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912A -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Google Patents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8912A KR20210108912A KR1020210026022A KR20210026022A KR20210108912A KR 20210108912 A KR20210108912 A KR 20210108912A KR 1020210026022 A KR1020210026022 A KR 1020210026022A KR 20210026022 A KR20210026022 A KR 20210026022A KR 20210108912 A KR20210108912 A KR 202101089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binding
- connector
- conical steel
- qui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2가닥 이상의 전선 와이어들의 단부를 서로 결속시켜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고 결속하는 와이어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와이어 접속을 유도하기 위해 일단이 개방된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캡; 및 상기 하우징 캡의 내부에는 처음 회전이 시작되는 헤드부에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어 와이어를 표출시켜 전기적 접속과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조각칼을 구비하는 나선의 원뿔형 강선;을 내장형으로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의 전기적 결선과 결속작업 과정에서의 불편과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빠른 시간에 피복 전선의 전기적 결선과 결속을 구현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2가닥 이상의 피복 전선의 전기적 접속과 결속은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2가닥 이상의 전선에 대한 전기적 접속과 결속을 시도하고 있다. 와이어 컨넥터를 트위스팅하여 2개 이상의 와이어를 접속하는 와이어 컨넥터는 하우징 캡의 개구부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접속을 유도할 수 있도록 나선의 원뿔형 강선을 하우징 캡의 내부에 구비하는 와이어 컨넥터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44544호에 개시되어 있다. 와이어 컨넥터는 전선 와이어를 접속시 절연 테이프를 감아 접속 시키고 접속 불량 및 전선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재로 구성된 하우징 캡을 전선 접속부에 씌워서 마감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 컨넥터의 캡 내부에는 원뿔형 강선(테이퍼 나사)을 설치하여 여러가닥의 전선 와이어를 하우징 캡을 돌릴 때 내부의 원뿔형 강선에 의해 밀착되는 상태로 접속되도록 유도하여 전선 와이어의 접속 불량과 전선 접속부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피복된 상태의 전선 와이어의 전기적 접속과 결속에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와이어 컨넥터는 와이어 접속시 사용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여러 작업 과정을 거쳐야 했고 각종 도구와 공구를 이용하여야만 접속과 결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걸려 비경제적이며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지 않아 결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접속 작업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전선의 전기적 접속과 결속 작업의 불편과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빠른 시간에 전선의 접속과 결속을 구현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2가닥 이상의 전선 와이어들의 단부를 서로 결속시켜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고 결속하는 와이어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와이어 접속을 유도하기 위해 일단이 개방된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캡; 및 상기 하우징 캡의 내부에는 처음 회전이 시작되는 헤드부에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어 와이어를 표출시켜 전기적 접속과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조각칼을 구비하는 나선의 원뿔형 강선;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뿔형 강선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조각칼은 전선의 피복을 양방향으로 분기시켜 벗겨내도록 양방향 대칭형상의 쟁기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뿔형 강선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조각칼의 후단부에는 와이어의 외경에 홈을 내는 칼날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뿔형 강선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조각칼의 후단부에는 와이어의 외경에 홈을 내는 톱니날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뿔형 강선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조각칼의 후단부에는 전선의 피복을 갈아서 벗겨주기 위한 연삭날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뿔형 강선이 U-자형 강구에 형성되며, 상기 원뿔형 강선은 U-자형 강구에 형성되는 전선 삽입홀의 내경을 따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선의 전기적 접속과 결속 작업의 불편과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빠른 시간에 전선의 접속과 결속을 구현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를 제공하여 전선 접속 작업의 편의성과 전선의 접속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와이어 컨넥터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2는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전선 와이어를 결선하고 결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의 (a)~(i)는 기존의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전선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
(a)는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은 각각의 독립된 전선의 설명 사진이다.
