, 양다리, 돼지갈비의 초벌구이는 250℃에서 30분 동안 굽고, 완성구이는 250~280℃에서 40분~50분 동안 구우며, 초벌구이를 완성구이할 때는 250℃에서 10~15분 동안 굽는다.
또한, 돼지 삼겹살의 초벌구이는 250~280℃에서 10분 동안 굽고, 완성구이는 250~280℃에서 15분 동안 굽고, 초벌구이를 완성구이할 때는 250℃에서 5~10분 동안 굽는다.
또한, 대하구이는 250℃에서 7~10분 동안 굽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는 육류를 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육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류, 어패류, 채소류의 경우에도 숯불로 익힐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조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는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 숯불구이를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각 테이블마다 설치되는 숯불구이장치는 공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숯불을 각 테이블로 공수하는 수고와 직접구이로 인한 고기의 태움으로 고기와 숯의 낭비가 크고 고기를 굽는 소요시간이 길어 매출로 이어지는 테이블의 회전속도가 느리며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옷에 배어 주변에 불쾌감을 주기 때문에 숯불구이음식점을 기피하는 현상까지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반면, 본 발명 참숯훈제통구이기는 주방에서 직화가 아닌 대류 열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고기를 단시간 내에 태우지 않고 참숯의 훈연을 골고루 배게 하여 숯불고기의 참 맛을 유지할 수 있는 고기를 각 테이블로 공수하게 되어 쾌적한 환경에서 깨끗하게 고기의 참 맛을 느낄 수 있으며 숯과 고기를 절약할 수 있고 테이블의 회전속도가 빠르며 옷에 냄새가 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기존 숯불구이기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사료된다.
10 : 본체
11 : 구동모터
12 : 직교형 감속기
13 : 샤프트
14 : 디스크커플링
15 : 베어링하우징
16 : 원통형 고기거치대
17 : 연통구멍
18 : 연통개폐모터
19 : 연통실외송풍기
20 : 아날로그탐침온도계
21 : 고기꽂이
22 : 깔대기
23 : 조명등
24 : 개폐도어
25 : 보임창
26 : 고무패킹
27 : 밀폐형 탱크
28 : 냉각수공급 장치
29 : 급수밸브
30 : 배수밸브
31 : 숯불화덕
32 : 내열성 단열재
33 : 삼발이
34 : 송풍파이프
35 : 회전조절레버
36 : 열선코일
37 : 재받이통
38 : 기름구멍
39 : 기름받이통
40 : 전기제어반
41 : 열선코일 버튼스위치A
42 : 열선코일 버튼스위치B
43 : 조명등 버튼스위치
44 : 연통실외송풍기 버튼스위치
45 : 연통개폐 다이얼스위치
46 : 고기거치대 회전버튼스위치

Claims (9)

  1. 본 발명은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 기둥형태의 챔버 (chamber)와 재킷 (jacket)으로 구성된 본체 (main body)(10)와, 상기 본체 재킷 (jacket)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driving motor)(11)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직교형 감속기 (right angle reducer)(12)와, 상기 직교형 감속기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원통형 막대모양의 샤프트 (shaft)(13)와, 상기 샤프트는 본체 챔버에서 샤프트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디스크커플링 (disk coupling)(14) 상측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크커플링 하측에 연결된 샤프트는 베어링하후징 (bearing housing)(15)에 장착된 볼베어링 (ball bearing)을 통과하여 본체 재킷의 상부 중앙과 챔버의 천정 중앙을 관통한 후, 챔버 상층부의 원통형 고기거치대 (meat hanger)(16)의 조인트 (joint)와 연결하고, 이를 구동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 챔버의 하단벽면에 연기와 열을 배출할 수 있는 연통구멍 (stove pipe hole)(17)이 위치하며, 본체 내부의 연기는 연통으로 배출되고, 연통에는 본체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연통개폐모터 (stove pipe open and close motor)(18)와 연통실외송풍기 (stove pipe air outing blower)(19)를 설치하고, 이를 환기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 재킷 전면 상층부에서 챔버 상층부로 관통하여 아날로그 탐침온도계 (analog probe thermometer)(20)를 설치하고, 구울 고기는 옷걸이 모양의 고기꽂이 (meat