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231Y1 - 와이어 커넥터 - Google Patents

와이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231Y1
KR200479231Y1 KR2020150005024U KR20150005024U KR200479231Y1 KR 200479231 Y1 KR200479231 Y1 KR 200479231Y1 KR 2020150005024 U KR2020150005024 U KR 2020150005024U KR 20150005024 U KR20150005024 U KR 20150005024U KR 200479231 Y1 KR200479231 Y1 KR 200479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ember
fastening
wire
insertion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덕
Original Assignee
이승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덕 filed Critical 이승덕
Priority to KR2020150005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2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twi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Abstract

본 고안은 캡부재(100)의 끝단에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전선의 결선부의 체결시 끝단이 파손되어 결선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좀더 신속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와이어 커넥터는, 일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전선의 결선부를 체결하기 위한 종형상의 체결홈(110)이 형성된 캡부재(100);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홈(110)의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종형상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체결스프링(200); 일단이 개방된 종형상이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홈(110)의 끝단에 삽입되는 보강부재(3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커넥터 {Wire connector}
본 고안은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체결용 스프링이 구비되어 여러 가닥의 전선의 결선구를 꼬아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와이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여러 가닥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피복부를 스트립터로 벗긴 후 이를 맞대어 펜치로 꼬아서 연결한 후 절연테이프를 감아 두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전선의 결선부가 깔끔하지 않음은 물론 전선을 꼬아서 테이프를 감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고, 또 시간이 경과 하면 절연테이프가 풀어져 보기 흉하게 됨과 동시에 누전이나 단락 등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의 결선부에 커넥터를 개재시켜서 안정적으로 절연되고 결선상태가 깔끔하게 정돈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와이어 커넥터는 원추형상의 캡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 커넥터은 내부가 금속튜브이고 외부는 합성수지로 피복된 구조로 되어 있고, 이것을 전선의 결선부에 씌운 다음 4~5회 돌려서 결선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와이어 커넥터을 사용한 전선 결선작업의 결과를 보면, 결선부의 일부가 와이어 커넥터의 끝단이 파손되어 절연 불량으로 되는 예가 빈번하여 교체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47851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캡부재(100)의 끝단에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전선의 결선부의 체결시 끝단이 파손되어 결선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좀더 신속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와이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와이어 커넥터는, 일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전선의 결선부를 체결하기 위한 종형상의 체결홈(110)이 형성된 캡부재(100);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홈(110)의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종형상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체결스프링(200); 일단이 개방된 종형상이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홈(110)의 끝단에 삽입되는 보강부재(300); 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재(300)는 상기 체결스프링(200)의 재질의 강도와 동일하거나 강도가 더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홈(110)은, 상기 캡부재(10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종형상의 제1삽입부(111); 상기 제1삽입부(111)에서 상기 캡부재(100)의 타단 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며, 내부에 상기 체결스프링(200)이 삽입되는 제2삽입부(112);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삽입부(111)의 타단 방향 끝단의 직경은 상기 제2삽입부(112)의 일단 방향 끝단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캡부재(100)의 외주면에는 체결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방지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방지홈(130)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캡부재(10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와이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캡부재(100)의 끝단에 상기 보강부재(300)가 구비됨으로써, 전선의 체결시 전선이나 상기 체결스프링(200)이 상기 캡부재(100)를 손상시키거나 상기 캡부재(100)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외관을 깔끔하게 하고, 누전 등의 사고를 방지하고, 파손으로 인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캡부재(100)에 상기 손잡이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캡부재(100)에 전선을 결합시킬 때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캡부재(100)의 외주면에 상기 미끄럼방지홈(130)이 형성됨으로써, 전선의 체결시 표면의 마찰을 높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100), 체결스프링(200) 및 보강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부재(1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의 직경이 타단보다 큰 원통형, 즉 종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부재(100)에는 일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전선의 결선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10)은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체적으로 제1삽입부(111)와 제2삽입부(112)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부(111)는 상기 캡부재(10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통형 형상으로 개방된 공간이고, 상기 제2삽입부(112)는 상기 제1삽입부(111)의 하단에서 상기 캡부재(100)의 하단 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통형 형상으로 개방된 공간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삽입부(111)의 하단 방향 끝단의 직경은 상기 제2삽입부(112)의 상단 직경보다 커서 상기 제1삽입부(111)와 상기 제2삽입부(112) 사이는 내주면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부(112)에는 후술할 상기 체결스프링(200)이 삽입되는데, 상기 단차에 상기 체결스프링(200)이 걸려 상기 제1삽입부(111)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캡부재(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캡부재(100)에 전선을 결합시킬 때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1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얇은 판 형상으로 상기 캡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부(120)는 총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캡부재(10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각도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부재(100)에 상기 손잡이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캡부재(100)에 전선을 결합시킬 때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캡부재(100)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홈(130)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방지홈(130)은 상기 손잡이부(120) 사이마다 각각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개방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미끄럼방지홈(130)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캡부재(10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부재(100)의 외주면에 상기 미끄럼방지홈(130)이 형성됨으로써, 전선의 체결시 표면의 마찰을 높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체결스프링(200)은 일방적인 압축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스프링(200)은 상기 체결홈(110)의 안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통형 형상이며, 상기 체결홈(110)의 제2삽입부(112)에 삽입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스프링(200)은 상기 제1삽입부(111)와 상기 제2삽입부(112) 사이의 단차에 걸려 상기 제1삽입부(111) 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스프링(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닥의 전선(10)의 결선부를 서로 꼬아서 상기 체결홈(110)에 끼워 돌리게 되면 상기 체결스프링(200) 사이로 전선의 결선부가 말려 들어가게 되어 전선의 결선부를 강하게 압축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캡부재(100)의 끝단에는 금속재질의 상기 보강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300)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이며, 직경이 상방향으로 점점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10)의 안쪽에 삽입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재(300)는 상기 체결스프링(200)의 재질의 강도와 동일하거나 강도가 더 높은 재질. 구체적으로 강철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캡부재(100)의 끝단에 상기 보강부재(300)가 구비됨으로써, 전선의 체결시 전선이나 상기 체결스프링(200)이 상기 캡부재(100)를 손상시키거나 상기 캡부재(100)의 끝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외관을 깔끔하게 하고, 누전 등의 사고를 방지하고, 파손으로 인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의 상단에는 수축부(5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축부(500)는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가 상기 체결홈(110)과 연통된다.
이러한 상기 수축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이 상기 수축부(500)를 통과하여 상기 체결홈(110)에 결합된 후 열을 가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축소되도록 수축하여 상기 전선(1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부재에 상기 수축부(500)가 구비됨으로써, 전선(10)과 상기 수축부(500)가 밀착되어 틈새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 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캡부재 110 : 체결홈
111 : 제1삽입부 112 : 제2삽입부
120 : 손잡이부 130 : 미끄럼방지홈
200 : 체결스프링 300 : 보강부재