(b)는 와이어 컨넥터로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해 전선의 피복을 스트리퍼나 u찌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c)는 전선의 피복을 벗겨낸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d)는 각각의 벗겨낸 전선의 와이어를 모아 u찌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꼬아 결선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e)는 각각의 와이어를 합쳐 하나로 꼬아져 전선의 결선과 결속이 이루어진 와이어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f)는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을 위한 꼬임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해 길게 자른 와이어를 와이어 컨넥터에 맞게 적당한 크기로 가위나 u찌로 잘라내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g)는 하나로 결선과 결속이 이루어진 꼬아진 와이어에 와이어 컨넥터를 돌려서 끼워넣어 전선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 작업을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h)는 와이어 컨넥터를 통한 전선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i)는 전선 와이어를 접속하는 와이어 컨넥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테이프를 감은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전선 와이어를 결선하고 결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에 구성되는 헤드부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에 구성되는 헤드부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에 구성되는 헤드부를 나타낸 다른 일실시예의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을 U자형 강구에 구성한 예로서, (a)는 전선의 삽입 전 상태를 나타낸 U자형 강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예이다. (b)는 전선을 U자형 강구의 전선 삽입홀을 따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예이다.
도 2는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전선 와이어를 결선하고 결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의 (a)~(i)는 기존의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전선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
(a)는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은 각각의 독립된 전선의 설명 사진이다.
(b)는 와이어 컨넥터로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해 전선의 피복을 스트리퍼나 u찌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c)는 전선의 피복을 벗겨낸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d)는 각각의 벗겨낸 전선의 와이어를 모아 u찌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꼬아 결선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e)는 각각의 와이어를 합쳐 하나로 꼬아져 전선의 결선과 결속이 이루어진 와이어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f)는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을 위한 꼬임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해 길게 자른 와이어를 와이어 컨넥터에 맞게 적당한 크기로 가위나 u찌로 잘라내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g)는 하나로 결선과 결속이 이루어진 꼬아진 와이어에 와이어 컨넥터를 돌려서 끼워넣어 전선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 작업을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h)는 와이어 컨넥터를 통한 전선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i)는 전선 와이어를 접속하는 와이어 컨넥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테이프를 감은 상태를 나타낸 설명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전선 와이어를 결선하고 결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에 구성되는 헤드부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에 구성되는 헤드부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에 구성되는 헤드부를 나타낸 다른 일실시예의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을 U자형 강구에 구성한 예로서, (a)는 전선의 삽입 전 상태를 나타낸 U자형 강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예이다. (b)는 전선을 U자형 강구의 전선 삽입홀을 따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와이어 컨넥터'는 '와이어 커넥터'로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와이어 컨넥터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2는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전선 와이어를 결선하고 결속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와이어 컨넥터(100)는 적어도 2가닥 이상의 피복 전선(200)의 와이어(210)를 전기적으로 결선하거나 결속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2가닥 이상의 전선 와이어(210)를 결선하거나 접속하는 와이어 컨넥터(100)는 하우징 캡(110)의 개구부(111)에 전선(200)의 피복(220)을 일부 벗겨낸 뒤 그 벗겨진 와이어(210) 부분을 꼬아서 삽입하고 접속을 유도할 수 있도록 나선의 원뿔형 강선(120)을 하우징 캡(110)의 내부에 내장형으로 구비하고 있다.
기존의 와이어 컨넥터(100)는 대략 도 3의 (a)~(i)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업 공정을 통해 전선(200)의 와이어(210)를 결선하고 결속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전선 와이어를 접속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복잡한 작업 공정이 문제로 되고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i)는 기존의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전선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의 (a)와 같이 전선(200)의 피복(220)을 벗기지 않은 각각의 독립된 전선(200)에 대한 접속을 위해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할 경우, 도 3의 (b)와 같이 전선(200)의 피복(220)을 스트리퍼나 u찌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전선(200)의 피복(220) 일부를 벗겨내 와이어(210)가 노출되도록 하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작업자는 도 3의 (b)와 같은 작업을 통해 도 3의 (c)와 같이 전선(200)의 피복(220) 일부를 벗겨낸다.