skewer)(21)에 걸고, 고기꽂이는 원통형 고기거치대에 걸며, 원통형 고기거치대는 상하 2단으로 고기꽂이를 쉽게 많이 걸 수 있게 하고, 원통형 고기거치대 하단 중앙에 고깔모양의 깔대기 (funnel)(22)를 붙여 제작하며, 본체 내부를 밝힐 조명등 (lighting bulb)(23)을 설치하여 구이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개폐도어 (open and close door)(24)에는 고기의 익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2중 보임창 (observing window)(25)을 설치하며, 개폐도어틀 테두리는 방열을 차단하는 고무패킹 (rubber packing)(26)을 설치하고, 이를 구이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 하부바닥은 밀폐형 탱크 (closed tank)(27)로 제작하고, 탱크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며, 고기기름이 바닥에 떨어졌을 때, 고온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을 냉각하는 냉각수공급 장치 (cooling water supply device) (28)를 본체 외부에 설치하며, 외부에 설치된 냉각수탱크에는 급수밸브 (water supply valve)(29)와 배수밸브 (drainage valve)(30)를 설치하고, 이를 냉각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의 바닥 중앙에 위치한 원통형 숯불화덕 (charcoal oven)(31)은 화덕외부를 내열성 단열재 (adiabatic material)(32)로 감싼 후 안착하고, 숯불화덕 내부 밑부분에 삼발이 (trivet)(33)를 설치하고 삼발이 중앙에 철판을 붙여 제작하며, 삼발이 중앙철판 바로 밑에는 송풍파이프 (wind pipe)(34)가 위치하고, 송풍파이프는 본체 재킷의 송풍구에 연결하며, 송풍구는 송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동식 회전조절레버 (rotation control lever)(35)를 설치하고, 송풍구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삼발이 중앙철판의 주변부로 분산되어 숯을 균일하게 발화시키고 숯을 완전 연소시키며, 본체 내부를 예열할 때와 구이작업을 하기 위해 개폐도어를 열 때, 본체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감으로, 본체 내부온도를 올려 주고, 유지하기 위한 보조열원 전기장치인 열선코일 (heat coil)(36)을 본체 챔버의 중간 벽면 좌우로 설치하고, 이를 가열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 바닥중앙의 숯불화덕에서 연소되고 남은 재를 수거하는 재받이통 (ashes tray)(37)이 숯불화덕 밑에 위치하고, 숯불화덕 주변바닥에 떨어진 고기기름은 바닥의 기름구멍 (oil hole)(38)을 통해 낙하시켜 수거할 수 있는 기름받이통 (oil tray)(39)을 재받이통 옆에 설치하고, 이를 청소부라고 하며.
    또한, 본체 전면 우측상단에 구이기를 작동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전기제어반 (control board, 制御盤)(40)의 덮개에 ①열선코일 버튼스위치 A(heated coil button switch)(41), ②열선코일 버튼스위치B(42), ③조명등 버튼스위치 (lighting bulb button switch)(43), ④연통실외송풍기 버튼스위치 (stove pipe air outing blower button switch)(44), ⑤연통개폐 다이얼스위치 (stove pipe open and close dialing switch)(45), ⑥고기거치대 회전버튼스위치 (meat hanger rotary button switch)(46)를 장치하고, 이를 제어부라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동부, 환기부, 구이부, 냉각부, 가열부, 청소부,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
  2.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 제작방법에 있어서,
    원통형 기둥형태의 Ø700mm 챔버 (chamber)와 Ø800mm 재킷 (jacket) 사이의 공간에 50mm 내열성 단열재 (adiabatic material)로 충진된 스테인리스 (stainless steel)재질의 본체 (main body)(10)와, 상기 본체 재킷 상부에 설치된 220V/250W 10~20rpm 구동모터 (driving motor)(11)와, 상기 구동모터의 Ø8mm중실축 (solid shaft, 中實軸)은 직교형 감속기 (right angle reducer)(12)의 Ø9mm중공축 (hollow shaft, 中空軸)과 연결되고, 상기 직교형 감속기 반대쪽 Ø17mm중공축은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스테인리스 원통형 막대모양의 샤프트 (shaft)(13) Ø16mm중실축과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 반대 쪽 Ø16mm중실축은 본체 챔버에서 샤프트로 전달되는 진동, 충격, 열을 차단하는 디스크커플링 (disk coupling)(14)의 위쪽 Ø17mm중공축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크커플링 아래쪽 Ø26mm중공축은 샤프트 Ø25mm중실축과 연결되며, Ø25mm중실축 샤프트는 베어링하후징 (bearing housing)(15)에 장착된 고열, 고하중용 SUS440C 내열용 특수강 Ø26mm 볼베어링 (ball bearing)을 통과하여 본체 재킷의 상부 중앙과 챔버의 천정 중앙을 관통한 후, 챔버 상부의 Ø420mm X 600mm 원통형 고기거치대 (meat hanger)(16)의 Ø26mm 조인트 (joint)와 연결하는 구동부로 구성되었으며,
