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062Y1 - 전선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선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062Y1
KR200451062Y1 KR20080012844U KR20080012844U KR200451062Y1 KR 200451062 Y1 KR200451062 Y1 KR 200451062Y1 KR 20080012844 U KR20080012844 U KR 20080012844U KR 20080012844 U KR20080012844 U KR 20080012844U KR 200451062 Y1 KR200451062 Y1 KR 200451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wire
binding device
present
copp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12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545U (ko
Inventor
정지성
Original Assignee
정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성 filed Critical 정지성
Priority to KR20080012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06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5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0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을 결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단부를 꼬아 결속할 수 있게 구성한 전선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선결속장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선단부에는 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2가닥 이상의 구리선이 상기 홀에 끼워지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전선결속장치, 전동기, 소켓, 홀, 구리선

Description

전선결속장치{Cable Connecting Device}
본 고안은 전선을 결속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단부를 꼬아 결속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단선된 전선을 연결하여 통전하기 위해서는 전선의 단부에 피복을 벗긴 후, 노출된 구리선을 상호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위가 탈락되지 않도록 연결하고자 하는 구리선을 상호 꼬아서 결속한다.
이와 같은 결속방식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구리선을 꼬아결속함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속상태가 다르고, 또한 작업자의 손목에 무리한 스트레스가 가해져 쉽게 피로해지고 손목관절이 손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피복이 벗겨져 노출된 구리선을 전동기의 동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꼬아 결속할 수 있게 구성한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선결속장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선단부에는 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2가닥 이상의 구리선이 상기 홀에 끼워지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켓은 그 후단에 각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상기 전동기의 초크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은, 3개 이상의 원추형 홀들이 상호 겹쳐진 형태로서, 3개 이상의 원추형 홀들이 등각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개 이상의 원추형 홀의 안쪽 끝단은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편한 면에는 홈이 상기 3개 이상의 원추형 홀 중 어느 한 원추형 홀과 연장선 상에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결속장치는 전동기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리선을 결속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고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선결속장치는 전동기의 동력을 이용함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고, 또한 노동력을 절감하고 작업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선결속장치는 소켓 내부에서 구리선들이 헛돌기 않게 구 성됨에 따라 결속불량율을 낮출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결속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결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켓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켓의 입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켓에 두 구리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선결속장치를 이용하여 절연캡을 씌우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결속장치(100)는 내장된 모터에 의해 초크(111)가 회전하는 전동기(110)와, 후단이 상기 전동기(110)의 초크(111)에 끼워지며 선단면에는 복수의 구리선(3)이 삽입될 수 있게 원추형 홀(121)이 형성된 소켓(120)을 포함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원추형 홀(121)이 소켓(120)의 선단면에서 상기 소켓(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3개의 원추형 홀(121)은 일부가 상호 겹쳐진 형태로서, 소켓(120)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반원이상의 원호를 갖는 3개의 원추형 홀이 등각 즉 120ㅀ의 각도로 배치된 구조이다.
상기 원추형 홀(121)은 소켓(120)의 선단부의 직경이 가장 크고, 소켓(120)의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이며, 3개의 원추형 홀(121)의 안쪽 끝단은 평편하되, 평편한 면에는 한 개의 홈(123)이 형성된다. 상기 홈(123)은 3개의 원추형 홀(121) 중 어느 한 원추형 홀과 연장선 상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소켓(120)의 선단면에 형성된 원추형 홀(121)의 직경은 결속하고자 하는 구리선(3)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켓(120)의 후단에는 상기 전동기(110)의 초크(111)에 삽입되는 돌기(125)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125)는 초크(111)의 회전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각형으로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선결속장치를 이용하여 두 전선을 결속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전동기(110)의 초크(111)에 소켓(120)의 돌기(125)를 끼운 후, 결속하고자 하는 전선(1)의 피복을 소정의 길이만큼 벗겨 피복 안쪽의 구리선(3)이 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노출된 두 전선의 구리선(3)을 상기 소켓(120)의 원추형 홀(121)에 삽입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가닥의 구리선(3) 중에서 어느 한 구리선은 원추형 홀(121)의 안쪽 끝단에 형성된 홈(123)에 삽입되게 끼운다. 그리고 다른 한 구리선은 원추형 홀(121)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전동기(11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소켓(120)이 회전하면서 소켓(120)에 삽입된 2가닥의 구리선(3)이 꼬이게 되는데, 이때 홈(123)에 삽입된 구리선은 홈(123)에 삽입된 상태로 소켓(120)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홈(123)에 삽입되지 않은 다른 구리선을 감싸면서 2가닥의 구리선(3)이 꼬인다. 즉 2가닥의 구리선(3) 중에서 한 구리선은 소켓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2가닥의 구리선(3) 모두가 헛돌면서 발생할 수 있는 결속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선결속장치(100)는 결속하는 구리선(3)의 직경에 따라 원추형 홀(121)의 직경이 달라짐에 따라 구리선(3)의 직경에 비례하는 원추형 홀이 형성된 소켓(120)을 다양하게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리선(3)의 직경이 4mm일 경우에 4.5mm의 원추형 홀(121)이 형성된 소켓(12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결속장치(100)를 이용하여 두 전선의 구리선(3)을 결속한 다음에, 결속된 부위에 절연캡(130)을 씌워두는 것이 안전하다. 이때 종래에는 작업자가 절연캡을 강압적으로 힘을 가해 결속부위에 정합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전선결속장치(100)를 사용하여 절연캡(130)을 정합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20)에 형성된 원추형 홀(121)에 절연캡(130)을 끼운다. 상기 절연캡(130)은 합성수지 재질이고 소켓(120)은 강 재질이면서 원추형 홀(121)이 만나는 모서리부위가 날카로워 절연캡(130)을 원추형 홀(121)에 끼우면 절연캡(130)이 소켓(120)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안정적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절연캡(130)의 입구에 구리선(3)의 결속된 단부를 위치한 상태에서 전동기(110)를 작동시키면서 전동기(110)를 결속된 두 전선방향으로 가압하면 절연캡(130)이 소켓(120)을 따라 회전하며 전진하다. 따라서 구리선(3)의 결속된 부위가 절연캡(130)의 입구 안쪽으로 끼워지면서, 절연캡(130)이 결속된 두 구리선(3)을 감싸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결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켓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켓의 입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소켓에 두 구리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선결속장치를 이용하여 절연캡을 씌우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선 3 : 구리선
100 : 전설결속장치 110 : 전동기
111 : 초크 120 : 소켓
121 : 홀 123 : 홈
125 : 돌기 130 : 절연캡