도 3의 (d)는 각각의 벗겨낸 전선(200)의 와이어(210)를 모아 u찌를 사용하여 와이어(210)를 꼬아 결선하는 상태이다.
도 3의 (e)는 각각의 와이어(210)들을 합쳐 하나로 꼬아져 전선(200)의 결선과 결속이 이루어진 와이어(210)의 상태이다.
도 3의 (f)는 와이어(210)의 결선과 결속을 위한 꼬임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해 길게 자른 와이어(210)를 와이어 컨넥터(100)의 하우징 캡(110)의 깊이에 맞게 적당한 크기로 가위나 u찌로 잘라내는 작업 상태이다.
도 3의 (g)는 하나로 결선과 결속이 이루어진 꼬아진 와이어(210)에 와이어 컨넥터(100)의 하우징 캡(110)을 돌려서 끼워넣어 전선 와이어(210)의 결선과 결속 작업을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h)는 와이어 컨넥터(100)를 통한 전선 와이어(210)의 결선과 결속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i)는 전선 와이어(210)를 접속하는 와이어 컨넥터(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테이프(120)를 감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기존 와이어 컨넥터(100)는 전선 와이어(210)를 접속시 절연 테이프를 감아 접속 시키고 접속 불량 및 전선 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재로 구성된 하우징 캡(110)을 전선 접속부에 씌워서 마감 처리하게 되는데 와이어 컨넥터(100)의 하우징 캡(110) 내부에는 원뿔형 강선(120)을 설치하여 여러가닥의 전선 와이어(210)를 하우징 캡(110)을 돌릴 때 내부의 원뿔형 강선(120)에 의해 밀착되는 상태로 접속되도록 유도하여 전선 와이어(210)의 접속 불량과 전선 접속부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와이어 컨넥터(100)를 통한 전선 와이어의 접속부 마감처리를 위해서는 복잡한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즉 피복 상태의 전선 와이어(210)의 전기적 접속과 결속에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와이어 컨넥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접속 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여러 작업 과정을 거쳐야 했고 각종 도구와 공구를 이용하여야만 와이어의 접속과 결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걸려 비경제적이며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지 않아 결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접속 작업 불량 등을 일으켜 접속 작업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선의 전기적 접속과 결속 작업의 불편과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빠른 시간에 전선의 접속과 결속을 구현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를 통해 전선 접속 작업의 편의성과 전선의 접속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마칠 수 있도록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의 전기적 결선과 결속을 위한 와이어 컨넥터 내부에 설치되는 나선의 원뿔형 강선의 헤드부 시작부분에는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지 않은 상태로 와이어 결속 작업에서 회전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면서 와이어의 결속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를 제공하도록 제시된다.
또한, 전선의 와이어간 결선과 결속을 위해 와이어에 홈을 파 결선과 결속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을 보다 정확하게 신뢰성있게 마칠 수 있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를 제공하도록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를 사용하여 전선 와이어를 결선하고 결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예시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에 구성되는 헤드부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에 구성되는 헤드부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100a)는 2가닥 이상의 전선(200)의 와이어(210)들의 단부를 서로 결속시켜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고 결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200)의 와이어(210)의 접속을 유도하기 위해 일단이 개방된 개구부(111)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캡(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캡(110)의 내부에는 처음 회전이 시작되는 헤드부(310)에 전선(200)의 피복(220)을 벗겨내어 와이어(210)를 표출시켜 전기적 접속과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조각칼(320)을 구비하는 나선의 원뿔형 강선(300)을 내장형으로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나선의 원뿔형 강선(300)은 하우징 캡(110)의 회전과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하우징 캡(110)의 회전이 있을 때 전선 와이어에 대한 조임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원뿔형 강선(3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직경이 하부 직경에 비해 넓은 테이퍼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원뿔형 강선(300)의 헤드부(310)에 형성되는 조각칼(320)은 전선(200)의 피복(220)을 양방향으로 벗겨낼 수 있도록 양방향 대칭형상의 쟁기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선(200)의 피복(220)이 조각칼(320)을 통해 벗겨질 때 벗겨지는 피복(220)들은 헤드부(310)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쉽게 벗겨져 나가 칩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원뿔형 강선(300)의 헤드부(310)에 형성되는 조각칼(320)의 후단부에는 와이어(210)의 외경에 홈을 내는 칼날(3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뿔형 강선(300)의 헤드부(310)에 형성되는 조각칼(320)의 후단부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10)의 외경에 홈을 내는 톱니날(34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톱니날(340)은 와이어(210)의 외경에 홈을 내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전선(200)의 결선과 결속을 강력하게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에 구성되는 헤드부를 나타낸 다른 일실시예의 참고도이다.