    또한, 본체 챔버의 하단벽면에 연기와 열을 배출할 수 있는 Ø80mm 연통구멍 (stove pipe hole)(17)이 위치하며, 본체 내부의 연기는 연통으로 배출되고, 연통에는 본체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220V/14W 2.5rpm 연통개폐모터 (stove pipe open and close motor)(18)와 220V/55W 연통실외송풍기 (stove pipe air outing blower)(19)를 설치하는 환기부로 구성되었으며,
    또한, 본체 재킷 전면 상층부에서 챔버 상층부로 관통하여 아날로그 탐침온도계 (analog probe thermometer)(20)를 설치하고, 구울 고기는 300mm X 350mm 옷걸이 모양의 고기꽂이 (meat skewer)(21)에 걸고, 고기꽂이는 Ø420mm X 600mm 원통형 고기거치대에 걸며, 원통형 고기거치대는 상하 2단으로 고기꽂이를 쉽게 많이 걸 수 있게 하고, 원통형 고기거치대 하단 중앙에 Ø200mm 고깔모양의 깔대기 (funnel)(22)를 붙여 제작하며, 본체 내부를 밝힐 고온용 220V/60W 조명등 (lighting bulb)(23)을 설치하여 구이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600mm X 850mm 개폐도어 (open and close door)(24)에는 고기의 익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300mm X 300mm 2중 보임창 (observing window)(25)을 설치하며, 개폐도어틀 테두리는 방열을 차단하는 고무패킹 (rubber packing)(26)을 설치하는 구이부로 구성되었으며,
    또한, 본체 하부바닥은 밀폐형 탱크 (closed tank)(27)로 제작하고, 탱크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며, 고기기름이 바닥에 떨어졌을 때, 고온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을 냉각하는 냉각수공급 장치 (cooling water supply device)(28)를 본체 외부에 설치하며, 외부에 설치된 200mm X 300mm X 100mm(6L) 냉각수탱크에는 급수밸브 (water supply valve)(29)와 배수밸브 (drainage valve)(30)를 설치하는 냉각부로 구성되었으며,
    또한, 본체 내부바닥 중앙에 위치한 Ø200mm 원통형 숯불화덕 (charcoal fire oven)(31)은 화덕외부를 50mm 내열성 단열재 (adiabatic material)(32)로 감싼 후 안착하고, 숯불화덕 내부 밑부분에 Ø200㎜ 삼발이 (trivet)(33)를 설치하고 삼발이 중앙에 Ø80㎜ 철판을 붙여 제작하며, 삼발이 중앙철판 바로 밑에는 Ø50㎜ 송풍파이프 (wind pipe)(34)가 위치하고, 송풍파이프는 본체 재킷의 송풍구에 연결하며, 송풍구는 송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동식 회전조절레버 (rotation control lever)(35)를 설치하고, 송풍구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삼발이 중앙철판의 주변부로 분산되어 숯을 균일하게 발화시키고 숯을 완전 연소시키며, 본체 내부를 예열할 때와 구이작업을 하기 위해 개폐도어를 열 때, 본체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감으로, 본체 내부온도를 올려 주고, 유지하기 위한 보조열원 전기장치인 1.5㎾ 니크롬 (nichrome) 열선코일 (heat coil)(36) 2개를 본체 챔버의 중간 벽면 좌우로 설치하는 가열부로 구성되었으며,
    또한, 본체 바닥중앙의 숯불화덕에서 연소되고 남은 재를 수거하는 300mm X 200mm X 550mm(33L) 재받이통 (ashes tray)(37)이 숯불화덕 밑에 위치하고, 숯불화덕 주변바닥에 떨어진 고기기름은 바닥의 Ø25mm 4개의 기름구멍 (oil hole)(38)을 통해 낙하시켜 수거할 수 있는 200mm X 200mm X 300mm(12L) 기름받이통 (oil tray)(39)을 재받이통 옆에 설치하는 청소부로 구성되었으며,
    또한, 본체 전면 우측상단에 구이기를 작동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전기제어반 (control board, 制御盤)(40)의 덮개에 ①열선코일버튼스위치A (heated coil button switch)(41), ②열선코일 버튼스위치B(42), ③조명등 버튼스위치 (lighting bulb button switch)(43), ④연통실외송풍기 버튼스위치 (stove pipe air outing blower button switch)(44), ⑤연통개폐 다이얼스위치 (stove pipe open and close dialing switch)(45), ⑥고기거치대 회전버튼스위치 (meat hanger rotary button switch)(46)를 장치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동부, 환기부, 구이부, 냉각부, 가열부, 