Claims (4)

  1. 삭제
  2. 전동기(110)와,
    상기 전동기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선단부에는 홀(1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2가닥 이상의 구리선(3)이 상기 홀에 끼워지는 소켓(120)을 포함하되,
    상기 소켓(120)은 그 후단에 각형 돌기(125)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상기 전동기의 초크(111)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121)은,
    3개 이상의 원추형 홀(121)들이 상호 겹쳐진 형태로서, 3개 이상의 원추형 홀(121)들이 등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의 원추형 홀(121)의 안쪽 끝단은 평편한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편한 면에는 홈(123)이 상기 3개 이상의 원추형 홀(121) 중 어느 한 원추형 홀과 연장선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속장치.
KR20080012844U 2008-09-24 2008-09-24 전선결속장치 KR200451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2844U KR200451062Y1 (ko) 2008-09-24 2008-09-24 전선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2844U KR200451062Y1 (ko) 2008-09-24 2008-09-24 전선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45U KR20100003545U (ko) 2010-04-01
KR200451062Y1 true KR200451062Y1 (ko) 2010-11-22

Family

ID=4587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2844U KR200451062Y1 (ko) 2008-09-24 2008-09-24 전선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0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450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450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KR102015350B1 (ko) 2017-07-04 2019-10-21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45U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181Y1 (ko) 전선 결속부용 트위스트기구
WO2008071867A3 (fr) Dispositif de reperage visuel de cables ou conduits sur toute leur longueur
US834870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80083473A1 (en) Wire splicer
US8202131B2 (en) Power line coupler
KR20130039327A (ko) 절연 전선의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KR200451062Y1 (ko) 전선결속장치
US20080053558A1 (en) Wire-twisting tool and related method
JP2007026802A (ja) アース線付き電線
CN105390905A (zh) 覆皮电线的接合方法
US20090308483A1 (en) Handheld wire twisting tool
KR101007632B1 (ko) 전선 꼬임 기능을 구비한 와이어 커넥터
JP2011249044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KR200479231Y1 (ko) 와이어 커넥터
HUE035748T2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KR20180002930U (ko) 요비선용 전선 결속유닛
JP5519032B1 (ja) 電線結束具
JP5597464B2 (ja) 電線の撚り合わせ形成方法及び撚り合わせ構造
US20070215233A1 (en) E-Z wire twister
JP2009259419A (ja) コネクター
JP5311900B2 (ja) バインド巻付具
CN206379494U (zh) 一种带有保护套的线鼻子
CN105119063B (zh) 电气接点快速连接器
KR102546362B1 (ko) 퀵 타입 와이어 컨넥터
KR100537926B1 (ko) 전선 완전 연결용 스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104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1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