원뿔형 강선(300)의 헤드부(310)에 형성되는 조각칼(320)의 후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10)의 외경에 홈을 내는 톱니날(340)과 구분되어 전선의 피복을 갈아서 벗겨주는 연삭기능을 수행하는 연삭날(35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삭날(350)은 전선의 피복을 갈아서 벗기는 연삭기능을 수행하고, 이어서 톱니날(340)과 V자형 칼날(330)은 전선(200)의 결선과 결속을 더욱 강력하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전선(200)의 피복(220)을 벗기지 않고 피복 상태 그대로 눌러서 삽입하면 전기적 결선 및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고, 톱니날(340)에 의해 전선이 외부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의 원뿔형 강선을 U자형 강구에 구성한 예로서, (a)는 전선의 삽입 전 상태를 나타낸 U자형 강구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예이다. (b)는 전선을 U자형 강구의 전선 삽입홀을 따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예이다.
원뿔형 강선(300)의 헤드부(310)에 형성되는 조각칼(320)의 후단부에형성되는 톱니날(340)과 연삭날(350)을 가지는 원뿔형 강선(300)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강구(400)에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선 삽입홀(410)의 내경을 따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U-자형 강구(400)에 톱니날(340)과 연삭날(350)을 가지는 원뿔형 강선(300)을 구비하는 경우, 전선의 전기적 결선과 결속의 SW(스위치), 콘센트, 전기 기구에 있어서 전선(200)의 피복(220)을 탈피하지 않고도 연삭날(350)과 톱니날(340) 그리고 V자형 칼날(330)에 의해 견고한 전기적 결선과 결속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200)의 전기적 결선과 결속을 위해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100a)를 사용하는 경우 내부에 나선의 원뿔형 강선(300)의 헤드부(310) 시작부분에는 전선(200)의 결선과 결속을 위해 와이어 컨넥터(100a)의 하우징 캡(110)을 회전시키면 원뿔형 강선(300)의 헤드부(310)에 구성된 조각칼(320)을 통해 전선의 피복(200)을 벗겨낼 수 있다.