청소부, 제어부로 구성하고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원통형 기둥형태의 Ø700mm 챔버 (chamber)와 Ø800mm 재킷 (jacket) 사이의 공간에 50mm 내열성 단열재 (adiabatic material)로 충진된 스테인리스 (stainless steel)재질의 본체 (main body)(10)와, 상기 본체 재킷 상부에 설치된 220V/250W 10~20rpm 구동모터 (driving motor)(11)와, 상기 구동모터의 Ø8mm중실축 (solid shaft, 中實軸)은 직교형 감속기 (right angle reducer)(12)의 Ø9mm중공축 (hollow shaft, 中空軸)과 연결되고, 상기 직교형 감속기 반대쪽 Ø17mm중공축은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스테인리스 원통형 막대모양의 샤프트 (shaft)(13) Ø16mm중실축과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 반대 쪽 Ø16mm중실축은 본체 챔버에서 샤프트로 전달되는 진동, 충격, 열을 차단하는 디스크커플링 (disk coupling)(14)의 위쪽 Ø17mm중공축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크커플링 아래쪽 Ø26mm중공축은 샤프트 Ø25mm중실축과 연결되며, Ø25mm중실축 샤프트는 베어링하후징 (bearing housing)(15)에 장착된 고열, 고하중용 SUS440C 내열용 특수강 Ø26mm 볼베어링 (ball bearing)을 통과하여 본체 재킷의 상부 중앙과 챔버의 천정 중앙을 관통한 후, 챔버 상부의 Ø420mm X 600mm 원통형 고기거치대 (meat hanger)(16)의 Ø26mm 조인트 (joint)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본체 챔버의 하단벽면에 연기와 열을 배출할 수 있는 Ø80mm 연통구멍 (stove pipe hole)(17)이 위치하며, 본체 내부의 연기는 연통으로 배출되고, 연통에는 본체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220V/14W 2.5rpm 연통개폐모터 (stove pipe open and close motor)(18)와 220V/55W 연통실외송풍기 (stove pipe air outing blower)(19)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부는
    본체 재킷 전면 상층부에서 챔버 상층부로 관통하여 아날로그 탐침온도계 (analog probe thermometer)(20)를 설치하고, 구울 고기는 300mm X 350mm 옷걸이 모양의 고기꽂이 (meat skewer)(21)에 걸고, 고기꽂이는 Ø420mm X 600mm 원통형 고기거치대에 걸며, 원통형 고기거치대는 상하 2단으로 고기꽂이를 쉽게 많이 걸 수 있게 하고, 원통형 고기거치대 하단 중앙에 Ø200mm 고깔모양의 깔대기 (funnel)(22)를 붙여 제작하며, 본체 내부를 밝힐 고온용 220V/60W 조명등 (lighting bulb)(23)을 설치하여 구이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600mm X 850mm 개폐도어 (open and close door)(24)에는 고기의 익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300mm X 300mm 2중 보임창 (observing window)(25)을 설치하며, 개폐도어틀 테두리는 방열을 차단하는 고무패킹 (rubber packing)(26)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본체 하부바닥은 밀폐형 탱크 (closed tank)(27)로 제작하고, 탱크내부로 냉각수가 공급되며, 고기기름이 바닥에 떨어졌을 때, 고온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바닥을 냉각하는 냉각수공급 장치 (cooling water supply device)(28)를 본체 외부에 설치하며, 외부에 설치된 200mm X 300mm X 100mm(6L) 냉각수탱크에는 급수밸브 (water supply valve)(29)와 배수밸브 (drainage valve)(3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본체 내부바닥 중앙에 위치한 Ø200mm 원통형 숯불화덕 (charcoal fire oven)(31)은 화덕외부를 50mm 내열성 단열재 (adiabatic material)(32)로 감싼 후 안착하고, 숯불화덕 내부 밑부분에 Ø200㎜ 삼발이 (trivet)(33)를 설치하고 삼발이 중앙에 Ø80㎜ 철판을 붙여 제작하며, 삼발이 중앙철판 바로 밑에는 Ø50㎜ 송풍파이프 (wind pipe)(34)가 위치하고, 송풍파이프는 본체 재킷의 송풍구에 연결하며, 송풍구는 송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동식 회전조절레버 (rotation control lever)(35)를 설치하고, 송풍구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삼발이 중앙철판의 주변부로 분산되어 숯을 균일하게 발화시키고 숯을 완전 연소시키며, 본체 내부를 예열할 때와 구이작업을 하기 위해 개폐도어를 열 때, 본체 내부온도가 급격하게 내려감으로, 본체 내부온도를 올려 주고, 유지하기 위한 보조열원 전기장치인 1.5㎾ 니크롬 (nichrome) 열선코일 (heat coil)(36) 2개를 본체 챔버의 중간 벽면 좌우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8. 