Claims (4)

  1.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은 차단되어 내부에 전선의 결선부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110)이 형성된 캡부재(100);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홈(110)의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종형상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체결스프링(200);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홈(110)의 끝단에 삽입되는 보강부재(300); 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홈(110)은,
    상기 캡부재(10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종형상의 제1삽입부(111);
    상기 제1삽입부(111)의 끝단에서 상기 캡부재(100)의 타단 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종형상이며, 상기 캡부재(100)의 일단 방향 끝단의 내경이 상기 제1삽입부(111)의 끝단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차진 제2삽입부(112);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300)는 상기 제2삽입부(112)의 타단 안쪽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1삽입부(111)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100)의 타단 방향으로는 차단되는 종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0)는 상기 체결스프링(200)의 재질의 강도와 동일하거나 강도가 더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100)의 외주면에는 체결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방지홈(130)이 형성되되, 상기 미끄럼방지홈(130)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캡부재(10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캡부재(100)의 일단에는 상기 캡부재(1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내부가 상기 체결홈(110)과 연통된는 수축부(500)가 형성되되, 상기 수축부(500)는 열을 가하면 직경이 축소되도록 수축하여 전선(1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커넥터.
KR2020150005024U 2015-07-27 2015-07-27 와이어 커넥터 KR200479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24U KR200479231Y1 (ko) 2015-07-27 2015-07-27 와이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24U KR200479231Y1 (ko) 2015-07-27 2015-07-27 와이어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31Y1 true KR200479231Y1 (ko) 2016-01-07

Family

ID=5517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024U KR200479231Y1 (ko) 2015-07-27 2015-07-27 와이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174A (ko) * 2019-07-16 2021-01-26 김문재 와이어 커넥터
KR20210152758A (ko) * 2020-06-09 2021-12-16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전선종단 절연캡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3715A (en) * 1983-10-31 1984-09-25 Amp Incorporated Wire connector
US5001301A (en) * 1989-06-02 1991-03-19 Marr Electric Limited Twist-on wire connector with expansion spring
KR20000018612U (ko) * 1999-03-24 2000-10-25 배준집 와이어접속콘넥터
KR200447851Y1 (ko) 2007-10-10 2010-02-24 서완석 전선 결선구
KR20130002220U (ko) * 2011-09-30 2013-04-09 (주)화정산전 방수용 전선 와이어 컨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3715A (en) * 1983-10-31 1984-09-25 Amp Incorporated Wire connector
US5001301A (en) * 1989-06-02 1991-03-19 Marr Electric Limited Twist-on wire connector with expansion spring
KR20000018612U (ko) * 1999-03-24 2000-10-25 배준집 와이어접속콘넥터
KR200447851Y1 (ko) 2007-10-10 2010-02-24 서완석 전선 결선구
KR20130002220U (ko) * 2011-09-30 2013-04-09 (주)화정산전 방수용 전선 와이어 컨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174A (ko) * 2019-07-16 2021-01-26 김문재 와이어 커넥터
KR102247420B1 (ko) * 2019-07-16 2021-05-03 김문재 와이어 커넥터
KR20210152758A (ko) * 2020-06-09 2021-12-16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전선종단 절연캡 구조체
KR102344299B1 (ko) * 2020-06-09 2021-12-29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전선종단 절연캡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368B2 (en) Connector for synthetic and coated wire rope
RU2534700C2 (ru) Кабельный ввод для ручной машины
US2008227A (en) Attachement for wire strands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US9240662B2 (en) Terminal treatment method and terminal treatment apparatus for coaxial cable
US10032544B2 (en) Terminal treatment apparatus for a coaxial cable to separate a sheath from a conductor
JP5794434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方法
KR200479231Y1 (ko) 와이어 커넥터
US2618684A (en) Insulated wire joint
JPS6227493B2 (ko)
US20110092112A1 (en) Power line coupler
US2299037A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or the like
US20120276789A1 (en) Power line coupler
JP2003070143A (ja) 外装ケーブルの外装線の端末部引留め装置
US2206672A (en) Connector
KR20160033503A (ko) 와이어 커넥터
US20140235111A1 (en) Cable rods
JP5835804B2 (ja) 笑い防止型引留クランプ
KR100891136B1 (ko) 전선 연결용 홀더
WO2017121394A1 (en) Dead end structure for supporting a cable
CN105870864A (zh) 一种快速接续耐张线夹
KR102247420B1 (ko) 와이어 커넥터
JP7440391B2 (ja) 延線工事用の電線接続方法
KR200451062Y1 (ko) 전선결속장치
KR102067588B1 (ko) 전선 결합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