또한, 원뿔형 강선(300)의 헤드부(310) 후단부에는 연속적으로 전선(200)의 피복 제거와 전선간 결선과 결속을 위해 와이어(210)의 외경에 홈(미도시)을 파내어 와이어들 상호간의 결선과 결속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칼날(330)을 통해 전선 결선과 결속을 보다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의 피복을 갈아서 벗겨주는 연삭기능을 수행하는 연삭날(350)을 구비하여 전선의 피복을 갈아서 벗겨주는 연삭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선(200)의 피복(220)을 벗기지 않고 피복 상태 그대로 눌러서 삽입하면 전기적 결선 및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헤드부(31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톱니날(340)은 전선의 결선과 결속을 위해 하우징 캡(110)을 돌리면 피복이 벗겨지는 와이어(210)를 톱질하듯이 지나가도록 유도하여 와이어(210)의 표면에 홈(미도시)을 내게 되는데 이때 와이어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은 원뿔형 강선(300)이 삽입되도록 하는데 유용하고 이를 통해 와이어 컨넥터(100a)의 떨림으로 인한 풀림을 방지하며 떨림이 있을수록 와이어(210)에 더 깊게 박히도록 유도하여 와이어의 결선과 결속을 돕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100a)는 전선(200)의 전기적 결선에 있어서 종래 방식, 즉 스트리퍼나 u찌를 이용해 각각의 독립된 전선들의 피복을 벗기거나 u찌를 이용해 벗겨낸 전선을 꼬으고 적당한 크기로 자르는 작업을 마친 뒤 와이어 컨넥터의 하우징 캡을 회전시켜 결속한 후 절연테이프를 감아돌려 떨림으로 인한 와이어 컨넥터의 결속 이탈을 방지하던 종래 방식과 다르게 본 발명은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100a)의 하우징 캡(110)의 회전만으로 와이어의 결속 작업을 간단하게 마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100a)를 사용하는 전선(200)의 전기적 결선과 결속 작업에서는 종래 방식의 와이어 컨넥터 사용에서 여러 번거로움과 어려움 및 작업 불편과 시공시간 등에서 저효율적인 과정을 거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은 상태에서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100a)의 하우징 캡(110)을 회전시키는 결속작업을 통해 단 한 번에 전선(200)의 결선을 완료할 수 있어 시공성을 개선하고 비용과 작업성에서 기존의 와이어 커넥터에 비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U-자형 강구(400)에 톱니날(340)과 연삭날(350)을 가지는 원뿔형 강선(300)을 구비하는 경우, 전선의 전기적 결선과 결속의 SW(스위치), 콘센트, 전기 기구에 있어서 전선(200)의 피복(220)을 탈피하지 않고도 연삭날(350)과 톱니날(340) 그리고 V자형 칼날(330)에 의해 견고한 전기적 결선과 결속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으며,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한다.
100a: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110: 하우징 캡
111: 개구부 200: 전선
210: 와이어 220: 피복
300: 나선의 원뿔형 강선 310: 헤드부
320: 조각칼 330: 칼날
340: 톱니날 350: 연삭날
400: U-자형 강구 410: 전선 삽입홀
111: 개구부 200: 전선
210: 와이어 220: 피복
300: 나선의 원뿔형 강선 310: 헤드부
320: 조각칼 330: 칼날
340: 톱니날 350: 연삭날
400: U-자형 강구 410: 전선 삽입홀
Claims (6)
- 2가닥 이상의 전선 와이어들의 단부를 서로 결속시켜 전기적으로 도통시키고 결속하는 와이어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와이어 접속을 유도하기 위해 일단이 개방된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캡; 및
상기 하우징 캡의 내부에는 회전이 처음 시작되는 헤드부에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어 와이어를 표출시켜 전기적 접속과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조각칼을 구비하는 나선의 원뿔형 강선;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 강선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조각칼은 전선의 피복을 양방향으로 분기시켜 벗겨내도록 양방향 대칭형상의 쟁기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 강선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조각칼의 후단부에는 와이어의 외경에 홈을 내는 칼날을 구비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 강선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조각칼의 후단부에는 와이어의 외경에 홈을 내는 톱니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 강선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조각칼의 후단부에는 전선의 피복을 갈아서 벗겨주기 위한 연삭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 강선이 U-자형 강구에 형성되며, 상기 원뿔형 강선은 U-자형 강구에 형성되는 전선 삽입홀의 내경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23383 | 2020-02-26 | ||