제2항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본체 바닥중앙의 숯불화덕에서 연소되고 남은 재를 수거하는 30mm X 200mm X 550mm(33L) 재받이통 (ashes tray)(37)이 숯불화덕 밑에 위치하고, 숯불화덕 주변바닥에 떨어진 고기기름은 바닥의 Ø25mm 4개의 기름구멍 (oil hole)(38)을 통해 낙하시켜 수거할 수 있는 200mm X 200mm X 300mm(12L) 기름받이통 (oil tray)(39)을 재받이통 옆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9. 제2항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본체 전면 우측상단에 구이기를 작동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전기제어반 (control board, 制御盤)(40)의 덮개에 ①열선코일버튼스위치A (heated coil button switch)(41), ②열선코일 버튼스위치B(42), ③조명등 버튼스위치 (lighting bulb button switch)(43), ④연통실외송풍기 버튼스위치 (stove pipe air outing blower button switch)(44), ⑤연통개폐 다이얼스위치 (stove pipe open and close dialing switch)(45), ⑥고기거치대 회전버튼스위치 (meat hanger rotary button switch)(46)를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KR1020200025373A 2020-02-28 2020-02-28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KR10235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73A KR102353435B1 (ko) 2020-02-28 2020-02-28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73A KR102353435B1 (ko) 2020-02-28 2020-02-28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005A true KR20210110005A (ko) 2021-09-07
KR102353435B1 KR102353435B1 (ko) 2022-01-19

Family

ID=7779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373A KR102353435B1 (ko) 2020-02-28 2020-02-28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4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460A (ko) * 2004-11-24 2004-12-20 전봉진 숯불구이장치
KR200445472Y1 (ko) * 2009-04-27 2009-08-04 이정일 초벌 훈연구이기
KR20100108628A (ko) * 2009-03-30 2010-10-08 안세복 수분 공급기가 구비된 바비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460A (ko) * 2004-11-24 2004-12-20 전봉진 숯불구이장치
KR20100108628A (ko) * 2009-03-30 2010-10-08 안세복 수분 공급기가 구비된 바비큐장치
KR200445472Y1 (ko) * 2009-04-27 2009-08-04 이정일 초벌 훈연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435B1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1759B2 (en) Indoor barbecue
KR101776683B1 (ko) 연도를 이용한 구이기
KR101010264B1 (ko) 구이용 조리기구
KR101635714B1 (ko) 야외용 우드 펠릿 그릴
KR20130071733A (ko) 고기 구이장치
KR200451873Y1 (ko) 고기구이 겸용 황토가마 조리기
KR200444305Y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KR102206126B1 (ko) 화로 회전식 원심 탈지 직화구이장치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KR20210110005A (ko) 대류 열을 이용한 참숯훈제통구이기의 제작방법
KR100205120B1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CN112790624A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KR20170011231A (ko) 로스터용 후드
CN207613656U (zh) 一种明火烤炉
KR20180137451A (ko) 다련식 숯불 석쇠 회전식 구이기
US20230190036A1 (en) Kitchen container for preparing food cooked "in the barrel"
JP2001517123A (ja) 調理方法及び装置
CN204860789U (zh) 一种食品烘烤机
KR20160084602A (ko) 간접화 훈제 바비큐 장치
CN209235871U (zh) 无烟烤肉炉
CN219763141U (zh) 一种多功能便携式烤箱
KR101985539B1 (ko) 훈제 바베큐 장치
KR200324762Y1 (ko)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