KR1020200023383 | 2020-02-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8912A true KR20210108912A (ko) | 2021-09-03 |
KR102546362B1 KR102546362B1 (ko) | 2023-06-21 |
Family
ID=7778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6022A KR102546362B1 (ko) | 2020-02-26 | 2021-02-25 |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6362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6139A (ja) * | 1998-08-03 | 2000-02-25 | Tyco Submarine Syst Ltd | 光ファイバ・ケ―ブルから外部ジャケットを剥離する方法及び光ファイバ・ジャケット剥離工具 |
JP2001186620A (ja) * | 1999-12-27 | 2001-07-06 | Kansai Tech Corp | 電線接続用スリーブの切り割り用ダイスセット及び切り割り方法 |
KR20020044544A (ko) | 2000-12-05 | 2002-06-15 | 킹 쥬니어 로이드 에취. | 저토크 트위스트 와이어 커넥터 |
KR100879721B1 (ko) * | 2008-02-22 | 2009-01-22 | 김권중 | 전선 연결구 |
KR20130002220U (ko) | 2011-09-30 | 2013-04-09 | (주)화정산전 | 방수용 전선 와이어 컨넥터 |
KR20130004633U (ko) * | 2012-01-19 | 2013-07-2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전기 커넥터 |
KR20160033503A (ko) * | 2014-09-18 | 2016-03-28 | 정성인 | 와이어 커넥터 |
-
2021
- 2021-02-25 KR KR1020210026022A patent/KR1025463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6139A (ja) * | 1998-08-03 | 2000-02-25 | Tyco Submarine Syst Ltd | 光ファイバ・ケ―ブルから外部ジャケットを剥離する方法及び光ファイバ・ジャケット剥離工具 |
JP2001186620A (ja) * | 1999-12-27 | 2001-07-06 | Kansai Tech Corp | 電線接続用スリーブの切り割り用ダイスセット及び切り割り方法 |
KR20020044544A (ko) | 2000-12-05 | 2002-06-15 | 킹 쥬니어 로이드 에취. | 저토크 트위스트 와이어 커넥터 |
KR100879721B1 (ko) * | 2008-02-22 | 2009-01-22 | 김권중 | 전선 연결구 |
KR20130002220U (ko) | 2011-09-30 | 2013-04-09 | (주)화정산전 | 방수용 전선 와이어 컨넥터 |
KR20130004633U (ko) * | 2012-01-19 | 2013-07-2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전기 커넥터 |
KR20160033503A (ko) * | 2014-09-18 | 2016-03-28 | 정성인 | 와이어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6362B1 (ko) | 2023-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1258B1 (ko) | 절연 전선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 |
JPH09129274A (ja) | 分岐コネクタ装置 | |
KR20210108912A (ko) |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 |
KR100913077B1 (ko) | 전선 꼬임장치 | |
KR20100012665U (ko) |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 |
CN112563862B (zh) | 一种低压导线的快速接线装置 | |
KR100700710B1 (ko) | 케이블 필러 | |
KR200452089Y1 (ko) | 충실형 케이블 피복 탈피기 | |
JPS6158412A (ja) | 電線の被覆剥取り方法 | |
JP2001298822A (ja) | 被覆電線の被覆剥離具。 | |
KR102194941B1 (ko) |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 |
JP2022110319A (ja) | 皮むき工具 | |
CN219420134U (zh) | 多功能电工钳 | |
JP2009259419A (ja) | コネクター | |
JP2007110874A (ja) | 皮剥ぎ工具 | |
KR19980023418A (ko) | 전선 제피기 겸용 접속장치 | |
CN221597258U (zh) | 一种多功能剥线钳 | |
JP3440859B2 (ja) | 光ケーブルのスロット除去工具 | |
CN217992199U (zh) | 一种多功能电工工具剪钳 | |
CN218648477U (zh) | 一种适用于不同直径线缆的剥线钳 | |
CN217776723U (zh) | 一种可绞线分线多功能尖嘴钳 | |
CN220139113U (zh) | 线缆加工装置 | |
CN209169809U (zh) | 一种应用于建筑工程电气施工室内线缆并线的绞线工具 | |
CN219067709U (zh) | 一种组合型多功能剥线钳 | |
KR200451062Y1 (ko) | 전선결속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